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233B1 - 핸드오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핸드오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233B1
KR101047233B1 KR1020080065413A KR20080065413A KR101047233B1 KR 101047233 B1 KR101047233 B1 KR 101047233B1 KR 1020080065413 A KR1020080065413 A KR 1020080065413A KR 20080065413 A KR20080065413 A KR 20080065413A KR 101047233 B1 KR101047233 B1 KR 101047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394A (ko
Inventor
김태근
이재형
임종태
오세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5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233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오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망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 간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기지국 중 하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상기 무선통신 연결을 강제로 해제하는 핸드오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핸드오버 시스템는, 소정의 범위를 커버(cover)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기지국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 간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기지국 중 하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상기 무선통신 연결을 강제로 해제하는 무선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펨토셀 환경에서도 불필요한 활성화 기지국(전술한 제1 기지국)의 무선통신을 해제함으로써 시스템 및 무선망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
매크로 셀, 펨토 셀, Event 1x, 핸드오버

Description

핸드오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Tele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Hand-ov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 기지국(또는 매크로 셀)과 제2 기지국(또는 펨토 셀)의 영역 범위가 겹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2 기지국 신호가 특정 세기 이상으로 강해지는 경우에는 시스템이 직접 제1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과의 무선통신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자원을 절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 보급 및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 업자들이 고품질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끊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그에 대한 일환으로, 초소형 기지국의 한 종류인 펨토셀이 제안 및 개발되었다. 펨토셀(femto cell)은 가정 내 설치 가능한 초소형 기지국을 의미하는 것으로, In-building coverage 및 용량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떠오로고 있으며, 작은 사이즈로 가정 내 설치가 용이한 동시에 기존의 인터넷 망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시스템 설비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발명에 따른 펨토셀을 활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별 영역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1에는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영역에 따른 매크로 셀(Macro cell) 및 펨토 셀(Femto cell) 신호의 세기와, Event 1b가 발생하기 위한 신호의 세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Event 1b(후술할, 모든 Event 1x)는, IMT-2000 서비스의 일종인 비동기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에 대한 문제를 상호 조정하는 국제 협력 기구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정한 규격에 나오는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가 매크로 셀 범위에서 펨토 셀 범위로, 또 펨토셀 범위에서 매크로 셀 범위로 이동함에 따라 각각 매크로 셀 및 펨토셀의 신호의 세기가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1을 보면, 3GPP 규격의 Event 1b가 발생하는 경우가 아주 드물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경우에도 펨토셀 범위에서 커버(cover)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발명의 경우에는, Event 1d 이후에도 이동통신 단말과 매크로 셀 및 펨토 셀 모두와 무선통신 연결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이 제1 기지국(또는 매크로 셀)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제2 기지국(또는 펨토 셀)에 가까워짐에 따라, 3GPP 규격의 Event 1b가 발생하기 전(Event 1d 발생 후) 시스템(후술할 무선망 제어부(500))이 직접 제1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의 무선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망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 간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기지국 중 하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상기 무선통신 연결을 강제로 해제하는 핸드오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핸드오버 시스템는, 소정의 범위를 커버(cover)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기지국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 간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기지국 중 하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상기 무선통신 연결을 강제로 해제하는 무선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망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 간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기지국 중 하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상기 무선통신 연결을 강제로 해제하는 핸드오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또한, 상기 핸드오버 시스템는, 소정의 범위를 커버(cover)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기지국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 간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기지국 중 하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상기 무선통신 연결을 강제로 해제하는 무선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게다가, 상기 기지국부는, 소정의 영역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기지국; 및 가정 내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여기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망으로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또, 상기 무선망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신호가 약해제고 상기 제2 기지국의 신호가 강해짐에 따라 소정의 Event 1d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상기 무선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한편, 상기 기지국부는, 제1 가정 내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1 가정 내 범위와 인접한 제2 가정 내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여기서,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망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또, 상기 무선망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신호가 약해제고 상기 제2 기지국의 신호가 강해짐에 따라 소정의 Event 1b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상기 무선통신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시스템는 소정의 영역 범위에서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기지국; 가정 내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기지국;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신호가 약해제 고 상기 제2 기지국의 신호가 강해짐에 따라 소정의 Event 1d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상기 무선통신을 해제하는 무선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여기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망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시스템는 제1 가정 내 범위에서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기지국; 상기 제1 가정 내 범위와 인접한 제2 가정 내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기지국;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신호가 약해제고 상기 제2 기지국의 신호가 강해짐에 따라 소정의 Event 1d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상기 무선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무선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여기서,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망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무선망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과 제1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제2 기지국의 신호가 강해짐으로써 소정 의 Event 1a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의 상기 무선통신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의 신호가 더 강해짐으로써 소정의 Event 1d가 발생하는 경우, 소정의 베스트 셀(Best cell)을 상기 제2 기지국으로 바꾸는 단계; 및 상기 Event 1d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상기 무선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여기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소정의 영역 범위 및 가정 내 범위 중 어느 하나의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또 여기서, 상기 제2 기지국은, 가정 내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2 기지국(펨토 셀) 신호의 세기가 강해짐에 따라 3GPP 규격의 Event 1d가 발생하는 경우 시스템(전술한 무선망 제어부(500))가 직접 제1 기지국(매크로 셀)의 무선통신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펨토셀 환경에서도 불필요한 활성화 기지국(전술한 제1 기지국)의 무선통신을 해제함으로써 시스템 및 무선망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100), 기지국부(300), 및 무선망 제어부(500)를 포함한다(기지국부(300) 및 무선망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핸드오버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으나, 도면을 명료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면부호는 생략하였다).
