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002B1 - bed and bed auxiliary apparatus - Google Patents

bed and bed auxiliar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002B1
KR101041002B1 KR1020080091289A KR20080091289A KR101041002B1 KR 101041002 B1 KR101041002 B1 KR 101041002B1 KR 1020080091289 A KR1020080091289 A KR 1020080091289A KR 20080091289 A KR20080091289 A KR 20080091289A KR 101041002 B1 KR101041002 B1 KR 10104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extension
base portion
frame
mat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2231A (en
Inventor
박성현
Original Assignee
박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현 filed Critical 박성현
Priority to KR102008009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002B1/en
Publication of KR20100032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2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0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20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thereby uncovering one or more auxiliary parts previously hidden
    • A47C17/207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thereby uncovering one or more auxiliary parts previously hidden with seat cushion consisting of multiple superposed parts, at least one lower hidden part being used to form part of the bed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의 환자보호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부; 침대의 전장을 연장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일측에 마련된 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어 상기 침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기 때문에 장신의 환자보호자도 기존의 짧은 침대에서 좀 더 편히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 care bed in a hospi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nsion part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base part to extend a full length of a bed; And a coupling means provided in the base portion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ed, and thus a technique for allowing a tall patient protector to relax more comfortably in an existing short bed is disclosed.

병원침대, 환자보호자용 침대, 침대보조기구 Hospital beds, guardian beds, assistive devices

Description

침대 및 침대보조기구{bed and bed auxiliary apparatus}Bed and bed auxiliary apparatus

본 발명은 병원의 환자보호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 care bed in a hospital.

병원에서는 신체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보호하는 보호자들이 환자와 함께 생활하고 있다. 그래서 환자용 침대에는 환자의 보호자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보조침대가 준비되어 있다. In the hospital, caregivers living with the patients who live with the physically disabled are living with the patients. Therefore, the patient's bed is equipped with an auxiliary bed for the patient's guardian to rest or sleep.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어, 병원에 준비되어 있는 보호자용 보조침대의 길이는 165cm 이다. 이는 환자용 침대(통상 길이가 190cm정도 된다.)의 다리 사이로 보호자용 침대를 밀어 넣어 보관해야 되기 때문에 더 이상 보호자용 침대를 길게 만들 수 없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남자들의 평균키는 173cm이고, 여자는 160cm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남자는 보호자용 침대에서 다리를 펴고 잠을 자기에 보호자용 침대의 길이가 턱 없이 짧고, 평균키의 여자들의 경우에도 보호자용 침대의 길이가 짧아 베개를 배지 못하고 잔다거나, 옆으로 누워 다리를 구부려 불편하게 잠을 잘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Guardian beds are currently available on the market and are available in hospitals at length of 165 cm. This is because the guard bed cannot be made longer because the guard bed must be stored between the legs of the patient's bed (usually 190 cm long). However, according to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average height of Korean men is 173cm and women are 160cm. As a result, most men sleep with their legs stretched out in the guard bed, and the guard bed is short without a chin. Even for women of average height, the length of the guard bed is short.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sleep uncomfortable by bending the legs.

환자의 보호자용 침대에 관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4-0058759호(발명 의 명칭 : 하부 및 측부공간이 보강된 보호자용 보조침대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선행기술에서 보호자용 보조침대(300)는 환자형침대(300)에 대해 폭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펼쳐지거나 삽입되는 주보조수단(310)과, 주보조수단의 내측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측부공간을 보강하는 측부보강수단(320) 및, 측부보강수단의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하부공간을 보강하는 하부보강수단(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re is a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58759 (name of the invention: a patient bed with a guard bed for the lower and side space is reinforced prior art). In the prior art, the auxiliary bed 300 for the guardian is slid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tient type bed 300, the main auxiliary means 310 and the sliding side along the inner width direction of the main auxiliary means sliding side space The side reinforcing means 320 for reinforcement, and the lower reinforcing means 330 sliding along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reinforcing means to reinforce the lower space.

그러나, 선행기술에서는 보조침대의 하부 및 측부에 추가적인 공간을 제공하여 줄 수는 있지만, 환자의 침대와 보호자의 침대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자의 침대를 이용할 경우 환자의 침대에 충격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의 환자의 침대를 선행기술이 적용된 환자의 침대로 일일이 바꾸기에는 침대교체비용 또한 많이 들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ovide additional space in the lower part and the side of the auxiliary bed, but since the patient's bed and the guardian's bed are connected, the problem of impacting the patient's bed when using the guardian's bed i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replacing the bed is too high to change the conventional patient's bed to the patient's bed applied to the prior art.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길이(전장)를 손쉽게 연장시킬 수 있는 침대 및 침대보조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d and bed aids that can easily extend the length (full lengt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대보조기구는 베이스부; 침대의 전장을 연장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일측에 마련된 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어 상기 침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ed ai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se portion; An extension part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base part to extend a full length of a bed; And a coupling means provided on the base portion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ed.

