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099B1 - 고강도, 고탄성율을 가지는 유리 장섬유 조성물과 이를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체 - Google Patents

고강도, 고탄성율을 가지는 유리 장섬유 조성물과 이를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099B1
KR101048099B1 KR1020040117794A KR20040117794A KR101048099B1 KR 101048099 B1 KR101048099 B1 KR 101048099B1 KR 1020040117794 A KR1020040117794 A KR 1020040117794A KR 20040117794 A KR20040117794 A KR 20040117794A KR 101048099 B1 KR101048099 B1 KR 101048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lass
glass fiber
composition
fib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823A (ko
Inventor
김진열
이준상
이재욱
김경환
김형성
박현일
박종열
서승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040117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099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3/00Fibre or filament compositions
    • C03C13/006Glass-ceramic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78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e.g. an oxide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도, 고탄성율을 가지는 유리 장섬유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성분으로 망목형성 산화물인 SiO2, 중간산화물인 Al2O3, BeO 및 수식산화물인 MgO, ZnO가 일정 성분비로 함유되어, 종래에 비해 낮은 융점 및 점도를 가지며, 균질하고 우수한 마블(Marble)의 제조가 가능하며, 고강도, 고탄성율 등의 물성을 가지는 유리 섬유 조성물과, 상기 유리 섬유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강도, 고탄성율 등의 우수한 물성이 요구되는 군수 등의 여러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ZnO, BeO, 유리 섬유 조성물, 복합체

Description

고강도, 고탄성율을 가지는 유리 장섬유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체{Composition of Glass Filament Constitution for high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and Composite using th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12의 MgO+ZnO의 함량 변화에 따른 유리 섬유 조성물의 재결정화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12의 Al2O3의 함량 변화에 따른 유리 섬유 조성물의 인장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고강도, 고탄성율을 가지는 유리 장섬유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성분으로 망목형성 산화물인 SiO2, 중간산화물인 Al2O3, BeO 및 수식산화물인 MgO, ZnO가 일정 성분비로 함유되어, 종래에 비해 낮은 융점 및 점도를 가지며, 균질하고 우수한 마블(Marble)의 제 조가 가능하며, 고강도, 고탄성율 등의 물성을 가지는 유리 섬유 조성물과, 상기 유리 섬유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강도, 고탄성율 등의 우수한 물성이 요구되는 군수 등의 여러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섬유는 그 형상에 따라 장섬유(Glass fiber, Filament)와 단섬유로 분류된다. 장섬유는 용융된 유리를 고속으로 인출하여 권취(Winding)한 실의 형태이며, 단섬유는 용융된 유리를 원심력법 또는 화염법으로 날려 섬유상으로 제조한 것이다. 이들은 낮은 열전도율과 가늘고 긴 형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특성으로 보온, 보냉, 단열, 방음, 흡음 및 필터 등의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며, 또한, 내열온도에 따라 크게 유리면, 암면 및 세라믹 섬유로 분류하고 있다.
