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747B1 - Iptⅴ용 ip 셋탑 박스 및 이를 이용한 epg 화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Iptⅴ용 ip 셋탑 박스 및 이를 이용한 epg 화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747B1
KR101044747B1 KR1020090055995A KR20090055995A KR101044747B1 KR 101044747 B1 KR101044747 B1 KR 101044747B1 KR 1020090055995 A KR1020090055995 A KR 1020090055995A KR 20090055995 A KR20090055995 A KR 20090055995A KR 101044747 B1 KR101044747 B1 KR 101044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epg
biometric
ep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778A (ko
Inventor
김효동
김민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5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747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TV용 IP 셋탑 박스 및 이를 이용한 EPG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용 IP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생체 정보 인식을 미선택하는 경우, 생체 미인식 모드로 동작하여 일반 메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생체 정보 인식을 선택하는 경우 생체 인식 모드로 동작하여, 내장된 생체 인식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전송받는 사용자 정보 인식부, 리모콘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기저장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사용자 판단부, 사용자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기본 EPG 정보 또는 개인화된 EPG 정보를 EPG 정보로 제공받는 EPG 정보 처리부로, 개인화된 EPG 정보를 제공받는 것은 리모콘에서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별 EPG 정보를 제공받는 것인 EPG 정보 처리부, 및 EPG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정보를 표시 장치로 전송하여 표시 장치에 EPG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화면 생성부를 포함한다.
EPG, IPTV, 생체 인식

Description

IPTⅤ용 IP 셋탑 박스 및 이를 이용한 EPG 화면 표시 방법 {IP set-top box for IPTV and EPG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모콘으로 인식된 사용자별로 개인화된 EPG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IPTV용 IP 셋탑 박스 및 이를 이용한 EPG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공중파만 시청하던 시기에서 현재는 다양한 케이블 방송 및 위성 방송 등 다채로운 채널을 시청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나아가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의 등장으로 채널의 개수는 웹(web) 서비스와 결합되어 무한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일반적인 EPG는 각 채널을 방문해서 프로그램을 확인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채널이 많아지면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검색하여 선택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현재 디지털 방송의 채널은 500개 이상 서비스되고 있으며, IPTV에서는 무한 개의 채널로 서비스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보 기 위해서는 모든 채널을 사용자가 일일이 스캔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IPTV의 콘텐츠 선택의 주도권은 리모콘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에게 있으며, 리모콘을 통해 IPTV의 EPG 화면을 활성화시킬 경우 사용자가 리모콘의 메뉴 버튼을 손가락으로 직접 누르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와 리모콘의 물리적 근접 관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더욱 용이하게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숙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더욱 용이하게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IPTV용 IP 셋탑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더욱 용이하게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IPTV용 EPG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셋탑 박스는, 사용자가 생체 정보 인식을 미선택하는 경우, 생체 미인식 모드로 동작하여 일반 메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생체 정보 인식을 선택하는 경우 생체 인식 모드로 동작하여, 내장된 생체 인식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전송받는 사용자 정보 인식부, 상기 리모콘에서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기저장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사용자 판단부, 상기 사용자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기본 EPG 정보 또는 개인화된 EPG 정보를 EPG 정보로 제공받는 EPG 정보 처리부로, 상기 개인화된 EPG 정보를 제공받는 것은 상기 리모콘에서 인식된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별 EPG 정보를 제공받는 것인 EPG 정보 처리부, 및 상기 EPG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정보를 표시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EPG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화면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화면 표시 방법은, 사용자가 생체 정보 인식을 미선택하는 경우, 생체 미인식 모드로 동작하여 일반 메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생체 정보 인식을 선택하는 경우 생체 인식 모드로 동작하여, 내장된 생체 인식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리모콘에서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기저장된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기본 EPG 정보 또는 개인화된 EPG 정보를 EPG 정보로 제공받되, 상기 개인화된 EPG 정보를 제공받는 것은 상기 리모콘에서 인식된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별 EPG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고, 상기 EPG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정보를 표시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EPG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용 