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989B1 - System for realizing online/offline pervasive game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alizing online/offline pervasive g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989B1
KR101045989B1 KR1020110041048A KR20110041048A KR101045989B1 KR 101045989 B1 KR101045989 B1 KR 101045989B1 KR 1020110041048 A KR1020110041048 A KR 1020110041048A KR 20110041048 A KR20110041048 A KR 20110041048A KR 101045989 B1 KR101045989 B1 KR 101045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team
mobile terminal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0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봉교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9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PURPOSE: An online and offline pervasive game realization system is provided to enable game participants to advance in a game in many situations generated in a space in which the real world is naturally modeled. CONSTITUTION: A game server receives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S510). The game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terminal location coordinate information is in a previously designated distance range(S530). If the distance difference exceeds the previously designated distance range, the game server generates a first digital game map which is modeled after a real space of a neighboring location of a first team mobile terminal(S540).

Description

온라인 및 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시스템{SYSTEM FOR REALIZING ONLINE/OFFLINE PERVASIVE GAME}Online and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system {SYSTEM FOR REALIZING ONLINE / OFFLINE PERVASIVE GAME}

본 발명은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참가자가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걸쳐서 실제 세계와 상호 작용하면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게임 구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me implementation system implemented so that a game participant can play a game while interacting with the real world both online and offline.

종래에 컴퓨터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게임에서는 사용자가 게임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으로 게임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한편, 닌텐도 Wii 처럼 게임서버에 온라인으로 연결하지 않고, 단일 머신을 이용하여 게임 참가자가 실제로 몸을 사용하는 실감형 게임을 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컴퓨터 근처에 머물러 있어야 하였다. 이것이 종래의 온라인 게임 및 콘솔 게임의 한계라 할 수 있다.In a conventional network game using a computer, it is common for a user to connect to a game server and play a game online. On the other hand, instead of connecting to a game server online like the Nintendo Wii, a single machine can be used to play a realistic game where the player actually uses the body, but in this case, the user had to stay near the computer. This is a limitation of conventional online games and console games.

즉,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온라인 컴퓨터 게임은 게임을 하는 동안 게임 참가자가 컴퓨터 앞에 앉아 있어야만 하고, 실제 세계가 아닌 가상공간 속에서 상대 참가자와 게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온라인 가상공간에만 머물러 있는 기존의 컴퓨터 게임의 한계를 극복하고, 온라인과 실세계를 연결하여 게임 참가자들이 온라인을 통해 게임을 하면서도 오프라인을 통해 실세계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게임(즉,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 general, an online computer game requires a game participant to sit in front of a computer while playing a game, and plays a game with an opponent in a virtual space rather than in the real world. Therefore, a new concept of game (ie,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computer games that only reside in the online virtual space) and connecting the online and real worlds, allows game participants to participate directly in the real world through offline while playing games onlin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implement online / offline ubiquitous games.

본 발명은 게임 단말기들이 온라인으로 게임서버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게임의 성격을 가지면서, 동시에 게임참가자들은 컴퓨터가 만들어낸 가상세계가 아닌 실세계를 그대로 모델링한 공간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하에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network game in which game terminals are connected to a game server online, and at the same time, game participants can play a game under various situations that occur in a space modeled as a real world rather than a virtual world created by a computer. It provides an online and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온라인 및 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nline and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system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시스템은,Online and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터넷 통신 모듈이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팀 고정 단말;At least one first team fixed terminal hav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thereon;

이동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전자나침반(e-Compass), 기울기 센서가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팀 이동 단말;At least one first team mobile terminal o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an e-compass, and a tilt sensor are mounted;

인터넷 통신 모듈이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팀 고정 단말;At least one second team fixed terminal hav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thereon;

이동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전자나침반(e-Compass), 기울기 센서가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팀 이동 단말; 및At least on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an e-compass, and a tilt sensor; And

상기 제1 팀 고정 단말 및 상기 제2 팀 고정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게임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game server connected to the first team fixed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fixed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and connected to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 경우, 상기 게임 서버는,In this case, the game server,

(a) 상기 제1 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각각의 단말 위치 좌표 정보를 수신하고,(a) receiving respectiv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b) 제1 팀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와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 간의 거리 차가 미리 지정된 거리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b) determining whether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c)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거리 차가 상기 미리 지정된 거리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c)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distance difference exceeds the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상기 제1 팀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팀 이동 단말의 위치가 표시되고 상기 제1 팀 이동 단말의 위치 주변의 실제 공간을 모델링한 제1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상기 제1 팀 고정 단말로 전송하며,Based on th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 position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and generates a first digital game map modeling a real space around the position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Transmit the first digital game map to the first team fixed terminal;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의 위치가 표시되고 상기 제2팀 이동 단말의 위치 주변의 실제 공간을 모델링한 제2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상기 제2팀 고정 단말로 전송하며,Based on th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 location of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and generates a second digital game map modeling a real space arou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nd transmit the second digital game map to the second team fixed terminal.

(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거리 차가 상기 미리 지정된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distance differenc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상기 제1 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의 각각의 단말 위치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팀 이동 단말의 위치 및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의 위치가 모두 표시되고 상기 제1팀 이동 단말의 위치 및 상기 제2팀 이동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실제 공간을 모델링한 제3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상기 제1 팀 고정 단말 및 상기 제2 팀 고정 단말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Based on the positional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both the position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re displayed and the first team moves. Generate a third digital game map modeling a surrounding real space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location of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nd generate the third digital game map from the first team fixed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fixed terminal. Each can be sent as

여기서, 상기 온라인 및 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시스템은,Here, the online and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system,

실제 공간 상의 타겟 지표물에 미리 설치되고, 상기 게임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 중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 내로 진입한 이동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installed in a target indicator on a real space, and connected to the game server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provid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that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entering the rang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이 경우, 상기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는,In this case, the environment-intrins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제1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이 수행하여야 될 게임 시나리오 상의 현재 게임 단계의 임무에 관한 정보와, 상기 현재 게임 단계의 임무가 완료되었을 때 상기 제1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팀 이동 단말이 수행하여야 할 다음 게임 단계의 안내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From the game server, information about the task of the current game stage in the game scenario to be performed by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team movement when the task of the current game stage is completed; Receive guide information of the next game stage to be performed by th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respectively,

상기 제1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팀 이동 단말 중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 내로 진입한 이동 단말이 검색되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로 상기 현재 게임 단계의 임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When the mobile terminal having entere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ossible range is searched among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information about the task of the current game phase is transmitted to the searched mobile terminal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end,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현재 게임 단계의 임무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임무 수행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로 상기 다음 게임 단계의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When receiving the task comple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task of the current game stage is completed from the searched mobile terminal,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next game st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arched mobil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여기서, 상기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는,In addition, the environment-intrins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GPS 모듈에 의해 측정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와, 상기 전자나침반에 의해 측정된 단말 방향 정보와,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단말 기울기 각도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수신하고,Receiving, from the searched mobile terminal,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GPS module, terminal direc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lectronic compass and terminal tilt angl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ilt senso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상기 수신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 단말 방향 정보, 단말 기울기 각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의 위치에서 해당 단말이 가리키는 방향 및 기울기에 상응하는 전방(前方)에 위치될 수 있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Augmented reality (Augmented) that can be loc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and the slope indicated by the terminal from the position of the searched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terminal direction information, terminal tilt angle inform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arched mobil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게임 단말기들이 온라인으로 게임 서버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게임의 성격을 가지면서, 동시에 게임참가자들은 컴퓨터가 만들어낸 가상세계가 아닌 실세계를 그대로 모델링한 공간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하에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game terminal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network game connected to a game server online, game participants may experience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in a space modeling the real world rather than a virtual world created by a computer. You can play the game under

또한, 가상의 세계가 아닌 실제 세계를 통해 게임을 하고, 또한 사용자가 몸으로 직접 참여하여 행동하면서 게임이 이루어진다는 데에 새로운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new feature that the game is made by playing the game through the real world, not the virtual world, and also by the user's direct participation in the body.

