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532B1 - 상태들 사이의 전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상태들 사이의 전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532B1
KR101044532B1 KR1020097002679A KR20097002679A KR101044532B1 KR 101044532 B1 KR101044532 B1 KR 101044532B1 KR 1020097002679 A KR1020097002679 A KR 1020097002679A KR 20097002679 A KR20097002679 A KR 20097002679A KR 101044532 B1 KR101044532 B1 KR 101044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tone
split
wireless terminal
f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937A (ko
Inventor
사쓰야데브 벤카타 웁팔라
무라리 스리니바산
파블로 아니그스테인
라케쉬 두가드
라지브 라로이아
준이 리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37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상태들 사이에서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터미널은 스플릿-톤 온 상태로 및/또는 상태로부터 전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기지국 또는 섹터와 관련된 전체 사용자 용량을 증가시키게 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상태 전이들은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상태들 사이의 전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ITIONING BETWEEN STAT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터미널들과 관련된 상태들 사이의 전이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통신을 위해 다양한 타입들을 제공하도록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음성 및/또는 데이터가 무선 통신 시스템들 같은 시스템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전형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공유된 리소스들로 다수의 사용자들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시분할 다중화(TDM), 코드 분할 다중화(CDM) 등과 같은 다양한 다중 액세스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통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사용한다. 전형적인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팅, 멀티캐스팅 및/또는 유니캐스팅 서비스들을 위해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는데, 여기서 데이터 스트림은 무선 터미널에 대해 독립적 수신 관계일 수 있는 데이터의 스트림일 수도 있다. 이러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무선 터미널은 복합 스트림에 의해 전달되는 하나, 둘 이상, 또는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을 수신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마찬 가지로, 무선 터미널은 데이터를 기지국 또는 다른 무선 터미널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개수와 용도에서 계속 증가함에 따라, 급증하는 사용자들은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동시에 이용하도록 시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동작하는 대역폭은 유한하다. 더욱이, 이러한 시스템들에 사용되는 무선 터미널들은 전력 제한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현저한 전력 사용은 기지국들로의 리포트들의 업링크 전송과 관련된다. 이러한 리포트들은, 예를 들어, 신호 품질, 전달될 데이터 패킷들 등에 속할 수도 있다. 리소스들의 더 적은 할당이 상기 사용자들에 의한 지원 동작에 충분할 수도 있을 때, 단일 사용자에게 전용 제어 채널과 같은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것은 특정 사용자에게 너무 많은 리소스들을 비효율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과할당이 발생할 때, 더 적은 사용자들이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고 무선 터미널의 동작이 더 많은 전력 소모로 인해 유해한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시스템 전역의 성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한 요약을 제공한다. 이러한 요약은 모든 고려된 실시예들의 광범위의 개관은 아니며, 모든 실시예들의 핵심 또는 중요한 엘리먼트들을 인식하거나 소정의 또는 모든 실시예들의 사상을 개시할 의도도 아니다. 유일한 의도는 이후에 제공될 더욱 상세한 설명의 서론으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소정 개념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 및 대응하는 설명에 따라, 다양한 양상들이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상태들 사이에서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무선 터미널은 스플릿-톤 온 상태로 및/또는 스플릿-톤 온 상태로부터 전이할 수도 있으며, 스플릿-톤 온 상태는 기지국 또는 섹터와 관련된 전체 사용자 성능을 증가시키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상태 전이는 무선 터미널과 관련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관련된 양상에 따라, 무선 터미널 상태들 간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제1 상태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의 전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스플릿-톤 온 상태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제1 상태와 관련된 상태 할당을 유지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련된다. 더욱이, 프로세서는 제1 상태를 이용하고,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전이하고, 스플릿-톤 온 상태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상태들 간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련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상태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 전력 제어와 관련된 레이트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전이시키는 수단; 및 스플릿-톤 온 상태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스플릿-톤 온 상태를 이용하고, 스플릿-톤 온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이시키고, 제2 상태를 이용하기 위한 기계 판독 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기계 판독 가능 매체와 관련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프로세서가 개시되는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상태를 이용하기 위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서는 스플릿-톤 온 상태를 이용하기 위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동시에 지원될 수 있는 사용자들의 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제1 상태의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사용의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방법은 사용자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무선 터미널을 전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방법은 스플릿-톤 온 상태의 무선 터미널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은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측정된 특성들을 유지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는 무선 통신 장치와 관련된다. 더욱이, 프로세서는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상태를 전이시키도록 결정하고, 스플릿-톤 온 상태로 스위칭할 것을 지시하는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를 무선 터미널로 전송하고, 무선 터미널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스플릿-톤 온 상태의 무선 터미널과 통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기지국 용량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와 관련된다.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터미널에 대해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의 전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를 무선 터미널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스플릿-톤 온 상태의 무선 터미널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이용가능한 제어 채널 리소스들을 평가하고, 스플릿-톤 온 상태로의 전이를 실현하기 위해 풀-톤 온 상태의 무선 터미널에 대한 상태 전이 채널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무선 터미널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기계 판독 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기계 판독 가능 매체와 관련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라, 프로세서가 개시되는데, 상기 프로세서는 무선 터미널에 대해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스위칭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무선 터미널로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를 전송하고, 스플릿-톤 온 상태의 무선 터미널과 통신하기 위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청구항에 전체적으로 그리고 특정하게 개시된 특징들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양상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직설적이지만 다양한 실시예의 원리들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변경 및 개시된 실시예들이 이러한 양상 및 등가물들을 모두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1은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2는 무선 터미널(들)과 관련된 상태 전이들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3은 예로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타이밍 및 주파수 구조에 전용 제어 채널(DCCH)을 포함하는 업링크 DCCH를 도시한다.
도4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타이밍 및 주파수 구조의 전용 제어 채널을 도시한다.
도5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타이밍 및 주파수 구조의 전용 제어 채널을 도시한다.
도6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타이밍 및 주파수 구조의 전용 제어 채널을 도시한다.
도7은 상태들 사이의 전이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개시되는 메커니즘을 도시한 개략도의 예이다.
도8은 무선 터미널에 의해 개시된 상태 전이들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9는 상태들 사이의 전이를 위해 무선 터미널에 의해 개시되는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무선 터미널에 대해 스플릿-톤 온 상태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11은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스플릿-톤 온 상태로부터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12는 기지국 및/또는 섹터 내에 동시에 있을 수 있는 사용자들의 수의 증가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13은 다양한 양상에 따라 구현된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도14는 다양한 양상과 관련된 엔드 노드(예를 들어, 모바일 노드)를 도시한다.
도15는 개시된 다양한 양상에 따라 구현된 액세스 노드를 도시한다.
도16은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상태들 사이에서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17은 기지국 용량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데,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이하의 개시에서는, 설명의 목적을 위해 많은 특정한 세부 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들)이 이러한 특정한 세부 사항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개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의 용어는 컴퓨터 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가능한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 일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설명에 의해, 컴퓨팅 장치 상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 로컬화 및/또는 두 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이 저장된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어, 로컬 시스템, 분배 시스템에서,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들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걸쳐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을 갖는 신호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실시예들이 무선 터미널과 관련하여 개시된다. 무선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데이터 접속을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 터미널은 랩탑 컴퓨터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접속될 수 있거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와 같은 내장형 장치일 수 있다. 무선 터미널은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액세스 포인트, 원격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 사용자 터미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 설비로 불릴 수 있다. 무선 터미널은 가입자국, 무선 장치, 셀룰러 전화, PCS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 폰, 무선 로컬 루프(WLL) 국,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성능을 갖는 휴대용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프로세싱 장치일 수 있다.
기지국(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은 하나 이상의 섹터들을 거쳐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터미널들과 통신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무선 인터페이스 프레임들을 IP 패킷들로 변환시킴으로써 무선 터미널과 나머지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에서 라우터로서 작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는 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위한 속성들을 관리를 조정한다.
더욱이, 개시된 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들을 이용하는 제조물(article), 장치 및 방법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된 "제조물"은 컴퓨터 판독 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미디어를 포함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들(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들(예를 들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어, 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부가적으로, 개시된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머신 판독 가능 매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장치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포함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매체 및 무선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제공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설명된다.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고 무선 터미널(104)로 전송하고 중계 등을 하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시스템(100)이 기지국(102)과 유사한 다수의 기지국 및/또는 무선 터미널(104)과 유사한 다수의 무선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기지국(102)은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차례로 신호 전송 및 수신과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기지국(102)은 고정국 및/또는 이동국일 수도 있다. 무선 터미널(104)은 예를 들어, 셀룰러 폰, 스마트폰, 랩톱, 휴대용 통신 장치, 휴대용 컴퓨팅 장치, 위성 라디오,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 PDA,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무선 터미널은 고정식 또는 이동식일 수도 있다.
