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112B1 -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112B1
KR101049112B1 KR1020040009026A KR20040009026A KR101049112B1 KR 101049112 B1 KR101049112 B1 KR 101049112B1 KR 1020040009026 A KR1020040009026 A KR 1020040009026A KR 20040009026 A KR20040009026 A KR 20040009026A KR 101049112 B1 KR101049112 B1 KR 101049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housing
housing
link bar
upper housing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0863A (ko
Inventor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9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112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단말기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개폐작동이 편리하도록 연결되고 사용이 편리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이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하부하우징의 일면상에 중첩되도록 하고 타방향으로 이동되면 하부하우징의 일면이 개방되도록 하부하우징의 일면과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결합하는 하우징결합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상부하우징, 하부하우징, 링크바, 나사홈, 체결볼트, 축공, 장홈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mobile phone}
도 1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연결핀과 장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링크바의 회전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열림상태를 나타내는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통신단말기 110 : 상부하우징 113a,b : 좌,우측리브
114a,b : 좌,우측 연결핀 115a,115b,124a,124b : 나사홈
120 : 하부하우징 122, 123 : 좌,우측 장홈 126 : 가이드홈
130 : 링크바 131 : 축공 133 : 단턱부 134 : 체결홈
135 : 곡면 140 : 체결볼트 150 : 토션스프링
160 : 스프링 170 : 록커(LOCKER) 171 : 체결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단말기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개폐작동이 편리하도록 연결되고 사용이 편리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10)는 수화부(32)와 그 하측으로 액정표시화면(31)이 일면부에 설치된 상부하우징(30)과, 각종 기능버튼(21)들과 그 하측으로 송화부(22)가 일면부에 설치된 하부하우징(20)과, 상기 상부하우징(30)과 하부하우징(20)을 상하로 중첩된 상태에서 상호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를 왕복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슬리이드모듈(미도시)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드모듈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조립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또한 단말기의 사용하기 위하여 상부하우징(30)을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부하우징(20)을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과 귀에 각각 송화부(22)와 수화부(32)를 동시에 밀접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통화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특히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개폐가능하도록 연결하되 그 구조 및 조립이 간단하고, 단말기를 개방한 상태 즉, 통화상태에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소정을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기의 통화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이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하부하우징의 일면상에 중첩되도록 하고 타방향으로 이동되면 하부하우징의 일면이 개방되도록 하부하우징의 일면과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결합하는 하우징결합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올바른 작동상태를 첨부되는 도2, 3, 4, 5, 6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연결핀과 장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링크바의 회전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일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열림상태를 나타내는 일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2, 3,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면에 액정표시화면(112)과 그 상측으로 수화부(111)가 설치된 상부하우징(110)과, 상부면에 각종 기능버튼(121)들과 그 하측으로 송화부(125)가 설치된 하부하우징(120)과, 상기 상부하우징(110)이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하부하우징(120)의 상부면상에 중첩되도록 하고 타방향으로 이동되면 하부하우징(120)의 상부면이 개방되고 하부하우징(120)의 상부면과 상부하우징(110)의 상부면 사이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을 결합하는 하우징결합장치로 대별된다.
상기 하우징결합장치는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양측면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좌/우측 리브(113a, 113b) 및 상기 좌/우측 리브(113a, 113b)의 각각의 대향면에 돌설되는 좌/우측 연결핀(114a,114b)과, 상기 좌/우측 연결핀(114a,114b)이 삽입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부하우징(12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좌/우측 장홈(122, 123)과, 상기 좌/우측 리브(113a, 113b)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여 상부하우징(110)의 양측면부에 일단이 회전결합되고 상기 좌/우측 장홈(122, 123)과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이 이격하여 하부하우징(120)의 양측면부에 타단이 회전결합되는 링크바(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좌/우측 리브(113a, 113b)는 상부하우징(110)의 양측면 하단부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좌/우측 연결핀(114a,114b)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하여 장홈(122, 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링크바(130)는 양단에 형성된 축공(131)과,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에 양측면에 형성되는 나사홈(115a, 115b),(124a,124b)과, 상기 축공(131)에 관통되는 일단의 선부가 나사홈(115a, 115b),(124a,124b)에 나합되는 체결볼트(140)에 의하여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에 회전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체결볼트(140)의 머리부는 축공(131)에 관통되지 않도록 하고, 축공(131)을 관통되는 부위는 나사홈(115a, 115b),(124a,124b)에 나합된 부위를 제외한 길이가 링크바(130)의 두께보다 약간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상부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하우징(120)의 상부면과 상부하우징(110)의 상부면 사이의 경사각"θ"은 125°~ 155°로 형성하되 이를 위하여 장홈의 길이와 링크바의 길이를 적절이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결합장치는 상부하우징(110)을 이동하여 하부하우징(120)의 일면이 개방되도록 하부하우징(120)과 링크바(130)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여 링크바(130)를 탄성복원력으로 회전작동하는 토션스프링(150)과, 하부하우징(120)의 일면상에 상부하우징(110)이 중첩된 상태에서 링크바(130)의 회전을 고정/해지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120)과 링크바(130)에 링크바작동제어스위치을 더 구비한다.
