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534B1 - 무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534B1
KR101047534B1 KR1020090071250A KR20090071250A KR101047534B1 KR 101047534 B1 KR101047534 B1 KR 101047534B1 KR 1020090071250 A KR1020090071250 A KR 1020090071250A KR 20090071250 A KR20090071250 A KR 20090071250A KR 101047534 B1 KR101047534 B1 KR 10104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rticle
rfid
providing server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672A (ko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102009007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5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B5/7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04B5/4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무선 태그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무선 태그가 부착되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 또는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접속 코드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무선 태그가 부착되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구비하며, 통신부는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참조하여 정보 제공 서버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태그의 패킷에 포함된 서버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서버로부터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물품의 상세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RFID 태그, RFID 패킷, 접속 정보, 접속 코드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RFID 태그에 대응하는 서버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서버로부터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 특정 부류에만 국한된 인터넷이 웹의 구현을 통해 널리 퍼지게 되면서, 디지털 산업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와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는 컨텐츠는 21세기 디지털 산업의 척도가 되고 있다. 여기에 인터넷 망의 초고속화,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을 통해 컨텐츠의 멀티미디어화가 이루어지면서, 이제 멀티미디어는 선택이 아닌 필수 사항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한편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정보 통신의 개념은 유비쿼터스(Ubiquitous)라는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유비쿼터스는 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는 의미의 라틴어로서,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 통신 환경을 의미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단초가 되는 핵심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로서, 도 1은 종래의 RFID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RFID 시스템은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11), 판독 및 해독 기능을 하는 송수신기(리더기 또는 판독기)(12), 서버(호스트 컴퓨터)(13), 네트워크(14) 및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CM(Supply Chain Management) 등의 제조 및 물류 정보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흔히, 태그(tag)라 불리는 트랜스폰더(11)는 IC(Integrated Circuit)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고 다양한 모양과 크기가 있다. 동물을 추적하기 위해 피부 아래에 이식되는 트랜스폰더(11)는 직경이 연필심만큼 작으며 길이는 1cm밖에 안 된다. IC 칩의 주요 기능은 데이터의 저장으로 메모리 크기(25 비트 ~ 512 kb 이상), 메모리 형태(읽기 전용, 읽고 쓰기가 가능한 형, 한번만 쓰며 여러 번 읽기가 가능한 형태), 메모리 종류(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에 따라 가격이 다르다.
RFID 시스템은 무선 접속 방식에 따라 상호 유도(Inductively coupled) 방식과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호 유도 방식은 근거리(1m 이내), 전자기파 방식은 중장거리용 RFID로 사용되며, 상호 유도 방식은 코일 안테나를 이용하며 전자기파 방식은 고주파 안테나를 이용해서 서로 무선 접속을 한다.
상호 유도 방식에서 트랜스폰더(11)는 거의 수동으로 작동된다. 즉, 트랜스폰더(11)의 IC 칩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모든 에너지는 송수신기(12)에 의해 공급된 다. 따라서, 송수신기(12)의 안테나 코일은 주변 지역에 강한 자기장을 발생한다. 방출된 자기장의 일부분이 송수신기(12)와 떨어져 있는 트랜스폰더(11)의 코일 안테나에 유도성 전압을 발생, 정류된 후 IC를 위한 에너지로 공급된다. 전자기파 방식의 트랜스폰더(12)는 IC 칩을 구동하기 위한 충분한 전력을 송수신기(12)로부터 공급받지 못하므로 장거리 인식을 위한 추가적인 전지를 포함하는 경우(능동형)도 있다.
