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765B1 -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공기압 밸브 - Google Patents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공기압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765B1
KR101042765B1 KR1020090010054A KR20090010054A KR101042765B1 KR 101042765 B1 KR101042765 B1 KR 101042765B1 KR 1020090010054 A KR1020090010054 A KR 1020090010054A KR 20090010054 A KR20090010054 A KR 20090010054A KR 101042765 B1 KR101042765 B1 KR 10104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essure chamber
poppet
flow path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855A (ko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김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기 filed Critical 김정기
Priority to KR1020090010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7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acted upon by the circulat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 작동식 공기압 밸브 중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가 연결된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공기압 작동식 공기압 밸브에서, 1차 측 밸브의 면적과 1차 측 공기압의 곱인 1차 측 힘과, 제어 측 피스톤의 면적과 1차 측 공기압과 동일한 제어 측 공기압의 곱인 제어 측 힘과의 합이, 2차 측 밸브의 면적과 2차 측 공기압의 곱인 2차 측 힘보다 커야지만 밸브가 개방이 되었다.
본 발명은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에서, 제어 측 피스톤을 2단 작동하게 하고, 2차 측 밸브에 추가로 파일럿 밸브를 설치하여, 2차 측 공기압을 역류시켜, 제어 측 공기압을 상승시킴으로써,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간단한 구조로, 2차 측 공기압이 높은 경우에도, 낮은 공기압의 1차 측 공기압 및 제어 측 공기압으로 밸브를 개폐할 수 있다.
공기압 밸브, 파일럿, 역류, 타이어 공기압 중앙 조절장치

Description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공기압 밸브 {Pneumatic Operate Pneumatic Valve With Pilot Valve For Backward Flow}
본 발명은 공기압 작동식 공기압 밸브 중,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가 연결된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어 측 피스톤을 2단 작동하게 하고, 기존의 포펫 밸브에 추가로 파일럿 밸브를 설치하여, 2차 측 공기압을 1차 측으로 역류시켜, 제어 측 공기압을 상승시킴으로써 밸브를 2단으로 개폐하는 밸브장치이다.
공기압 작동식 공기압 밸브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공기압 밸브, 기구 작동식 공기압 밸브와 함께 대표적인 자동 제어용 밸브이다.
통상, 유체로 작동하고 유체를 제어하는 밸브는, 기구적 작동을 전달하기 곤란하거나, 방폭, 배선 등의 이유로 전기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되며, 특히, 제어 및 유체 공급부와 밸브가 회전체로 연결된 경우, 전기적인 제어방법보다 선호되고 있다.
또한, 2포트 2위치 밸브의 2차 측 유로가 압력용기에 연결되어 압력용기의 개폐를 담당하는 경우,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를 연결하여, 연결된 1개의 유로를 사용하여 밸브의 개폐 및 압력용기의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다.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중앙 조절장치가 그 대표적인 예로, 각각의 타이어에 밸브가 달려있고, 2차 측에 타이어가 연결되며, 1차 측에는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회전축 내의 1개의 관로를 통해 차량 본체에서 타이어 공기압의 제어 및 밸브의 개폐를 하게 된다.
통상,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는, 제어 측의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피스톤과, 스프링의 복귀력으로 밸브를 개폐하게 되며, 제어 측의 공기압과 피스톤의 면적의 곱이, 2차 측의 공기압과 밸브의 면적의 곱을, 스프링의 복귀력에 더한 힘보다 세면, 밸브가 개방하게 된다.
기존의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를 연결한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에서,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1차 측 공기압과 동일한 제어 측 공기압과 피스톤의 면적의 곱이, 2차 측의 공기압과 밸브의 면적의 곱을 스프링의 복귀력에 더한 힘보다 커야 한다.
즉, 밸브의 개방을 위해서는 제어 측 공기압 및 1차 측 공기압은 2차 측 공기압에 연관되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될 필요가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밸브의 개방을 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낮은 1차 측 공기압 및 제어 측 공기압으로 2차 측이 높은 공기압 상태인 밸브를, 상대적으로 작은 피스톤을 사용하여, 개방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를 연결한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 장치를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낮은 1차 측 공기압 및 제어 측 공기압으로 2차 측이 높은 공기압 상태인 밸브를, 상대적으로 작은 피스톤을 사용하여, 개방할 수 있는 밸브 장치는,
기존의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에서, 1차 측 유로를 제어 측 유로와 연결하고, 1차 측 고압실과 2차 측 고압실이 연결되도록 포펫에 파일럿 유로를 설치하고, 파일럿 유로를 개폐하는 파일럿 밸브를 추가하고, 피스톤은 2단의 형태로 구성하고, 밸브를 개방하기 위하여 1차 측 유로 및 파일럿 유로에 공기압을 가하면, 피스톤은 파일럿 유로를 개방하고, 개방된 파일럿 유로로 2차 측의 높은 공기압의 압축공기가 역류하여, 1차 측 유로 및 제어 측 유로를 거쳐 피스톤을 추가 상승시켜, 기존 1차 측 유로와 2차 측 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 장치이다.
