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347B1 - 펄스 신호 추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펄스 신호 추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347B1
KR101045347B1 KR1020100112227A KR20100112227A KR101045347B1 KR 101045347 B1 KR101045347 B1 KR 101045347B1 KR 1020100112227 A KR1020100112227 A KR 1020100112227A KR 20100112227 A KR20100112227 A KR 20100112227A KR 101045347 B1 KR101045347 B1 KR 101045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frequency
tracking
pulses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창민
윤상준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3/10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3/32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6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impulse radio
    • H04B1/717Pulse-related aspects
    • H04B1/7174Puls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최초 펄스의 변조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로 설정하고, 최초 펄스 이후에 수신된 연속된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와 동일한지 판단하여 펄스 신호의 추적 여부를 결정하고, 동일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연속된 m개 펄스가 수신되고 있는지 판단하여 펄스 추적의 성공 여부를 출력하는 펄스 추적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펄스 신호 추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cing pulse signal}
본 발명은 신호 추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소정의 주파수에 따라 변조된 펄스 신호를 추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더 시스템은 지속파(Continuous Wave) 혹은 변조된 지속파를 표적에 전송하고,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에 기초해 표적까지의 거리 및 표적의 속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레이더 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해 표적은 전파 재밍(jamming) 기법으로서 거리 기만(Range Gate Pull-Off : RGPO), 속도 기만(Velocity Gate Pull-Off : VGPO), VS(Velocity Stepping) 및 잡음(noise) 기법 등을 이용한다.
레이더 시스템에 대한 재밍의 목적은 레이더 신호와 유사한 복사 신호를 레이더 신호에 부가함으로써 목표물을 가장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레이더가 송출하는 신호를 추적하는 방법 및 장치가 선행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펄스 신호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추적 방법은 제1 주파수에 따라 변조(modulate)된 제1 펄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펄스 이후에 수신된 연속된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동일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연속된 m개 펄스가 수신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속된 m개 펄스가 수신되고 있는지 판단한 결과에 기초해, 펄스 추적이 성공하였는지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 및 m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펄스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변조된 펄스들이 연속적으로 수신된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n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횟수는 상기 제1 펄스의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로 변조된 펄스가 수신되면, '0'으로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속된 m개의 펄스가 수신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연속된 n개 펄스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동일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수신되는 펄스에 대응되는 추적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추적 펄스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m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펄스 추적이 성공하였는지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m 이상이면, 펄스 추적에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추적 장치는 제1 주파수에 따라 변조(modulate)된 제1 펄스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펄스 이후에 수신된 연속된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추적수행판단부; 상기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동일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연속된 m개 펄스가 수신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펄스추적부; 및 상기 연속된 m개 펄스가 수신되고 있는지 판단한 결과에 기초해, 펄스 추적이 성공하였는지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결과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n 및 m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된 펄스 추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주파수에 따라 변조된 펄스 신호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추적된 펄스 신호가 레이더 신호인 경우, 추적 결과에 기초해 레이더 신호를 재밍할 수 있어 상대방 레이더의 추적 효율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신호를 추적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주파수에 따라 변조된 펄스 신호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펄스 신호를 추적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신호 및 예측 게이트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추적의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신호를 추적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신호를 추적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추적 장치(100)는 추적수행판단부(110), 펄스추적부(120) 및 결과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추적수행판단부(110)는 펄스 추적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펄스 레이더는 소정 주파수에 따라 변조된 펄스 신호를 표적에 전송하고, 전송된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에 기초해 표적의 위치를 판단한다. 