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201B1 - Cremator - Google Patents

Crem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201B1
KR101042201B1 KR1020070135901A KR20070135901A KR101042201B1 KR 101042201 B1 KR101042201 B1 KR 101042201B1 KR 1020070135901 A KR1020070135901 A KR 1020070135901A KR 20070135901 A KR20070135901 A KR 20070135901A KR 101042201 B1 KR101042201 B1 KR 101042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exhaust gas
main combustion
chamber
inci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68042A (en
Inventor
박대규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Priority to KR1020070135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201B1/en
Publication of KR20090068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0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2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23G2202/102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유체(遺體)를 고온에서 완전 소각하여 유골을 수급하는 화장 소각로가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화장 소각로는, 피 소각체의 소각이 이루어지는 주연소실;과, 상기 주연소실과 연통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배기가스가 유입 체류되는 재연소실; 및, 상기 주연소실 및, 주연소실과 재연소실 사이의 연통구역에 연결되면서 외기공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기 공급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기공기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주연소실과 재연소실 사이의 연통구역은 주연소실과 재연소실 사이에 개폐수단을 구비하면서 연결되는 배기가스 통로에 형성되고, 상기 재연소실은 주연소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주연소실 상부와 재연소실 일측에는 배기가스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각시(초기 소각시) 피 소각체(가연성 고형물)의 연소중 과잉 발생하는 일산화탄소(CO)의 농도를 낮추는 한편, 충분한 산소(외기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면서도, 화장로 소각시간은 단축하면서 화장 능력은 증대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R1020070135901

화장 소각로,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형, 외기공기, 일산화탄소 저감

A cremation incinerator for supplying ashes by completely burning the fluid at a high temperature is provided.

The incineratio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mbustion chamber in which the incinerator is incinerated; and a recombustion chamber in which exhaust gas is introduced and stay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an outside ai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a communication zone betwee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burn chamber to supply outside air, wherei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is connected betwee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burn chamber connected to the outside air supply line. The communication zone is formed in the exhaust gas passage which is connect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betwee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burn chamber, and the reburn chamber is disposed under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an exhaust gas outle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one side of the reburn chamber. It is characterized b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omplete combustion is reduced becaus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CO)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the incinerator (combustible solids) during incineration (initial incineration) is reduced while supplying sufficient oxygen (outside air). While prevent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mproved effect of shortening the furnace burn time and increasing the makeup ability.

Figure R1020070135901

Cosmetic incinerator, energy saving type, eco-friendly type, outdoor air, carbon monoxide reduction

Description

화장 소각로{Cremator}Cosmetic Incinerator {Cremator}

본 발명은 유체(遺體)를 고온에서 완전 소각하여 유골을 수급하도록 하는 화장 소각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소각시(초기 소각시) 주연소실(또는 재연소실도 같이)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소각 초기 피 소각체(가연성 물질)의 급속한 연소반응으로 부족한 산소(외기공기)를 충분하게 공급함으로써, 불완전연소에 의하여 과잉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이하,'CO' 이라 함)의 농도를 낮추는 한편, 불완전 연소 방지는 물론, 소각시 소각시간도 단축하고, 악취와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화장 능력을 갖도록 열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화장 소각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emation incinerator for supplying ashes by completely incineration fluid at high temperatures, and more particularly incineration within a limited space of a main combustion chamber (or a reburn chamber) at incineration (initial incineration). By supplying enough oxygen (outside air) due to the rapid combustion reaction of the initial incinerator (combustible material),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 generated by incomplete combustion is reduced while incomplete combus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emation incinerator, which prevents, as well as shortens the incineration time, and increases the amount of calories to have sufficient cosmetic capacity while minimizing the emission of odors and environmental pollutants.

인구의 도시집중과 산업화 과정을 통해 사회 환경이 급격히 변화되면서 종래 유교적 관습에 따라 매장 문화에 의존해 오던 장례 문화 또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면서, 근래에는 점차 화장문화로 바뀌어 가고 있다.As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s rapidly through the urban concentr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the population, the funeral culture, which has been dependent on the burial culture in accordance with conventional Confucian customs, has also changed its perception, and recently it is gradually changing into a cremation culture.

그리고, 사람의 시신(또는 동물의 사체)를 화장할 수 있는 화장 소각로도 그 기술 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고, 대부분 에너지절감과 더불어 환경 친화적인 방향으 로 개발되고 있다.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has been made in the incinerator that can cremate the human body (or the corpse of the animal), and most of them are being developed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direction with energy saving.

한편, 알려진 화장 소각로의 형태는 설비특성의 측면에서 보면 화장과정에서의 시신의 존엄을 중시하는 동양에서 주로 보급된 대차방식 화장 소각로, 서양에서 주로 채택되고 있는 기능적인 편의성과 에너지절감 측면에서 우수한 캐비넷 방식(서양식)이 있으며, 그밖에 일부 로스톨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known shape of the cremation incinerator is a bogie-type cremation incinerator mainly distributed in the Orient, which emphasizes the dignity of the body in the cremation process in terms of equipment characteristics. There is a form (western form), and some other loss stall methods are adopted.

이와 같은, 화장 소각로 설비는 시신과 관을 직접 가스 또는 경유버너를 사용하여 화장이 이루어지는 주연소실과, 화장중 발생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미연분을 외부 방출에 앞서 재연소하는 재연소실 및, 재연소 배기가스를 연돌로 배출하기전 함유 공해물질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처리설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Such a cremation incinerator facility includes a main combustion chamber in which cremation is performed by directly using a gas or a diesel gas burner for the body and a pipe, a reburn chamber for reburning unburned dust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cremation prior to external discharge, and It consists of an exhaust gas treatment facility that removes pollutants contained before releasing boil exhaust gas into the stack.

통상 대차방식 화장 소각로의 경우에는, 시신과 관을 대차에 탑재한 상태로 화장 소각로의 주연소실로 이동하여 연소버너의 가동에 의하여 소각 화장하게 되고, 화장이 완료되면 버너를 끈 상태에서, 외기공기를 흡입하여 주연소실 온도를 일정온도로 냉각시킨 후, 유골 수습을 위해 대차를 로체밖으로 반출, 유골을 수급한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bogie-type cremation incinerator, the body and pipes are mounted on the trolley and moved 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of the cremation incinerator to burn incineration by operation of the combustion burner. After cooling the main combustion chamber temperature to a certain temperature, take out the trolley out of the body to supply the bones and collect the bones.