송수신기(12)와 트랜스폰더(11)는 여러 가지 디지털 방식의 부호화(coding)를 이용하여 기저대역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무선 신호는 주로 기본적인 세 개의 디지털 변조 방식 즉, ASK(Amplitude Shift Keying), FSK(Frequency Shift Keying), PSK(Phase Shift Keying)를 이용하여 기저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되고 전송된다. 그러나, 특정 주파수 대역(미국의 UHF 대역)에서는 전자파의 인체 영향이나 다른 통신 시스템과의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특정 변조 방식만을 쓰도록 요구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주파수 확산(SS, Spread Spectrum) 방식이다. 주파수 확산 방식 중 CDMA 모바일 폰이나 무선 랜에 이용되는 직접 시퀀스(DS, Direct Sequence)와 블루투스에 이용되는 주파수 호핑(FS, Frequency Hopping)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변조 방식을 태그에 적용하면 그만큼 복잡한 회로가 필요하여 가격이 상승하므로 실제적으로는 송수신기(12)만이 이러한 변조방식을 사용하고, 트랜스폰더(11)는 주파수 확산의 전체 주파수를 커버하도록 광대역으로 만들고 ASK 등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기타, 데이터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신호 처리가 수행되는데, CRC(cyclic redundancy check)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에러율 감소 방법, 여러 개의 트랜스폰더(11)를 구별하기 위하여 무선 랜 등에서 사용되는 Aloha나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와 비슷한 방식을 사용하는 충돌 방지(anti-collision) 방법, 데이터의 보호를 위하여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데이터 보안 방법 등이 적용된다. 특히, 이러한 신호 처리는 트랜스폰더(11)의 메모리의 기능성에 의존한다.
한편, 네트워크(14)를 통하여 서버(13)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하여 트랜스폰더(11)가 사용될 수 있는데, 각 트랜스폰더(11)별로 서로 다른 서버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폰더(11)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RFID 태그의 패킷에 포함된 서버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서버로부터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ID 태그의 패킷에 포함된 문자열에 대응하는 서버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서버로부터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태그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무선 태그가 부착되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 또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접속 코드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선 태그가 부착되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다른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태그로부터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 태그가 부착되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무선 태그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물품의 상세 정 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통합 관리 서버에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는 로그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로그인 정보의 등급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속 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가 매칭된 테이블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선 태그에 구비되어 있는 위치 추적 모듈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선 태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태그가 부착되는 물품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고유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에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고유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청 메시지에서 요청하는 물품의 상세 정보의 종류를 사용자가 선택할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코드에 대응되는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상 기 패킷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RFID 태그의 패킷에 포함된 서버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서버로부터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물품의 상세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RFID 태그의 패킷에 포함된 문자열에 대응하는 서버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RFID 태그의 메모리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200)은 RFID 태그(210), RFID 송수신기(400), 정보 제공 서버(231, 232, 233, 234) 및 모니터 장치(221, 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FID 태그(210)는 IC 칩 및 안테나로 구성된 태그가 내장된 장치로서, 자체 전원 또는 RFID 송수신기(400)로부터 수신한 전파에 의하여 형성된 전원을 이용하여 RFID 송수신기(400)와 통신하고 구비된 식별자 및 기타 정보(예를 들어, 접속정보, 접속코드)를 RFID 송수신기(40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RFID 태그(210)는 특정 물품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RFID 태그(210)는 해당 물품에 대한 접근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RFID 송수신기(400)는 RFID 태그(210)로부터 식별자 및 기타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모니터 장치(221, 222)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RFID 송수신기(400)는 자체 전원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RFID 태그(210)에 전파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RFID 송수신기(40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모니터 장 치(221, 222)와 통신함으로써, RFID 태그(2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모니터 장치(221, 222)로 송신할 수 있다.
모니터 장치(221, 222)는 RFID 송수신기(4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모니터 장치(221, 222)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수단은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액정 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의 영상 표시 수단이 구비된 모듈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RFID 송수신기(400) 및 근거리에 구비된 모니터 장치(이하, 근거리 모니터 장치라 한다)(221)가 별도의 장치로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두 개의 장치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근거리 모니터 장치(221)에 RFID 송수신기(400)의 기능이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수단 및 RFID 전파 송수신 수단이 구비된 단말기가 RFID 송수신기(400)의 기능이 구비된 근거리 모니터 장치 (221)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장치가 RFID 전파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RFID 송수신기(400)와 근거리 모니터 장치(221)가 통합되어 구현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모니터 장치는 RFID 송수신기(400)에 직접 연결될 뿐만 아니라, 네트 워크를 통하여 RFID 송수신기(400)에 접속함으로써 RFID 송수신기(4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는데, 모니터 장치는 휴대폰 또는 PDA와 같이 CPU 등의 자체 제어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단순히 디스플레이 수단만을 구비한 상태에서 RFID 송수신기(4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하, 네트워크를 통하여 RFID 송수신기(400)에 접속한 모니터 장치를 원거리 모니터 장치(222)라 한다.