또한,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를 사용함으로써, 스마트폰에 증강현실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3G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비용을 사용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n order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ser burden on the cost of ac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도 1은 본 발명의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방법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구현 시스템에서, 게임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구현 시스템에서,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verall online /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gam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n environment embedded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game server in the game implemen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n the game implemen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e on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n particula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unless there is an opposite substrate,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기존의 온라인 컴퓨터 게임의 성격을 일부 가지지만, 게임 참가자가 직접 오프라인에 참여하여 가상 세계가 아닌 실제 세계와 연결된 게임이 이루어진다는 데에 새로운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다음에 제시하는 방법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som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online computer game, there is a new feature in that the game participant directly participates in the offline and the game is connected to the real world instead of the virtual worl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ceed with the game through online and offline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method.

아래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게임의 형태 및 그 기본 시나리오를 예시해본 것이다. 이하, 이에 관하여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방법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The following is an example of the form of the game and its basic scenario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online and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Here, FIG. 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method of implementing the online / offline omnipresent g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시되는 온라인 오프라인 편재형 게임을 위한 기본 시나리오>
<Basic scenario for online offline ubiquitous game pres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온라인 게임 참가자들이 사용하는 단말은 인터넷을 통해 중앙의 게임 서버(game server)에 연결되어 있고, 게임 서버는 게임 시나리오, 게임 엔진, 게임 룰 및 로직을 가질 수 있다.1. The terminal used by online game participants is connected to a central game server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game server may have a game scenario, a game engine, game rules, and logic.

2. 오프라인 게임 참가자가 사용하는 단말은 기본적으로 GPS 모듈, 전자나침반(e-Compass), 가속도계(accelerometer) 및 3G(VoIP), WiFi, Bluetooth등이 탑재될 수 있다.2. The terminal used by the offline game participant may be basically equipped with a GPS module, an e-compass, an accelerometer, 3G (VoIP), WiFi, and Bluetooth.

3.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에서 각 팀은 최소 2명 이상으로 구성되며, 또한 각 팀은 최소 2팀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3. In online / offline ubiquitous games, each team may consist of at least two players, and each team may consist of at least two teams.

4. 각 팀에는 최소한 유선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온라인 게임 참가자 1명과 오프라인으로 실제 게임지역에 존재하는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 1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4. Each team may include at least one online game participant connected to the Internet by wire and at least on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in the actual game area offline.

5.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는 게임 S/W(즉, 상기 게임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받은 게임 어플리케이션)를 통해 GPS로부터 측정된 자신의 위치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주기적으로 중앙의 게임 서버에 보내고, 온라인 게임 참가자는 중앙의 게임 서버로부터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들의 현재 위치를 읽어들여 게임 지역의 디지털 지도상에서 그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5. A terminal used by a smartphone game participant periodically transmits its location measured from GPS through a game S / W (ie, a game application downloaded from the game server) to a central game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online game participant can read the current location of smartphone game participants from a central game server and monitor them on a digital map of the game area.

6. 온라인 게임 참가자는 일반적으로 상대팀의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의 위치를 직접 모니터링 할 수 없지만, 같은 팀의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와 일정거리 이내로 들어오는 상대팀의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들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6. Online game participants generally cannot directly monitor the opponent's smartphone game participant's location, but they can monitor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of the other team's smartphone game participant within a certain distance.

7. 온라인 게임참가자는 중앙의 게임 서버를 통하지 않고 같은 팀의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직접 문자(도 1의 B팀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로 "좌측으로부터 3블럭 아래쪽으로 1블럭 지점에 A팀 게임 참가자 있음" 참조)를 보내거나 VoIP를 통해 음성통화를 할 수 있다.7. The online game participant texts directly to the smartphone user of the same team without going through the central game server. (Team B smartphone game participant in FIG. You can make a voice call over VoIP or via VoIP.

8. 실제 수행하는 게임 시나리오는 S/W적으로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게임 내용은 입력된 시나리오에 따라 게임 서버에서 생성 또는 갱신될 수 있고, 온라인 게임 참가자와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는 그 게임 시나리오에 따라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8. The actual game scenario can be set and changed by software. Therefore, the game content may be generated or updated in the game server according to the input scenario, and the online game participant and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may proceed with the game according to the game scenario.

9. 게임 시나리오에서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는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특정 사물, 건물, 도로 및 지형으로 이동하여, 특정 위치에 설치된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정보를 받아 구체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같은 팀의 다른 게임 참가자들(온라인 게임 참가자 및 다른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과 서로 협력할 수 있다.9. In the game scenario,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moves to a specific object, building, road, and terrain to perform a given task, and receives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provided by an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nstalled at a specific location to identify a specific situation. And cooperate with other game participants (online game participants and other smartphone game participants) of the same team.

10. 상대팀의 게임 참가자들도 게임 시나리오에 따라 다른 팀들이 수행하는 임무에 상응하는 임무가 주어질 수 있다.10. Players of opposing teams may also be assigned tasks corresponding to the tasks performed by other teams, depending on the game scenario.

11. 각 팀의 임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서버로부터 받을 수도 있지만, 한번에 한번씩 단편적인 명령만 주어지며, 그 구체적인 임무는 특정 지역으로 이동하여 해당 지역에 설치된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가 보내오는 증강현실정보를 통해 전달받게 된다.11. Each team's mission may be received from the game server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ut only one fragmentary command is given at a time, and the specific mission may be directed to a particular area and sent by an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nstalled in that area. Received through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12.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가 특정 지역으로 이동하여 주어진 임무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고 나면,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의 단말기는 GPS를 이용하여 자신의 좌표를 3G나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게임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12. After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moves to a specific area and performs a mission according to a given mission,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s terminal uses GPS to coordinate its coordinates with a central game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or WiFi. You can register at

13. 이후,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는 해당지역에서 Bluetooth같은 IEEE802.15, Direct WiFi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그 지역에 설치된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어 다시 새로운 임무를 받을 수 있다.13. Subsequently,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can read the information from the local embedded information server installed in the area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IEEE802.15, Direct WiFi, etc. in the area, and receive a new mission again. .

14. 이때, 해당 지역 위치에서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가 자신의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특정 거리(street)나 건물을 비추면, 단말은 GPS 모듈, 전자나침반, 가속도계 등을 이용하여 해당 방향, 위치, 사물을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말은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로부터 전달된 해당 방향, 위치, 사물 등과 관련된 증강현실정보를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14. At this time, when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illuminates a specific street or building using a camera mounted on his terminal at the local location, the terminal uses a GPS module, an electronic compass, an accelerometer, etc.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he terminal may recognize the location and the object, and accordingly, the terminal may display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he location, the object, and the like transmitted from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through the screen.

