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078B1 - 다기능 테이블 - Google Patents

다기능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078B1
KR101048078B1 KR1020100114797A KR20100114797A KR101048078B1 KR 101048078 B1 KR101048078 B1 KR 101048078B1 KR 1020100114797 A KR1020100114797 A KR 1020100114797A KR 20100114797 A KR20100114797 A KR 20100114797A KR 101048078 B1 KR101048078 B1 KR 101048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late
installation hole
guide rai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최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호 filed Critical 최정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3/00Children's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테이블 상판에 설치구멍을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시키고 설치구멍에 유아용 의자와 같은 유아용 기구를 설치함에 따라 유아와 보호자가 테이블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자가 테이블 상에서 육아와 개인 업무를 동시에 병행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설치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주, 상기 설치구멍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개폐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테이블{MULTI FUNCTIONAL TABLE}
본 발명은 유아용 의자나 침대 등의 설치가 가능한 다기능 테이블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인 식탁이나 책상과 같은 테이블은 단지 식사나 사무기능 등의 고유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육아과정에서 보호자는 항시 유아의 시야 내에 위치해야 하므로 보호자 혼자 식탁에 앉아 식사를 하거나 책상에서 사무를 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물론 유아용 의자나 의자 형태의 유아용 식탁이 제안되어 있기는 하지만, 모두 보호자가 식탁이나 책상을 사용할 때 유아용 의자나 유아용 식탁은 바닥에 위치하게 되므로, 유아와 보호자가 테이블을 함께 사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충분한 육아의 정서안정 효과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결국 보호자는 식탁이나 테이블을 사용하지 못하고 바닥에 앉아 식사를 하거나 사무를 볼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테이블에 육아용 기구의 설치가 가능한 구조를 형성시킴에 따라 보호자와 유아가 테이블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자가 테이블을 이용해 육아 및 개인 용무를 동시에 병행 할 수 있는 다기능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설치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주,
상기 설치구멍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개폐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구멍의 테두리에는 안착턱이 형성되어 있고 유아용 기구가 상기 설치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턱에 걸쳐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의 내부에는 상기 설치구멍과 연결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구멍의 테두리와 상기 개폐판의 테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판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구멍의 테두리와 상기 개폐판의 테두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개폐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인출구간, 일단부가 상기 인출구간과 연결된 상태에서 위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상승구간, 일단부가 상기 상승구간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인출구간과 수평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안착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구간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개폐판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안착홈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구멍의 테두리와 상기 개폐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설치구멍 테두리와 상기 개폐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자석 및 상기 설치구멍 테두리와 상기 개폐판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설치구멍에 유아용 의자나 유아용 침대 등의 유아용 기구를 삽입시킬 수 있으므로 보호자와 유아가 함께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보호자는 육아와 개인 업무를 동시에 병행 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개폐판이 슬라이드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작동이 개폐과정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고정부재를 통해 개폐판의 원치않는 개폐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1은 개폐판이 수용공간 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개폐판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 및 도4는 유아용 기구가 설치구멍을 통해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유아용 기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 내지 도9는 개폐판의 개폐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10은 개폐판과 상판에 자석 및 자성체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11은 자성체가 가이드레일의 안착구간 단부에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도12는 안착구간 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도13은 개폐판이 탈부착되는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다기능 테이블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판(110)과 지주(120) 및 개폐판(112)을 포함한다.
먼저 상판(110)은 테이블의 실제 기능, 즉 식탁용 테이블일 경우 음식이 놓여지고 사무용 책상일 경우 서류가 놓여지는 부분으로, 판재형태이며 모양은 도면과 같은 단순 사각으로 제작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원형이나 기타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지주(120)는 테이블의 다리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막대 형태이고 지면상에 세워진 상태에서 상단부가 상판 하부면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지주(120)와 상판간 연결부위에 힌지 구조를 적용하여 지주를 접이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테이블의 기본구조에서 상판(110)에 설치구멍(130)이 추가적으로 더 형성된다.