무선 터미널(104)은 소정의 주어진 순간에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채널을 통해 기지국(102) (및/또는 다른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다운 링크는 기지국(102)으로부터 무선 터미널(104)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하며, 업링크 채널은 무선 터미널(104)로부터 기지국(102)으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기지국(102)은 또한 예를 들어, 무선 터미널(104)의 인증 및 허가, 카운팅, 빌링 등과 같은 기능들을 실행할 수도 있는 다른 기지국(들) 및/또는 소정의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서버들)(미도시)과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102)은 무선 터미널로 하여금 다양한 상태들 사이의 전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상태 전이 제어기(1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은 풀-톤 온(full tone on) 상태, 스플릿-톤 온(split tone on) 상태, 홀드 상태, 휴면 상태, 액세스 상태 및 널 상태를 지원할 수도 있다. 풀-톤 온 상태는 무선 터미널(예를 들어, 무선 터미널(104))에 연속적으로 할당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와 관련하여 사용된 전용 제어 채널(DCCH)과 같은 채널과 관련될 수도 있다. 풀-톤 온 상태는 높은 주파수(예를 들어, 초당 수백 회)로 발생하는 전력 제어와 관련될 수도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는 풀-톤 온 상태를 이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타이밍 제어는 풀-톤 온 상태에 대한 전력 제어와 비교하여 낮은 레이트(예를 들어, 초당 1회)로 발생할 수도 있다.
스플릿-톤 온 상태는 N 개의 무선 터미널들 사이에 분할된 전용 제어 채널에 관련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N은 소정의 정수(예를 들어, 3개의 다른 무선 터미널들 사이의 분할)일 수 있다. 스플릿-톤 온 상태의 경우, 채널은 소정의 방식으로 서로다른 무선 터미널들로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 따라, 매 N 번째 DCCH 세그먼트는 특정 무선 터미널에 할당될 수 있는데, 여기서 세그먼트들은 시간상 균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 모든 세그먼트들이 대응하는 무선 터미널들에 할당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더욱이, 제1 무선 터미널에는 제2 무선 터미널보다 더 많은 수의 세그먼트들이 할당(예를 들어, 특정 DCCH에 대해 제1 무선 터미널에는 DCCH 세그먼트들의 2/3 그리고 제2 무선 터미널에는 DCCH 세그먼트들의 1/3)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무선 터미널들에 할당된 세그먼트들은 소정의 다른 방식으로 스태거링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만일 3개의 개별 무선 터미널들 사이의 분할의 경우, 제1 및 제3 세그먼트는 제1 무선 터미널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및 제5 세그먼트는 제2 무선 터미널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제4 및 제6 세그먼트는 제3 무선 터미널로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는 반복될 수도 있음). 다수의 무선 터미널에 할당된 전용 제어 채널 세그먼트들을 스태거링하는 소정의 방식은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스플릿-톤 온 상태에 있는 동안 무선 터미널(104)은 풀-톤 온 상태에서와 같이 동일한 레이트로 타이밍 제어를 실행한다. 더욱이, 스플릿-톤 온 상태의 무선 터미널(104)에 대한 다운링크 상의 전력 제어는 풀-톤 온 상태와 비교하여 감소(예를 들어, 다운 샘플링)되며; 전력 제어는 풀-톤 온 및 홀드 상태들과 비교하여 스플릿-톤 온 상태의 경우 중간 레벨에 있다. 또한, DCCH와 관련된 레이트는 스플릿-톤 온 상태의 경우 (예를 들어, 만일 3개의 무선 터미널들 사이에서 분할될 경우 평균적으로 1/3만큼) 감소된다. 더욱이, 스플릿-톤 온 상태는 풀-톤 온 상태와 비교하여 동시에 지원될 수 있는 무선 터미널들의 수를 증가시키게 한다. 예를 들어, M개의 무선 터미널들이 풀-톤 온 상태에 수용될 수도 있고, 스플릿-톤 온 상태는 풀-톤 온 상태의 1/N 스플릿을 이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M 및 N은 소정의 정수일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M×N 사용자들은 스플릿-톤 온 상태로 동시에 지원될 수 있다. 예시에 따라, 풀-톤 온 상태는 31개의 무선 터미널들을 지원할 수 있으며, 스플릿-톤 온 상태는 1/3 스플릿을 사용할 수 있고, 결국 스플릿-톤 온 상태에서 동시에 93개의 무선 터미널들이 사용될 수 있게 하지만, 청구되는 본 발명의 주요내용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수의 풀-톤 온 사용자들 및 임의의 스플릿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스플릿-톤 온 상태를 사용함으로써, 홀드 상태와 풀-톤 온 상태 사이의 전이들이 서비스(예를 들어 음성 애플리케이션들)에 영향을 미치는 레이턴시를 발생시키는데도 불구하고 풀-톤 온 상태가 낮은 비트 레이트들로 인해 너무 많은 리소스들을 무선 터미널로 할당할 때, 시스템(100)은 스플릿-톤 온 상태가 사용되게 함으로써 더욱 개선된 데이터 사용 패키지들을 지원한다.
홀드 상태인 동안, 무선 터미널(104)은 타이밍 제어 및 (예를 들어, 타이밍 제어와 유사한 스케일로) 개략적 전력 제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태 전이 제어기(106)는 홀드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또는 풀-톤 온 상태로의 경쟁 없는 전이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홀드 상태는 전력을 절약시키는 얇은 업링크 제어 채널과도 관련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터미널(104)은 홀드 상태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수신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DCCH는 홀드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무선 터미널(104)에 의해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욱이, 휴면 상태에서, 많은 수의 무선 터미널들이 지원될 수 있지만; 전력 제어나 타이밍 제어가 이러한 무선 터미널과 함께 이용되지 않는다.
예로써, 무선 터미널(104)은 널 상태에 있을 수도 있으며, 그로 인해 무선 터미널은 기지국과 관련되지 않는다(예를 들어, 오프, 휴지). 그 후, 무선 터미널(104)은 기지국과 관련된 시스템을 액세스할 수 있으며, 결국 상태 전이 제어기(106)는 액세스 시그널링이 기지국(102)과 무선 터미널(104) 사이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무선 터미널로 하여금 액세스 상태로 진입하게 할 수 있다. 액세스 상태로부터, 상태 전이 제어기(106)는 무선 터미널(104)이 풀-톤 온 상태, 스플릿-톤 온 상태, 홀드 상태 또는 휴면 상태로 전환하게 할 수도 있다. 무선 터미널(104)은 휴면 상태로 변경될 수도 있지만; 상태 전이 제어기(106)는 휴면 상태로부터, 무선 터미널(104)이 풀-톤 온 상태, 스플릿-톤 온 상태 또는 홀드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액세스 상태로 복귀하게 하도록 전이를 제한할 수도 있다. 액세스 상태로 되돌아 감으로써, 무선 터미널(104)은 경쟁 기반 액세스를 통해 활성 상태(예를 들어, 풀-톤 온, 스플릿-톤 온, 홀드)를 액세스해야 할 수도 있다.