여기서,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는 베개부가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upper part of the exten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low unit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침대의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coupl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so that the frame of the bed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침대의 프레임 형상에 대응되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insertion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frame shape of the bed is another feature.

여기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침대의 프레임 형상에 대응되도록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제 1홈부와 상기 제 1홈부의 양단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제 2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insertion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frame shape of the bed and a second groove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first groove portion.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소정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 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receiving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portion can accommodate a predetermined object; It is characterized by another comprising a further.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납부에 탈착될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bas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be detachable to the receiving portion.

여기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결합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receiv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d to the base portion is anoth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매트리스부; 상기 매트리스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전장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ttress unit; A frame supporting the mattress; And an extension part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to reduce or increase the overall length.

여기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프레임에 힌지결합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exten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d to the frame another.

여기서,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 베개부가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Here, it is another feature that the pillow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본 발명에 따른 침대보조기구는 기존의 보호자용 침대에 설치되어 침대의 길이를 쉽게 연장되도록 하기 때문에 장신의 보호자도 편하게 쉴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Bed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comfortably extended even the guardian of the tall because it is installed on the existing guardian bed to easily extend the length of the bed.

그리고, 침대보조기구의 제조가 간단하며, 기존의 환자보호자용 침대를 교체할 필요없이 기존의 보호자용 침대를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침대개선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nufacturing of the bed aids is simple, the existing bed for the caregiver can be improved without having to replace the bed for the patient caregiver, thereby reducing the bed improvement cos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자용 침대는 침대의 길이를 쉽게 연장시킬 수 있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키가 큰 보호자가 좀 더 편하게 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guard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nsion that can easily extend the length of the b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all guardian can rest more comfortably.

또한, 보호자용 침대와 환자의 침대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침대에 충격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guard bed and the patient's bed is sepa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impact the patient's bed.

그리고, 환자보호자용 침대의 제조가 쉬우면서도 제조비용은 저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atient caregiver is easy, but the manufacturing cost is advantageou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환자보호자용 침대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d ai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d ai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tient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ild bed and an auxiliary be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4a 및 도 4b에 일부 도시된 종래의 환자보호자용 침대(100')를 간단히 설명하면, 기존의 침대(100')는 매트리스(M)와 매트리스(M)를 지지하는 프레임(F)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레임(F)은 가로방향의 제 1빔(FB1)과 세로방향의 제 2빔(FB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가로방향이라 함은 침대에서 가장 긴 변의 방향을 말한다.)First, the conventional patient caregiver bed 100 ′ partially illustrated in FIGS. 4A and 4B will be briefly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The existing bed 100 ′ is a mattress M and a mattress M. FIG. It consists of a frame (F) for supporting, the frame (F) has a first beam (FB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beam (FB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the direction of the longest side of the bed.)

도 1, 도 2 및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는 베이스부, 연장부 및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개부 또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1, 2 and 4a, the bed assis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portion, an extension and a fastening means. Here, the pillow unit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베이스부(230)는 침대보조기구의 근간을 이루며, 연장부(210)를 지지한다. The base portion 230 forms the basis of the bed assisting mechanism, and supports the extension portion 210.

베이스부(230)는 가벼우면서도 튼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부(230)의 내부는 비어있는 것이 제조비용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The base portion 230 is preferably made of a light and durable material. In addition, it may be preferable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that the inside of the base portion 230 is empty.

연장부(210)는 침대의 전장(全長)을 연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23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된다. 침대에 설치된 침대보조기구(200)의 연장부(210)는 침대의 전장이 연장(대략 30~40cm 정도)되도록 한다. The extension part 210 is provided to extend the entire length of the bed and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base part 230. Extension 210 of the bed assisting device 200 is installed on the bed so that the full length of the bed (about 30 ~ 40cm) is extended.