장섬유는 조성에 따라 "E-", "S-", "Cemfil-", "AR-" Glass 등으로 분류되어 제조된다. "E-glass"는 무알칼리 유리(Glass)라 칭하고 있으며, 알칼리 함유량이 0.8% 이하이고, 전기적 특성 및 내풍화성이 우수하여 주로 건축 기자재 및 전기 절연용 등의 보강재에 쓰이고 있다. "S-Glass"는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한 반면 제조 원가가 높아 항공기, 엔진 및 군수품 등의 특수한 영역에서만 소요되고 있다. "Cemfil-"와 "AR-Glass"는 알칼리에 대한 저항이 우수하여 시멘트의 보강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섬유의 제조방법은 직접 용융(Direct Melting)법과 재 용융(Remelting, Marble Melting)법의 두 가지가 있다. 직접 용융법은 대규모의 공장에서 적용하는 것으로, 정밀한 배합에 의해 균질한 원료를 주로 탱크로에서 용융하고 용융된 유리를 청징하여 적당한 작업온도를 맞추어 방사로에 부착된 부싱에서 노즐을 통해 방사하는 방법으로, 제조 원가가 저렴한 반면 품종 변환이나 조업 정지가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재 용융법은 일차적으로 원료를 용융하여 일정직경의 마블(Marble)을 제조한 후 이것을 재 용융하여 방사하는 방법으로,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고 조업의 재개가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 대량 생산에 불리하고 제조 원가가 고가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S-glass를 사용하여 고강도, 고탄성율 등의 특성을 가지는 복합체(Composite)에 관한 것은 여러 문헌에서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S-glass의 대략적인 조성을 살펴보면, SiO2 65 중량%, Al2O3 25 중량%, MgO 10 중량% 그리고 불순물로 R2O, TiO2, Fe2O3 등이 1 중량% 미만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으며, 출발 원료에서 투입되거나 용융조제로서 첨가 사용된다. 그러나, 언급된 조성은 용융 온도가 높아 스멜터(Smelter)에 의해 일차 용융하여 유리 섬유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청징 및 균질한 상태의 유리를 얻기 힘들뿐만 아니라, 섬유화 온도인 Log 2.5 점도 온도가 1500 ℃ 이상으로 매우 높아 부싱(bushing)내 온도 편차가 커지게 되어 균질한 지름의 유리 섬유를 제조하기 힘들고 부싱의 수명도 상당히 단축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낮은 용융 온도 및 섬유화 온도를 가질 수 있는 조성의 보강용 유리섬유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공지 기술은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가 소개되고 있다.
미국특허 제 5,569,629호에서 개시된 유리섬유는 SiO2-Al2O3-MgO-TiO 2-ZrO2계 조성으로 1260 ℃의 고온에서 안정한 장섬유를 특징으로 하고, 직접용융(Direct melting) 방법으로 제조되며, 고 인장강도, 고탄성율 및 작은 열팽창계수를 가진다. 그러나, "S-Glass"에 비해 비교적 섬유경이 크고 인장강도는 낮은 특성을 보인다.
미국특허 제 4,582,748호에서 개시된 유리 섬유는 SiO2-Al2O3-B2 O3-MgO계 조성으로 작은 열팽창계수, 고탄성율 및 낮은 유전 상수를 가져 전기 합판의 보강재로 적합한 조성인데 반해, 고강도를 요구하는 다양한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아 그 사용이 제한된다.
종합해보면, 고강도, 고탄성율을 가지는 보강재용 유리섬유로서 종래 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이 가능하여 전기 통전에 의한 용융 방식의 전기로인 스멜터(Smelter)를 이용한 용융에서도 청징 상태가 우수하여 균질도가 향상된 마블(Marble)을 제조할 수 있고, 이를 재 용융한 후, 부싱(bushing)의 노즐을 통해 고속의 인출로 권취되는 장섬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며, 또한 이의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고탄성율의 복합체의 제조가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로를 이용한 용융이 가능하여 균질도가 향상된 마블의 제조가 가능하고, 물성이 향상된 유리섬유를 제조하고자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종래의 유리 섬유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중 SiO2, Al2O3, MgO, ZnO 및 BeO를 일정 성분비로 함유하면, 낮은 온도에서도 용융이 가능하고, 강도 및 탄성율 등의 물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낮은 온도에서 용융이 가능하고, 고강도 및 고탄성율을 갖는 유리 섬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리 섬유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복합체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SiO2 55 ∼ 70 중량%, Al2O3 15 ∼ 30 중량%, MgO 5 ∼ 15중량%, ZnO 1 ∼ 10 중량%, BeO 0.1 ∼ 2 중량%가 함유되어 이루어진 유리 섬유 조성물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리 섬유 조성물 15 ∼ 85 중량%와 결합제 조성물 15 ∼ 85 중량%가 함유되어 이루어진 복합체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 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이 가능하여 균질도가 향상된 마블(Marble)의 제조가 가능하고, 재용융에 의해 연속적인 제조가 가능한 유리 섬유 조성물과 결합제 조성물을 일정 성분비로 함유한 고강도, 고탄성율의 복합체(Composit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복합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여러 문헌에서 공지된 유리섬유 조성물은 망목 형성 산화물인 SiO2, 중간산화물인 Al2O3, 수식산화물인 MgO을 주 구성요소로 하고 있으며, 여기에 여러 가지 금속의 산화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SiO2, Al2O3, MgO 등의 주 구성요소에 용융온도를 낮추는 역할과 함께 원자 반경이 큰 아연(Zn)이 유리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만드는 특성을 가지는 수식산화물인 ZnO을 특정량 함유하여, 종래의 용융온도에 비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용융성을 가지며, 또한 재 용융 후에도 부싱(bushing)의 노즐을 통한 고속의 인출에 의해 권취가 가능하다. 