풀-톤 온 상태, 스플릿-톤 온 상태, 홀드 상태에 있을 때, 상태 전이 제어기(106)는 낮은 레이턴시 및/또는 높은 신뢰도로 이러한 상태들 사이의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예에 따라, 만일 무선 터미널(104)이 풀-톤 온 상태라면, 상태 전이 제어기(106)는 액세스 상태를 거쳐 전이하지 않고 스플릿-톤 온 상태 또는 홀드 상태로 신속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터미널(104)은 스플릿-톤 온 상태에 있을 수도 있으며, 그 후 상태 전이 제어기(106)에 의해 풀-톤 온 상태 또는 홀드 상태로 직접 변경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홀드 상태로부터, 무선 터미널(104)은 풀-톤 온 상태 또는 스플릿-톤 온 상태로 전이할 수도 있다. 상태 전이 제어기(106)는 또한 풀-톤 온 상태, 스플릿-톤 온 상태, 또는 홀드 상태로부터 휴면 상태로 변경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반면에; 휴면 상태로부터, 상태 전이 제어기(106)는 무선 터미널이 풀-톤 온 상태, 스플릿-톤 온 상태 또는 홀드 상태로 복귀하도록 액세스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태 전이 제어기(106)에 의해 실행된 상태 변경들은 기지국(102)에 의한 평가에 응답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태 전이 제어기(106)에 의해 행해진 상태 변경들은 무선 터미널(104)로부터의 수신된 표시에 기초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태 전이 제어기(106)는 소정의 개별 소스(예를 들어, 상이한 기지국, 개별 무선 터미널, 서버, 모니터링 장치 등)로부터 획득된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풀-톤 온 상태, 스플릿-톤 온 상태, 및 홀드 상태들 사이에서 신속하게 전이하기 위해 상태 전이 제어기(106)를 사용함으로써, 시스템(100)에서 리소스 사용은 최적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전이 제어기(106)는, 무선 터미널(104)(및 시스템(100) 내의 유사한 무선 터미널(들))이 낮은 레이턴시 및/또는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상태들 사이에서 변환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100)의 용량(예를 들어, 동시에 지원될 수 있는 사용자들/무선 터미널들의 수)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홀드 상태는 스플릿-톤 온 상태보다 더 많은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도 있는데, 이는 풀-톤 온 상태보다 11명의 더 많은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태 전이 제어기(106)는, 무선 터미널(104)이 홀드 상태, 풀-톤 온 상태, 및 스플릿-톤 온 상태 사이에서 신속하게 전이할 수도 있기 때문에, 무선 터미널(104)과 관련된 전력 보존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로써, 무선 터미널(104)이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 전송할 많은 양의 데이터를 가질 때, 무선 터미널은 상태 전이 제어기(104)를 통해 풀-톤 온 상태로 변경하거나 변경될 수도 있으며, 그 후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러한 전송의 완료시 홀드 상태로 전이할 수도 있다.
다른 설명에 따라, 홀드 상태로부터 풀-톤 온 상태로의 전이는 음성 레이턴시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무선 터미널(104)은 음성 사용자에 대해서 스플릿-톤 온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풀-톤 온 상태는, 음성 애플리케이션들이 낮은 데이터 레이트와 관련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음성 전송들에 대해서는 낭비적인 제어 채널 리소스 소비와 관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플릿-톤 온 상태의 사용은 풀-톤 온 상태 및/또는 홀드 상태와 비교하면 이러한 음성 애플리케이션을 수용하기에 더욱 적합할 수도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청구범위와 관련되어 실행될 수 있는 무선 터미널(들)과 관련된 상태 전이들을 설명한 도면(2)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상태 전이 제어기(예를 들어, 도1의 상태 전이 제어기(106))는 이러한 상태 전이들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태 전이들은 기지국에 의한 개시 및 무선 터미널에 의한 개시에 기반할 수도 있다고 참작되며, 이러한 전이들은 측정되고, 모니터링되고, 결정되거나 추론된 조건에 응답할 수도 있다.
액세스 상태(202)는 기지국과 관련된 시스템을 액세싱하는 무선 터미널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무선 터미널이 널 상태(예를 들어, 오프, 휴지)에 있을 수 있으며, 액세스 상태(202)로 변경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액세스 상태(202)로부터, 무선 터미널은 풀-톤 온 상태(204), 스플릿-톤 온 상태(206), 홀드 상태(208), 또는 휴면 상태(210)로 전이할 수도 있다.
무선 터미널은 풀-톤 온 상태(204), 스플릿-톤 온 상태(206), 또는 홀드 상태(208)에 있을 수도 있다. 무선 터미널은 액세스 상태(202)로 복귀하지 않고 이러한 상태들 사이에서 신속하게 전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 변경은 낮은 레이턴시 및/또는 높은 신뢰도와 관련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상태들 사이에서 전이를 실행하는 통신들은 경쟁 없이 수행될 수도 있다. 더욱이, 무선 터미널은 풀-톤 온 상태(204), 스플릿 톤 온 상태(206), 또는 홀드 상태(208)로부터 휴면 상태(210)로 변경할 수도 있다. 휴면 상태(210)로부터, 무선 터미널은 액세스 상태(202)로 변경되어 풀-톤 온 상태(204), 스플릿-톤 온 상태(206) 또는 홀드 상태(208)로 전이가능하게 된다.
도3-6은 상태 전이들과 사용될 수도 있는 풀-톤 온 상태 및 스플릿-톤 온 상태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전용 제어 채널들과 관련된 다양한 양상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들 및 관련된 설명은 예시로서 설명되며, 청구범위는 예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다시 도3을 참조하면, 업링크 타이밍에서 DCCH 세그먼트들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구조를 포함하는 업링크 전용 제어 채널(DCCH)의 예를 도시한다. 업링크 전용 제어 채널은 무선 터미널들로부터 기지국들로 전용 제어 리포트(DCR)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직축(302)은 논리적 업링크 톤 인덱스를 나타내며, 수평축(304)은 비컨슬롯 내의 하프슬롯의 업링크 인덱스를 나타낸다. 이러한 예에서, 업링크 톤 블록은 (0,...112)로 표기된 113개의 논리적 업링크 톤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하프슬롯, 수퍼 슬롯 내의 16개의 연속한 하프슬롯 이전의 2개의 부가 OFDM 심볼 시간 기간, 및 비컨 슬롯 내의 8개의 연속한 수퍼 슬롯이 존재할 수도 있다. 수퍼슬롯 내의 처음 9개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은 액세스 간격일 수 있으며, 전용 제어 채널은 통상적으로 액세스 간격의 무선 링크 리소스들을 사용하지 않는다.
예로든 전용 제어 채널은 31개의 논리적 톤들(업링크 톤 인덱스 81(306), ... , 업링크 톤 인덱스 82(308), ... , 업링크 톤 인덱스 111(310))으로 세분될 수도 있다. 논리적 업링크 주파수 구조에서 각각의 논리적 업링크 톤(81, ..., 111)은 DCCH 채널(0,...,30)에 대해 색인된 논리적 톤에 대응한다.
전용 제어 채널에서의 각각의 톤의 경우, 40개의 열들(312, 314, 316, 318, 320, 332, ... , 324)에 대응하는 비컨 슬롯에 40개의 세그먼트들이 있을 수 있다. 세그먼트 구조는 비컨 슬롯 기반으로 반복될 수 있다. 전용 제어 채널의 주어진 톤의 경우, 비컨 슬롯(328)에 대응하는 40개의 세그먼트들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비컨 슬롯의 8개의 수퍼슬롯 각각은 주어진 톤에 대해 5개의 연속한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CH의 톤 0 에 대응하는 비컨 슬롯(328)의 제1 수퍼슬롯(326)의 경우, 5개의 색인된 세그먼트들(세그먼트[0][0], 세그먼트[0][1], 세그먼트[0][2], 세그먼트[0][3], 세그먼트[0][4])이 존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DCCH의 톤 1에 대응하는 비컨슬롯(328)의 제1 수퍼슬롯(326)의 경우, 5개의 인덱스된 세그먼트들(세그먼트[1][0], 세그먼트[1][1], 세그먼트[1][2], 세그먼트[1][3], 세그먼트[1][4])이 존재할 수 있다. DCCH의 톤 30에 대응하는 비컨 슬롯(328)의 제1 수퍼슬롯(326)의 경우, 5개의 인덱스된 세그먼트들(세그먼트[30][0], 세그먼트[30][1], 세그먼트[30][2], 세그먼트[30][3], 세그먼트[30][4])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각각의 세그먼트(예를 들어, 세그먼트[0][0])는 예를 들어, 21개의 OFDM 톤-심볼들의 할당된 업링크 무선 링크 소스를 나타내는 3개의 연속한 하프-슬롯들에 대해 하나의 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상에 따라, 논리적 업링크 톤들은 논리적 톤과 관련된 물리적 톤이 연속한 하프-슬롯들에 대해 상이할 수도 있지만, 소정의 하프-슬롯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업링크 톤 호핑 시퀀스에 따라 물리적 톤들로 호핑될 수도 있다.