펄스 레이더는 주기적으로 펄스 신호를 표적에 전송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펄스 추적 장치(100)는 이러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펄스 신호를 추적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주파수에 따라 변조된 펄스 신호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펄스 추적 장치에 수신되는 입력 신호는 펄스 반복 주기(PRI : Pulse Repetition Interval)에 따르는 주기적인 펄스이다. 펄스 폭(PW : Pulse Width) 및 펄스 반복 주기는 레이더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며, 펄스 반복 주기는 연속된 펄스의 도착 시간 차이를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펄스는 소정 주파수에 따라 변조되는 바, 동일한 주파수에 따라 변조된 펄스들은 동일한 레이더에 의해 전송된 펄스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추적수행판단부(110)는 펄스의 변조 주파수에 기초해 펄스 신호의 추적을 수행할지 판단한다. 보다 상세히는 추적수행판단부(110)는 입력 신호의 최초 펄스의 순시 주파수(instantaneous frequency)를 측정한다. 최초 펄스의 주파수가 측정되면, 측정된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로 설정하고, 최초 펄스 이후 입력되는 연속된 복수개 펄스의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레이더에서 전송되는 펄스 신호는 펄스 반복 주기, 펄스 폭 및 변조 주파수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주파수에 따라 변조된 펄스가 연속해서 펄스 추적 장치(100)에 입력된다면, 동일한 레이더에서 전송된 펄스들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추적수행판단부(110)는 최초 펄스 및 이후에 수신되는 복수개 펄스들(이하에서는 "n개 펄스"라 한다. n은 양의 정수)이 동일한 주파수에 따라 변조되었는지 판단한다. 최초 펄스의 변조 주파수와 이후에 수신되는 n개 펄스들의 변조 주파수가 동일하면, 추적수행판단부(110)는 펄스 신호의 추적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최초 펄스의 변조 주파수인 기준 주파수와 최초 펄스 이후에 입력되는 펄스의 변조 주파수를 비교하여, 동일한 횟수를 카운트하고, 그 값이 n 이상이면, 연속된 n개 펄스들의 변조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연속해서 수신되는 n개의 펄스들 중 하나라도 기준 주파수와 상이한 주파수로 변조되었다면, 추적수행판단부(110)는 펄스 신호의 추적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n개의 펄스가 하나의 레이더로부터 전송된 것이 아닐 가능성이 높으므로, 펄스 신호의 추적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펄스 신호의 추적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변조 주파수를 비교하는 펄스의 개수, n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적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많은 개수의 펄스의 변조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와 비교할 수도 있고, 추적의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적은 개수의 펄스의 변조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와 비교할 수도 있다.
또한, 기준 주파수와 변조 주파수의 비교는 소정의 오차 범위 안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추적수행판단부(110)는 기준 주파수로부터 소정 오차 범위 안의 값으로 측정된 변조 주파수는 기준 주파수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적수행판단부(110)가 펄스 신호의 추적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펄스추적부(120)는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기초해 펄스 추적을 수행한다. 최초 펄스와 이후 수신된 n개 펄스는 펄스 신호의 추적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되고, n개 펄스 이후에 또 다시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복수개 펄스(이하에서는 m개 펄스라 한다. m은 양의 정수)를 이용해 펄스 신호의 추적을 수행한다. 입력되는 펄스 신호의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을 예측하고, 예측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연속된 m개 펄스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입력되는 펄스들의 포락선에 기초해 측정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예측 게이트를 생성하고, 예측 게이트에 대응되는 추적 펄스를 생성한다. 생성된 추적 펄스의 개수를 카운트(count)하여 그 값이 m 이상이면, 예측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연속된 m개 펄스가 수신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한 펄스 반복 주기에 따라 펄스들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펄스 반복 주기에 기초해 예측 게이트를 생성한다. 생성된 예측 게이트 내에 펄스가 존재하면, 입력된 펄스에 대응되는 추적 펄스를 생성한다.
펄스추적부(120)의 판단 결과, 연속된 m개 펄스가 예측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수신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결과출력부(130)는 펄스 신호의 추적에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반대로, 연속된 m개 펄스가 예측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수신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결과출력부(130)는 펄스 신호의 추적에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펄스 신호를 추적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추적수행판단부(110), 펄스추적부(120) 및 결과출력부(130)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적수행판단부(110)는 주파수측정부(310), 주파수측정횟수카운터(312), 비교기(314), 기준주파수설정부(316), 비교기(318), 주파수비교부(320), 연속일치판단부(322) 및 주파수추적부(324)를 포함한다.
주파수측정부(310)는 연속하여 입력되는 펄스 신호의 변조 주파수를 측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는 연속하여 입력되므로, 연속하여 입력되는 펄스의 변조 주파수를 연속하여 측정한다. 주파수측정횟수카운터(312)는 주파수측정부(310)에서 변조 주파수가 측정된 횟수를 카운트하여 출력한다.
