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566A -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 및 그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 및 그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566A
KR20140142566A KR1020130064162A KR20130064162A KR20140142566A KR 20140142566 A KR20140142566 A KR 20140142566A KR 1020130064162 A KR1020130064162 A KR 1020130064162A KR 20130064162 A KR20130064162 A KR 20130064162A KR 20140142566 A KR20140142566 A KR 20140142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fc tag
tag
ndef
nf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유진
정윤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64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2566A/ko
Publication of KR2014014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NFC 태그의 데이터 갱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NFC 태그의 데이터 갱신 방법은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 여부를 판단한 결과 초기 설정인 경우, 읽기 전용 모드의 RO 데이터가 저장될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RO 데이터 영역에 읽기 전용 모드의 RO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 및 그 생성 방법 {NFC tag supporting hybrid mode and gen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태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 및 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술은 전파(RF)를 사용해 대상물에 구비되는 IC칩과 단말기간에 데이터 교신이 이루어짐으로써 정보를 얻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방식의 일종이다.
전자태그는 메모리 소자만 구비된 것과 연산 능력을 갖는 CPU 소자를 구비한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태그는 일반적으로 교통카드, 신원확인용 ID 카드, 전자결제 카드, 도서관 카드 및 물류 유통관리에 사용되는 바코드의 대용으로 응용되는 등,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고 관련 기술도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전자태그는, 내장되는 IC칩 소자에 데이터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 정보를 읽는 것으로, 동작전원 공급방식에 따라, 능동(Active)형 또는 상호유도(Inductively Coupled) 방식과, 수동(Passive)형 또는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수동(Passive)형은, 코일 안테나를 사용하고 단말기의 무선전파를 수신 및 해당 처리하여 동작전원으로 이용하는 방식이며 통신거리가 짧고, 능동(Active)형은, 배터리와 같은 전원을 자체적으로 내장하여 이용하는 방식으로, 통신거리가 수십 미터에 이를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은, 이러한 전자태그 기술로부터 발전한 것으로, NFC 포럼(forum)에 의하여 국제적인 표준화가 진행되어 왔다. NFC 기술은 13.56 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약 5 Cm 내지 10 Cm 범위의 근거리에서 데이터 통신한다.
스마트카드에 애플릿 형태로 구현되는 NDEF Type4 태그인 경우, 고사양의 하드웨어 및 플랫폼을 제공하는 스마트카드 특성상 여러 형태의 응용서비스가 가능하다. NFC 포럼에서 정의한 NFC 태그 규격은 한 세트의 NDEF 태그 데이터를 저장 관리한다. NFC 포럼에서 정의한 NFC 태그는 읽기 전용(read only, RO) 상태, 읽기/쓰기(read/write, RW)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NFC 태그의 활용에 있어 제약사항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혼성모드를 갖는 NFC 태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혼성모드를 갖는 NFC 태그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의 데이터 갱신 방법은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 여부를 판단한 결과 초기 설정인 경우, 읽기 전용 모드의 RO 데이터가 저장될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RO 데이터 영역에 읽기 전용 모드의 RO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는 상기 RO 데이터의 크기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RO 데이터는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시 상기 NFC 태그에 부여되는 고유코드일 수 있다.
상기 RO 데이터는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시 상기 NFC 태그에 부여되는 상기 NFC 태그 사용자의 식별자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갱신 방법은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 여부를 판단한 결과 초기 설정이 아닌 경우, 읽기/쓰기 모드의 RW 데이터가 저장될 RW 데이터 영역의 위치를 지시하는 오프셋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RW 데이터 영역의 RW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RW 데이터 영역의 RW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는, UPDATEBINRY 명령을 포함하는 C-APDU(Command -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APDU는 상기 오프셋 값으로 설정되는 오프셋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파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태그 애플릿을 포함하는 NFC 태그의 상기 파일 시스템은 복수의 NDEF 데이터를 포함하는 NDEF 파일 및 상기 NDEF 파일을 호출하여 상기 복수의 NDEF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하는 CC 파일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NDEF 데이터는 삭제 및 갱신이 허용되지 아니하는 읽기 전용 모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O 데이터 및 삭제 및 갱신이 허용되는 읽기/쓰기 모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W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 데이터는 상기 NFC 태그의 RO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W 데이터는 상기 NFC 태그의 RW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며, 상기 RO 데이터 영역 및 상기 RW 데이터 영역은 상기 NFC 태그의 메모리 영역에서 각각 논리적으로 구별된 메모리 영역일 수 있다.