청구범위와 관련된 소정의 양상에 따라, 소정의 톤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용 제어 채널 세그먼트들의 세트는 다수의 상이한 포맷들 중 하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컨슬롯에 대한 소정의 톤의 경우, DCCH 세그먼트들의 세트는 두 개의 포맷들: 스플릿-톤 포맷 및 풀-톤 포맷 중 하나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각각 스플릿-톤 온 상태 및 풀-톤 온 상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풀 톤 포맷에서, 톤에 대응하는 업링크 DCCH 세그먼트의 세트는 단일 무선 터미널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스플릿 톤 포맷에서, 톤에 대응하는 업링크 DCCH 세그먼트들의 세트는 둘 이상의 무선 터미널에 의해 공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톤과 관련된 업링크 DCCH 세그먼트들의 세트는 시분할 다중화에서 3개의 무선 터미널들까지 공유될 수도 있지만; 청구범위는 그렇게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 및/또는 무선 터미널은 소정의 양상에서 미리 결정된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DCCH 톤에 대해 포맷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상이한 DCCH 톤에 대응하는 업링크 DCCH 세그먼트들의 포맷은 예를 들어,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이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라, 어떤 포맷에서든, 무선 터미널은 업링크 전용 제어 채널 세그먼트들의 디폴트 모드를 지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터미널은 업링크 전용 제어 채널 세그먼트들 중 디폴트 모드 및 업링크 전용 제어 채널 세그먼트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가 모드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드는 업링크 전용 제어 채널 세그먼트들에서 정보 비트들의 번역을 한정할 수도 있다. 기지국 및/또는 무선 터미널은 (예를 들어, 상위 계층 구성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모드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상이한 톤에 대응하는 업링크 DCCH 세그먼트들 또는 동일한 톤에 대응하지만 상이한 무선 터미널들에 의해 사용되는 업링크 DCCH 세그먼트들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도4는 예로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예로든 업링크 타이밍 및 주파수 구조에서 예로든 전용 제어 채널(40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용 제어 채널(400)은 톤에 대응하는 DCCH 세그먼트들의 각각의 세트가 풀-톤 온 상태와 관련된 풀-톤 온 포맷에 있을 때의, 도3의 DCCH(300)을 나타낼 수 있다. 수직축(402)은 DCCH의 논리적 톤 인덱스를 나타내며, 수평축(404)은 비컨 슬롯 내의 하프슬롯의 업링크 인덱스를 나타낸다. 예로든 전용 제어 채널(400)은 31개의 논리적 톤들(톤 인덱스 0(406), 톤 인덱스 1(408), ... , 톤 인덱스 30(410))로 세분될 수 있다. 전용 제어 채널(400)의 각각의 톤의 경우, 40개의 열들(412, 414, 416, 418, 420, 422, ... , 424)에 대응하는 비컨 슬롯에 40개의 세그먼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전용 제어 채널(400)의 각각의 논리적 톤은 기지국에 의해 자신의 현재 부착 포인트로서 기지국을 사용하는 상이한 무선 터미널에 할당된다. 예를 들어, 논리적 톤들(톤0(406), 톤1(408), ... , 톤30(410))은 각각 대응하는 무선 터미널(WT)들(WT A(430), WT B (432), ... , WT N'(434))에 일반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도5는 예로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구조 및 예로든 업링크 타이밍에서 예로든 전용 제어 채널(50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용 제어 채널(500)은 톤에 대응하는 각각의 DCCH 세그먼트들이 전용 제어 채널(500)은 스플릿-톤 온 상태에 대응하는 스플릿-톤 포맷에 존재할 때의, 도3의 DCCH(300)을 나타낼 수도 있다. 수직축(502)은 DCCH의 논리적 톤 인덱스를 나타내며, 수평축(504)은 비컨슬롯 내의 하프슬롯의 업링크 인덱스를 나타낸다. 예로든 전용 제어 채널(500)은 31개의 논리적 톤들(톤 인덱스 0(506), 톤 인덱스1(508), ..., 톤 인덱스30(510)로 세분될 수도 있다. 전용 제어 채널(500)에서 각각의 톤의 경우, 40개의 열들(512, 514, 516, 518, 520, 522, ... , 524)에 대응하는 비컨슬롯에 40개의 세그먼트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전용 제어 채널(500)의 각각의 논리적 톤은 기지국에 의해 자신의 현재 접속 포인트로서 기지국을 사용하는 3개까지의 상이한 무선 터미널에 할당될 수도 있다. 소정의 톤의 경우, 세그먼트들은 무선 터미널들 사이에서 교번하는데, 13개의 세그먼트들은 3개의 무선 터미널 각각에 할당되며, 40번째 세그먼트는 보존된다. 그러나 세그먼트들이 소정의 상이한 방식으로 개별 무선 터미널들 사이에서 분할될 수 있으며, 청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DCCH 채널의 무선 링크 리소스들의 예로든 분할은 예로든 비컨슬롯에 대해 할당된 DCCH 채널 리소스들인 총 93개의 무선 터미널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논리적 톤0(506)은 일반적으로 WT A(530), WT B(532), 및 WT C(534)에 할당 및 공유될 수도 있으며; 논리적 톤1(508)은 WT D(536), WT E(538), 및 WT F(540)에 할당 및 공유될 수도 있으며; 논리적 톤30(510)은 WT M'''(542), WT N'''(544), 및 WT01''(546)에 할당될 수도 있다. 비컨슬롯의 경우, 각각의 예로든 WT들(530, 532, 534, 536, 538, 540, 542, 544, 546)에는 13개의 DCCH 세그먼트들이 할당된다.
도6은 예로든 업링크 타이밍에서 예로든 전용 제어 채널(600) 및 예로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구조를 포함한다. 예시에 따라, 전용 제어 채널(600)은 톤에 대응하는 DCCH 세그먼트들의 세트들의 일부가 (예를 들어, 풀-톤 온 상태와 관련된) 풀-톤 포맷에 존재할 수 있고, 톤에 대응하는 DCCH 세그먼트들의 소정의 세트들이 스플릿-톤 온 포맷에 존재할 수 있을 때, 도3의 DCCH(300)을 나타낼 수도 있다. 수직축(602)은 DCCH의 논리적 톤 인덱스를 나타내며, 수평축(604)은 비컨슬롯 내의 하프슬롯의 업링크 인덱스를 나타낸다. 예로든 전용 제어 채널(600)은 31개의 논리적 톤들(톤 인덱스0(606), 톤 인덱스1(608), 톤 인덱스2(609),...,톤 인덱스30(610))로 세분될 수도 있다. 전용 제어 채널(600)의 각각의 톤의 경우, 40개의 열들(612), 614, 616, 618, 620, 622, ... , 624)에 대응하는 비컨슬롯에 40개의 세그먼트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서, 논리적 톤0(608)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의 세트는 스플릿-톤 포맷에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WT A(630), WT B(632), 및 WT C(634)에 할당 및 공유되며, 각각은 13개의 세그먼트를 수신하는데, 하나의 세그먼트는 보존된다. 논리적 톤1(608)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의 세트는 또한 스플릿-톤 포맷으로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두 개의 WT들, WT D(636) 및 WT E(638)에 할당 및 공유되며, 각각은 13개의 세그먼트들을 수신한다. 톤1(608)의 경우, 13개의 비할당된 세그먼트들의 세트 및 하나의 보존된 세그먼트가 존재할 수도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에 따르면, 비할당과는 대조적으로, 톤1(608)의 이러한 세그먼트는 WT D(636), WT E16(638), 또는 소정의 개별 무선 터미널일 수도 있다. 논리적 톤2(609)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의 세트는 또한 스플릿-톤 포맷이지만, 일반적으로 13개의 세그먼트를 수신하는 하나의 WT, WT F (639)에 할당된다. 톤 2(609)의 경우, 세트당 13개의 비할당된 세그먼트들, 하나의 보존된 세그먼트를 갖는 두 개의 세트가 존재한다. 논리적 톤30(610)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의 세트는 풀-톤 포맷이며, WT P'(640)에 일반적으로 할당되며, WT P'(640)는 사용을 위해 전체 40개의 세그먼트를 수신한다.
도7을 참조하면, 상태들 사이의 전이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 메커니즘을 나타낸 개략도(700)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개략도(700)는 스플릿-톤 온 상태, 풀-톤 온 상태, 및/또는 홀드 상태로 또는 그로부터 전이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휴면 상태, 액세스 상태 또는 널 상태에 있는 동안, 무선 터미널은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이러한 메커니즘을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오히려, 이러한 상태로부터, 무선 터미널은 경쟁 기반 액세스를 시작할 수도 있다. 스플릿-톤 온 상태로 또는 그로부터 전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개략도(700)는 무선 터미널이 풀-톤 온 상태와 비교하여 제어 채널 리소스들의 감소된 양들을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 메커니즘에 따라, 기지국은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상태 변경이 실행되어야 하는 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사용자의 평가, 이동성, 채널 조건들, 접속된 무선 터미널들의 현재 수, 서비스 프로파일들의 품질(예를 들어, 지불된 금액에 따른 상이한 서비스 레벨과 관련된 사용자들) 등에 기초하여 무선 터미널의 상태의 전이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면 번호(702)에서, 기지국은 다운링크(DL)를 통해 무선 터미널로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는 전이할 상태, 전이를 위한 기간, 스플릿-톤 온 상태와 관련된 레이트, 또는 전이와 관련된 소정의 개별 특성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전이 세그먼트는 무선 터미널이 홀드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변경되어야 함을 표시할 수 있지만; 청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 번호(704)에서, 확인 응답(ACK)는 무선 터미널로부터 기지국으로 업링크(UL)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개략도(700)는 부가적으로 스플릿-톤 온 상태의 무선 터미널이 관련된 전용 제어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플릿-톤 온 상태의 두 개의 무선 터미널들은 서로 다른 전용 제어 채널들과 관련될 수도 있지만, 제어 채널들 중 어떤 것(예를 들어, DCCH들 내의 비할당된 세그먼트들)도 다른 무선 터미널과 공유될 수 없으며; 따라서, 만일 전체 전용 제어 채널이 풀-톤 온 상태로 전이되는 무선 터미널에 대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스플릿-톤 온 상태의 무선 터미널들 중 하나는 개략도(700)를 이용하여 스플릿-톤 온 상태의 다른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전용 제어 채널로 재배치될 수도 있다.
