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549B1 -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 - Google Patents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549B1
KR101045549B1 KR20090038314A KR20090038314A KR101045549B1 KR 101045549 B1 KR101045549 B1 KR 101045549B1 KR 20090038314 A KR20090038314 A KR 20090038314A KR 20090038314 A KR20090038314 A KR 20090038314A KR 101045549 B1 KR101045549 B1 KR 101045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bag
temperature
thermoelectric elemen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3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282A (ko
Inventor
정무
김재환
Original Assignee
김재환
주식회사 고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환, 주식회사 고견 filed Critical 김재환
Priority to KR2009003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549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5Ball h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경기에 사용하는 골프공을 최적의 온도를 유지토록 하여 골프공의 비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는 골프공의 정온 유지 및 보관용 가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의 정온유지 보관용 가방은, 골프공을 보관하는 가방에 있어서, 복수개의 골프공을 수납하여 보관하며, 쟈크에 의해 덮개가 개폐되는 골프공 수납실과; 그 골프공 수납실 내로 열을 방출하거나 또는 골프공 수납실 내의 열을 흡열하도록 설치하는 열전도성판재와; 상기 열전도성판재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그 열전도성판재를 가열하거나 또는 냉각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와 면접촉하도록 설치되고, 바깥쪽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개의 방열핀을 가지고 있으며, 가방의 외부와 연통하게 설치되어 상기 방열핀들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방열판재와; 상기 열전소자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열판재를 냉각토록 가방의 외부로 공기를 송풍하며, 상기 방열핀들에 접하여 고정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열전소자와 송풍팬을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 공급을 온 오프하는 스위치와; 상기 수납실 내의 온도가 설정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열전소자와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골프공의 정온 유지 및 보관용 가방

Description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Bag for preserving golf ball temperature}
본 발명은 골프공의 비거리를 최대로 할 수 있게 최적의 온도를 가지도록 유지하는 골프공의 정온유지 보관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잔디밭 한 가운데 골프공이 들어가게 되는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게임을 시작하여 골프채로 골프공을 타격하여 구멍에 집어 넣는 경기로서, 구멍에 집어 넣기까지의 타수가 적은 쪽이 승자가 되는 경기로서, 통상 각 홀의 경기가 시작되는 티샷 위치에서 최종 목표점인 골프공을 집어넣기 위한 구멍까지 거리가 3-5번의 타격을 통해 들어가는 것을 기준으로 삼아 각 홀의 거리가 설계되기 때문에 타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골프공의 비거리를 늘리는 것이 유리하다.
드라이버샷의 비거리는 통상 200~300 야드 정도로서, 골프공에 가해지는 타격력이 매우 크므로 골프공은 고속으로 목표 지점을 향해 날아가게 되는 데, 이에 따라 공기의 저항이 증가하여 비거리를 낮추게 만든다. 그런데 드라이버샷의 최대 묘미는 골프공이 멀리 날아가는 호쾌함에 있기 때문에 공기 역학적 관점에서 골프공의 비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 골프공의 비행시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구조로 골프공의 표면에 복수개의 작은 요홈들,즉 딤플을 형성하여 매끈한 표면의 공 보다 마찰 저항을 크게 줄여 골프공의 비거리를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었으며, 현재는 딤플을 가진 골프공이 규격 제품으로 정해져 있다. 골프공의 비거리 증대의 또다른 축으로는 골프공을 타격하는 골프채들을 구조 개선 방안이 있는 데. 골퍼들이 각기 다른 성능의 골프채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은 경기의 불공정을 초래하므로 골프채의 구조 변경을 통한 골프공의 비거리 향상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한편, 골프공의 비거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으로는 대기의 온도와 압력이 있으며, 공기의 온도는 공기의 점성에 관계되고 공기 점성저항에 따라 비거리가 달라지게 되나 실외 경기의 특성상 대기의 온도는 인간이 결정할 수 없는 인자에 속한다.