또한, 매우 뛰어난 전장강도를 가진 BeO를 포함하여 유리 섬유의 인장강도 및 탄성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유리 섬유 조성물은 SiO2 55 ∼ 70 중량%, Al2O3 15 ∼ 30 중량%, MgO 5 ∼ 15중량%, ZnO 1 ∼ 10 중량% 및 BeO 0.1 ∼ 2 중량%의 일정 함량범위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망목 형성 산화물인 SiO2의 사용량이 55 중량% 미만이면 상대적으로 Al2O3, MgO 및 ZnO 등이 증가되어 원재료비가 상승하고, 수식 산화물의 증가로 인한 섬유의 기계적인 물성이 저하 및 재결정화 온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으며, 사용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용융이 어렵고, 고온에서의 점도가 크게 나타나 청징 상태가 좋지 못해 유리 내 기포 잔존량이 매우 커 섬유화 시에 연속적인 섬유(Strand)의 제조에 문제가 있다.
상기 중간 산화물인 Al2O3의 사용량이 15 중량% 미만이면 유리 섬유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기계적인 물성의 발현이 어렵게 되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용융 온도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수식 산화물인 MgO의 사용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유리의 점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어 백금 재질의 부싱에 의한 재용융에 문제가 발생되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기계적인 물성의 저하뿐만 아니라 재결정화 온도의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수식 산화물이고, 용융 온도를 낮추면서 원자 반경이 큰 Zn에 의해 유리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ZnO의 사용량이 1 중량% 미만이면 그 양이 너무 미미하여 효과 발현에 다소 문제의 소지가 있으며, 사용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수식 산화물의 함량 증가로 인한 기계적인 물성의 저하뿐만 아니라 원재료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장강도 및 탄성율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장강도가 크고, 중간 산화물 형태인 BeO를 0.1 ∼ 2 중량% 범위로 소량 포함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상기 BeO는 비교적 고가 원료로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간산화물인 Al2O3 + BeO 의 총량이 16 ∼ 30 중량%인 것이 더 욱 바람직한 바, Al2O3 + BeO의 총량이 16 중량% 미만이면,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효과적으로 발현되지 않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용융 온도가 비교적 높게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식산화물인 MgO + ZnO 의 총량이 11 중량 % 이상인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기로는 11 ∼ 25 중량%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MgO + ZnO 의 총량이 1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섬유 화 온도가 높게 형성이 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25 중량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상한치를 벗어나므로 상기에서 지적한 문제점이 발현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섬유 조성물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스멜터를 이용하여 마블을 제조하고, 이를 부싱에서 재용융하여 고속인출에 의해 유리 섬유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유리 섬유는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범위에서 용융되어 청징상태가 균일한 마블(Marble)을 제조할 수 있고, 재용융에 의해 연속적인 섬유(Strand)의 제조가 가능하며, 평균 지름이 9 ∼ 25 ㎛ 정도로 균일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유리 섬유 조성물을 사용하고, 결합제 조성물과 일정 성분비로 함유한 복합체(Composite)에도 기술구성상의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 복합체는 유리 섬유 조성물 15 ∼ 85 중량%와 결합제 수지조성물 15 ∼ 85 중량%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유리 섬유 조성물이 15 중량% 미만이면 강도향상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8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결합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적절한 점도와 유동성을 가져 유리 섬유를 적실 수 있는 함침 성능을 가져야 하므로 액상 물질이 적합하다. 