본 발명은 간단한 장치 및 상대적으로 작은 피스톤을 이용하는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로서, 1차 및 제어 측 유로에서 높은 공기압을 가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높은 공기압의 2차 측을 개방할 수 있게 하여, 제작 및 운용이 용이하며 작동의 확실성을 기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기호도는, 밸브 몸체(10)에 1차 측 유로(11)와 2차 측 유로(14)와 제어 측 유로(17) 와 스프링(6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폐쇄도는, 밸브 몸체(10)에 1차 측 유로(11)와 2차 측 유로(14)와 제어 측 유로(17)와 배기구(16)가 구비되고, 유로를 개폐하는 포펫(50)과, 스프링(60) 및 피스톤 고압실(18)의 공기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4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 측 유로(17)의 공기압이 낮을 경우, 상기 스프링(60)에 의해 상기 포펫(50)이 하강하여, 상기 1차 측 고압실(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13)을 폐쇄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개방도는, 제어 측 유로(17)의 공기압이 충분히 높을 경우 피스톤(40)이 상승하고, 포펫(50)이 상승하여 1차 측 고압실(12)과 2차 측 고압실(13)을 개방한다.
도 4에서와 같이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기호도는, 밸브 몸체(110)에 1차 측 유로(111)와 연결된 제어 측 유로(117)와, 2차 측 유로(114)와, 스프링(16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폐쇄도는, 밸브 몸체(110)에 1차 측 유 로(111)와 2차 측 유로(114)와 배기구(116)가 구비되고, 상기 1차 측 유로(111)에 제어 측 유로(117)가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1차 측 유로(111)와 연결된 1차 측 고압실(112)과 상기 2차 측 유로(114)와 연결된 2차 측 고압실(113)을 개폐하는 포펫(150)과, 스프링(160) 및 피스톤 고압실(118)의 공기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140)으로 구성되어, 상기 1차 측 유로(111) 및 상기 제어 측 유로(117)의 공기압이 낮을 경우 상기 스프링(160)에 의해 상기 포펫(150)이 하강하여 상기 1차 측 고압실(1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113)을 폐쇄한다.
도 6에서와 같이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개방도는, 1차 측 유로(111)와 연결된 제어 측 유로(117)의 공기압이 충분히 높을 경우, 피스톤(140)이 상승하고 포펫(150)이 상승하고 1차 측 고압실(112)과 2차 측 고압실(113)을 개방한다. 개방된 상기 포펫(150)은 상기 1차 측 유로(111) 및 상기 제어 측 유로(117)의 공기압에 의한 상승 힘이 스프링(160)의 힘보다 센 경우 개방을 유지한다.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공기압 밸브의 기호도는, 밸브 몸체(210)에 1차 측 유로(211)와 연결된 제어 측 유로(117)와, 상기 1차 측 유로(211)와 연결된 1차 측 고압실(212)과, 상기 1차 측 고압실(212)과 연결된 파일럿 유로(251)와 2차 측 유로(214)와 스프링(26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폐쇄도는, 밸브 몸체(210)에 1차 측 유로(211)와 2차 측 유로(214)와 배기구(216)가 구비되고, 상기 1차 측 유로(211)와 연결된 제어 측 유로(217)가 구비되고, 파일럿 밸브(270)는 피스톤(240) 상단에 접촉하고, 포펫(250)은 관통되어 상기 피스톤(240)과 상기 파일럿 밸브(270)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피스톤(240)은 2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일럿 밸브(270)와 상기 포펫(250)을 차례로 상승시킬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파일럿 밸브(270)는 스프링(260)에 의해 아래로 눌러지고, 상기 포펫(250)과 상기 피스톤(240)을 누르게 되어 1차 측 고압실(212)과 2차 측 고압실(213)을 폐쇄하게 된다.
도 9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1차 개방도는, 제어 측 유로(217)의 공기압이 상승하면, 상기 피스톤(240)이 상승하고 상기 파일럿 밸브(270)가 상승한다. 2차 측 고압실(213)의 공기압이 1차 측 고압실(212)보다 높으면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의 압축 공기가 상기 1차 측 고압실(212) 및 상기 제어 측 유로(217)로 흘러들어 피스톤 고압실(218)의 공기압을 높인다.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1차 개방 확대도는, 상승한 파일럿 밸브(270)에 의해, 파일럿 유로(251)가 열리고 2차 측 고압실(213)의 공기압이 1차 측 고압실(212) 공기압보다 높을 경우,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의 압축공기가 상기 파일럿 유로(251)와 피스톤 내유로(241)를 통해, 상기 1차 측 고압실(212)로 흘러들어 간다.
