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171B1 -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171B1
KR101049171B1 KR1020100071380A KR20100071380A KR101049171B1 KR 101049171 B1 KR101049171 B1 KR 101049171B1 KR 1020100071380 A KR1020100071380 A KR 1020100071380A KR 20100071380 A KR20100071380 A KR 20100071380A KR 101049171 B1 KR101049171 B1 KR 101049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diameter
fixing
connector
diameter portion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준
강민구
박승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9235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491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to KR1020100071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Radio Frequency) 장비에 설치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로서, 중공인 원통형상으로 일측에는 외부의 잭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1 소경부가 연장되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중공에 설치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중심도체와, 중앙에 홀이 구비된 판 형상으로, 상기 홀에 상기 몸체를 관통 삽입하며 몸체를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이 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소경부에 억지끼움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링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억지끼움으로 설치되어 몸체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하우징을 구비한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의 몸체는 외주면에 단이져 직경이 감소된 제2 소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소경부에는 상기 고정판이 외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몸체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때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측은 상기 고정판에 맞닿고, 타측은 상기 제2 소경부가 이루는 단턱에 맞닿도록 상기 제2 소경부를 감싸도록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CONNECTOR FOR RF EQUIPMENT}
본 발명은 무선통신(Radio Frequency) 장비에 설치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무선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 시스템 또는 각종 무선 통신 장비에서 케이블간 또는 PCB 간의 접속 매개체로 사용되는 커넥터가 수직, 수평방향으로 소정 유동성을 갖도록 하여 체결성을 높인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플러그와 잭으로 구성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교환국 장비, 기지국장비 및 중계기 등의 설비와 부품에 주파수가 높은 RF신호와 같은 특정신호를 상호 송수신하기 위해 각종 통신장비의 고주파 전송을 위한 케이블 간 또는 PCB 간의 접속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는 체결 방식에 따라 커플링 너트 방식과 스냅온(Snap-On) 타입으로 구별되는 바, 상기 커플링 너트 방식은 외주면에 너트가 장착된 플러그와 본 너트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잭이 상호 나사체결되어 접속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냅온 방식의 경우 플러그의 몸체 일 단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잭의 몸체 내부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서로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 너트 방식의 경우 나사체결방식이므로 체결력이 좋은 반면 커넥터 간의 착탈 시 너트를 회전시켜 수나사에 체결해야 하므로 체결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체결을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이슈가 있으며, 스냅온 방식의 경우 단순히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신속한 체결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종래의 커넥팅 방식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커넥터는 스냅온 방식을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통상의 무선통신을 위한 장비, 예를 들어 중계기 및 교환기 등의 장비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는 제1 PCB(4)와 제2 PCB(3)간의 신호 연결을 위해 복수개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1 PCB(4)에는 플러그(2)가 설치되고, 제2 PCB(3)에는 잭(1)이 설치되어 상기 잭(1)이 플러그(2)에 삽입됨으로서 연결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체결되는 커넥터가 복수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PCB(4)와 제2 PCB(3)에 각각 플러그(2) 및 잭(1)을 설치해서 결합해야 하는데, 제조 공차에 의해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즉, 설계상에 위치한 곳에 상기 복수의 플러그(2) 및 잭(1)이 제1 PCB(4) 및 제2 PCB(3)에 설치되는바, 제조 공차에 의해서 각 플러그(2)와 잭(1)이 설계위치에서 조금 벗어난 곳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오차는 어느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을 향할 수록 더 커지게 되고, 이는 체결의 불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조공차에 의한 불량은 도면상 상하방향으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즉, 각 플러그(2) 및 잭(1)이 도면상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정확한 수평라인 상에 위치하여야 하는바, 어느 한 플러그(2) 또는 잭(1)이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제조공차에 의해 위치가 틀어진 경우에는 체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러그 또는 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유동성을 