정보 제공 서버(231, 232, 233, 234)는 RFID 태그(210)가 부착되어 있는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저장 및 갱신하고, 갱신 이력 사항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정보 제공 서버(231, 232, 233, 234)는 RFID 송수신기(400)로부터 특정 물품의 상세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해당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출하여 응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정보 제공 서버(231, 232, 233, 234)는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는데, RFID 태그(210)로부터 식별자를 수신한 RFID 송수신기(400)는 해당 식별자에 대응하는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가 어떠한 정보 제공 서버(231, 232, 233, 234)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을 수도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RFID 태그(210)의 식별자에는 해당 RFID 태그(210)가 부착되어 있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제공 서버(231, 232, 233, 234)의 접속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정보는 정보 제공 서버(231, 232, 233, 234)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또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접속 정보를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문자열인 접속 코드가 RFID 태그의 패킷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즉, RFID 송수신기(400)는 접속 정보 또는 접속 코드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정보 제공 서버(231, 232, 233, 234)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네트워크(240)는 광대역 통합망(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2는 RFID 송수신기(400)가 네트워크(240)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231, 232, 233, 234)에 직접 접속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RFID 송수신기(400)가 네트워크(240)에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중계 서버(이하, 통합 관리 서버라 한다)에 접속되고, 통합 관리 서버가 정보 제공 서버(231, 232, 233, 234)에 접속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패킷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EPC(Electronic Product Code) 표준의 RFID 패킷(300)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EPC표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ISO/IEC 식별체계 표준이나, ucode 식별체계 표준 또는 향후 발생하는 RFID 식별체계 표준에도 적용 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후술될 패킷 구성들은 시스템 사양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RFID 패킷(300)은 TID(Tag Identification) 영역(310), EPC 영역(320), 예비 영역(330) 및 사용자 영역(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ID 영역(310)에는 제조사에서 입력한 태그의 식별자가 저장된다. EPC 표준에 따르는 경우 12비트의 태그 마스크-디자이너(mask-designer) 식별자, 12비트의 태그 모델 번호 및 제조사의 특정한 정보가 TID 영역(31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비 영역(330)에는 비활성화(kill), 접근(access) 패스워드가 저장된다. 비활성화 패스워드는 태그의 정보를 영속적으로 비활성화시킨다. 태그가 비활성화되면 데이터의 읽기, 쓰기가 금지된다. 접근 패스워드는 태그 정보로의 접근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EPC 영역(320)은 헤더(header) 필드(321), 도메인 매니저(domain manager) 필드(322), 객체 클래스(object class) 필드(323) 및 일련 번호(serial number) 필드(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더 필드(321)에는 EPC 코드 체계가 명시되어 있고, 도메인 매니저 필드(322)에는 객체 클래스와 일련 번호를 관리할 책임이 있는 주체(기업, 관리자 또는 기관)에 대한 식별자(이하, 관리자 번호라 한다)가 명시되어 있다.
객체 클래스 필드(323)에는 상품의 종류나 유형을 식별하기 위해 EPC 관리 주체에 의해 사용되는 필드로서, 특정 관리자 번호에 속하는 하위 식별자(객체 클래스)가 명시된다.
일련 번호 필드(324)에는 특정 객체 클래스 번호에 속하는 하위 식별자(일련 번호)가 명시된다.