그런데, 화장중 시신을 담은 관과 부장품의 연소 소각하는 과정에는 불완전 연소에 따른 다량의 미연분 및 CO등이 발생하고,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면, 환경오염물질 예를 들어, 검정댕기 또는 악취 등의 물질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근래에는 화장 소각로의 경우 재연소실을 주연소실에 더 설치하여 환경오염물질의 완전 재연소를 수행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However, in the process of burning and incineration of the pipes and accessories containing the body during the makeup, a large amount of unburnt and CO are generated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and w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it is, environmental pollutants such as black dung or odor, etc. In recent years, in the case of a cosmetic incinerator, a reburn chamber is further installed i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to completely reburn the environmental pollutants.

예를 들어, 도 1a와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대차형 화장 소각로 (100)는 로체 하부에 버너(112)를 구비한 주연소실(110)와, 그 상측으로 버너(122)를 구비한 재연소실(120)이 배치되고, 이와 같은 재연소실(12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G)는 현열로 회수되어 연소공기의 예열에 활용되고, 집진장치와 환경오염원 처리설비와 연돌을 거쳐 외부로 방출된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1A and 1B, the conventional bogie-type cremation incinerator 100 includes a main combustion chamber 110 having a burner 112 at a lower part of a furnace, and a burner 122 above. One reburn chamber 120 is disposed, and the exhaust gas G discharged from the reburn chamber 120 is recovered as sensible heat and is used for preheating combustion air, and is collected through a dust collector and an environmental pollution treatment facility and a stack. Is released.

그리고, 종래 대차형의 경우, 주연소실(110)에는 관(140)이 놓여지는 대차(150)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미부호)들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ogie type, the main combustion chamber 110 is provided with doors (unsigned) that enable the entry and exit of the bogie 150 on which the tube 140 is placed.

또한, 대차방식 화장 소각로(100)의 경우에는 재연소실(120)을 주연소실(110)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인데, 이는 대차 이동설비가 주연소실에 있어 하부에 재연소실의 배치가 어렵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ogie-type cremation incinerator 100, it is common to install the reburn chamber 12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110, which is difficult to arrange the reburn chamb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Because.

그런데, 종래의 대차방식 화장 소각로(100)의 경우에는, 시신과 관을 대차에 탑재한 상태로 주연소실 내부로 이동시키고 소각 화장하고, 화장이 완료되면 버너(112)의 가동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팬을 가동, 외기공기를 흡입하여 주연소실(110)을 냉각시키고, 대차를 반출하여 유골을 수급하게 된다. 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rolley-type cremation incinerator 100, the body and the pipe are mounted on the trolley and moved to the inside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incinerated, and when the make-up is completed, the burner 112 is stopped. To operate the fan (not shown), suction the outside air, cool the main combustion chamber 110, and take out the bogie to supply the ash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대차형 화장 소각로(100)의 경우에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주연소실(110)과 재연소실(120)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짧고, 연소 초기단계에서 관 및 부장품 등 가연성 물질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급격한 연소가 진행되면서 주연소실의 급격한 온도상승과 함께, 재연소실(120)에서의 처리 용량을 벗어나 CO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외부 배출되기 때문에, 배기가스중 CO 배출농도가 환경 규제치를 초과하는 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ogie-type cremation incinerator 100 as described above, the time for which the high-temperature exhaust gas stays i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110 and the reburn chamber 120 is short, and combustible materials such as pipes and accessories in the initial stage of combustion.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as the rapid combustion progresses momentarily, the temperature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increases rapidly, and the amount of CO generated is rapidly increased outside the processing capacity in the reburn chamber 120 to be discharged externally.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problems exceed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따라서, 재연소실이 상부에 배치되는 종래 대차방식의 화장 소각로(100)의 경우에는, 화장 소각로의 고온 유지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고, 특히 미완전 연소에 따른 공해물질의 배출이 현실적인 문제로 제기되어 왔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ogie type incinerator 100 having a reburn chamber disposed thereon, a lot of energy is consumed to maintain the high temperature of the cremation incinerator, and in particular, the emission of pollutants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is a practical problem. come.

한편, 이와 같은 대차방식의 화장 소각로(100)와는 다른 캐비넷방식 또는 로스톨방식의 화장 소각로는 관을 별도의 받침(대차)없이 화장로의 내부로 그대로 밀어 넣어 화장하고, 화장 완료된 유골은 작업용 도구에 의하여 수습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대차 사용을 하지 않는 면에서 도 1의 대차 방식과 차이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smetic incinerator of the cabinet method or rostol method is different from the cosmetic incinerator 100 of the bogie method, and pushes the pipe into the interior of the toilet without a separate support (bogie), and the make-up remains are tools for work.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balance method of FIG. 1 in that it does not use the balance as a method of collecting and processing.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종래 캐비넷 방식의 화장 소각로(20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캐비넷 방식의 경우 대차 설비가 필요 없기 때문에, 주연소실(210)의 하부에 재연소실(220)을 두고, 연소 소각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연결통로(230)를 통하여 주연소실(210)에서 재연소실(220)로 전달하여 배기가스의 체류 시간을 늘리어 배출시키는 방식이다. For example, FIG. 2 illustrates a conventional cabinet type cremation incinerator 200. In the case of such a cabinet type, since a loan facility is not required, the reburn chamber 220 is provided under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10. The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incineration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10 to the reburn chamber 220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230 to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exhaust gas and discharge the same.

이때,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재연소실에는 배기가스 체류를 지연하기 위한 격벽이 있고 그 끝에 배출 연돌이 배치되어 있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reburn chamber has a partition wall for delaying the exhaust gas retention and an exhaust stack is disposed at the end thereof.

따라서, 도 2와 같은 종래의 캐비넷 방식의 화장 소각로(200)의 경우에는, 주연소실(210)에서 주연소 버너(212)에 의해 시신이 안치된 관의 화장이 이루어지면, 생성된 배기가스는 하부의 재연소실(220)을 거쳐 연돌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현열로 주연소실(210)의 로체 하부바닥 온도가 잘 유지되고, 필요한 경우 재연소실(220)에 별도의 재연소 버너(미도시)를 설치하여 온도를 800℃ 이상 유지함으로써, 환경오염원의 제거가 도 1의 대차형 방식의 화장 소각로에 비하여는 소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abinet type cremation incinerator 200 as shown in FIG. 2, when the cremation of the pipe in which the body is placed by the main combustion burner 212 i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10 is made, the generated exhaust gas is Since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ack through the lower reburn chamber 220, the lower body temperature of the lower body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10 is maintained well by the sensible heat of exhaust gas, and if necessary, a separate reburn in the reburn chamber 220 By installing a burner (not shown) and maintaining a temperature of 800 ° C. or more, the removal of environmental pollution sources can be improved in incineration efficiency as compared to the cosmetic incinerator of the bogie type system of FIG. 1.