도8을 참조하며, 무선 터미널에 의해 개시된 상태 전이들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800)이 도시된다. 시스템(800)은 소정의 상태에 있을 수 있는 기지국(802) 및 무선 터미널(804)을 포함한다. 기지국(802)은 무선 터미널(804)과 같은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상태 전이들을 조정하는 상태 전이 제어기(80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무선 터미널(804)은 상태들 사이의 전이들을 요청하는 상태 전이 요청기(80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터미널(804) 및/또는 상태 전이 요청기(808)는 상태 변경을 위한 요청이 전력 소모의 평가, 데이터 레이트, 전달될 데이터의 양 등에 기초하여 제공되어야 하는 지를 결정한다. 상태 전이 요청기(808)는 전술한 소정의 상태 전이를 실행하기 위해 기지국(802) 및/또는 기지국 전이 제어기(806)와 통신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상태들 사이의 전이를 위해 무선 터미널에 의해 개시된 메커니즘을 도시한 개략도(900)가 개시된다. 개략도(900)는 낮은 레이턴시, 높은 신뢰도, 활성 상태들(예를 들어, 스플릿-톤 온 상태, 풀-톤 온 상태, 홀드 상태) 사이의 경쟁 없는 변경들을 제공한다. 도면 번호(902)에서, 요청은 무선 터미널로부터 기지국으로 업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요청은 요청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무선 터미널은 활성 ID와 관련된 대응하는 요청 채널과 관련될 수도 있다. 요청은 전이할 상태, 전이를 위한 기간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면 번호(904)에서,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는 도7과 관련하여 개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터미널로 다운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더욱이, 확인 응답(ACK)는 무선 링크 상의 에러들이 발견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기 위해 도면 번호(906)에서 기지국으로 업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더욱이,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만일 (예를 들어, 904에서) 상태 전이가 허용되지 않는다면, (예를 들어, 902와 유사하게) 재전송된 요청은 다음 기회 및/또는 소정의 이후 시간에 업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도10-12를 참조하면, 섹터 또는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될 수도 있는 사용자들의 수를 증가시키고 및/또는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스플릿-톤 온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들 사이에서의 전이와 관련한 방법이 도시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방법들은 연속한 동작으로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들은 소정의 동작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순서들 및/또는 동시에 설명되고 도시된 것과 상이한 동작으로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동작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방법은 상태도에서와 같이, 일련의 서로 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대안적으로 표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모든 개시된 동작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요청될 수도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스플릿-톤 온 상태를 무선 터미널에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1000)이 도시된다. 단계(1002)에서, 제1 상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상태는 예를 들어, 풀-톤 온 상태 또는 홀드 상태일 수도 있다. 풀-톤 온 상태는 풀 업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DCCH)(이는 전용 제어 채널 리포트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음), 전력 제어와 관련된 높은 레이트, 및 타이밍 제어와 관련될 수도 있다. 홀드 상태는 얇은 업링크 제어 채널, 개략적 전력 제어(예를 들어, 타이밍 제어 스케일로) 및 타이밍 제어와 관련될 수도 있다. 단계(1004)에서,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전이가 일어날 수 있다. 전이는 기지국에 의해 개시 및/또는 무선 터미널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다운링크를 통해 무선 터미널로 무선 터미널이 스플릿-톤 온 상태로 전이해야 함을 나타내는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무선 터미널은 확인 응답(ACK)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무선 터미널은 요청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기지국은 그 후, 무선 터미널이 확인 응답(ACK)를 전송할 응답으로 무선 터미널로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전이가 경쟁 기반 액세스와 관련된 액세스 상태로 복귀하지 않고 실행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전이는 낮은 레이턴시로 발생할 수도 있다. 스플릿-톤 온 상태는 풀-톤 온 상태보다 낮지만 홀드 상태보다 훨씬 큰 업링크 제어 채널과 관련된 레이트, 홀드 상태의 전력 제어 레이트보다 높지만 풀-톤 온 상태와 비교하여 전력 제어의 감소된 레이트, 및 유사한 타이밍 제어와 관련될 수도 있다. 단계(1006)에서, 스플릿-톤 온 상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스플릿-톤 온 상태를 사용함으로써, 무선 터미널은 풀-톤 온 상태와 비교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터미널은 무선 터미널에 할당되지 않은 세그먼트들(예를 들어, DCCH 세그먼트들) 동안 전송과 관련된 회로의 사용 및/또는 전송을 억제할 수도 있다. 더욱이, 기지국 또는 기지국 섹터에 의해 지원된 무선 터미널들의 수는 스플릿-톤 온 상태를 이용함으로써 증가될 수도 있다.
도11을 참조하면,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스플릿-톤 온 상태로부터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1100)이 도시된다. 단계(1102)에서, 스플릿-톤 온 상태가 사용된다. 단계(1104)에서, 무선 터미널은 스플릿-톤 온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이는 기지국에 의해 개시 또는 무선 터미널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다. 예에 따라, 제2 상태는 풀-톤 온 상태 또는 홀드 상태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상태 변경은 낮은 레이턴시로 신속하게 발생할 수도 있다. 추가의 설명에 따라, 제2 상태는 휴면 상태일 수 있으며; 따라서, 그 후 스플릿-톤 온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무선 터미널은 액세스 상태로 진행하며, 이어 스플릿-톤 온 상태로 진행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상태는 스플릿-톤 온 상태일 수도 있는데, 결론적으로, 이러한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전체 전용 제어 채널이 요청되지만 아직 자유롭지 않을 때) 무선 터미널과 관련한 관련된 전용 제어 채널의 재할당을 허용할 수도 있다. 단계(1106)에서, 제2 상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12를 참조하면, 기지국 및/또는 섹터에 의해 동시에 지원될 수 있는 사용자들의 수를 증가시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1200)이 도시된다. 단계(1202)에서, 제1 상태의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사용의 양상들이 평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양상들은 통신된 데이터 타입, 이동성, 데이터 사용 패턴(예를 들어, 높은 레이트 대 낮은 레이트), 채널 조건들(예를 들어, 무선 채널 조건들), 무선 접속 터미널들의 현재 수, 서비스 프로파일의 품질(예를 들어, 상이한 서비스 레벨(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로써, 무선 터미널(들)의 서비스 프로파일(들)의 품질은 상태들(예를 들어, 풀-톤 온 상태, 스플릿-톤 온 상태, 홀드 상태 등) 사이에서 무선 터미널(들)을 전이시킴으로써 상이한 사용자 처리를 제공하도록 분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 따라, 제1 무선 터미널은 풀-톤 온 상태에 있을 수도 있고, 제2 무선 터미널(예를 들어, 더 높은 서비스 레벨과 관련됨)은 풀-톤 온 상태에 진입하는 것을 희망할 수도 있지만; 리소스들은 제한될 수 있고, 따라서, 제2 무선 터미널이 더 높은 레벨의 서비스와 관련되기 때문에, 결정은 제1 무선 터미널을 스플릿-톤 온 상태로 전이시키도록 실행될 수도 있고, 제2 무선 터미널이 풀-톤 온 상태로 전이하게 할 수도 있다. 더욱이, 결정은 무선터미널과 관련된 상태에서 변경을 실행하도록 행해질 수도 있다. 단계(1024)에서, 무선 터미널은 스플릿-톤 온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전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용 제어 채널은 소정의 방식으로 분할될 수도 있으며, 전용 제어 채널의 일부가 무선 터미널에 할당될 수도 있다. 설명에 따라, 시간의 기간 동안 세그먼트들의 수는 평균 1/N인데, 여기서, N은 전용 제어 채널을 공유하고 있는 무선 터미널들의 수와 관련된 소정의 정수이다. 이러한 설명에 따라, 3개의 무선 터미널이 전용 제어 채널을 점유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세그먼트들은 각각의 무선 터미널에 대해 균일하게 분리되거나, 소정의 다른 방식으로 배열(예를 들어, 동일한 터미널에 대해 한 번에 두 개, 또는 무작위 등)될 수도 있다. 단계(1206)에서, 스플릿-톤 온 상태에 있는 무선 터미널과의 통신이 실행될 수도 있다.
