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311B1 - Tray for Deposit and Withdrawal - Google Patents
Tray for Deposit and Withdraw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9311B1 KR101049311B1 KR1020080110983A KR20080110983A KR101049311B1 KR 101049311 B1 KR101049311 B1 KR 101049311B1 KR 1020080110983 A KR1020080110983 A KR 1020080110983A KR 20080110983 A KR20080110983 A KR 20080110983A KR 101049311 B1 KR101049311 B1 KR 1010493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ndle
- tray
- deposit
- withdrawal
- bundle b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묶음지폐 입출금용 트레이를을 제공한다. 입출금되는 묶음지폐가 놓이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며 묶음지폐가 통과하도록 크기가 변하는 통공 및 상기 통공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통공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묶음지폐 지지부 및 상기 묶음지폐 지지부를 움직이게 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통공조절부를 포함하여, 묶음지폐의 입출금 경로를 단순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y for bundled banks. The bottom portion on which the bundled banknotes are deposited and deposited, the bottom portion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ze of the through-holes and the bundled banks are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through-holes and the bundled banknote support portion and the bundled banknote support portion Including a through-control unit having a moving uni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deposit and withdrawal path of the bundle banknote.
입출금용 트레이, 픽업모듈, 묶음지폐 카세트 Deposit and Withdrawal Trays, Pickup Modules, Bundled Paper Draw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융기관의 계원을 위한 묶음지폐 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융기관의 계원이 묶음 단위의 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하기 위해 입출금기에서 인출되는 입출금용 트레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ndled bank teller machine for a cashier of a financial institu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depositor withdrawal tray from which a cashier of a financial institution is withdrawn from a teller machine for depositing or withdrawing banknotes in a bundled unit.
금융자동화기기 또는 무인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기기이다.Financial automated devices or unmanned automated devices are automated devices that can provide basic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 or withdrawal without a bank employe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ith respect to financial services.
근래에 와서는 금융기관을 이용하는 고객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 뿐만 아니라, 금융기관 내부적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업무 종료 후 정산 작업 등을 신속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금융기관의 직원 또는 계원(teller) 등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도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not only financial automated devices for customers who use financial institutions, but also employees or tellers of financial institution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ir work internally and to quickly and accurately settle the work after finishing the business.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is also being introduced.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 출원 제10-2005-030838호에 계원을 위한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 입출금기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application No. 10-2005-030838 filed by the applicant discloses a cash withdrawal machine capable of withdrawal for a cashier.
그러나, 상기 특허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계원용 현금 입출금기는 현금의 묶 음 출금만 가능할 뿐 현금의 묶음 입금은 불가능하며, 별도의 묶음지폐 입금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However, the cash register for cashiers disclosed in the patent application is possible only withdrawal of the bundle of cash is not possible, the bundle of cash is not possible, there is no separate bundle bank deposit.
또한, 종래의 묶음지폐 입출금기는 입금 또는 출금되는 묶음지폐의 금액 또는 수량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업무 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undle bank teller machine h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process the job because it can not recognize the amount or quantity of the deposit bill withdrawal or withdrawal.
