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701B1 -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 Google Patents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701B1
KR101044701B1 KR1020090093096A KR20090093096A KR101044701B1 KR 101044701 B1 KR101044701 B1 KR 101044701B1 KR 1020090093096 A KR1020090093096 A KR 1020090093096A KR 20090093096 A KR20090093096 A KR 20090093096A KR 101044701 B1 KR101044701 B1 KR 101044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oling water
outer pipe
support
inn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400A (ko
Inventor
황인주
이홍철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9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7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8Subterranean disposal, e.g. in boreholes or subsurface fra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이 밀폐되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으로서, 지반에 천공된 심정(99)의 바닥면에 하부면이 고정설치되고 상부는 지상으로 돌출되는 냉각수챔버(100);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이 밀폐되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으로서, 밀폐된 하부면이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내측 하부에서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하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단부는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외부배관(200); 전체적으로 상부면이 밀폐되고 하부면이 개방되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으로서, 하단부는 상기 외부배관(200)의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외부배관(200)의 내측 하부에서 상기 외부배관(200)의 하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밀폐된 상부면은 상기 외부배관(2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내부배관(300); 및, 상기 내부배관(30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배관(300)의 하부까지 연장되며 산화제의 공급통로가 되는 산화제공급관(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냉각수챔버(100)는 하부 일측에 냉각수공급구(110)가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 냉각수배출구(120)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배관(200)의 상부 일측에는 액상폐기물배출구(210)가 구비되며, 상기 액상폐기물배출구(210)의 하부에는 상기 외부배관(2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외부배관지지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배관(300)의 상부 일측에는 액상폐기물공급구(310)가 구비되며, 상기 액상폐기물공급구(310)의 하부에는 상기 내부배 관(3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내부배관지지부(320)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냉각수챔버상단체결부(130)와 상기 외부배관지지부(220)가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외부배관(200)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외부배관상단체결부(230)와 상기 내부배관지지부(320)가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각수챔버, 외부배관, 내부배관, 산화제공급관, 냉각수공급구, 냉각수배출구, 액상폐기물공급구, 냉각수공급관, 액상폐기물배출구, 냉각수챔버지지부, 제1슬립형지지물, 제2슬립형지지물, 제3슬립형지지물, 제4슬립형지지물

Description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Thermal Deformation Absorption Structure of GPV-WAO Reactor}
본 발명은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의 열변형 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변형이 발생할 경우 이러한 변형이 지상으로 자유롭게 신장되도록 하여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를 열변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지상 가압 탱크식 습식산화반응시스템의 경우 폐기물의 산화 처리 과정에서 산화반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반응기 내부에 고온, 고압의 환경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가열, 가압 시스템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 경우 습식산화 반응기의 고온, 고압의 유지를 위한 초기 시설 및 운전,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 지출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습식산화 반응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가 제시(반응기 하부로 산소와 액상 폐기물이 별개의 통로로 공급되어 습식산화 반응이 이루어진 후 반응기 상부에 구비된 액상 폐기물 배출구로 배출되는 구조)되었으나,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의 경우 수백 내지 수천 미터에 달하는 깊이로 매설된 반응기 내부에서 수백℃ 이상의 온도 변화가 발생하여, 길이 방향으로 수 미터의 열변형(온도 상승에 따른 길이 신장)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열변형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면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의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열변형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의 도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중력식압력용기 내부의 온도에 따른 열변형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를 보호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이 밀폐되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으로서, 지반에 천공된 심정(99)의 바닥면에 하부면이 고정설치되고 상부는 지상으로 돌출되는 냉각수챔버(100);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이 밀폐되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으로서, 밀폐된 하부면이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내측 하부에서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하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단부는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외부배관(200); 전체적으로 상부면이 밀폐되고 하부면이 개방되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으로서, 하단부는 상기 