15. 중앙의 게임 서버로부터 주어지는 임무는,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 있는 실제 사람이나 사물을 찾아서 안전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가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로부터 증강된 화면을 통하여 퀴즈를 푸는 것이 될 수 있다. 혹은 게임 시나리오 상황에 따라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는 상대팀의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를 Kill해서 게임에서 제외시킬 수도 있다. 이것은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들끼리 Bluetooth나 WiFi를 통해 직접 P-to-P로 연결하여 게임내의 응용 프로그램의 액션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게임 시나리오가 존재할 수 있다.15. The task given by the central game server may be, for example, to find a real person or object in a particular area and move it to another safe place, or a smartphone game participant via an augmented screen from an embedded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It can be a quiz. Or, depending on the game scenario,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may kill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of the opposing team and remove it from the game.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action of applications in the game by connecting P-to-P to smartphone game participants directly via Bluetooth or WiFi. Of course, there can be a wide variety of game scenarios as well.

16. 예를 들어, 다른 적용례로서, 본 발명을 이용한 장애우 도우미 서비스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장애우는 자신이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하여 미리 중앙서버에 등록해 두고, 서비스에 참여하려는 자원 봉사자들은 가능한 서비스를 선택하여 서버에 등록한다. 특정 시간 및 특정위치에서 장애우가 스마트폰 단말기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요청하면 중앙의 게임 서버를 통하여 게임이 시작되고, 장애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서비스가 가능한 자원봉사자들의 스마트폰으로 메시지가 전달된다. 그리고 이중 가장 먼저 요청에 승락한 자원봉사자가 게임에 참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6. For example, as another application, a disability helper servic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idered. In other words, the disabled select their own services and register them in the central server in advance, and volunteers who want to participate in the service select the available services and register them in the server. When a disabled person requests a service through a smartphone terminal at a specific time and a specific location, the game is started through a central game server, and a message is delivered to the smartphones of volunteers who can use the servic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isabled person. . And the volunteers who accepted the first request will participate in the game and provide the service.

즉, 본 발명은, 실세계에서 움직이는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는 스마트폰 단말기가 제공하는 위성항법장치(GPS), 전자나침반(e-compass), 가속도계(accelerometer)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 자신의 위치 및 여러가지 움직임을 3G와 WiFi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상의 중앙 게임 서버에 주기적으로 등록한다. 그리고, 컴퓨터 화면을 통한 온라인 게임 참가자는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가 존재하는 실제공간을 모델링한 '디지털 게임 지도' 공간에서 스마트폰 게임참가자를 마치 온라인상에 존재하는 캐릭터처럼 간주하고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phone game participant moving in the real world can measure his / her position and various measured using a GPS, an e-compass, an accelerometer, etc. provided by a smart phone terminal. The movement is periodically registered with a central game server on the Internet vi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3G and WiFi. In addition, the online game participant through the computer screen allows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to regard the game participant as if the character exists online in the 'digital game map' space modeling the actual space where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exists. will b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방법 및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특징들을 갖게 된다.
Accordingly, the online and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features.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의 위치 정보를 게임에 활용하는 방식][How to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smartphone game participants in the game]

기존의 GPS항법 장치는 측정한 위치 좌표를 해당 단말의 지도 화면에 보여주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의 위치 좌표(즉, 단말 위치 좌표를 의미함)를 게임 서버에 주기적으로 등록하고, 게임 서버는 각 스마트폰 참가자의 위치 좌표를 권한이 있는 다른 게임 참가자(즉, 같은 팀 온라인 게임 참가자 또는/및 다른 오프라인 게임 참가자, 이하 "온라인 게임 참가자 등"이라 함) 단말로 푸시(브로드캐스팅)해서 제공한다.Existing GPS navigation device shows the measured position coordinates on the map screen of the terminal,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register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s (that is, th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s) to the game server, the game The server pushes (broadcast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each smartphone participant to another authorized game participant (ie, the same team online game participant or / and other offline game participa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online game participant", etc.) terminal. to provide.

따라서, 온라인 게임 참가자 등은 같은 팀의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의 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refore, the online game participant can monitor the position of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of the same team in real time.

또한, 게임 서버는, 상대팀의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의 위치 좌표와 같은 팀의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의 위치 좌표를 서로 비교하다가 일정 거리 이내로 들어오면, 양 팀 게임 참가자에게 서로의 위치 좌표를 디지털 게임 지도 상에서 보여주고, 일정 거리 밖으로 멀어지면 다시 보여주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game server compare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s of the opposing team with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s of the team, and when they come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 game servers display the position coordinates of each other to the team game participants. Show it on the screen and don't show it again if you move away.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를 통한 게임 진행][Game progress through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실제 공간의 특정 사물, 건물, 도로 및 지형에, 증강현실정보 및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를 설치한다. 그리고 스마트폰 참가자는 블루투스 같은 IEEE 802.15 시리즈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나 Direct WiFi를 이용하여 상기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에 접속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받거나 게임 진행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es to specific objects, buildings, roads, and terrain in a real space, an environmentally embedded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s installed. Participants of the smart phone may access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or direct WiFi, and receive location-based services or receive additional information for game progress.

또한 중앙의 게임 서버나 지역 관리자는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환경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의 내용을 수정 및 갱신을 할 수 있다.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는 특정 사물, 건물, 도로 및 지형에 물리적으로 삽입된 편재형 마이크로 서버로, 스마트폰 단말기 상의 '게임 애플리케이션 에이전트'가 상기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와의 통신을 매개함으로써 그 부가 정보 서버로부터 구체적인 증강현실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수신된 증강현실정보는 증강현실 응용 프로그램(이는 단말에 별도 설치된 것이거나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된 것일 수 있음)을 통해서 증강현실이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entral game server or a local administrator can modify and update the contents of an embedded internal information server online through the Internet.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s a ubiquitous micro server that is physically inserted into specific objects, buildings, roads, and terrain, and the game application agent on the smartphone terminal mediates communication with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Specific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ceived in this way is augmented reality terminal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which may be installed separately in the terminal or the game application)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display screen of.

일반적으로는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가 실세계의 물리적인 특정 장소에 접근했을 때, 스마트폰 단말기상의 게임 애플리케이션 에이전트가 3G나 WiFi를 통해 중앙게임서버와 직접 통신하여, 게임의 현재 임무 또는 다음 단계를 위해 필요한 정보 및 요구 사항을 전달받아 스마트폰 화면에 증강시켜 알려주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새롭게 추가되는 내용은,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가 물리적인 특정 장소(즉, 상기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가 설치된 위치)에 접근하면, 블루투스 또는 Direct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에 접속하여 증강현실정보를 전달받거나 위치기반의 지역 연산을 통해 게임의 다음 단계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In general, when a smartphone game participant approaches a specific physical location in the real world, a game application agent on the smartphone terminal communicates directly with the central game server via 3G or WiFi, which is necessary for the current mission of the game or the next step. The method of receiving information and requirements and augmenting and informing the smartphone screen may be used. However, newly ad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martphone game participant approaches a specific physical location (that is, the location where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s installed), short-range wireless such as Bluetooth or Direct WiFi The next step of the game is made by access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embedded in the environment using communication or the like, receiv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r performing location-based local operation.

이때, 실세계의 여러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는, 중앙의 게임 서버의 게임 시나리오에 따라 게임 초기화 단계에서 필요한 정보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정보 교환을 위해 게임 서버와 각 해당지역의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들 간에도 주기적으로 파라미터 및 해당정보를 동기화 시키게 된다.In this case, in the environment embedded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nstalled at various places in the real world, information necessary in the game initialization step may be preset according to the game scenario of the central game server. In addition, for real-time information exchange, the parameters 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are periodically synchronized between the game server and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s in each region.