이동통신 단말(100)은 이동통신 망을 통해 기지국부(3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휴대폰, PDA 등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떤 것도 가능하다.
기지국부(300)는 소정의 범위를 커버(cover)하도록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1 기지국(310) 및 제2 기지국(330)을 포함한다.
제1 기지국(310)은 소정의 영역 범위에서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소정의 영역 범위는, 제1 기지국(310)이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타원형의 굵은 점선(A)으로 도시하였다(타원형의 크기는 영역 범위의 실제 크기와는 무관한 도식적 도시임).
또한, 경우에 따라서, 제1 기지국(310)은 제1 가정(제2 가정과의 구별을 위해서 쓴 것 이상의 의미는 없음) 내 범위에서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통신을 수 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310) 및 후술할 제2 기지국(330)은 가정 내 설치되어 당해 가정 내 범위에서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정용 초소형 기지국을 의미한다.
한편, 제1 기지국(310)이 가정용 초소형 기지국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 기지국(310) 및 후술할 제2 기지국(330)은, 무선통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이동통신 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은, 인터넷 모뎀 및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상 간단히 기재한 것이다.
제2 기지국(330)은 (제2) 가정 내 범위에서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기지국(330)은 무선통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이동통신 망으로 전달할 수 있다.
무선망 제어부(500)는, 일반적으로, 무선 자원과 기지국에 대한 관리, 및 무선망 제어부(500)와 다른 망 요소 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지국 간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무선망 제어부(500)는, 이동통신 단말(100) 제1 기지국(310)으로부터 멀어지고 제2 기지국(310)에 가까워지면서, 제1 기지국의 신호(310)가 약해제고 제2 기지국(330)의 신호가 강해짐에 따라 소정의 Event 1d(3GPP의 규격 참조)가 발생하는 경우, 제1 기지국(310)과 이동통신 단말(100) 사이의 무선통신 연결을 강제로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기지국으로부터 멀고 가깝다는 의미는 절대적 수치의 특정 거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당해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비례하는 거리의 정도를 의미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이동통신 단말(100)을 제외하고, 제1 기지국(310), 제2 기지국(330), 및 무선망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시스템로 구현할 수도 있는데, 이들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한 핸드오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동통신 단말(100)이 제1 기지국으로부터 멀어지고 제2 기지국에 가까워지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지국 신호는 점점 약해지고, 그에 반비례(선형적 반비례는 아님)하며 제2 기지국 신호는 점점 강해지고 있다. 전술한 기지국 별 신호의 세기 변화에 따라, 3GPP의 규격에 정의된 Event 1a, Event 1d, 및 Event 1b가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이하, 3GPP의 규격의 각 Event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100)이 제1 기지국(310)에 가까운 경우에는 제1 기지국(310)만 활성화 되어 있으므로, 베스트 셀(Best cell)도 제1 기지국(310)이다(이하, 제1 기지국(310)은 전술한 일반 기지국 및 가정용 초소형 기지국 모두 포함). 이후, 이동통신 단말(100)이 제1 기지국(310)으로부터 멀어지면서 Event 1a가 발생한 경우, 베스트 셀(Best cell)은 제1 기지국(310)으로 유지한 상태로 제2 기지국(330)도 활 성화한다. 그후, 제2 기지국(330)의 신호가 점점 강해짐에 따라 Event 1d가 발생한 경우, 제1 기지국(310) 및 제2 기지국(330)을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베스트 셀을 제2 기지국(330)으로 변경한다. 마지막으로, 제2 기지국(330)의 신호가 점점 더 강해지고 제1 기지국(310)의 신호가 미약해짐에 따라 Event 1b가 발생한 경우, 베스트 셀은 제2 기지국(330)으로 유지한 상태로 제1 기지국(310)과 이동통신 단말(100)의 무선통신 연결을 해제한다. 여기서, 전술한 기지국 활성화 및 베스트 셀 설정은 무선망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Event 1b는 본 발명에서는 발생하지 않지만, 설명상 통상적인 핸드오버의 전과정을 설명한 것이고, Event 1b를 제외한 본 발명에 따른 더 상세한 핸드오버 과정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한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콜 플로우(call flow)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먼저, 통상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한 핸드오버에 대해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 이하, 이동통신 단말(100)을 기재의 편의상 간략히 기재하기로 함)이 무선망 제어부(500)에 Event 1a의 발생을 알리면, 무선망 제어부(500)가 제2 기지국(330)에 무선채널 설정을 위한 RL(Radio Link) setup request를 하여 응답을 받고, 무선망 제어부(500)가 단말(100)에 Active Set Update를 통해 제2 기지국(330)을 활성화하고 단말(100)이 Active Set Update complete 신호를 제2 기지국(330)에 송출함으로써 Event 1a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다.