또다른 요인으로는 골프공의 온도 역시 비행시 골프공의 표면을 타고 흐르는 공기의 난류 발생에 영향을 미쳐 비거리에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골프공의 제작업자는 18℃~22℃의 온도 조건에서 골프공이 최대 비거리를 가지도록 공을 설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감안하여 그 보다 낮은 온도 조건하의 경기에서는 골퍼들이 골프공의 온도유지를 위해 골프공을 호주머니에 넣어 체온으로 골프공의 온도를 높이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골프공의 정온유지를 위한 특별한 수단이 없는 실정이었다. 이와 같이 골프공은 너무 춥거나 더워 도 안 좋으며, 이 때문에 골프공은 상온에서 최대 비거리가 나오도록 설계되고 있으나 계절에 따라 골프공의 온도를 일일이 맞추는 일이 어려워 대부분의 경우 골프공은 휴대용 가방에 복수개를 수납하여 필요시마다 하나씩 꺼내어 사용하는 실정이고 온도 까지 고려하는 프로 골퍼들의 경우 날씨가 추울 때 골프공을 호주머니에 보관하였다가 꺼내어 사용하는 것이 고작이었으며, 또 한여름의 경우에는 차량 내에 골프채와 함께 보관하였던 골프공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골프공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비거리와 직진성의 문제를 유발하였다.
그리고 골프공의 타격시 스핀이 너무 많이 먹거나 또는 스핀이 너무 부족해서도 안되는 데, 백스핀이 너무 많이 걸리면 장력에 의하여 공이 높이 뜨게 되어 비거리가 줄어들게 되며, 백스핀이 거의 없게 되면 중력 때문에 골프공의 낙하가 빠르게 되어 이 역시 비거리가 안나오게 되며, 이것은 골프공이 비행시 공기 기류에 골프공의 온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골프공의 최적 온도 조건이 비거리 향상에 관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골프 경기에 사용하는 골프공을 최적의 온도를 유지토록 하여 골프공의 비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는 골프공의 정온 유지 및 보관용 가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의 정온유지 보관용 가방은, 골프공을 보관하는 가방에 있어서, 복수개의 골프공을 수납하여 보관하며, 쟈크에 의해 덮개가 개폐되는 수납실과; 그 수납실 내로 열을 방출하거나 또는 수납실 내의 열을 흡열하도록 설치하는 열전도성판재와; 상기 열전도성판재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그 열전도성판재를 가열하거나 또는 냉각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와 면접촉하도록 설치되고, 바깥쪽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개의 방열핀을 가지고 있으며, 가방의 외부와 연통하게 설치되어 상기 방열핀들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방열판재와; 상기 열전소자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열판재를 냉각토록 가방의 외부로 공기를 송풍하며, 상기 방열핀들에 접하여 고정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열전소자와 송풍팬을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 공급을 온 오프하는 스위치와; 상기 수납실 내의 온도가 설정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열전소자와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 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 충전용 배터리 전원, 골프카 구동전원, 솔라 에너지 전원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열전도성판재는 알루미늄판과, 상기 수납실 측에 마주하도록 철판을 상기 알루미늄판에 적층시킨 2층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열전도성판재는 알루미늄판과, 상기 알루미늄판의 양측면에 각기 적층된 철판의 3층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열전도성판재는 알루미늄판과, 상기 알루미늄판의 양측면에 각기 적층된 철판과, 상기 철판의 일측면에 알루미늄판을 적층시킨 4층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실 내부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온도 및 수납실 내의 현재 온도를 표시하는 디지탈 표시부 및 상기 수납실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공을 보관하는 가방에 골프공의 온도를 항시 최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냉온 유닛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골프공의 비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골프공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호주머니 속에 집어 넣어 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호주머니가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보기 흉한 모습이 사라지 며, 골프공의 유지 보관이 쉬운 효과가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을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열전도성 판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전체를 