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522B1 -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및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및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522B1
KR101048522B1 KR1020100108203A KR20100108203A KR101048522B1 KR 101048522 B1 KR101048522 B1 KR 101048522B1 KR 1020100108203 A KR1020100108203 A KR 1020100108203A KR 20100108203 A KR20100108203 A KR 20100108203A KR 101048522 B1 KR101048522 B1 KR 10104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aint
civil
information
unit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선
Original Assignee
(주)케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웍스 filed Critical (주)케이웍스
Priority to KR1020100108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및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부터 민원요청정보를 접수하여 DB화하여 저장하고, 민원요청정보에 포함된 민원 내용정보로부터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결정하여, 결정된 민원처리 담당부서 단말로 해당 민원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시민의 자발적인 공공질서 감시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및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Monitor system for public order and mobile phone had an App for monitoring public order}
본 발명은 공공질서 감시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수된 민원을 처리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및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번잡한 도심 공간에서의 주차 위반, 버스 전용차선 위반, 각종 쓰레기 및 폐기물 불법 투기 또는 소각, 불법 광고물 부착 등 공공질서를 위해하는 행위에 대한 적발을 수동적인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공공질서를 위해하는 행위에 대한 수동적인 적발은 많은 인력과 비용이 수반되므로,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그러나, 오프라인 상에서 시민이 민원이 발생한 장소에 가서 민원 사진을 찍고, 공공기관의 민원처리 담당부서에 민원 사진을 증거로 제출하여 민원을 접수하기 까지는 매우 번거롭고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므로, 종래의 시민의 자발적인 공공질서 감시는 사실상 효과가 없었다.
최근, 스마트 폰 기술의 빠른 성장에 따라, 휴대용 사용자 단말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하고, 사진 및 동영상 촬영 및 전송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을 이용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민원 사진을 찍어 온라인상으로 민원을 요청하고, 민원 요청을 접수한 원격의 서버에서 통합적으로 민원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시민의 자발적인 공공질서 감시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부터 온라인상으로 민원을 접수하고, 원격지의 서버에서 접수된 민원을 처리함으로써 시민의 자발적인 공공질서 감시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및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이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부터 민원요청정보를 접수하여 DB화하여 저장하고, 민원요청정보에 포함된 민원 내용정보로부터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결정하여, 결정된 민원처리 담당부서 단말로 해당 민원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부터 온라인상으로 민원을 접수하고, 원격지의 서버p)에서 접수된 민원을 처리함으로써 시민의 자발적인 공공질서 감시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오프라인상으로 공공질서 감시를 할 경우에 필요한 과다한 인력 및 비용 소모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민원인이 휴대용 사용자 단말을 이용해 최소한의 정보 입력만으로 민원을 온라인을 통해 자동으로 접수할 수 있어 민원 요청이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접수된 민원 요청을 처리할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민원요청정보로부터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어, 민원처리 담당부서 입장에서는 민원 접수를 수작업으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은 민원처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에 민원 요청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앱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에 민원 요청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앱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의 민원 처리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되고, 인터넷망을 통해서는 민원처리 담당부서 단말(300)과 연동된다.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은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민원요청정보를 접수하여 DB화하여 저장하고, 민원요청정보에 포함된 민원 내용정보로부터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결정하여, 결정된 민원처리 담당부서 단말(300)로 해당 민원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여 민원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민의 자발적인 공공질서 감시 활동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은 민원 접수부(110)와, 담당부서 결정부(120)와, 민원처리 요청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민원 접수부(110)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민원인 인적정보, 민원 영상정보, 민원 내용정보 및 민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민원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접수하고, 접수된 민원요청정보를 DB화하여 저장한다.
이 때, 민원인 인적정보는 민원인 성명,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민원 영상정보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며, 정지영상 또는 연속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한편, 민원 내용정보는 6하원칙에 따라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왜(Why), 어떻게(How) 했는지 민원인이 민원 발생 내용을 기록한 정보이다. 민원 위치정보는 민원인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GPS 기능을 이용해 획득될 수 있다.
주차 위반, 버스 전용차선 위반, 각종 쓰레기 및 폐기물 불법 투기 또는 소각, 불법 광고물 부착 등 공공질서를 위해하는 행위가 발생한 장소에서 민원인은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을 조작하여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민원 영상을 찍고, 민원 내용을 입력한다.
