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255B1 -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255B1
KR101044255B1 KR1020100102887A KR20100102887A KR101044255B1 KR 101044255 B1 KR101044255 B1 KR 101044255B1 KR 1020100102887 A KR1020100102887 A KR 1020100102887A KR 20100102887 A KR20100102887 A KR 20100102887A KR 101044255 B1 KR101044255 B1 KR 10104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electrode
module
rectifier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환
Original Assignee
장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환 filed Critical 장경환
Priority to KR1020100102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02F2001/46157Perforated or foraminous electrodes
    • C02F2001/46161Porous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에 의해 소독 처리 등을 하기 위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각각 밸러스트수의 전기분해를 위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배열된 다수의 망 구조의 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밸러스트수가 순차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호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전극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전극모듈은 각각의 전극모듈의 전극판이 그 이웃한 전극모듈의 전극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밸러스트수 처리장치{Ballast water system}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에 의해 소독 처리 등을 하기 위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는 주로 선박에서 이용되는 장치로서, 선박의 공선 상태에서도 선박의 항해가 가능토록 적당한 복원성을 유지하고 흘수와 선박의 앞뒤 경사인 트림(Trim)을 조절하기 위해, 선박에 설치된 중량물 중 하나인 밸러스트수를 처리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밸러스트수는 주로 해수가 이용되는데, 선박 내 밸러스트수의 방출시 선박 내 밸러스트수의 방출 해양 생태계가 선박 내 밸러스트수의 공급 해양 생태계와 다르면, 선박 내 밸러스트수의 방출 해양에 비 토착 생물, 수중생물과 수인성 질병 발생 원인의 세균을 비롯한 오염/유해 물질이 확산되어 해양 생태계가 파괴된다.
따라서, 선박에 이용된 밸러스트수로 인한 해양 생태계 파괴 방지를 위해, 선박 내 밸러스트수는 방출되기 전에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의해 살균, 소독된다.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중 하나로는 밸러스트수가 전해 살균,소독될 수 있도록 전기분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밸러스트수를 처리할 때, 큰 미생물을 전기분해로만 사멸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대형인 경우 살균,소독을 위한 소독제를 균질하게 혼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밸러스트수 처리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밸러스트수 내 큰 미생물을 물리적으로 손상, 사멸시킴으로써 밸러스트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러스트수의 살균,소독을 위한 소독제가 균질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여 밸러스트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각 밸러스트수의 전기분해를 위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배열된 다수의 망 구조의 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밸러스트수가 순차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호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전극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전극모듈은 각각의 전극모듈의 전극판이 그 이웃한 전극모듈의 전극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각각의 전극모듈의 전극판은 그 이웃한 전극모듈의 전극판과 90도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전극모듈은 상기 밸러스트수가 통과하며 상기 다수의 전극판이 설치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전극판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설치된 전극모듈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모듈 케이스는 육면체이며, 상기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밸러스트수의 유동 방향에 따른 전,후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전,후측면 사이의 좌,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이 개방된 구조를 취하며; 상기 전극모듈 케이스의 좌,우측면 중 개방된 측면을 복개할 수 있도록 상기 전극모듈 케이스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전극모듈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다수의 전극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모듈의 앞쪽에 설치되며, 상기 밸러스트수를 그 앞쪽 전극모듈의 전극판과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호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각각 상기 밸러스트수를 상기 연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방사상 배치의 중심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복수의 요철이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다수의 전극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모듈의 앞쪽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임펠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의 날개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전극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밸러스트수가 유동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밸러스트수의 유동방향에 따른 전,후측면에 각각 밸러스트수의 출입을 위한 밸러스트수 출입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함체는 그 전,후측면에 각각 상기 밸러스트수 출입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전극모듈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전극모듈의 출입을 위한 모듈 출입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모듈 출입 개구부를 복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함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극모듈과 전극모듈 간 전극판들이 상호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서, 밸러스트수 내 미생물이 전극판과 물리적으로 충돌하여 손상, 사멸될 수 있기 때문에 밸러스트수가 전기분해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살균,소독될 수 있다.