비교기(314)는 주파수측정횟수카운터(312)에서 출력된 변조 주파수가 측정된 횟수를 "1"과 비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초 입력된 펄스의 변조 주파수는 기준 주파수로 설정되고, 기준 주파수는 이후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와 비교된다. 따라서, 최초 펄스의 변조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로 설정하기 위해 변조 주파수가 측정된 횟수를 "1"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1"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준주파수설정부(316)를 인에이블(enable)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기준주파수설정부(316)는 비교기(314)의 제어 신호에 기초해 주파수측정부(310)에서 측정된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로 설정한다. 비교기(314)는 변조 주파수가 측정된 횟수가 "1"인 경우에 인에이블 신호를 전송하므로, 최초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로 설정된다.
비교기(318)는 주파수측정횟수카운터(312)에서 출력된 변조 주파수가 측정된 횟수를 "2"와 비교한다. 기준주파수설정부(316)에서 기준 주파수가 설정되면, 최초 펄스 이후에 입력되는 펄스 신호의 변조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와 비교된다. 따라서, 비교기(318)는 변조 주파수가 측정된 횟수가 "2"인지 비교하여 주파수비교부(320)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주파수비교부(320)는 비교기(318)의 제어 신호에 기초해 주파수측정부(310)에서 측정된 주파수를 기준주파수설정부(316)에서 설정된 기준 주파수와 비교한다. 변조 주파수가 측정된 횟수가 "2"인 경우에 인에이블(enable)되고, 인에이블된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되므로, 최초 펄스 이후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모든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와 비교된다.
연속일치판단부(322)는 주파수비교부(320)로부터 변조 주파수의 비교 결과를 수신하여 최초 펄스 이후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연속된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고, 기준 주파수와 다른 변조 주파수가 측정된 경우에는 주파수 측정 횟수 카운터를 다시 "0"으로 리셋한다. 또한, 연속일치판단부(322)는 최초 펄스 이후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와 일치하면, 주파수 추적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신호를 주파수추적부(324)에 전송한다.
주파수추적부(324)는 연속일치판단부(322)의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해 주파수 추적을 수행한다. 주파수측정부(310)에서 측정된 현재 입력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로부터 소정 오차 범위 안의 값으로 판단되면, 펄스 신호의 추적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신호를 펄스 추적부(332)에 전송한다. n개 펄스 이후에 입력되는 펄스의 변조 주파수를 주파수추적부(324)가 직접 기준 주파수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해 인에이블 신호를 펄스추적부(332)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추적부(324)의 기준 주파수와 변조 주파수의 비교는 소정의 오차 범위 안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기준 주파수로부터 소정 오차 범위 안의 값으로 측정된 변조 주파수는 기준 주파수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펄스추적부(120)는 포락선측정부(325), 펄스측정부(328), 추적설정부(330), 펄스추적부(332) 및 추적카운터(334)를 포함한다.
포락선측정부(326)는 입력된 펄스 신호의 포락선(envelope)을 측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는 소정 주파수에 따라 변조된 신호이다. 따라서, 포락선측정부(325)는 변조된 펄스를 복조(demodulate)하여 펄스 신호의 포락선을 측정한다.
펄스측정부(328)는 포락선측정부(326)에서 측정된 펄스의 포락선에 기초해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을 측정한다. 연속하여 입력되는 2개 펄스의 펄스 도착 시간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펄스 반복 주기를 측정하고, 하나의 펄스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펄스 폭을 측정한다. 펄스가 계속하여 입력되고, 포락선 측정부(326)에서 계속해서 입력되는 펄스의 포락선이 측정되면,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의 측정을 반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된 2개 펄스가 아닌 3개 이상의 펄스의 포락선에 기초해 평균 펄스 반복 주기 및 평균 펄스 폭을 측정할 수도 있다.
추적설정부(330)는 연속일치판단부(322)의 펄스 추적의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해 펄스 추적을 위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을 설정한다. 연속일치판단부(322)가 기준 주파수와 연속된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일치한 것으로 판단하면, 펄스측정부(328)에서 측정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이 펄스 추적을 위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으로 설정된다. 설정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은 펄스 추적을 위한 예측 값들로서, 펄스추적부(332)의 예측 게이트 생성에 이용된다.
