KR101049882B1 -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882B1
KR101049882B1 KR1020090051922A KR20090051922A KR101049882B1 KR 101049882 B1 KR101049882 B1 KR 101049882B1 KR 1020090051922 A KR1020090051922 A KR 1020090051922A KR 20090051922 A KR20090051922 A KR 20090051922A KR 101049882 B1 KR101049882 B1 KR 10104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telephone
call
internet
card
co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173A (ko
Inventor
안승수
Original Assignee
(주)렛츠공칠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렛츠공칠공 filed Critical (주)렛츠공칠공
Priority to KR1020090051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88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10Metering calls from calling party, i.e. A-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 H04M15/12Discriminative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04M15/16Discriminative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ccording to connection obta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공중전화기에 있어서, 인터넷 공중전화기의 후크 온/오프를 감지하는 후크 온/오프 감지부, 상기 후크 온/오프 감지부가 후크 오프 상태인 경우 동전투입, 전화카드 투입 또는 긴급버튼 동작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통화방식 판단부, 상기 통화방식 판단부에서 입력된 번호가 일반 전화번호 인지 선불카드용 전화번호인지 식별하는 전화번호 식별부 및 상기 전화번호 식별부에서 일반전화인 경우 통화요금에 따른 주화량을 누적하거나, 선불전화 인 경우 선불전화카드의 잔액을 정산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원거리에서 인터넷 공중전화기의 주화투입량에 따른 적절한 회수로 효율적인 공중전화를 운용할 수 있다.
인터넷 공중전화기, 온/오프감지부, 통화방식 판단부, 전화번호 식별부, 제부

Description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Internet public phone manag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공중전화기에 통화요금으로 투입된 주화의 수량 및 금액을 감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인터넷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기술 및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유비쿼터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란 라틴어로 '편재하다(보편적으로 존재하다)'라는 의미이며,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네트워크라는 것은 지금처럼 책상 위 컴퓨터의 네트워크화뿐만 아니라 휴대전화, TV, 게임기, 휴대용 단말기, 카 내비게이션, 센서 등 컴퓨터가 아닌 모든 비 컴퓨터기기가 네트워크화되어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대용량의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고, 저 요금으로 통신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네트워크 전문가들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혹은 네트워킹 기술이 발전하는 일 종의 IT혁명은 조용하게 추진되는 혁명일지는 모르나 그것이 가져올 파급효과는 엄청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컴퓨팅혁명은 새로운 지식정보국가 건설과 자국의 정보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핵심 패러다임이라는 인식 하에 미국, 일본, 유럽의 정부뿐만 아니라 이들 국가들의 기업과 주요 연구소들이 유비쿼터스 관련 기술을 앞 다투어 개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비쿼터스에 발맞추어 공중전화기의 기술도 역시 발전하여야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고 수준 높은 전화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시간, 장소에 관계없이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중전화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었다.
또한 이러한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0376228호(2003년03월04일) 등에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문헌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공중전화 서비스 시스템은 인터넷망(100), 클라이언트 컴퓨터(110), 캠코더1(120), 전화기(130), 인터넷 공중전화 제어서버(140), 인터넷 공중전화용 컴퓨터(150), 캠코더2(160), 모니터(170), 송/수화기(180)를 구비한다.
인터넷 공중전화용 컴퓨터(150), 캠코더2(160), 모니터(170) 및 송/수화기(180)는 인터넷 공중전화기(1000)의 구성수단들이다.