통상적으로 결합제 조성물은 수지, 경화제, 촉진제에 기타 첨가제로 난연제, 난연보조제 및 반응성 희석제, 소포제, 습윤제 등의 첨가제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결합제 조성물은 (A) 에폭시 당량이 100 ∼ 400 g/eg인 액상의 비스페놀에이형 에폭시 수지 35 ∼ 65 중량%; (B) 무수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타르산(MHHPA)과 무수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타르산(MTHPA) 이성질체 혼합물의 분자량이 100 ∼ 200인 경화제 35 ∼ 65 중량%; (C) 벤질디메틸아민(BDMA) 경화촉진제 0.1 ∼ 1.0 중량% 를 기본 조성물로 하여 필요에 따라 (D) 에폭시 당량이 300 ∼ 500이고, 브롬 함량이 40 ∼ 51 중량%인 브롬화 난연 에폭시 수지; 및 (E) 난연 보조제로 고체분말 평균입도가 0.3 ∼ 5 ㎛인 삼산화안티몬이 함유되어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각 성분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액상물질의 것으로, 에폭시 당량이 100 ∼ 400 g/eg인 비스페놀에이형 에폭시 수지를 35 ∼ 65 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에폭시 당량이 100 g/eg 미만이면 강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400 g/eg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점도로 인한 함침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며, 수지 사용량이 35 중량% 미만이면 수지량이 적어 함침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6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 는 수지량이 많아 강도저하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할 때 적합한 함침성과 강도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화제로는 산무수물을 사용하는데 에폭시수지(poxy Resins)와 무수기와의 반응은 염기성 촉매(3급 아민류)와 100 ℃ 이상의 경화 온도가 필요하다. 상기 산무수물은 구체적으로 무수프타르산(Phthalic anhydride), 무수말레인산(Maleic anhydride), 무수나딕산(Nadic anhydride), 무수테트라하이드로프타르산(THPA), 무수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타르산(MTHPA), 무수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타르산 이성질체 혼합물,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타르산(MHHPA)등의 산무수물 경화제를 사용 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무수메틸-헥사하이드로프타르산(MHHPA)과 무수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타르산(MTHPA) 이성질체 혼합물이고, 분자량 100 ∼ 200인 경화제를 35 ∼ 65 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경화제 사용량이 35 중량% 미만이면 경화시간이 길어져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6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도저하 및 가사시간에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경우에 적절한 가사시간과 경화성을 얻을 수 있다.
촉진제는 상기 에폭시 수지(Epoxy Resins)과 경화제의 반응 속도를 증가시켜 좀 더 낮은 온도에서 경화를 수행하며 경화 속도를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아민, 디시아노디아미드, 머캅탄, 무수물 등의 경화제와 함께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벤질디메틸아민(Benzyl dimethylamine, BDMA), 이미다졸(Imidazoles), 살리실산(Salicylic acid), 페놀(Phenol), 2,4,6-트리[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DMP-30), 피리딘(Pyridine), K-61B, 루이스산(Lewis-Acid), 루이스 염기(Lewis-Base) 등이 있 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진제의 사용량은 가사시간 및 경화성을 고려하여 가사시간은 유지하면서 경화는 속경화가 되도록 적정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기로는 벤질디메틸아민(BDMA)을 0.2 ∼ 1.0 중량%를 사용하며, 사용량이 0.2 중량% 미만이면 경화촉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시간이 단축되어 적절한 작업시간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난연제와 난연보조제로는 당 분야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만일 난연성능을 요구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난연제와 난연보조제로 각각 브롬화에폭시 수지와 삼산화안티몬을 사용한다. 상기 브롬화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300 ∼ 500이며 브롬 함량이 40 ∼ 51 중량%인 수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에폭시 당량이 300 미만이면 저점도화로 강도저하의 우려가 있고 5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점도화로 함침성 문제가 있다. 난연보조제인 삼산화안티몬은 평균입도가 0.3 ∼ 5 ㎛인 고체분말로서, 브롬의 난연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 난연보조제로 사용한다.