또한, 전극모듈과 전극모듈 간 전극판들이 상호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서, 밸러스트수의 전체적인 유동 변화가 생김으로써 밸러스트수가 동적으로 유동되며, 이에 따라 밸러스트수가 교반됨으로써 소독제가 균질하게 혼합되어 밸러스트수의 전기분해 처리효율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에 의해 밸러스트수의 물리적인 충돌, 교반에 따른 효과가 보다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가 임펠러 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서, 임펠러의 회전력에 의해 수두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정류기가 함체의 일측에 밀폐 구조로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외부의 화염 등의 폭발인자가 정류기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어, 우수한 방폭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정류기가 함체 바로 옆에 설치됨에 따라, 용이하게 함체 내 밸러스트수를 냉각수로 이용한 방열부에 의해 정류기를 방열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정류기의 냉각시설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특히 방열부가 함체와 정류기의 내부에 밀폐상태로 구성됨에 따라 정류기의 밀폐된 방폭 구조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류기의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됨으로써, 그 압력차에 의해 화염 등의 폭발인자가 정류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방폭 기능이 보다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모식도(수평설치).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모식도(수직설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용을 모식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임펠러 방식 가이드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와 정류기 간 유기적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함체(3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함체(30) 내 밸러스트수(2)의 유동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하고 좌표 X라 할 때, 도면에서 상하로 보이는 좌표 Z에 따른 방향을 상하방향, 나머지 좌표 Y에 따른 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는, 각각 밸러스트수(2)의 전기분해를 위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배열된 다수의 전극, 즉 다수의 망 구조의 전극판(12)을 포함하며, 밸러스트수(2)가 순차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호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전극모듈(10)을 포함하며; 특히 다수의 전극모듈(10)은 각각의 전극모듈(10)의 전극판(12)이 그 이웃한 전극모듈(10)의 전극판(12)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전극판(12) 사이에 밸러스트수(2)가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전극판 간 통로(12A)가 전극모듈(10) 간 사이에서 상호 교차됨에 따라, 밸러스트수(2)가 하나의 전극모듈(10)에서 그 다음 전극모듈(10)로 유동되면서 그 다음 전극모듈(10)의 전극판(12)에 물리적으로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밸러스트수(2) 내 미생물이 전극판(12)과의 물리적인 충돌에 의해 손상, 사멸될 수 있기 때문에 밸러스트수(2)가 전기분해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살균,소독될 수 있다.
또한, 밸러스트수(2)가 전극판(12)에 물리적으로 충돌되며 전극모듈(10)과 전극모듈(10) 사이에서 밸러스트수(2)의 전체적인 유동 변화가 생김으로써 밸러스트수(2)가 정적으로 유동되지 않고 동적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밸러스트수(2)의 동적인 유동에 의해 밸러스트수(2)가 교반됨으로써 소독제가 균질하게 혼합되어 밸러스트수(2)의 전기분해 처리효율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전극모듈(10)의 전극판(12)은 그 이웃한 전극모듈(10)의 전극판(12)과 30도, 60도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밸러스트수(2)의 물리적 충돌 및 유동 변화가 크게 생길 수 있도록, 90도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전극모듈(10)의 전극판(12)은 그 이웃한 전극모듈(10)의 전극판(12)과 90도 각도로 배치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극모듈(10)의 전극판(12)이 상하 수직하게 설치되거나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극판(12)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전극모듈(10)은 다수의 전극판(12)을 하나의 모듈로 일체로 지지하기 위해 전극모듈 케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극모듈 케이스(14)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특히 