사용자 영역(340)은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사용자가 정의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예에는 EPC표준으로 서술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ISO/IEC 식별체계 표준이나, ucode 식별체계 표준 또는 향후 발생하는 RFID 식별체계 표준에도 적용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패킷(300)은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 또는 접속 코드(35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서버의 IP 주소 또는 URI가 RFID 패킷(300)에 포함되거나 접속 정보에 대응하는 접속 코드가 RFID 패킷(300)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 또는 접속 코드(350)가 사용자 영역(340)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TID 영역(310), EPC 영역(320) 또는 예비 영역(330)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접속 코드는 접속 정보를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문자열로 이해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RFID 송수신기(400)에 접속 코드와 접속 정보가 매핑된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RFID 송수신기(400)는 수신된 접속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접속 코드의 크기는 접속 정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A"라는 접속 코드가 "192.168.0.1"이라는 접속 정보에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RFID 태그(21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무선 통신 장치(400)는 통신부(410), 입력부(420), 저장부(430), 제어부(440), 위치 확인부(450), 메시지 생성부(460) 및 접속 정보 추출부(4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무선 통신 장치(400)의 역할은 RFID 송수신기(4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통신부(410)는 RFID 태그(210)와 통신하여 RFID 태그(210)로부터 RFID 패킷을 수신하고, 정보 제공 서버와 통신하여 물품의 상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통신부(410)는 요청 메시지에 명시된 접속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10)는 구비된 모니터 장치로 상세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RFID 태그(210)와 다양한 디지털 방식의 부호화(coding)을 이용하여 기저대역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데, 주로 디지털 변조 방식인 ASK(Amplitude Shift Keying), FSK(Frequency Shift Keying), PSK(Phase Shift Keying)를 이용하여 기저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RFID 태그(210)로부터 수신된 RFID 패킷에 포함된 정보 제공 서버의 접속 정보 또는 접속 코드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패킷에는 정보 제공 서버의 접속 정보 또는 접속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제어부(440)는 이를 추출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접속정보 추출부(470)가 접속 코드에 기초하여 정보 제공 서버의 접속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접속 정보 또는 접속 코드는 RFID 패킷의 기 설정된 위치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440)는 RFID 패킷에 대한 분석 없이 특정 위치로 접근함으로써 접속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속 코드는 기 설정된 포맷으로 RFID 패킷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태그는 EPC 또는 ISO 표준에 따르는 것일 수 있는데, EPC 표준에 따르는 경우 접속 코드는 "E"일 수 있고, ISO 표준에 따르는 경우 접속 코드는 "I" 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RFID 송수신기(400)는 수신된 접속 코드를 이용하여 RFID 패킷에 대한 분석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속 코드에는 상품의 제조 업체를 나타내는 문자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제조 업체의 경우 "A"라는 문자가 접속 코드에 포함되고 제 2 제조 업체의 경우 "B"라는 문자가 접속 코드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접속 코드는 RFID 표준에 대응하는 문자와 상품의 제조 업체를 나타내는 문자가 조합되어 문자열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제조 업체의 상품에 대한 RFID 태그가 EPC 표준을 따르는 경우 그 접속 코드는 "EA"일 수 있으며, 제 2 제조 업체의 상품에 대한 RFID 태그가 ISO 표준을 따르는 경우 그 접속 코드는 "IB"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 설정된 포맷에 따라 접속 코드가 구성됨에 따라 RFID 송수신기(400)는 용이하게 접속 코드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RFID 송수신기(400)는 정보 제공 서버 또는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코드 체계에 대응하는 분석 알고리즘을 수신할 수 있는데, 제어부(440)는 수신된 RFID 패킷에 대응하는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RFID 패킷을 분석하는 것이다.
