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266B1 - 가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266B1
KR101044266B1 KR1020080113971A KR20080113971A KR101044266B1 KR 101044266 B1 KR101044266 B1 KR 101044266B1 KR 1020080113971 A KR1020080113971 A KR 1020080113971A KR 20080113971 A KR20080113971 A KR 20080113971A KR 101044266 B1 KR101044266 B1 KR 101044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urniture
fibers
hemp
melt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5059A (ko
Inventor
김태일
Original Assignee
김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일 filed Critical 김태일
Priority to KR1020080113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26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47B96/206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laminates comprising planar, continuous or separat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8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characterised by materials
    • A47B2220/0083Furniture made of sheet material

Landscapes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표면이 삼베의 원료가 되는 마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마감처리 되거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가 전체적으로 삼베 원료가 되는 마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마련된 가구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가구는 마섬유의 항균 및 항독성에 의해 수용공간이 환경호르몬이나 곰팡이 등을 통해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이용자가 물품을 수용공간에 안심하고 수용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구 및 그 제조방법 {A FURNI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소재의 마감재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가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침대 소파와 같이 이용자가 실생활 중에 직접 사용하도록 마련된 생활용과, 물품수납을 목적으로 마련된 물품 수납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 물품 수납용 가구는 의류 침구 식기 등의 물품수납을 목적으로 마련된 것으로, 통상 장롱, 서랍장, 붙박이장 등의 가구가 이에 해당 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물품 수납용 가구는 기본적으로 물품의 수납을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물품 수납용 가구는 원목이나 합판 또는 앰디에프(MDF)로 구성되는 판재를 통해 벽체를 마련하고, 이러한 벽체들을 상호 결합시켜 외형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수용공간은 이러한 벽체들을 통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 수용공간 쪽 벽체의 내면에는 필름이나 데코레이션시트 또는 모양지나 무늬목 등의 마감재가 부착되어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물품들 표면이 수납과정에서 판재에 긁히게 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중 필름이나 데코레이션시트의 경우에는 모두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모양지는 화학적으로 코팅 처리되어 벽체에 마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감재들을 통해 수용공간 쪽 벽체의 내면을 마감 처리한 종래 가구들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먼저 전술한 마감재들 중 필름이나 데코레이션시트의 경우 화학 처리된 합성수지로 마련된 것이고, 모양지의 경우에도 화학적으로 코팅처리 된 것이므로, 이러한 마감재들은 환경호르몬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름이나 데코레이션시트 또는 모양지를 사용한 가구들의 경우 환경호르몬 발생으로 인해 수용공간에 음식과 관련된 식기나 아이들의 옷과 같은 물품을 안심하고 수납시키기 어려웠다.
또 상기 무늬목의 경우 습기를 잘 머금기 때문에, 무늬목을 마감재로 이용한 가구의 경우에는 수용공간에 곰팡이 등이 자주 발생되며 수납되는 물품들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들을 수용공간에 보다 안심하고 수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가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물품의 수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벽체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이 삼베 원료가 되는 마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통해 마감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체는 소정두께의 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는 마감재로써 상기 판부재 표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부재는 엠디에프(MDF)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물품의 수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벽체 중 적어도 하나가 삼베 원료가 되는 마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통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는 저융점섬유 40 ~ 50 중량%와, 고융점섬유 20 ~ 30 중량%와, 마섬유 20 ~ 30 중량%를 포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구의 제조방법은 물품의 수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가 삼베 원료가 되는 마섬유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마감부직포를 통해 마련되는 가구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부직포를 준비하는 부직포제조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직포 제조단계는 저융점섬유와 고융점섬유와 마섬유를 가지고 시트형태의 예비성형 물을 가공하는 예비성형물 가공단계와, 상기 저융점섬유가 용융되도록 상기 예비성형물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와, 상기 열처리단계를 거친 예비성형물을 가열압착하는 가열압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는 상기 저융점섬유 40 ~ 50 중량%와, 상기 고융점섬유 20 ~ 30 중량%와, 상기 마섬유 20 ~ 30 중량%를 포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 제조단계는 상기 가열압착단계를 거친 예비성형물의 표면을 다림질하여 펴지도록 하는 다림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도니 가구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표면이 삼베의 원료가 되는 마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마감처리 되거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가 전체적으로 삼베 원료가 되는 마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가구는 마섬유의 항균 및 항독성에 의해 수용공간이 환경호르몬이나 곰팡이 등을 통해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이용자가 물품을 수용공간에 보다 안심하고 수용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의류 침구 식기 등의 수납을 목적으로 마련된 수납용 가구로써, 장롱, 서랍장, 붙박이장 등 물품 수납을 위한 수용공간을 갖는 가구라면 어느 가구라도 해당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수용공간은 도어를 통해 폐쇄되는 밀폐형 수용공간은 물론, 항시 한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개방형수용공간과, 서랍의 내부공간과 같이 물품의 수납이 가처럼 이동이 가능한 가구의 모든 수용공간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있어서 가구는 장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는 장롱으로써, 복수개의 벽체(2)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본체(1)를 통해 외형을 이루며, 본체(1) 내부에는 전면 쪽으로 개방된 복수개의 수용공간(1a)이 형성된다.