또한, 이러한 묶음지폐 입출금기는 크기 때문에 금융기관의 계원을 위한 업무 공간이 부족하기도 하였다.In addition, because the bundled bank teller machines are large, there is a shortage of work space for employees of financial institutio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간편한 동작으로 묶음지폐의 출금 및 입금이 가능한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입출금용 트레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y for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the bundle bank teller is possible withdrawal and withdrawal of the bundle bank with a simpl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묶음지폐를 입금 또는 출금하는 중에 묶음지폐의 수량 또는 금액을 식별할 수 있는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입출금용 트레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ray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a bundle bank teller machine that can identify the quantity or amount of the bundle banknote while depositing or withdrawing the bundle banknot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입출금되는 묶음지폐가 놓이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며 묶음지폐가 통과하도록 크기가 변하는 통공 및 상기 통공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통공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묶음지폐 지지부 및 상기 묶음지폐 지지부를 움직이게 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통공조절부를 포함하는 묶음지폐 입출금용 트레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ttom portion on which the bundled banknotes are deposited and withdrawn,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and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throughholes and the size of the bundled banknotes to pass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y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money, including a through-regulating unit having a bundle bank support unit for changing a size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bundle bank support.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입출금용 트레이에서 묶음지폐를 이송할 별도의 수단이 없더라도 입출금용 트레이의 하부에 제공되는 묶음지폐 카세트로 쉽게 묶음지폐를 전달할 수 있다.By constructing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means for transferring the bundled banknotes in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fer the bundled banknotes to the bundled banknote cassett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묶음지폐 지지부를 움직이게 하는 구동 벨트 및 상기 구동 벨트를 순환시키는 통공조절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묶음지폐 지지부를 일정한 거리만큼만 움직이게 함으로써 묶음지폐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drive unit may include a drive belt for moving the bundle of money holding support and a through-control motor for circulating the drive belt. By moving the bundle bank support only a certain distance,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bundle bank can pass.
상기 묶음지폐 지지부는 상기 구동 벨트에 결속된 차폐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차폐부재가 움직임에 따라 상기 구동 벨트의 순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묶음지폐 지지부를 직접 구동 벨트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묶음지폐 지지부와 구동 벨트를 연결하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묶음지폐 지지부와 구동 벨트의 연결 구조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The bundle bank support may be connected to a shielding member bound to the driving belt and move in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belt as the shielding member moves.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bundle bank support directly to the drive belt, but by using a separate member for connecting the bundle bank support and the drive belt,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gur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undle bank support and the drive belt.
상기 묶음지폐 지지부는 상기 통공의 적어도 일측을 가변시킬 수 있다. 여기서, 통공은 대략 사각형 모양인데 마주 보는 두 변에 해당하는 부분을 모두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만 가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bundle bank support may vary at least one side of the through-hole. Here, the through hole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may not only change both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two sides facing each other, but may also change only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한편, 묶음지폐 지지부가 상기 통공의 양측을 가변시키는 경우, 상기 구동 벨트는 상기 묶음지폐 지지부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undled banknote support portion to vary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the drive belt may drive the bundle banknote support at the same time.
상기 묶음지폐 지지부에는 복수개의 리브 또는 롤러가 구비되어 적재되는 묶음지폐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The bundle bank suppor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ibs or rollers to reduce friction with the bundle bank loaded.
상기 구동 벨트의 일측에는 상기 묶음지폐 지지부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상기 통공의 크기를 제한하는 바닥부 개방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 개방감지수단은 상기 묶음지폐가 상기 통공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 및 통과할 수 없는 크기를 감지하도록 서로 이격 설치된 2조의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묶음지폐 지지부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drive belt may be provided with a bottom opening detection means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bundle banknote support or limit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Here, the bottom opening detection means may include two sets of optical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detect the size and the size that the bundle bank can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This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bundle bank support.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는 묶음지폐가 상기 통공 위에 위치하도록 묶음지폐를 안내하는 묶음지폐 안내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bundle bank guide for guiding the bundle bank so that the bundle bank is located on the through hole.
상기 묶음지폐 안내부에는 묶음지폐의 수량 또는 유무를 감지하는 묶음지폐 감지수단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입금 또는 출금 수량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입출금되는 묶음지폐의 수량을 알 수 있다.The bundle bank guide unit is provided with a bundle bank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quantity or presence of bundle banknotes,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quantity of bundle banknotes withdrawn even if the user does not input the deposit or withdrawal quantit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묶음지폐의 출금 및 입금 처리도 가능하기 때문에 계원이 담당한 지폐를 분실할 염려가 없으며 낱장 단위로 출금 또는 입금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withdraw and deposit the bundled banknotes, so there is no fear of losing the bill in charge of the cashier and reduc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withdraw or deposit the sheets.