만일,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RFID 패킷에 접속 정보가 아닌 접속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접속 정보 추출부(470)는 저장부(430)에 저장된 접속 정보와 접속 코드가 매칭된 테이블(미도시)을 참조하여 접속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정보 추출부(470)는 RFID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RFID 패킷의 EPC 영역은 객체 클래스 및 일련 번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접속 정보 추출부(470)는 객체 클래스별 접속 정보가 매칭된 테이블(미도시)를 이용하여 접속 정보를 추출하거나 일련 번호의 범위가 매칭된 테이블(미도시)를 이용하여 접속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440)는 통신부(410), 저장부(430), 위치 확인부(450), 메시지 생성부(460) 및 접속 정보 추출부(47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각 모듈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시지 생성부(460)는 RFID 태그(210)를 부착하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메시지 생성부(460)는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필드에 제어부(440)로부터 전달받은 접속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460)는 RFID 태그(210)로부터 특정 구분자가 포함된 인증 요청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만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데, RFID 태그(210)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만 태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생성부(460)는 특정 구분자에 부여된 우선 순위를 참조하여 응답 메시지의 생성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함에 따라, 통신부(410)는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물품의 상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수신된 상세 정보는 저장부(430)에 임시로 저장될 수 있으며 다시 통신부(410)를 통하여 모니터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30)에 상세 정보가 임시 저장되지 않고 통신부(410)를 통하여 직접 모니터 장치로 송신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부(430)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무선 통신 장치(4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위치 확인부(450)는 RFID 태그(210)에 부착되어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과 같은 위치 추적 모듈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물품의 위치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RFID송수신기(400)에 위치추적모듈이 장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RFID송수신기(400)의 위치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위치 확인부(450)에 의해 확인된 해당 물품의 위치 또는 RFID송수신기(400)의 위치 정보는 메시지 생성부(460)에서 생성되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정보 제공 서버에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RFID 송수신기(400)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모니터 장치(221, 222)는 RFID 송수신기(400)의 고유 정보(IP 주소 또는 MAC 주소 등)를 이용하여 RFID 송수신기(400)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하여 모니터 장치(221, 222)는 RFID 송수신기(400)의 고유 정보와 그 위치가 매칭된 테이블(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RFID 송수신기(400)의 고유 정보와 그 위치가 매칭된 테이블은 모니터 장치(221, 22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정보 제공 서버(231, 232, 233, 234) 또는 통합 관리 서버(64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확인된 RFID 송수신기(400)의 위치 정보는 서버로 요청메시지를 전송 할 때 통신부(410)을 통해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RFID 송수신기(400)의 고유 정보가 통합 관리 서버(6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통합 관리 서버(640)는 이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231, 232, 233, 234)로의 접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태그에 의하여 송신된 RFID 패킷에 접속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통합 관리 서버(640)는 RFID 송수신기(400)의 고유 정보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정보 제공 서버의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접속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통합 관리 서버(640)에는 RFID 송수신기(400)의 고유 정보 및 정보 제공 서버의 접속 정보가 매칭된 테이블(미도시)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로그인 정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정보는 입력부(420)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는데, 입력부(420)는 버튼, 휠, 조그 셔틀, 유/무선 장치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모니터 장치의 디스플레이 수단이 터치 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이 입력부(42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배경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 개의 아이콘 중 하나에 손가락 또는 기타 도구를 접촉시킴으로써 특정 아이콘 선택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로그인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입력부(420)는 그 자체만으로 하나의 장치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선 리모콘이 입력부(4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무선 리모콘에 구비된 버튼 및 휠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무선 리모콘에 관성 센서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무선 리모콘에 움직임을 가하여 해당 움직임 궤적에 대응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로그인 정보를 가진 RFID신분증이나 인증 카드를 유/무선 장치로 입력 할 수도 있다.
