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226B1 - Burst Length Counter in Combo Memory Device - Google Patents

Burst Length Counter in Combo Memor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226B1
KR101046226B1 KR1020050034975A KR20050034975A KR101046226B1 KR 101046226 B1 KR101046226 B1 KR 101046226B1 KR 1020050034975 A KR1020050034975 A KR 1020050034975A KR 20050034975 A KR20050034975 A KR 20050034975A KR 101046226 B1 KR101046226 B1 KR 101046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urst length
burst
pulse signal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9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12483A (en
Inventor
차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50034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226B1/en
Publication of KR2006011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4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2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DDR SDRAM과 DDR2/DDR3 SDRAM의 기능을 모두 내장하는 콤보 메모리 장치의 버스트 길이 카운터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길이 카운터는 외부로부터의 리드 또는 라이트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콤보 메모리 장치의 제 1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인에이블시키는 제 1 펄스 신호와, 상기 제 1 펄스 신호 발생후, 버스트 길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 2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인에이블시키는 제 2 펄스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및 제 2 버스트 카운트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DDR SDRAM과 DDR2/DDR3 SDRAM중 어떤 기능에 적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휴즈부를 구비하며, 상기 휴즈부의 절단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트 카운터 신호의 카운터 순서를 달리하여 상기 제 2 펄스 신호의 펄스 발생 횟수를 조절한다.

Figure R1020050034975

A burst length counter of a combo memory device incorporating both the functions of DDR SDRAM and DDR2 / DDR3 SD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urst length counter is configured to be the first internal of the combo memory device in response to a read or write command from the outside. Receiving a first pulse signal for enabling a column address signal and a second pulse signal for enabling a second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to satisfy a burst length after generation of the first pulse signal, thereby receiving first and second bursts; A fuse unit for generating a count signal and determining which function is applied to the DDR SDRAM and the DDR2 / DDR3 SDRAM; and a counter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burst counter signals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the fuse unit is disconnected. The number of pulses generated by the second pulse signal is adjusted.

Figure R1020050034975

Description

콤보 메모리 장치의 버스트 길이 카운터{Burst length counter of combo memory device}Burst length counter of combo memor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언급한 버스트 길이 제어부의 일예이다. FIG. 2 is an example of the burst length controller mentioned in FIG. 1.

도 3은 도 2에서 언급한 버스트 길이 카운터의 일예이다. 3 is an example of the burst length counter mentioned in FIG.

도 4는 버스트 길이=8이고, 메모리 장치를 DDR SDRAM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의 도 2 및 도 3의 회로에 적용되는 신호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4 is a waveform diagram of a signal applied to the circuits of FIGS. 2 and 3 when a burst length = 8 and a memory device is to be used as a DDR SDRAM.

도 5는 버스트 길이=8인 경우, DDR SDRAM에 적용한 경우와 DDR2/DDR3 SDRAM에 적용한 경우를 구분하여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FIG. 5 is a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the case where burst length = 8 is applied to the DDR SDRAM and the case applied to the DDR2 / DDR3 SDRAM.

본 발명은 메모리 장치의 버스트 길이 카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DDR SDRAM과 DDR2/DDR3 SDRAM의 기능을 동시에 내장하고 있는 콤보형 메모리 장치의 버스트 길이 카운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st length counter of a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rst length counter of a combo-type memory device incorporating the functions of DDR SDRAM and DDR2 / DDR3 SDRAM simultaneously.

일반적으로, DDR SDRAM은 2 비트 프리페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DDR2/DDR3 SDRAM은 4 비트 프리페치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버스트 길이가 4인 경우, DDR SDRAM은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2번 발생시켜야 하는 반면에, DDR2/DDR3 SDRAM은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1번 발생시키는 것으로 족하다. 또한, 버스트 길이가 8인 경우, 2비트 프리페치 기능을 갖는 DDR SDRAM은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4번 발생시켜야 하는 반면에, 4비트 프레페치 기능을 갖는 DDR2/DDR3 SDRAM은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2번 발생시키는 것으로 족하다.In general, DDR SDRAM has a 2-bit prefetch capability, while DDR2 / DDR3 SDRAM has a 4-bit prefetch capability. Therefore, when the burst length is 4, the DDR SDRAM must generate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twice, whereas the DDR2 / DDR3 SDRAM is sufficient to generate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once. Also, when the burst length is 8, DDR SDRAM with 2-bit prefetch must generate an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four times, while DDR2 / DDR3 SDRAM with 4-bit prefetch can generate 2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s. It is enough to generate once.