단말(100)이 제2 기지국(330)에 Event 1d의 발생을 알리는 경우에는, 단말(100)이 무선만 제어부(500)에 신호를 송출하여 활성화된 셀은 유지한 상태로 베스트 셀만 제1 기지국(310)에서 제2 기지국(330)으로 변경하도록 한다.
단말(100)이 제2 기지국(330)에 Event 1b의 발생을 알리는 경우에는, 제2 기지국(330)이 무선망 제어부(500)로 무선채널 해제를 위한 RL deletion request를 하여 응답을 받고, 응답받은 무선망 제어부(500)가 단말(100)에 Active Set Update를 하여 단말(100)과 제1 기지국(310)의 무선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단말(100)이 Active Set Update complete 신호를 제2 기지국(330)에 송출함으로써 Event 1b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다. 여기서, 통상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한 핸드오버에 대한 특이점은, 제2 기지국(330)의 활성화 및 무선통신 연결 해제 등 Active Set Update에는 단말(100)의 작용(여기서는, 단말(100)에서 송출하는 Active Set Update complete 신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 Event 1b가 발생하는 경우가 아주 드물기 때문에, 전술한 핸드오버로는 불필요한 경우에도 제1 기지국(310) 및 제2 기지국(330)을 모두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무선자원 낭비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우측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 Event 1d 이후의 과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한 핸드오버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즉, 도2를 참조하여 기 설명한 바와 같이, Event 1d 발생한 경우, 무선망 제어부(500)가 직접 제1 기지국(310)과 단말(100)의 무선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통상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한 핸드오버와는 달리, 단말(100)의 작용없이 시스템(전술한 무선망 제어부(500))이 직접 불필요한 제1 기지국(310)의 무선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단말(100)과 제1 기지국(310)이 무선통신을 수행한다(S101).
Event 1a 발생시, 무선망 제어부(500)에 의해 단말(100)과 제2 기지국(330) 간의 무선통신을 활성화한다(S102).
Event 1d 발생시, 단말(100)이 무선망 제어부(500)로 신호를 송출하여, 베스트 셀을 제1 기지국에서 제2 기지국(330)으로 변경하도록 한다(S103).
Event 1d 발생 후, 무선망 제어부(500)가 단말(100)과 제1 기지국(310) 간의 무선통신 연결을 해제한다(S104). 즉, Event 1d가 발생하면, Event 1b가 발생하기 전에 시스템(무선망 제어부(500))이 직접 제1 기지국(310)의 무선통신을 해제하는 것이다.
여기서, 'Event 1x 발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간략히 기재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 기지국(또는 매크로 셀)과 제2 기지국(또는 펨토 셀)의 영역 범위가 겹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2 기지국 신호가 특정 세기 이상으로 강해지는 경우에는 시스템이 직접 제1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과의 무선통신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자원을 절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펨토셀 환경에서도 불필요한 활성화 기지국(전술한 제1 기지국)의 무선통신을 해제함으로써 시스템 및 무선망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발명에 따른 펨토셀을 활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별 영역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한 핸드오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한 핸드오버 과정에서의 콜 플로우(call flow)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부호 설명>
100: 이동통신 단말
300: 기지국부
310: 제1 기지국
330: 제2 기지국
500: 무선망 제어부

Claims (15)

  1.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망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소정의 범위를 커버(cover)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기지국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 간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기지국 중 하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무선통신 연결을 강제로 해제하는 무선망 제어부를 구비하는 핸드오버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망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제1 기지국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신호가 약해지고 제2 기지국의 신호가 강해짐에 따라 핸드오버 방식에서 정의된 베스트 셀 변경에 해당되는 소정 Event 1d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상기 무선통신을 해제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부는,
    소정의 영역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가정 내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망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부는,
    제1 가정 내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1 가정 내 범위와 인접한 제2 가정 내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망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삭제
  9.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영역 범위에서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기지국;
    가정 내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기지국;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신호가 약해지고 상기 제2 기지국의 신호가 강해짐에 따라 핸드오버 방식에서 정의된 베스트 셀 변경에 해당되는 소정 Event 1d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상기 무선통신을 해제하는 무선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이동통신 망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시스템.