그러나, 이와 같은 도 1 및 도 2의 종래 대차방식 또는 캐비넷 방식의 화장 소각로(100)(200)에 있어서는, 화장 과정 중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주연소실과 재연소실을 거치는 구조이지만, 배기가스의 완전 연소가 이루어 지지않아 CO 또는 질소산화물(이하, 'NOx' 이라 함)과 같은 환경유해 물질이 배출되는 문제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ogie or cabinet type cremation incinerator 100 and 200 of FIG. 1 and FIG. 2, although the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the makeup process passes through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burn chamber, the exhaust gas is completely exhausted. Due to the non-combustion, the emission of environmentally harmful substances such as CO or nitrogen oxi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x') has not been solved.

또한, 유체 미연분의 배출로 인하여 환경오염 문제도 발생되고 있으며, 대략 800 °C 정도의 배기가스 현열을 재이용하나, 조업 초기의 승온 에너지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매우 큰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In addition, due to the discharge of the unburned fluid, there is also a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reuse of the sensible heat of exhaust gas of about 800 ° C, but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elevated temperature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was relatively very large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소각시(적어도 초기 소각시) 피 소각체(가연성 고형물)의 연소중 과잉 발생하는 일산화탄소(CO)의 농도를 낮추는 한편, 충분한 산소(외기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면서도 소각시 소각시간도 단축하면서 화장 능력은 증대시키는 화장 소각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wer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CO)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the incinerator (combustible solids) during incineration (at least during initial incineration). In order to provide sufficient oxygen (outside ai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emation incinerator which prevents incomplete combustion and also shortens the incineration time during incineration and increases the makeup capaci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피 소각체의 소각이 이루어지는 주연소실;
상기 주연소실과 연통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배기가스가 유입 체류되는 재연소실; 및,
상기 주연소실 및, 주연소실과 재연소실 사이의 연통구역에 연결되면서 외기공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기 공급라인;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기공기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주연소실과 재연소실 사이의 연통구역은 주연소실과 재연소실사이에 개폐수단을 구비하면서 연결되는 배기가스 통로에 형성되고, 상기 재연소실은 주연소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주연소실 상부와 재연소실 일측에는 배기가스 배출구가 구비되는 화장 소각로를 제공한다.
As a technical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made incineration of the incinerator;
A reburn chamber in which exhaust gas flows in and stays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An outside ai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a communication zone betwee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burn chamber to supply outside air;
Consists of including
The communication zone betwee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combustion chamber to which the outside air supply line is connected is formed in an exhaust gas passage connect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betwee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combustion chamber, and the recombustion chamber is disposed below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 upper part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one side of the reburn chamber provide a cosmetic incinerator having an exhaust gas outl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각시 예컨대, 적어도 초기 소각시 주연소실 과 재연소실 또는, 주연소실 및, 주연소실과 재연소실 사이의 배기가스 통로에 다량의 외기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소각 초기 시신이 안치된 가연성 고형물 즉, 목관 의 급속한 연소반응에 따라 과잉 발생하는 환경오염물인 CO의 2차 연소 환경 즉, 산소(외기공기)를 충분하게 공급함으로써,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CO 농도를 낮추게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ineration initial body is settled by supplying a large amount of outside air at the time of incineration, for example, at least at the time of initial incineratio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burn chamber or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exhaust gas passage betwee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burn chamber. By supplying enough combustible solids, that is, the secondary combustion environment of CO, which is an environmental pollutant that is excessively generated by the rapid combustion reaction of wood pipe, that is, oxygen (outer air), the CO concentration of the exhaust gas is reduced.

즉, 충분한 산소(외기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연소실에서의 불완전 연소를 방지한다.In other words, incomplete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is prevented because sufficient oxygen (outside air) is supplied.

따라서, 보다 친환경적인 화장 소각로를 제공한다.Therefore, it provides a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cosmetic incinerator.

그리고, 소각시 그 화력 능력을 증대시키어, 궁극적으로 에너지 절감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nd incineration increases its firepower capability, ultimately enabling energy savings.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화장 소각로(1)를 각각 측면, 정면 및 일부 평면 구조도로 도시하고 있다.First, FIGS. 3 to 5 show the cremation incin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 side, front and part plan views.

예컨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장 소각로(1)는 대차형으로 구성하되 기존과는 다르게 주연소실(20)의 하부에 재연소실(30)를 두어 기존 도 1의 대차형 화장 소각로(100)에 비하여 배기가스 체류시간을 재연소실에서 증대시키어 로체 가열이나 연소 소각을 용이하게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For example, the makeup incin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bogie type, but unlike the conventional combustion incinerator 100 having a reburn chamber 3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smetic incinerator 100 of FIG. Its characteristic is that the exhaust gas residence time is increased in the reburn chamber to facilitate furnace heating and combustion incineration.

즉, 본 발명에 관련된 화장 소각로(1)는 오랜 유교문화에 의하여 장례형식을 중요시하는 우리나라에서 더 친화적인 도 1의 대차방식과 온도 유지등의 효율적인 면과 에너지 절감차원에서 유리한 도 2의 캐비넷방식을 혼합하는 구조로 이루어 진 것에 그 실시예적 특징이 있다.That is, the cremation incin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abinet method of FIG. 2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nergy saving and efficient aspects such as the balance method and temperature maintenance of FIG. There is an embodiment feature that is made of a structure for mixing.

예컨대,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 소각로(1)의 주연소실(20)은, 출구측에 주연소버너(22)가 설치되어 있어 장입되는 피 소각체(10) 예를 들어 시신이 안치된 관의 소각이 이루어지는 곳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nd Fig. 5,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of the cremation incin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mbustion burner 22 is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the incinerator 10 to be charged. For example, the incineration of a coffin with a dead body takes place.