벽체(2)는 본체(1)의 상면과 하면을 이루는 상부 및 하부 벽체(2a,2b)와, 본체(1)의 좌우 양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벽체(2c,2d), 그리고 본체(1)의 뒷면을 형성하는 뒷면 벽체(2e)와, 상부/하부/측면/뒷면 벽체(2a,2b,2c,2d,2e)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구획 벽체(2f,2g)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용공간(1a)은 이러한 벽체(2)들을 통해 본체(1) 내부에 상호 구획되도록 마련된 복수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좌우 양쪽의 수용공간(1a)은 도어(3)를 통해 개폐되도록 마련되며, 중앙의 수용공간(1a)은 도어 없이 항시 전면 쪽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 어 자주 사용되는 물품을 보관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에 있어서, 수용공간(1a)을 형성하게 되는 상기 벽체(2)의 내면은 마섬유(a)를 포함하는 부직포(4)를 통해 마감처리 된다. 즉, 상기 각 벽체(2)들 중 상부/하부/측면/뒷면 벽체(2a,2b,2c,2d,2e)의 경우에는 수용공간(1a) 쪽을 향하는 일면에만 상기 부직포(4)가 마감처리 되며, 양 쪽에 모두 수용공간(1a)이 형성되는 구획벽체(2f,2g)의 경우에는 양면이 모두 부직포(4)로 마감처리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는 수용공간(1a)이 환경호르몬이나 곰팡이 등을 통해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게 되어 수용공간(1a)에 물품들을 보다 안심하고 수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삼베의 원료가 되는 마섬유(a)는 천연소재로써 화학적으로 합성된 합성소재와 달리 환경호르몬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수분을 빨리 흡수 및 배출시키고 자외선을 차단하여 곰팡이를 억제하는 항균성 및 항독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마섬유(a)를 포함하는 부직포(4)를 통해 수용공간(1a) 쪽 벽체(2)의 내면을 마감처리하게 되면, 수용공간(1a)이 환경호르몬은 물론 곰팡이나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수용공간(1a)에 일반 물품은 물론 아기들의 옷이나 식기와 같이 특히 청결한 상태로 보관될 필요가 있는 물품들도 안심하고 수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벽체(2)의 경우 원목이나 합판 또는 엠디에프(MDF)재질의 판부재(5)를 통해 마련되는데, 상기 부직포(4)의 경우 얇은 시트 형태로 마련되어 접착제 등을 통해 판부재(5) 표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통상의 오버레이기법이나 라미네이팅기법 또는 프레스기법 등을 통해서도 판부재(5)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제조방법시에는 기본적으로 판부재(5)를 형성하는 판부재 제조단계와, 마섬유(a)를 포함하는 상기 부직포(4)를 제조하는 부직포 제조단계와, 부직포(4)를 판부재(5) 표면에 마감처리하여 벽체(2)를 완성하는 벽체마감 처리단계와, 이렇게 구성된 벽체(2)들을 조립하여 본체(1)를 형성하는 본체형성단계가 필수적으로 들어가게 된다.