또한, 본 발명은 묶음지폐의 입금 또는 출금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업무 효율성을 개선할 수도 있고, 입출금기의 파손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deposit or withdrawal of the bundled banknotes and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and can prevent damage or failure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s.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묶음지폐가 전달되는 경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유지 보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path in which the bundled banknotes are delivered, and can improve maintenance convenience.
본 발명은 묶음지폐를 묶음지폐 카세트에 전달하기 위해 입출금용 트레이와 떨어져 형성된 별도의 이송경로를 구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묶음지폐 입출금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configure a separate transfer path formed apart from the tray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to transfer the bundled banknote to the bundled bank cassette, so that the bundled bank teller machine can be configured compactly.
본 발명은 입출금용 트레이는 통공의 크기 조절, 묶음지폐의 유무, 또는 픽업 작동 등이 서로 연동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입출금용 트레이의 구성 부품들이 적기에 적절한 동작을 취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구성 부품들 간의 충돌 또는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tray for the deposit and withdrawal is mad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such as adjusting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undled banknote, or pick-up operation, the component parts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can take appropriate timely operation, thereby the components The collision or interference between them can also be prevente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 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patentable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ake of clarity and concisen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bundle bank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미도시), 입출금을 하고자 하는 금융기관의 직원 또는 텔러의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미도시), 텔러 등의 신분증을 입력하는 카드인지부(미도시), 입력된 텔러 등의 정보 또는 수행하고자 하는 입출금 내역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 및 본체의 내부에 제공되어 묶음지폐를 입금 또는 출금시키는 케이싱(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케이싱(110)에는 묶음지폐의 입출금을 위해 케이싱(110)에서 인출되면서 개폐되는 입출금용 트레이(130), 입출금용 트레이(130)에 적재된 묶음지폐를 픽업하는 픽업모듈(미도시) 및 입출금되는 묶음지폐가 적재 보관되는 묶음지폐 카세트(170)가 구비된다. 묶음지폐 카세트(170) 내부에는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해 묶음지폐를 적재한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 플레이트(미도시)가 제공된다.The
입금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입출금용 트레이(130)에 입금하고자 하는 묶음지폐가 들어오면, 픽업모듈이 묶음지폐를 일시적으로 픽업한 후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바닥이 개방되며, 그 다음으로 픽업모듈이 픽업을 해제하는 묶음지폐는 아래로 떨어지면서 묶음지폐 카세트(170)의 승강 플레이트 상에 적재된다.Briefly describing the deposit process, when the bundle bank to be deposited in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130, the pickup module temporarily picks up the bundle and then the bottom of the deposit an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케이싱(110) 내부의 구성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inside the
도 2는 도 1에 따른 입출금기의 입출금용 트레이 및 픽업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가 픽업모듈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put and output tray and a pickup module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according to FIG. 1, and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상부에는 입출금용 트레이(130)에 적재된 묶음지폐를 집기 위한 픽업모듈(150)에 제공된다. 즉, 입출금용 트레이(130)는 픽업모듈(150)과 오버랩 또는 맞물린 상태로 제공된다.2 and 3, the upper portion of the deposit and
이와 같이 픽업모듈(130)과 입출금용 트레이(130)가 오버랩된 상태에서, 입출금을 위해 입출금용 트레이(13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픽업모듈(150)의 앞쪽으로 돌출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출금용 트레이(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 내지 금융기관의 계원은 묶음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개폐 또는 인출을 위해 케이싱(110)의 뒤쪽 내면에 솔레노이드 잠금장치(115)가 구비되고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후방에는 솔레노이드 잠금장치(115)에 걸리는 로킹부(133)가 구비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솔레노이드 잠금장치(115)는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피벗 동작을 하는 후크부(116)를 포함하고, 후크부(116)에 로킹부(133)의 로킹바(133a)가 걸리거나 해제됨으로써 입출금용 트레이(130)가 개폐될 수 있다.A