외부배관(200)의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외부배관(200)의 내측 하부에서 상기 외부배관(200)의 하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밀폐된 상부면은 상기 외부배관(2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내부배관(300); 및, 상기 내부배 관(30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배관(300)의 하부까지 연장되며 산화제의 공급통로가 되는 산화제공급관(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냉각수챔버(100)는 하부 일측에 냉각수공급구(110)가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 냉각수배출구(120)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배관(200)의 상부 일측에는 액상폐기물배출구(210)가 구비되며, 상기 액상폐기물배출구(210)의 하부에는 상기 외부배관(2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외부배관지지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배관(300)의 상부 일측에는 액상폐기물공급구(310)가 구비되며, 상기 액상폐기물공급구(310)의 하부에는 상기 내부배관(3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내부배관지지부(320)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냉각수챔버상단체결부(130)와 상기 외부배관지지부(220)가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외부배관(200)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외부배관상단체결부(230)와 상기 내부배관지지부(320)가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열변형(온도 상승에 따른 길이 신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를 보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냉각수챔버(100)의 온도 상승으로 열변형이 일어나면 냉각수챔버(100)의 하부면은 심정(99)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냉각수챔버(100)의 상단이 열변형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외부배관(200)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배관(200)이 상승하게 되면 외부배관(200)의 하부면과 냉각수챔버(100)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외부배관(200)의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영역(길이)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배관(300)의 하단부는 외부배관(200)의 하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떨어져 있는 바, 내부배관(300)은 외부배관상단체결부(230)에 결합되어 거치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냉각수챔버(100)나 외부배관(200)의 온도 상승에 의한 열변형으로 외부배관(200)의 상단이 상승하게 되면 이로 인하여 내부배관(300)도 함께 상승하게 되고, 내부배관(300)의 하부면과 외부배관(200)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내부배관(300)의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영역(길이)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산화제공급관(400)의 하단부도 외부배관(200)의 하부면과 산화제공급관(400)의 수직 방향 최대 열변형 길이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산화제공급관(400)이 최대한 늘어나더라도 산화제공급관(400)의 하단부가 외부배관(200)의 하부면에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한 방식으로 냉각수챔버(100) 내부에 외부배관(200), 내부배관(300), 및 산화제공급관(400)이 구비됨으로서 온도가 상승하여 냉각수챔버(100), 외부배관(200), 내부배관(300) 또는 산화제공급관(400)이 늘어나더라도 늘어난 길이는 냉각수챔버(100), 외부배관(200), 내부배관(300) 및 산화제공급관(400) 상호 결합 구조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흡수되어 열변형으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열변형(온도 상승에 따른 길이 신장)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각각의 구성요소가 수직 상향으로 자유롭게 늘어 날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냉각수챔버(100)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이 밀폐되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다시 말하면 관의 하부면이 밀폐된 형상)이며, 지반에 천공된 심정(99)의 바닥면에 하부면이 고정설치되고 상부는 지상으로 돌출된다.
냉각수챔버(100)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수백 미터 내지 수천 미터에 이르기도 한다.
냉각수챔버(100)는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을 하는데, 반드시 이러한 원통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면이 사용될 수 있다.
냉각수챔버(100)는 하부 일측에는 냉각수공급구(110)가 구비되고 냉각수챔버(100)의 상부 일측에는 냉각수배출구(120)가 구비된다.
즉 냉각수챔버(100)의 하부로 유입된 냉각수가 상승하면서 외부배관(200)을 냉각시킨 후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는 냉각수챔버(100)의 상부에 구비된 냉각수배출구(1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냉각수공급구(110)에는 지상으로부터 연결되는 냉각수공급관(115)이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냉각수챔버지지부(500)는 지지다리(510)와 가이드(520)로 구성되는데, 지지다리(510)는 심정(99) 주위의 지면에 설치되고, 가이드(520)는 지지다리(5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열변형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냉각수챔버(100)의 지상으로 돌출된 외측면을 지지하여 냉각수챔버(100)가 어느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다.
즉 가이드(520)가 냉각수챔버(100)의 외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지지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520)은 냉각수챔버(100)의 외측면 둘레를 완전히 둘러싸는 링(ring) 형태가 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각수챔버(100)의 외측면 일부 구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제1슬립형지지물(11)은 지반에 천공된 심정(99)의 내측 표면을 따라 심정(99)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열변형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냉각수챔버(100)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냉각수챔버가 어느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다.
냉각수챔버지지부(500)와 제1슬립형지지물(11)은 그 기능이 유사한데, 둘 가운데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두 개 모두가 구비될 수도 있다.
외부배관(200)은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이 밀폐되며 수직 방향 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다시 말하면 관의 하단부가 밀폐된 형상)이다.