먼저 판부재 제조단계에서는 원목이나 엠디에프(MDF)를 가공하여 소정 크기와 두께를 갖는 상기 판부재(5)를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부직포 제조단계에서는 저융점섬유(c)와 고융점섬유(b)와 마섬유(a)를 이용하여 두꺼운 시트형태의 예비성형물(6)을 가공한 후 저융점섬유(c)가 용융되도록 예비성형물(6)을 열처리하여 저융점섬유(c)의 용융시 마섬유(a)가 저융점섬유(c) 및 고융점섬유(b)와 강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예비성형물(6)을 가열압착시켜 부직포(4)를 제조하게 된다. 벽체마감 처리단계에서는 전술한 여러 가지 기법을 통해 부직포(4)를 판부재(5) 표면에 부착시키게 되며, 본체형성단계에서는 통상의 가구의 조립시와 같이 체결부재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벽체(2)들을 상호 결합시키게 된다.
이중 상기 부직포 제조단계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 제조단계는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크게 저융점섬유(c)와 고융점섬유(b)와 마섬유(a)를 가지고 두꺼운 시트형태의 예비성형물(6)을 가공하는 예비성형물 가공단계(S10)와, 저융점섬유(c)가 용융되도록 예비성형물(6)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S20)와, 열처리단계(S20)를 거친 예비성형물(6)을 가열압착하여 부직포(4)가 되도록 하는 가열압착단계(S30)와, 가열압착단계(S30)를 거친 부직포(4) 표면을 다림질하는 다림질단계(S40)를 포함하게 된다.
도 4에는 예비성형물 가공단계(S10)를 거쳐 마련된 예비성형물(6)과, 열처리단계(S20)를 거쳐 저융점섬유(c)가 용융된 상태의 예비성형물(6), 그리고 예비성형물(6)이 가열압착단계(S30)를 거쳐 마련된 부직포(4)의 구조가 순차적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성형물(6)은 적어도 하나의 마섬유층(7a)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예비성형물(6)에 있어서 마섬유층(7a) 양쪽(도 4에서 하부와 상부 쪽)에는 각각 웹(7b,7c)이 소정의 겹으로 적층된다. 참고로 미설명부호 6A와 6B는 각각 후술하게 될 1차적물과 2차적층물을 가리킨다.
또 마섬유층(7a)은 순수한 마섬유(a)만을 통해서 마련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열처리시 마섬유층(7a)와 웹(7b,7c) 사이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마섬유(a)와 저융점섬유(c)를 섞은 혼합물로 구성 할 수도 있으며, 마섬유층(7a)을 형성하는 마섬유(a) 또는 마섬유(a)와 저융점섬유(c)의 혼합물은 마섬유층구성물을 형성하게 된다.
도 5에는 예비성형물 가공단계(S10)와 열처리단계(S20)에서 사용되는 기구들 이 순서대로 배치된 배치도가 개시되는데, 먼저 상기 예비성형물 가공단계(S10)는 섬유혼합단계(S11)-웹형성단계(S12)-웹적층단계(S13)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조된다.
상기 섬유혼합단계(S11)에서는 제1혼합기(10A)와 제2혼합기(10B) 2개의 혼합기가 사용되는데, 섬유혼합단계(S11)에서 제1 및 제2혼합기(10A,10B)는 각각 저융점섬유(c)와 고융점섬유(b)를 혼합하여 개별적으로 혼합섬유를 형성하게 된다.
또 웹형성단계(S12)에서는 제1카드기(20A)와 제2카드기(20B) 2개의 카드기(20A,20B)가 사용되며, 이러한 웹형성단계(S12)는 제1혼합기(10A)에서 마련된 혼합섬유를 가지고 제1카드기(20A)에서 제1웹(7b)을 형성하는 제1웹형성단계(S12a)와, 제2혼합기(10B)에서 마련된 혼합섬유를 가지고 제2카드기(20B)에서 제2웹(7c)을 형성하는 제2웹형성단계(S12b)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웹적층단계(S13)에서는 제1성형기(30A)와 제2성형기(30B) 2개의 성형기(30A,30B)가 사용되며, 이 웹적층단계(S13)는 상기 제1웹(7b)을 제1성형기(30A)에서 적층시켜 상기 1차적층물(6A)을 형성하는 1차적층단계(S13a)와, 상기 1차적층물(6A)을 상기 제2성형기(30B)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1차적층물(6A) 상면에 마섬유층구성물을 적층시켜 마섬유층(7a)을 추가함으로써 2차적층물(6B)을 형성하는 2차적층단계(S13b)와, 상기 2차적층물(6B)을 제2성형기(30B)로 이송시키고 상기 2차적층물(6B) 상면에 상기 제2웹(7c)을 적층시켜 상기 예비성형물(6)을 형성하는 3차적층단계(S13c)를 포함한다.