상기한 결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체는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성형법을 이용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각종 성형품의 보강재로 사용되는 바, 성형법으로는 예를 들면 핸드 레이업(Hand lay-up)성형, 스프레이업(Spray-up)성형, 필라멘트 와인딩(Filament winding)성형 등과 같은 FRP 성형법, 압축성형, 수지전달몰딩(Resin transfer molding) 성형 및 수지주입몰딩(Resin injection molding) 성형 등의 매치드다이(Matched die)성형 , 진공성형, 오토클레이브 성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섬유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 12 및 비교예 1 ∼ 11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성분과 함량을 사용하여, 스멜터(Smelter)에서 일차적으로 마블(Glass Marble)을 제조하고, 이를 백금 부싱에서 재용융하여 와인더(Winder)를 이용한 고속 인출에 의해 유리 섬유를 제조하였다.
구 분
(중량%)
SiO2 Al2O3 MgO CaO ZnO B2O3 BeO 불순물 비고




1 55.5 24.6 11.1 8.0 0.3 0.5
2 56.8 19.0 12.8 9.2 1.8 0.4
3 58.5 29.1 6.0 5.5 0.4 0.5
4 58.5 28.6 5.9 5.1 1.3 0.6
5 60.1 22.8 8.9 6.7 0.8 0.7
6 63.4 22.9 9.6 3.2 0.5 0.4
7 64.3 22.1 9.3 3.1 0.7 0.5
8 65.4 17.8 10.0 5.8 0.6 0.4
9 67.2 16.6 5.4 9.7 0.7 0.4
10 68.7 15.4 6.9 8.2 0.4 0.4
11 68.1 16.1 6.8 8.0 0.4 0.6
12 69.2 15.1 12.3 2.1 0.9 0.4




1 52.9 21.2 13.6 11.9 0.4
2 57.3 20.7 9.3 12.3 0.4
3 59.4 14.9 16.9 8.3 0.5
4 62.9 31.4 2.9 2.2 0.6
5 66.6 25.1 2.2 5.4 0.2 0.5
6 68.1 13.9 10.3 6.9 0.3 0.5
7 72.6 13.1 8.7 4.8 0.3 0.5
8 53.7 13.6 4.4 17.5 10.0 0.8 E1
9 55.2 14.8 3.3 18.7 7.3 0.7 E2
10 64.5 25.0 10.0 0.5 S1
11 66.7 23.3 9.4 0.6 S2
E1 및 E2 : E-glass
S1 및 S2 : S-glass
실험예 1 : 마블(Glass Marble)
상기 실시예 1 ∼ 12 및 비교예 1 ∼ 11에서 제조된 마블(Marble) 내 존재하는 기포의 크기 분포와 섬유화 온도 및 재결정화 온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1. 마블 내 기포 크기 분포 측정 :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마블 내 존재하는 기포의 크기와 개수를 측정한 후 평균 크기 및 표준편차, 단위 부피당 존재하는 기포의 개수를 측정해 봄으로써 균질한 마블(Clear Glass Marble)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2. 섬유화 온도 측정 : 고온 점도계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를 관찰하였고, 섬유 인출에 적합한 온도인 Log 2.5 점도 온도를 비교해 보았다.
3. 재결정화 온도: Marble을 적절한 크기로 분쇄, 30 mg 샘플링한 후 DTA 열분석기를 이용하여 10 ℃/min의 속도로 1500 ℃까지 승온하여 결정화 온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구 분 기포 섬유화온도
(℃)
재결정화온도(℃) △T
크기
(㎛)
표준편차 개수 (ea/cc)


1 34.1 9.1 14 1466 1378 88
2 31.8 8.5 12 1443 1362 81
3 30.6 8.9 9 1469 1358 111
4 29.7 7.9 10 1462 1360 102
5 32.4 9.3 11 1477 1371 106
6 33.6 10.2 11 1480 1363 117
7 31.4 8.4 9 1459 1361 98
8 29.9 7.3 10 1456 1373 83
9 33.0 10.6 9 1472 1359 113
10 37.5 10.7 11 1447 1348 99
11 35.5 9.9 10 1429 1345 81
12 36.4 11.5 14 1462 1353 109


1 32.7 9.3 6 1449 1394 55
2 29.3 8.2 6 1451 1390 61
3 30.9 8.1 5 1438 1385 53
4 13.1 3.8 64 - - -
5 11.6 4.2 98 - - -
6 32.6 8.3 13 1448 1384 64
7 13.7 4.7 152 - - -
8 32.7 9.3 6 1219 1073 146
9 34.1 9.1 14 1239 1082 157
10 13.8 5.8 125 - - -
11 - - - 1545 1470 75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과 함량으로 제조된 마블의 기포 크기와 수는 융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교예 8 ∼ 9의 E-glass 조성에 비교해 볼 때 전반적으로 유사한 정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비교예 10 의 S-glass 조성의 경우 작은 기포가 다량 존재하므로 스멜터의 용융 조건으로의 용융은 곤란함을 알 수 있었다.