도 1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개방도는, 제어 측 유로(217)의 공기압이 충분히 높을 경우 피스톤 고압실(218)의 공기압이 상승하여, 피스톤(240)이 상승하고 포펫(250)과 파일럿 밸브(270)가 상승하여 1차 측 고압실(212)과 2차 측 고압실(213)을 개방한다.
도 1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와 포펫 리턴 스프링을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1차 개방도는, 포펫(250)에 접촉하여 누르는 포펫 리턴 스프링(280)이 추가되어 상기 포펫(250)의 개방 위치를 고정한다.
더욱 상세한 구성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기호도로서, 밸브 몸체(10)에 1차 측 유로(11)와 2차 측 유로(14)로 이루어져 있다.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밸브는 상기 1차 측 유로(11)와 상기 2차 측 유로(14)외에, 제어 측 유로(17)가 위치하며, 상기 제어 측 유로(17)와 스프링(60)에 의해 상기 1차 측 유로(11)와 상기 2차 측 유로(14)를 개폐하게 된다.
도 2는 일반적인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폐쇄도로서,
밸브 몸체(10)는 1차 측 고압실(12)과 연결된 1차 측 유로(11)와, 2차 측 고압실(13)과 연결된 2차 측 유로(14)와, 피스톤 고압실(18)과 연결된 제어 측 유로(17)와, 피스톤 저압실(15)과 연결된 배기구(16)는 외부와 연결되어 구비되고, 스프링(60)은 상기 밸브 몸체(10)의 내부와 포펫(50)에 접촉하여, 상기 포펫(50)을 아래로 누르도록 구비되고, 상기 포펫(50)은 상기 1차 측 고압실(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13)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피스톤(40)은 상기 포펫(50)에 접촉하고, 상기 피스톤 저압실(15)과 상기 피스톤 고압실(18)의 공기압 차이와, 상기 스프링(60)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도록 구비하여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 스프링(60)이 상기 포펫(50)을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1차 측 고압실(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13)은 폐쇄된다.
도 3은 일반적인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개방도로서, 도 2의 설명과 같은 구성에서, 제어 측 유로(17)에 충분한 공기압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피스톤 고압실(18)의 공기압이 상승하고 피스톤(40)이 상승하고 포펫(50)이 상승하여, 1차 측 고압실(12)과 2차 측 고압실(13)이 개방되며, 또한 1차 측 유 로(11)에 충분한 공기압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1차 측 고압실(12)의 공기압이 상승하고 상기 포펫(50)이 상승하여, 상기 1차 측 고압실(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13)이 개방된다.
이때,
A0 = 피스톤(40)의 면적
A1 = 1차 측 고압실(12)과 포펫(50)의 접촉면적
A2 = 포펫(50)의 면적
P0 = 피스톤 고압실(18)의 공기압
P1 = 1차 측 고압실(12)의 공기압
P2 = 2차 측 고압실(13)의 공기압
F1 = 스프링(60)의 폐쇄시의 힘
이라 하면
P0 > (A2 × P2 - A1 × P1 - F1)/A2
일 때 상기 포펫(50)이 개방된다.
도 4는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기호도로서, 도 1의 1차 측 유로(11)와 도 1의 제어 측 유로(17)를 내부, 또는 외부적으로 연결한 것으로서, 밸브 몸체(110)에 1차 측 유로(111)와 연결된 제어 측 유로(117)와 2차 측 유로(114)와 스프링(16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5는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폐쇄도로서,
밸브 몸체(110)는 1차 측 고압실(112)과 연결된 1차 측 유로(111)와, 2차 측 고압실(113)과 연결된 2차 측 유로(114)와, 피스톤 고압실(118)과 연결된 제어 측 유로(117)와, 피스톤 저압실(115)과 연결된 배기구(116)는 외부와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1차 측 유로(111)는 상기 제어 측 유로(117)와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160)은 상기 밸브 몸체(110)의 내부와 포펫(150)에 접촉하여 상기 포펫(150)을 아래로 누르도록 구비되고, 상기 포펫(150)은 상기 1차 측 고압실(1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113)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피스톤(140)은 상기 포펫(150)에 접촉하고 상기 피스톤 저압실(115)과 상기 피스톤 고압실(118)의 공기압 차이와 상기 스프링(160)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 스프링(160)이 상기 포펫(150)을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1차 측 고압실(1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113)은 폐쇄된다.