클라이언트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10)에 내장된 모뎀 및 인터넷 접속용 소프트웨어인 지점간 프로토콜(PPP;Point to Point Protocol, 이하 PPP라 칭함)을 사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하여 인터넷 프로토콜(IP)어드레스를 할당받아 인터넷의 회원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클라이언트 컴퓨터(110)가 인터넷 단말로 등록된 후에는 월드 와이드 웹(WWW)브라우저 등을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클라이언트 컴퓨터(110)가 인터넷망에 등록된 웹사이트의 하나인 인터넷 공중전화 제어서버(140)에 접속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0376228호 등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 인터넷 공중전화를 이용하기 위하여 투입한 주화량을 알지 못함으로 동전이 수거통에 가득 참으로 더 이상의 동전투입이 불가하여 더 이상 통화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인터넷 공중전화기에 주화 및 카드감지부를 구비하여 주화 및 카드의 금액, 량을 외부에서 확인하고 제때에 주화수거가 가능한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인터넷 공중전화기의 후크 온/오프를 감지하는 후크 온/오프 감지부, 상기 후크 온/오프 감지부가 후크 오프 상태인 경우 동전투입, 전화카드 투입 또는 긴급버튼 동작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통화방식 판단부, 상기 통화방식 판단부에서 입력된 번호가 일반 전화번호 인지 선불카드용 전화번호인지 식별하는 전화번호 식별부 및 상기 전화번호 식별부에서 일반전화인 경우 통화요금에 따른 주화량을 누적하거나, 선불전화 인 경우 선불전화카드의 잔액을 정산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공중전화 관리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드 또는 주화를 이용하여 인터넷 공중전화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a)온/오프 감지부가 상기 인터넷 공중전화의 수화기가 들렸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통화방식 판단부는 수화기가 들린 경우에, 주화가 투입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c)주화가 투입되면, 통화방식 판단부는 특수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d)특수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340)는 일반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e)제어부(340)는 일반통화에 따른 요금정산을 하는 단계, (f)만약 상기 단계(b)에서, 주화가 투입되지 않으면 선불카드의 투입을 감지하는 단계, (g)선불카드가 투입되면, 전화번호 식별부는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감지하는 단계, (h)상기 전화번호의 수신자와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i)상기 통화에 따른 요금정산을 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는 통화에 따른 요금정산을 처리하는 요금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화번호 식별부는 인터넷 공중전화기에 투입되는 카드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은 원거리에서 인터넷 공중전화기의 주화투입량에 따른 적절한 회수로 효율적인 공중전화를 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 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의 전체구성도는 인터넷 공중전화기(210), 인터넷망, 서버(230), 관리단말기(220), 공중전화망(PSTN), 전화(240), PC(250)로 구성된다.
인터넷 공중전화기(210)는 복 수개로 구성되어 여러 공공장소에 설치되고,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버(230)에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서버(230)는 상기 신호를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전화(240) 또는 PC(250)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230)는 인터넷 공중전화기(200)의 내부에 충전된 동전량 및 금액을 관리단말기(220)로 전송한다.
관리단말기(220)는 관할 지역의 인터넷 공중전화기(210)의 동전수거를 담당하는 서버 또는 해당 은행의 단말기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인터넷 공중전화기(210)의 IP에 따른 인터넷 공중전화기(210)의 위치 및 동전량(동전금액) 등을 표 시하여 동전이 수거통에 얼마만큼 쌓여 있는지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으로 알려주어 소정의 량 이상 꽉 차면 해당 기관의 요원이 상기 동전을 수거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데 불편함을 주지 않는 것이다.
상기 서버(230)는 과금기능을 포함하며, 선불카드 또는 카드의 통화량에 상응하는 금액을 상기 카드로부터 차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과금을 위한 신호전송 및 통신은 서버(220)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하여 인터넷 공중전화기(210)의 통신부(350)를 통하여 수신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인터넷 공중전화기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공중전화기의 구성블록도는 통화를 위해 공중전화기의 수화기가 들렸는지 또는 통화종료후 공중전화기의 수화기가 내려졌는지(후크온)를 감지하는 온/오프 감지부(310), 상기 온/오프 감지부(310)의 출력신호에 따라 주화, 카드통화 또는 특수버튼 인지를 구분하는 통화방식 판단부(320), 상기 통화방식 판단부(320)의 출력신호에 따라 카드의 종류를 구분하는 전화번호 식별부(330), 상기 통화요금에 따라 일반통화인 경우에 주화량을 누적하거나, 선불전화인 경우에 선불전화카드의 잔액을 정산을 요청하는 제어부(340), 상기 제어부(340)의 제어신호를 외부의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부(350) 및 요금처리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요금처리부(360)는 주화처리부와 선불카드 처리부를 구비하여,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주화가 투입된 경우에 통화가 종료하면 남은 도수분의 주화를 동전회수구로 반환하고, 선불카드 처리부는 선불카드가 투입된 경우에 통화가 종료 되면, 그 선불카드의 사용도수를 기록하고, 그 선불카드를 카드출구로부터 반환하고, 그 사용도수를 제어부에 전송하면 제어부(340)는 잔액정산 요청을 서버(230)에 하여 서버(230)는 통화요금 정산을 한다.
또한 상기 통화방식 판단부(320)는 소지한 카드의 투입 유무를 감지하는 카드감지부(미도시),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주화의 투입 유무를 감지하는 주화감지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카드감지부는 상기 카드의 마그네틱을 인식하는 마그네틱 인식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주화감지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투입된 주화의 크기와 무게를 측정 및 선별하는 주화선별부(미도시), 상기 선별된 주화를 카운팅하여 그 값을 전송하는 주화카운터부(미도시), 상기 마그네틱 인식부 및 주화카운터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주화감지부는 동전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주화를 주화감지부에 투입하면, 주화감지부에 구비된 포토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주화선별부로 전송하면,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주화선별부는 상기 동전의 크기와 무게를 측정하여 선별한다.