유리 액상 내 존재하는 기포의 상승 속도는 Stokes의 법칙에 의해 수학식 1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4063089712-pat00001
이때, V는 기포의 부상속도(㎝/sec), r은 기포의 반경(㎝), g는 중력 가속도(㎝/sec2), d 및 d’는 용융 유리 및 기포 중의 가스의 밀도(g/㎤), η는 용융 유리의 점도(poise, g/㎝·sec)를 의미한다. 점도가 큰 조건에서는 기포의 부상속도가 느리게 진행되고, 이동도 또한 낮아 기포의 병합에 의한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
비교예 1, 2 및 3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MgO 및 ZnO 의 함량이 커지면 섬유화 온도와 재결정화 온도의 차가 줄어듦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도 1은 MgO + ZnO 의 함량에 따른 섬유화 온도와 재결정화 온도의 차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12는 비교예 8 과 9의 E-glass 조성인 E1의 146 ℃, E2의 157 ℃에 비해 섬유화 온도와 재결정화 온도의 차가 적지만, 비교예 11 의 S-glass 제품인 S2의 75 ℃에 비해서는 그 차이가 커 유리 섬유 제조시 마블 부싱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재결정화의 위험은 줄어들어 제조 조건이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 12 의 섬유화 온도는 비교예 11 과 같은 기존의 S-glass 제품의 1500 ℃ 이상의 섬유화 온도와 비교하여 볼 때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섬유 제조시 용이하며 에너지 비용면에서도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gO + ZnO 의 함량이 큰 경우 △T가 급격하게 감소함을 볼 수 있었지만, 실시예 1, 2 및 5에서 보여지듯이 Al2O3 + BeO의 함량이 큰 경우에는 △T가 80 ℃ 이상을 유지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리섬유 조성물을 마블부싱(Marble Bushing)에서 용융한 후, 고속 인출에 의해 섬유화 시험을 행하였고, 만능 시험기(UTM)를 이용하여 유리 섬유의 인장 강도와 탄성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인장강도(Mpa) 탄성(Gpa)
실시예 1 4688 89.7
2 4561 88.7
3 4796 85.6
4 4875 86.1
5 4709 91.1
6 4733 93.7
7 4804 91.3
8 4638 90.8
9 4610 88.6
10 4577 90.1
11 4660 88.4
12 4587 89.9
비교예 1 3755 82.3
2 3856 80.7
3 3937 84.4
6 4254 74.8
8 2591 58.6
9 2638 62.3
11 4604 93.7
상기 표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비교예 8 과 비교예 9에 비해 인장강도는 크게 향상되었으며, 비교예 11과는 동등이상의 특성을 보였다. 비교예 1, 2, 3 및 6의 경우는 수식 산화물의 함량이 커 상대적으로 낮은 물성 값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음 도 2는 Al2O3의 함량에 대한 유리섬유의 인장강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Al2O3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으로 배합된 원료를 스멜터에서 용융하였을 때 청징상태 및 균질도가 우수한 마블을 제조할 수 있고, 섬유화 온도와 재결정화 온도의 차(△T)가 커 재용융에 안정적이다. 마블을 마블 부싱에서 와인드 컬렛(Winder Cullet)의 회전에 의한 고속 인출로 섬유화하여 제조된 유리 섬유는 S-glass 섬유 제품과 동등 또는 향상된 인장 강도 및 탄성율을 보여 고강도가 요구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엔진 및 군수품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복합체 제조
실시예 13 ∼ 16 및 비교예 12 ∼ 14
다음 표 4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직조된 유리섬유 조성물을 결합제 조성물에 함침하여 40 ∼ 80 ℃에서 1시간 이내에 제조한 후, 110 ℃에서 1시간 경화, 120 ℃에서 1시간 경화하여 실시예 13 ∼ 16 및 비교예 12 ∼ 14의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경화시간은 복합체의 두께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구 분 (중량%)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결합제 조성물 수지 비스페놀에이형 에폭시 수지 55.4 45.4 40.4 40.4 55.4 40.4 40.4
경화제 44.0 38.0 35.0 35.0 44.0 35.0 35.0
촉진제 0.6 0.6 0.6 0.6 0.6 0.6 0.6
난연제 브롬화에폭시 수지 - 11.0 18.0 18.0 - 18.0 18.0
삼산화 안티몬 - 5.0 6.0 6.0 - 6.0 6.0