그러면,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어플리케이션이 민원인 인적정보, 민원 영상정보, 민원 내용정보 및 민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민원요청정보를 생성하고, 민원요청정보를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민원요청정보 생성과 관련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면,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은 민원 접수부(110)를 통해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민원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접수하고, 접수된 민원요청정보를 DB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담당부서 결정부(120)는 상기 민원 접수부(110)에 의해 수신된 민원요청정보에 포함된 민원 내용정보로부터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결정한다. 이 때, 상기 담당부서 결정부(120)가 민원처리 담당부서 결정시 민원처리 담당부서가 속한 지방자치단체 등의 민원처리기관을 더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민원 내용정보는 6하원칙에 따라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왜(Why), 어떻게(How) 했는지 상세하게 민원 발생 내용을 기록하고 있으므로, 이로부터 담당부서 결정부(120)가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담당부서 결정부(120)가 민원 내용정보내의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왜(Why), 어떻게(How)와 관련한 필드들을 분석해 민원종류를 판단하고, 민원 위치정보를 분석해 상기 판단된 민원종류에 해당하는 민원을 처리하는 민원처리 담당부서 중 민원이 발생한 위치와 가장 근접한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민원을 처리할 민원처리 담당부서로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서 민원 내용정보에 포함되는 무엇을(What)에 해당하는 부분을 주차 위반, 버스 전용차선 위반, 각종 쓰레기 및 폐기물 불법 투기 또는 소각, 불법 광고물 부착 등과 같이 정형화된 선택항목으로 구현했다면, 상기 담당부서 결정부(120)가 정형화된 선택항목으로부터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만약, 주차 위반 선택항목이 선택되었다면 담당부서 결정부(120)가 민원처리 담당부서로 주차단속과를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만약, 버스 전용차선 위반 선택항목이 선택되었다면 담당부서 결정부(120)가 민원처리 담당부서로 도로교통과를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만약, 각종 쓰레기 및 폐기물 불법 투기 또는 소각, 불법 광고물 부착 선택항목이 선택되었다면 담당부서 결정부(120)가 민원처리 담당부서로 청소행정과를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민원처리 요청부(130)는 상기 담당부서 결정부(120)에 의해 결정된 민원처리 담당부서 단말(300)로 해당 민원에 대한 처리를 요청한다. 그러면, 민원에 대한 처리 요청을 수신한 민원처리 담당부서의 담당자가 민원요청정보를 확인하고,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요청된 민원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민원 처리와 관련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이 실시예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은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부터 온라인상으로 민원을 접수하고, 원격지에서 접수된 민원을 처리함으로써 시민의 자발적인 공공질서 감시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프라인상으로 공공질서 감시를 할 경우에 필요한 과다한 인력 및 비용 소모를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민원인이 휴대용 사용자 단말을 이용해 최소한의 정보 입력만으로 민원을 온라인을 통해 자동으로 접수할 수 있어 민원 요청이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온라인 접수된 민원 요청을 처리할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민원요청정보로부터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어, 민원처리 담당부서 입장에서는 민원 접수를 수작업으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이 민원처리 수행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민원처리 수행부(140)는 민원에 대한 처리 요청을 수신한 민원처리 담당부서 단말(300)로 상기 저장된 민원요청정보와 동기되는 민원처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민원처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민원처리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민원요청정보에 대응하는 민원에 대한 민원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민원처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 도 3 은 민원처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민원처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인적정보 표시부(141)와, 민원 영상정보 표시부(142)와, 민원 내용정보 표시부(143)와, 민원 위치정보 표시부(144)와, 민원처리정보 입력부(145)를 포함한다.
상기 인적정보 표시부(141)는 민원인 인적정보를 표시한다. 이 때, 민원인 인적정보는 민원인 성명,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입력되어 저장되고,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민원요청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이다.
상기 민원 영상정보 표시부(142)는 민원 영상정보를 표시한다. 이 때, 민원 영상정보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며,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민원요청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이다.
상기 민원 내용정보 표시부(143)는 민원 내용정보를 표시한다. 이 때, 민원 내용정보는 6하원칙에 따라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왜(Why), 어떻게(How) 했는지 민원인이 민원 발생 내용을 기록한 정보로,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민원요청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이다.