밸러스트수(2)가 통과하며 다수의 전극판(12)이 설치된 개방된 내부공간(14A)을 가지며, 다수의 전극판(12)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4B)가 설치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극모듈 케이스(14)는 전극판(12)의 출입이 가능토록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며, 전극모듈 케이스(14)의 개방부의 복개를 위해 전극모듈 커버가 전극모듈 케이스(14)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따라, 전극모듈 커버에 의해 전극모듈 케이스(14)의 개방부가 복개됨에 따라서 밸러스트수(2)가 전극모듈 케이스(14)의 개방부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극모듈 케이스(14)로부터 전극모듈 커버를 분리하여 전극모듈 케이스(14)의 개방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전극모듈(10)이 후술할 함체(30)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전극판(12), 커넥터(14B) 등의 점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전극모듈 케이스(14)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개방된 내부공간(14A)을 가질 수 있도록 밸러스트수(2)의 유동 방향에 따른 전,후측면이 개방되고, 전,후측면 사이의 좌,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이 전극판(12)의 출입이 가능한 개방부 형성을 위해 개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한편, 망 구조의 전극판(12)을 전극모듈 케이스(14)에 결합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컨대, 전극모듈 케이스(14)에 절연 볼트(B)가 볼트 체결되어 너트(N)로 고정될 수 있다. 이 절연 볼트(B)에 각각의 전극모듈(10)의 다수의 전극판(12)이 상호 절연재(18)를 사이에 두고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전극모듈(10)의 다수의 전극판(12) 중 일부(예컨대, 양극판)가 바(bar) 구조의 커넥터(14B)(예컨대, 양극 커넥터)에 용접 등에 의해 전기적, 구조적으로 연결되며 나머지(예컨대, 음극판)가 또 다른 하나의 바 구조의 커넥터(14B)(예컨대, 음극 커넥터)에 용접 등에 의해 전기적,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양극, 음극 커넥터(14B)는 입력되는 전원을 전극판(12), 즉 양극판, 음극판에 각각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로서, 이와 같은 전기적 커넥터(14B)는 많이 알려진 기술사항이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기 위해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아울러,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2)의 유동방향을 따라 다수의 전극모듈(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모듈(10)의 앞쪽에 설치되며, 밸러스트수(2)를 그 앞쪽 전극모듈(10)의 전극판(12)과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밸러스트수(2)가 가이드(20)에도 물리적으로 충돌하며, 가이드(20)에 의해 밸러스트수(2)가 전극판(12)에 평행하게 유동되는 것이 아니라 전극판(12)을 향해 유동되어 전극판(12)에 물리적으로 충돌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20)에 의해 밸러스트수(2)의 물리적 충돌이 보다 극대화됨으로써 밸러스트수(2)의 전기분해 효율이 현격히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20)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0)는 상호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그 방사상 배치의 중심축방향, 즉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패널(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가이드패널(22)이 중심축(24)을 중심으로 날개(122)처럼 설치되어, 밸러스트수(2)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가이드패널(22)은 사각 틀(26)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각 틀(26)에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20), 즉 각각의 가이드패널(22)에는 날카로운 돌기 또는 홈 형상의 복수의 요철이나 홀(도 6의 도면번호 '20A' 참조)을 형성함으로써, 날카로운 요철에 의해 밸러스트수(2)의 물리적인 충돌 효과가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20)는 임펠러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수(2)의 유동방향을 따라 다수의 전극모듈(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모듈(10)의 앞쪽에 설치되어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120)가 설치되며, 임펠러(120)의 각각의 날개(122)는 상술한 가이드패널(22)처럼 임펠러(120)의 회전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120)의 회전에 의해, 첫째 밸러스트수(2)의 충돌 및 교반 효과는 더욱 극대화될 수 있으며, 둘째 임펠러(120)에 의한 수류에 의해 밸러스트수(2)가 압송 가능하여 밸러스트수(2)의 수두손실을 보완해줄 수 있다.