갖도록 하여 플러그와 잭이 상호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로서, 중공인 원통형상으로 일측에는 외부의 잭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1 소경부가 연장되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중공에 설치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중심도체와, 중앙에 홀이 구비된 판 형상으로, 상기 홀에 상기 몸체를 관통 삽입하며 몸체를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이 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소경부에 억지끼움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링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억지끼움으로 설치되어 몸체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하우징을 구비한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의 몸체는 외주면에 단이져 직경이 감소된 제2 소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소경부에는 상기 고정판이 외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몸체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때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측은 상기 고정판에 맞닿고, 타측은 상기 제2 소경부가 이루는 단턱에 맞닿도록 상기 제2 소경부를 감싸도록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에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고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몸체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의 홀의 직경은 상기 하우징 외경보다 작고, 몸체의 제2 소경부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에서, 상기 고정링은 일부가 제거된 E자 형상의 원형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제1 소경부에는 상기 고정링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링의 장축의 길이는 상기 고정판 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에서, 상기 고정판에는 외부에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이 관통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에서 플러그가 통신장비내 PCB 등에 고정된 상태에서 플러그의 몸체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유동되어 삽입되는 외부의 잭과 정확한 얼라인 위치에 있지 않아도 원활하게 결합이 이루어 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복수의 플러그가 PCB 등에 설치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잭이 상기 각 플러그에 삽입 될 때, 잭 또는 플러그의 제조시에 공차에 의한 삽입축이 정확하지 않아도 상기 플러그의 유동에 의해 결합을 위한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의 플러그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 단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플러그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종래에 따른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의 플러그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플러그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1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역할을 담당하는 잭(200)과, 상기 잭(200)을 내부로 수용하는 플러그(10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커넥터(10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200)을 상기 플러그(100)에 삽입함으로서 무선신호의 전달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결합방식의 커넥터는 이미 널리 알려진 방식이므로 더 상세한 구조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1000)에서 본 실시예의 플러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단면의 직경이 서로 다른 대경부(26), 상기 대경부(26)에서 연장된 제2 소경부(23)와, 상기 제2 소경부(23)에서 연장된 제1 소경부(22)를 갖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내부 중공에 설치되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중심도체(30)와, 중앙에 홀(52)이 구비된 판 형상으로 상기 홀(52)에 상기 몸체(20)의 제2 소경부(23) 부위를 관통 삽입하며, 상기 삽입된 몸체(20)를 외부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미도시)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홀(51)이 복수개 형성된 고정판(50)과, 상기 고정판(50)이 몸체(20)의 제2 소경부(23)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면상 고정판(50)의 하부측에서 상기 몸체(20)의 제1 소경부(22)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되어 상기 고정판(50)의 하부측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60)과, 상기 몸체(20)의 대경부(26)와 제2 소경부(23)를 감싸도록 고정설치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20)의 대경부(26)의 제2 소경부(23)와 반대방향에는 잭(100)이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1)가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20)의 제2 소경부(23)는 원통형 스프링(40)이 감싸지게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40)의 일단은 상기 대경부(26)와 제2 소경부(22)의 경계에 형성된 단턱(25)에 지지되고 타단은 고정판(50)에 지지되어 몸체(20)가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유동하고, 수평방향으로 틸팅할 때 원위치로의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도 3을 참고해 보면 하우징(10)이 상기 제2 소경부(23)에 설치된 스프링(40)을 덮도록 몸통(20)에 설치되므로 스프링(40)은 몸통(20)과 고정판(50) 사이에서 탄성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은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 소경부(23)에 삽입되어 설치된 고정판(50)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몸통(20)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50)은 