부호 1로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이하 간단히 "가방"이라 한다)은 내부에 복수개의 골프공(2)을 수납하는 공간인 골프공 수납실(3)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골프공 수납실(3)은 쟈크(4)의 개폐에 의해 덮개(5)를 열어 내부에 수납된 골프공(2)을 꺼내거나, 또는 사용한 골프공(2)을 수납한 후 덮개(5)의 쟈크(4)를 닫아 골프공(2)을 보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수납실(3) 내에는 골프공(2)의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스펀치 큐션재(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골프공 수납실(3)의 일측에는 쟈크(4A)에 의해 개폐되는 기타 용품 수납실(7)이 마련되며, 그 기타 용품 수납실(7)은 예를 들면 골프티 고정밴드(8)나 주머니(9)가 재봉되어 있어 티샷 시에 사용하는 골프티나 또는 신분증이나 또는 기타 개인 물품들을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수납실(3)의 일측에는 골프공(2)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 예를 들면 최적의 설정 온도인 18-22℃ 범위로 항상 유지 보관하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항온유지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항온유지 장치(10)는 금속재료로서 되는 열전도성 판재(11)와 열전소자(12), 방열판재(13) 및 송풍팬(14) 및 전원부(15)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열전도성 판재(11)는 빨리 가열되고 열방출 효과가 높은 자 형상의 알루미늄의 판재로 형성되어, 판재의 길고 넓은 면적부위는 상기 수납실(3)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판재의 짧고 작은 면적부위는 수납실(3)과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별도 수납실(16)내에 위치되게 설치되며, 상기 열전도성 판재(11)의 일측(수납실(16) 내에 있는 부분)에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열전소자(12)가 설치된다. 상기 열전소자(12)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전류의 흐름을 이용하여 한쪽면의 열을 다른쪽 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데,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가열 또는 냉각에 이용하며, 전류의 방향을 바꾸면 발열면과 냉각면이 바뀌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열전소자(12)는 그의 일측면은 상기 열전도성 판재(11)에 접촉하고 그의 타측면은 상기 방열판재(13)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데, 상기 방열판재(13)는 스페이서 부재(17)를 개재시켜 나사(18)로 상기 열전도성 판재(11)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한 방열판재(13)는 열의 원활한 외부 방출을 돕도록 복수개의 방열핀(13A)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송풍팬(14)은 상기 방열핀(13A)에 접하여 설치되며, 나사(19)를 통해 방열핀(13A)측에 고정된다.
상기한 송풍팬(14)은 링 형상의 쉬라우드(20)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21) 및 그 지지부재(21)에 의해 지지되는 모터(22)와 회전축(23) 및 복수개의 날개(24)로 구성되며, 상기 송풍팬(14)이 회전 구동하여 공기를 송풍할 수 있게. 상기 날개(24)에 대향하는 가방 벽면(25)과 상기 방열핀(13A)들에 접하는 벽면(26)에는 각기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할 수 있게 구멍이 숭숭 뚫린 망사천(27)(27A)이 재봉 형성되어진다.
상기한 전원부(15)는 도 3에 도시하는 것처럼 건전지(15A), 충전용 배터리 전원(15B), 골프카 구동전원에의 연결 잭(15C), 태양전지판을 가방 표면에 설치하여 전기를 얻는 솔라 에너지 전원(15D)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모든 가능한 전원 수단들을 함께 구비하여 상황에 따라 장치의 구동전원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솔라 에너지 전원(15D)은 축전기에 충전시켜 사용할 때 휴대폰 등의 충전용 전원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골프장에서 휴대폰 전원이 방전되더라도 비상용 충전원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전원부(1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스위치(28)의 회로 접속을 거쳐 제어부(29)에 인가되며, 이 제어부(29)는 상기 수납실(3) 내부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설정부(30)와, 그로부터 설정된 온도와 수납실 내부온도를 표시하는 디지탈 표시부(31) 및 상기 수납실(3)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32)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열전소자(12)와 냉각팬(14)의 구동을 제어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열전소자(12)의 전류 흐름 방향의 절환 제어는 릴레이나 무접점 TR이나 또는 써모스탯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열전도성 판재(11)의 다른 실시예로서, 서로 상이한 열전도 성향을 가진 이종의 재질을 2 내지 4개의 복층으로 형성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실시예는 기본이 되는 알루미늄판(11A)과 철판(11B)을 적층시켜 형성한 것으로, 알 루미늄은 열전도율이 높아 빨리 열을 흡수하고 방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수납실 (3)내의 온도를 빠른 시간 안에 정상 온도로 유지토록 하는 데 잇점을 제공하고 있으나. 