다음은 환경 내재형 부가정보서버를 통해 얻은 정보를 기반으로 게임이 진행되는 절차의 일 예를 나타낸다. 먼저,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가 실세계의 특정 장소에 접근하면 자신의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 간에 상호 접속을 시도한다. 이때, 만일 접속에 실패하면 중앙의 게임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후, 해당 서버에 접속 후, 자신의 위치 좌표를 등록하면, 해당 위치 좌표에 따라 게임 시나리오의 해당 정보나 임무가 주어지며, 그 주어진 정보나 임무에 따라 다음 단계의 게임이 진행된다.
The following shows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a game is progressed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First, when a smartphone game participant approaches a specific place in the real world,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attempts to interconnect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based on its location coordinate. At this time, if the connection fails, the central game server can be connected. Subsequently, after accessing the server and registering its own location coordinate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or mission of the game scenario is give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coordinates, and the game of the next stage proceeds according to the given information or mission.

이와 같이,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를 이용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을 수 있다.As such, the method of using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may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즉,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에 참가하는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게임 진행을 위한 부가 정보(예를 들어, 현재 게임 단계의 임무, 다음 게임 단계를 안내하는 정보, 이와 관련된 증강현실정보 등)를 제공하기 위해서, 해당 부가 정보를 스마트폰 안에 미리 저장해두거나, 또는 게임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부가 정보를 사용하는 방식을 이용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해당 지역의 특정 위치(사물, 건물, 도로, 및 지형)에 미리 설치된 (Bluetooth 같은 IEEE 802.15 시리즈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장착한)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를 이용하여 필요한 부가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스마트폰에 게임 진행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이 주기적으로 3G와 WiFi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중앙의 게임 서버는 원격에서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를 주기적으로 관리하여, 실시간으로 최신 정보를 갱신해줄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information (for example, the task of the current game stag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next game stag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lated thereto, etc.) for the game progress to the smartphone user participating in the online / offline omnipresent game In order to provide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not stored in the smartphone in advance, or us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the game server.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ired by using an embedded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equipped with a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of IEEE 802.15 series such as Bluetooth) pre-installed at a specific location (object, building, road, and terrain) of the region. Use a method of conveying information. Therefore, using such a method, in order to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for game progression to the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the smartphone periodically connec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3G and WiFi. At this time, the central game server can periodically manage the environment-intrins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from a remote location, to update the latest information in real time.

[증강현실 구현 방식 상의 특징][Features on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Method]

증강현실은, 최근 스마트폰의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채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이를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건물 등에 부착된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특정 마크를 이용하는 방식도 있지만, 이와 같은 마크 부착 방식 이외의 방식으로서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크게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의 분석을 통해 해당 위치, 장소, 방향과 관련된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방식과, 단말의 위치, 방향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을 구현하는 방식이 있다.Augmented reality is a technology that has been recently adopted in many applications of the smart phone, the way to implement this is to use a specific mark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ttached to buildings, etc. As a method of realizing the reality, augmented reality related to a corresponding position, place, and direction through analysis of an image acquired through a camera, and augmented reality is implemented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terminal. There is a way.

따라서,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게임 참가자에게 특정 게임 정보(텍스트, 그래픽, 동영상 등등의 부가적인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도, 카메라의 영상을 인식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단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둘 다를 이용할 수는 있다.Therefore, a method of providing specific game information (additional multimedia information such as text, graphics, video, etc.) to an offline game participant using augmented reality, and recognizing the image of the camera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and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Both methods of providing information may be used.

전자의 방식으로서, 카메라의 영상을 사용하는 방법은, 첫째로, 카메라로 주변의 사물, 건물 및 지형을 촬영하면 스마트폰 내의 소프트웨어가 동작하여 사물을 인식하고 촬영된 화면에 미리 준비된 부가 정보를 겹쳐서 보여주는 방식과, 둘째로, 스마트폰이 촬영한 영상을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임서버로 전송하면 게임서버에서 영상인식을 수행하고 다시 부가 정보(각종 게임정보 등)를 스마트폰으로 재전송해주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former method, a method of using an image of a camera is, firstly, when a camera photographs an object, a building, and a terrain around it, software in a smartphone operates to recognize an object, and superimposes additional information prepared on the screen. Secondly, when the video captured by the smartphone is transmitted to the game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game server performs image recognition and retransmits additional information (various game information, etc.) to the smartphone. Can be.

그러나 스마트폰 내부에서 영상인식 및 부가정보을 처리하는 경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비용이 절약되지만, 스마트폰 내부의 메모리나 CPU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된다. 한편, 복잡한 영상을 인식하기 위해 상당한 연산이 필요한 경우 스마트폰에서 처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스마트폰 화면에 제공해야 하는 증강 현실 정보의 양이 많거나 부가 정보의 내용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게임서버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경우에도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통신 지연 등으로 인해 사용자 반응 속도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video recogni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inside the smartphone, the cost of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saved, but it puts a lot of burden on the memory or CPU inside the smartphone. On the other hand, when significant computation is required to recognize a complex image, it is difficult to process in a smartphone. Therefore, when the amount of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o be provided on the smartphone screen or the content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changes over time, it is more efficient to use a game server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owever, even in such a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user response speed may decrease due to communication delay.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증강 현실 구현 방법으로서,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 내에 탑재된 GPS 모듈, 방향 측정용 전자 나침반, 기울기 측정용 센서(예를 들어, 중력 센서, 가속도계, 자이로센서 등)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위치, 그 스마트폰이 향햐는 방향, 기울기 각도 등을 파악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때, 스마트폰이 향하는 방향에 있는 지형에 대한 정보는 제한된 상황에서는 스마트폰에 저장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 그 정보의 양이 많으므로 이는 적합한 방식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게임 서버나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로 해당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하고, 이러한 위치 정보 등을 수신한 해당 서버가 해당 방향의 건물 및 부가 정보를 파악해 스마트폰으로 다시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때에도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Therefo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thod of using location information as a method of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smartphone using a GPS module mounted in the smartphone, an electronic compass for measuring a direction, a tilt measuring sensor (for example, a gravity sensor, an accelerometer, a gyro sensor, etc.), The way the smartphone is facing, the angle of inclination, etc. are used.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about the terrain in the direction that the smartphone is directed may be stored in the smartphone in a limited situation, but most of the information is a lot because this is not a suitable way.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is transmitted to the game server or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and the server having received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grasps the building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returns it to the smartphone. Use the transmission method. In this case, various methods may be used.