상기 민원 위치정보 표시부(144)는 민원 위치정보를 표시한다. 이 때, 민원 위치정보는 민원인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GPS 기능을 이용해 획득될 수 있는 정보로,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민원요청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이다.
상기 민원처리정보 입력부(145)는 민원 처리일 정보, 민원 처리내용 정보, 민원대상 인적정보를 포함하는 민원처리정보를 입력받는다. 이 때, 민원처리정보는 민원처리 담당부서 담당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로, 민원처리 담당부서 담당자가 민원 요청된 민원이 정당한지 즉, 민원대상이 공공질서를 위반했는지 여부를 판독하여 민원 처리일, 민원 처리 내용 및 민원대상 인적정보를 입력한 정보이다.
따라서, 민원처리 담당부서 담당자는 민원처리 담당부서 단말(300)을 통해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민원처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민원요청정보를 보면서, 요청된 민원에 대한 처리를 온라인을 통해 수행할 수 있어 합리적이고 편리하게 민원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민원처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민원 위치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민원위치 시각화부(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민원위치 시각화부(146)가 민원 위치를 지리정보시스템(GIS)에 의해 구축되는 지도정보상에 표시하거나, 위성 영상 또는 항공 영상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민원 위치정보는 민원인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GPS 기능을 이용해 획득될 수 있는 정보로,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민원요청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이 민원대상 인적정보 검색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민원대상 인적정보 검색부(150)는 상기 민원처리정보 입력부(145)에 의해 입력되는 민원대상 인적정보를 행정 연동망(도면 도시 생략)으로부터 검색한다.
공공기관의 인적정보 관리 시스템에는 민원대상의 인적정보가 등록되어 DB화 되었으므로,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은 행정 연동망을 통해 민원대상의 인적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에 민원처리 담당부서 단말(300)을 통해 접속한 민원처리 담당부서 담당자가 민원대상 인적정보 검색부(150)를 통해 상기 민원처리정보 입력부(145)에 의해 입력되는 민원대상 인적정보에 대응하는 민원대상을 행정 연동망(도면 도시 생략)으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민원처리 담당부서 담당자가 민원대상을 확인해야하는 절차를 자동화할 수 있어, 민원처리 담당부서 담당자가 합리적이고 편리하게 민원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이 민원처리 통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민원처리 통보부(160)는 상기 민원처리 수행부(140)에 의해 입력된 민원처리정보를 민원인과 민원대상에게 통보한다.
이 때, 민원처리 통보부(160)가 민원처리정보를 민원인과 민원대상의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 미디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e-메일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민원처리 통보부(160)에 의해 통보되는 민원처리정보를 민원인과 민원대상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민원인이 요청한 민원 처리 수행 결과를 민원인과 민원대상이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이 지도 연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도 연동부(170)는 상기 민원처리 수행부(140)에 의해 처리된 민원에 대한 민원처리정보를 지도정보상에 표시하여 제공한다.
즉, 이 실시예는 지도 연동부(170)를 통해 지리정보시스템(GIS)에 의해 구축되는 지도정보상에 민원처리 수행부(140)에 의해 처리된 민원에 대한 민원처리정보를 표시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민원대상자의 이의신청에 대비하여 공공질서 위반 현황을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민원대상자를 포함하는 사용자들은 지도정보상에 표시되는 민원처리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지역별 공공질서 위반 현황이나 빈도 등의 정보를 시각을 통해 편리하게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이 포상 수행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상 수행부(180)는 상기 민원처리 수행부(140)에 의해 처리된 민원과 관련한 포상을 해당 민원을 요청한 민원인에게 제공한다.
시민의 자발적인 공공질서 감시 참여를 위해 포상금 제도를 시행할 수 있다. 예컨대, 민원인이 요청한 민원이 처리된 경우,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이 포상 수행부(180)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상품 구매 또는 서비스 구매에 이용할 수 있는 포인트나 쿠폰, 현금이나 경품 등을 해당 민원인에게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함에 의해 시민의 자발적인 공공질서 감시 참여 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이 과태료 처리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태료 처리부(190)는 상기 민원처리 수행부(140)에 의해 입력된 민원처리정보에 따라, 민원대상에게 과태료를 부과한다.