덮개(5)를 열고 닫을 때 빨리 식어 버리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이때 알루미늄판(11A)의 표면을 철판(11B)으로 적층하면, 철의 경우 가열되는 시간은 알루미늄 보다 더디나 한번 가열된 후에는 쉽게 식지 않으므로 알루미늄판(11A)의 단점을 보완해 준다. 이와 같이 복층 구조로 할 경우 알루미늄판(11A)-철판(11B), 철판(11B)-알루미늄판(11A)-철판(11B), 알루미늄판(11A)-철판(11B)-알루미늄판(11A), 또는 알루미늄판(11A)- 철판(11B)-알루미늄판(11A)-철판(11B)등으로 구성하며, 동 실시예와 같이 철판을 알루미늄에 덧씌우게 되면 보온성이 향상되어 알루미늄 판재 만을 사용할 때 보다 전력 소모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가방(1)에 있어 가방을 들고 다니기 편하게 하는 손잡이는 도시되고 있지 않으나, 손잡이는 사시도에서 보여지지 않고 있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방(1)의 수납실(3) 내에 골프공(2)들을 수납한 상태에서, 스위치(28)를 온 시키면 전원부(15), 예를 들면 건전지(15A)로부터의 전원이 제어부(29)에 인가되어 장치의 작동 제어 준비 상태에 돌입하게 되며, 곧이어 온도 설정부(30)의 누름 작동을 통해 목표 온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32)로부터 검출된 수납실(3) 내의 현재 온도가 15℃라면 LCD로서 되는 디지탈 표시부(31)에는 현재 온도인 15℃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온도 상승버튼(30A)을 5번 누르면, 목표 온도는 골 프공의 최적 온도인 20℃를 표시부(31)에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29)는 열전소자(12)에 전기를 공급하되 수납실(3) 내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전기 공급 극성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수납실(3)의 온도가 상승하여 20℃를 넘어선 것으로 온도센서(32)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29)는 열전소자(12)에 공급되는 전기의 극성을 바꾸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송풍팬(14)을 구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열전소자(12)의 전기공급 극성이 바뀌면, 가열과 냉각면이 반대로 전환되어 수납실(3)내는 냉각되며, 수납실(3) 내의 열은 방열판재(13)에 전달되는 데, 이때 송풍팬(14)이 구동하여, 외부의 찬 공기를 순환시켜 방열핀(13A)들을 냉각하여 가방(1)의 열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수납실(3) 내의 온도를 떨어뜨리게 되는 것이다. 다시 수납실(3) 내가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검출되면, 제어부(29)는 과냉각으로 판단하여, 송풍팬(14)의 구동을 차단하고 열전소자(12)의 전기공급 극성을 전환시켜 가열 모드에 돌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골프공 수납실(3) 내부가 항시 최적 온도(약 20℃)로 유지되어 골프공(2) 역시 20를 유지하게 됨으로 외부 기온 변화에 관계없이 최적 온도 조건이 되어 골프공(3)의 비거리가 향상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을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전도성 판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 가방 2 : 골프공
3 : 골프공 수납실 4 : 쟈크
5 : 덮개 10 : 항온유지장치
11 : 열전도성 판재 11A : 알루미늄판
11B : 철판 12 : 열전소자
13 : 방열판재 13A : 방열핀
14 : 송풍팬 15(15A~15D) : 전원부
16 : 수납실 18,19 : 나사
24 : 날개 27,27A : 망사천
28 : 스위치 29 : 제어부
30(30A,30B) : 온도 설정부 31 : 디지탈 표시부

Claims (6)

  1. 골프공을 보관하는 가방에 있어서, 복수개의 골프공을 수납하여 보관하며, 쟈크에 의해 덮개가 개폐되는 골프공 수납실과; 그 골프공 수납실 내로 열을 방출하거나 또는 골프공 수납실 내의 열을 흡열하도록 설치하는 열전도성판재와; 상기 열전도성판재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그 열전도성판재를 가열하거나 또는 냉각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와 면접촉하도록 설치되고, 바깥쪽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개의 방열핀을 가지고 있으며, 가방의 외부와 연통하게 설치되어 상기 방열핀들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방열판재와; 상기 열전소자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열판재를 냉각토록 가방의 외부로 