상기 RO 데이터는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시 상기 NFC 태그에 부여되는 고유코드일 수 있다.
상기 RO 데이터는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시 상기 NFC 태그에 부여되는 상기 NFC 태그 사용자의 식별자일 수 있다.
혼성모드를 갖는 하나의 태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하나의 태그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갱신 불가능한 데이터와 갱신 불가능한 데이터를 하나의 태그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갱신 가부에 따른 각각의 이점을 모두 가질 수 있어 보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유형 4(Type 4) 태그 플랫폼(Tag platform) 내부에 저장되는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태그 어플리케이션을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CC 파일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태그 애플릿의 파일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NFC 태그의 데이터를 추가/갱신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가 적용된 혼성 모드를 갖는 NFC 태그 애플릿의 파일 시스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NFC 포럼이 규정하는 C-APDU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적용될 수 있는 C-APDU의 각 필드값 설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혼성 모드를 갖는 NFC 태그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갱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유형 4(Type 4) 태그 플랫폼(Tag platform) 내부에 저장되는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태그 어플리케이션을 예시한 것이다.
NFC 포럼은 NFC-A, NFC-B 및 NFC-F의 세가지 기술 그룹을 정의한다. 세가지 기술 그룹은 동일한 13.56MHz의 무선 반송파를 사용하며, 각각의 기술 그룹들은 각각의 변조 방식, 비트 레벨 부호화(bit-level coding) 및 프레임 포맷을 사용할 수 있으나, 동일한 프로토콜 및 명령어 셋을 사용할 수 있다.
유형 4 태그 플랫폼(Type 4 Tag Platform)은 충돌방지(anti-collision)을 포함한 NFC-A 또는 NFC-B를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유형 4 태그 플랫폼에는 적어도 하나의 NDEF 태그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NDEF 태그 어플리케이션에는 유형4 태그 플랫폼의 NDEF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유형4 태그 플랫폼은 적어도 두 개의 기본 파일(elementary file, EF)- 지원능력(Capability Container, CC 또는 EFCC) 파일 및 NDEF 파일(EFNDEF)-로 구성되는 파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2는 CC 파일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CC 파일에는 관리 데이터가 포함되며 읽기 전용 EF 파일 내에 저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CC 파일은 CCLEN 필드, Mapping Version 필드, MLe 필드, MLc 필드, NDEF file control TLV 필드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TLV Block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C 파일을 구성하는 각 필드의 기능을 간략히 설명하면, CCLEN 필드는 CC 파일의 크기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Mapping Version 필드는 Type 4 태그 플랫폼에 적용된 맵핑 다큐먼트(mapping document)의 버전(version)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MLe 필드는 최대 R-APDU(Response -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데이터 크기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되며, MLc 필드는 최대 C-APDU(Command -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데이터 크기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NDEF file control TLV 필드는 CC 파일 내에 항상 존재하며, NDEF 메시지를 포함하는 EF 파일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제공한다. NDEF file control TLV 필드에는 유효한 NDEF 파일을 지시하는 파일 식별자(file Identifier) 정보, NDEF 파일의 최대 크기 정보, NDEF 파일에 대한 읽기/쓰기 접근 권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EF 파일의 하나인 NDEF 파일(EFNDEF)에는 실제 태그 데이터인 NDEF 데이터가 포함된다. NDEF 파일은 NLEN 필드와 NDEF message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NLEN 필드는 NDEF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NDEF message)의 크기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되고, NDEF message 필드에는 데이터(NDEF message)가 저장된다.