유리 섬유 조성물 실시예 1
(75)
실시예 1
(75)
실시예 1
(75)
실시예 1
(65.6)
E-glass
(66.2)
E-glass
(66.2)
S2-glass
(65.2)
유리섬유 : woven roving(평직), 800 g/㎡
브롬화에폭시 수지 : 국도화학의 YDB-400, YDB-400H 제품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13 ∼ 16 및 비교예 12 ∼ 14에서 제조된 복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난연시험은 5개 1개조로 시험편 총 10회 불꽃을 댄 후 연소시간 합계이며, V-0급은 50초 이내이다.
구 분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고
인장강도 (Mpa) 667 681 640 558 478 412 529 ASTM D 638
인장탄성율 (Mpa) 76,880 79,958 75,152 65,988 51,909 42,621 64,796 ASTM D 638
난연성 (초)
V-0 급
가연 38 15 38 가연 45 40 UL-94 수직법
KS M 3015 B 법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 1의 유리 섬유 조성물을 사용한 복합체가 비교예 12 ∼ 14에 비해 인장강도, 인장탄성율 및 난연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난연성능을 부여한 실시예 16 의 경우 강도의 유지와 함께 우수한 강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유리 섬유는 전기 통전 방식에 의한 용융 거동을 보이는 스멜터(Smelter)에서의 용융에서도 균질한 마블(Clear Marble)을 제조 가능하고, 섬유화 온도와 재결정화 온도의 차이가 커 섬유화 시에 재결정화가 발생될 가능성이 적으며, 또한 마블(marble)을 부싱(Bushing)에서 재 용융하여 노즐에서 고속 인출에 의해 섬유화한 유리 섬유와 이로부터 제조되는 복합체(Composite)는 S-glass와 동등 이상의 인장 강도 및 탄성율을 가져 고강도, 고탄성율이 요구되는 군수 또는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SiO2 55 ∼ 70 중량%, Al2O3 15 ∼ 30 중량%, MgO 5 ∼ 15중량%, ZnO 1 ∼ 10 중량%, BeO 0.1 ∼ 2 중량%가 함유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l2O3 + BeO 는 16 ∼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gO + ZnO 는 11 ∼ 25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리 섬유 조성물 15 ∼ 85 중량%와 결합제 조성물 15 ∼ 85 중량%가 함유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 조성물은
    (A) 에폭시 당량이 100 ∼ 400 g/eg인 액상의 비스페놀에이형 에폭시 수지 35 ∼ 65 중량%
    (B) 무수프타르산(Phthalic anhydride), 무수말레인산(Maleic anhydride), 무수나딕산(Nadic anhydride), 무수테트라하이드로프타르산(THPA), 무수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타르산(MTHPA), 무수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타르산 이성질체 혼합물, 및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타르산(MHHP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경화제 35 ∼ 65 중량%
    (C) 벤질디메틸아민(Benzyl dimethylamine, BDMA), 이미다졸(Imidazoles), 살리실산(Salicylic acid), 페놀(Phenol), 2,4,6-트리[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DMP-30), 피리딘(Pyridine), K-61B, 루이스산(Lewis-Acid) 및 루이스 염기(Lewis-Bas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경화촉진제 0.1 ∼ 1.0 중량% 가 함유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무수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타르산(MHHPA)과 무수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타르산(MTHPA) 이성질체의 혼합물이고, 혼합된 분자량이 100 ∼ 20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KR1020040117794A 2004-12-31 2004-12-31 고강도, 고탄성율을 가지는 유리 장섬유 조성물과 이를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체 KR101048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794A KR101048099B1 (ko) 2004-12-31 2004-12-31 고강도, 고탄성율을 가지는 유리 장섬유 조성물과 이를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794A KR101048099B1 (ko) 2004-12-31 2004-12-31 고강도, 고탄성율을 가지는 유리 장섬유 조성물과 이를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823A KR20060077823A (ko) 2006-07-05