공공질서를 위반할 경우 법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되는데, 민원처리 담당부서의 담당자가 상기 민원처리 수행부(140)를 통해 민원 처리 결과 민원대상이 공공질서를 위반한 경우,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의 과태료 처리부(190)를 통해 과태료 고지서를 생성하고, 이를 해당 민원대상에게 발부함으로써 공공질서 위반의 발생 또는 반복을 억제할 수 있고, 과태료 징수에 의한 세수입 확보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이 정보 제공부(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192)는 민원을 요청한 민원인의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로 민원요청정보 또는 민원처리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제공한다.
즉, 이 실시예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에 접속한 민원인의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로 민원요청정보 또는 민원처리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민원요청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요청된 민원에 대한 처리가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거나 또는 수행되었는지 등에 대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에 민원 요청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되는 앱(App) 구성을 알아본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에 민원 요청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앱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은 인적정보 설정부(210)와, 영상정보 획득부(220)와, 민원 내용 입력부(230)와, 위치정보 획득부(240)와, 민원요청정보 생성부(250)와, 민원 요청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인적정보 설정부(210)는 민원인 인적정보를 설정받아 저장한다. 상기 민원인 인적정보는 민원인 성명,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을 조작하여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App)을 실행하고, 민원인 인적정보 설정 모드에 진입하면, 인적정보 설정부(210)는 민원인 인적정보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민원인 인적정보를 입력하여 설정한다.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22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민원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주차 위반, 버스 전용차선 위반, 각종 쓰레기 및 폐기물 불법 투기 또는 소각, 불법 광고물 부착 등 공공질서를 위해하는 행위가 발생한 장소에서 민원인이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을 조작하여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실행하고, 민원 영상 촬영 설정 모드에 진입하면,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영상정보 획득부(220)에 의해 카메라에 의해 촬여되는 민원 영상정보가 획득된다.
상기 민원 내용 입력부(230)는 민원 내용정보를 입력받는다.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이 민원 내용정보 입력 모드에 진입하면, 민원인은 민원 내용 입력부(230)를 통해 6하원칙에 따라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왜(Why), 어떻게(How) 했는지 민원 내용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240)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 위치정보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민원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이 민원 위치정보 획득 모드에 진입하면, 위치정보 획득부(240)가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GPS 기능을 이용해 휴대용 사용자 단말 위치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휴대용 사용자 단말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민원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민원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만약, 휴대용 사용자 단말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없으면, 민원인이 직접 민원 위치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민원 위치정보가 행정구역상의 주소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민원요청정보 생성부(250)는 상기 인적정보 설정부(210)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된 민원인 인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220)에 의해 획득된 민원 영상정보와, 상기 민원 내용 입력부(230)에 의해 입력된 민원 내용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240)에 의해 획득된 민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민원요청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민원 요청부(260)는 상기 민원요청정보 생성부(260)에 의해 생성된 민원요청정보를 무선 송신한다. 그러면,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이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민원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접수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민원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에 민원 요청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앱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는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결정하여 결정된 민원처리 담당부서로 민원 요청하는 구성을 원격의 서버상에 구현하지 않고,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앱(App)에 구현하여 직접 민원처리 담당부서로 민원 요청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은 인적정보 설정부(510)와, 영상정보 획득부(520)와, 민원 내용 입력부(530)와, 위치정보 획득부(540)와, 민원요청정보 생성부(550)와, 담당부서 결정부(560)와, 민원 요청부(570)를 포함한다.
상기 인적정보 설정부(510)는 민원인 인적정보를 설정받아 저장한다. 상기 민원인 인적정보는 민원인 성명,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을 조작하여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App)을 실행하고, 민원인 인적정보 설정 모드에 진입하면, 인적정보 설정부(510)는 민원인 인적정보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민원인 인적정보를 입력하여 설정한다.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52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민원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주차 위반, 버스 전용차선 위반, 각종 쓰레기 및 폐기물 불법 투기 또는 소각, 불법 광고물 부착 등 공공질서를 위해하는 행위가 발생한 장소에서 민원인이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을 조작하여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실행하고, 민원 영상 촬영 설정 모드에 진입하면,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영상정보 획득부(520)에 의해 카메라에 의해 촬여되는 민원 영상정보가 획득된다.