도 6은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개방도로서, 도 5의 설명과 같은 구성에서, 1차 측 유로(111) 및 제어 측 유로(117)에 충분한 공기압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피스톤 고 압실(118)의 공기압이 상승하고, 피스톤(140)이 상승하고 포펫(150)이 상승하여, 1차 측 고압실(112)과 2차 측 고압실(113)이 개방되며, 상기 1차 측 유로(111)에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서도 상기 1차 측 고압실(112)의 공기압이 상승하고 상기 포펫(150)이 상승하여 상기 1차 측 고압실(1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113)이 개방된다.
이때,
A0 = 피스톤(140)의 면적
A1 = 1차 측 고압실(112)과 포펫(150)의 접촉면적
A2 = 2차 측 고압실(113)과 포펫(150)의 접촉면적
P0 = 피스톤 고압실(118)의 공기압
P1 = 1차 측 고압실(112)의 공기압
P2 = 2차 측 고압실(113)의 공기압
F1 = 스프링(160)의 폐쇄시의 힘
F2 = 스프링(160)의 개방시의 힘
이라 하면
P0 > (A2 × P2 - A1 × P1 - F1)/A2
일 때 상기 포펫(150)이 개방되며, 상기 1차 측 고압실(112)과 상기 피스톤 고압실(118)은 상기 1차 측 유로(111) 및 상기 제어 측 유로(117)로 연결되어있어, 공 기압 P0과 P1은 동일하여,
P0 > (A2 × P2 + F1)/(A0 + A1)
일 때 상기 포펫(150)이 개방된다.
상기 피스톤(140)이 완전히 상승하여 상기 포펫(150)이 상승하면, 상기 1차 측 고압실(1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113)은 연결되므로, 공기압 P0과 P1과 P2는 동일하고, 상기 포펫(150)의 위치는 상기 포펫(150)을 누르는 상기 스프링(160)의 힘과, 공기압 P0에 의해 상승하는 상기 피스톤(140)의 힘만으로 결정되므로,
P0 > F2/(A0 + A1 - A2)
상태인 동안, 상기 포펫(150)은 개방을 유지한다.
상기 포펫(150)이 개방을 유지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1차 측 유로(111)로 압축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하여 상기 2차 측 유로(114)에 연결된 미 도시된 압력용기 등의 장치에 압축공기를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상기 1차 측 유로(111)의 공기압을 미 도시된 급속배기장치 등을 통해 급격히 낮추면,
공기압 P0과 P1과 P2의 공기압의 균형이 깨지게 되며,
P0 < F1/(A0 + A1 - A2)
이 되면 상기 포펫(150)이 닫히게 된다.
일실시 예를 들면,
A0 = 10 (cm2)
A1 = 5.5 (cm2)
A2 = 6 (cm2)
P0 = 피스톤 고압실(118)의 공기압 (kgf/cm2)
P1 = 1차 측 고압실(112)의 공기압
P2 = 10 (kgf/cm2)
F1 = 3.0 (kgf)
F2 = 3.2 (kgf)
이면,
P0 > 4.1 (kgf/cm2)
일 때 상기 포펫(150)이 개방된다. 또한,
P0 > 0.33 (kgf/cm2)
일 때 상기 포펫(150)은 개방을 유지한다. 또한,
P0 < 0.32 (kgf/cm2)
이 되면 상기 포펫(150)이 닫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기호도로서, 밸브 몸체(210)는 1차 측 고압실(212)이 연결된 1차 측 유로(211)와, 2차 측 고압실(213)이 연결된 2차 측 유로(214)를 구비하고, 상기 1차 측 고압실(2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은 미 도시된 밸브 요소와 파일럿 유로(251)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프링(260)을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폐쇄도로서, 밸브 몸체(210)는 1차 측 고압실(212)과 연결된 1차 측 유로(211)와, 2차 측 고압실(213)과 연결된 2차 측 유로(214)와, 피스톤 고압실(218)과 연결된 제어 측 유로(217)와, 피스톤 저압실(215)과 연결된 배기구(216)는 외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1차 측 유로(211)는 상기 제어 측 유 로(217)와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260)은 상기 밸브 몸체(210)의 내부와 파일럿 밸브(270)의 상부에 접촉하여, 상기 파일럿 밸브(270)를 아래로 누르도록 구비되고, 포펫(250)은 관통되고 그 내부를 통해 상기 파일럿 밸브(270)는 피스톤(240)에 접촉하고, 상기 포펫(250)은 관통된 내부와, 상기 파일럿 밸브(270) 및 피스톤(240)과의 틈새로 그림 10의 파일럿 유로(251)를 형성하며, 그림 10의 파일럿 유로(251)는 상기 1차 측 고압실(2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에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240)은 상기 파일럿 밸브(270)를 상승시킨 후, 상기 포펫(250)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2단의 형태로 구성되어, 3위치 밸브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 파일럿 밸브(270)는 상하로 움직이며 그림 10의 파일럿 유로(251)를 개폐하고, 상기 포펫(250)은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1차 측 고압실(2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을 개폐한다.