  11.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시스템에 있어서,
    제1 가정 내 범위에서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기지국;
    상기 제1 가정 내 범위와 인접한 제2 가정 내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기지국;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신호가 약해지고 상기 제2 기지국의 신호가 강해짐에 따라 핸드오버 방식에서 정의된 베스트 셀 변경에 해당되는 소정 Event 1d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무선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무선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이동통신 망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시스템.
  13. 이동통신 단말,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무선망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과 제1 기지국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제2 기지국의 신호가 강해짐으로써 소정의 Event 1a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의 상기 무선통신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의 신호가 더 강해짐으로써 핸드오버 방식에서 정의된 베스트 셀 변경에 해당되는 소정 Event 1d가 발생하는 경우, 베스트 셀을 상기 제2 기지국으로 바꾸고,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무선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소정의 영역 범위 및 가정 내 범위 중 어느 하나의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가정 내 범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80065413A 2008-07-07 2008-07-07 핸드오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04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413A KR101047233B1 (ko) 2008-07-07 2008-07-07 핸드오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413A KR101047233B1 (ko) 2008-07-07 2008-07-07 핸드오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94A KR20100005394A (ko) 2010-01-15
KR101047233B1 true KR101047233B1 (ko) 2011-07-06

Family

ID=4181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413A KR101047233B1 (ko) 2008-07-07 2008-07-07 핸드오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2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666A (ko) * 2003-11-04 2005-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망에서 핸드오버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45096A (ko) * 2008-04-11 2008-05-22 (주) 콘텔라 펨토셀 제어기의 펨토셀 페이징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666A (ko) * 2003-11-04 2005-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망에서 핸드오버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45096A (ko) * 2008-04-11 2008-05-22 (주) 콘텔라 펨토셀 제어기의 펨토셀 페이징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94A (ko)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976B1 (ko) 피코셀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기지국
JP6154541B2 (ja) 協調ハンドオーバを伴う動的な無線カバレッジエリア遷移の管理
KR100901318B1 (ko) Wcdma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전용 펨토셀 시스템의음성호와 영상호 서비스 방법 및 그 펨토셀 시스템
WO200812875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base station of a wireless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1493624B1 (ko) X2 핸드오버 절차 중에 타겟 셀의 가입자 액세스 그룹을 코어 네트워크에 통지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 이동 관리 엔티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10104595B2 (en) Method of automatically adjusting mobility parameter
CN102238560A (zh) 小区休眠的处理方法及系统
KR101433486B1 (ko) 홈 기지국의 비성공적인 dl 패킷 합계
JP201251945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の不連続動作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制御システム
KR101241677B1 (ko) 펨토 기지국의 슬립모드 설정방법 및 장치
WO2012086621A1 (ja) 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
TW200727717A (en) Method for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3999519A (zh) 通信系统
CN104980945A (zh) 一种封闭成员组身份状态更新的方法、系统及基站
CN102917419A (zh) 一种切换操作方法和系统
JP5026621B2 (ja) 基地局および基地局の制御方法
CN101053182B (zh) 用于双频/双模移动通信终端的控制方法和数据呼叫切换方法
JP7295221B2 (ja) 干渉処理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KR101047233B1 (ko) 핸드오버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N102083051A (zh) 一种业务通路切换方法及其装置
JP4839098B2 (ja) 移動体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10062319A (ko) 효율적인 하드 핸드오버를 갖는 패킷 스위칭 모빌 무선통신 시스템
CN103533576A (zh) 用户终端的接入对象的确定方法、系统及装置
MX2011012966A (es) Metodo para el manejo de la comunicacion entre un equipo de usuario y un controlador de red de radio y programa para el control de un controlador de red de radio.
CN101141816B (zh) 一种主控msc获取服务msc下移动终端位置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