그런데, 이러한 버스트 길이 동작과 관련하여, 종래의 콤보형 메모리 장치는 DDR SDRAM용 버스트 길이 카운터와 DDR2/DDR3 SDRAM용 버스트 길이 카운터를 각각 내장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구조는 칩 면적 절감이라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지상과제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connection with such a burst length operation, the conventional combo-type memory device has a built-in burst length counter for DDR SDRAM and a burst length counter for DDR2 / DDR3 SDRAM, respectively. There was a problem against this task.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콤보형 메모리 장치의 버스트 길이 카운터에서 출력되는 카운트 비트의 초기값을 달리하여 DDR SDRAM이 선택된 경우와 DDR2/DDR3 SDRAM이 선택된 경우에 따라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의 발생 횟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and the internal column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DDR SDRAM is selected and the DDR2 / DDR3 SDRAM is selected by changing the initial value of the count bits output from the burst length counter of the combo-type memory device. A memor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an address signal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DDR SDRAM과 DDR2/DDR3 SDRAM의 기능을 모두 내장하는 콤보 메모리 장치의 버스트 길이 카운터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길이 카운터는 외부로부터의 리드 또는 라이트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콤보 메모리 장치의 제 1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인에이블시키는 제 1 펄스 신호와, 상기 제 1 펄스 신호 발생후, 버스트 길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 2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인에이블 시키는 제 2 펄스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및 제 2 버스트 카운트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DDR SDRAM과 DDR2/DDR3 SDRAM중 어떤 기능에 적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휴즈부를 구비하며, 상기 휴즈부의 절단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트 카운터 신호의 카운터 순서를 달리하여 상기 제 2 펄스 신호의 펄스 발생 횟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urst length counter of a combo memory device incorporating both the functions of DDR SDRAM and DDR2 / DDR3 SD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urst length counter is configured to be the first internal of the combo memory device in response to a read or write command from the outside. Receiving a first pulse signal for enabling a column address signal and a second pulse signal for enabling a second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to satisfy a burst length after generation of the first pulse signal, thereby receiving first and second bursts; A fuse unit for generating a count signal and determining which function is applied to the DDR SDRAM and the DDR2 / DDR3 SDRAM; and a counter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burst counter signals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the fuse unit is disconnect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pulses generated by the second pulse signal.

본 발명에서, 상기 버스트 길이가 8이고, 상기 DDR SDRAM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 2 펄스 신호는 3 개의 연속적인 펄스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버스트 길이가 8이고, 상기 DDR2/DDR3 SDRAM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 2 펄스 신호는 1 개의 펄스 신호를 발생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urst length is 8 and the DDR SDRAM is selected, the second pulse signal generates three consecutive pulse signals, when the burst length is 8 and the DDR2 / DDR3 SDRAM is selected, The second pulse signal generates one pulse signal.

(실시예)(Examp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커맨드 디코더(101)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칩 셀렉터 신호(cs)와 라스 신호(ras)와 카스 신호(cas)와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와 클락신호(clk)와 버스트 길이동안 인에이블되어 있는 버스트 인에이블 신호(yburst) 등을 수신하여 내부 신호(casp_wt, casp_rd, icasp)를 발생하는 디코딩 회로이다. 여기서, 신호(casp_wt)는 외부의 라이트 커맨드 인가시 생성되는 내부 라이트 펄스 신호이고, 신호(casp_rd)는 외부의 리드 커맨드 인가시 생성되는 내부 리드 펄스 신호이고, 신호(icasp)는 버스트 길이 동작을 위해서 생성된 내부 펄스 신호로서 사실상 메모리 장치의 내부 회로에 공급되어 라이트 또는 리드 동작을 인에이블시키는 펄스 신 호이다. In Fig. 1, the command decoder 101 has a chip selector signal cs, a ras signal, a ras signal, a cas signal, a write enable signal we, a clock signal clk, and a burst length. A decoding circuit for receiving the enabled burst enable signal (yburst) and the like and generating the internal signals (casp_wt, casp_rd, icasp). Here, the signal casp_wt is an internal write pulse signal generated when an external write command is applied, the signal casp_rd is an internal read pulse signal generated when an external read command is applied, and the signal icasp is used for burst length operation. The generated internal pulse signal is actually a pulse signal that is supplied to an internal circuit of the memory device to enable the write or read operation.