설치구멍(130)은 유아용 의자나 침대와 같은 유아용 기구를 테이블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판(110)의 일측을 절개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때 설치구멍(130)의 테두리 하단에는 유아용 기구가 안착될 안착턱(132)이 형성되며, 설치구멍(130)의 테두리 내측면 중 어느 한 쪽 면에는 후술하는 개폐판(112)의 수납을 위한 수용공간(110a)이 형성되어 있다.(도8 및 도9참조)
이때 수용공간(110a)의 일단부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됨에 따라 개폐판(112)이 수용공간(110a)의 입구를 통해 인입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설치구멍(130)의 테두리 중 수용공간(110a)의 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는 두 면에는 가이드레일(134)이 형성된다.
가이드레일(134)은 후술하는 개폐판(112)의 개폐과정에서 개폐판(112)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용공간(110a)의 내측면으로부터 설치구멍(130)의 양측 테두리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34)은 구간 별로 이동구간(134a)과 방향전환구간(134b) 및 안착구간(134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이동구간(134a)은 개폐판(112)의 인입 및 인출기능을 하는 메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수용공간(110a)의 양 테두리면으로부터 설치구멍(130)의 양측 테두리면을 따라 일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방향전환구간(134b)은 인출된 개폐판(112)을 들어올려 개폐판(112)의 상면위치를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과 일치시키기 위한 이동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설치구멍(130) 테두리 상에 형성된 이동구간(134a)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뻗어 나간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방향전환구간(134b)의 길이는 개폐판(112)의 상승 시 개폐판(112)의 상면이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과 일치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구간(134c)은 방향전환구간(134b)을 통해 상승된 개폐판(112)이 하강하지 못하고 상승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방향전환구간(134b)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 즉 이동구간(134a)과 수평상태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가이드레일(134)까지 형성된 테이블 상판(110)에는 개폐판(112)이 설치된다.
개폐판(112)은 테이블에 유아용 기구를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설치구멍(130)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6]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단순 판재 형태이고 일단부에는 손잡이(112a)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판(110)의 수용공간(110a)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개폐판(112)의 양측 테두리면에는 바퀴 형태의 삽입부재(112b)가 구비되어 양 가이드레일(134)의 이동구간(134a)에 삽입된다.
따라서 개폐판(112)은 삽입부재(112b)와 가이드레일(134)의 연결구조에 의해, 인출 또는 인입과정에서 가이드레일(134)의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삽입부재(112b)는 바퀴구조 외에 단순 돌기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도 10]처럼 개폐판(112)중 인출되었을 때 개폐판의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더 설치된다.
고정부재는 개폐판 중 수용공간(110a) 입구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 자석(A) 및 상판(110) 중 수용공간(110a) 입구 주변에 형성되는 자성체(B)를 포함한다.
따라서 개폐판(112)이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자석(A)과 자성체(B)간 부착에 의해, 결국 개폐판의 단부가 수용공간 입구 상에 부착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참고로 자성체(B)와 자석(A)의 위치는 상호 반대가 될 수 있으며, 자성체(B)는 자석(A)과 반대극의 자석 형태 또는 단순 금속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는 자석과 자성체의 구조 외에도 별도 클램프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유아용 기구는 유아용 의자인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아용 침대 등 다양한 종류가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유아용 기구를 테이블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도 2] 및 [도 6]의 상태에서 개폐판(112)을 이동시켜 상판(110)의 수용공간(110a)내에 수납시킴에 따라, 상판(110) 중 개폐판(112)이 제거된 부분에는 설치구멍(130)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유아용 의자(200)를 삽입구멍에 넣은 상태에서, 유아용 의자 테두리(201)가 설치구멍(130)의 안착턱(132) 상에 걸쳐지도록 설치시킨다. 이때 유아용 의자 안착턱(132)에 걸쳐짐과 동시에 식판(230)의 상면과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이 동일하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유아를 유아용 의자(200)의 좌석시트(210)에 앉힌 뒤 보호자가 반대쪽에 앉을 경우, 유아와 보호자가 마주본 상태로 테이블을 함께 사용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때 좌석시트(210)에 등받이(220)를 구비시켜 유아가 최대한 편안하게 앉아 있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보호자가 식사를 하거나 사무를 보더라도 항시 유아의 시야 내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육아 및 개인일상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보호자의 식사 또는 사무가 완료되면 유아와 함께 유아용 의자(200)를 설치구멍(130)으로부터 빼내 분리 시킨 후, [도 2]와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개폐판(112)을 수용공간(110a)으로부터 인출시켜 설치구멍(130)을 폐쇄 시킨다.