또한, 로그인정보를 가진 RFID신분증이나 인증카드를 유/무선 장치로 입력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상세 정보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물품 상세 정보(500)는 물류정보, 유통정보, 사후관리정보 등 RFID태그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물품상세정보(500)는 RFID 코드 필드(510), 물품 코드 필드(520), 물품 정보 필드(530), 고객 정보 필드(540), 생산 정보 필드(550), 출하 정보 필드(560) 및 예비 필드(5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FID 코드 필드(510)는 헤더 필드(511), 도메인 매니저 필드(512), 객체 클래스 필드(513), 일련 번호 필드(514), 예비 영역 필드(515) 및 사용자 영역 필드(5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통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물품 코드 필드(520)에는 물품이 관리되는 고유 물품 코드가 명시될 수 있고, 물품 정보 필드(530)에는 물품 코드물품 내역, 작업 지시량, BOM(Bill Of Material) 정보, 제조 공정 정보(Routing), 제조 일시, 이미지 정보 및 상품 분류 정보 등이 명시될 수 있고, 고객 정보 필드(540)에는 고객의 명칭 및 해당 고객을 나타내는 코드 등이 명시될 수 있고, 생산 정보 필드(550)에는 물품의 생산 절차를 관리하고 추적하기 위한 정보, 생산 실적 정보 및 품질 정보 등이 명시될 수 있으며, 출하 정보 필드(560)에는 물품의 출고 위치, 입고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및 납기 정보 등이 명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는 도 5에 도시된 포맷의 물품 상세 정보(500)를 저장할 수 있는데, RFID 송수신기(400)로부터 RFID 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코드에 대응하는 물품 상세 정보를 추출하여 응답할 수 있다.
예비 필드(570)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임의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품의 입고 시간 또는 출고 시간 등을 예비 필드(570)에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정보별 접근 가능한 물품 코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RFID 태그(210)로부터 RFID 패킷을 수신한 RFID 송수신기(400)는 RFID 패킷에 포함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면서, 입력부(420)를 통하여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정보 제공 서버는 수신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코드에 접근하여 해당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그인 정보1(610)을 수신한 경우 정보 제공 서버는 AB221236이라는 물품 코드(611)를 갖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로그인 정보2(620)를 수신한 경우 정보 제공 서버는 AB435678 및 AB435679라는 물품 코드(621)를 갖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로그인 정보에 따라 특정 물품의 상세 정보로의 접근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그인 정보1(610)로 접속한 경우 AB221236이라는 물품 코드(611)로 접근하는 것은 가능하나, 로그인 정보2(620)로 접속한 경우 AB221236이 라는 물품 코드(611)로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등급별로 접근 가능한 물품 코드의 범위가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등급에 따라 제공받을 수 있는 정보의 종류가 달라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정보와 접근 가능한 정보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로그인 정보 A로 로그인 한 경우 물품 정보 및 생산 정보 만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로그인 정보 B로 로그인 한 경우 물품 정보 및 생산 정보뿐만 아니라 원가 정보, 고객 정보 및 출하 정보까지 제공받을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로그인 정보 A의 사용자 등급과 로그인 정보 B의 사용자 등급이 상이함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정보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RFID 태그의 식별자에 따라 접근 가능한 정보의 종류가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FID 태그의 식별자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특정 정보로의 접근이 허용되며, RFID 태그의 식별자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정보로의 접근이 제한되는 것이다.
또한, RFID 태그의 식별자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RFID 송수신기(400)는 이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RFID 송수신기에는 식별자의 범위 및 이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저장된 정보는 모니터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갱신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설명하면, 물품의 상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 및 로그인 정보는 통합 관리 서버(640)로 송신될 수 있는데, 통합 관리 서버(640)는 정보 제공 서버와는 별도로 구비된 장치로서 전체 정보 제공 서버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하며, 로그인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정보 제공 서버를 서로 매칭한 테이블(미도시)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통합 관리 서버(640)를 구비하지 않고 정보 제공 서버에서 직접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RFID 송수신기(400)가 요청 메시지 및 로그인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640)로 송신하는 경우 통합 관리 서버(640)는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코드를 갖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추출한 후 RFID 송수신기(400)에게 응답할 수 있다.