IP 셋탑 박스 및 이를 이용한 EPG 화면 표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용 IP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IP 셋탑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용 IP 셋탑 박스의 사용자 정보 인식부에서 생체 인식 미선택시 기본 EPG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의 EPG 제공 시스템에서 따른 IPTV용 IP 셋탑 박스의 사용자 정보 인식부에서 생체 인식 선택시 기본 EPG 또는 개인화된 EPG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해당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신규한 생체 정보일 경우 새로운 사용자 등록의 선택을 확인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개인화된 EPG 정보를 전송 받는 동안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EPG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개인화된 EPG 정보 생성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개인화된 EPG 정보가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의 EPG 제공 시스템은 IP 셋탑 박스(100), 인터넷망(200), 콘텐츠 서버(300), EPG 서버(400), 사용자 관리 서버(500), 표시 장치(600), 및 리모콘(700) 등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의 EPG 서버(400), 콘텐츠 서 버(300) 및 사용자 관리 서버(500)는 인터넷망(200)을 통해 사용자의 IP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다. IP 셋탑 박스(100)에는 TV 등과 같은 표시 장치(600)가 연결되고, 사용자는 리모콘(700)을 통해 IP 셋탑 박스(100)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EPG 서버(400), 콘텐츠 서버(300) 및 사용자 관리 서버(500)는 인터넷망(200)을 통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고, 각 서버들(300, 400, 500)이 직접 연결되어 직접적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EPG 서버(300)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ic Program Guide; 이하 EPG)를 IP 셋탑 박스(100)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EPG 서버(400)는 기본 EPG 정보 또는 개인화된 EPG 정보를 EPG 정보로 IP 셋탑 박스(100)에 제공한다. 이 때, 기본 EPG 정보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EPG 서버(300)에 저장된 EPG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개인화된 EPG 정보는 각 사용자의 기호를 고려하여 생성된 EPG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기본 EPG 정보 및 개인화된 EPG 정보의 생성과 제공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콘텐츠 서버(300)는 복수의 콘텐츠가 저장되어, EPG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IP 셋탑 박스(100)에 제공한다. 이 때, 선택된 콘텐츠는 콘탠츠 서버(300)에서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IP 셋탑 박스(1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콘텐츠 서버(300)는 콘텐츠 파일이 저장된 콘텐츠 DB(미도시)와 콘텐츠 DB 내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업데이트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의 콘텐츠 선택 및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인 사용자 콘텐츠 이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의 장르 및 종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콘탠츠를 선택한 시각에 관한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IPTV의 경우, 초고속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의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관리 서버(500)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각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의 장르 및 종류, 나아가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한 시각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이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관리 서버(500)는 각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사용자에 대한 인기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콘텐츠 서버(300), EPG 서버(400), 및 사용자 관리 서버(500)를 독립적으로 표현했으나, 이들은 인터넷망(200)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또는 각 서버들(300, 400, 500) 간에도 연결 및 통합되어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사용자측에는 IP 셋탑 박스(100)에 다운로드된 각종 정보, 예컨대, EPG 정보 또는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600)가 연결되고, IP 셋탑 박스(100)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위하여 리모콘(7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IP 셋탑 박스(100)에 직접 접속하는 주체를 의미하며, 서비스 제공자에 서비스 사용권의 주체로 등록된 가입자와는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자에 대하여 하나의 가입자에 대하여 둘 이상의 사용자가 등록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 셋탑 박스(100)는 사용자 정보 인식부(110), 사용자 판단부(120), EPG 정보 처리부(130), 및 화면 생성부(1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인식부(110)는 리모콘(700)에 내장된 생체 인식 장치(71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전송받는다.
사용자 판단부(120)는 리모콘(700)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기저장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하면, 리모콘(700)으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기존에 등록된 사용자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IP 셋탑 박스(100)에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리모콘(700)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신규한 것일 경우, 새로운 사용자 생체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새로운 사용자 생체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신규 사용자로 IP 셋탑 박스(100)에 등록할 수 있다.