이와 같은 주연소실(20)은, 상기 피 소각체(10)의 로 장입 및 추출을 위하여 구비된 도어(26a)(26b)들을 포함함은 물론이고, 특히 장입과 추출도어사이에 피소각체인 관을 원활하게 장입 추출시키기 위한 피 소각체 이동롤러(24)들이 설치되어 있다.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includes doors 26a and 26b provided for furnace charging and extraction of the incinerator 10, and in particular, a pipe which is incinerated between the charging and extraction doors. The incinerator moving rollers 24 for smoothly charging and extracting are installed.

따라서, 본 발명의 주연소실(20)은 관의 장입 및 추출이 용이한 대차형으로 구성된다.Therefore,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of this invention is comprised with the bogie type which can load and extract a tube easily.

다음,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 소각로(1)에서 재연소실(20)은, 주연소실(20)의 하부에 배치되나 배기가스 통로(50)를 통하여 주연소실의 배기가스는 재연소실(30)로 흐르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ures 3 to 5, the reburn chamber 20 in the cremation incin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low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but through the exhaust gas passage 50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The exhaust gas flows into the reburn chamber 30.

특히,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 소각로에서 재연소실(30)은, 다중 배기가스 유도로(34)를 포함하기 때문에, 주연소실(20)->배기가스 통로(50)를 통하여 유입된 배기가스(G)의 체류시간이 증대되고, 이는 로체 온도유지를 용이하게 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5, since the reburn chamber 30 includes the multiple exhaust gas induction furnace 34 in the cremation inci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the exhaust gas passage 50 is separated. The residence time of the exhaust gas G introduced through is increased, which facilitates maintaining the furnace temperatur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소각로(1)의 경우에는, 주연소실은 기존의 대차방식으로 하고, 재연소실은 기존의 캐비넷방식으로 하여 각각의 이점을 동시에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remation incin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is a conventional bogie and the reburn chamber is a conventional cabinet.

이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 소각로(1)를 대차형이면서 하부에 캐비넷 방식과 같이 재연소실을 두기 위하여 주연소실과 재연소실을 연통시키는 상기 배기가스 통로(50)는 상기 주연소실의 로체 양측에서 하방 신장하여 재연소실의 양측에 연결되게 된다.3 and 4, the exhaust gas passage 50 for communicating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combustion chamber in order to put the recombustion chamber in the bogie ty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smetic incin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 Is extended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furnace body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reburn chamber.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주연소실(20)의 로체 양측에서 배기가스 통로(50)를 통하여 재연소실로 유통되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재연소실 유입도 원활하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flows to the reburn chamber through the exhaust gas passage 50 on both sides of the furnace body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the inflow of the reburn chamber of the exhaust gas is also smooth.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가스 통로(50)에는 배기가스의 재연소실 유입을 필요에 따라 개방 또는 차단하는 통로 개폐수단(52) 즉, 통로(50)에서 수평 이동되는 개폐 플레이트(52)와, 개폐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로체 외부에 수평 제공된 구동실린더(52a)를 포함하고, 로체 개구(52b)를 통과하여 수평 이동하면서 작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exhaust gas passage 50,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52, 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that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passage 50 to open or block the inlet of the re-combustion chamber of the exhaust gas as necessary 52 and a drive cylinder 52a provided horizontally outside the furnace body to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connected, and can be operated while moving horizontally through the furnace body opening 52b.

따라서, 상기 개폐 플레이트(52)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에 따라 배기가스의 제연소실 유입이 조정된다. Therefore, the inflow of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exhaust ga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52.

예를 들어, 화장 진행중인 연소 소각 중에는 연속적으로 배기가스가 발생되므로, 개폐 플레이트는 배기가스 통로(50)를 개방시키어 배기가스(G)가 지속적으로 재연소실(30)로 유입되도록 한다.For example, since the exhaust gas is continuously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incineration in progress, the opening / closing plate opens the exhaust gas passage 50 so that the exhaust gas G continuously flows into the reburn chamber 30.

그러나. 화장이 완료된 후에는 배기가스 통로(50)을 차단하여 재연소실에 있는 배기가스의 주연소실 역 유입을 차단한다.But. After the makeup is completed, the exhaust gas passage 50 is blocked to block the inflow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back from the exhaust gas in the reburn chamber.

그리고, 도 5와 같이 재연소실(30)의 다중 배기가스 유도로(34)들은 도 2의 화장 소각로(200)에 비하여 배기가스의 체류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multiple exhaust gas induction furnaces 34 of the reburn chamber 30 may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exhaust gas as compared with the cremation incinerator 200 of FIG. 2.

이때, 도 5의 도면부호 36은 허니컴 형태의 개공벽으로서 유도로상의 배기가스 배출을 일시 억제하도록 하여 배기가스의 체류 시간을 증대시킨다. At this time, reference numeral 36 in FIG. 5 is a honeycomb-shaped opening wall to temporarily suppress the exhaust gas discharge on the induction furnace, thereby increasing the residence time of the exhaust gas.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화장 소각로(1)에서는, 연소 소각시 주연소실(2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G)는 개폐수단(50)의 가동시 배기가스 통로(50)를 통하여 재연소실(30)로 유입되고, 다중 배기가스 유도로(74)를 거쳐 유도로와 만나는 일측 배출구(30a)를 통하여 배기가스는 배출된다.Therefore, in the cremation incin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exhaust gas G generated i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at the time of combustion incineration is reburned through the exhaust gas passage 50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50. 30 is introduced into the exhaust gas through one of the exhaust ports 30a which meet the induction furnace via the multiple exhaust gas induction furnace 74.

한편,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화장 소각로(1)에서 상기 재연소실(30)에는 재연소버너(32)를 설치하여 배기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환경오염물질을 재연소하여 제거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in the incin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reburn burner 32 in the reburn chamber 30 to burn the exhaust gas, the environmental pollutants are reburned and removed.

즉, 배기가스를 재연소실에 재연소시킴으로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CO나 NOx 등이 제거된다.That is, by reburning the exhaust gas in the reburn chamber, CO, NOx,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are removed.

더하여,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관련된 화장 소각로(1)는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연소실, 재연소실 및 주연소실과 재연소실 연통구역(A)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와 연결되면서 외기공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기 공급라인(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emation incinerator 1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is connected to any one or both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the reburn chamber and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burn chamber communication zone A, as shown in FIGS. 4 and 7.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outside air supply line 40 for supplying outside air.