도 1이 예시하고 있는 종래의 유형 4 태그 플랫폼의 파일 시스템은 하나의 CC 파일과 하나의 NDEF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태그 플랫폼은 하나의 NDEF 파일을 포함하고, 결과적으로 하나의 태그 플랫폼에 하나의 데이터(NDEF message)가 저장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파일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로 다른 데이터를 태그 리더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수만큼의 태그를 필요로 하게 되며, 하나의 정보밖에 저장/제공하지 못하는 태그가 가진 한계는 태그의 활용 영역에 대한 제한으로 작용하여 왔다. 본 발명은 하나의 태그에 복수의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중 일부 데이터는 삭제/갱신이 불가능한 읽기 전용 데이터로, 일부 데이터는 삭제/갱신이 가능한 읽기/쓰기 데이터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태그 플랫폼의 파일 시스템을 제공하고 태그 리더에게 제공할 데이터를 선택/갱신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태그 애플릿의 파일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태그 애플릿의 파일 시스템은 NDEF 태그 데이터 파일(EF_NDEF)을 포함한다. 본 NDEF 태그 데이터 파일은 RO DATA 영역(310)에 저장되는 읽기 전용 데이터와 RW DATA 영역(320)에 저장되는 갱신/변경 가능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RO DATA 영역(310)과 RW DATA 영역(320)은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별될 필요는 없으며, 하나의 메모리 영역에서 논리적으로 구별되는 영역일 수 있다.
RO DATA 영역(310)에 저장된 데이터는 오로지 읽기만 가능하며, 해당 데이터의 삭제를 비롯한 변경/갱신이 허용되지 아니한다. 이에 반하여, RW DATA 영역(32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생성 이후 필요에 의해 데이터의 삭제를 비롯한 변경/갱신이 허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NFC 태그 애플릿이 제공하는 파일 시스템에 의하면 하나의 태그에 읽기 전용 데이터와 읽기/쓰기 가능한 데이터가 병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NFC 태그는 생성시 RO 데이터 영역(310)에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에 의해 변경/갱신되는 데이터는 RW 데이터 영역(320)에 저장되도록 한다. 실시의 일례로 RO 데이터 영역(31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해당 NFC 태그 또는 해당 NFC 태그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자일 수 있다. RW 데이터 영역(32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해당 NFC 태그의 생성 이후 NFC 태그의 사용자에 의하여 새로이 추가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RW 데이터 영역에(320)에 추가되는 데이터는 삭제 또는 갱신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NFC 태그의 데이터를 추가/갱신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휴대 가능한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에 의해 스마트 카드로 구현된 NFC 태그 애플릿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모바일 단말 및 스마트 카드는 일례에 불과하며, 모바일 단말은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NFC 태그의 데이터를 읽고, 갱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모든 기기로 대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는 스마트 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 다양한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NFC 태그가 모바일 단말의 USIM에 구현될 때, 이후 과정은 모바일 단말이 USIM의 NFC 태그 데이터를 변경하는 절차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App이 구동되면 모바일 단말의 OS를 통해 NFC 태그의 데이터를 호출하여 추가/갱신하는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App은 태그를 감지한다.
모바일 단말이 태그를 감지(S410)하는 절차의 일례로, 모바일 단말의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App의 요청에 따라 태그를 감지할 수 있다.
태그 감지(S410) 결과 NFC 태그가 감지되면, 'SELECT' 명령을 통해 데이터를 갱신하고자 하는 NDEF 태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S420)한다. 'SELECT' 명령에는 선택하려는 태그 애플릿을 지시하는 지시자(일례로 애플릿 ID)가 포함될 수 있다.
NFC 태그 애플릿이 선택되면, 'SELECT' 명령을 통해 해당 NFC 태그 애플릿에서 갱신할 NDEF 데이터를 선택(S430)한다. 'SELECT' 명령에는 선택하려는 NDEF 데이터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UPDATEBINARY 명령을 전송(S440)하여 선택된 태그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NDEF message를 지우고(erase)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write)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가 적용된 혼성 모드를 갖는 NFC 태그 애플릿의 파일 시스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NFC 태그 애플릿의 NFC 태그 데이터 파일은 고유코드와 쿠폰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유 코드는 읽기 전용의 RO 데이터이며, 쿠폰 데이터는 읽고/쓰기 가능한 RW 데이터의 구체적인 일례이다. 고유코드는 NFC 태그 애플릿을 고유 식별자이거나 NFC 태그 애플릿이 USIM 또는 스마트 카드에 구현되었을 때, USIM 또는 스마트 카드의 사용자에게 부여된 고유 식별자일 수 있다.
고유코드는 최초 애플릿 설치 당시에 기록되어 읽기 전용 데이터로 관리되므로 애플릿 설치 이후, 삭제 또는 변경이 허용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쿠폰 데이터는 RW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는 데이터로 추가, 삭제 등의 갱신이 가능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의 일례로, 모바일 단말이 스마트 카드에 구현된 NFC 태그 애플릿에 모바일 쿠폰 데이터를 추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쿠폰 데이터의 추가 과정에는 도 4의 절차가 적용될 수 있다.