상기 스프링(260)이 상기 파일럿 밸브(270)를 아래로 누르는 힘에 의해, 그림 10의 파일럿 유로(251)는 닫히고, 상기 파일럿 밸브(270)에 의해 상기 포펫(250)은 상기 1차 측 고압실(2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을 폐쇄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1차 개방도로서, 도 8의 설명과 같은 구성에서, 1차 측 유로(211) 및 제어 측 유로(217)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피스톤 고압실(218)의 공기압이 상승하고 피스톤(240)이 상승하여 파일럿 밸브(270)를 상승시키고, 상기 피스톤(240)의 피스톤 내유로(241)의 상단부는, 상기 포펫(250)의 하단에 밀착되게 된 다. 이때 1차 측 고압실(212)은 상기 피스톤 내유로(241)와 도 10의 파일럿 유로(251)를 거쳐 2차 측 고압실(213)에 연결되게 되고, 만약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의 공기압이 상기 1차 측 고압실(212)의 공기압보다 높다면,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의 압축공기는 상기 1차 측 고압실(212)로 흘러들어가게 되며, 상기 피스톤 고압실(218)의 공기압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A0 = 피스톤(240)의 면적
A1 = 1차 측 고압실(212)과 포펫(250)의 접촉면적
A2 = 2차 측 고압실(213)과 포펫(250)의 접촉면적
A3 = 도 10의 파일럿 유로(251)와 파일럿 밸브(270)의 접촉면적
A4 = 2차 측 고압실(213)과 파일럿 밸브(270)의 접촉면적
P0 = 피스톤 고압실(218)의 공기압
P1 = 1차 측 고압실(212)의 공기압
P2 = 2차 측 고압실(213)의 공기압
F1 = 스프링(260)의 폐쇄시의 힘
F2 = 스프링(260)의 파일럿 밸브(270) 개방시의 힘
F3 = 스프링(260)의 개방시의 힘
이라 하면,
A0 × P0 + A3 × P1 > A4 × P2 + F1
일 때 상기 파일럿 밸브(270)가 개방되며, 상기 1차 측 고압실(212)과 상기 피스톤 고압실(218)은 상기 1차 측 유로(211) 및 상기 제어 측 유로(217)로 연결되어 있어, 공기압 P0과 P1은 동일하므로,
P0 > (A4 × P2 + F1)/(A0 + A3)
일 때 상기 파일럿 밸브(270)가 개방된다.
일실시 예를 들면,
A0 = 10 (cm2)
A1 = 5.5 (cm2)
A2 = 5.5 (cm2)
A3 = 0.2 (cm2)
A4 = 0.5 (cm2)
P0 = 피스톤 고압실(218)의 공기압 (kgf/cm2)
P1 = 1차 측 고압실(212)의 공기압
P2 = 10 (kgf/cm2)
F1 = 3.0 (kgf)
F2 = 3.2 (kgf)
F3 = 3.4 (kgf)
이면,
P0 > 0.78 (kgf/cm2)
일 때 상기 파일럿 밸브(270)가 개방되며 이는 같은 조건의 도 6의 일실시 예 설명과 같이 도 6의 포펫(150)이 개방되는 공기압 P0 > 4.1 (kgf/cm2)에 비해 매우 작은 공기압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1차 개방 확대도로서, 도 8의 설명과 같은 구성에서, 피스톤(240)에 의해 상승한 파일럿 밸브(270)는 포펫(250)과 상기 파일럿 밸브(270) 사이의 파일럿 유로(251)를 개방하여, 2차 측 고압실(213)과 상기 파일럿 유로(251) 와 피스톤 내유로(241)와 1차 측 고압실(212)을 연결한다. 상기 파일럿 유로(251)는 상기 포펫(250)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1차 측 고압실(2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의 유로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상기 도 9의 일실시 예와 같이, 상기 피스톤(240)의 힘이 매우 작아도 개방 가능하고, 일단 상기 파일럿 밸브(270)가 열리면,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의 압축공기가 역류하여 상기 1차 측 고압실(212)의 공기압을 상승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개방도로서, 도 8의 설명과 같은 구성에서, 1차 측 유로(211)의 공기압이 상승하여, 이에 연결된 제어 측 유로(217)와 피스톤 고압실(218)의 공기압이 상승하면, 피스톤(240)이 상승하고 피스톤 내유로(241)의 상단부가 포펫(250)과 파일럿 밸브(270)를 밀어 올려, 1차 측 고압실(212)과 2차 측 고압실(213)이 연결되어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240)의 상승 높이는 이에 접촉한 상기 파일럿 밸브(270)가 밸브 스토퍼(219)에 닫을 때 까지가 된다.