즉, 외기 공기를 주연소실(20)과 재연소실(30) 및 주연소실과 재연소실의 연통구역(도 7의 'A' 부분)에 화장 소각로 가동시 공급할 수 있다.That is, the outside air can be supplied 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and the reburn chamber 30 and to operate the cremation incinerator in the communication zone (part 'A' of FIG. 7)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burn chamber.

그러나, 도 3 및 도 7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 소각로(1)에서는 외기공기 공급라인(40)이 주연소실(20) 및, 주연소실과 재연소실 사이의 연통구역(A) 즉, 배기가스 통로(50)에 각각 연결하는 것이다.However, as shown in Figs. 3 and 7, preferably, in the incin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is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and the communication zone A betwee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burn chamber. And the exhaust gas passages 50, respectively.

따라서, 이와 같이 외기공기를 외기공기 공급라인(40)을 통하여 1차적으로 주연소실(20)에 공급하면, 초기 소각 연소시의 주연소 버너를 통한 소각 능력이 증대된다.Thus, when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primarily through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the incineration capability through the main combustion burner during the initial incineration combustion is increased.

결국, 외기 공기의 주연소실 투입은 산소 농도를 높이기 때문에, 주연소실에서의 화염 증대는 물론, 연소 능력이 급격하게 증대되어, 주연소실에서의 불완전연소를 최소화시킨다.As a result, the input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of the outside air raises the oxygen concentration, so that not only the flame increase i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but also the combustion capability is rapidly increased, thereby minimizing incomplete combustion i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특히, 외기공기를 주연소실(20)에 공급라인(40)을 통하여 과잉 주입하면, 주연소실에서의 CO 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이는 본 발명의 화장 소각로(1)를 친환경적 화장소각로로 설비 구축하거나 조업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particular, when excess air is injected in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through the supply line 40, the CO concentration i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is drastically reduced, which is a facility for constructing the incin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cosmetic incinerator. Or to secure operational skills.

또한, 이와 같은 외기공기가 그 공급라인(40)을 통하여 재연소실 구체적으로는 주연소실(20)과 재연소실(30)을 연통하는 배기가스 통로(50)에 공급되는 경우, 재연소실(30)에서도 주연소실(20)과 마찬가지로, 과잉 산소 공급으로 CO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such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reburn chamber, specifically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and the exhaust gas passage 50 communicating with the reburn chamber 30 through the supply line 40, the reburn chamber 3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the generation of CO is markedly reduced by supplying excess oxygen.

따라서, 도 3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 소각로(1)에 있어서는, 상기 외기공기 공급라인(40)에서 분기되는 주연소실 연결관(46)과 배기가스 통로 연결관(48)을 포함한다.3 and 7, in the cremation incin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connecting pipe 46 and the exhaust gas passage connecting pipe 48 branched from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are provided. ).

결국, 본 발명의 화장 소각로(1)에 있어서는, 1차적으로 재연소실의 버너(32)를 점화 가열하여 약 5분이 경과하면, 로체가 연소에 적정한 온도로 되고, 이때 주연소실의 버너(22)를 점화하여 피 소각체(10)에 화염을 가하면, 피 소각체(특히 연소가 잘되는 가열성 물질인 목관)가 급속히 연소 소각되면서 순간적으로 산소 부족현상이 발생되어 CO가스가 방출되는 경우, 주연소실 버너의 점화와 동시에 앞에서 설명한 외기공기 공급라인(40)을 통하여 상온의 외기공기를 과잉으로 주연소실에 공급한다.As a result, in the cosmetic incin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bout 5 minutes have elapsed after the ignition and heating of the burner 32 of the reburn chamber, the furnace is brought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combustion. When the flame is applied to the incineration object 10 by igniting, the incineration body (particularly, a wood material, which is a combustible heating material) is rapidly burned and burned, and an oxygen deficiency occurs instantaneously, and the main combustion chamber is released. Simultaneously with the ignition of the burner, the outside air supply at room temperature is excessively supplied 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described above.

그리고, 주연소실(20)보다 약 5 분 정도 먼저 재연소실 버너(32)가 점화되어 로체를 예열하는 배기가스 통로(50)에도 외기공기 공급라인(40)를 통하여 외기공기를 과잉 공급하여 연소에 필요한 산소 공급을 충분히 함으로써, 1 atm, 850 °C의 고온에서 일어나는 아래와 같은 반응에 의하여 전체적인 CO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burn chamber burner 32 is ignited about five minutes before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to ignite the exhaust gas passage 50 for preheating the furnace through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to supply excessive air for combustion. By supplying the necessary oxygen supp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verall CO generation by the following reaction occurring at a high temperature of 1 atm, 850 ° C.

CO + 1/2 O2 -> CO2 + 69.3017 kcal/mol-CO CO + 1/2 O 2- > CO 2 + 69.3017 kcal / mol-CO

이때, 가연성 물질 예컨대, 피 소각체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열로 인한 화장 소각로의 온도 상승을 공급되는 외기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 없이 승온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supply amount of the outside air supplied to the rise of the temperature of the cremation incinerator due to the combustion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combustible material, for example, the incinerato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rise without additional energy consumption.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기공기 공급라인(40)에는 외기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잉유닛(42)과 유량제어밸브(44)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is provided with a blowing unit 42 and a flow control valve 44 for supplying the outside air.

따라서, 상기 블로잉 유닛(42)과 유량제어밸브(44)의 가동에 따라 외기공기의 주연소실, 배기가스 통로의 공급량이 조정 제어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unit 42 and the flow control valve 44, the supply amount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of the outside air and the exhaust gas passage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기공기 공급라인(40)의 블로잉 유닛(42)과 유량제어밸브(44)는, 배기가스 통로(50)에서 분기된 배기가스 배출관(80)과 연계된 가스 측정기(82)와 연계되는 소각로 설비 제어부(C) 와 연계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blowing unit 42 and the flow control valve 44 of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are exhaust gas discharge pipes branched from the exhaust gas passage 50. It may be associated with the incinerator facility control unit (C) associated with the gas meter 82 associated with (80).