연장부(210)의 상측면은 평면이다.(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곡면으로 변형된 실시형태 또한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210)는 침대(100')의 매트리스(M)의 상측 면과 비슷한 수준(Level)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매트리스(M)의 상측 면과 비슷한 수준(level)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지면에서 연장부(210)의 상측면까지의 높이는 매트리스(M)의 상측면의 높이와 동등한 수준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210 is planar. (Of course, there may also be an embodiment which is modified to a curved surface if necessary.) The extension 210 is an upper side of the mattress M of the bed 100 '.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extend to a level similar to cotton. To this end, the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part 210 is preferably equivalent to the height of the upper side of the mattress M so that it can be extended to a level similar to the upper side of the mattress M.

필요에 따라서는 연장부(210)이 베개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매트리스(M)의 상측면의 높이보다 지면에서 연장부(210)의 상측면까지의 높이가 더 높도록 응용실시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If necessary, the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210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ide of the mattress M so that the extension 210 may also serve as a pillow. will be.

연장부(210)가 베이스부(23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면, 침대(100')의 매트리스(M)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2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공간(22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M)의 일측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When the extension part 21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230, a space 225 in which the mattress M of the bed 100 ′ is located is formed. Accordingly, one side of the mattress M is located in this space 225 as shown in FIG.

연장부(210)가 침대(100')의 매트리스(M)의 상측 면과 비슷한 수준(Level)으로 연장될 수 있게 연장부(210)의 높이는 침대(100')의 매트리스(M)의 두께와 거의 동등한 수준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ight of the extension 210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mattress M of the bed 100 'so that the extension 210 can be extended to a level simi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ttress M of the bed 10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bout the same level.

결합수단은 베이스부(230)가 침대(1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연장부(210)에 마련된다. 이러한 결합수단으로는 여러가지의 형태가 있을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침대(100')에 마련된 프레임(F)이 삽입되도록 베이스부(23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이 있을 수 있다. Coupling means is provided on the extension portion 210 so that the base portion 23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ed (100 '). The coupling means may have various forms. Preferably, there may be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230 to insert the frame F provided in the bed 100 '.

삽입홈의 형태는 여러가지의 형태가 있을 수 있다. The insertion groove may have various shapes.

앞서 언급하였듯이 상기 프레임(F)은 가로방향의 제 1빔(FB1)과 세로방향의 제 2빔(FB2)을 구비하고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frame F includes the first beam FB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beam FB2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a, 도 2 및 도 4a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2빔(FB2)에 대응되는 삽입홈(220)이 베이스부(230)에 형성되어 있다. 침대보조기구가 침대(100')에 설치될 때 제2빔(FB2)이 삽입홈(220)에 삽입된다. 제2빔(FB2)이 삽입홈(220)에 위치되면 침대(100')의 매트리스(M)의 일측부분이 베이스부(230)와 연장부(210)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진 부분의 공간(225)에 위치하게 된다. 침대보조기구(200)는 침대(100')에 대하여 흔들리지 않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S. 1A, 2, and 4A, an insertion groove 22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eam FB2 is formed in the base portion 230. When the bed assisting mechanism is installed in the bed 100 ', the second beam FB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0. When the second beam FB2 is positioned in the insertion groove 220, a space of the stepped portion in which one side portion of the mattress M of the bed 100 ′ is formed between the base portion 230 and the extension portion 210 ( 225). The bed assisting device 200 is not shaken with respect to the bed 100 '.

그리고 삽입홈(220)에서 프레임(F)를 이탈되게 하여 침대보조기구(200)를 침대(100')에서 쉽게 분리해 낼 수 있다. The bed assist mechanism 2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ed 100 'by allowing the frame F to b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220.

참고로, 베이스부(230)에서 삽입홈(220)이 형성된 부분의 폭은 제1빔(FB1)에 베이스부(230)가 걸리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연장부(210)측의 폭은 매트리스(M)의 폭과 동등하도록 형성시키는 변형된 실시도 가능할 것이다.For reference, the width of the portion in which the insertion groove 220 is formed in the base portion 230 is formed to have a size such that the base portion 230 is not caught by the first beam FB1 and extends on the extension portion 210 side. Modified implementations may also be made that form the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mattress M. FIG.