상기 선별된 주화는 주화카운터부에서 카운팅되고, 카운팅된 값은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를 통하여 제어부(340)로 전송된다.
여기서, 통화방식 판단부(320)와 전화번호 식별부(330)는 일체의 모듈로 구성가능하고, 제어부(34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제어부(340)는 카운팅된 주화의 합계금액 및 주화량을 표시하고, 통신 부(3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350)는 유,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투입된 주화량은 외부에서 상기 인터넷 공중전화기의 수거통에 어느정도 찼는지(%정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관리단말기(220)의 화면에 수치 또는 이미지 등으로 표시해줄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범위(예, 수거통의 90% 이상)이상 주화가 찼으면 자동적으로 제어부(340)는 통신부(350)를 통하여 관리단말기(220) 또는 수거요원의 휴대단말기에 수거할 것을 통지한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인터넷 공중전화기의 통화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공중전화기의 통화순서도는 온/오프 감지부(310)가 사용자의 통화를 위하여 인터넷 공중전화기(210)의 수화가 들렸는지(후크오프) 또는 통화종료후 수화기를 내렸는지(후크온)를 판단하고(S1), 후크오프 되지않은 경우는 계속해서 후크오프 상태를 감지한다(S1). 후크오프가 된 경우에, 통화방식 판단부(320)는 통화를 위한 주화가 투입되었는지를 감지 및 판단하고(S2), 전화번호 식별부(330)는 주화가 투입된 경우에 특수번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7). 제어부(340)는 특수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일반통화를 수행하고(S8), 일반통화에 따른 요금정산이 수행되며(S9), 요금정산에 따른 동전누전량을 체크하여 소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10), 소정치 이상이면 관리단말기(220)로 통보하고(S11), 소정치 미만이면 통화를 종료한다.
상기 단계(S2)에서 통화방식 판단부(320)는 주화가 투입되지 않은 경우에 선 불카드가 투입되었는지를 판단하고(S3), 선불카드가 투입된 경우에 전화번호 식별부(330)는 입력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감지하여(S4), 통화를 수행하며(S5), 통화에 따른 요금정산 하여(S6) 통화를 종료한다.
상기 단계(S3)에서 전화번호 식별부(320)는 선불카드 투입이 되지않은 경우에 입력되는 특수버튼을 감지하고(S12), 연이어 입력되는 카드번호를 감지한다(S13). 입력된 상기 카드번호의 등록여부 인증을 판단하고(S14), 인증이 된 경우는 상기 단계(S4)로 돌아가며, 인증이 안 되는 경우는 상기 단계(S13)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기 단계(S7)에서 특수번호입력이 되지 않은 경우는 단계(S13)으로 돌아간다.
일반적으로 카드는 교통카드, 신용카드, 직불카드, 선불카드 등으로 구분되고, 카드회사의 중계를 통해 카드회사에서 먼저 대금을 지불하면 추후에 해당 카드회사로 비용을 입금하는 신용카드방식, 은행계좌로부터 직접 돈을 인출하도록 되어 있는 직불카드방식, 미리 정해진 금액을 지불한 후, 지불된 금액안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선불카드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전화번호 식별부(330)는 신용카드의 경우에 저장되는 카드정보는 최소한의 카드번호, 카드회사명, 유효기간 등을 포함하고, 선불카드의 경우에 저장되는 카드정보는 카드번호, 카드잔액 등을 최소한 포함하고 있어야 하고, 직불카드의 경우에 저장되는 카드정보는 카드번호, 직불계좌번호를 최소한 포함한다.