여기서,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후방과 케이싱(110)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미도시)을 구비함으로써 솔레노이드 잠금장치(115)와 로킹바(133a)의 걸림 상태 가 해제되면 스프링에 의해 저절로 입출금용 트레이(130)가 앞쪽으로 튀어나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입출금용 트레이(130)는 자동으로 케이싱(110)에서 개폐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Here, by providing a compression coil spring (not shown) between the rear of the
한편,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대신 후크(미도시) 및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적용하여 입출금용 트레이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Meanwhile, instead of the solenoid locking device, a locking device including a hook (not shown) and a spring (not shown) may be applied to manually open and close the tray.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개폐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양측면에 대응하는 케이싱(110) 내면에 트레이 가이드레이(112)이 설치되며, 묶음지폐 카세트(170)의 양측면과 대응하는 케이싱(110)의 내면에는 카세트 가이드레일(111)이 구비되어 묶음지폐 카세트(170)의 장탈착을 안내할 수 있다.In order to guide the opening and closing positions of the deposit and
도 3에는 입출금용 트레이(130)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입출금용 트레이(130)가 움직이면서 개방 또는 닫히게 된다.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tray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하부는 바닥부(132)를 형성하고, 바닥부(132)에는 크기가 조절되거나 변하는 통공(1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공(134)을 통해 입출금용 트레이(130)에 적재된 묶음지폐가 카세트(170)로 입금되거나, 카세트(170)에 보관된 묶음지폐가 입출금용 트레이(130)로 출금될 수 있다. 여기서, 묶음지폐가 통공(134)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통공(134)의 크기가 조절되거나 바닥부(132)가 개폐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130 forms a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제공되어 입금 또는 출금하고자 하는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입출금용 트레이(130), 입출 금용 트레이(130)로부터 전달 받은 묶음지폐 또는 입출금용 트레이(130)로 전달될 묶음지폐가 저장되는 묶음지폐 카세트(170) 및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일측 내지 상측에 제공되어 입출금용 트레이(130) 또는 묶음지폐 카세트(170)에 적재된 묶음지폐를 집거나 픽업(pick-up)하는 픽업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undle bank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한편,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바닥부(132)의 개폐 또는 통공(134)의 크기 변화는 픽업모듈(150)에 의한 묶음지폐의 픽업 작동과 연동되어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입출금용 트레이(130) 및 픽업모듈(150)에는 다수개의 감지수단인 센서들이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에 사용되는 입출금용 트레이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looks at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tray for the deposit and withdrawal used in the bundled bank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according to FIG. 2,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art of the tray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according to FI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바닥부(132) 위에는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안착 위치를 결정 또는 안내하기 위한 묶음지폐 안내부(140)가 마주 보며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 4 and 5, on the
묶음지폐 안내부(14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묶음지폐가 적재될 때 다소 후퇴하면서 묶음지폐를 지지하는 묶음지폐 가이드판(141)을 포함할 수 있다.The
묶음지폐 가이드판(141)에는 복수개의 구멍(142, 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중 일부의 구멍은 묶음지폐 안내부(140)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수량 또는 묶음지폐의 유무를 감지하는 묶음지폐 수량감지수단(BS)이 위치하는 부분이 다. 이러한 묶음지폐 수량감지수단(BS)은 묶음지폐 안내부(14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ndle
즉, 묶음지폐 수량감지수단(BS)은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된 묶음지폐 안내부(140) 내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묶음지폐가 묶음지폐 안내부(140)의 사이에 위치하여 묶음지폐 수량감지수단(BS)의 신호를 차단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묶음지폐의 수량 내지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묶음지폐 수량감지수단(BS)은 묶음지폐의 수량 내지 유무를 감지하여 입출금 되는 묶음지폐의 수량을 판단할 뿐만 아니라, 후술할 픽업모듈(15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묶음지폐가 묶음지폐 안내부(140)에 있는 것이 확인되면 픽업모듈(150)을 작동하여 묶음지폐를 픽업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bundle bank quantity detection means (BS) are each provided in the bundle