상기 토션스프링(1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링크바(130)의 하단을 하부하우징(120)에 회전결합하는 체결볼트(140)에 중간부위가 감겨지고 일단은 하부하우징(120)의 고정홈(125)에 타단은 링크바(130)의 고정홈(132)에 삽입 고정되여 있다.
그리고 링크바제어수단은 하부하우징(120)에 회전결합되는 링크바(130)의 일단에 단턱부(133)를 일체형으로 돌출하고, 상기 링크바(130)의 일단이 회전결합된 하부하우징(120)의 일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26)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126)에는 일단이 삽입되어 슬리이드이동되며 타단은 외부로 돌출되는 록커(170)와 상기 록커(170)에 단턱부(133)가 걸리도록 가이드홈(126)의 일단으로 록커(170)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60)으로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126)의 일단은 단턱부(133)에 근접되도록 형성하고, 가이드홈에서 돌출된 록커(170)의 돌출부위는 단턱부(133)를 향하여 돌출된 체결부(171) 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133)는 록커(170)의 체결부(171)가 삽입되도록 상단부에 체결홈(134)을 형성하며 체결부(171)와 대응되는 면은 곡면(135)으로 형성하여 체결부(171)와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122a,123a는 장홈(122, 123)의 상단이고, 122b, 123b는 장홈(122, 123)의 하단이며, ∂1과 ∂2는 토션스프링(150)의 양단 사이각으로 ∂1> ∂2의 관계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올바른 작동상태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같다.
도 5는 도시한 바와같이 송화부(125)와 기능버튼(121)들이 설치된 하부하우징(120)의 상면에 상부하우징(110)이 중첩된 상태이며, 상부하우징(110)에 설치된 액정표시화면(112)과 송화부(111)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그리고 링크바(130)의 하측부에 돌출된 단턱부(133)의 체결홈(134)에 스프링(160)으로 탄성지지된 록커(170)의 체결부(171)가 삽입되어 있어서, 상부하우징(110)은 하부하우징(120)의 중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상기 링크바(130)는 단턱부(133)의 체결홈(134)에 록커(170)의 체결부(171)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하부하우징(120)에 일단을 회전결합한 체결볼트(140)의 중심"P"점을 축으로 회전작동이 이루어지지않으므로, 결과적으로 상부하우징(110)은 하부하우징(120)에 중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링크바(130)와 하부하우징(120)에 양단이 고정된 토션스프링(150)은 "P"점의 체결볼트(140)를 회전축으로 그 양단의 사이각"∂2"는 도 6에 도시된 "∂1"보다 소정량 축소된 상태이다.
따라서, 토션스프링(160)(150)은 양단의 축소된 사이각에 비례하는 탄성복원력을 갖는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스프링(160)의 탄성지지력을 극복하는 외력을 록커(170)에 작용하여 가이드홈(126)을 따라 록커(170)를 "C"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록커(170)의 체결부(171)는 체결홈(134)으로 부터 이탈되며, 그와 동시에 토션스프링(150)의 양단이 사이각은 도 5의 "∂2"에서 "∂1"으로 탄성복원된다.
따라서, 링크바(130)는 "P"점을 중심으로 토션스프링(1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화살표"F"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링크바(130)의 일단이 회전결합된 상부하우징(110)은 상단과 하단이 링크바(130)와 같이 회전 및 하부하우징(120)의 좌/우측 장홈(122, 123)에 삽입된 좌/우측 리브(113a, 113b)의 연결핀(114a,114b)에 의하여 따라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된다.
이와같이 상부하우징(110)이 슬라이드이동과 회전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것은 연결핀(114a,114b)이 좌/우측 장홈(122, 123)에 슬라이드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링크바(130)의 일단이 회전결합되어 가능한 것이다.
이후, 상부하우징(110)은 연결핀(114a,114b)이 좌/우측 장홈(122, 123)의 상단(112b, 123b)에 걸리게되면서 화살표"A"방향으로 장홈(122, 123)의 길이만큼 이동된 상태에서 멈추게되며, 동시에 링크바(130)의 회전도 정지된다.
따라서, 하부하우징(120)의 상면에 설치된 송화부(125)와 기능버튼(121)들은 사용가능하게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110)은 수화부(111)와 액정표시화면(112)이 설치된 상면이 하부하우징(120)의 상면과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는 상태로 기우러져 고정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토션스프링(150)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외력으로 상부하우징(110)의 상단을 화살표 "B"방향으로 밀어주면 좌/우측 리브(113a, 113b)에 형성된 각각의 연결핀(114a,114b)은 하부하우징(120)의 좌/우측 장홈(122, 123)을 따라 화살표 " B"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되고, 동시에 링크바(130)는 하부하우징(120)에 결합된 체결볼트(140) 즉, "P"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후,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핀(114a,114b)이 좌/우측 장홈하단(122a,123a)에 걸리게되면서 화살표"B"방향으로 상부하우징(110)이 장홈(122, 123)의 길이만큼 이동된 후 멈추게된다.