RW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는 모바일 쿠폰 데이터는 쿠폰 발급자에 의해 단말에 전송된 것이거나 단말의 사용자가 다운로드하여 획득한 것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 App은 쿠폰데이터를 획득하여 OS에 NDEF 쓰기(Write)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호출한다 (일례로, 안드로이드(Android) OS의 경우 writeNdefMessage 호출).
모바일 단말은 NFC 태그를 인식(스마트 카드 내에 위치한 유형 4 NFC 태그 애플릿)하고 인식된 유형 4 NFC 태그 애플릿을 선택한다. 유형 4 NFC 태그 애플릿 내에 NDEF 데이터 저장 파일(EF_NDEF)을 선택하고, EF_NDEF에 쿠폰 데이터 저장한다.
RW 영역에 쿠폰 데이터(RW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할 때, NFC 태그 애플릿은 고유코드(RO 데이터)의 길이(length)만큼 오프셋(offset)을 설정하여, EF_NDEF에 쿠폰 데이터 저장 한다. 이러한 오프셋 설정을 통하여 RW 데이터의 삭제/변경에 의해 RO 데이터가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쿠폰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UPDATEBINARY 명령은 쿠폰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할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쿠폰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할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는 UPDATEBINARY 명령을 전달하는 C-APDU 오프셋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NFC 포럼이 규정하는 C-APDU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C-APDU 포맷의 각 필드의 기능을 비롯한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2011년 6월 28일 NFC 포럼에 의해 발간된 'Type 4 Tag Operation Specification, NFC Forum-TS-Type-4-Tag_2.0'를 참조할 수 있다. 실시의 일례로 C-APDU 오프셋 필드의 값은 고유코드의 길이(length)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적용될 수 있는 C-APDU의 각 필드값 설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P1 필드(700)에 오프셋 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프셋 값은 RO 영역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혼성 모드를 갖는 NFC 태그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갱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NFC 태그의 데이터 갱신 절차는 최초 NFC 태그 애플릿을 설정하는 절차와 이후 데이터를 갱신하는 절차로 구별될 수 있다. NFC 태그 애플릿을 설정하는 절차는 최초 NFC 태그 애플릿을 설정하는 절차 이외에 NFC 태그 애플릿을 초기화하여 재설정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를 갱신하는 절차는 초기 설정 여부를 판단(S810)하고, 초기 설정인 경우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를 설정(S820)한다.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는 RO 데이터 영역에 기록될 RO 데이터의 크기(길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예와 같이 NFC 태그에 RO 데이터로 고유 코드가 기록되고, RW 데이터로서 쿠폰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는 RO 데이터 영역에 기록될 고유 코드의 길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고유 코드가 기록될 수 있도록 충분한 저장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유 코드가 기록될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를 A(Length=A)라 한다.
RO 데이터 영역이 설정되면, 고유 코드 발급하여 NFC 태그의 RO 데이터 영역에 기록(S830)한다. 초기설정 단계에서 RO 데이터 영역에 RO 데이터(본 예에서 고유 코드)를 기록할 때 UPDATEBINARY 명령의 오프셋은 0으로 설정한다.
초기 설정된 NFC 태그 애플릿에 RW 데이터 (일례로 쿠폰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 오프셋을 설정(S840)하고, RW 데이터를 갱신(S850)한다.
S840의 오프셋 설정에서 오프셋은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 A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오프셋 0~A 구간은 RO 데이터 영역이므로 RW 데이터를 갱신하고자 할 때에는 UPDATEBINARY 명령의 오프셋은 A보다 더 큰 값으로 설정한다.