임펠러(120)의 회전을 위한 동력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임펠러(120)의 날개(122) 끝단에 모터(124)의 회전자 역할을 하는 영구자석(124A)이 설치되며, 임펠러(120)의 반경방향을 따라 영구자석(124A)과 마주볼 수 있도록 모터(124)의 고정자 역할을 하는 전자석(124B)이 설치되어, 모터(124)의 회전자인 영구자석(124A)과 고정자의 전자석(124B)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임펠러(120)의 날개(122)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모터(124)의 고정자인 전자석(124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함체(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임펠러(120)의 날개(122)를 지지하는 회전 중심축(121)은 함체(30)에 설치된 브래킷(미도시) 등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밸러스트수(2)의 전기분해는 다수의 전극모듈(10)을 비롯하여 가이드(20)나 임펠러(120)가 설치되며 밸러스트수(2)가 유동되는 내부공간(30A)을 가지며, 밸러스트수(2)의 출입을 위한 밸러스트수 출입 개구부(30B)가 형성된 함체(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함체(30)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박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함체(30)의 밸러스트수 출입 개구부(30B)는 밸러스트수(2)의 유동 구조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수(2)가 전체적으로 긴 직사각형 구조의 함체(30)를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함체(30)의 전,후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함체(30)는 각각의 전극모듈(10)이 개별단위로 함체(30)에 장착, 분리될 수 있도록, 본체(32)와 함체 커버(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함체(30)의 본체(32)는 함체(30)의 전반적인 구조물로서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전,후측면에 각각 밸러스트수 출입 개구부(30B)가 형성되며, 특히 각각의 전극모듈(10)과 대응되는 부분에 전극모듈(10)의 출입을 위한 모듈 출입 개구부(30C)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함체(30)의 모듈 출입 개구부(30C)를 통해 각각의 전극모듈(10)이 개별적으로 함체(30)에 장착, 분리될 수 있으며, 점검될 수 있다. 그리고, 함체 커버(34)는 함체(30)의 본체(32)의 모듈 출입 개구부(30C)를 복개할 수 있도록 본체(32)에 스크류(S) 등에 의해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으며, 누수 방지를 위해 함체(30)의 본체(32)와 함체 커버(34) 사이에 개스킷(G)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함체(30) 내 다수의 전극판(1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기(40)가 다수로 분할 구성되어 함체(30)의 외측면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정류기(40)가 대형의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소형 단위로 다수로 구성됨에 따라서, 다수의 정류기(40) 각각의 열발생이 크지 않아 정류기(40)의 내구성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정류기(40)로 구성됨에 따라, 개별단위로 점검, 교체가 용이하며, 일부의 정류기(40)가 고장인 경우 나머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정류기(40)에 의해 함체(30) 내 전극판(12)에 계속해서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밸러스트수(2)의 전기분해가 정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정류기(40)가 구조적으로 함체(30)에 밀접하게 연접될 수 있기 때문에, 정류기(40)에서 다수의 전극판(12)으로 전원이 바로 연결될 수 있어서, 정류기(40)와 다수의 전극판(12)이 긴 전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와 비교해볼 때 전원손실을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정류기(40)는 상기 함체(30)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며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정류기 케이스(42) 및, 정류기 케이스(42)의 밀폐된 내부공간에 설치된 정류를 위한 소자(4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류기(40)의 소자(44)들이 정류기 케이스(42)의 밀폐된 내부공간에 설치됨에 따라, 정류기 케이스(42)의 외부에서 발생된 화염 등의 폭발인자가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공간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정류기(40)는 방폭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정류기(40)의 소자(44)와 함체(30) 내 전극판(12)의 전원 연결부분이 함체(30) 및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공간, 즉 밀폐된 곳에 위치되기 때문에, 외부 화염 등에 대하여 우수한 방폭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정류기(40)의 소자(44)와 함체(30) 내 전극판(12)은 부스바(bus bar)(50) 등의 전원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부스바(50)의 일부는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정류기(40)의 소자(44)와 전기적으로 연결,결합되며, 부스바(50)의 나머지 일부는 함체(30)의 내부에 위치되어 전극모듈(10)의 커넥터(14B)에 전기적으로 연결,결합될 수 있다. 