외부배관(200)의 밀폐된 하부면은 냉각수챔버(100)의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냉각수챔버(100)의 내측 하부에 도달하는데, 외부배관(200)의 밀폐된 하부면과 냉각수챔버(100)의 하부면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외부배관(200)의 상단부는 냉각수챔버(1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외부배관(200)의 하부면은 냉각수챔버(100)의 하부면과 외부배관(200)의 수직 방향 최대 열변형 길이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배관(200)이 최대한 늘어나더라도 외부배관(200)의 하부면이 냉각수챔버(100)의 하부면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이격되어야 하는 것이다.
외부배관(200)의 상부 일측에는 액상폐기물배출구(210)가 구비되어 습식산화 반응이 완료된 액상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외부배관지지부(220)는 액상폐기물배출구(210)의 하부에 구비되는데, 외부배관(2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환형의 띠가 부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냉각수챔버(100)에는 도3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외부배관지지부(220)와 대응하는 형태의 냉각수챔버상단체결부(130)가 구비되는데, 외부배관지지부(220)와 냉각수챔버상단체결부(130)는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결합된다.
즉 외부배관(200)의 하부면은 냉각수챔버(100)의 하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떨어져 있는 바, 외부배관(200)은 냉각수챔버상단체결부(130)에 결합되어 거치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냉각수챔버(100)의 열변형이 일어나면 냉각수챔버(100)의 하부면은 심정(99)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냉각수챔버(100)의 상단이 열변형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외부배관(200)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배관(200)이 상승하게 되면 외부배관(200)의 하부면과 냉각수챔버(100)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외부배관(200)의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영역(길이)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내부배관(300)은 전체적으로 상부면이 밀폐되고 하부면이 개방되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다시 말하면 관의 상단부가 밀폐된 형상)이다.
내부배관(300)의 하단부는 외부배관(200)의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외부배관(200)의 내측 하부에 도달하는데, 내부배관(300)의 하단부는 외부배관(200)의 하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내부배관(300)의 밀폐된 상부면은 외부배관(2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내부배관(300)의 하부면은 외부배관(200)의 하부면과 내부배관(300)의 수직 방향 최대 열변형 길이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부배관(300)이 최대한 늘어나더라도 내부배관(300)의 하부면이 외부배관(200)의 하부면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이격되어야 하는 것이다.
내부배관(300)의 상부 일측에는 액상폐기물공급구(310)가 구비되어 습식산화 처리될 액상폐기물이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액상폐기물공급구(310)의 하부에는 내부배관(3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내부 배관지지부(320)가 환형의 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외부배관(20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내부배관지지부에 대응하는 형태의 외부배관상단체결부(230)가 형성되는데, 외부배관상단체결부(230)와 내부배관지지부(320)는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결합된다.(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4와 유사한 형태가 된다.)
즉 내부배관(300)의 하단부는 외부배관(200)의 하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떨어져 있는 바, 내부배관(300)은 외부배관상단체결부(230)에 결합되어 거치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냉각수챔버(100)나 외부배관(200)의 열변형으로 외부배관(200)의 상단이 상승하게 되면 이로 인하여 내부배관(300)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배관(300)이 상승하게 되면 내부배관(300)의 하부면과 외부배관(200)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내부배관(300)의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영역(길이)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산화제공급관(400)은 내부배관(30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내부배관(300)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액상폐기물공급구(310)를 통하여 내부배관(300)의 내부로 유입된 액상폐기물 산화제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산화제공급관(400)의 하단부는 외부배관(200)의 하부면과 산화제공급관(400)의 수직 방향 최대 열변형 길이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산화제공급관(400)이 최대한 늘어나더라도 산화제공급관(400)의 하단부가 외부배관(200)의 하부면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이격되어야 하는 것이다.
액상폐기물은 내부배관(300)의 하부에서 산화제와 혼합되어 습식산화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도5는 외부배관(200) 외측 표면에 구비되는 제2슬립형지지물(22)을 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다른 구성요소들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제2슬립형지지물(22)은 외부배관(200) 외측 표면을 따라 냉각수챔버(100)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열변형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외부배관(200)과 냉각수챔버(100)가 서로 적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 역할을 한다.
제2슬립형지지물(22)의 구체적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배관(200)의 외측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된 단순한 판재 형상이면 충분하다.