따라서, 상기 가스 측정기(82) 예를 들어, CO 측정기(기타 산소 측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에서 측정된 CO 량에 따라 제어부(C)는 외기공기 공급라인(40)의 불로잉유닛과 유량제어밸브의 가동 제어를 통하여 주연소실과 배기가스 통로(50)에 공급되는 외기 공기의 양을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 measured by the gas measuring device 82, for example, a CO measuring device (which may include other oxygen measuring devices, etc.), the controller C may control the blowing unit and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Through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ntrol valve, the amount of outside air supplied 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exhaust gas passage 50 can be continuously adjusted.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기공기 공급라인(40)에는 상기 주연소실(20)과 재연소실(30)의 배기가스 배출구(20a)(30a)와 연결되는 배기가스 배출라인(60a)(60b)이 합쳐진 배기가스 배출라인(60)에 설치된 냉각기(62)에서 분기되는 배기가스 분기라인(61)이 더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60a connected to the exhaust gas outlet 20a, 30a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and the reburn chamber 30 Exhaust gas branching line 61 branched from the cooler 62 installed i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60 in which) 60b is combined may be further connected.

이때, 상기 배기가스 분기라인(61)에는 불로잉유닛(64)을 통하여 외기 공기가 공급되고 냉각기(62)를 통하여 배기가스가 공급된다.At this tim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exhaust gas branch line 61 through the blowing unit 64 and exhaust gas is supplied through the cooler 62.

따라서, 주연소실과 배기가스 통로에는 상온의 외기공기(공급라인 40을 통하여)만이 아니라, 필요시 냉각된 배기가스를 포함하는 외기공기가 배기가스 분기라인(61)을 통하여 주연소실(20)과 배기가스 통로(50)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exhaust gas passage, not only the ambient air at room temperature (via the supply line 40) but also the outside air containing the cooled exhaust gas, if necessary,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and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through the exhaust gas branch line 61. It may be supplied through the exhaust gas passage 50.

이 경우, 피 소각체(10)가 완전 연소된 이후에는 에너지 저감을 위해 배기가스 배출라인(60)에서 냉각기(건식 냉각기)(62)를 거치는 냉각된 배기가스를 포함하는 외기공기를 외기공기 공급라인(40)에 공급하여, 완전 연소후 저농도 산소공급이 가능한 경우 이용한다.In this case, after the incinerator 10 is completely burned,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outside air including the cooled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cooler (dry cooler) 62 i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60 to reduce energy. It is supplied to the line 40, and is used when low concentration oxygen supply is possible after complete combustion.

즉, 본 발명의 외기공기 공급라인(40)은 초기 소각시 산소가 급격히 부족한 경우에는 상온의 외기 공기만을 충분히 공급하고, 연소가 어느 정도 완료되는 시점 에서는 배기가스 분기라인(61)을 통하여 냉각된 배기가스+외기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only enough ambient air at room temperature when oxygen is suddenly insufficient during initial incineration, and is cooled through the exhaust gas branch line 61 at the time when combustion is completed to some extent. It is to supply exhaust gas + outdoor air.

또한, 이 경우 배기가스를 일부 재순환시키어 외기공기와 혼합하여 화장 소각로에 공급하기 때문에, 배기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배기가스에 포함된 NOx의 재연소를 통한 제거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case, since some of the exhaust gas is recycled and mixed with the outside air to be supplied to the cremation incinerat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xhaust gas emissions and to remove the NOx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by recombustion.

이때,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가스 분기라인(61)은 배기가스 배출라인(60)에 구비된 냉각기(62)를 통과하여 냉각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되 외기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잉유닛(64)과 유량제어밸브(66)를 포함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the exhaust gas branch line 61 passes through the cooler 62 provided i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60, and the cooled exhaust gas flows into the blowing unit to supply outside air. 64 and a flow control valve 66.

그리고, 상기 블로잉유닛(64)과 유량제어밸브(66)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스 측정기(80)와 연계된 화장 소각로(1)의 설비 제어부(C)와 연계되어 제어 작동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lowing unit 64 and the flow control valve 66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facility control unit C of the cosmetic incinerator 1 associated with the gas measuring unit 80.

도 8과 같이, 상기 가스 측정기(82)는 배기가스 통로(50)에 연결된 배기가스 배출관(80)과 연결되어 배기가스의 CO, 산소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gas detector 82 may be connected to an exhaust gas discharge pipe 80 connected to the exhaust gas passage 50 to measure CO, oxygen concentration, etc. of the exhaust gas.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가스 배출라인(60)에는, 상기 냉각기 상류측의 배기가스(G)를 모으는 싸이크론(68)과 고온의 가스로부터 현열을 회수하기 위한 열교환기(70) 및, 상기 냉각기 하류측의 백필터(72)와 배풍기(74)와 연돌(76)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60 includes a cyclone 68 collecting exhaust gas G upstream of the cooler and a heat exchanger 70 for recovering sensible heat from a high temperature gas. And a bag filter 72, a blower 74, and a stack 76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oler.

그리고, 상기 냉각기(62)와 백필터(72) 사이에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SOx나 HCl의 처리를 위한 건식이송흡착제 공급장치(dry Sorbent Injection System)(78)를 설치하여 소석회를 취입 이들을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between the cooler 62 and the bag filter 72, a dry Sorbent Injection System (78) for treating SOx or HCl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is installed to process the slaked lime. It is also possible.

한편, 도 3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기공기 공급라인(40)의 주연소실 연결관(46)은 주연소실의 다수 지점에서 외기공기를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and 7, the main combustion chamber connecting pipe 46 of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to supply the outside air at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다음,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화장 소각로의 작동을 정리하면, 시신과 부장품을 포함한 목관을 대차(이송롤러(24))를 이용하여 주연소실(20)에 투입하면, 먼저 주연소실 하부의 재연소실 버너(32)를 점화하여 대략 5~10분 동안 300~400℃까지 승온시키어 로체를 예열한다.Next, if the operation of the cremation inci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the woodwinds including the body and the auxiliary storage is put in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using the balance (transfer roller 24), the first reburn chamber of the lower main combustion chamber The burner 32 is ignited to warm up to 300-400 ° C. for about 5-10 minutes to preheat the furnace.

다음, 주연소실(20)의 버너(22)를 점화하게 되면, 이때 주연소실의 버너에 공급되는 연료량은 최소로 설정 공급하면서, 단지 피 소각체(10)인 목관에 불을 부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이 경우 시신이 안치된 목관의 경우 잘 건조된 상태이기 때문에 점화(불이 붙게) 되면 목관은 급속히 소각되면서 연소실의 온도가 승온되게 된다. Next, when the burner 22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is ignited, at this time, the amount of fuel supplied to the burner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is set to a minimum, and serves to ignite a wood pipe which is only the incinerator 10. In this case, because the body is placed in the wood shepherds are well-dried, if the ignition (fire), the wood pipe is incinerated rapidly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chamber.