EPG 정보 처리부(130)는 사용자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기본 EPG 정보 또는 개인화된 EPG 정보를 EPG 정보로 제공받는다. 이 때, 개인화된 EPG 정보를 제공받는 것은 리모콘(700)에서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별 EPG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화된 EPG 정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화면 생성부(140)는 EPG 정보 처리부(130)에서 제공받은 EPG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정보를 표시 장치(600)로 전송하여, 표시 장치(600)에 EPG 정보에 대응하 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IP 셋탑 박스(100)는 리모콘(700)으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라 EPG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 때, 리모콘(700)은 생체 인식 장치(7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생체 인식 장치는 지문 인식 장치, 홍채 인식 장치, 음성 인식 장치, 정맥 인식 장치, 및 얼굴 인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700)의 생체 인식 장치(710)로 지문 인식 장치가 탑재되는 경우, 리모콘(700)의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IP 셋탑 박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리모콘(700)의 생체 인식 장치(710)로 음성 인식 장치가 탑재되는 경우, 사용자는 리모콘(700)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자신의 음성을 입력하고, 입력된 사용자의 음정 정보를 IP 셋탑 박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7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인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생체 정보 인식을 선택하는 경우, 리모콘(700)은 생체 인식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생체 정보 인식을 미선택하는 경우, 리모콘(700)은 생체 미인식 모드로 동작하는 일반 메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생체 정보 인식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의 EPG 제공 방식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생체 정보 인식의 방식으로 지문 인식 방식을 하나의 예로 설명한다. 그 외의 생체 정보 인식 방식, 예를 들어, 음성 인식 방식, 홍채 인식 방식 등은 이하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각각 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PTV를 통해 콘텐츠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의 EPG 제공 시스템은, 리모콘(700)에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인식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S110).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리모콘(700)은 생체 인식 장치(710)를 포함하는 EPG 메뉴 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EPG 메뉴 버튼을 누르는 시간에 따라 지문 인식 선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준 시간, 예를 들어 1초 이상의 시간 동안 메뉴 버튼을 누를 경우, 리모콘(700)의 메뉴 버튼은 지문 인식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IP 셋탑 박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사용자가 기준 시간 미만으로 메뉴 버튼을 누를 경우, 리모콘(700)의 메뉴 버튼은 일반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지 않고, 일반 메뉴 명령을 IP 셋탑 박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지문 인식기(710)의 모드 결정 방식에는, 상술한 버튼 접촉 시간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지문 인식을 선택하지 않으면, 리모콘(700)은 일반 모드로 동작하여, IP 셋탑 박스(100)로 일반 메뉴 명령을 전송한다(S120).
IP 셋탑 박스(100)가 리모콘(700)으로부터 일반 메뉴 명령을 전송받으면, IP 셋탑 박스(100)는 EPG 서버(400)에 기본 EPG 정보를 요청하는데(S130), 이에 EPG 서버(400)는 기본 EPG 정보를 추출하여(S140) IP 셋탑 박스(100)로 전송한다(S150).
IP 셋탑 박스(100)는 EPG 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기본 EPG 정보를 표시 장치(600)로 전송하고(S160), 표시 장치(600)는 기본 EPG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170).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 EPG 정보는, 사용자 관리 서버(500) 내에 해당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가 없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EPG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지문 인식을 선택하는 경우의 EPG 제공 방식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700)은 사용자의 지문 인식 선택 여부를 판단하고(S2100), 사용자가 지문 인식을 선택하면 리모콘은 지문 정보를 IP 셋탑 박스(100)로 전송한다(S2200). 다시 말하면, 리모콘(700)은 IP 셋탑 박스(100)로 일반 메뉴 명령 또는 사용자 지문 정보를 제공하되, 사용자의 지문 인식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 메뉴 명령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지문 인식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P 셋탑 박스(100)는 리모콘(700)으로부터 전송받은 지문 정보가 기 저장된 지문 정보인지 확인한다(S2300).
몇몇 실시예에서는, 기저장된 지문 정보인지 여부의 확인을 사용자 관리 서버(500)를 통해서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P 셋탑 박스(100)에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사용자 관리 서버(500)에 그대로 전송하여, 사용자 관리 서버(500)에 저장된 각 사용자의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기저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별로 ID(Identification number)를 저장하여 관할 수 있다. 따라서, IP 셋탑 박스(100)가 사용자 지문 정보를 사용자 ID(Identification number)로 전환하고, 사용자 관리 서버(500)에 전환된 사용자 ID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기저장된 사용자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지문 인식을 통한 사용자의 확인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전송된 지문 정보가 신규 지문 정보일 때, IP 셋탑 박스(100)는 EPG 서버(400)에 기본 EPG 정보를 요청한다(S2410).