즉, 스마트폰이 위치 정보 등을 게임 서버로 직접 전송하고 게임 서버로부터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부가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방식, 그 위치 정보 등을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고 그 부가 정보 서버로부터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 실제로는 부가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주체는 게임 서버이지만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의 매개를 통해 그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mart phone directl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game server and directly receives additional information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from the game server,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re may be a method of receiving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n reality, a subject hol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a game server, but a method of recei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rough an environment-intrins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폰이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 간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부가 정보를 전송받는 방식(즉, 위 두번째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He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phone may use a method (that is, the second method) in which additio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스마트폰의 위치 및 자세 제어][Controlling Position and Posture of Smartphone]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는 현재 자신이 카메라로 비추고 있는 화면이 자신이 찾는 정확한 타겟 지표물에 해당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하여 지속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는, 그 부가 정보 서버로부터 스마트폰 화면에 증강된 메시지에 의해 카메라에 잡히는 대상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Participants in smartphone games continue to interact with local environmental information server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order to verify that the screen they are currently projecting is the correct target indicator they are looking for. Accordingly, 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can continuously correct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captured by the camera by the message augmented on the smartphone screen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이를 세부적으로 보면, 첫째, GPS를 읽어 현재 좌표를 파악하고, 전자나침반과 가속도계 등을 이용하여 향하는 방향과 기울기 각도를 측정한다. 둘째,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는 이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폰 화면에 현재 어떤 영상이 보이는지 예측하고, 타겟 지표물에 대한 정확한 초점을 맞추기 위해 게임 참가자가 스마트폰을 상하좌우로 움직이거나 각도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정보를 제공한다. 셋째,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특정 사물에 대해 초점을 맞추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움직임에 따라 새로운 위치정보가 실시간으로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로 피드백된다. 넷째, 특정 사물에 대한 3D 이미지, 텍스트, 음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카메라 영상 위에 증강하여 여러 가지 부가정보를 보여준다.In detail, first, the GPS is read to determine the current coordinates, and the direction and the tilt angle are measured using an electronic compass and an accelerometer. Second,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receives this information and predicts what image is currently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and the game participant moves the smartphone up, down, left and right or changes the angle to accurately focus on the target indicator. Provid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o enable. Third, new location information is fed back to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martphone in order to focus the camera on the smartphone. Fourth, 3D image, text, voice, and multimedia data about a specific object are augmented on the camera image to show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위의 상황을 몇가지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 situ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관심있는 대상물체(도로, 건물, 지형 등)에 내재된 부가 정보 서버에 접속하여 스마트폰의 위치 좌표, 기울기 및 방향 정보를 등록한다.Access the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embedded in the object of interest (road, building, terrain, etc.) to register the location coordinates, tilt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부가 정보 서버는 해당 물체가 정확히 카메라에 들어오도록 스마트폰 화면상에 화살표를 이용하여 방향 및 위치 이동 신호를 보낸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sends a direction and position movement signal by using an arrow on the smartphone screen so that the object enters the camera correctly.

스마트폰 게임 참가자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위치 및 자세를 교정하고, 이에 따라 교정된 새로운 방향 및 위치 정보가 부가 정보 서버에 피드백되어 전달된다.The smartphone game participant corrects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smartphone using this information, and the corrected new direc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is fed back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카메라의 위치가 정확히 고정되면 부가 정보 서버는 해당 사물에 대한 구체적인 증강현실정보가 스마트폰 화면에 보여지도록 전달한다.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if the position of the camera is fixed correctly, the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deliver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b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증강현실정보 제공을 위한 에어 태그 및 필터링][Air tag and filtering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로컬 정보를 기반으로 할 경우 스마트폰이 중앙의 게임 서버와 직접 통신하지 않고 해당 장소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와 직접 피어투피어(Peer-to-Peer)로 통신하여 게임의 다음 단계를 위한 안내 정보 및 요구 사항을 전달받는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스마트폰에 제공할 증강현실정보를 게임 서버로부터 전송 받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3G 같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중앙의 게임 서버는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최신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다.Based on local information, the smartphone does not communicate directly with a central game server, but instead communicates directly with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that is pre-installed at the site, to peer-to-peer, Receive guidance and requirements for the steps. This method can reduce the cost of periodicall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to receiv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smartphone from the game server, and the central game server can be remotely connected to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The latest information can be updated in real time.

일반적으로 특정 사물, 도로, 건물 및 지형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에어(air) 태크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증강현실정보를 스마트폰 내부에 내장하고 있거나 원격 서버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받아서 보여주게 된다. 이때 수많은 증강현실정보 태그 중에서 증강현실정보 필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일부 태그만 골라서 보여줄 수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n a specific object, road, building, and terrain, an air tag is used, in which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embedded in a smartphone or transmitted from a remote serv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It is received and shown. At this time, a plurality of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ag us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filter can be selected to show only some tags.

이 기술을 이용하면 거리의 커다란 간판들과 광고판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다. 즉, 실제 광고판 대신 스마트폰을 통해 증강된 광고를 제공할 마이크로 임베디드 광고 정보 서버(이는 상기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음)를 건물에 내장시키고 관리하면, 건물 근처에 접근한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Bluetooth같은 IEEE 802.15 무선통신을 통하여 증강된 광고판 (건물을 비추면 해당 층의 특정 공간의 상호 및 연락처 등등을 그래픽과 동영상으로 알려주는 방법)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별도의 통신 요금을 지불하지 않고 증강현실로 제공되는 광고판을 볼 수 있게 된다.Using this technology, you can eliminate or reduce large billboards and billboards on the street. That is, if a micro-embedded advertisement information server (which may be implemented in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to provide enhanced advertisement through a smartphone instead of an actual advertisement board is built and managed in a building, the smart approached near the building Phone users can see augmented billboards via Bluetooth, such as Bluetooth, that showcase buildings and their contact details and graphics in video and video. Therefore, smart phone users can see the billboard provided by augmented reality without paying a separate communication fee.

위의 상황을 몇가지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 situ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는 특정 사물에 대한 증강웹을 제공하고, 이때 스마트폰은 증강웹 브라우저가 된다.The environment embedded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provides an augmented web for a specific object, and the smartphone becomes an augmented web browser.

중앙의 게임 서버로부터 해당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가져오지 않는 대신,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에 접속하여 text, 2D image, 3D image 및 동영상을 받아 스마트폰 화면에 증강시켜 보여준다.Instead of bring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from the game server in the center, it accesses the environment-intrins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receives text, 2D image, 3D image and video, and augments it on the smartphone screen.

스마트폰 화면을 통하여 특정건물의 벽에 현수막을 증강시켜 보여주거나 건물의 입구쪽에 광고판을 증강시켜 보여준다.Through a smartphone screen, a banner is displayed on the wall of a specific building by augmented or a billboard is displayed on the entrance of a building.

건물의 특정층을 확대 브라우징하면 해당층의 업소들(예, 병원, 여행사, 학원 등등)에 대한 전화번호, 내부 이미지, 광고 영상등을 스마트폰에 증강해서 볼 수 있다.
If you browse the specific floor of the building, you can augment the phone numbers, internal images, and advertisements of the businesses on the floor (eg, hospitals, travel agencies, schools, etc.) on your smartphon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방식에 관한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이 보유한 다양한 특징 및 시나리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구현 플로우 및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bove, in order to help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online / offline omnipresent game implemen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eatures and scenario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refore, hereinafter, a more detailed implementation flow and system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이를 위해, 이하에서는, 2개의 팀으로 나뉘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온라인 상에서 게임 서버와 인터넷 통신을 통해 접속되는 게임 단말을 각각 팀 별로 제1팀 고정 단말과 제2팀 고정 단말이라 명명한다. 이와 유사한 취지에서, 오프라인 상의 실세계 공간에서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 단말(앞서 설명한 스마트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각각 팀 별로 제1팀 이동 단말과 제2팀 이동 단말로 명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팀 고정 단말 및 제2팀 고정 단말은 기존의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사용자 PC 등이 될 것이므로, 각 고정 단말에 관해서는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o this end, in the following, it will be described assuming divided into two teams to play the online / offline ubiquitous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game terminal connected to the game server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online is called a first team fixed terminal and a second team fixed terminal for each team. In a similar sense, a game terminal (smartphone described above, but not limited to the above) which performs a game in an offline real-world space will be named a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a second team mobile terminal for each team. Here, since the first team fixed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fixed terminal will be a user PC that performs an existing online game, a separ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each fixed terminal.