이때, 대략 150~200 ℃ 의 온도로 주연소실 온도가 승온되면, 주연소실의 버너 연료량을 최소로 공급하면서, 버너에 공연비 3.0 이상으로 과잉의 연소공기를 공급하고, 외기공기 공급라인(40)의 주연소실 및 배기가스 통로 연결관(46)(48)을 통하여 버너 연소공기와 별도의 과잉의 외기공기를 주연소실에 공급하여 충분한 산소를 확보하게 하고, 이때 가연성 물질인 목관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불완전연소를 막아주면서 주연소실 온도를 설정온도까지 승온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temperature is raised to a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150 ~ 200 ℃, while supplying the burner fuel amount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to the minimum, excess combustion air is supplied to the burner at an air-fuel ratio of 3.0 or more, and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exhaust gas passage connecting pipes 46 and 48 supply burner combustion air and other excess air 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to secure sufficient oxygen, which is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wood pipe, which is a combustible material. The main combustion chamber temperature is raised to the set temperature while preventing incomplete combustion.

다음, 도 8의 CO 측정기(80)와 산소분석기(미도시)에서 농도를 측정하여 화장 소각로 설비 제어부(C)를 통하여 외기공기 공급라인의 유량제어밸브와 블로잉 유닛들을 제어 작동시키어 적정량의 외기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면서 CO의 완전 연소를 유도한다.Next,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in the CO meter 80 and oxygen analyzer (not shown) of Figure 8 to control the flow control valve and blowing units of the outside air supply line through the makeup incinerator facility control unit (C) to operate the appropriate amount of outside air Induce complete combustion of CO.

그리고, 초기의 약 15 ~ 20 정도의 피 소각체 급속 연소에 따른 CO의 과잉 발생단계가 지나면 유체의 소각이 이루어져 다량의 수분증발과 함께 건조 및 하소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에는 정상적인 연료와 연소공기를 1.1 ~ 1.2로 설정한 버너 조업으로, 주연소실은 약 850℃ 장도, 재연소실은 900℃를 유지한다.In addition, when the excess generation stage of CO due to rapid combustion of the incinerator of the initial stage of about 15 to 20 passes, the incineration of the fluid is performed, followed by drying and calcining with a large amount of water evaporation, in which case normal fuel and combustion air The burner operation is set at 1.1 to 1.2. Main combustion chamber is about 850 ℃ and the reburn chamber is 900 ℃.

이때, 유체의 소각과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함유 미연분 및 CO는 재연소실의 재연소로 처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haust gas-containing unburned and CO discharged during the incineration of the fluid may be treated by reburning the reburn chamber.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소가 어느 정도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배기가스 배출라인(60)의 냉각기(62)에서 분기된 배기가스 분기라인(61)을 통하여 냉각된 배기가스를 일부 포함하는 외기공기를 외기공기 공급라인(40)에 공급하여 배기가스 순환 처리와 냉각되지만 외기공기보다는 온도가 높은 배기가스를 일부 이용하여 외기공기 온도를 예열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저감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mbustion is completed to some extent, the outside air including some of the exhaust gas cooled through the exhaust gas branch line 61 branched from the cooler 62 of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60. By supplying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with the exhaust gas circulation treatment and cooling, the preheating and supply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by using a part of the exhaust gas having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outside air enables energy reduction.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 fa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도 1a 및 도 1b는 종래 대차형 화장 소각로를 도시한 측면 및 정면 구조도1A and 1B are side and front structural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bogie-type cremation incinerator

도 2는 종래 캐비넷형 화장 소각로를 도시한 측면 구조도Figure 2 is a side structur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abinet-type cosmetic incinerator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형이면서 하부에 재연소실을 구비한 화장 소각로를 도시한 측면, 정면 및 평면(재연소실) 구조도3 to 5 are side, front and flat (reburn chamber)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cosmetic incinerator having a bogie type and a reburn chamber at the bott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배기가스 통로의 개폐수단을 도시한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exhaust gas passag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소각로의 외기공기 공급라인을 도시한 구성도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ir supply line of the incineration inci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배기가스의 CO 농도 측정상태를 도시한 개략도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asurement of CO concentration of exhaust ga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화장 소각로 10.... 피 소각체1 .... cremation incinerator 10 .... blood incinerator

20.... 주연소실(로) 22,32.... 버너20 .... main combustion chamber (ro) 22,32 .... burner

24.... 대차용 롤러 30.... 재연소실(로)24 .. Balance roller 30 .... Reburn chamber

34.... 배기가스 다중 유도로 40.... 외기공기 공급라인34 .. Multiple Induction Furnaces 40 .... Air Supply Line

42,64.... 블로잉유닛 44,66.... 유량제어밸브42,64 .... Blowing unit 44,66 .... Flow control valve

46.... 주연소실 연결관 48.... 배기가스 통로 연결관46 .... main combustion chamber connector 48 .... exhaust gas passage connector

50.... 배기가스통로 60.... 메인 배기가스 배출라인50 .... Exhaust gas passage 60 .... Main exhaust gas discharge line

61.... 배기가스 분기라인 62.... 냉각기61 .... exhaust branch line 62 .... cooler

80.... 배기가스 배출관80 .... exhaust pipe

Claims (8)