삽입홈이 다른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도 3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 case where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nother shape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4B.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에서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홈의 형태가 다른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se in which the shap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base portion of the bed assis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도 3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침대보조기구(200')에서 삽입홈(221,222)은 프레임(F)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제 2홈부(222)와 제 2홈부(222)의 양단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제 1홈부(221)를 포함한다. 즉, 삽입홈(221,222)은 제 1빔(FB1)의 일부와 제 2빔(FB2)이 함께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3A and 4B, the insertion grooves 221 and 222 of the bed assisting mechanism 200 ′ are formed of the second groove 222 and the second groove 222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rame F. Referring to FIGS. It includes a first groove 22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both ends. That is, the insertion grooves 221 and 222 ar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first beam FB1 and the second beam FB2 may be inserted together.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30)에 마련되는 결합수단인 삽입홈(221,222)에 침대(100')의 프레임(F)의 일측에 마련된 제 2빔(FB2) 및 제 1빔(FB1)의 일부가 위치됨으로써 침대보조기구(200')가 침대(100')에 설치된다. 이 때 침대(100')의 매트리스(M)의 일측부분이 연장부(210)의 단차진 부분의 공간(225)에 위치하게 된다. 제 1빔(FB1)의 일부와 제 2빔(FB2)이 함께 삽입홈(221,222)에 삽입되면, 침대보조기구(200')는 침대(100')에 대하여 흔들리지 않게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4B, the second beam FB2 and the first beam FB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ame F of the bed 100 'in the insertion grooves 221 and 222 which are coupling means provided in the base portion 230. As a part of the), the bed aids 200 'are installed in the bed 100'.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mattress (M) of the bed (100 ') is located in the space 225 of the stepped portion of the extension (210). When a part of the first beam FB1 and the second beam FB2 are inserted together into the insertion grooves 221 and 222, the bed assisting mechanism 200 ′ is installed so as not to shake with respect to the bed 100 ′.

그리고 삽입홈(221,222)에서 프레임(F)를 이탈되게 하여 침대보조기구(200')를 침대(100')에서 분리해 낼 수 있다. The bed assist mechanism 200 ′ may be separated from the bed 100 ′ by allowing the frame F to b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s 221 and 222.

한편, 침대보조기구에 베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베개부를 더 포함하는 침대보조기구를 도 1b 및 도 3b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도 1b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ed may be made by including a pillow unit in the auxiliary mechanism. Bed aids further comprising a pillow unit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ures 1b and 3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1b.

베개부(250)는 연장부(210)의 상부에 마련된다. 물론 연장부(210)의 높이를 매트리스(M)의 상측 면보다 높게 하여 보호자의 머리를 기댐으로써 보호자가 편히 쉴 수도 있겠으나, 보호자가 좀 더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연장부(210)의 상부에 베개부(250)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illow part 25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210. Of course, the height of the extension 210 may be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mattress (M) by resting the head of the guardian may be comfortable to rest, but the pillow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210 so that the guardian can rest more comfortably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part 250.

베개부(250)는 연장부(210)의 상부에서 보호자의 머리를 지지하게 된다. 베개부(250)는 연장부(210)의 상부에서 연장부(210)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거나 결합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베개부(250)와 연장부(210)의 결합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필요는 없으며, 연장부(21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보호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으면 족하다. The pillow part 250 supports the head of the protector at the upper part of the extension part 210. The pillow unit 25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or coupled to the extension unit 210 at the top of the extension unit 210. However, the combination of the pillow part 250 and the extension part 21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made, and it is sufficient if the upper part of the extension part 210 can support the protector's head.

그리고, 침대보조기구(200)는 베이스부(230)의 하측에 마련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d assisting mechanism 200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23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의 연장부, 베이스부 및 수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xtension, the base and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ed assis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수납부(240)는 연장부(210)와 연결된 베이스부(230)의 하측에 결합되고 소정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5, the accommodating part 24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part 230 connected to the extension part 210 and provided to accommodate a predetermined object.

수납부(24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소정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빈 공간이 있다. 베이스부(230)는 수납부(240)의 내부 빈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수납부(240)의 상측에서 수납부(24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쉽게 말해서, 베이스부(230)는 상측 면이 개방된 수납부(240)의 뚜껑역할을 하게 된다. The accommodating part 240 has an empty space in which an upper surface is opened to accommodate a predetermined object therein. The base portion 2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ccommodating part 240 at an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240 so as to open and close the inner empty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240. In other words, the base portion 230 serves as a li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whose upper surface is open.

도 5b에는 베개부(250)이 있는 경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크게 다르지 아니하다.5B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illow part 250 is provided, and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above.