개시된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라, 무선 터미널이 전이될 상태 또는 이러한 상태의 사용을 위한 시간의 양의 식별에 관한 추론이 행해질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사용된 바와 같이, "추론하다" 또는 "추론"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벤트 및/또는 데이터를 통해 포착된 관찰 결과의 세트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를 추리 또는 추론하는 프로세스에 관련된다. 추론은 특정 환경 또는 작용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태들을 통해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추론은 예상에 근거할 수도 있는데, 즉 관심 상태들을 통한 확률 분포의 계산은 데이터 및 이벤트들의 고려에 기초한다. 추론은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의 세트로부터 더 높은 레벨의 이벤트를 포함하기 위해 사용된 기술들을 또한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추론 결과는 관찰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의 세트로부터 새로운 이벤트들 또는 작용들, 이벤트들이 근접하여 상관되는 지의 여부, 및 이벤트들 및 데이터가 하나 또는 몇몇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기원하는 지에 대한 고려를 초래한다.
일예에 따라, 전술한 하나 이상의 방법들은 예를 들어,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전력 소모의 감소 및/또는 전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무선 터미널이 전이할 상태의 선택에 관한 추론을 행할 수 있다. 추가의 설명을 위해, 다수의 무선 터미널 사이에 공유하기 위한 전용 제어 채널을 분할하는 방법에 관한 추론이 실시될 수도 있다. 전술한 예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러한 추론이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 및/또는 방법에 관해 행해지는 방식 또는 실행될 수 있는 추론의 수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13을 참조하면, 통신 링크들에 의해 상호 연결된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양상에 따라 구현된 통신 시스템(1300)(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예가 도시된다. 예로든 통신 시스템(1300)에서 노드들은 통신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에 기초한 신호들(예를 들어,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한다. 시스템(1300)의 통신 링크들은 예를 들어, 배선, 광섬유 케이블, 및/또는 무선 통신 기술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로든 통신 시스템(1300)은 다수의 엔드 노드(1344, 1346, 1344', 1346', 1344", 1346")를 포함하는데, 상기 엔드 노드들은 다수의 액세스 노드(1340, 1340', 1340")를 통해 통신 시스템을 액세스한다. 엔드 노드들(1344, 1346, 1344', 1346', 1344", 1346")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들일 수도 있으며, 액세스 노드들(1340, 1340', 1340")은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라우터들 또는 기지국들일 수도 있다. 예로든 통신 시스템(1300)은 또한 접속을 제공하거나 특정 서비스 또는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다른 노드들(1304, 1306, 1309, 1310 및 1312)을 포함한다. 특히, 예로든 통신 시스템(1300)은 엔드 노드들에 속하는 상태의 저장 및 이전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1304)를 포함한다. 서버 노드(1304)는 AAA 서버, 컨텍스트 전달 서버, AAA 서버 기능 및 컨텍스트 전달 서버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예로든 통신 시스템(1300)은 서버(1304), 노드(1306) 및 홈 에이전트 노드(1309)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302)를 도시하는데, 이들은 각각 대응하는 네트워크 링크들(1305, 1307 및 1308)에 의해 중간 네트워크 노드(1310)에 연결된다. 네트워크(1302)의 중간 네트워크 노드(1310)는 또한 네트워크 링크(1311)를 통해 네트워크(1032) 외부에 있는 네트워크 노드들과 접속한다. 네트워크 링크(1311)는 다른 중간 네트워크 노드(1312)에 연결되며, 다른 중간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네트워크 링크들(1341, 1341', 1341")을 통해 다수의 액세스 노드들(1340, 1340', 1340")에 추가 접속을 제공한다.
각각의 액세스 노드(1340, 1340', 1340")는 각각 대응하는 액세스 링크 들(1345, 1347), (1345', 1347'), (1345", 1347")을 통해 각각 다수의 N개의 엔드 노드(1344, 1346), (1344', 1346'), (1344", 1346")에 접속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예로든 통신 시스템(1300)에서, 각각의 액세스 노드(1340, 1340', 1340")는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기술(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링크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각각의 액세스 노드(1340, 1340', 1340")의 무선 커버리지 영역(예를 들어, 통신 셀들(1348, 1348' 및 1348"))은 각각 대응하는 액세스 노드를 에워싸는 원으로서 도시된다.
예로든 통신 시스템(1300)은 설명된 다양한 양상의 개시를 위한 기본 원리로서 제공된다. 더욱이 다양한 개별 네트워크 토폴로지들이 본원 발명의 사상 내에 있는데, 여기서 네트워크 노드들의 수 및 타입, 액세스 노드들의 수 및 타입, 엔드 노드들의 수 및 타입, 서버들 및 다른 에이전트들의 수 및 타입, 링크들의 수 및 타입, 및 노드들 사이의 상호 접속은 도13에 도시된 예로든 통신 시스템(1300)과는 상이하다. 부가적으로, 예로든 통신 시스템(100)에 도시된 기능 엔티티들은 생략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기능 엔티티들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화될 수 있다.
도14는 다양한 양상과 관련된 예로든 엔드 노드(1400)(예를 들어, 모바일 노드)를 도시한다. 예로든 엔드 노드(1400)는 도13에 도시된 엔드 노드들(1344, 1346, 1344', 1346', 1344", 1346") 중 소정의 하나로서 사용될 수도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 노드(1400)는 버스(1406)에 의해 서로 결합된 프로세서(1404),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30), 사용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440) 및 메모리(1410)를 포함한다. 결론적으로, 엔드 노드(14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버스(1406)를 통해 정보, 신호들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엔드 노드(1400)의 컴포넌트(1404, 1406, 1410, 1430, 1440)는 하우징(1402)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30)는 엔드 노드(1400)의 내부 컴포넌트들이 외부 장치들 및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들)과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30)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수신 안테나(1436)를 갖는 수신기 모듈(1432), 및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채널들을 통해) 엔드 노드(1400)를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응하는 전송 안테나(1438)를 가진 송신기 모듈(1434)을 포함한다.