[도 2 내지 도 4의 설명][Description of FIGS. 2 to 4]

이하에서는,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구현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구성 요소들로서, 제1팀 또는 제2팀 이동 단말(즉, 각 팀 별로 오프라인 상의 실세계 공간에서 게임을 수행하는 단말)로서 역할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 게임 서버의 블록 구성도,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의 블록 구성도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first,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components constituting a game implemen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team or a second team mobile terminal (that is, in the real-world space offline for each team)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 block diagram of a game server, and a block diagram of an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gam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of the environment type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즉, 앞서 상술한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방법이 갖는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구현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동 단말, 게임 서버,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은 구성례를 가질 수 있다.
That is, in order to implement the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online / offline ubiquitous game method, the mobile terminal, the game server, and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constituting the game implemen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in FIGS. It may have a configuration example as shown in 4.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은, 영상 출력 장치(110), 오디오 출력 장치(115), A/V 입력 장치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저장부(140), 이동 통신 모듈(150),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60), GPS 모듈(172), 전자나침반(174), 기울기 센서(176), 제어부(180), 전원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n image output device 110, an audio output device 115, an A / V input device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 150,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a GPS module 172, an electronic compass 174, a tilt sensor 176, a controller 180, and a power supply 190.

여기서, 이동 단말은, 이동 통신 모듈(150)을 통해서, GPS 모듈(172)로부터 측정된 단말 자신의 위치 좌표 정보를 도 3과 같은 게임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좌표 정보의 전송은, 이동 단말에 설치된 게임 애플리케이션 에이전트(182)에 의해 주기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게임 애플리케이션 에이전트(182)는, 게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게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인스톨을 통해서 이동 단말에 설치된 것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일 수 있다.Here, the mobile terminal may periodically transmit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tself measured from the GPS module 172 to the game server as shown in FIG. 3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50. The transmission of such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may be periodically performed by the game application agent 182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game application agent 182 may be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through installation of a game application program downloaded from a game server, and may be a software program that helps the mobile terminal to implement an online / offline ubiquitous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또한, 이동 단말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60)을 통해서 실세계 공간의 특정 지표물(이하, 이를 타겟 지표물이라 함)에 설치된 도 4와 같은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60)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WiFi 모듈, Direct 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ay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as shown in FIG. 4 installed in a specific index of the real world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arget index)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As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as described above, a WiFi module, a Direct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or the like may be used.

또한, 이동 단말은, 상기 GPS 모듈(172) 이외에도, 전자나침반(174), 기울기 센서(176) 등을 더 포함함으로써, 추후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로부터 게임 진행을 위한 부가 정보(특히, 증강현실정보)를 받아오기 위한 기초 정보로서, 단말 방향 정보, 기울기 각도 정보 등을 획득(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GPS module 172, 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electronic compass 174, an inclination sensor 176, and the like, so that additional information (especially, augmented reality) for the progress of the game from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s further included. Information), terminal direction information, tilt angle information, and the like can be obtained (measured).

도 3을 참조하면, 게임 서버는, 이동 통신 모듈(210), 인터넷 통신 모듈(215), 단말 위치 등록부(220), 단말 위치 비교부(230), 게임 지도 생성부(240), 게임 임무 생성부(250), 게임 시나리오 DB(260), 회원 관리 DB(270),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 DB(275), 서버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game server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0,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215, a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unit 220, a terminal location comparison unit 230, a game map generator 240, and a game task generation. The unit 250 may include a game scenario DB 260, a member management DB 270, an environment embedded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DB 275, and a server controller 280.

여기서, 회원 관리 DB(270)는, 게임 서버가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에 회원 가입된 사용자 및 이러한 회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 DB(275)는, 게임 서버와 통신 접속될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의 IP 어드레스, 위치, 각 부가 정보 서버의 역할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게임 시나리오 DB(260)는 각 게임 별 시나리오(게임 진행 절차)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Here, the member management DB 270 may store a user who has subscribed to a game service provided by a game server a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d by these members. In addition,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DB 275 may store an IP address, a location, a role of each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and the like of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to be connected to the game server. In addition, the game scenario DB 26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each game scenario (game progress procedure).

이외, 단말 위치 등록부(220), 단말 위치 비교부(230), 게임 지도 생성부(240), 게임 임무 생성부(250)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해서는 이하 도 5 및 도 6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unit 220, the terminal location comparison unit 230, the game map generation unit 240, and the game mission generation unit 250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도 4를 참조하면,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는, 인터넷 통신 모듈(310),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15), 단말 검색부(320), 게임 임무 저장부(330), 게임 시나리오 DB(340), 증강현실정보 DB(350), 증강현실정보 추출부(360), 서버 제어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검색부(320), 게임 임무 저장부(330), 증강현실정보 추출부(360)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해서도 이하 도 5 및 도 6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environment embedded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may include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310,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15, a terminal search unit 320, a game mission storage unit 330, and a game scenario DB 340. It may includ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DB 350,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extractor 360, server control unit 380. Here,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terminal search unit 320, the game mission storage unit 330, and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extractor 360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이하, 도 2 내지 도 4에 예시된 이동 단말, 게임 서버,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의 상호 연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시스템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nline /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ade through the interworking of the mobile terminal, the game server, and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llustrated in FIGS.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도 5의 설명][Description of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구현 시스템에서, 게임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game server in the game implemen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편재형 게임이 실행됨에 따라, 게임 서버는, 먼저, 단계 S510에서, 제1팀 이동 단말과 제2팀 이동 단말로부터 각각 해당 단말의 단말 위치 좌표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 정보는, 이동 단말에 탑재된 '게임 애플리케이션 에이전트'에 의해 게임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된다.As the online / offline ubiquitous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the game server first receives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from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in step S510.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game server by the 'game application agent'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이 수신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는, 단계 S520에서, 게임 서버의 단말 위치 등록부(220)에 저장된다. 즉, 단말 위치 등록부(220)에는 단말 위치 좌표 정보가 주기적으로 수신될 때마다 갱신 저장되게 될 것이다.Th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in this way is stored in the terminal position registration unit 220 of the game server in step S520. That is, the terminal location register 220 will be updated and stored whenever the terminal location coordinate information is periodically received.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팀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 정보와 제2팀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 정보가 수신되면, 게임 서버의 단말 위치 비교부(230)는, 단계 S530에서, 그 2개의 이동 단말(즉, 서로 타 팀 관계에 있는 2개의 이동 단말)의 단말 위치 좌표 간의 거리 차가 미리 지정된 거리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비교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re received, the terminal position comparison unit 230 of the game server, in step S530, the two mobile terminals ( That is, it is compared whether or not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s of two mobile terminals having different team relations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이때의 비교 판단 결과에 따라, 만일 그 거리 차가 상기 미리 지정된 거리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게임 서버는 단계 S540 및 단계 S545를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comparison decision result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difference exceeds the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the game server performs steps S540 and S545.