상기 1차 내지 3차적층단계(S13a,S13b,S13c)는 1차적층단계(S13a)-2차적층단계(S13b)-3차적층단계(S13c) 순서로 진행되며, 이러한 1차 내지 3차적층단 계(S13a,S13b,S13c)는 제작되는 부직포(4)의 두께에 따라 다수회 반복 진행이 가능하다.
또 상기 2차적층단계(S13b)의 수행을 위해 2차적층단계(S13b)에서는 1차적층물(6A)을 제2성형기(30B) 쪽으로 이송시키도록 제1성형기(30A)와 제2성형기(30B) 사이에 컨베이어벨트 등으로 마련되는 이송기(50)와, 이송기(50)에 의해 이송되는 1차적층물(6A) 상면에 마섬유층구성물을 공급하기 위한 마섬유공급장치(80)가 이용된다. 참고로 이송기(60)는 제1카드기(20A)와 제1성형기(30A) 사이 및 제2카드기(20B)와 제2성형기(30B) 사이에도 웹(7b,7c)의 이송을 위해 설치된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마섬유공급장치(80)는 마섬유층구성물을 저정하는 저장통(90)과, 상기 저장통(90)의 마섬유층구성물을 공급받아 상기 1차적층물(6A) 상면으로 일정량의 마섬유층구성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정량공급기(100)와, 저장통(90)의 마섬유층구성물을 정량공급기(100)로 안내하도록 저장통(90)의 출구와 정량공급기(100)의 입구(131) 사이를 연결하는 안내유로(110)와, 저장통(90)의 마섬유층구성물을 연결유로(110)를 따라 정량공급기(100)로 강제 송풍시키도록 마련된 송풍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통(90)에 마섬유층구성물을 채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송풍기(120)를 구동시키게 되면, 저장통(90)의 마섬유층구성물은 정량공급기(100)로 자동 공급된다.
이중 정량공급기(100)는 먼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입구(131)와 출구(132)가 형성된 몸통(130)을 구비한다. 몸통(130)에서 상기 출구(132)는 출구(132)를 통해 1차적층물(6A) 상면으로 공급되는 마섬유층구성물이 1차적층물(6A) 바깥쪽으로 떨 어지게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웹(7b)의 폭보다는 조금 작은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정량공급기(100)를 이용하게 되면 많은 량의 마섬유층구성물을 1차적층물(6A) 상면으로 공급하더라도 마섬유층구성물이 1차적층물(6A) 상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정량공급기(100)는 상기 입구(131)와 출구(132) 사이의 몸통(130) 내부에 설치되는 제1롤러유닛(140)과, 상기 몸통(130)의 출구(132) 쪽에 설치되는 제2롤러유닛(150)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롤러유닛(140)은 마섬유층구성물의 마섬유(a)가 상호 엉켜진 상태에서 정량공급기(10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마섬유층구성물의 마섬유(a)는 상기 몸통(130) 내부에서 상호 쉽게 엉킬 수 있고, 엉켜진 상태의 마섬유(a) 뭉치는 정량공급기(100) 외부로 일정량씩 배출되기 어렵게 되는데, 제1롤러유닛(140)은 한 쌍의 제1공급롤러(141)와 하나의 가이드롤러(142)를 구비하여 마섬유(a)가 뭉쳐진 상태에서 정량공급기(10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1공급롤러(141)는 엉켜진 상태의 마섬유(a)를 잡기 용이하도록 외면에 요철을 구비하고, 각 제1공급롤러(141) 사이를 통해 상부 쪽 마섬유층구성물을 하부로 배출시키도록 상호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롤러(142)는 외면에 돌출침이 형성되어 회전중심이 한 쌍의 제1공급롤러(141) 사이와 대응하도록 제1공급롤러(141) 직하부에 위치된다. 가이드롤러(142)는 제1공급롤러(141)와 회전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공급롤러(141)와 최대한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가이드롤러(142)는 제1공급 롤러(141)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1공급롤러(141)와 가이드롤러(142)의 속도차에 의해 제1공급롤러(141) 상부 쪽에 엉켜져 있던 마섬유(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급롤러(141) 사이에 어느 정도 파지된 상태로 제1공급롤러(141) 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제1공급롤러(141) 사이를 통해 배출되고 있는 마섬유(a) 뭉치를 가이드롤러(142)가 회전하면서 터치하게 되면, 엉켜져 있던 마섬유(a) 뭉치로부터 낱개의 마섬유(a)들이 떼어져 나오게 되면서 엉켜져 있던 마섬유(a)들이 점차적으로 상호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제1롤러유닛(140)의 작용을 통해 몸통(130) 내부의 마섬유층구성물에 있어서 제1롤러유닛(140) 상부 쪽보다는 제1롤러유닛(140)과 제2롤러유닛(150) 사이의 마섬유(a)의 밀도가 덜 조밀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정량공급기(100)를 통해 배출되는 마섬유의 엉킴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마섬유층구성물의 정량 배출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롤러유닛(150)은 상기 제1공급롤러(141) 형태로 마련되며 제1공급롤러(141)와 같이 상호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제2공급롤러(151)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공급롤러(151) 중 적어도 하나는 출구(132)의 폭방향을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한 쌍의 제2공급롤러(15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출구(132)를 통해 배출되는 마섬유층구성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각각의 제1공급롤러(141)와 제2공급롤로(151) 쪽 몸통(130) 내벽에는 마섬유층구성물을 제1공급 롤러(141) 사이와 제2공급롤러(151)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판(180)이 설치된다.