예로든 엔드 노드(1400)는 또한 사용자 입력 장치(1442)(예를 들어, 키패드) 및 사용자 출력 장치(1444)(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1440)를 통해 버스(1406)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 장치(1442) 및 사용자 출력 장치(1444)는 사용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440) 및 버스(1406)를 통해 엔드 노드(1400)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정보, 신호들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440) 및 관련 장치들(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장치(1442), 사용자 출력 장치(1444))은 사용자가 다양한 태스크들을 달성하도록 엔드 노드(1400)를 동작시키게 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특히, 사용자 입력 장치(1442) 및 사용자 출력 장치(1444)는 사용자가 엔드 노드(1400)를 제어하게 하는 기능 및 엔드 노드(1400)의 메모리(1410)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404)는 메모리(1410)에 포함된 다양한 모듈들(예를 들어, 루틴들)의 제어하에 있을 수도 있으며, 엔드 노드(1400)의 동작을 제어하여 개시된 다양한 프로세싱 및 시그널링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메모리(1410)에 포함된 모듈들은 구동시 또는 다른 모듈들에 의한 호출로서 실시된다. 모듈들은 실행시, 데이터, 정보, 및 신호들을 교환할 수도 있다. 모듈들은 실행시, 데이터 및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다. 엔드 노드(1400)의 메모리(1410)는 시그널링/제어 모듈(1412) 및 시그널링/제어 데이터(14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시그널링/제어 모듈(1412)은 상태 정보 저장, 검색, 및 프로세싱의 관리를 위해 신호들(예를 들어, 메시지들)의 수신 및 전송에 관련한 프로세싱을 제어한다. 시그널링/제어 데이터(1414)는 예를 들어, 파라미터들, 상태들, 및/또는 엔드 노드의 동작과 관련한 다른 정보와 같은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시그널링/제어 데이터(1414)는 구성 정보(1416)(예를 들어, 엔드 노드 식별 정보) 및 동작 정보(1418)(예를 들어, 현재 프로세싱 상태에 관한 정보, 보류 응답의 상태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시그널링/제어 모듈(1412)은 시그널링/제어 데이터(1414)(예를 들어, 업데이트 구성 정보(1416) 및/또는 동작 정보(1418))를 액세스 및/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도15는 개시된 다양한 양상에 따라 구현된 예로든 액세스 노드(1500)의 설명을 제공한다. 예로든 액세스 노드(1500)는 도13에 도시된 액세스 노드들(1340, 1340', 1340") 중 소정의 하나로서 사용된 장치일 수도 있다. 액세스 노드(1500)는 버스(1506)에 의해 서로 결합된 프로세서(1504), 메모리(1510), 네트워크/인터워크 인터페이스(1520)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30)를 포함한다. 결론적으로, 액세스 노드(15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버스(1506)를 통해 정보, 신호들,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액세스 노드(1500)의 컴포넌트들(1504, 1506, 1510, 1520, 1530)은 하우징(1502)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네트워크간 인터페이스(1520)는 액세스 노드(1500)의 내부 컴포넌트들이 외부 장치들 및 네트워크 노드들과 신호들의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네트워크/네트워크간 인터페이스(1520)는 (예를 들어, 구리 배선 또는 광섬유 라인들을 통해) 액세스 노드(1500)를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수신기 모듈(1522) 및 송신기 모듈(1524)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30)는 또한 액세스 노드(1500)의 내부 컴포넌트들이 외부 장치들 및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어, 엔드 노드들)과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30)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수신 안테나(1536)를 갖는 수신기 모듈(1532) 및 대응하는 전송 안테나(1538)를 갖는 송신기 모듈(1534)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30)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채널들을 통해) 액세스 노드(1500)를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메모리(1510)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들(예를 들어, 루틴들)의 제어하에 있는 프로세서(1504)는 다양한 시그널링 및 프로세싱을 실행하기 위해 액세스 노드(1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510)에 포함된 모듈들은 구동시 또는 메모리(1510)에 제공될 수도 있는 다른 모듈들에 의한 호출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모듈들은 실행시, 데이터, 정보 및 신호들을 교환할 수도 있다. 모듈들은 실행시, 데이터 및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다. 예로서, 액세스 노드(1500)의 메모리(1510)는 상태 관리 모듈(1512) 및 시그널링/제어 모듈(15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듈들 각각에 대응하여, 메모리(1510)는 또한 상태 관리 데이터(1513) 및 시그널링/제어 데이터(1515)를 포함한다.
상태 관리 모듈(1512)은 상태 저장 및 검색과 관련하여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 또는 엔드 노드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프로세싱을 제어한다. 상태 관리 데이터(1513)는 예를 들어, 만일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저장되면, 현재 엔드 노드 상태의 위치 또는 상태 또는 상태의 일부와 같은, 예를 들어 엔드 노드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상태 관리 모듈(1512)은 상태 관리 데이터(1513)를 액세스 및/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시그널링/제어 모듈(1514)은 기본 무선 기능, 네트워크 관리 등과 같은 다른 동작을 위해 필수적인 네트워크/네트워크간 인터페이스(1520)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로/로부터 그리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30)를 통해 엔드 노드들로/로부터 신호들의 프로세싱을 제어한다. 시그널링/제어 데이터(1515)는 예를 들어, 기본 동작을 위해 무선 채널 할당에 관한 엔드 노드 관련 데이터, 및 지원/관리 서버들의 어드레스, 기본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구성 정보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관련 데이터를 포함한다. 시그널링/제어 모듈(1514)은 시그널링/제어 데이터(1515)를 액세스 및/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도16을 참조하면,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상태들 사이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1600)이 도시된다. 시스템(1600)은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되는데, 이들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된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다. 시스템(1600)은 무선 터미널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상태(1602)를 이용하기 위해 논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태는 풀-톤 온 상태이거나 홀드 상태일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1600)은 스플릿-톤 온 상태(1604)로의 전이를 위해 논리적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에 따라, 전이는 낮은 레이턴시, 높은 신뢰도, 경쟁 없는 전이일 수도 있다. 더욱이, 시스템(1600)은 스플릿-톤 온 상태(1606)를 이용하는 논리적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17을 참조하면, 기지국 성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1700)이 도시된다. 시스템(1700)은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되는데, 이들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된 기능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시스템(1700)은 기지국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무선 터미널(1702)을 위해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전이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논리적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논리적 모듈(미도시)은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무선 터미널을 전이시킬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태는 풀-톤 온 상태, 홀드 상태, 휴면 상태, 액세스 상태, 및/또는 널 상태일 수도 있다. 시스템(1700)은 또한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1704)로 변경하기 위해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를 무선 터미널로 전송하기 위한 논리적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을 위해, 확인 응답(ACK)가 전송된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에 응답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더욱이, 시스템(1700)은 스플릿-톤 온 상태(1706)에서 무선 터미널과 통신하는 논리적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의 경우, 개시된 기술들은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절차들, 기능들 등)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어떤 경우든,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고려가능한 모든 결합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당업자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많은 추가의 결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개시된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이러한 변경들, 변화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서 "포함한다"는 용어가 사용되는 한도까지, 이러한 용어는 청구항에서 대체적인 용어로 사용될 때 "구비한다"라는 용어와 유사하게 사용된다.

Claims (43)

  1. 무선 터미널 상태들 간의 전이(transition)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제1 상태를 이용하는 단계;
    상기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split-tone on state)로 전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는 풀-톤 온 상태(full-tone on state)의 1/N 스플릿을 사용하며, 여기서 상기 N은 정수인,
    무선 터미널 상태들 간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풀-톤 온 상태이며, 상기 전이는 액세스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고 실행(effectuate)되는,
    무선 터미널 상태들 간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는, 상기 풀-톤 온 상태와 관련된 것보다 낮은 업링크 제어 채널 관련 레이트, 및 상기 풀-톤 온 상태와 비교하여 감소된 전력 제어의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무선 터미널 상태들 간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홀드 상태(hold state)이며, 상기 무선 터미널은 상기 홀드 상태로부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로 직접 전이하는,
    무선 터미널 상태들 간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는, 상기 홀드 상태와 관련된 것보다 큰 업링크 제어 채널 관련 레이트, 및 상기 홀드 상태의 전력 제어 레이트보다 큰 전력 제어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무선 터미널 상태들 간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휴면 상태(sleep state)이며, 상기 전이하는 단계는 액세스 상태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터미널 상태들 간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하는 단계는 기지국에 의해 개시되는,
    무선 터미널 상태들 간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하는 단계는 무선 터미널에 의해 개시되는,
    무선 터미널 상태들 간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는 상기 풀-톤 온 상태의 1/3 스플릿을 이용하고 3개의 무선 터미널들을 지원하는,
    무선 터미널 상태들 간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를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터미널에 할당되지 않은 세그먼트들 동안 관련된 회로의 이용 및 전송을 금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터미널 상태들 간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12.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제1 상태와 관련된 상태 할당을 보유(retain)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1 상태를 이용하고, 무선 터미널 사용에 대한 리소스 이용을 맞춤화(tailor)하기 위해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전이하고, 그리고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를 사용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는 풀-톤 온 상태의 1/N 스플릿을 사용하며, 여기서 상기 N은 정수인,
    무선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경합하지 않는(contention-free) 전이를 통해, 상기 풀-톤 온 상태 및 홀드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로 변화시키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업링크 상에서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로 전이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다운링크를 통해,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를 수신시,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로 전이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상태들 간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제1 상태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
    전력 제어와 관련된 레이트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전이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는 풀-톤 온 상태의 1/N 스플릿을 사용하며, 여기서 상기 N은 정수인,
    무선 통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풀-톤 온 상태, 홀드 상태, 및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전이는 경합하지 않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는 기지국에 의해 개시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는 무선 터미널에 의해 개시되는,
    무선 통신 장치.
  20. 기계 실행 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스플릿-톤 온 상태를 사용하기 위한 명령;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이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제2 상태를 사용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는 풀-톤 온 상태의 1/N 스플릿을 이용하며, 여기서 상기 N은 정수인,
    기계 판독 가능 매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풀-톤 온 상태, 홀드 상태, 및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전이는 액세스 상태를 스킵(skip)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
  22. 삭제
  23.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명령들은,
    제1 상태를 이용하기 위한 명령;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명령; 및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를 이용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는 풀-톤 온 상태의 1/N 스플릿을 사용하며, 여기서 상기 N은 정수인,
    프로세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풀-톤 온 상태, 홀드 상태, 및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프로세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액세스 상태를 스킵함으로써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로 곧바로(directly) 변화시키는,
    프로세서.