즉, 위와 같은 경우, 게임 서버의 게임 지도 생성부(240)는, 상기 제1 팀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제1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생성하고, 서버 제어부(280)는 이와 같이 생성된 제1 디지털 게임 지도 데이터를 상기 제1팀의 고정 단말(즉, 제1팀 소속의 온라인 게임 참가자의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디지털 게임 지도란, 제1팀 이동 단말의 위치 주변의 실세계 공간을 모델링한 지도로서, 여기에는 제1팀 이동 단말의 위치만이 표시된다.That is, in the above case, the game map generation unit 240 of the game server generates the first digital game map based on th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rver controller 280 does this. The first digital game map data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fixed terminal of the first team (that is, the terminal of the online game participant belonging to the first team). Here, the first digital game map is a map modeling a real world space around the location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only the location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또한 마찬가지로, 게임 지도 생성부(240)는,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제2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생성하고, 서버 제어부(280)는 이와 같이 생성된 제2 디지털 게임 지도 데이터를 상기 제2팀의 고정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디지털 게임 지도란, 제2팀 이동 단말의 위치 주변의 실세계 공간을 모델링한 지도로서, 여기에도 제2팀 이동 단말의 위치만이 표시된다.Similarly, the game map generator 240 generates a second digital game map based on th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rver controller 280 generates the second digital game map in this manner. The game map data is transmitted to the fixed terminal of the second team. Here, the second digital game map is a map modeling the real world space arou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nd only the position of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is also displayed here.

따라서, 위와 같은 경우(즉, 제1팀 및 제2팀 이동 단말 간이 미리 지정된 거리 범위 내로 근접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 팀의 고정 단말은 같은 팀 이동 단말의 위치만을 화면 상에 표시된 게임 지도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타 팀의 이동 단말의 위치는 알 수 없다.Therefore, in the above case (i.e., when the first team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re not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the fixed terminal of each team has a game map in which only the location of the same team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screen. You can check through,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team is unknown.

위와는 반대로, 앞선 단계 S530에서의 비교 판단 결과, 이동 단말 간 그 거리 차가 상기 미리 지정된 거리 범위 이내로 좁혀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게임 서버는 단계 S550 및 단계 S555를 수행한다.Contrary to the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s is narrow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in step S530, the game server performs steps S550 and S555.

즉, 이와 같은 경우, 게임 서버의 게임 지도 생성부(240)는, 상기 제1 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의 각각의 단말 위치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팀 이동 단말과 상기 제2팀 이동 단말을 포괄하는 위치 주변의 실세계 공간을 모델링한 제3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생성한다. 이때, 제3 디지털 게임 지도에는, 상기 제1팀 이동 단말과 상기 제2팀 이동 단말의 위치가 모두 표시된다.That is, in this case, the game map generation unit 240 of the game server is based on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Generate a third digital game map modeling real world space around a location encompassing a second team mobile terminal. 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re displayed on the third digital game map.

그리고 이러한 제3 디지털 게임 지도 데이터는 각 팀의 고정 단말로 각각 전송된다. 따라서, 그 2개의 이동 단말 간 거리가 일정 범위 내로 좁혀진 경우에는, 각 팀에서의 온라인 게임 참가자는 타 팀의 이동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온라인 게임 참가자는 타 팀 이동 단말의 위치를 같은 팀의 이동 단말을 소지한 오프라인 게임 참가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상황이 될 것이다.The third digital game map data is transmitted to fixed terminals of respective teams,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mobile terminals is narrow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online game participant in each team can check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team. Therefore, in this case, the online game participant will be able to inform the offline game participant having the mobile terminal of the same team the location of the other team mobile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510 ~ 단계 S555까지의 모든 과정은, 해당 게임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반복된다. 즉, 게임 서버는, 이동 단말로부터 단말 위치를 새롭게 갱신받을 때 마다 위와 같은 단계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각 팀의 고정 단말로 디지털 게임 지도를 계속적으로 갱신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all processes from step S510 to step S555 are repeated until the game is completed. That is, the game server continuously updates and transmits the digital game map to the fixed terminals of each team while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every time the terminal position is newly upd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이상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게임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game server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의 설명][Description of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구현 시스템에서,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n environment embedded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n a game implemen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는, 단계 S610에서와 같이, 게임 서버로부터 제1팀 이동 단말 및 제2팀 이동 단말이, 해당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가 설치된 타겟 지표물의 위치에 와서 수행해야 할 임무(즉, 현재 게임 단계의 임무)와, 이 위치에서 주어진 임무를 수행 완료하였을 때 주어질 정보(즉, 다음 계임 단계에 대한 안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irst, as in step S610,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s to be performed by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from the game server at the location of the target index on which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s installed. It may receive a mission (i.e., a mission of the current game phase) and information to be given when the mission is completed at this location (i.e., guide information for the next appointment phase).

이러한 임무 및 안내 정보는, 일 실시예에 의할 때, 게임 서버의 게임 임무 생성부(250)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물론, 위 단계 S610에서와 달리, 해당 임무 및 안내 정보는,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의 게임 임무 저장부(33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Such a task and guid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the game task generator 250 of the game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course, unlike the above step S610, the mission and guidanc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game mission storage unit 330 of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이후, 단계 S620에서,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는, 상기 제1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팀 이동 단말 중 자신의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 내로 진입한 이동 단말이 검색되는 경우, 단계 S630에서, 그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로 상기 현재 게임 단계의 임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Subsequently, in step S620, when the embedded terminal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detects a mobile terminal that enters it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among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in step S630, the environment-independent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is determine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task of the current game phase to the searched mobile terminal.

이때,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 내로 진입한 이동 단말의 식별 및 검색은,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의 단말 검색부(3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검색부(320)는, 자신의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 내로 들어오는 단말의 존재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특정 이동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 내로 진입했다는 진입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이동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서 해당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받아오고, 이를 통해서 해당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and search of the mobile terminal enter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ossible range may be performed by the terminal search unit 320 of the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search unit 320 periodically monitors the presence of a terminal coming into its own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or receives an entry signal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has entere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from a specific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identify the terminal through the mobile terminal.

이하에서는, 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 내로 진입한 이동 단말은 제1팀 이동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obile terminal enter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ossible range is a first team mobile terminal.

이때, 제1팀 이동 단말로부터, 단계 S640에서와 같이, 해당 단말의 위치 좌표 정보, 방향 정보, 기울기 정보가 수신되면, 단계 S650에서,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보다 정확하게는 증강현실정보 추출부(360))는 상기 수신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 단말 방향 정보, 단말 기울기 각도 정보에 근거하여, 증강현실정보 DB(350)로부터,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의 위치에서 해당 단말이 가리키는 방향 및 기울기에 상응하는 전방(前方)에 위치될 수 있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정보를 추출하고, 이와 같이 추출된 증강현실정보는 서버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제1팀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In this case, when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slop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re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as in step S640, in step S650, the environment-intrins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more accurately,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extraction unit). 360 may correspond to a direction and an inclin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t the location of the searched mobile terminal from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DB 350 based on the received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terminal direc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tilt angle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hat can be located in the front (exterior method) to extract the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thus extract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er control unit 380 to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end.

여기서, 단말의 위치 좌표 정보, 단말 방향 정보, 기울기 각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증강현실정보를 예측/추출해내는 기술은, 현재 상용화된 증강현실 구현 기술 중 하나이며 앞서도 간략히 소개한 바,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technology for predicting / extract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based on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direction information, the tilt angle information, and the like is one of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technologies currently commercialized and briefly introduced above. Will be omitted.

위의 단계 S650은, 단계 S640에서 제1팀 이동 단말로부터 위치 좌표/방향/기울기 등의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별도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그 사이에 제1팀 이동 단말로부터, 앞선 단계 S630에서 전송된 현재 게임 단계의 임무에 대한 임무 수행 완료 신호(이는 메시지 형태일 수도 있음)가 수신되면(단계 S660 참조), 상기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는, 단계 S670에서, 다음 게임 단계의 안내 정보 등을 상기 제1팀 이동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역할을 종료한다.
The above step S650 may not be separately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information such as position coordinates / directions / tilts is not received from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in step S640. In addition, if a task performance completion signal (which may be in the form of a message) for the task of the current game stage transmitted in the previous step S630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in the meantime (see step S660), In step S670, the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terminates its role by transmitting guide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next game step to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easily.