한편, 입출금용 트레이(130)는 대략 직사각형의 모양을 가지는데, 장변 방향으로는 통공(134)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통공조절부(135)가 구비될 수 있다. 통공조절부(135)가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단변 방향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통공(134)의 크기가 변할 수 있고, 확대된 통공(134)을 통해서 묶음지폐가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posit and
바닥부(132)의 저면에는 케이싱(110)에 대해 입출금용 트레이(130)가 부드럽게 개폐되도록 하는 바닥부 가이드레일(131)이 구비되어 있다.The bottom of the bottom 132 is provided with a
도 6은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의 묶음지폐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according to Figure 2,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according to Figure 2, Figure 8 shows a bundle bank support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according to Figure 2 One perspective view.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바닥부(132) 내부 후방 쪽에는 통공조절부(135)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품들이 구비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S. 6 and 7, components for driving the through
우선 통공(134)의 크기를 가변시키며 묶음지폐의 일측을 지지하는 묶음지폐 지지부(135a)를 움직이게 하는 구동력은 바닥부(132)의 후방에 구비된 통공조절모터(135b)에서 발생한다. First, the driving force for varying the size of the through
여기서, 통공조절모터(135b)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바닥부(132)의 내부에 구비된 구동 벨트(135d)로 전달되고, 구동 벨트(135d)에 맞물린 차폐부재(139)에 연결된 묶음지폐 지지부(135a)로 전달된다. 즉, 차폐부재(139)의 일측은 묶음지폐 지지부(135a)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구동 벨트(135d)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통공조절모터(135b)가 구동하여 구동 벨트(135d)가 순환하게 되면 구동 벨트(135d)에 연결된 차폐부재(139)의 일측에 연결된 묶음지폐 지지부(135a)도 구동 벨트(135d)의 순환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Here, the driving force generated in the through-
도 7을 참조하면, 구동 벨트(135d)가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면 도 7의 상측에 도시된 묶음지폐 지지부(135a)는 바닥부(132)의 일측(통공의 중심부 반대편)으로 후퇴하면서 통공(134)이 커지게 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면 묶음지폐 지지부(135a)가 통공(134)의 중심을 향해 전진하기 때문에 통공(134)이 작아지게 된다. 묶음지폐 지지부(135a)는 구동 벨트(135d)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통공조절부 가이드로드(135c)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driving
여기서, 차폐부재(139) 또는 구동 벨트(135d)의 일측에는 바닥부 개방감지수단(OS1,OS2)가 구비된다. 바닥부 개방감지수단(OS1,OS2)은 묶음지폐 지지부(135a) 또는 구동 벨트(135d)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묶음지폐가 통공(134)을 통과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Here, bottom opening detecting means OS1 and OS2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hielding
바닥부 개방감지수단(OS1,OS2)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2개조의 센서로 이루어지며, 바닥부(132)의 측벽 쪽에 근접하여 설치된 제1바닥부 개방감지수단(OS1)은 묶음지폐 지지부(135a)의 개방위치를 감지하고 바닥부(132)의 중심부 쪽에 설치된 제2바닥부 개방감지수단(OS2)은 묶음지폐 지지부(135a)의 닫힘위치를 감지한다.Bottom opening detection means (OS1, OS2) is composed of two sets of sensors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bottom opening detection means (OS1) installed close to the side wall side of the
여기서, 바닥부 개방감지수단(OS1,OS2)은 묶음지폐가 통공(134)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 및 통과할 수 없는 크기를 감지하도록 서로 이격 설치된 2개의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광센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며, 수광부에서 다크(Dark)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묶음지폐 지지부(135a)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Here, the bottom opening detection means (OS1, OS2) may be composed of two optical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detect the size and the size that can not pass through the
구동 벨트(135d)에 맞물린 차폐부재(139)가 움직이면서 제1바닥부 개방감지수단(OS1)을 통과하게 되면 바닥부(132) 또는 통공(134)이 개방되어 묶음지폐가 통공(134)을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제2 바닥부 개방감지수단(OS2)이 차폐되면 바닥부(132) 또는 통공(134)이 닫히면서 묶음지폐가 통공(134)을 통과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When the shielding