한편, 베이스부(230)가 수납부(2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변형된 실시 형태도 있을 수 있으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a modified embodiment in which the base portion 2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2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의 베이스부 및 수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se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ed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240)에 베이스부(2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수납부(240)에 결합되는 베이스부(230)는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부(240)와 힌지결합(235)된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부(240)에 힌지결합(235)된 베이스부(230)는 수납부(24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뚜껑역할을 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 the base part 23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accommodating part 240. The base portion 230 coupled to the accommodating part 240 may be hinged to the accommodating part 240 so as to be rotatable. The base portion 230 hinged to the receiving portion 240 (235) serves as a lid that can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receiving portion 240.

베이스부(230)를 들어 올림으로써 수납부(240)의 공간을 개방시키고 수납부(240)의 내부공간에 보호자가 간단한 물건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이용에 편익을 더 해줄 수 있다. Lifting the base 230 may open the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240 and may provide convenience for use since the guardian may store a simple object or the lik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240.

한편 도 6b에 연장부(210)의 상측에 베개부가 마련되고, 상기에서 설명한 수납부(240)를 포함하는 침대보조기구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으며, 상기 설명한 바와 크게 다르지 아니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b is provided with a pillow unit on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210, the bed assisting mechanism including the storage unit 240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it does not differ greatly from the above descrip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hall be.

도 7은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d assis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참조되는 침대보조기구는 앞서 설명한 바와 크게 다르지 아니하다. 다만, 수납부(240') 와 베이스부(230') 각각은 측단면에서 보았을 때 양 변이 경사진 형태(쉽게 말해서 사다리꼴 형태)로 되어 있다.The bed assisting mechanism referenced in FIG. 7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above. However, eac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and the base portion 230' is in the form of inclined sides (in other words,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cross section.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240')와 연장부(230')의 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면, 수납부(240')와 연장부(230')를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쌓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다수의 수납부(240') 그리고 다수의 베이스부(230') 각각의 측단면의 모습이 직사각형 형태인 것에 비해서 적은 공간에 비교적 많은 수량의 수납부(240')나 침대보조기구를 쌓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A and 7B, when the side cross-sections of the accommodating part 240 ′ and the extension part 230 ′ ar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the accommodating part 240 ′ and the extension part 230 ′ are shown in FIG. 7B. It can be stacked as shown. In this case, the side cross-sec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parts 240 'and the base parts 230' have a rectangular shape, so that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storage parts 240 'or bed aids can be stacked in a small space. Can b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장신의 보호자도 침대보조기구(200)를 침대(100')에 쉽게 설치함으로써 길이가 연장된 침대(100')를 좀 더 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even a tall guardian can easily use the bed 100 'having an extended length by installing the bed assisting device 200 in the bed 10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자용 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d for a guardi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자용 침대는 매트리스부, 프레임 및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8, the guard b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ttress unit, a frame, and an extension unit.

매트리스부(130)는 보호자가 앉거나 누워서 편히 쉴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통상 알려진 매트리스와 큰 차이가 없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mattress unit 130 is provided so that the guardian can rest comfortably by sitting or lying down, so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a conventionally known mattress, which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프레임(120)은 매트리스부(130)의 하측에 마련되어 매트리스부(130)를 지지하는 것으로, 매트리스부(130)를 튼튼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철이나 스테인리스와 같이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The frame 120 is provided below the mattress unit 130 to support the mattress unit 130, and is made of a solid material such as iron or stainless steel so as to firmly support the mattress unit 130.

연장부(110)는 프레임(120)의 일 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매트리스부(130)의 전장(全長)보다 긴 신장(身長)을 가진 보호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장부(110)가 접혀 있을 때에는 매트리스부(130)의 상측 면에 접하며, 연장부(110)가 회전되어 펼쳐졌을 때에는 매트리스부(130)의 상측 면과 동일한 수준(level)을 가질 수 있도록 프레임(120)의 일 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tension part 110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ame 120 so that a protector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entire length of the mattress part 130 can be easily used. When the extension part 110 is folded, i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mattress part 130, and when the extension part 110 is rotated and unfolded, the frame can have the same leve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mattress part 130. It is preferable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120).

여기서, 프레임(120)의 일 측과 연장부(110)의 결합이 힌지결합이 되도록 하는 것이 제조의 용이성과 제조비용 측면 그리고 보호자의 이용측면을 고려하여 볼 때 더욱 바람직하다. Here, it is more preferable in view of the ease of manufacture, the cost of manufacturing, and the use side of the protector so that the coupling of one side of the frame 120 and the extension 110 is hinged.