도면상 하부방향으로는 고정링(60)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방향으로는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고정링(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판의 형상으로 중심부로부터 외주면까지 일부가 제거된 "E"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일부가 제거되어 개구된 부분을 상기 몸통(20)의 제1 소경부(22)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는바, 상기 제1 소경부(22)에는 상기 고정링(60)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50)의 홀(51)의 직경은 상기 하우징(10)의 외경 및 고정링(60)의 방사방향 장축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20)의 제2 소경부(23)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같는 본 실시예의 플러그(100)는 고정판(50)의 고정홀(52)에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용 장비의 PCB 등에 고정 설치되는데, 도 4의 사용상태도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에 둘러쌓인 몸체(20)가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유동하거나, 도면상 수평방향으로 틸팅하게 되어 잭(200)이 삽입될 때 결합축이 정확하지 않아도 소정간격 오차범위내에서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일예를 들어, 상하방향 유동에 대해서는 삽입되는 복수의 잭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잭이 설계위치보다 더 튀어나오게 설치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플러그가 도면상 하측방향으로 유동성을 갖음으로 해당 잭을 삽입하는 플러그는 하측방향으로 더 눌린 상태로 잭과 결합하고, 나머지 잭은 정상상태로 플러그와 결합이 가능한 것이다. 수평방향 틸팅에 대해서는 잭과 플러그의 결합을 위한 축이 제조공차에 의해 소정간격 틀어진 경우에 상기 플러그의 틸팅에 의하여 틸팅된 상태에서 잭과 체결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50)이 도면상 하부측의 고정링(60)에 의해 지지되고, 도면상 상부측으로는 스프링(40)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몸체(20)의 제2 소경부(23)가 상기 고정판(50)의 홀(51)에 위치하는 상태인데, 상기 제2 소경부(23)의 외경이 상기 고정판(50)의 홀(51)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어 몸체(20)는 고정판(50)으로부터 소정 간격 유동성을 갖는데, 도 4의 (a)와 같이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고, 도 4의 (b), (c)와 같이 도면상 수평방향으로 틸팅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 이동이 이루어질 때 ㅌ하우징(10)의 고정판(50) 방향 선단이 고정판(50)과 맞닿아 하부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도 3과 같이 고정링(60)이 고정판(50)이 하부에 맞닿는 형태로 원위치 하게 된다. 상기 수평방향 틸팅시에는 도 4의 (b)와 같이 도면상 우측으로 틸팅이 이루어 질 때 상기 하우징(10)의 고정판(50) 방향의 우측선단이 고정판(50)에 맞닿아 틸팅을 제한하게 되며, 도 4의 (c)도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수직방향 유동 및 수평방향 틸팅에 대한 제한이 하우징(10)의 선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일예로 하나 수평방향 틸팅에 대해서 몸체(20)의 제2 소경부(23)의 외주면이 고정판(50)의 고정홀(51) 내주면에 맞닿게 되어 제한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1000)의 플러그(100)가 무선 통신장비의 PCB 등에 고정된 상태에서 몸체(20)가 수직방향으로 유동 및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틸팅되므로서 삽입되는 잭(200)이 설계위치에서 소정의 오차를 갖는 위치에서 플러그(100)와 삽입을 위한 축을 이루더라도 상기 플러그(100)의 몸체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유동성을 갖고 있으므로 잭(200)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 커넥터 100 : 플러그
200 : 플러그 10 : 하우징
20 : 몸체 30 : 중심도체
40 : 스프링 50 : 고정판
60 : 고정링

Claims (4)

  1.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로서,
    중공인 원통형상으로 일측에는 외부의 잭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1 소경부가 연장되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중공에 설치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중심도체와,
    중앙에 홀이 구비된 판 형상으로, 상기 홀에 상기 몸체를 관통 삽입하며 몸체를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이 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소경부에 억지끼움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링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억지끼움으로 설치되어 몸체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하우징을 구비한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의 몸체는 외주면에 단이져 직경이 감소된 제2 소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소경부에는 상기 고정판이 외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몸체가 수직방향 유동 및 수평방향으로 틸트(Tilt) 될 때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측은 상기 고정판에 맞닿고, 타측은 상기 제2 소경부가 이루는 단턱에 맞닿도록 상기 제2 소경부를 감싸도록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고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몸체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의 홀의 직경은 상기 하우징 외경보다 작고, 몸체의 제2 소경부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일부가 제거된 E자 형상의 원형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제1 소경부에는 상기 고정링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링의 장축의 길이는 상기 고정판 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는 외부에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이 관통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KR1020100071380A 2010-07-23 2010-07-23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KR101049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380A KR101049171B1 (ko) 2010-07-23 2010-07-23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380A KR101049171B1 (ko) 2010-07-23 2010-07-23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171B1 true KR101049171B1 (ko) 2011-07-14