즉, 묶음지폐가 통공(134)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차폐부재(139)가 제1바닥부 개방감지수단(OS1)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하여 수광부에서 다크 신호를 감지할 때까지 통공조절모터(135b)를 작동시키고, 묶음지폐가 통공(134)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차폐부재(139)가 제2바닥부 개방감지수단(OS2)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하여 수광부가 다크 신호를 감지할 때까지 통공조절모터(135b)를 작동시키면 된다.That is, in order for the bundle bank to pass through the through
바닥부 개방감지수단(OS1,OS2)은 픽업모듈의 묶음지폐 픽업 여부 또는 후술할 승강 플레이트의 위치와 연동하여 묶음지폐 지지부(135a)의 작동을 컨트롤할 수 있다.Bottom opening detection means (OS1, OS2)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undle bank support (135a) in conjunction with the position of the pick-up bundle of the pickup module or the lifting plate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묶음지폐 지지부(135a)가 바닥부(132)의 길이방향 양쪽에 모두 형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한 쪽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양쪽에 모두 묶음지폐 지지부(135a)가 형성된 경우에 어느 한 쪽의 통공조절부만 움직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통공(134)의 양측에 묶음지폐 지지부(135a)가 형성된 경우, 하나의 구동벨트(135d)로 양쪽의 묶음지폐 지지부(135a)를 모두 움직일 수도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6 and 7, although the bundle
한편, 도 6 및 도 7을 보면, 상부에 도시된 묶음지폐 지지부(135a)는 통공(134)의 중심부 반대편으로 완전히 물러나 있으나, 하부에 도시된 묶음지폐 지지부(135a)는 상부에 도시된 묶음지폐 지지부(135a) 보다 덜 물러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묶음지폐가 통공(134)을 통과할 수 없으며, 하부에 도시된 묶음지폐 지지부(135a)가 통공(134)의 중심부 반대편으로 완전히 이동하면 통공(134)이 커지기 때문에 묶음지폐가 통공(134)을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bundle
이와 같이, 묶음지폐 카세트(170)로 묶음지폐를 보내거나 입출금용 트레이(130)로 묶음지폐를 보내기 위해, 묶음지폐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바닥부(132)를 개폐하거나 통공(134)의 크기를 조절하여 묶음지폐를 입 출금하기 때문에 픽업모듈(150)을 제외한 다른 구성품이 없더라도 묶음지폐를 입출금할 수 있다.As such, in order to send the bundled banknotes to the bundled
통공(134)의 양측에 묶음지폐 안내부(140, 도 4 참조)가 구비되는데, 묶음지폐 안내부(140)는 묶음지폐가 통공(134) 상부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묶음지폐의 입금 및 출금 위치를 안내한다. 이와 같이 묶음지폐 안내부(140)를 둠으로써, 묶음지폐가 원활하게 통공(134)을 통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픽업모듈(150)이 묶음지폐를 정확히 픽업할 수 있다.Bundle bank guides (140, see Figure 4)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묶음지폐 지지부(135a)의 표면 즉, 묶음지폐와 접촉하는 면에는 복수개의 리브(135a') 내지 요철부와 복수개의 롤러(135a")가 구비되어 있다. 리브(135a') 및 롤러(135a")는 무거운 묶음지폐가 묶음지폐 지지부(135a)를 누르는 상태에서도 묶음지폐 지지부(135a)가 원활하게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묶음지폐와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묶음지폐 지지부(135a)에는 리브(135a') 및 롤러(135a")가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8, the plurality of
지금까지 설명한 묶음지폐 입출금용 트레이는 묶음지폐를 취급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관점에서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수표 등의 종이매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tray for deposit and withdrawal withdrawal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from the viewpoint of a cashier's automatic teller machine that handles the bundle, but it can be applied to paper media such as checks as well as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grasped from various viewpoints.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technical idea or as a minimum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s a boundary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 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bundle bank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입출금기의 입출금용 트레이 및 픽업모듈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and a pickup module for th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according to Figure 1,
도 3은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가 픽업모듈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 for the deposit and withdrawal according to Figure 2 is opened in the pickup module,
도 4는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y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according to FIG. 2;
도 5는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input and output tray according to FIG. 2;
도 6은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put and output tray according to Figure 2,
도 7은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를 도시한 평면도,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tray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according to FIG. 2;