상기 1차 측 고압실(2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이 연결되어 열리게 되면, 상기 1차 측 고압실(212)과 2차 측 고압실(213)과 상기 제어 측 유로(217)와 상기 피스톤 고압실(218)의 공기압은 일치하게 되고, 상기 1차 측 유로(211)의 공기압을 변경함으로써 2차 측 유로(214) 및 상기 2차 측 유로(214)에 연결된 미 도시된 기기의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240)의 상승 위치는 상기 피스톤 고압실(218)의 공기압에 의한 상승과, 스프링(260)의 힘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상기 1차 측 유로(211)와 연결된 상기 피스톤 고압실(218)의 공기압에 의한 상기 피스톤(240)의 힘이 상기 스프링(260)의 힘보다 작아질 경우 상기 포펫(250) 및 상기 파일럿 밸브(270)는 하강하게 되어, 상기 1차 측 고압실(2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은 닫히게 된다.
이때
A0 = 피스톤(240)의 면적
A1 = 1차 측 고압실(212)과 포펫(250)의 접촉면적
A2 = 2차 측 고압실(213)과 포펫(250)의 접촉면적
A3 = 도 10의 파일럿 유로(251)와 파일럿 밸브(270)의 접촉면적
A4 = 2차 측 고압실(213)과 파일럿 밸브(270)의 접촉면적
P0 = 피스톤 고압실(218)의 공기압
P1 = 1차 측 고압실(212)의 공기압
P2 = 2차 측 고압실(213)의 공기압
F1 = 스프링(260)의 폐쇄시의 힘
F2 = 스프링(260)의 파일럿 밸브(270) 개방시의 힘
F3 = 스프링(260)의 개방시의 힘
이라 하면,
A0 × P0 + A2 × P1 + A3 × P1 > A1 × P2 + A4 × P2 + F2
일 때 상기 피스톤(240)이 완전히 상승하여, 상기 포펫(250)을 상승시키게 되고, 이때 공기압 P0 와 P1은 일치하므로,
P0 > (A1 × P2 + A4 × P2 + F2) / (A0 + A2 + A3)
일 때 상기 피스톤(240)이 완전히 상승하여 상기 포펫(250)을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피스톤(240)이 완전히 상승하여, 상기 포펫(250)이 상승하면, 상기 1차 측 고압실(2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은 연결되므로, 공기압 P0과 P1과 P2는 동일하고, 상기 포펫(250)의 위치는 상기 파일럿 밸브(270)를 눌러 상기 포펫(250)을 누르는 상기 스프링(160)의 힘과 공기압 P0에 의해 상승하는 상기 피스톤(140)의 힘만으로 결정되므로,
P0 > F3/(A0 + A4 - A3)
상태인 동안, 상기 포펫(250)은 개방을 유지한다.
상기 포펫(250)이 개방을 유지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1차 측 유로(211)로 압축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하여 상기 2차 측 유로(214)에 연결된 미 도시된 압력용기 등의 장치에 압축공기를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상기 1차 측 유로(211)의 공기압을, 미 도시된 급속배기장치 등을 통해 급격히 낮추면,
공기압 P0과 P1과 P2의 공기압의 균형이 깨지게 되며,
P0 < F1/(A0 + A4 - A3)
이 되면 상기 포펫(250)은 닫히게 된다.
일실시 예를 들면,
A0 = 10 (cm2)
A1 = 5.5 (cm2)
A2 = 5.5 (cm2)
A3 = 0.2 (cm2)
A4 = 0.5 (cm2)
P0 = 피스톤 고압실(218)의 공기압 (kgf/cm2)
P1 = 1차 측 고압실(212)의 공기압
P2 = 10 (kgf/cm2)
F1 = 3.0 (kgf)
F2 = 3.2 (kgf)
F3 = 3.4 (kgf)
이면,
P0 > 4.0 (kgf/cm2)
일 때 상기 피스톤(240)이 완전히 상승하여 상기 포펫(250)을 상승시키게 되며, 이는 도 6의 일실시 예의 설명과 같이 도 6의 포펫(150)이 완전히 개방되는 공기압 P0 > 4.4 (kgf/cm2)와 유사하다.
또한,
P0 > 0.33 (kgf/cm2)
상태인 동안, 상기 포펫(250)은 개방을 유지하며, 이는 도 6의 일실시 예의 설명과 같이 도 6의 포펫(150)이 개방을 유지하는 공기압 P0 > 0.33 (kgf/cm2)과 유사하다.