그리고, 단계(S9)에서, 사용자가 주화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경우에 그 과 금에 따른 요금정산을 이용하여(예를 들어서 통화도수, 통화시간 등)주화의 누적량을 간접적으로 체크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인터넷 공중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의 전체구성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인터넷 공중전화기의 구성블록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인터넷 공중전화기의 통화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인터넷 공중전화기 220 : 관리단말기
230 : 서버 240 : 전화
250 : PC

Claims (9)

  1. 인터넷 공중전화기에 있어서,
    인터넷 공중전화기의 후크 온/오프를 감지하는 후크 온/오프 감지부,
    상기 후크 온/오프 감지부가 후크 오프 상태인 경우 동전투입, 전화카드 투입 또는 긴급버튼 동작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통화방식 판단부,
    상기 통화방식 판단부에서 입력된 번호가 일반 전화번호 인지 선불카드용 전화번호인지 식별하는 전화번호 식별부 및
    상기 전화번호 식별부에서 일반전화인 경우 통화요금에 따른 주화량을 누적하거나, 선불전화인 경우 선불전화카드의 잔액을 정산하는 제어부
    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투입된 주화의 량을 동전 수거통에 얼마만큼 투입되었는지를 관리단말기에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공중전화 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에 따른 요금정산을 처리하는 요금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공중전화 관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력신호를 외부의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 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이상의 주화가 인터넷 공중전화기 수거통에 쌓이면, 외부의 관리단말기에 그 량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투입량을 감지하는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식별부는 인터넷 공중전화기에 투입되는 카드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투입량을 감지하는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7. 카드 또는 주화를 이용하여 인터넷 공중전화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a)온/오프 감지부가 상기 인터넷 공중전화의 수화기가 들렸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통화방식 판단부는 수화기가 들린 경우에, 주화가 투입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c)주화가 투입되면, 통화방식 판단부는 특수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d)특수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340)는 일반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e)제어부(340)는 일반통화에 따른 요금정산을 하는 단계,
    (f)만약 상기 단계(b)에서, 주화가 투입되지 않으면 선불카드의 투입을 감지하는 단계,
    (g)선불카드가 투입되면, 전화번호 식별부는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감지하는 단계,
    (h)상기 전화번호의 수신자와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i)상기 통화에 따른 요금정산을 하고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e)는 상기 요금정산에 따른 동전누적량을 체크하여 소정의 상한치이상인 경우에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방법.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g)는 선불카드가 투입되지 않은 경우에 특수버튼의 입력을 감지하고, 그에 이은 카드번호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카드번호에 따른 인증여부를 판단하고 인증에 따른 전화번호 입력 또는 비인증에 따른 카드번호 재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방법.
KR1020090051922A 2009-06-11 2009-06-11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049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922A KR101049882B1 (ko) 2009-06-11 2009-06-11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922A KR101049882B1 (ko) 2009-06-11 2009-06-11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173A KR20100133173A (ko) 2010-12-21
KR101049882B1 true KR101049882B1 (ko) 2011-07-15

Family

ID=4350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922A KR101049882B1 (ko) 2009-06-11 2009-06-11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8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5609A (ko) * 1991-12-27 1993-07-24 백중영 공중전화기의 i.c카드, 신용카드, 주화겸용시스템 및 제어방법
KR940001633A (ko) * 1992-06-19 1994-01-11 이해욱 주화 및 카드 겸용 공중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69113A (ko) * 2007-06-12 2007-07-02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알에프카드 결제가 가능한 공중전화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5609A (ko) * 1991-12-27 1993-07-24 백중영 공중전화기의 i.c카드, 신용카드, 주화겸용시스템 및 제어방법
KR940001633A (ko) * 1992-06-19 1994-01-11 이해욱 주화 및 카드 겸용 공중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69113A (ko) * 2007-06-12 2007-07-02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알에프카드 결제가 가능한 공중전화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173A (ko)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1134B2 (ja) 携帯端末とその管理装置
CN103593880A (zh) 车辆停车费用的支付方法及装置
KR101049882B1 (ko) 인터넷 공중전화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
WO2014017742A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CN105187872A (zh) 一种数字电视收视费快捷支付的方法
KR20120115844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과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TWM565364U (zh) Automated foreign currency deposit system
KR101754626B1 (ko) 선불식 전기요금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KR101044474B1 (ko) 요금 징수 방법
JP2018136817A (ja) 電子マネー端末、サーバ装置、電子マネー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438195B1 (ko) 휴대통신 단말기의 충전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1864A (ko) 은행업무 자동화 단말장치를 이용한 전자화폐 처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3916238B2 (ja) 運賃預託管理システム,方法,運賃預託管理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3538154B2 (ja) 電力等使用量計測課金システム及び電力等使用量計測課金方法
JP2015111351A (ja) 電子決済支払いシステム
KR10047430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적외선 송수신 기능을 이용한 현금인출 방법
KR20010035492A (ko) 휴대폰을 이용한 비용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63349A (ko) 민원서류발급대행 서비스방법
KR100499563B1 (ko) 계량 정보 시스템의 요금 징수 방법
KR100407906B1 (ko) 자동응답시스템을 이용한 콘텐츠 이용료 과금 대행 방법및 시스템
JP201015262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JP4961916B2 (ja) 管理サーバ
KR102547619B1 (ko) 선불금 충전 처리에 따른 통신 요금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9685B1 (ko) 복합건물 관리비 관리서버
JP2012093814A (ja) 駐車料金精算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