이 때 개폐판(112)은 삽입부재(112b)를 통해 가이드레일(134)에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인출과정에서 가이드레일(134)을 따라 안정적으로 인출된다.
인출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6]과 같이 개폐판(112)은 최초 인출 시 가이드레일(134) 중 이동구간(134a)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수용공간(110a)으로부터 인출된다.
그 뒤 개폐판(112)이 수용공간(110a)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면 [도 7]처럼 삽입부재(112b)가 방향전환구간(134b) 형성지점에 위치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개폐판(112)을 위로 들어올리면 삽입부재(112b)가 방향전환구간(134b) 방향을 따라 이동하므로 개폐판(112)은 가이드레일(134)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승된다.
그 후 삽입부재(112b)가 방향전환구간(134b)의 상단부에 위치되면 개폐판(112)과 테이블 상판(110) 간의 높이가 동일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개폐판(112)을 뒤로 밀면 개폐판(112)과 삽입부재(112b)가 안착구간(134c)을 따라 이동하여 개폐판(112)의 자석(A)과 상판(110)의 자성체(B)가 상호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도 2]와 같이 개폐판(112)에 의해 설치구멍(130)이 완전히 막힌 상태가 되고, 가이드레일(134)의 방향전환구간(134b)과 안착구간(134c)에 의해 개폐판(112)의 상면과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 간 높이차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개폐판(112)은 자석(A)과 자성체(B)간 자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렇게 개폐판(112)이 설치구멍(130)을 차단한 상태에서는 기본 테이블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그 중 자석(A) 및 자성체(B)의 설치지점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일예로 자성체(B)를 수용공간(110a) 내측벽에 설치하여 설치구멍(130)이 개방된 상태에서 개폐판(112)이 수용공간(110a)으로부터 불필요하게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1]과 같이 자성체(B)를 안착구간(134c)의 단부에 형성시킴에 따라 개폐판(112)이 안착구간(134c)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2]와 같이 안착구간(134c)의 단부에 걸림홈(134d)을 형성시킴에 따라 개폐판(112)이 설치구멍(130)을 완전히 폐쇄 하는 순간 삽입부재(112b)가 걸림홈(134d)에 걸리도록 함으로서 개폐판(112)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개폐판(112)이 설치구조도 변형될 수 있는데, [도 13]과 같이 가이드레일(134) 및 수용공간(110a)을 형성시키지 않고 개폐판(112)을 상판(1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구조로 변형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개폐판(112)은 설치구멍(130)의 안착턱(132) 상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분리 상태에서는 테이블 주변에 별도 보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블에 사용되는 유아용 기구는 테이블과 한 세트로 제작 판매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아용 기구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유아용 의자나 유아용 침대 등이 될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바퀴(240)를 구비시켜 테이블과 분리시킨 상태에서 보행기와 같은 용도로도 병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아용 기구는 침대나 의자 외에도 설치구멍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아가 탑승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얼마든지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만약 유아용 기구가 설치구멍에 항시 설치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설치구멍의 개폐가 불필요하므로, 개폐판은 생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 상판 110a : 수용공간
112 : 개폐판 112a : 손잡이
112b : 삽입부재 120 : 지주
130 : 설치구멍
132 : 안착턱 134 : 가이드레일
134a : 이동구간 134b : 방향전환구간
134c : 안착구간 200 : 유아용 기구
201 : 테두리 210 : 좌석시트
220 : 등받이 230 : 식판
240 : 바퀴 A : 자석
B :자성체 134d : 걸림홈

Claims (8)

  1. 설치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
    상기 상판에 연결되어 있고, 지면 상에 세워져 있는 지주, 그리고
    상기 설치구멍에 설치되는 개폐판
    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에는 상기 개폐판의 테두리와 연결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형성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형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설치구멍을 개폐하는
    다기능 테이블.