제3슬립형지지물(33)은 내부배관(300) 외측 표면을 따라 외부배관(200)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열변형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내부배관(300)과 외부배관(200)이 서로 적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 역할을 한다.
제3슬립형지지물(33)의 경우도 구체적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4슬립형지지물(44)은 산화제공급관(400) 외측 표면을 따라 내부배관(300)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열변형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산화제공급관(400)과 상기 내부배관(300)이 적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 역할을 한다.
제4슬립형지지물(44)의 경우도 구체적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일반적인 습식산화반응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데, 액성 폐기물과 산소(공기)가 반응기(Reactor) 내부로 공급되어 반응기 내부에서 습식산화반응이 이루어지고, 산화물과 가스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2는 종래의 중력식 습식산화반응시스템의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구조를 보여주는데, 열팽창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수단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열변형(온도 상승에 따른 길이 신장)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각각의 구성요소가 수직 상향으로 자유롭게 늘어 날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4는 냉각수챔버(100)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냉각수챔버상단체결부(130)와 외부배관지지부(220)의 결합 구조를 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5는 외부배관(200) 외측 표면에 구비되는 제2슬립형지지물(22)을 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제3슬립형지지물(33)과 제4슬립형지지물(44)도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이들에 대한 별도 도시는 생략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냉각수챔버
110:냉각수공급구
115:냉각수공급관
120:냉각수배출구
130:냉각수챔버상단체결부
200:외부배관
210:액상폐기물배출구
220:외부배관지지부
230:외부배관상단체결부
300:내부배관
310:액상폐기물공급구
320:내부배관지지부
400:산화제공급관
500:냉각수챔버지지부
510:지지다리
520:가이드
11:제1슬립형지지물
22:제2슬립형지지물
33:제3슬립형지지물
44:제4슬립형지지물
99:심정

Claims (8)

  1.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이 밀폐되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으로서, 지반에 천공된 심정(99)의 바닥면에 하부면이 고정설치되고 상부는 지상으로 돌출되는 냉각수챔버(100);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이 밀폐되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으로서, 밀폐된 하부면이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내측 하부에서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하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단부는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외부배관(200);
    전체적으로 상부면이 밀폐되고 하부면이 개방되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통 형상으로서, 하단부는 상기 외부배관(200)의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외부배관(200)의 내측 하부에서 상기 외부배관(200)의 하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밀폐된 상부면은 상기 외부배관(2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내부배관(300); 및,
    상기 내부배관(30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배관(300)의 하부까지 연장되며 산화제의 공급통로가 되는 산화제공급관(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냉각수챔버(100)는 하부 일측에 냉각수공급구(110)가 구비되고 상부 일 측에 냉각수배출구(120)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배관(200)의 상부 일측에는 액상폐기물배출구(210)가 구비되며, 상기 액상폐기물배출구(210)의 하부에는 상기 외부배관(2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외부배관지지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배관(300)의 상부 일측에는 액상폐기물공급구(310)가 구비되며, 상기 액상폐기물공급구(310)의 하부에는 상기 내부배관(3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내부배관지지부(320)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냉각수챔버상단체결부(130)와 상기 외부배관지지부(220)가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외부배관(200)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외부배관상단체결부(230)와 상기 내부배관지지부(320)가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2. 제1항에서,
    하단부는 상기 냉각수공급구(110)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냉각수챔버(100)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지상으로 돌출되는 냉각수공급관(115);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지반에 천공된 심정(99)의 내측 표면을 따라 심정(99)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열변형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1슬립형지지물(11);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심정(99) 주위의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다리(510)와 상기 지지다리(5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열변형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지상으로 돌출된 외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520)로 구성되는 냉각수챔버지지부(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외부배관(200) 외측 표면을 따라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열변형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상기 외부배관(200)과 상기 