또한,
P0 < 0.29 (kgf/cm2)
이 되면 상기 포펫(250)이 닫히게 되며, 이는 도 6의 일실시 예의 설명과 같이 도 6의 포펫(150)이 닫히게 되는 공기압 P0 < 0.32 (kgf/cm2)와 유사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와 포펫 리턴 스프링을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도로서, 도 8의 설명과 같은 구성에서, 밸브 몸체(210)의 내부와 포펫(250)에 접촉하여, 상기 포펫(250)을 아래로 누르도록 포펫 리턴 스프링(280)이 추가되어 구성되는 장치이다.
상기 포펫 리턴 스프링(280)은 도 11과 같이 피스톤(240)의 상승시, 상기 포펫(250)의 위치를 항상 피스톤 내유로(241)의 상단부에 밀착하도록 하여 밸브 몸체(210)의 진동 및 공기압의 흐름에 따른, 상기 포펫(250)의 불필요한 진동을 방지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기호도.
제2도는 일반적인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폐쇄도.
제3도는 일반적인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개방도.
제4도는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기호도.
제5도는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폐쇄도.
제6도는 1차 측 유로와 제어 측 유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개방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기호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폐쇄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파일럿 밸브 개방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파일럿 밸브 개방 확대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개방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용 파일럿 밸브와 포펫 리턴 스프링을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의 파일럿 밸브 개방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밸브 몸체
11 : 1차 측 유로
12 : 1차 측 고압실
13 : 2차 측 고압실
14 : 2차 측 유로
15 : 피스톤 저압실
16 : 배기구
17 : 제어 측 유로
18 : 피스톤 고압실
19 : 밸브 스토퍼
40 : 피스톤
50 : 포펫
60 : 스프링
110 : 밸브 몸체
111 : 1차 측 유로
112 : 1차 측 고압실
113 : 2차 측 고압실
114 : 2차 측 유로
115 : 피스톤 저압실
116 : 배기구
117 : 제어 측 유로
118 : 피스톤 고압실
119 : 밸브 스토퍼
140 : 피스톤
150 : 포펫
160 : 스프링
210 : 밸브 몸체
211 : 1차 측 유로
212 : 1차 측 고압실
213 : 2차 측 고압실
214 : 2차 측 유로
215 : 피스톤 저압실
216 : 배기구
217 : 제어 측 유로
218 : 피스톤 고압실
219 : 밸브 스토퍼
240 : 피스톤
241 : 피스톤 내유로
250 : 포펫
251 : 파일럿 유로
260 : 스프링
270 : 파일럿 밸브
280 : 포펫 리턴 스프링

Claims (3)

  1. 밸브 몸체(210)는 외부와 연결된 1차 측 유로(211)와, 상기 1차 측 유로(211)와 연결된 1차 측 고압실(212)과, 상기 밸브 몸체(210)와 연결된 제어 측 유로(217)와, 상기 제어 측 유로(217)에 연결된 피스톤 고압실(218)과, 외부와 연결된 2차 측 유로(214)와, 상기 2차 측 유로(214)에 연결된 2차 측 고압실(213)과, 외부로 연결된 배기 유로(216)와 상기 배기 유로(216)에 연결된 피스톤 저압실(215)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측 유로(217)는 상기 1차 측 유로(211)와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스프링(260)은 상기 밸브 몸체(210)의 내부와 포펫(250)에 접촉하여 상기 포펫(250)을 아래로 누르도록 구비되고, 상기 포펫(250)은 상기 1차 측 고압실(2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피스톤(240)은 상기 포펫(250)에 접촉하고 상기 피스톤 저압실(215)과 상기 피스톤 고압실(218)의 공기압 차이와 상기 스프링(260)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도록 구비하여 구성되는 공기압 작동식 2포트 2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에 있어서;
    상기 포펫(250)은 상기 1차 측 고압실(212)과 상기 2차 측 고압실(213)을 연결하도록 내부에 파일럿 유로(251)를 구비하고, 파일럿 밸브(270)는 상기 포펫(250)의 상부에 접촉하되, 상기 포펫(250)은 관통되고, 그 내부를 통해 상기 파일럿 밸브(270)는 상기 피스톤(240)에 접촉하고, 상기 파일럿 밸브(270)는 상기 피스톤(240)의 상하 작동에 의해, 상기 파일럿 유로(251)를 개폐하도록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펫(250)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기 스프링(260)은 상기 파일럿 밸 브(270)에 접촉하여 아래로 누르도록 변경되어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240)은 상기 파일럿 밸브(270)를 상승시킨 후, 상기 포펫(250)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2단의 형태로 구성되어, 3위치 밸브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파일럿 유로(251)는 포펫(250)과 파일럿 밸브(270)와 피스톤(240)과의 틈새로 구성되고, 그 단면적은 상기 포펫(250)에 의해 개폐되는 1차 측 고압실(212)과 2차 측 고압실(213)이 맞닿아서 생성되는 유로 단면적의 1/10 이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포펫 리턴 스프링(280)은 밸브 몸체(210)의 내부와 포펫(250)에 접촉하여 상기 포펫(250)을 아래로 누르도록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2포트 3위치 상시 폐쇄 공기압 밸브.