즉 정류기(40)의 소자(44)와 함체(30) 내 전극판(12)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부스바(50) 등의 전원연결부재가 정류기 케이스(42) 및 함체(30)에 의해 밀폐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정류기(40)의 소자(44)와 함체(30) 내 전극판(12)의 전원 연결부분이 밸러스트수(2) 속에 위치됨에 따라서 화염 등이 밸러스트수(2)에 의해 바로 꺼지거나 발생하지 못해 우수한 방폭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정류기(40)의 소자(44)와 함체(30) 내 전극판(12)의 전원 연결부분은 밸러스트수(2) 속에 설치 가능토록 기밀, 절연 처리 등이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여기서, 수중 내 전원 연결에 관한 기술 사항은 전기분야 등에서 많이 알려진 기술사항이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기 위해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정류기(40)는 전극모듈(10)과 일대일로 연결될 수도 있고, 하나의 정류기(40)에 둘 이상의 전극모듈(10)이 연결되거나 둘 이상의 정류기(40)가 하나의 전극모듈(1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함체(10) 내 밸러스트수(2)를 냉각수로 이용하여 정류기(40)를 방열시키는 방열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방열부(200)는 펌프 등에 의해 압송된 함체(10) 내 밸러스트수(2)를 정류기(40)로 우회시켜 정류기(40)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냉각수라인(210)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류기(40)가 함체(10)의 일측에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차가운 밸러스트수(2)를 바로 정류기(40)로 우회시켜서 효과적으로 정류기(4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정류기(40)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열교환기 및 청수탱크 등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정류기(40)가 함체(10)의 일측에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방열부(200) 또한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공간에 설치됨으로써 밀폐 구조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정류기(40)의 방폭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정류기(40)는 그 내부 압력이 즉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압력이 정류기 케이스(42)의 외부 압력, 예컨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세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3~4% 정도 더 높은 압력으로 세팅될 수 있다. 여기서, 밀폐된 내부 공간의 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압축기 등은 많이 알려진 기술사항이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기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 압력이 정류기 케이스(42)의 외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면, 정류기(40) 외부에서 발생된 화염 등의 외부 폭발 인자가 정류기(40)의 내,외 압력차에 의해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서, 방폭 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정류기(40)는 정류기 케이스(40)의 내부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되며,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 압력이 정류기 케이스(42)의 외부 압력, 예컨대 대기압보다 높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압력센서(미도시)의 의한 센싱 결과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압력이 저하되면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정류기 케이스(42)에는 압축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 압력이 떨어지면 압축기에 의해 바로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 압력이 상승되어 정류기 케이스(42)의 외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 차에 의한 방폭 기능이 항상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압력센서를 통해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 압력의 변화를 항상 점검함으로써, 압축기에 의해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킴에도 불구하고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 압력이 금방 저하되거나 하면 정류기 케이스(42)의 내부 기밀 유지를 위한 개스킷(G) 등의 부품 노화 등으로 인해 정류기 케이스(42)의 기밀성이 약화된 것을 유추 가능하며, 이와 같은 유추에 의해 정류기 케이스(42)의 밀봉 상태를 위한 신속한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는 함체(3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수 파이프(4)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수 파이프(4)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2; 밸러스트수 10; 전극모듈
12; 전극판 14; 모듈 케이스
16; 전극모듈 커버 20; 가이드
22; 가이드패널 30; 함체
32; 본체 34; 함체 커버
40; 정류기 120; 임펠러

Claims (8)

  1. 각각 밸러스트수의 전기분해를 위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배열된 다수의 망 구조의 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밸러스트수가 순차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호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전극모듈; 상기 다수의 전극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밸러스트수가 유동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밸러스트수의 출입을 위한 밸러스트수 출입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전극모듈은 각각의 전극모듈의 전극판이 그 이웃한 전극모듈의 전극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함체는 그 전,후측면에 각각 상기 밸러스트수 출입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전극모듈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전극모듈의 출입을 위한 모듈 