Claims (4)

온라인 및 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시스템으로서,
인터넷 통신 모듈이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팀 고정 단말;
이동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전자나침반(e-Compass), 기울기 센서가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팀 이동 단말;
인터넷 통신 모듈이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팀 고정 단말;
이동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전자나침반(e-Compass), 기울기 센서가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1 팀 고정 단말 및 상기 제2 팀 고정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게임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 서버는,
(a) 상기 제1 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각각의 단말 위치 좌표 정보를 수신하고,
(b) 제1 팀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와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 간의 거리 차가 미리 지정된 거리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c)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거리 차가 상기 미리 지정된 거리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팀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팀 이동 단말의 위치가 표시되고 상기 제1 팀 이동 단말의 위치 주변의 실제 공간을 모델링한 제1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상기 제1 팀 고정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의 위치가 표시되고 상기 제2팀 이동 단말의 위치 주변의 실제 공간을 모델링한 제2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상기 제2팀 고정 단말로 전송하며,
(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거리 차가 상기 미리 지정된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1 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의 각각의 단말 위치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팀 이동 단말의 위치 및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의 위치가 모두 표시되고 상기 제1팀 이동 단말의 위치 및 상기 제2팀 이동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실제 공간을 모델링한 제3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디지털 게임 지도를 상기 제1 팀 고정 단말 및 상기 제2 팀 고정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시스템.
As an online and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system,
At least one first team fixed terminal hav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thereon;
At least one first team mobile terminal o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an e-compass, and a tilt sensor are mounted;
At least one second team fixed terminal hav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thereon;
At least on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an e-compass, and a tilt sensor; And
And a game server connected to the first team fixed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fixed terminal via the Internet, and connected to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game server,
(a) receiving respectiv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b) determining whether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c)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distance difference exceeds the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Based on th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 position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and generates a first digital game map modeling a real space around the position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Transmit the first digital game map to the first team fixed terminal;
Based on the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 location of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and generates a second digital game map modeling a real space arou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nd transmit the second digital game map to the second team fixed terminal.
(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distance differenc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Based on the positional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both the position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re displayed and the first team moves. Generate a third digital game map modeling a surrounding real space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location of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nd generate the third digital game map from the first team fixed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fixe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each
Online and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실제 공간 상의 타겟 지표물에 미리 설치되고, 상기 게임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 중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 내로 진입한 이동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는,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상기 제1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 팀 이동 단말이 수행하여야 될 게임 시나리오 상의 현재 게임 단계의 임무에 관한 정보와, 상기 현재 게임 단계의 임무가 완료되었을 때 상기 제1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팀 이동 단말이 수행하여야 할 다음 게임 단계의 안내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제1팀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팀 이동 단말 중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 내로 진입한 이동 단말이 검색되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로 상기 현재 게임 단계의 임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현재 게임 단계의 임무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임무 수행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로 상기 다음 게임 단계의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Pre-installed in a target indicator on a real space, and connected to the game server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provid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further enters the range, and further includes an embedded environment-specific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The environment embedded type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From the game server, information about the task of the current game stage in the game scenario to be performed by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first team movement when the task of the current game stage is completed; Receive guide information of the next game stage to be performed by th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respectively,
When the mobile terminal having entere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ossible range is searched among the first team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team mobile terminal, information about the task of the current game phase is transmitted to the searched mobile terminal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end,
When receiving the task performance completion signal for notifying that the task of the current game phase is completed from the searched mobile terminal,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next game stage is transmitted to the searched mobil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nline and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내재형 부가 정보 서버는,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GPS 모듈에 의해 측정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와, 상기 전자나침반에 의해 측정된 단말 방향 정보와,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단말 기울기 각도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단말 위치 좌표 정보, 단말 방향 정보, 단말 기울기 각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의 위치에서 해당 단말이 가리키는 방향 및 기울기에 상응하는 전방(前方)에 위치될 수 있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environment embedded type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Receiving, from the searched mobile terminal,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GPS module, terminal direc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lectronic compass and terminal tilt angl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ilt senso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Augmented reality (Augmented) that can be loc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and the slope indicated by the terminal from the position of the searched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terminal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terminal direction information, terminal tilt angle information Realit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arched mobile terminal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nline and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Direct WiFi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online and offline ubiquitous game implement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luetooth (Bluetooth) or Direct WiFi is used.
KR1020110041048A 2010-04-30 2011-04-29 System for realizing online/offline pervasive game KR10104598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1006 2010-04-30
KR1020100041006 2010-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989B1 true KR101045989B1 (en) 2011-07-04

Family

ID=4492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048A KR101045989B1 (en) 2010-04-30 2011-04-29 System for realizing online/offline pervasive g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98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981B1 (en) * 2012-04-16 2014-02-2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matchup game
KR101559440B1 (en) 2014-12-11 2015-10-13 (주)스토리텍 Game quest management system
WO2016064145A1 (en) * 2014-10-21 2016-04-28 정민수 Game system on basis of posi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979A (en) * 2003-10-29 2005-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mobile game
KR20060055853A (en) * 2004-11-19 2006-05-24 엔에이치엔(주) Online guild game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0789100B1 (en) 2006-09-19 2007-1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augment real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0900880B1 (en) 2007-06-15 2009-06-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ve online game ser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979A (en) * 2003-10-29 2005-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mobile game
KR20060055853A (en) * 2004-11-19 2006-05-24 엔에이치엔(주) Online guild game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0789100B1 (en) 2006-09-19 2007-1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augment real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0900880B1 (en) 2007-06-15 2009-06-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ve online game ser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981B1 (en) * 2012-04-16 2014-02-2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matchup game
WO2016064145A1 (en) * 2014-10-21 2016-04-28 정민수 Game system on basis of posi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559440B1 (en) 2014-12-11 2015-10-13 (주)스토리텍 Game quest manage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5154B2 (en) Verification of player&#39;s real-world position using in-game activities
CN102939139B (en) Calibration of portable devices in shared virtual space
KR101407670B1 (en) Mobile terminal, server and method for forming communication channel using augmented reality
CN108144294B (en) Interactive operation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and client equipment
JP7239668B2 (en) Verification of the player&#39;s real-world location using image data of landmarks corresponding to the verification path
US100226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performing augmented reality
KR20210121289A (en) Augmented Reality Mobile Edge Computing
KR1012920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based advertising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2014015276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JP7164987B2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system using video call
CN102088473A (en) Implementation method of multi-user mobile interaction
WO2012007764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CN108043033A (en) Watch method and storage medium in games system
US20160323434A1 (en) Motion to Connect to Kiosk
CN114642874A (en) Display system and server
KR101045989B1 (en) System for realizing online/offline pervasive game
KR20180003017A (en) System and method for mission conduction based on location
CN105933500A (en) Mobile terminal, remote server, and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CN112788443B (en)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US202301624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6778344B1 (en) User participation type game system
CN113093915A (en) Multi-person interaction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20125536A (e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providing mutual interaction service between virtual reality users and augmented reality users
CN103813265B (en) A kind of information sharing method based on location-based service
CN106209791B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