상기 민원 내용 입력부(530)는 민원 내용정보를 입력받는다.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이 민원 내용정보 입력 모드에 진입하면, 민원인은 민원 내용 입력부(530)를 통해 6하원칙에 따라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왜(Why), 어떻게(How) 했는지 민원 내용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540)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 위치정보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민원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이 민원 위치정보 획득 모드에 진입하면, 위치정보 획득부(540)가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GPS 기능을 이용해 휴대용 사용자 단말 위치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휴대용 사용자 단말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민원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민원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만약, 휴대용 사용자 단말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없으면, 민원인이 직접 민원 위치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민원 위치정보가 행정구역상의 주소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민원요청정보 생성부(550)는 상기 인적정보 설정부(510)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된 민원인 인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520)에 의해 획득된 민원 영상정보와, 상기 민원 내용 입력부(530)에 의해 입력된 민원 내용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540)에 의해 획득된 민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민원요청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담당부서 결정부(560)는 상기 민원요청정보 생성부(550)에 의해 생성된 민원요청정보에 포함된 민원 내용정보로부터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결정한다. 이 때, 상기 담당부서 결정부(560)가 민원처리 담당부서 결정시 민원처리 담당부서가 속한 지방자치단체 등의 민원처리기관을 더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민원 내용정보는 6하원칙에 따라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왜(Why), 어떻게(How) 했는지 상세하게 민원 발생 내용을 기록하고 있으므로, 이로부터 담당부서 결정부(560)가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담당부서 결정부(560)가 민원 내용정보내의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왜(Why), 어떻게(How)와 관련한 필드들을 분석해 민원종류를 판단하고, 민원 위치정보를 분석해 상기 판단된 민원종류에 해당하는 민원을 처리하는 민원처리 담당부서 중 민원이 발생한 위치와 가장 근접한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민원을 처리할 민원처리 담당부서로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서 민원 내용정보에 포함되는 무엇을(What)에 해당하는 부분을 주차 위반, 버스 전용차선 위반, 각종 쓰레기 및 폐기물 불법 투기 또는 소각, 불법 광고물 부착 등과 같이 정형화된 선택항목으로 구현했다면, 상기 담당부서 결정부(560)가 정형화된 선택항목으로부터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만약, 주차 위반 선택항목이 선택되었다면 담당부서 결정부(560)가 민원처리 담당부서로 주차단속과를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만약, 버스 전용차선 위반 선택항목이 선택되었다면 담당부서 결정부(560)가 민원처리 담당부서로 도로교통과를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만약, 각종 쓰레기 및 폐기물 불법 투기 또는 소각, 불법 광고물 부착 선택항목이 선택되었다면 담당부서 결정부(560)가 민원처리 담당부서로 청소행정과를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민원 요청부(570)는 상기 담당부서 결정부(560)에 의해 결정된 민원처리 담당부서 단말로 해당 민원에 대한 처리를 요청한다. 그러면, 민원에 대한 처리 요청을 수신한 민원처리 담당부서의 담당자가 민원요청정보를 확인하고, 요청된 민원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결정하여 결정된 민원처리 담당부서로 민원 요청하는 구성을 원격의 서버상에 구현하지 않고,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앱(App)에 구현하여 원격의 서버를 거치지 않고 직접 민원처리 담당부서로 민원 요청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의 민원 처리 동작을 도 6 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알아본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의 민원 처리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어플리케이션이 민원인 인적정보, 민원 영상정보, 민원 내용정보 및 민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민원요청정보를 생성하고, 민원요청정보를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면, 민원 접수단계(S110)에서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이 한다.
이 때, 민원인 인적정보는 민원인 성명,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민원 영상정보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민원 내용정보는 6하원칙에 따라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왜(Why), 어떻게(How) 했는지 민원인이 민원 발생 내용을 기록한 정보이다. 민원 위치정보는 민원인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휴대용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GPS 기능을 이용해 획득될 수 있다.