이 경우, 몇몇 실시예에서, IP 셋탑 박스(100)는 신규 지문 등록의 실행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사용자 등록을 선택하시겠습니까?'라는 팝업창이 표시될 수 있고, '예'를 선택하면 신규 지문의 사용자를 등록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민'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사용자가 신규 지문으로 등록한 경우, 등록 후 '김민 님의 EPG로 이동하는 중입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 장치(6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면서, IP 셋탑 박스(100)에서는 EPG 서버(400)에 기본 EPG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다만, IP 셋탑 박스(100)는 사용자가 신규 지문으로 등록한 후, EPG 서버(400)에 최초로 EPG 정보를 요청할 때, 기본 EPG 정보를 요청하고, 이 후 두 번째 접속부터 IP 셋탑 박스(100)는 개인화된 EPG 정보를 요청한다. 다시 말하면, 사 용자가 지문 인식을 선택한다고 할 지라도, 리모콘(700)의 지문 인식기(710)를 통해 최초로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 관리 서버(500)에는 사용자의 콘텐츠 사용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IP 셋탑 박스(100)는 EPG 서버(400)에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본 EPG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IP 셋탑 박스(100)의 요청에 따라, EPG 서버(400)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기본 EPG 정보를 추출하고(S2420), 추출된 기본 EPG 정보를 IP 셋탑 박스(100)로 전송한다(S2430). 이 때, EPG 서버(400)와 IP 셋탑 박스(100)간의 기본 EPG 정보의 요청 및 전송은 인터넷망(20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전송된 지문 정보가 기저장된 지문일 때, IP 셋탑 박스(100)는 EPG 서버(400)에 개인화된 EPG 정보를 요청한다(S2510).
상술한 바와 같이, IP 셋탑 박스(100)는 기저장된 지문 정보, 즉 등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EPG 정보를 요청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민 님의 EPG로 이동하는 중입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 장치(6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면서, EPG 서버(400)에 개인화된 EPG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IP 셋탑 박스(100)로부터 개인화된 EPG 정보를 요청 받은 EPG 서버(400)는, 사용자 관리 서버(500)에 해당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요청한다(S2520). 이에 따라, 사용자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추출한다(S2530). EPG 서버(400)로 해당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전송한다(S2540). EPG 서버(400)는 전송받은 해당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기초로 개인화된 EPG 정보를 생성한다(S255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G 서버(400)는 판단부(410), 정보 수집부(420), EPG 정보 생성부(430), 및 저장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410)는 IP 셋탑 박스(100)로부터 요청된 정보가 개인화된 EPG 정보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IP 셋탑 박스(100)의 EPG 정보 요청이 기본 EPG 정보에 대한 요청인지, 개인화된 EPG 정보에 대한 요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420)는 사용자 관리 서버(500)로부터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콘텐츠 이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G 정보 생성부(430)는 사용자의 장르별 선호 콘텐츠 정보, 사용자의 프로그램별 선호 콘텐츠 정보, 사용자의 시간대별 선호 콘텐츠 정보, 및 전체 사용자의 인기 콘텐츠 정보 등에 관한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EPG 정보 생성부(430)는 수집된 콘텐츠 이용 정보를 기초로 개인화된 EPG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해당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EPG 정보, 즉 개인화된 EPG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의 장르별 및 프로그램별 선호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목록화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장르에 관한 우선 순위로 장르별 리스트를 결정하고,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프로그램에 관한 우선 순위로 프로그램별 리스트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콘텐츠 이용 정보에 포함된 시간대별 선호 콘텐츠 정보를 이 용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콘텐츠 목록을 유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일정 시간에 따라 개인화된 EPG 정보를 리프레쉬(refresh)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전에는 뉴스 위주의 콘텐츠를 이용하고, 오후에는 영화 위주의 콘텐츠를 이용한다는 사용자의 시간대별 선호 콘텐츠 정보를 반영하여, 정오 이후에 영화 장르를 장르별 리스트의 우선 순위로 지정할 수 있다. 개인화된 EPG 정보를 리프레쉬하는 시간 및 회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사용자 관리 서버(500)는 기저장된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토대로, 전체 사용자의 인기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EPG 서버(400)는 사용자 관리 서버(500)로부터 상기 인기 콘텐츠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반영하여 개인화된 EPG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EPG 서버(400)는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기초로 개인화된 EPG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한 번 생성된 개인화된 EPG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목록은 시간에 지남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생성된 개인화된 EPG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저장부(4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서, EPG 서버(400)는 생성된 개인화된 EPG 정보를 EPG 정보로 하여 IP 셋탑 박스(100)로 전송하고(S2560), IP 셋탑 박스(100)는 전송받은 EPG 정보, 즉 지문 정보 확인 과정에서 신규 지문으로 확인되어 EPG 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기본 EPG 정보와, 기저장된 지문으로 확인되어 EPG 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개인화된 EPG 정보를 표시 장치(600)에 전송한다(S2600). EPG 정보를 전송받은 표시 장 치(600)는 해당 EPG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700).