펄스추적부(332)는 추적설정부(330)에서 설정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기초해 펄스 추적을 수행한다. 추적설정부(330)에서 설정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수신되는 펄스에 대응되는 추적 펄스를 생성한다. 추적설정부(330)에서 설정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기초해 예측 게이트를 생성하고, 예측 게이트에 대응되는 추적 펄스를 생성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신호 및 예측 게이트를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펄스 추적 장치에 입력되는 펄스 신호가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을 때, 예측 게이트는 펄스 신호에 대응되어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다. 예측 게이트는 펄스 신호가 없는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큰 논리 값으로 설정되고,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논리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b는 펄스 신호의 펄스 반복 주기가 변경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4b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추적 장치에 입력되는 펄스 신호의 펄스 반복 주기가 소정 시각 이후 변경되면, 예측 게이트의 반복 주기도 펄스 반복 주기에 따라 변경된다.
측정된 펄스 반복 주기에 따라 예측 게이트가 생성되고, 생성된 예측 게이트 내에 입력된 펄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대적으로 작은 논리 값으로 설정된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구간에 입력된 펄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추적 펄스를 생성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펄스추적부(332)가 입력되는 펄스에 대응되는 추적 펄스를 생성하면, 추적카운터(334)는 추적 펄스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도 1의 결과출력부(130)에 대응되는 비교기(336)는 추적카운터(334)에서 출력되는 추적 펄스의 개수가 m 이상이면, 추적에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고, 추적 펄스의 개수가 m 이하이면, 추적에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추적의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입력 펄스 신호(50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추적 장치에 입력되면, 펄스 추적 장치는 입력되는 펄스의 변조 주파수를 입력 주파수(520)로서 측정하고, 최초 펄스의 변조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530)로 설정한다. 최초 펄스의 변조 주파수와 이후 수신되는 연속된 2개 펄스의 입력 주파수가 일치하므로, 네 번째 펄스부터 펄스 추적이 시작된다. 따라서, 네 번째 펄스부터 예측 게이트(560)가 생성되고, 입력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추적 펄스(590)가 생성된다. 추적 펄스(590)의 개수가 카운트되어 추적 카운트(580)가 생성되며, 추적 카운트(580)가 "3" 이상이면, 추적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추적에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추적 결과(590)가 출력된다.
예측 게이트(560) 및 추적 펄스(590)는 입력 펄스 신호 포락선(510)에 기초해 측정된, 펄스 반복 주기(550)에 따라 생성되는 바, 펄스 반복 주기는 펄스 도착 시간(540)의 차이에 기초해 설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신호를 추적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펄스 추적 장치는 최초 펄스인 제1 펄스를 수신한다. 제1 펄스는 소정의 변조 주파수에 의해 변조된 펄스이다.
단계 620에서 펄스 추적 장치는 단계 610에서 수신된 제1 펄스 이후 연속된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제1 주파수는 최초 펄스의 변조 주파수로서 기준 주파수로 설정된 주파수이다.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630 내지 650에서 펄스 추적을 수행하고,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610으로 돌아가 다시 제1 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펄스 이후 연속된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제1 주파수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펄스를 다시 수신하지 않고 펄스 신호의 추적을 모두 종료할 수도 있다.
단계 630에서 펄스 추적 장치는 n개 펄스 이후에 또 다시 연속하여 수신되는 m개 펄스가 동일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단계 630 이전에 수신된 펄스들의 포락선에 기초해 측정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연속된 m개 펄스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연속된 m개 펄스가 동일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640에서 펄스 추적에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반대로, 연속된 m개 펄스가 동일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650에서 펄스 추적에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펄스 신호를 추적하는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의 각각의 유닛들에 커플링된 버스, 상기 버스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령, 수신된 메시지 또는 생성된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버스에 결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0)

  1. 펄스 추적 방법에 있어서,
    제1 주파수에 따라 변조(modulate)된 제1 펄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펄스 이후에 수신된 연속된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동일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연속된 m개 펄스가 수신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속된 m개 펄스가 수신되고 있는지 판단한 결과에 기초해, 펄스 추적이 성공하였는지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 및 m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추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펄스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변조된 펄스들이 연속적으로 수신된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n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추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횟수는
    상기 제1 펄스의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로 변조된 펄스가 수신되면, '0'으로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추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된 m개의 펄스가 수신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연속된 n개 펄스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동일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수신되는 펄스에 대응되는 추적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추적 펄스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m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추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추적이 성공하였는지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m 이상이면, 펄스 추적에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추적 방법.