버스트 길이 제어부(102)는 커맨드 디코더의 출력신호(casp_wt, casp_rd, icasp)와 후술될 버스트 길이 카운터(103)에서 출력되는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0>, blcnt<1>)와 버스트 길이 신호(bl2, bl8)를 수신하여 버스트 인에이블 신호(yburst)와 신호(extp, intp)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The burst length control unit 102 outputs the output signals casp_wt, casp_rd, and icasp of the command decoder, the burst count signals blcnt <0>, blcnt <1> and the burst length signals (output from the burst length counter 103 to be described later). A circuit for receiving bl2 and bl8 and outputting a burst enable signal yburst and signals extp and intp.

버스트 길이 카운터(103)는 버스트 길이 제어부(102)의 출력신호(extp, intp)를 수신하여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0>, blcnt<1>)를 출력하는 회로이다.The burst length counter 103 is a circuit which receives the output signals extp and intp of the burst length control part 102 and outputs the burst count signals blcnt <0> and blcnt <1>.

도 2는 도 1에서 언급한 버스트 길이 제어부의 일예이다. FIG. 2 is an example of the burst length controller mentioned in FIG. 1.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내부 라이트 펄스 신호(casp_wt)와 내부 리드 펄스 신호(casp_rd)의 논리 조합에 의하여 신호(extp)를 생성하고, 내부 펄스 신호(icasp)를 일정 시간 지연하여 신호(intp)를 생성한다. As shown in FIG. 2, the signal extp is generated by a logical combination of the internal write pulse signal casp_wt and the internal read pulse signal casp_rd, and the internal pulse signal icasp is de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to generate the signal int. Create

도 2에서, 파워업신호(pwrup)는 외부전압이 안정 레벨에 도달하였을때 이를 감지하여 내부 회로를 동작시키는 초기화 신호인다. 또한, "bl2"가 인에이블되면, 버스트 길이 2로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bl8"가 인에이블되면 버스트 길이 8로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b12" 및 "bl8"이 모두 디스에이블되면 버스트 길이 4로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버스트 스탑 인에이블 신호(bstenp)는 버스트 동작을 종료하는 신호이고, 신호(term)은 버스트 길이 동안 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이를 갑자기 차단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인터럽트 신호이다. In FIG. 2, the power-up signal pwrup is an initialization signal that detects when an external voltage reaches a stable level and operates an internal circuit. Also, if "bl2" is enabled, it means that it will operate with a burst length of 2; if "bl8" is enabled, it means that it will operate with a burst length of 8; if both "b12" and "bl8" are disabled, it will burst. It means it works with length 4. The burst stop enable signal bstenp is a signal for terminating the burst operation, and the signal is an interrupt signal applied to abruptly block the read or write operation during the burst length.

도 3은 도 2에서 언급한 버스트 길이 카운터의 일예이다. 3 is an example of the burst length counter mentioned in FIG.

도시된 바와같이, 버스트 길이 제어부의 출력신호(intp, extp)를 수신하여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1>, blcnt<0>)를 출력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put signals intp and extp of the burst length control unit are received to output the burst count signals blcnt <1> and blcnt <0>.

먼저, 휴즈를 절단하여 도 3의 회로를 DDR SDRAM에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First, the case where the fuse is cut and the circuit of FIG. 3 is applied to the DDR SDRAM will be described.