피 소각체(10)의 소각이 이루어지는 주연소실(20);A main combustion chamber 20 where incineration of the incinerator 10 is performed; 상기 주연소실과 연통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배기가스가 유입 체류되는 재연소실(30); 및,A recombustion chamber 30 arrang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mbustion chamber while the exhaust gas flows in and stays therein; And, 상기 주연소실 및, 주연소실과 재연소실 사이의 연통구역(A)에 연결되면서 외기공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기 공급라인(40);An outside air supply line 40 connected 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communication zone A betwee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burn chamber to supply outside air;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Consists of including 상기 외기공기 공급라인(40)이 연결되는 주연소실과 재연소실 사이의 연통구역(A)은 주연소실과 재연소실사이에 개폐수단(52)을 구비하면서 연결되는 배기가스 통로(50)에 형성되고, 상기 재연소실(30)은 주연소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주연소실 상부와 재연소실 일측에는 배기가스 배출구(20a)(30a)가 구비되는 화장 소각로.The communication zone (A) betwee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combustion chamber to which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is connected is formed in the exhaust gas passage 50 connect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52 between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combustion chamber. , The reburn chamber (30) is disposed below the main combustion chamber, the incineration incinerator is provided with an exhaust gas outlet (20a, 30a)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burn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연소실(20)과 재연소실(30)에는 각각 버너(22)(32)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소각로.Burner (22) (3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rner inci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combustion chamber 20 and the reburn chamber (30).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주연소실은, 상기 피 소각체의 로 장입 및 추출을 위하여 구비된 도어(26a)(26b) 및, 상기 도어 사이로 로 내부에 설치된 피소각체 이동롤러(24)를 포함하여 대차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소각로.The main combustion cha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mprises a trolley including doors (26a) and (26b) provided for the charging and extraction of the furnace object, and the moving object roller (24) installed in the furnace between the doors. Cremation incinerat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재연소실(30)은 배기가스 체류시간을 증대토록 다중 배기가스 유도로(34)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가스 통로(50)는 주연소실의 로체 양측에서 하방 신장하여 재연소실의 로체 양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소각로.The reburn chamber 30 includes multiple exhaust gas induction furnaces 34 to increase the exhaust gas residence time, and the exhaust gas passage 50 extends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furnace body of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urnace body of the combustion chamber. Cremation inci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외기공기 공급라인(40)에는 주연소실과 재연소실 배기가스 배출구와 연결되는 배기가스 배출라인(60)에서 분기된 배기가스 분기라인(61)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소각로.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is incineration inci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nnected to the exhaust gas branch line 61 branched from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60 connected 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burn chamber exhaust gas outlet.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외기공기 공급라인(40)에는 외기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잉유닛(42)과 유량제어밸브(44)를 포함하되, 주연소실과 배기가스 통로에 각각 연결되는 주연소실 연결관(46)과 배기가스 통로 연결관(48)이 외기공기 공급라인(40)에서 분기 연결되며,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includes a blowing unit 42 and a flow control valve 44 for supplying the outside air, and the main combustion chamber connecting pipe 46 and the exhaust ga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ain combustion chamber and the exhaust gas passage. The passage connector 48 is branched from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상기 배기가스 분기라인(61)은 배기가스 배출라인(60)에 구비된 냉각기(62)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배기가스와 외기공기가 혼합되어 외기공기 공급라인(40)에 공급되고, 외기공기 공급용 블로잉유닛(64)과 유량제어밸브(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소각로.The exhaust gas branch line 61 is passed through the cooler 62 provided in the exhaust gas discharge line 60, the cooled exhaust gas and the outside air is mixed and supplied to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the outside air supply Cosmetic incinerator comprising a blowing unit (64) and a flow control valve (66).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외기공기 공급라인(40)의 블로잉 유닛(42)과 유량제어밸브(44) 및, 상기 배기가스 분기라인(61)의 블로잉유닛(64)과 유량제어밸브(66)는, 배기가스 측정기(82)와 연계된 소각로 설비 제어부(C)와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소각로.The blowing unit 42 and the flow control valve 44 of the outside air supply line 40, and the blowing unit 64 and the flow control valve 66 of the exhaust gas branch line 61, the exhaust gas measuring instrument ( 82 incinerator facility control unit (C) associated with the cremation inci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ssociated with.
KR1020070135901A 2007-12-21 2007-12-21 Cremator KR1010422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901A KR101042201B1 (en) 2007-12-21 2007-12-21 Crem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901A KR101042201B1 (en) 2007-12-21 2007-12-21 Crem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042A KR20090068042A (en) 2009-06-25
KR101042201B1 true KR101042201B1 (en) 2011-06-20

Family

ID=4099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901A KR101042201B1 (en) 2007-12-21 2007-12-21 Crem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20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740B1 (en) * 2010-03-24 2012-06-15 (주)인터스틸 Cremation furnace system for vertical baseplacing coffin and method of cremation furnace system for vertical baseplacing coffin
KR101160954B1 (en) * 2010-05-13 2012-06-29 주식회사 한양인더스트리 Cremator
CN114110595A (en) * 2021-12-01 2022-03-01 民政部一零一研究所 Oxygen-assisted combustion device of cremation equipment in high altitude are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499Y1 (en) 2001-08-29 2002-01-09 에프케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crematories
KR20020059499A (en) * 2001-01-06 2002-07-13 (주)이앤와이어리스 Sending gift list and payment method by email
KR100777436B1 (en) 2006-07-21 2007-11-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Energy saving and enviroment-frendly type crem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499A (en) * 2001-01-06 2002-07-13 (주)이앤와이어리스 Sending gift list and payment method by email
KR200259499Y1 (en) 2001-08-29 2002-01-09 에프케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crematories
KR100777436B1 (en) 2006-07-21 2007-11-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Energy saving and enviroment-frendly type crem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042A (en)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63119C (en) Harmless resource utilization device of urban garbage
CN100432532C (en) Combined incineration treatment method for refuse and special vertical oxygen-enriched continuous incinerator
CN208398087U (en) A kind of domestic garbage pyrolysis innoxious burning equipment
CN106224974A (en) Waste incineration processing system
WO20232213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processing hazardous waste by rotary kiln and sintering machine
KR101042201B1 (en) Cremator
CN110220204A (en) A kind of system and method for waste incineration cooperatively processing sludge
CN111807671A (en) Sludge incineration and carbonization cooperative treatment system
KR101533604B1 (en) The low pollutant emission combustion using high-temperature FGR
CN106224975B (en) Waste incinerator
KR100777436B1 (en) Energy saving and enviroment-frendly type cremator
KR101001198B1 (en) Enviroment-Frendly Type Cremator
CN206347578U (en) A kind of waste incineration air and gas system
US6729246B2 (en) Interlinked synthetic garbage incinerator with a plurality of inlets
CN202852833U (en) Fixed bed type small-sized medical waste destructor
CN201437987U (en) Waste gas incinerator
CN201170547Y (en) Oxygenation combustion-supporting device for fire coal electrification boiler of circulating fluid bed
CN2906350Y (en) Medical refuse burning complete treatment equipment based on resource utilization method
CN207750992U (en) A kind of burning processing system
CN205481020U (en) High -efficient small -size waste incinerator of multilayer formula
KR101286604B1 (en) Portable cremator system
WO2013117059A1 (en) Sealed rubbish incineration furnace and incineration furnace body
JP4010773B2 (en) Incinerator
KR101286601B1 (en) Portable cremator
KR100655595B1 (en) Energy Saving and Enviroment-Frendly Type Crem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