  6. 펄스 추적 장치에 있어서,
    제1 주파수에 따라 변조(modulate)된 제1 펄스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펄스 이후에 수신된 연속된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추적수행판단부;
    상기 n개 펄스의 변조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동일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연속된 m개 펄스가 수신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펄스추적부; 및
    상기 연속된 m개 펄스가 수신되고 있는지 판단한 결과에 기초해, 펄스 추적이 성공하였는지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결과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n 및 m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추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수행판단부는
    상기 제1 펄스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변조된 펄스들이 연속적으로 수신된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n 이상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추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횟수는
    상기 제1 펄스의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로 변조된 펄스가 수신되면, '0'으로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추적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추적부는
    상기 연속된 n개 펄스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동일한 펄스 반복 주기 및 펄스 폭에 따라 수신되는 펄스에 대응되는 추적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추적 펄스와 상기 n개 펄스 이후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펄스가 중첩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m 이상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추적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00112227A 2010-11-11 2010-11-11 펄스 신호 추적 방법 및 장치 KR101045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227A KR101045347B1 (ko) 2010-11-11 2010-11-11 펄스 신호 추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227A KR101045347B1 (ko) 2010-11-11 2010-11-11 펄스 신호 추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347B1 true KR101045347B1 (ko) 2011-06-30

Family

ID=4440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227A KR101045347B1 (ko) 2010-11-11 2010-11-11 펄스 신호 추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3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618B1 (ko) * 2016-09-21 2017-07-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예측 게이트를 이용한 재밍 수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85677A (ko) * 2018-01-11 2019-07-19 국방과학연구소 펄스반복주기 전환검출 기능을 갖는 펄스추적장치 및 방법
KR20230055250A (ko) * 2021-10-18 2023-04-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재밍 대상신호의 유효 여부를 고려한 재밍 신호 발생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33B1 (ko) 1999-05-17 2008-01-17 탈레스 표적의 추적을 위한, 자기유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33B1 (ko) 1999-05-17 2008-01-17 탈레스 표적의 추적을 위한, 자기유도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618B1 (ko) * 2016-09-21 2017-07-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예측 게이트를 이용한 재밍 수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85677A (ko) * 2018-01-11 2019-07-19 국방과학연구소 펄스반복주기 전환검출 기능을 갖는 펄스추적장치 및 방법
KR102073360B1 (ko) * 2018-01-11 2020-02-04 국방과학연구소 펄스반복주기 전환검출 기능을 갖는 펄스추적장치 및 방법
KR20230055250A (ko) * 2021-10-18 2023-04-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재밍 대상신호의 유효 여부를 고려한 재밍 신호 발생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KR102628750B1 (ko) * 2021-10-18 2024-01-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재밍 대상신호의 유효 여부를 고려한 재밍 신호 발생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3911B2 (en) Target tracking system and target tracking method
CN109917341B (zh) 雷达运动目标跟踪性能测试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1045347B1 (ko) 펄스 신호 추적 방법 및 장치
JP2013036928A (ja) データ解析装置、レーダ装置、およびデータ解析方法
KR101017590B1 (ko) 거리 기만 재밍 측정 방법 및 장치
CA2516796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ance measurement with controlled modulation of emitted pulses
CA2191918C (en) Circuit and method for determining time of arrival
US20130289933A1 (en) Detecting shaft rotation with short or missing teeth
JP2017090220A (ja) レーダ装置
KR100735407B1 (ko) Toa를 이용한 거리 측정 장치 및 방법
US7528774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azimuth by using phase differen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RU2395102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скорости снаря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5602554B2 (ja) 光測距装置
KR102289669B1 (ko) 임펄스의 상관관계 이용한 거리측정 장치 및 방법
CN116300377B (zh) 一种时间数字转换器与激光雷达
CN216748450U (zh) 时间数字转换装置
US20210356590A1 (en) Distance-measurement apparatus and distance-measurement method
KR101077837B1 (ko) 레이더를 이용한 타겟의 거리 속도 검출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10019623A (ja) 信号処理回路
CN112639515B (zh) 一种信号处理方法及装置
EP4099054A1 (en) Wireless distance measurement system, distance measurement terminal, control circuit, recording medium, and wireless distance measurement method
JPH05223928A (ja) パルスレーダ
CN109061562B (zh) 基于定位芯片内部参数的对象定位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210392067A1 (en) Estimation device, estimation method and estimation program
RU2338220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скорости снаря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