휴즈를 절단하는 경우, 노드(A)는 로우 레벨이 된다. 이때, 신호(extp)가 한번 하이 펄스로 입력되면 버스트 길이 카운터의 출력신호인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0>)는 하이 레벨을 유지하고,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1>)는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그리고, 버스트 길이 동작에 의하여 내부적으로 신호(intp)가 생성되어지고, 이 신호에 의하여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0>)는 로우 레벨을 천이하고,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1>)는 하이 레벨을 천이한다. 예컨대, DDR SDRAM에서 버스트 길이=8 동작인 경우 외부 커맨드에 의하여 신호(extp)는 한 번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버스트 길이 동작에 의하여 신호(intp)는 연속하는 3 개의 펄스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버스트 길이=8인 경우,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는 4번 인에이블된다. 버스트 길이=8 동작에서의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1>, blcnt<0>)는 01, 10, 11, 00 의 순서로 변한다. 여기서,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1>, blcnt<0>)가 모두 하이 레벨인 경우 버스트 길이 동작을 중지시키는 기능을 갖는 신호(yburst)가 디스에이블된다. When cutting the fuse, node A is at a low level. At this time, when the signal extp is input as a high pulse, the burst count signal blcnt <0>, which is an output signal of the burst length counter, maintains a high level, and the burst count signal blcnt <1> maintains a low level. do. The signal int is generated internally by the burst length operation, and the burst count signal blcnt <0> transitions to a low level by the burst length operation, and the burst count signal blcnt <1> is a high level. To transition. For example, when the burst length = 8 operation in the DDR SDRAM, the signal extp generates one pulse signal by an external command, and the signal int generates three consecutive pulses by the burst length operation. Thus, when burst length = 8,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is enabled four times. The burst count signals blcnt <1> and blcnt <0> in the burst length = 8 operation change in the order of 01, 10, 11, 00. Here, when the burst count signals blcnt <1> and blcnt <0> are all at a high level, a signal yburst having a function of stopping the burst length operation is disabled.

다음, 휴즈를 그대로 연결한 상태에서, 도 3의 회로를 DDR2/DDR3 SDRAM에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Next, a case where the circuit of FIG. 3 is applied to a DDR2 / DDR3 SDRAM while the fuse is connected as it is will be described.

휴즈가 연결된 경우, 노드(A)는 하이 레벨이다. 이때, 리드 커맨드 또는 라이트 커맨드에 의하여 신호(extp)가 처음 인가되면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0>)와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1>)는 모두 하이 레벨이 되어 신호(yburst)를 디스에이블시킨다. DDR SDRAM이 경우와 달리, 신호(extp)가 한 번 그리고 신호(intp)가 한 번씩 인에이블되어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인에이블시킨다. When the fuse is connected, node A is at a high level. At this time, when the signal extp is first applied by the read command or the write command, the burst count signal blcnt <0> and the burst count signal blcnt <1> are both at a high level to disable the signal yburst. . Unlike DDR SDRAM, signal extp is enabled once and signal int once to enable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도 4는 버스트 길이=8이고, 메모리 장치를 DDR SDRAM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의 도 2 및 도 3의 회로에 적용되는 신호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4 is a waveform diagram of a signal applied to the circuits of FIGS. 2 and 3 when a burst length = 8 and a memory device is to be used as a DDR SDRAM.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리드 커맨드 또는 라이트 커맨드에 응답하여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의 발생을 촉발하는 신호(extp)가 한번 발생한 후에, 버스트 길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신호(intp)가 연속적으로 3 번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신호(extp, intp)는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의 발생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이는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가 4번 인에이블되어 8비트의 데이타를 리드 또는 라이트 함을 의미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1>, blcnt<0>)는 01, 10, 11, 00 로 변하며, 11 인 경우에 신호(yburst)가 로우 레벨로 디스에이블되어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의 발생을 차단한다. As can be seen in FIG. 4, after the signal extp that triggers the generation of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is generated once in response to the read command or the write command, the signal int is generated three times in succession to satisfy the burst length. It can be seen that. Since the signals extp and intp are associated with the generation of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this means that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is enabled four times to read or write 8 bits of data. As shown, the burst count signals blcnt <1>, blcnt <0> change to 01, 10, 11, 00, and if 11, the signal yburst is disabled to a low level so that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Block the occurrence.

도 5는 버스트 길이=8인 경우, DDR SDRAM에 적용한 경우와 DDR2/DDR3 SDRAM에 적용한 경우를 구분하여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FIG. 5 is a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the case where burst length = 8 is applied to the DDR SDRAM and the case applied to the DDR2 / DDR3 SDRAM.