또한, 로그인 정보의 사용자 등급과 접근 가능 정보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도 7의 테이블(700)은 정보 제공 서버 또는 통합 관리 서버(64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로그인 정보3(630)을 수신한 통합 관리 서버(640)가 AB435682라는 물품 코드(631)를 갖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통합 관리 서버(640)가 구비됨에 따라 RFID 송수신기(400)는 RFID 패킷에서 접속 정보를 추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통합 관리 서버(640)는 RFID 식별자에 대응하는 물품 코드 및 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제공 서버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통합 관리 서버(640)는 RFID 송수신기(400)로부터 접속 정보가 없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에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RFID 식별자를 참조하여 해당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상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부(420)를 통하여 상세 정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물품의 제조 정보에 접근할 것인지 물류 정보에 접근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정보 제공 서버는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 또는 통합 관리 서버(640)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요청한 RFID 송수신기(400)가 정보 제공이 인가된 장치인지를 판단한 이후에 상세 정보의 송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정보 제공 서버는 RFID 송수신기(400)의 IP 주소, MAC 주소 또는 고유 식별자 등 RFID 송수신기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판단하여 정보 제공이 인가된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정보 제공 서버에는 각 정보 제공의 인가 대상인 RFID 송수신기(400)의 리스트가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특정 RFID 송수신기(400)로부터 상세 정보의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정보 제공 서버는 로그인 정보의 제공이 없더라도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정보 제공의 인가 대상인 RFID 송수신기(400)의 리스트는 통합 관리 서버(640)에 저장될 수도 있는데, 통합 관리 서버(640)는 이를 참조하여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 식별자와 물품 코드간의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매핑 테이블(800)은 RFID 태그 식별자 필드(810), 물품 코드 필드(820) 및 물품 제조사 필드(8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한 식별자 또는 동일한 식별자의 코드를 갖는 RFID 태그는 동일한 종류의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물품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종류의 서로 다른 물품이란 그 명칭 또는 형태는 동일하지만 제조사가 다른 물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제조사에서 제조된 물품은 당연히 물품 코드가 서로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그 명칭 및 형태가 동일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RFID 태그 코드를 활용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제조사에서 제조된 동일한 명칭 및 형태를 가진 물품이라고 하더라도 그 유통 경로에 따라 서로 다른 RFID 태그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명칭 및 형태를 가진 물품이라고 하더라도 그 유통 경로에 따라 동일한 RFID 태그를 가질 수 있다. 즉, 물품 A와 함께 유통되어야만 그 가치가 인정되는 물품 B는 물품 A와 동일한 RFID 태그가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RFID 태그 식별자가 복수 개의 물품 코드에 매칭되어 저장됨에 따라 관리자는 하나의 RFID 태그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물품 코드에 대한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상세 정보의 로그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는 물품 상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정전과 같은 특정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그 정보가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버는 물품 상세 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그 로그 데이터(900)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물품 상세 정보에 변경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정보 제공 서버는 물품 상세 정보를 갱신하면서 갱신 내용을 로그 데이터(900)에 명시하는 것이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가 로그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는데, 정보 제공 서버는 통합 관리 서버로 물품 상세 정보의 갱신 내용을 송신하여 통합 관리 서버로 하여금 저장된 로그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하거나, 로그 데이터 자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로그 데이터에 표시되는 내용 중 일시를 제외한 나머지는 물품 상세 정보 중 변경 사항이 발생한 항목의 갱신 내용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품 상세 정보에 변경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정보 제공 서버는 RFID 송수신기로 갱신 내용을 송신하여 모니터 장치로 하여금 갱신 내용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 장치의 사용자는 직접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갱신 내용을 확인할 수도 있다.
도 9의 로그 데이터(900)는 정보 수신 일시 필드(910), 정보 갱신 일시 필드(920), 물품 정보 필드(930), 고객 정보 필드(940), 생산 정보 필드(950) 및 출하 정보 필드(9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일 예로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하나의 RFID 태그에 부여된 로그 데이터를 나타낸다.
즉, 특정 RFID 태그에 대하여 각 시간별 물품 상세 정보의 변경 사항이 하나의 로그 데이터에 표시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정보 수신 일시는 RFID 태그로부터 RFID 패킷을 수신한 일시를 나타내고, 정보 갱신 필드는 정보가 갱신된 일시를 나타낸다.