  26. 기지국에 의해 동시에 지원될 수 있는 사용자들의 수의 증가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제1 상태의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사용 특성들을 평가하는 단계;
    사용자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무선 터미널을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전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의 상기 무선 터미널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는 풀-톤 온 상태의 1/N 스플릿을 사용하며, 상기 N은 정수인,
    사용자들의 수의 증가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풀-톤 온 상태 및 홀드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들의 수의 증가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시키는 단계는 액세스 상태를 이용하지 않고 발생하는,
    사용자들의 수의 증가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널 상태(null state) 및 휴면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전이시키는 단계는 중간(intermediate) 액세스 상태로 실행되는,
    사용자들의 수의 증가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시키는 단계는 기지국에 의한 평가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사용자들의 수의 증가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시키는 단계는 상기 무선 터미널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사용자들의 수의 증가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특성들을 평가하는 단계는 무선 채널 조건들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들의 수의 증가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특성들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터미널의 데이터 사용 패턴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들의 수의 증가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특성들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 및 상기 풀-톤 온 상태를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사용자 처리(treatment)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서비스 품질 프로파일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들의 수의 증가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35. 무선 통신 장치로서,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측정된 특성들을 보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터미널과 관련된 상태를 전이시키도록 결정하고, 스플릿-톤 온 상태로의 스위칭을 표시하는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를 상기 무선 터미널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터미널로부터 확인 응답(ACK)을 수신하고,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의 상기 무선 터미널과 통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는 풀-톤 온 상태의 1/N 스플릿을 사용하며, 여기서 상기 N은 정수인,
    무선 통신 장치.
  36. 삭제
  37. 기지국 용량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로서,
    무선 터미널에 대해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전이시키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를 상기 무선 터미널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의 상기 무선 터미널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는 풀-톤 온 상태의 1/N 스플릿을 사용하며, 여기서 상기 N은 정수인,
    무선 통신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터미널을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로 전이시킬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풀-톤 온 상태, 홀드 상태, 및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전이는 액세스 상태를 스킵하는,
    무선 통신 장치.
  40. 기계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저장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이용가능한 제어 채널 리소스들을 평가하기 위한 명령;
    스플릿-톤 온 상태로의 전이를 실행하기 위해 풀-톤 온 상태의 무선 터미널로 상태 전이 채널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무선 터미널로부터 확인 응답(ACK)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는 풀-톤 온 상태의 1/N 스플릿을 사용하며, 여기서 상기 N은 정수인,
    기계 판독 가능 매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이 채널 요청은 전이할 상태, 상기 전이를 위한 기간, 및 스플릿-톤 온 상태와 관련된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
  42.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명령들은,
    무선 터미널을 위해 제1 상태로부터 스플릿-톤 온 상태로 스위칭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로 변화시키도록 상태 전이 채널 세그먼트를 상기 무선 터미널로 전송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의 상기 무선 터미널과 통신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는 풀-톤 온 상태의 1/N을 사용하며, 여기서 상기 N은 정수인,
    프로세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풀-톤 온 상태, 홀드 상태, 및 상기 스플릿-톤 온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프로세서.
KR1020097002679A 2006-07-14 2007-07-10 상태들 사이의 전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044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86,809 2006-07-14
US11/486,809 US7787826B2 (en) 2006-07-14 2006-07-14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itioning between st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937A KR20090037937A (ko) 2009-04-16
KR101044532B1 true KR101044532B1 (ko) 2011-06-27

Family

ID=3874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679A KR101044532B1 (ko) 2006-07-14 2007-07-10 상태들 사이의 전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87826B2 (ko)
EP (1) EP2052495A1 (ko)
JP (1) JP5080576B2 (ko)
KR (1) KR101044532B1 (ko)
CN (1) CN101491134A (ko)
TW (1) TW200814576A (ko)
WO (1) WO20080087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1302B2 (en) * 2007-07-20 2012-03-0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splitting jobs across multiple agnostic processors in wireless system
US8918563B2 (en) 2010-06-01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data throttling by buffer status report (BSR) scaling
US9019880B2 (en) 2011-08-11 2015-04-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overload mitigation using uplink transmit power backoff
EP3324698B1 (en) * 2015-07-15 2020-09-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43108B1 (en) * 2022-03-15 2023-08-29 Cisco Technology, Inc. Dynamic customization of network controller data path based on controller internal state awarenes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674A (ko) * 1998-03-23 1999-10-15 윤종용 무선교환시스템의 신호 연결 관리장치
US20050118981A1 (en) 2002-08-08 2005-06-02 Rajiv Laroia Power and timing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538A (en) * 1993-11-09 1995-04-25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in a multi-ton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5726978A (en) * 1995-06-22 1998-03-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aptive channel alloc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system
US5867478A (en) * 1997-06-20 1999-02-02 Motorola, Inc. Synchronous coheren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method, software and device
US6507568B2 (en) * 1997-08-27 2003-01-14 Lucent Technologies Inc. Enhanced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nder rapidly fluctuating fading conditions
US6016311A (en) * 1997-11-19 2000-01-18 Ensemble Communications, Inc. Adaptive time division duplex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587526B1 (en) * 1999-10-12 2003-07-01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iming synchronization in OFDM-based wireless systems
US20020154705A1 (en) * 2000-03-22 2002-10-24 Walton Jay R.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employing multi-carrier modulation
US6985434B2 (en) * 2000-09-01 2006-01-10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ve time diversity and spatial diversity for OFDM
US6996418B2 (en) * 2000-12-29 2006-02-07 Nortel Networks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OFDM data communications
US6904278B2 (en) * 2000-12-29 2005-06-07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ethod for mapping tear down data in a wireless network
US6606498B2 (en) * 2002-01-03 2003-08-12 Syncomm Technology Corp. State model for a wireless device
RU2352074C2 (ru) * 2003-05-09 2009-04-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помеча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метки времени отчета об измерении для гарантии правильности опорного времени
KR100547734B1 (ko) 2003-06-13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의 동작 상태 제어 방법
US7047009B2 (en) * 2003-12-05 2006-05-16 Flarion Technologies, Inc. Base station bas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break before make handoffs in a multi-carrier system
US7463611B2 (en) * 2004-07-15 2008-12-09 Atheros Communications, Inc. Efficient data transmission by data aggregation
US7715845B2 (en) * 2004-10-14 2010-05-11 Qualcomm Incorporated Tone hopping methods and apparatus
US7403470B2 (en) * 2005-06-13 2008-07-22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s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US9125093B2 (en) * 2005-12-22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custom control channel reporting formats
US9137072B2 (en) * 2005-12-22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US9338767B2 (en) * 2005-12-22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of implementing and/or using a dedicated control channel
WO2008053344A2 (en) * 2006-11-03 2008-05-08 Nokia Corporation Control signaling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point-to-multi point over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674A (ko) * 1998-03-23 1999-10-15 윤종용 무선교환시스템의 신호 연결 관리장치
US20050118981A1 (en) 2002-08-08 2005-06-02 Rajiv Laroia Power and timing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2495A1 (en) 2009-04-29
CN101491134A (zh) 2009-07-22
US7787826B2 (en) 2010-08-31
WO2008008799A1 (en) 2008-01-17
TW200814576A (en) 2008-03-16
JP5080576B2 (ja) 2012-11-21
KR20090037937A (ko) 2009-04-16
US20080014920A1 (en) 2008-01-17
JP2009544233A (ja)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871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aging a machine to machine device
CN101502019B (zh) 支持多个连接的方法和装置
CN101689986B (zh) 用于对等通信中的数据交换的方法和装置
CN101978641B (zh) 对多载波系统中的小区进行报告和管理的方法和装置
CN101341782B (zh) 关于为请求报告选择请求群组的方法及设备
US91009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mi-persistent resource scheduling
EP2274951B1 (en) Dynamic scheduling overwriting of semi-persistent allocation in an uplink
US2011008545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nnel utilization
KR101586179B1 (ko) 패킷 전송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07082251A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sharing bandwidth between a wide area network and local area peer-to-peer network
EP2078437A1 (en) Power allocation scheme
KR101044532B1 (ko) 상태들 사이의 전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3959879A (zh) 无线资源管理单元
US2024008998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uplink resource grants in wireless networks
CN109997343B (zh) 无线电资源管理测量方法以及无线设备
JP2018537907A (ja) スケジューリング情報送信方法および装置
CN110213833B (zh) 星型自组网络上行调度请求调度方法及其星型自组网络
WO2023174224A1 (zh) 物理边链路信道的发送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2273099A (zh) 在无线网络中用于快速接入信道信息加载的技术
JP5054142B2 (ja) トラフィックチャネルを用いてユーザデータを伝送する方法及び装置
WO2021031978A1 (zh) 信号发送方法和信号发送装置
KR2008004586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