Family

ID=4492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380A KR101049171B1 (ko) 2010-07-23 2010-07-23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17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774B1 (ko) * 2012-03-02 2012-12-05 (주)기가레인 체결이 용이한 커넥터
KR101301772B1 (ko) * 2012-03-06 2013-08-29 주식회사 텔콘 기판 연결용 알에프 커넥터
KR101326296B1 (ko) 2012-02-27 2013-11-11 주식회사 텔콘 기판 연결용 알에프 커넥터
WO2013181146A1 (en) * 2012-05-31 2013-12-05 Emerson Network Power Connectivity Solutions, Inc. Modular rf connector system
KR20130141225A (ko) * 2012-06-15 2013-12-26 주식회사 텔콘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KR101608958B1 (ko) 2014-10-10 2016-04-05 정성우 통신 신호 연결용 체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통신 시스템
US9510489B2 (en) 2014-02-23 2016-11-29 Cinch Connectivity Solutions, Inc. High isolation grounding device
KR102137619B1 (ko) 2020-01-28 2020-07-24 (주)진전기엔지니어링 통신전용 매설 라인의 중계기 접속형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132U (ko) * 1998-06-02 2000-01-15 김덕용 커넥터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132U (ko) * 1998-06-02 2000-01-15 김덕용 커넥터 체결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296B1 (ko) 2012-02-27 2013-11-11 주식회사 텔콘 기판 연결용 알에프 커넥터
KR101207774B1 (ko) * 2012-03-02 2012-12-05 (주)기가레인 체결이 용이한 커넥터
KR101301772B1 (ko) * 2012-03-06 2013-08-29 주식회사 텔콘 기판 연결용 알에프 커넥터
CN104350648A (zh) * 2012-05-31 2015-02-11 艾默生网络能源连接解决方案股份有限公司 模块化射频连接器系统
US8888519B2 (en) 2012-05-31 2014-11-18 Cinch Connectivity Solutions, Inc. Modular RF connector system
WO2013181146A1 (en) * 2012-05-31 2013-12-05 Emerson Network Power Connectivity Solutions, Inc. Modular rf connector system
US9190786B1 (en) 2012-05-31 2015-11-17 Cinch Connectivity Solutions Inc. Modular RF connector system
EP2856571A4 (en) * 2012-05-31 2016-03-30 Emerson Network Power Connectivity Solutions Inc MODULAR HF CONNECTOR SYSTEM
CN104350648B (zh) * 2012-05-31 2016-10-26 Cinch连接解决方案股份有限公司 模块化射频连接器系统
KR20130141225A (ko) * 2012-06-15 2013-12-26 주식회사 텔콘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US9510489B2 (en) 2014-02-23 2016-11-29 Cinch Connectivity Solutions, Inc. High isolation grounding device
US10285311B2 (en) 2014-02-23 2019-05-07 Cinch Connectivity Solutions, Inc. High isolation grounding device
KR101608958B1 (ko) 2014-10-10 2016-04-05 정성우 통신 신호 연결용 체결 유니트 및 이를 갖는 통신 시스템
KR102137619B1 (ko) 2020-01-28 2020-07-24 (주)진전기엔지니어링 통신전용 매설 라인의 중계기 접속형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171B1 (ko)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KR101992258B1 (ko) 동축 커넥터
US9281641B2 (en)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circuit boards
US10103483B2 (en) Coaxial plug-in connector arrangement
US8777670B2 (en) Plug adapter having plug side ends with dissimilar mechanical interface geometries
KR20120038458A (ko) 탄성-개재 접속기
US11056807B2 (en) Float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TWI602363B (zh) 同軸連接器
CN101595606A (zh) 面板安装连接器壳体
CN106159504B (zh) 紧凑型射频同轴连接器
KR20200001612U (ko) 연결 단자, 커넥터, 및 카메라 조립체
KR20130098047A (ko) 기판 연결용 알에프 커넥터
US20180013232A1 (en) System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plugs to a monobloc assembly formed by an electronic equipment box panel and a plurality of connector sockets
CN100559664C (zh) 插接连接器
JP5727003B2 (ja) 無線受信機のためのアンテナインタフェース
JP2017126512A (ja) 中継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接続組立体
EP3780294A1 (en) Connector adapter and connector test system
US20210210912A1 (en) Antenna box module, connector module and coaxial cable
CN108695636B (zh) 单端子模块和接插组件
KR101207774B1 (ko) 체결이 용이한 커넥터
EP3484178A1 (en) Earphone socket, mounting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JP2017158119A (ja) 無線機一体型アンテナ装置
KR101172773B1 (ko) 알에프 커넥터
KR20130141225A (ko)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JP6188188B2 (ja) パネルマウント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308

Effective date: 201210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