이어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보고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하면(S2800), IP 셋탑 박스(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300)에 요청하고(S2910), 이와 함께 IP 셋탑 박스(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관리 서버(500)에 저장한다(S2920). 마찬가지로, 사용자 관리 서버(5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선택 콘텐츠 정보는, 이후 해당 사용자의 개인화된 EPG 정보 생성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의 EPG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리모콘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화된 EPG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콘텐츠의 종류 및 개수가 다양해지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해 드는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더욱 간편하게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망을 통한 사용자별로 선호하는 콘텐츠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선택 및 이용한 콘텐츠를 데이터 베이스화 시킴으로써,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예고한다거나 해당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상품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나아가, 개인화된 EPG 정보를 생성할 때에, 영화와 같이 단편으로 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시청한 콘텐츠를 제외하고, 다음 차례의 우선 순위로 배정된 영화를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드라마와 같이 시리즈로 구성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시청한 콘텐츠의 다음 편을 우선 순위로 배정 하여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의 EPG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IP 셋탑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의 EPG 제공 시스템에서 지문 인식 미선택시 기본 EPG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의 EPG 제공 시스템에서 지문 인식 선택 시 기본 EPG 또는 개인화된 EPG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해당 사용자의 지문이 신규 지문일 경우 새로운 사용자 등록의 선택을 확인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개인화된 EPG 정보를 전송 받는 동안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EPG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개인화된 EPG 정보 생성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개인화된 EPG 정보가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IP 셋탑 박스 110: 사용자 정보 인식부
120: 사용자 판단부 130: EPG 정보 처리부
140: 화면 생성부 150: 제어부
200: 인터넷망 300: 콘텐츠 서버
400: EPG 서버 410: 판단부
420: 정보 수집부 430: EPG 정보 생성부
440: 저장부 500: 사용자 관리 서버
600: 표시 장치 700: 입력 장치
710: 지문 인식부

Claims (17)

  1. 사용자가 생체 정보 인식을 미선택하는 경우, 생체 미인식 모드로 동작하여 일반 메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생체 정보 인식을 선택하는 경우 생체 인식 모드로 동작하여, 내장된 생체 인식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전송받는 사용자 정보 인식부;
    상기 리모콘에서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기저장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사용자 판단부;
    상기 사용자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기본 EPG 정보 또는 개인화된 EPG 정보를 EPG 정보로 제공받는 EPG 정보 처리부로, 상기 개인화된 EPG 정보를 제공받는 것은 상기 리모콘에서 인식된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별 EPG 정보를 제공받는 것인 EPG 정보 처리부; 및
    상기 EPG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정보를 표시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EPG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화면 생성부를 포함하는 IPTV용 IP 셋탑 박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식 장치는,
    지문 인식 장치, 홍채 인식 장치, 음성 인식 장치, 정맥 인식 장치, 및 얼굴 인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PTV용 IP 셋탑 박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판단부에서 상기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신규한 생 체 정보일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IPTV용 IP 셋탑 박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EPG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것일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개인화된 EPG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것이 아닐 경우, 상기 기본 EPG 정보를 제공받는 IPTV용 IP 셋탑 박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EPG 정보 처리부는 서비스 제공자의 EPG 서버로부터 상기 기본 EPG 정보 또는 상기 개인화된 EPG 정보를 제공받는 IPTV용 IP 셋탑 박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EPG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지난 콘텐츠 이용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인 IPTV용 IP 셋탑 박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EPG 정보는, 상기 기본 EPG 정보 또는 상기 개인화된 EPG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사용자로 등록된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기초로 선별된 인기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IPTV용 IP 셋탑 박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EPG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가입된 하나의 가입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등록 가능한 IPTV용 IP 셋탑 박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식 장치는, 상기 생체 인식 장치가 포함된 버튼이 눌려진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인식 여부를 결정하는 IPTV용 IP 셋탑 박스.