또한 정량공급기(100)는 몸통(130) 내부에 있어서 입구(131)와 제1롤러유닛(140) 사이의 마섬유층구성물의 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된 제1감지센서(160)와, 제1롤러유닛(140)과 제2롤러유닛(150) 사이의 마섬유층구성물의 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된 제2감지센서(170)와, 제1 및 제2감지센서(160,170)를 통해 감지된 몸통(130) 내부 마섬유층구성물의 량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롤러유닛(140,150)과 송풍기(12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중 먼저 상기 제1감지센서(160)와 제2감지센서(170)는 각각 발광부(161,171)와 수광부(162,172)를 구비한다. 제1감지센서(160)의 발광부(161)와 수광부(162)는 입구(131)와 제1롤러유닛(140) 사이의 몸통(130) 양 측벽 외면에 각각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제2감지센서(170)의 발광부(171)와 수광부(172)는 제1롤러유닛(140)과 제2롤러유닛(150) 사이의 몸통(130) 양 측벽 외면에 각각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상기 발광부(161,171)) 및 수광부(162,172)가 설치되는 부위의 몸통(130) 측벽은 유리와 같이 광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는 광투과부재(135)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감지센서(160,170)는 발광부(161,171)에서 발생한 광이 수광부(162,172)로 수신될 경우 해당 공간의 마섬유층구성물이 감지센서(160,170)의 위치보다 낮게 채워져 있음을 감지하게 되고, 반대로 발광부(161,171)에서 발생한 광이 수광부(162,172)로 수신되지 않을 경우 해당 공간의 마섬유층구성물이 감 지센서(160,170) 높이보다 높은 위치까지 채워져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또 상기 제1롤러유닛(140)은 제1공급롤러(141)와 가이드롤러(142)를 회전시키도록 제1공급롤러(141)의 축(141a) 일단과 가이드롤러(142)의 축(142a) 일단에 마련되는 구동모터(141b,142b)를 포함하고, 제2롤러유닛(150)은 제2공급롤러(151)의 축(151a) 일단에 마련되는 구동모터(151b)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구동모터(141b,142b,151b) 및 송풍기(120)를 다음과 같이 구동시킴에 따라 정량공급기(100)를 통한 마섬유층구성물의 배출동작이 항시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먼저 제어부(미도시)는 제1감지센서(160)를 통해 전달받은 입구(131)와 제1롤러유닛(140) 사이의 마섬유층구성물의 높이가 제1감지센서(160) 이하일 경우에는 마섬유층구성물의 높이가 제1감지센서(160)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송풍기(120)를 구동시켜 저장통(90)의 마섬유층구성물이 몸통(13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제2감지센서(170)를 통해 전달받은 제1롤러유닛(140)과 제2롤러유닛(150) 사이의 마섬유층구성물의 높이가 제2감지센서(170) 이하일 경우에는 마섬유층구성물의 높이가 제2감지센서(170)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구동모터(141b,142b)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구동모터(151b)는 상기 1차적층물(6A)이 상기 이송기(60)를 따라 제2성형기(30B)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정해진 일정량의 마섬유층구성물이 이송중인 1차적층물(6A) 상면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량공급기(100)를 통한 마섬유층구성물의 배출동작은 자동적으로 항시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참 고로 예비성형물(6)의 마섬유층(7a)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고 할 경우에는 정량공급기(100)에 의한 마섬유층구성물의 배출동작이 빨려져야 하므로, 상기 구동모터(141b,142b,151b) 및 송풍기(120)의 동작속도 역시 원하는 마섬유층(7a)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마섬유공급장치(80)의 구성을 통해 상기 웹적층단계(S13)의 2차적층단계(S13b)에서는 이송기(60)를 따라 이송되는 1차적층물(6A) 상면으로 마섬유층구성물이 공급되어 적층되면서 2차적층물(6B)을 형성하게 되고, 이송기(60)를 따라 제2성형기(30B)로 이송된 상기 2차적층물(6B)은 웹적층단계(S13)의 3차적층단계(S13c)에서 그 상면에 상기 제2웹(7c)이 적층되면서 예비성형물(6)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이렇게 마련된 예비성형물(6)은 상기 열처리단계(S20)를 통해 열처리기(40)에서 저융점섬유(c)가 용융되도록 가열되고, 이때의 가열온도는 저융점섬유(c)의 용융온도 이상 고융점섬유(b)의 용융온도 이하의 온도가 된다. 