DDR SDRAM의 파형도는 도 4와 사실상 동일하며, DDR2/DDR3 SDRAM의 경우는 신호(extp)와 신호(intp)가 각각 한번씩 발생되어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인에이블시킴을 알 수 있다. DDR2/DDR3 SDRAM의 경우는 4비트 프리페치 기능을 가지 므로, 신호(extp)에 의하여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가 인에이블될 때 4 비트 데이타를 리드 또는 라이트 하고, 신호(intp)에 의하여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가 인에이블될 때 4 비트 데이타를 리드 또는 라이트 하므로, 결과적으로 8 비트 데이타 처리가 가능해진다. The waveform diagram of the DDR SDRAM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FIG. 4, and in the case of the DDR2 / DDR3 SDRAM, the signal extp and the signal int are generated once each to enable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Since DDR2 / DDR3 SDRAM has a 4-bit prefetch function, when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is enabled by the signal extp, the 4-bit data is read or written and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by the signal int. Reads or writes 4-bit data when is enabled, resulting in 8-bit data processing.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시 한 번 요약하면, 2 비트의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1>, blcnt<0>)가 모두 하이 레벨이 되면 신호(yburst)를 디스에이블시켜 버스트 길이를 종료하는 과정으로서, DDR SDRAM의 경우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1>, blcnt<0>)를 01, 10, 11, 00 순으로 변화시키고, DDR2/DDR3 SDRAM의 경우는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1>)는 하이 레벨로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0>)를 0, 1, 0 순으로 변화시켜 버스트 길이 동작을 수행한다. Summarizing once ag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wo-bit burst count signals blcnt <1> and blcnt <0> are all at a high level, the process terminates the burst by disabling the signal yburst. In the case of DDR SDRAM, the burst count signals (blcnt <1>, blcnt <0>) are changed to 01, 10, 11, and 00, and in the case of DDR2 / DDR3 SDRAM, the burst count signals (blcnt <1>) are set to high. In the state fixed at the level, the burst count signal blcnt <0> is changed in the order of 0, 1, and 0 to perform the burst length operation.

즉, DDR SDRAM의 경우는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1>, blcnt<0>)가 11인 경우에 이를 인식하여 신호(yburst)를 디스에이블시키고, DDR2/DDR3 SDRAM의 경우는 버스트 카운트 신호(blcnt<0>)가 하이 레벨임을 인식하여 신호(yburst)를 디스에이블시킨다. 참고로,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신호(yburst)는 리드 커맨드 또는 라이트 커맨드 인가시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처음으로 인에이블 시키는 신호(extp)가 발생한 후에 하이 레벨로 인에이블되고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추가적으로 발생시키는 신호(intp)에 의하여 버스트 길이에 해당하는 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 디스에이블된다. That is, in case of DDR SDRAM, when the burst count signals blcnt <1> and blcnt <0> are 11, the signal is recognized and disabled, and in the case of DDR2 / DDR3 SDRAM, the burst count signal blcnt (0) disables the signal yburst by recognizing that it is at a high level. For reference, 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the signal yburst is enabled at a high level after the signal extp occurs to enable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for the first time when the read command or the write command is applied and additionally adds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The signal is generated at the time when the read or writ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burst length is completed.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회로를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DDR SDRAM이 선택된 경우에는 2 비트 프리페치 기능을 가지므로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4번 인에이블시켜 8개의 데이타를 스트로빙(strobing)하고, DDR2/DDR3 SDRAM이 선택된 경우에는 4 비트 프리페치 기능을 가지므로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2번만 인에이블시켜 8개의 데이타를 스트로빙(strobing)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in the case of applying th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DR SDRAM is selected, it has a 2-bit prefetch function, thereby enabling 8 times of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s to strobe 8 data. In addition, when DDR2 / DDR3 SDRAM is selected, it has a 4-bit prefetch function, so it can be understood that eight data can be strobe by enabling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only twice.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하나의 버스트 길이 카운타를 사용함으로써, 콤보 메모리 장치를 DDR SDRAM 또는 DDR2/DDR3 SDRAM중의 하나로 선택하는 경우,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의 발생을 횟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By using one burst length count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bo memory device is selected as either DDR SDRAM or DDR2 / DDR3 SDRAM, the number of generations of the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Claims (2)