KR101048099B1 true KR101048099B1 (ko) 2011-07-11

Family

ID=3716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794A KR101048099B1 (ko) 2004-12-31 2004-12-31 고강도, 고탄성율을 가지는 유리 장섬유 조성물과 이를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921B1 (ko) * 2018-10-22 2020-08-06 대영코어텍(주) 내구성 벨트전동장치가 구비된 캠구동방식의 자동공구교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6283A (ja) 1998-09-08 2000-03-28 Ohara Inc 発光性ガラス
US20040048729A1 (en) 2000-07-21 2004-03-11 Marco Bitossi Glass-ceramics, process for the their preparation and use
US20040127342A1 (en) 2002-12-27 2004-07-01 China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rp. Glass composition of a substrate for display
KR20040105598A (ko) * 2003-06-06 2004-12-16 카알-차이스-스티프퉁 트레이딩 에즈 쇼옷트 그라스 가시 광선에 대한 감소된 흡수성을 가지는 유브이-방출흡수성 유리 및 그 유리를 만드는 방법 및 사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6283A (ja) 1998-09-08 2000-03-28 Ohara Inc 発光性ガラス
US20040048729A1 (en) 2000-07-21 2004-03-11 Marco Bitossi Glass-ceramics, process for the their preparation and use
US20040127342A1 (en) 2002-12-27 2004-07-01 China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rp. Glass composition of a substrate for display
KR20040105598A (ko) * 2003-06-06 2004-12-16 카알-차이스-스티프퉁 트레이딩 에즈 쇼옷트 그라스 가시 광선에 대한 감소된 흡수성을 가지는 유브이-방출흡수성 유리 및 그 유리를 만드는 방법 및 사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823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3454B2 (en) High strength glass composition and fibers
US1040734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glass fibers in a direct melt operation and products formed therefrom
KR101758938B1 (ko) 향상된 모듈러스의 리튬프리 유리
EP2655276B1 (en) High strength glass composition and fibers
US10562810B2 (en) Low dielectric glass composition, fibers, and article
US8563450B2 (en) Composition for high performance glass high performance glass fibers and articles therefrom
CN108947261B (zh) 制备高强度、轻质玻璃纤维的组合物及其用途
US11306021B2 (en) High performance fiberglass composition with improved elastic modulus
WO2014062715A1 (en) High modulus glass fibers
US11524918B2 (en) High performance fiberglass composition with improved specific modulus
US8586491B2 (en) Composition for high performance glass, high performance glass fibers and articles therefrom
KR102668384B1 (ko) 고성능 섬유유리 조성물
JP2014519459A5 (ko)
EP2630094B1 (en) Glass composition for producing high strength and high modulus fibers
EP2588424A2 (en) Glass composition for producing high strength and high modulus fibers
KR101048099B1 (ko) 고강도, 고탄성율을 가지는 유리 장섬유 조성물과 이를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체
WO2021256217A1 (ja) ガラス繊維用組成物
KR20220123429A (ko) 높은 모듈러스를 위한 섬유 유리 조성물
KR20040080828A (ko) 고강도, 고탄성율을 가지는 유리 장섬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