따라서 열처리기(40)에서는 저융점섬유(c)가 용융되면서 마섬유층(7a)과 웹(7b,7c) 사이가 사이가 상호 접합된다. 이때는 저융점섬유(c)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열처리단계(S20)를 거치면서 예비성형물(6)의 두께는 다소 얇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융점섬유(b)와 저융점섬유(c)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이용되고, 따라서 저융점섬유(c)의 용융온도는 대략 110℃ 가 되므로, 열처리 기(40)에는 저융점섬유(c)의 용융온도보다는 조금 높고 고융점섬유(b)의 용융온도 보다는 낮은 약 120 ~ 130 ℃의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처리기(미도시)를 상하로 설치하여 예비성형물(6)이 이러한 열풍처리기(미도시)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열처리기(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예비성형물(6)은 웹(7b,7c) 사이사이 및 웹(7b,7c)과 마섬유층(7a) 사이가 상호 견고하게 접합되게 된다. 물론 저윰점섬유(c)와 고융점섬유(b)는 폴리에스테르 이외에도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올리핀계열의 섬유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때는 열처리의 온도가 달라진 섬유의 종류에 따라 다소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예비성형물(6)은 전체적으로 저융점섬유(c) 40 ~ 50 wt%와 고융점섬유(b) 20 ~ 30 wt%와 마섬유(a) 20 ~ 30wt%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예비성형물(6)의 조성비는 마섬유(a)의 량이 많을수록 환경호르몬과 곰팡이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부직포(4)의 품질은 향상되지만, 웹(7b,7c)들 사이 및 웹(7b,7c)과 마섬유층(7a) 간의 접합성은 저하될 수 있으므로, 부직포(4)의 품질과 예비성형물(6) 구성물 간의 접합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범위 내에서 정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4)는 벽체의 표면에 마감처리 되는 것으로, 항시 수용공간(1a)에 보관되는 물품들과 마찰되거나 부딪힐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열처리단계(S20)를 거쳐 마련된 예비성형물(6)은 보다 단단한 경도 및 강도를 갖도록 가열압착단계(S30)를 거쳐 부직포(4)로 성형되며, 가열압착단계(S30)에서는 한 쌍의 가압롤러(200)가 이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압롤러(200)는 그 사이의 거리가 제조하려는 부직포(4)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예비성형물(6)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예비성형물(6)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가압롤러(200)는 예비성형물(6)이 가압되어 마련된 부직포(4)를 한 쪽으로 계속 밀어낼 수 있도록 상호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며, 이에 따라 예비성형물(6)은 상기 가압롤러(200)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단단한 경도 및 강도를 갖는 부직포(4)로 성형된다. 예비성형물(6) 가압동작시 예비성형물(6)을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롤러(200)의 내부에는 히터(h)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섬유(a)의 경우 아무래도 고융점섬유(b)나 저융점섬유(c)에 비해서는 상호 뭉쳐지려는 성질이 크기 때문에, 가열압착단계(S30)에서는 마섬유(a)가 많이 뭉쳐진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면서 부직포(4) 두께가 전체적으로 고르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고융점섬유(b)를 20 ~ 30 wt% 범위로 첨가하게 되면, 가열압착단계(S30)에서 뭉쳐져 있는 마섬유(a)의 사이사이를 고융점섬유(b)가 메워주기 때문에, 부직포(4)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구의 사용자가 수용공간(1a)에 물품을 수납하는 과정에서는 사용자의 손이 항시 수용공간(1a)의 내면에 닿을 수 있으므로, 이때 사용자가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부직포(4)는 보다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가열압착단계(S30)를 거친 부직포(4)는 보다 매끄러운 표면을 갖도록 다림질단계(S40)를 더 거치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림질단계(S40)에서는 한 쌍의 가열롤러(300)가 이용된다.