KR1020090010054A 2009-02-09 2009-02-09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공기압 밸브 KR101042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054A KR101042765B1 (ko) 2009-02-09 2009-02-09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공기압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054A KR101042765B1 (ko) 2009-02-09 2009-02-09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공기압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855A KR20100090855A (ko) 2010-08-18
KR101042765B1 true KR101042765B1 (ko) 2011-06-20

Family

ID=4275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054A KR101042765B1 (ko) 2009-02-09 2009-02-09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공기압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7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425B1 (ko) * 2022-09-30 2023-04-12 주식회사 세명테크 상용차의 압축 공기 처리 장치용 언로딩 밸브 장치
KR102550802B1 (ko) * 2022-09-30 2023-07-04 주식회사 세명테크 상용차의 압축 공기 처리 장치용 언로딩 밸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18426A1 (en) * 2016-11-04 2018-05-09 DANA ITALIA S.r.l. Pneumatically controllable valve assembly, tire inflation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valve assembly and the tire inflation system
CN110145626A (zh) * 2019-07-01 2019-08-20 钱晓浪 一种多功能平衡阀
CN110388492A (zh) * 2019-08-09 2019-10-29 成都百分之三科技有限公司 自流体安全自控阀及自流体安全自控阀保护系统
KR102300883B1 (ko) * 2021-05-17 2021-09-13 김운태 전자제어식 유체흐름 개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925A (ko) * 1984-11-08 1986-06-13 원본 미기재 자동차 타이어 가압장치(automated vehicle tire pressurization system)
JPS6298874U (ko) 1985-12-12 1987-06-24
JPH11139118A (ja) 1997-11-07 1999-05-25 Sumitomo Electric Ind Ltd タイヤ空気圧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925A (ko) * 1984-11-08 1986-06-13 원본 미기재 자동차 타이어 가압장치(automated vehicle tire pressurization system)
JPS6298874U (ko) 1985-12-12 1987-06-24
JPH11139118A (ja) 1997-11-07 1999-05-25 Sumitomo Electric Ind Ltd タイヤ空気圧調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425B1 (ko) * 2022-09-30 2023-04-12 주식회사 세명테크 상용차의 압축 공기 처리 장치용 언로딩 밸브 장치
KR102550802B1 (ko) * 2022-09-30 2023-07-04 주식회사 세명테크 상용차의 압축 공기 처리 장치용 언로딩 밸브 장치
US11953108B1 (en) 2022-09-30 2024-04-09 Semyungtech Co., Ltd. Unloading valve assembly for compressed air processing system in a commercial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855A (ko)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765B1 (ko) 역류용 파일럿 밸브를 가진 공기압 작동식 공기압 밸브
EP2584205B1 (en) Time-delay valve
US6357335B1 (en) Pneumatic volume booster for valve positioner
US20160153551A1 (en) Hydraulic Control Arrangement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CN201739559U (zh) 能自动选择出气口的双气源燃气控制装置
KR20060096499A (ko) 격막 밸브
CN102428307A (zh) 气动致动的控制阀
CN102011761A (zh) 低压先导控制大流量超高压液压插装阀系统
GB2028953A (e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Exhaust Braking
KR20110130003A (ko) 파일럿 작동형 안전밸브 및 그 개폐방법
WO2003087521A3 (en) Gas operated automatic, liquid pumping system for wells
EP1960637B1 (en) Valve assembly
CN208221685U (zh) 一种先导式安全阀
KR101207833B1 (ko) 파일럿 밸브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일럿 작동식 안전밸브
CN105351565A (zh) 燃气识别装置
KR20190101098A (ko) 파일럿 작동형 안전밸브 시스템
CN101403312B (zh) 阀装置以及包括该阀装置的支撑架
KR200264482Y1 (ko) 유압펌프의 릴리프시스템
KR100985763B1 (ko) 파일럿 타입 안전밸브 및 그 개폐방법
US11994155B2 (en) Cylinder device
CN104948779A (zh) 自闭式止回阀
KR910006083Y1 (ko) 진공도에 의한 자동변환 삼방밸브
US1448531A (en) Control means for fluid-operated cylinders
US20210164499A1 (en) Cylinder device
CN208900798U (zh) 一种新型柱塞常开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