냉각수챔버(1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2슬립형지지물(2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내부배관(300) 외측 표면을 따라 상기 외부배관(200)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열변형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상기 내부배관(300)과 상기 외부배관(2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3슬립형지지물(3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산화제공급관(400) 외측 표면을 따라 상기 내부배관(300)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열변형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상기 산화제공급관(400)과 상기 내부배관(3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4슬립형지지물(4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외부배관(200)의 하부면은 상기 냉각수챔버(100)의 하부면과 상기 외부배관(200)의 수직 방향 최대 열변형 길이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내부배관(300)의 하단부는 상기 외부배관(200)의 하부면과 상기 내부배관(300)의 수직 방향 최대 열변형 길이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산화제공급관(400)의 하단부는 상기 외부배관(200)의 하부면과 상기 산 화제공급관(400)의 수직 방향 최대 열변형 길이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KR1020090093096A 2009-09-30 2009-09-30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KR101044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096A KR101044701B1 (ko) 2009-09-30 2009-09-30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096A KR101044701B1 (ko) 2009-09-30 2009-09-30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400A KR20110035400A (ko) 2011-04-06
KR101044701B1 true KR101044701B1 (ko) 2011-06-28

Family

ID=4404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096A KR101044701B1 (ko) 2009-09-30 2009-09-30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7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9752A4 (en) * 2016-09-09 2020-04-15 Nulife Greentech Inc. EXTRACTION OF A FRACTION OF LIQUID HYDROCARBONS FROM A LOAD OF CARBONACEOUS WASTE DEPAR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2383A (en) 1978-03-17 1981-06-09 Mcgrew Jay Lininger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subsurface, controlled, accelerated chemical reactions
US4744908A (en) 1987-02-24 1988-05-17 Vertech Treatment Systems, Inc. Process for effecting chemical reactions
US4774006A (en) 1987-06-22 1988-09-27 Vertech Treatment Systems, Inc. Fluid treatment method
US7582269B2 (en) 2005-09-23 2009-09-01 Vertical Tube Reactor, Llc Thermally autogenous subsurface chemical reactor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2383A (en) 1978-03-17 1981-06-09 Mcgrew Jay Lininger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subsurface, controlled, accelerated chemical reactions
US4744908A (en) 1987-02-24 1988-05-17 Vertech Treatment Systems, Inc. Process for effecting chemical reactions
US4774006A (en) 1987-06-22 1988-09-27 Vertech Treatment Systems, Inc. Fluid treatment method
US7582269B2 (en) 2005-09-23 2009-09-01 Vertical Tube Reactor, Llc Thermally autogenous subsurface chemical reacto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400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8856B1 (ko) 역류 냉각제 흐름로를 갖는 액상금속 냉각 원자로에 대한 수동 냉각 시스템
CN108899098B (zh) 一种适用于压水堆的堆内构件结构
KR101060871B1 (ko) 원자로 비상노심냉각수 주입용 냉각덕트
GB2542442B (en) Composite construction of nuclear reactor pressure vessel and barrier shield
US3514115A (en) Sealing system for the rotary plug of a nuclear reactor
US97735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isolation of high-temperature reactor containments
WO2016011569A1 (zh) 安全壳冷却系统及安全壳与反应堆压力容器联合冷却系统
JP2009145135A (ja) 原子炉格納容器及び漏水検知床
TW201239897A (en) Reactor containment vessel and nuclear power plant
CN102194533A (zh) 一种反应堆安全系统
CN103474103A (zh) 可实现反应堆压力容器外部冷却的金属保温装置
US9721685B2 (en) Valve assembly with isolation valve vessel
KR101044701B1 (ko) 열변형 완충이 가능한 중력식 습식산화 반응기
EP3067895B1 (en) Primary containment vessel
KR20110104639A (ko)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내격납재장전수조의 다공분사관 개선
JP4828963B2 (ja) 炉心溶融物冷却装置、原子炉格納容器および炉心溶融物冷却装置の設置方法
US20130308742A1 (en) Fuel bundle for a liquid metal cooled nuclear reactor
CN202650559U (zh) 可实现反应堆压力容器外部冷却的金属保温装置
CN203070785U (zh) 一种顶部带有双层结构的一体化反应堆
US4072560A (en) Pressurized-water reactor pressure vessel emergency core coolant connection arrangement
JP2015203565A (ja) 静的原子炉格納容器冷却系および原子力発電プラント
GB1203220A (en) Nuclear reactors
CA2887741A1 (en) Reactor containment cooling system and nuclear power plant
WO2013150750A1 (ja) 原子炉圧力容器の貫通部保護構造及び原子炉
KR101764111B1 (ko) 혼합형 안전주입탱크의 증기응축 감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