상기 한 쌍의 가열롤러(300)는 부직포(4) 표면을 가열하여 펼 수 있게 마련된 것으로, 그 사이의 간격이 제조하려는 부직포(4)의 두께와 같거나 부직포(4) 두께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직포(4)의 가열을 위해 각 가열롤러(300)의 내부에는 히터(h)가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롤러(300)와 가압롤러(200)는 상호 동일한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며, 가열압착단계(S30)와 다림질단계(S40)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열롤러(300)는 가압롤러(200)에 의해 이송되는 부직포(4)의 이송방향 쪽으로 가압롤러(200)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마섬유(a)를 포함하는 부직포(4)가 판부재(5)의 표면에 마감처리 된 벽체(2)를 구비하는 가구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가구의 수용공간(1a)을 형성하는 벽체(2?)는 상기 판부재(5)가 삭제된 상태에서 전체가 부직포(4)를 통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벽체(2?) 전체를 형성하는 부직포(4)의 경우에도 전술한 부직포의 제조단계와 동일한 제조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먼저 상기 부직포제조단계를 보면, 예비성형물(6)의 두께는 예비성형물 가공단계(S10)의 웹적층단계(S13)에서 마섬유층(7a)의 두께나 웹(7b,7c)의 적층 수를 늘림으로써 간단히 증대시킬 수 있고, 예비성형물(6)의 두께가 증대되면 당연히 부직포(4)의 두께 또한 증대되므로, 부직포(4)를 벽체(2?) 의 두께 정도로 두껍게 형성하는 데에는 별 무리가 없다. 또 이와 같이 전체가 부직포(4)로 이루어진 벽체(2?)는 예비성형물(6)을 가열압착단계(S30)에서 가열압착하여 제조되는 과정에서 경도 및 강도가 증대되므로, 원목이나 엠디에프를 판부재로 사용하여 마련되는 통상의 벽체 정도의 경도 및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수용공간(1a)을 형성하는 벽체(2?) 전체를 마섬유(a)를 포함하는 부직포(4)를 통해 마련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도면을 통해 따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중 일부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벽체(2)와 같이 판부재와 부직포를 통해 형성하고, 다른 일부 벽체의 경우에는 전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체(2?)처럼 전체가 부직포로만 이루어진 것으로 마련하는 등 수용공간의 내면이 마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통해 마련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벽체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P'부분을 확대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 제조단계의 공정 순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예비성형물과 부직포의 단면 구조를 상세 도시한 것으로, 예비성형물이 부직포로 가공되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 제조단계의 예비성형물 가공단계와 열처리단계에서 사용되는 기구들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제조방법의 부직포 제조단계 중 예비성형물 가공단계에서 이용되는 마섬유공급장치의 정량공급기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제조방법의 부직포 제조단계 중 가열압착단계와 다림질단계에서 이용되는 가압롤러와 가열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 가압롤러와 가열롤러를 통해 가열압착단계와 다림질단계가 수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 벽체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1a: 수용공간
2: 벽체 3: 도어
4: 부직포 5: 판부재
6: 예비성형물

Claims (8)

  1. 물품의 수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벽체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이 삼베 원료가 되는 마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통해 마감처리 되고,
    상기 부직포는 저융점섬유 40 ~ 50 중량%와, 고융점섬유 20 ~ 30 중량%와, 마섬유 20 ~ 30 중량%를 포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소정두께의 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는 마감재로써 상기 판부재 표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엠디에프(MDF)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4. 물품의 수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벽체 중 적어도 하나가 삼베 원료가 되는 마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통해 마련되고,
    상기 부직포는 저융점섬유 40 ~ 50 중량%와, 고융점섬유 20 ~ 30 중량%와, 마섬유 20 ~ 30 중량%를 포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5. 삭제
  6. 물품의 수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가 삼베 원료가 되는 마섬유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마감부직포를 통해 마련되는 가구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부직포를 준비하는 부직포제조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직포 제조단계는 저융점섬유와 고융점섬유와 마섬유를 가지고 시트형태의 예비성형물을 가공하는 예비성형물 가공단계와, 상기 저융점섬유가 용융되도록 상기 예비성형물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와, 상기 열처리단계를 거친 예비성형물을 가열압착하는 가열압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상기 저융점섬유 40 ~ 50 중량%와, 상기 고융점섬유 20 ~ 30 중량%와, 상기 마섬유 20 ~ 30 중량%를 포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제조단계는 상기 가열압착단계를 거친 예비성형물의 표면을 다림질하여 펴지도록 하는 다림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제조방법.