  10. 삭제
  11. 사용자가 생체 정보 인식을 미선택하는 경우, 생체 미인식 모드로 동작하여 일반 메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생체 정보 인식을 선택하는 경우 생체 인식 모드로 동작하여, 내장된 생체 인식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리모콘에서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기저장된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기본 EPG 정보 또는 개인화된 EPG 정보를 EPG 정보로 제공받되, 상기 개인화된 EPG 정보를 제공받는 것은 상기 리모콘에서 인식된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별 EPG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고,
    상기 EPG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정보를 표시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EPG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EPG 화면 표시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식 장치는 지문 인식 장치, 홍채 인식 장치, 음성 인식 장치, 정맥 인식 장치, 및 얼굴 인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EPG 화면 표시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기저장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신규한 생체 정보일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EPG 화면 표시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기저장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저장부에 기저장된 것일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개인화된 EPG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상기 신규한 생체 정보일 경우, 상기 기본 EPG 정보를 제공받는 EPG 화면 표시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EPG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지난 콘텐츠 이용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인 EPG 화면 표시 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EPG 정보는, 상기 기본 EPG 정보 또는 상기 개인화된 EPG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사용자로 등록된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기초로 선별된 인기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EPG 화면 표시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EPG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가입된 하나의 가입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등록 가능한 EPG 화면 표시 방법.
KR1020090055995A 2009-06-23 2009-06-23 Iptⅴ용 ip 셋탑 박스 및 이를 이용한 epg 화면 표시 방법 KR101044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995A KR101044747B1 (ko) 2009-06-23 2009-06-23 Iptⅴ용 ip 셋탑 박스 및 이를 이용한 epg 화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995A KR101044747B1 (ko) 2009-06-23 2009-06-23 Iptⅴ용 ip 셋탑 박스 및 이를 이용한 epg 화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778A KR20100137778A (ko) 2010-12-31
KR101044747B1 true KR101044747B1 (ko) 2011-06-27

Family

ID=4351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995A KR101044747B1 (ko) 2009-06-23 2009-06-23 Iptⅴ용 ip 셋탑 박스 및 이를 이용한 epg 화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9840B2 (en) 2018-07-25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aware remote control for shared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491B1 (ko) * 2012-08-17 2015-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화 된 홈 스크린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893943B1 (ko) * 2015-01-13 2018-08-31 주식회사 케이티 Iptv 시청 가구 구성원 추론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034220B1 (ko) * 2017-10-12 2019-10-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공지능 컴퓨팅 플랫폼 및 그 개인화 설정 방법
WO2022196842A1 (ko) * 2021-03-17 2022-09-22 주식회사 여심서울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인식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764A (ko) * 2004-04-02 2005-10-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지문을 이용한 방송 채널 인터페이스 방법
KR20090007639A (ko) * 2006-06-09 2009-01-19 사이언티픽 아틀란타, 인코포레이티드 홈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프로그램 가이드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7891A (ko) * 2007-07-16 2009-01-2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지문인식 디지털 위성라디오 시스템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764A (ko) * 2004-04-02 2005-10-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지문을 이용한 방송 채널 인터페이스 방법
KR20090007639A (ko) * 2006-06-09 2009-01-19 사이언티픽 아틀란타, 인코포레이티드 홈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프로그램 가이드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7891A (ko) * 2007-07-16 2009-01-2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지문인식 디지털 위성라디오 시스템 및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9840B2 (en) 2018-07-25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aware remote control for shared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778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3308C (en) Television system with aided user program searching
KR101550074B1 (ko) 대화형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의 원격 액세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921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 user profile
US200800921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 user profile
WO2001006784A2 (e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data collection
US20060242665A1 (en)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s with initial channel tuning
KR100617309B1 (ko) Epg 제공 장치 및 그 방법과 epg를 제공받는 단말기및 epg 표시방법
US201003331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guidance applications for browsing video-on-demand listings
CN111492393A (zh) 基于短媒体查看简档和长媒体查看简档提供推荐的系统和方法
KR101044747B1 (ko) Iptⅴ용 ip 셋탑 박스 및 이를 이용한 epg 화면 표시 방법
US20100122296A1 (en) Television tuning on start-up
US202400487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programs
KR101339774B1 (ko) 통합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서버
US2019034964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gram channel status information and/or for controlling channel switching
WO2008042280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 user profile
US2024004020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eiving ratings from a third-party source of ratings
US1005761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bookmarked content
KR20090120954A (ko) Iptv 서비스에서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iptv 서비스 시스템
KR20090120920A (ko) Iptv 서비스에서 관련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셋탑박스
WO2011142922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 action on a program or accessing the program from a third-party media content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