도 8의 예에서 태그 애플릿 발급 이후 초기 설정시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르면,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 설정은 태그 애플릿 발급시에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는 태그 애플릿을 발급할 때 인스톨 파라미터(install parameter)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인스톨 파라미터 값은 RO 데이터 영역에 저장될 데이터(e.g. 고유 코드)의 크기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혼성모드를 갖는 하나의 태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하나의 태그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갱신 불가능한 데이터와 갱신 불가능한 데이터를 하나의 태그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갱신 가부에 따른 각각의 이점을 모두 가질 수 있어 보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례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RO 데이터로 고유 코드를, RW 데이터로 쿠폰 데이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NFC 태그의 활용에 있어서 삭제되거나 변경되어서는 안 되는 데이터라면 모두 RO 데이터라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삭제/갱신 가능한 데이터라면 모두 RW 데이터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NFC 태그의 데이터 갱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 여부를 판단한 결과 초기 설정인 경우, 읽기 전용 모드의 RO 데이터가 저장될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RO 데이터 영역에 읽기 전용 모드의 RO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는 상기 RO 데이터의 크기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RO 데이터는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시 상기 NFC 태그에 부여되는 고유코드인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RO 데이터는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시 상기 NFC 태그에 부여되는 상기 NFC 태그 사용자의 식별자인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 여부를 판단한 결과 초기 설정이 아닌 경우,
    읽기/쓰기 모드의 RW 데이터가 저장될 RW 데이터 영역의 위치를 지시하는 오프셋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RW 데이터 영역의 RW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RO 데이터 영역의 길이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RW 데이터 영역의 RW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는,
    UPDATEBINRY 명령을 포함하는 C-APDU(Command -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C-APDU는 상기 오프셋 값으로 설정되는 오프셋 필드를 포함하는 방법.
  9. 파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태그 애플릿을 포함하는 NFC 태그에 있어서, 상기 파일 시스템은:
    복수의 NDEF 데이터를 포함하는 NDEF 파일; 및
    상기 NDEF 파일을 호출하여 상기 복수의 NDEF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하는 CC 파일;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NDEF 데이터는 삭제 및 갱신이 허용되지 아니하는 읽기 전용 모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O 데이터 및 삭제 및 갱신이 허용되는 읽기/쓰기 모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W 데이터를 포함하는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 데이터는 상기 NFC 태그의 RO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W 데이터는 상기 NFC 태그의 RW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며,
    상기 RO 데이터 영역 및 상기 RW 데이터 영역은 상기 NFC 태그의 메모리 영역에서 각각 논리적으로 구별된 메모리 영역인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RO 데이터는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시 상기 NFC 태그에 부여되는 고유코드인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RO 데이터는 상기 NFC 태그의 초기 설정시 상기 NFC 태그에 부여되는 상기 NFC 태그 사용자의 식별자인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
KR1020130064162A 2013-06-04 2013-06-04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 및 그 생성 방법 KR20140142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162A KR20140142566A (ko) 2013-06-04 2013-06-04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 및 그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162A KR20140142566A (ko) 2013-06-04 2013-06-04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 및 그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566A true KR20140142566A (ko) 2014-12-12

Family

ID=5246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162A KR20140142566A (ko) 2013-06-04 2013-06-04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 및 그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25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850B1 (ko) 전송 방법, 전송 시스템, 신뢰받는 서비스 관리자,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모바일 폰
US8799574B2 (en) Method and devices for installing and retrieving linked MIFARE applications
US8811971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sabling applications
TWI474645B (zh) Nfc裝置、通訊裝置及方法
KR100887083B1 (ko) Ic 모듈 및 휴대 전화
JP5033196B2 (ja) データ記憶方法、並びにこの方法を実行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トランスポンダ、読取り/書込み装置、プログラム要素、及びプログラム要素を含む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05008828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FID function and RFID programming method in the same
US9128829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wapping MIFARE applications
US20110034160A1 (en) Trusted service manager managing reports of lost or stol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9342776B2 (en) Method for storing data as well as transponder, a read/write-device,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ing a program element and such a program element adapted to perform this method
CN106951809B (zh) Nfc标签
RU2006130300A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 данных, способ и программа для запомин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портативного терминала
WO2013098117A1 (en) A method to manage contactless communication in a user device
CN104335173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4972706B2 (ja) 独自のメモリ装置識別表示を管理する方法、サーバー及びモバイル通信装置
US20140196120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service issuing method
CN103544114A (zh) 基于单cpu卡的多m1卡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2483791A (zh) 访问管理系统以及访问管理方法
KR101466963B1 (ko) 다중 ndef 데이터를 저장하는 태그 및 그 태그의 데이터 갱신 방법
KR20140142566A (ko) 혼성모드를 지원하는 nfc 태그 및 그 생성 방법
CN112613872A (zh) 作为协议接口的类型4nfc标记
KR20150066750A (ko) Rfid 태그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87046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EP4075333A1 (en) Rfid tag ic with standard-adapted counter increment, and rfid communication system
CN105741104A (zh) 一种脱机交易装置以及基于该脱机交易装置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