그리고 링크바(130)는 화살표"C"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록커(170)의 체결부(171)에 단턱부(133)의 곡면(135)이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고 그로인하여 록커(170)는 가이드홈(126)과 스프링(160)에 의하여 직선왕복 슬라이드이동된다.
이후, 상술한 바와같이 연결핀(114a,114b)이 좌/우측 장홈의 하단(122a,123a)에 위치한 상태에서 단턱부(133)의 상단은 록커(170)의 체결부(171)와 대향되게되므로, 록커(170)의 체결부(171)는 체결홈(134)에 삽입되여 링크바(130)가 "P"점을 회전축으로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상부하우징(110)은 하부하우징(120)의 일면에 중첩된 상태로 이동됨이 없이 고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의 열림상태에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소정의 사이각을 갖게되므로 통화사용시 사용자의 입과 귀에 하부하우징의 송화부와 상부하우지의 수화부를 밀착하여 안정된 통화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단말기의 하우징연결장치에 비하여 그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간편하여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션스프링과 링크바작동제어스위치으로 링크바의 작동을 제어함에 따라 하부하우징의 개폐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부하우징;
    하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이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하부하우징의 일면상에 중첩되도록 하고 타방향으로 이동되면 하부하우징의 일면이 개방되도록 하부하우징의 일면과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결합하는 하우징결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결합장치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좌/우측 리브 및 상기 좌/우측 리브의 각각의 대향면에 돌설되는 좌/우측 연결핀과,
    상기 좌/우측 연결핀이 삽입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부하우징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좌/우측 장홈과,
    상기 좌/우측 리브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여 상부하우징의 양측면부에 일단이 회전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 장홈과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이 이격하여 하부하우징의 양측면부에 타단이 회전 결합되는 링크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의 회전 결합은,
    상기 링크바의 양단에 형성된 축공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에 양측면에 형성되는 나사홈과,
    상기 축공에 관통되는 일단의 선부가 나사홈에 나합되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결합장치는,
    상부하우징을 이동하여 하부하우징의 일면이 개방되도록 하부하우징과 링크바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여 링크바를 탄성복원력으로 회전작동하는 토션스프링과,
    하부하우징의 일면상에 상부하우징이 중첩된 상태에서 링크바의 회전을 고정/해지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과 링크바에 링크바작동제어스위치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링크바작동제어스위치는
    하부하우징에 회전결합되는 링크바의 일단에 단턱부를 일체형으로 돌출하고,
    상기 링크바의 일단이 회전결합된 하부하우징의 일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일단이 삽입되어 슬리이드이동되며 타단은 외부로 돌출되여 상기 단턱부가 걸리도록 형성된 록커와 상기 록커의 돌출된 부위가 단턱부에 걸리도록 가이드홈의 일단으로 록커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40009026A 2004-02-11 2004-02-11 이동통신단말기 KR101049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026A KR101049112B1 (ko) 2004-02-11 2004-02-11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026A KR101049112B1 (ko) 2004-02-11 2004-02-11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863A KR20050080863A (ko) 2005-08-18
KR101049112B1 true KR101049112B1 (ko) 2011-07-15

Family

ID=3726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026A KR101049112B1 (ko) 2004-02-11 2004-02-11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947B1 (ko) * 2006-03-03 2007-06-11 이근주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KR100778529B1 (ko) * 2006-03-06 2007-11-22 이근주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386A (ja) * 2000-10-30 2002-05-10 Nec Corp 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20040003257A (ko) * 2002-07-02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무선 단말기
KR20040006978A (ko) * 2002-07-16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386A (ja) * 2000-10-30 2002-05-10 Nec Corp 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20040003257A (ko) * 2002-07-02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무선 단말기
KR20040006978A (ko) * 2002-07-16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863A (ko)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69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6209173B1 (en) Hinge mechanism
JP2002276643A (ja) ヒンジモジュールを具備する携帯用無線端末機
KR200376773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 조립체
KR101049112B1 (ko) 이동통신단말기
KR100844434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600095B1 (ko) 스윙 방식 개폐장치
KR100686095B1 (ko) 힌지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25749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KR100505961B1 (ko)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057072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101019479B1 (ko) 이동통신단말기
KR100971624B1 (ko) 슬라이딩 및 틸팅구동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KR10059724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100998877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0372886Y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전장치
KR200392956Y1 (ko)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100628916B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전장치
KR100867234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스윙 장치
KR20037676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789664B1 (ko) 슬라이드 폴딩 개폐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085853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20070008202A (ko) 반자동 스윙힌지모듈
KR100242428B1 (ko) 플립형 휴대폰
KR200342936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