또한, 복수 개 또는 전체 RFID 태그에 대한 하나의 로그 데이터가 정보 제공 서버 또는 통합 관리 서버에 의하여 관리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부착 객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RFID 태그(210)는 물품에 부착되어 해당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 추출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특정 물품이 생산되어 유통되는 경우 동일한 종류의 물품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취급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210)는 각각의 물품뿐만 아니라 물품의 그룹 전체에 부여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RFID 태그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가 부착된 각 물품의 상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0은 각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1010, 1020) 및 물품의 그룹을 적재하고 있는 팔레트(pallet)에 부착된 RFID 태그(1000)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팔레트에 부착된 RFID 태그(1000)로부터 RFID 패킷을 수신한 경우, RFID 송수신기(400)는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팔레트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 전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관리 서버는 각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뿐만 아니라 팔레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그룹에 포함된 물품은 동일한 종류의 물품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종류의 물품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RFID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패킷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상세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정보별 접근 가능한 물품 코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정보와 접근 가능한 정보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 식별자와 물품 코드간의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상세 정보의 로그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부착 객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410: 통신부 420: 입력부
430: 저장부 440: 제어부
450: 위치 확인부 460: 메시지 생성부
470: 접속 정보 추출부

Claims (10)

  1. 무선 태그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무선 태그가 부착되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 또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접속 코드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선 태그가 부착되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는 로그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로그인 정보의 등급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무선 통신 장치.
  2. 무선 태그로부터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 태그가 부착되는 물품의 상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무선 태그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물품의 상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통합 관리 서버에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는 로그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로그인 정보의 등급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무선 통신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가 매칭된 테이블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태그에 구비되어 있는 위치 추적 모듈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선 태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태그가 부착되는 물품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인 무선 통신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고유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에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고유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 제공 서버로의 접속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인 무선 통신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서 요청하는 물품의 상세 정보의 종류를 사용자가 선택할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코드에 대응되는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패킷을 분석하는 것인 무선 통신 장치.
KR1020090071250A 2009-08-03 2009-08-03 무선 통신 장치 KR101047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250A KR101047534B1 (ko) 2009-08-03 2009-08-03 무선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250A KR101047534B1 (ko) 2009-08-03 2009-08-03 무선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72A KR20110013672A (ko) 2011-02-10
KR101047534B1 true KR101047534B1 (ko) 2011-07-07

Family

ID=4377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250A KR101047534B1 (ko) 2009-08-03 2009-08-03 무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5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4021A (ja) * 2001-02-21 2002-11-08 Sony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4021A (ja) * 2001-02-21 2002-11-08 Sony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72A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5488B2 (en) Method for storing data as well as a transponder, a read/write-device,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ing a program element and such a program element adapted to perform this method
US10049238B2 (en) Encoded information reading terminal with item locate functionality
US8570157B1 (en) Local processing of received RFID tag responses
EP2541791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FC secure application support in battery-off mode when no nonvolatile memory write access is available
US8362881B2 (en) Method for storing data as well as a transponder, a read/write-device,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ing a program element and such a program element adapted to perform this method
US7663486B2 (en) RFID tag user memory indication
Lee et al. Mobile platform for networked RFID applications
KR20070021913A (ko) 무선인식태그와 알에프아이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알에프아이디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0847787B1 (ko) 알에프아이디 리더(또는 단말)를 인증하는 보안알에프아이디 태그와 알에프아이디 리더(또는 단말) 인증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047534B1 (ko) 무선 통신 장치
CN101303739B (zh) 信息处理终端和数据传送方法
KR100862009B1 (ko) 알에프아이디 리더(또는 단말)를 인증하는 보안 알에프아이디 태그와 알에프아이디 리더(또는 단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112535B1 (ko) 태그 내 플래그를 이용한 단말기 인증 방법
KR101267285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077860B1 (ko) 알에프아이디 태그
KR101197771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태그 저장정보 갱신 방법
KR101197772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태그 저장정보 갱신 방법
KR20100099804A (ko)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한 재물 관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알에프아이디 태그 및 기록매체
KR101197256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태그 저장정보 갱신처리 서버
KR101077867B1 (ko) 알에프아이디 단말기
KR101018681B1 (ko) 태그 내 플래그를 이용한 단말기 인증 시스템
KR20090092485A (ko) 알에프아이디 메모리의 동적 분할 재구성 방법과알에프아이디 태그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40142566A (ko)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 및 그 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