공기를 송풍하며, 상기 방열핀들에 접하여 고정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열전소자와 송풍팬을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 공급을 온 오프하는 스위치와; 상기 수납실 내의 온도가 설정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열전소자와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의 전원은 건전지, 충전용 배터리 전원, 골프카 구동전원, 솔라 에너지 전원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판재는 알루미늄판과, 상기 수납실 측에 마주하도록 철판을 상기 알루미늄판에 적층시킨 2층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판재는 알루미늄판과, 상기 알루미늄판의 양측면에 각기 적층된 철판의 3층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판재는 알루미늄판과, 상기 알루미늄판의 양측면에 각기 적층된 철판과, 상기 철판의 일측면에 알루미늄판을 적층시킨 4층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실 내부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설정부와, 상기 수납실 내부 온도와 설정된 온도를 표시하는 디지탈 표시부 및 상기 수납실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
KR20090038314A 2009-04-30 2009-04-30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 KR101045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8314A KR101045549B1 (ko) 2009-04-30 2009-04-30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8314A KR101045549B1 (ko) 2009-04-30 2009-04-30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282A KR20100119282A (ko) 2010-11-09
KR101045549B1 true KR101045549B1 (ko) 2011-06-30

Family

ID=4340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38314A KR101045549B1 (ko) 2009-04-30 2009-04-30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410B1 (ko) * 2011-04-02 2013-04-26 (주)에스코 골프공 히팅장치
WO2019157611A1 (zh) * 2018-02-13 2019-08-22 东莞市宏纶运动用品有限公司 高尔夫球冷却盒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803A (ko) * 2001-12-06 2003-06-18 김규만 입체 카드 제조 방법
KR200346803Y1 (ko) 2003-12-23 2004-04-08 김세진 휴대용 골프공 백
KR20070039997A (ko) * 2005-10-11 2007-04-16 주식회사 포스 휴대용 골프공 보온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803A (ko) * 2001-12-06 2003-06-18 김규만 입체 카드 제조 방법
KR200346803Y1 (ko) 2003-12-23 2004-04-08 김세진 휴대용 골프공 백
KR20070039997A (ko) * 2005-10-11 2007-04-16 주식회사 포스 휴대용 골프공 보온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282A (ko)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8193B2 (en) Refrigerator
KR102454181B1 (ko) 냉장고
KR102304277B1 (ko) 냉장고
KR102281711B1 (ko) 냉장고
AU50692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l air in refrigerator
CN111426121A (zh) 冰箱
KR101045549B1 (ko) 골프공의 정온 유지보관용 가방
WO2009113309A1 (ja) 冷蔵庫
CN111426122B (zh) 冰箱
US8110781B2 (en) Golf club head cover with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JP3803617B2 (ja) 冷蔵庫の冷気制御装置及び方法
US8242418B2 (en) Golf ball bag with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US9784465B2 (en) Portable air cooling system and method
GB2437653A (en) Heated golf club bag
KR20180133294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냉장 가열기
CN1680761A (zh) 多用加热制冷保温包
WO202215549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iding golfer gameplay
JP2002331054A (ja) ゴルフクラブ収容ケース
CN111426119B (zh) 冰箱
CN109708363B (zh) 便携式冷冻装置
CN109708367B (zh) 便携式冷冻装置
JP2016080307A (ja) 冷蔵庫
ES2600505T3 (es) Dispositivo de refrigeración rápida de sobremesa para latas o botellas
CN109708366B (zh) 便携式冷冻装置
KR20190040148A (ko) 휴대용 테니스공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