DDR SDRAM과 DDR2/DDR3 SDRAM의 기능을 모두 내장하는 콤보 메모리 장치의 버스트 길이 카운터에 있어서,In the burst length counter of a combo memory device that incorporates the functions of both DDR SDRAM and DDR2 / DDR3 SDRAM, 상기 버스트 길이 카운터는 외부로부터의 리드 또는 라이트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콤보 메모리 장치의 제 1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인에이블시키는 제 1 펄스 신호와, 상기 제 1 펄스 신호 발생후, 버스트 길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 2 내부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인에이블시키는 제 2 펄스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및 제 2 버스트 카운트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DDR SDRAM과 DDR2/DDR3 SDRAM중 어떤 기능에 적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휴즈부를 구비하며, The burst length counter may include a first pulse signal for enabling a first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of the combo memory device in response to a read or write command from an external source, and for satisfying a burst length after generating the first pulse signal. Receives a second pulse signal to enable a second internal column address signal to generate the first and second burst count signal, and has a fuse to determine which function of the DDR SDRAM and DDR2 / DDR3 SDRAM to apply to , 상기 휴즈부의 절단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트 카운터 신호의 카운터 순서를 달리하여 상기 제 2 펄스 신호의 펄스 발생 횟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보 메모리 장치의 버스트 길이 카운터. The burst length counter of the combo memory device, wherein the number of pulses generated by the second pulse signal is adjusted by changing a counter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burst counter signals according to whether the fuse is cut.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스트 길이가 8이고, 상기 DDR SDRAM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 2 펄스 신호는 3 개의 연속적인 펄스 신호를 발생하고,When the burst length is 8 and the DDR SDRAM is selected, the second pulse signal generates three consecutive pulse signals, 상기 버스트 길이가 8이고, 상기 DDR2/DDR3 SDRAM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 2 펄스 신호는 1 개의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버스트 길이 카운터.And when the burst length is 8 and the DDR2 / DDR3 SDRAM is selected, the second pulse signal generates one pulse signal.
KR1020050034975A 2005-04-27 2005-04-27 Burst Length Counter in Combo Memory Device KR1010462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975A KR101046226B1 (en) 2005-04-27 2005-04-27 Burst Length Counter in Combo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975A KR101046226B1 (en) 2005-04-27 2005-04-27 Burst Length Counter in Combo Memo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483A KR20060112483A (en) 2006-11-01
KR101046226B1 true KR101046226B1 (en) 2011-07-04

Family

ID=3762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975A KR101046226B1 (en) 2005-04-27 2005-04-27 Burst Length Counter in Combo Memor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22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824A (en) * 2003-01-30 200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reading the data of signature fuse through normal read operation and method for reading the data of signature fuse through normal read operation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50033679A (en) * 2003-10-07 2005-04-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A control device for adress strobe sig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824A (en) * 2003-01-30 200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reading the data of signature fuse through normal read operation and method for reading the data of signature fuse through normal read operation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50033679A (en) * 2003-10-07 2005-04-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A control device for adress strobe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483A (en) 200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429B1 (en) Providing a ready-busy signal from a non-volatile memory device to a memory controller
JP490760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reamble function
JP2009118479A (en) On-die termination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705663A2 (en) Semiconductor memory and system apparatus
KR101065336B1 (en) Semiconductor device, memory system amd method for controlliing termination of memory device
US20050248375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ability to adjust impedance of data output driver
JP2004311002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78249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llowing mounting of built-in self test circuit without addition of interface specification
JP3753606B2 (en) Operation mode setting circuit and method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571739B1 (en) Semiconductor memory circuit
CN112041925B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strobe signal during read operation
CN111108561A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write preamble in DDR memory devices
US6628566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cell operations by using frequency information of a clock signal
JP2001243796A (en)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memory, and test mode entry method
US7042800B2 (en) Method and memory system in which operating mode is set using address signal
US602604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305021B1 (en) Lars access time control circuit
KR101046226B1 (en) Burst Length Counter in Combo Memory Device
KR100548563B1 (en) Data pass control device for masking write ringing in the DDR SDRAM and the method thereof
KR100545704B1 (en) Column Selection Signal Pulse Width Control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50270884A1 (en) Memory circuit, and method for reading out data contained in the memory circuit using shared command signals
JP2015207333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403315B1 (en) Equalization and precharge control signal generating device of data bus
KR100286346B1 (en) Refresh circuit for synchronous dram
JPH0955087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