KR1020080113971A 2008-11-17 2008-11-17 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044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971A KR101044266B1 (ko) 2008-11-17 2008-11-17 가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971A KR101044266B1 (ko) 2008-11-17 2008-11-17 가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059A KR20100055059A (ko) 2010-05-26
KR101044266B1 true KR101044266B1 (ko) 2011-06-28

Family

ID=4227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971A KR101044266B1 (ko) 2008-11-17 2008-11-17 가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2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073B1 (ko) 2012-10-05 2014-02-19 (주)바로크씨앤에프 삼베를 이용한 인테리어 또는 가구용 패널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188U (ko) * 1990-03-22 1991-12-10
KR200256037Y1 (ko) * 2001-08-20 2001-12-13 유순종 가구용 문짝
KR20020056037A (ko) * 2000-12-29 2002-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픽쳐 디코더
KR20020070205A (ko) * 2002-07-25 2002-09-05 이영태 기능성 건강 보조용 책상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8385A (ko) * 2008-07-16 2010-01-26 김용겸 판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188U (ko) * 1990-03-22 1991-12-10
KR20020056037A (ko) * 2000-12-29 2002-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픽쳐 디코더
KR200256037Y1 (ko) * 2001-08-20 2001-12-13 유순종 가구용 문짝
KR20020070205A (ko) * 2002-07-25 2002-09-05 이영태 기능성 건강 보조용 책상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8385A (ko) * 2008-07-16 2010-01-26 김용겸 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073B1 (ko) 2012-10-05 2014-02-19 (주)바로크씨앤에프 삼베를 이용한 인테리어 또는 가구용 패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059A (ko)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8719B2 (en) Method for forming bi-layered fiber and foam carpet underlay
CN107206734A (zh) 由再生材料和可再生材料制成的复合板
TW587113B (en) Feather-based lining product, method of preparation and install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KR101044266B1 (ko) 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033843B1 (ko) 패딩 및 그 제조방법
EP3607659A1 (en) 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sar)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dynamic range extension
JP4076023B2 (ja) 繊維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20100005646A (ko)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37463A1 (en) Fiber batt having a separator layer
KR20100046567A (ko)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6902341B2 (ja) 複合型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CN207804485U (zh) 一种吸收芯体成型装置
KR102392182B1 (ko) 엣지접착방법을 이용한 주방가구
WO2017211453A1 (en) A composite board made from recycled and recyclable materials
JP4809888B2 (ja) 竹綿混合シート製造方法及び竹綿混合シート製造装置
JP2018020136A (ja) 掃除用具を毛羽立たせるためのプロセス及び装置
JP6310414B2 (ja) 粒状綿シート
CN210193391U (zh) 一种充棉设备
KR20170089181A (ko) 탄소원면을 위한 제면장치
KR200464448Y1 (ko) 쿠션재의 두께 및 밀도 조절장치
KR20000065422A (ko) 정전기 제거용 펠트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JPH0947347A (ja) コースター
KR20230084557A (ko) 재생 보드의 제조 방법, 및 재생 보드
KR20040053665A (ko) 건축내장재용 난연성 섬유매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70076519A (ko) 탄소원면을 위한 제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