  2. 제1항에서,
    상기 개폐판이 개폐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구멍에 설치될 수 있는 유아용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치구멍의 테두리에는 안착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턱에 상기 유아용 기구의 테두리가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는
    다기능 테이블.
  3. 제2항에서,
    상기 유아용 기구는 유아가 탑승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다기능 테이블.
  4. 제1항에서,
    상기 상판의 내부에는 상기 설치구멍과 연결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다기능 테이블.
  5. 제1항에서,
    상기 개폐판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테이블.
  6.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개폐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이동구간,
    일단부가 상기 이동구간과 연결된 상태에서 위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방향전환구간,
    일단부가 상기 방향전환구간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구간과 수평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안착구간
    을 포함하는 다기능 테이블.
  7. 제6항에서,
    상기 설치구멍의 테두리와 상기 개폐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테이블.
  8. 제7항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설치구멍 테두리와 상기 개폐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자석 및
    상기 설치구멍 테두리와 상기 개폐판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다기능 테이블.
KR1020100114797A 2010-09-02 2010-11-18 다기능 테이블 KR101048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9214 2010-09-02
KR2020100009214 2010-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8078B1 true KR101048078B1 (ko) 2011-07-08

Family

ID=4492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797A KR101048078B1 (ko) 2010-09-02 2010-11-18 다기능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0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895B1 (ko) * 2013-05-03 2014-12-10 (주)나비북스 유아 놀이용 스마트 테이블
KR20190043348A (ko) 2017-10-18 2019-04-26 주식회사 채움플러스교육 조립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603Y1 (ko) 2001-01-08 2001-06-15 서경원 컴퓨터용 책상
JP2001309823A (ja) * 2000-02-24 2001-11-06 Kobayashi Hisayo 幼児着席用の空間部を有するテーブル
KR20070075450A (ko) * 2006-01-13 2007-07-24 정찬영 책상
KR20080029985A (ko) * 2008-02-13 2008-04-03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다기능 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823A (ja) * 2000-02-24 2001-11-06 Kobayashi Hisayo 幼児着席用の空間部を有するテーブル
KR200228603Y1 (ko) 2001-01-08 2001-06-15 서경원 컴퓨터용 책상
KR20070075450A (ko) * 2006-01-13 2007-07-24 정찬영 책상
KR20080029985A (ko) * 2008-02-13 2008-04-03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다기능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895B1 (ko) * 2013-05-03 2014-12-10 (주)나비북스 유아 놀이용 스마트 테이블
KR20190043348A (ko) 2017-10-18 2019-04-26 주식회사 채움플러스교육 조립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0939B2 (en) Depth-adjustable bassinet
KR200484018Y1 (ko) 안전성 및 견고함을 구비한 다단 서랍장
EP3207831A1 (en) Baby crib
EP2868235B1 (en) Changing carrier for a play yard
JP2016517713A (ja) 動作不自由者用の風呂椅子
KR101048078B1 (ko) 다기능 테이블
KR101744613B1 (ko) 비데 기능이 있는 유아 용품
KR101834160B1 (ko) 다기능 주방가구
JP4017622B2 (ja) テーブルセット
KR101200827B1 (ko) 승강 테이블 장치
KR200480283Y1 (ko) 여행용 캐리어
CN205338146U (zh) 一种方便存取茶叶的茶几
KR200473931Y1 (ko) 캠핑용 멀티 박스
KR200494197Y1 (ko) 이동식 평상
CN212878125U (zh) 一种多功能行李箱
GB2331698A (en) Child's cot
KR101271109B1 (ko) 발판이 구비된 싱크대 문 구조
JP6888824B2 (ja) 伸縮式ソファベッド
JP2012152257A (ja) 可搬便器
KR101543746B1 (ko) 의자 결합식 테이블
US2570712A (en) Tray fence
KR200471826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코너 선반
JP6888825B2 (ja) 伸縮式ソファベッド
KR101032416B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책상
KR101077019B1 (ko) 책상 기능을 구비한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