그 다음, 담당부서 결정단계(S120)에서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이 상기 민원 접수단계(S110)에 의해 수신된 민원요청정보에 포함된 민원 내용정보로부터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결정한다. 민원처리 담당부서 결정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민원처리 요청단계(S130)에서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이 상기 담당부서 결정단계(S120)에 의해 결정된 민원처리 담당부서 단말(300)로 해당 민원에 대한 처리를 요청한다. 그러면, 민원에 대한 처리 요청을 수신한 민원처리 담당부서의 담당자가 민원요청정보를 확인하고,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요청된 민원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은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부터 온라인상으로 민원을 접수하고, 원격지에서 접수된 민원을 처리함으로써 시민의 자발적인 공공질서 감시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프라인상으로 공공질서 감시를 할 경우에 필요한 과다한 인력 및 비용 소모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민원인이 휴대용 사용자 단말을 이용해 최소한의 정보 입력만으로 민원을 온라인을 통해 자동으로 접수할 수 있어 민원 요청의 간편성 및 즉시성 등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접수된 민원 요청을 처리할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민원요청정보로부터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어, 민원처리 담당부서 입장에서는 민원 접수를 수작업으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공공질서 감시, 도로, 교량 등 공공 시설물 관리, 환경 감시, 산림 보호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110 : 민원 접수부
120, 560 : 담당부서 결정부 130 : 민원처리 요청부
140 : 민원처리 수행부 141 : 인적정보 표시부
142 : 민원 영상정보 표시부 143 : 민원 내용정보 표시부
144 : 민원 위치정보 표시부 145 : 민원처리정보 입력부
146 : 민원위치 시각화부 150 : 민원대상 인적정보 검색부
160 : 민원처리 통보부 170 : 지도 연동부
180 : 포상 수행부 190 : 과태료 처리부
192 : 정보 제공부 200 : 휴대용 사용자 단말
210, 510 : 인적정보 설정부 220, 520 : 영상정보 획득부
230, 530 : 민원 내용 입력부 240, 540 : 위치정보 획득부
250, 550 : 민원요청정보 생성부 260, 570 : 민원 요청부
300 : 민원처리 담당부서 단말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민원인 인적정보를 설정받아 저장하는 인적정보 설정부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민원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정보 획득부와;
    민원 내용정보를 입력받는 민원 내용 입력부와;
    휴대용 사용자 단말 위치정보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민원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와;
    상기 인적정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된 민원인 인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민원 영상정보와, 상기 민원 내용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민원 내용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민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민원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민원요청정보 생성부와;
    상기 민원요청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민원요청정보에 포함된 민원 내용정보를 분석해 민원종류를 판단하고, 민원 위치정보를 분석해 상기 판단된 민원종류에 해당하는 민원을 처리하는 민원처리 담당부서 중 민원이 발생한 위치와 가장 근접한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민원을 처리할 민원처리 담당부서로 결정하는 담당부서 결정부와;
    상기 담당부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민원처리 담당부서 단말로 상기 민원요청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민원요청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민원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는 민원 요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
  4.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부터 민원인 인적정보, 민원 영상정보, 민원 내용정보 및 민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민원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접수하고, 접수된 민원요청정보를 DB화하여 저장하는 민원 접수부와;
    상기 민원 접수부에 의해 수신된 민원요청정보에 포함된 민원 내용정보를 분석해 민원종류를 판단하고, 민원 위치정보를 분석해 상기 판단된 민원종류에 해당하는 민원을 처리하는 민원처리 담당부서 중 민원이 발생한 위치와 가장 근접한 민원처리 담당부서를 민원을 처리할 민원처리 담당부서로 결정하는 담당부서 결정부와;
    상기 담당부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민원처리 담당부서 단말로 해당 민원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는 민원처리 요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이:
    민원에 대한 처리 요청을 수신한 민원처리 담당부서 단말로 상기 저장된 민원요청정보와 동기되는 민원처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민원처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민원처리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민원요청정보에 대응하는 민원에 대한 민원 처리를 수행하는 민원처리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민원처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민원인 인적정보를 표시하는 인적정보 표시부와;
    민원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민원 영상정보 표시부와;
    민원 내용정보를 표시하는 민원 내용정보 표시부와;
    민원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민원 위치정보 표시부와;
    민원 처리일 정보, 민원 처리내용 정보, 민원대상 인적정보를 포함하는 민원처리정보를 입력받는 민원처리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민원처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민원 위치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민원위치 시각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이:
    상기 민원처리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민원대상 인적정보를 행정 연동망으로부터 검색하는 민원대상 인적정보 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9. 삭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이:
    상기 민원처리 수행부에 의해 입력된 민원처리정보를 민원인과 민원대상에게 통보하는 민원처리 통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이:
    상기 민원처리 수행부에 의해 처리된 민원에 대한 민원처리정보를 지도정보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지도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이:
    상기 민원처리 수행부에 의해 처리된 민원과 관련한 포상을 해당 민원을 요청한 민원인에게 제공하는 포상 수행부와;
    상기 민원처리 수행부에 의해 입력된 민원처리정보에 따라, 민원대상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과태료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이:
    민원을 요청한 민원인의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 민원요청정보 또는 민원처리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KR1020100108203A 2010-11-02 2010-11-02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및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 KR101048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203A KR101048522B1 (ko) 2010-11-02 2010-11-02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및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203A KR101048522B1 (ko) 2010-11-02 2010-11-02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및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8522B1 true KR101048522B1 (ko) 2011-07-12

Family

ID=4492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203A KR101048522B1 (ko) 2010-11-02 2010-11-02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및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5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238A (ko) 2018-12-19 2020-06-29 (주)엔유비즈 커뮤니티 기반의 주민참여형 지역문제 발굴 및 공유시스템
KR20200099671A (ko) * 2019-02-15 2020-08-25 (주)새움소프트 아파트 민원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34870B1 (ko) * 2020-09-03 2021-04-01 (주) 에스알포스트 음성 및 영상 기반의 모바일 간편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940A (ko) * 2004-08-23 2006-02-28 현제훈 모바일 화상 신고 관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060098524A (ko) * 2005-03-03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민원 고발 대행 시스템 및 그동작 방법
KR100986622B1 (ko) * 2010-03-11 2010-10-08 주식회사 지노시스템 Lbs 기반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고 민원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940A (ko) * 2004-08-23 2006-02-28 현제훈 모바일 화상 신고 관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060098524A (ko) * 2005-03-03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민원 고발 대행 시스템 및 그동작 방법
KR100986622B1 (ko) * 2010-03-11 2010-10-08 주식회사 지노시스템 Lbs 기반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고 민원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238A (ko) 2018-12-19 2020-06-29 (주)엔유비즈 커뮤니티 기반의 주민참여형 지역문제 발굴 및 공유시스템
KR20200099671A (ko) * 2019-02-15 2020-08-25 (주)새움소프트 아파트 민원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16647B1 (ko) * 2019-02-15 2021-02-17 (주)새움소프트 아파트 민원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34870B1 (ko) * 2020-09-03 2021-04-01 (주) 에스알포스트 음성 및 영상 기반의 모바일 간편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583B1 (ko)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Aubry et al. CrowdOut: A mobile crowdsourcing service for road safety in digital cities
CN106056517A (zh) 一种智慧城市管理系统
US20190228429A1 (en) Safety index for the calculation of a rating based on user generated reports or actions and rewards system therefor
JP2007122341A (ja) リアルタイム情報配信システムとその情報配信方法、リアルタイム情報配信プログラムとその記録媒体
CN105813019A (zh) 一种基于wifi热点设备的定位管理方法
CN105427141A (zh) 一种户外广告媒介管理监控系统
KR101048522B1 (ko)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및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
KR20150000039A (ko) 차량용 블랙박스 정보 공유 시스템
CN106934466B (zh) 一种交通基础设施状态信息采集方法
US11586859B2 (en) Object information collection, classification and analytics via a smart grabber tool
CN114819965B (zh) 区块链虚拟货币监测系统
CN113470349A (zh) 一种城市垃圾清运车管理系统
JP2010186245A (ja) 情報配信システム、通信装置、管理サーバ、情報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88482B1 (ko) 차량의 통행정보 연계 시스템 및 그 연계 방법
CN206991545U (zh) 一种智能违法停车处罚系统
JPWO2021225085A5 (ko)
CN109389754A (zh) 基于物联网信息传播技术的散装咖啡自动售卖系统及方法
Sun et al. An agent-based architecture for participatory sensing platform
CN106096801A (zh)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管理系统
KR101423569B1 (ko)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노출 정보 수집 및 분석 시스템
CN115630814A (zh) 城市管理方法、装置、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CN109325743A (zh) 劳动力供需双方建立雇佣关系的方法及其系统
KR20100013029A (ko) 지역 인프라를 이용한 가시적 기상정보 시스템 및 정보제공 방법
CN112766055A (zh) 摊位管理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