도 8은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의 묶음지폐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ndle bank support part of the input and output tray according to FIG.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묶음지폐 입출금기 110:케이싱100: Bundled money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110: Casing
130:입출금용 트레이 132: 바닥부130:
134: 통공 135: 통공조절부134: through hole 135: through control unit
150: 픽업모듈 170:묶음지폐 카세트150: pickup module 170: bundled bill cassette
BN: 묶음지폐BN: Bundles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0983A KR101049311B1 (en) | 2008-11-10 | 2008-11-10 | Tray for Deposit and Withdraw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0983A KR101049311B1 (en) | 2008-11-10 | 2008-11-10 | Tray for Deposit and Withdraw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2102A KR20100052102A (en) | 2010-05-19 |
KR101049311B1 true KR101049311B1 (en) | 2011-07-13 |
Family
ID=4227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0983A KR101049311B1 (en) | 2008-11-10 | 2008-11-10 | Tray for Deposit and Withdraw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9311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7401A (en) | 1998-08-13 | 2000-02-25 | Toshiba Corp | Small bundle processor |
JP2000099791A (en) | 1998-09-17 | 2000-04-07 | Toshiba Corp | Sealed small bundle management device |
KR100659380B1 (en) | 2005-04-13 | 2006-12-19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ATM with Function of Bundle Drawing |
-
2008
- 2008-11-10 KR KR1020080110983A patent/KR10104931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7401A (en) | 1998-08-13 | 2000-02-25 | Toshiba Corp | Small bundle processor |
JP2000099791A (en) | 1998-09-17 | 2000-04-07 | Toshiba Corp | Sealed small bundle management device |
KR100659380B1 (en) | 2005-04-13 | 2006-12-19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ATM with Function of Bundle Draw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2102A (en) | 2010-05-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73874B1 (en) |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 |
KR101034851B1 (en) | Paper money receiving and paying mechanism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 |
KR20140030304A (en) |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 |
KR20090093699A (en) |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and method for loading bundle note | |
KR101250693B1 (en) | Medium cassette and financial device | |
KR100973875B1 (en) |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 |
KR101165517B1 (en) | Paper sheet handling device | |
WO2014155645A1 (en) | Paper-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 |
JP6051060B2 (en) | Banknote handling equipment | |
KR101671572B1 (en) | Medium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inancial device | |
EP2772888A1 (en) |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 |
KR101049311B1 (en) | Tray for Deposit and Withdrawal | |
KR20110078203A (en) | Appratus for sensing a loading of a bundle note in an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 |
KR101280658B1 (en) | Medium cassette and financial device | |
KR101226348B1 (en) | Medium cassette,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WO2013172084A1 (en) | Paper-slip handling device and automated transaction device | |
KR20100052101A (en) | Pickup device used in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 |
KR101099900B1 (en) | Device for drawing bills in cash transaction machine | |
KR101035190B1 (en) |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 |
KR20100038696A (en) |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 |
KR100610998B1 (en) | Depositing control device in deposit machinery of ATM and method thereof | |
KR101452912B1 (en) | Controlling method of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 |
KR101289543B1 (en) | Medium cassett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financial apparatus | |
KR200393046Y1 (en) | Device of locking for cassette | |
KR100610999B1 (en) | Bill withdrawal control device of ATM and method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