출입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모듈 출입 개구부를 복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함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극모듈의 전극판은 그 이웃한 전극모듈의 전극판과 90도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극모듈은 상기 밸러스트수가 통과하며 상기 다수의 전극판이 설치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전극판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설치된 전극모듈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다수의 전극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모듈의 앞쪽에 설치되며, 상기 밸러스트수를 그 앞쪽 전극모듈의 전극판과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호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각각 상기 방사상 배치의 중심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복수의 요철이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다수의 전극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모듈의 앞쪽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임펠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의 날개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8. 삭제
KR1020100102887A 2010-10-21 2010-10-21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KR101044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887A KR101044255B1 (ko) 2010-10-21 2010-10-21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887A KR101044255B1 (ko) 2010-10-21 2010-10-21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255B1 true KR101044255B1 (ko) 2011-06-28

Family

ID=4440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887A KR101044255B1 (ko) 2010-10-21 2010-10-21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859A (ko) * 2021-05-07 2022-11-15 에코비엠 주식회사 무격막의 중성 살균수 생성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880A (ko) * 1999-10-20 2001-05-15 김성웅 오폐수 정화용 전해처리장치
KR100597254B1 (ko) 2005-09-14 2006-07-06 한국해양연구원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전해 소독장치
JP2009045524A (ja) * 2007-08-16 2009-03-05 Sanetsu:Kk 電解ユニット管および液体電解装置
KR100900133B1 (ko) 2003-11-04 2009-06-01 인버런먼털 솔루션스 에이에스 액체에서 살아있는 유기체들의 파괴를 위한 방법, 장치 및구성요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880A (ko) * 1999-10-20 2001-05-15 김성웅 오폐수 정화용 전해처리장치
KR100900133B1 (ko) 2003-11-04 2009-06-01 인버런먼털 솔루션스 에이에스 액체에서 살아있는 유기체들의 파괴를 위한 방법, 장치 및구성요소
KR100597254B1 (ko) 2005-09-14 2006-07-06 한국해양연구원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전해 소독장치
JP2009045524A (ja) * 2007-08-16 2009-03-05 Sanetsu:Kk 電解ユニット管および液体電解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859A (ko) * 2021-05-07 2022-11-15 에코비엠 주식회사 무격막의 중성 살균수 생성장치
KR102633348B1 (ko) * 2021-05-07 2024-02-05 에코비엠 주식회사 무격막의 중성 살균수 생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4248B2 (ja) 整流器一体型電気分解装置
KR101044256B1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US7695613B2 (en) Inline chlorinator with integral control package and heat dissipation
ES2729212T3 (es) Dispositivo y su uso para tratamiento UV de fluidos
WO2016080783A1 (ko) 담수, 해수 살균처리가 가능한 비전수통과방식 전기분해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044255B1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KR102579989B1 (ko) 모노폴라형 전해 장치
US6096177A (en) Electrolyzed water production apparatus
WO2022044850A1 (ja) 電解装置
KR20120041650A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JP2024027150A (ja) 生成装置
KR101450522B1 (ko) 정류기 일체형 전기분해장치
AU2017318725B2 (en) Configuration for electrochemical water treatment
TWI605020B (zh) Continuous waste water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KR20130101795A (ko) 밸러스트 수 처리용 방폭형 전기분해 장치
KR101573914B1 (ko) 모듈형 오존발생 시스템
KR102107141B1 (ko) 냉각성능 및 효율이 향상되고 생산성 및 유지 관리가 경제적인 모듈형 오존발생장치
CN210764481U (zh) 电解装置及衣物处理设备
CN219278107U (zh) 一种水处理剂用的储存装置
CN215022792U (zh) 一种锅炉补给水处理系统消毒装置
CN217390536U (zh) 净化电解盒
CN208292728U (zh) 一种废液除菌器
CN212740832U (zh) 一种畜牧用水杀菌消毒设备
RU2030919C1 (ru)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мегус"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но-солевого раствора постоянным электрическим током
CN214361737U (zh) 一种电解水肥处置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