연장부(110)를 회전시켜 매트리스부(13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였을 때, 프레임(120)의 다리 끝에서 연장부(110)의 상측면(111)까지의 최대높이(h)는 환자의 침대(미도시)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110)의 상측면(111)까지의 높이(h)가 환자의 침대(미도시)의 높이보다 낮으면 환자의 침대 하측의 빈공간(미도시)으로 침대를 위치시키어 병실 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When the extension 110 is rotat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mattress 130, the maximum height h from the end of the leg of the frame 120 to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extension 110 is measured by the patient. It is preferr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ed (not shown). If the height h up to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extension 110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patient's bed (not shown), the bed is placed in an empty space (not shown) below the patient's bed to provide a space in the hospital room. It can be secured.

프레임(120)의 일 측에 회전가능하게 연장부(110)가 연결되어 있어서, 단순히 연장부(110)를 매트리스부(130)에 대하여 펼치듯이 회전시키므로 침대를 손쉽게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The extension part 110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ame 120, so that the bed 110 can be easily extended because the extension part 110 is rotated as unfolding with respect to the mattress part 130.

한편, 연장부(110)의 일 측에 베개를 마련하여 신장이 작은 보호자에게도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10)가 매트리스부(13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었을 때 연장부(110)의 일 측에 마련된 베개가 매트리스부(130)의 상측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나타나도록 하면 신장이 작은 보호자는 특별히 베개를 구비할 필요 없이 손쉽게 침대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by providing a pillow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11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provide convenience even to a small protector. That is, as shown in FIG. 8, when the extension part 110 is rotat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mattress part 130, the pillow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part 110 has an upper direction of the mattress part 130. When presented in the same direction, a small guardian can easily use the bed without the need for a special pillow.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o be limited only to the example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described below.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d assis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d assis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에서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홈의 형태가 다른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se in which the shap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base portion of the bed assis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환자보호자용 침대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tient care b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bed ai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의 연장부 및 수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tension and a receiving portion of the bed assis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의 연장부 및 수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tension and a receiving portion of the bed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침대보조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d assis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자용 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tector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210 : 연장부 220 : 삽입홈 230 : 수납부 210: extension portion 220: insertion groove 230: storage portion

FB1 : 제 1빔 FB2 : 제 2빔 FB1: first beam FB2: second beam

Claims (11)

베이스부;A base portion; 침대의 전장을 연장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일측에 마련된 연장부; 및An extension part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base part to extend a full length of a bed; And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어 상기 침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보조기구.Bed support mechanism comprising a; means coupled to the base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b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는 베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보조기구.Bed aid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art of the extension is provided with a pillow.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침대의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보조기구.The coupling means is a bed suppor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so that the frame of the bed is inserte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삽입홈은 상기 침대의 프레임 형상에 대응되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보조기구.Bed insertion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frame shape of the be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삽입홈은 상기 침대의 프레임 형상에 대응되도록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제 1홈부와 상기 제 1홈부의 양단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제 2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보조기구.The insertion groove comprises a first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frame shape of the bed and the bed assis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first groov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소정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보조기구.An accommodating part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base part to accommodate a predetermined object; Bed aids further comprising a.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납부에 탈착될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보조기구. Bed suppor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portion is coupled to be detachable to the receiving portion.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수납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보조기구.Bed receiv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rtion is hinged to the base portion. 매트리스부;Mattress unit; 상기 매트리스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A frame supporting the mattress; And 전장을 늘릴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And an extension part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to increase the overall length.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프레임에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And said extension is hinged to said frame.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 베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B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low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KR1020080091289A 2008-09-17 2008-09-17 bed and bed auxiliary apparatus KR1010410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289A KR101041002B1 (en) 2008-09-17 2008-09-17 bed and bed auxilia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289A KR101041002B1 (en) 2008-09-17 2008-09-17 bed and bed auxiliar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31A KR20100032231A (en) 2010-03-25
KR101041002B1 true KR101041002B1 (en) 2011-06-16

Family

ID=4218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289A KR101041002B1 (en) 2008-09-17 2008-09-17 bed and bed auxiliar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00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55U (en) * 1992-10-15 1994-05-10 株式会社ミヅホ製作所 Sofa bed
JPH11239524A (en) 1997-12-27 1999-09-07 Kanayama Kosan Kk Care bed and mattress for care bed
JP2000175974A (en) 1998-12-17 2000-06-27 Murata Mach Ltd Multi-functional bed
JP2004159943A (en) 2002-11-14 2004-06-10 France Bed Co Ltd Bed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55U (en) * 1992-10-15 1994-05-10 株式会社ミヅホ製作所 Sofa bed
JPH11239524A (en) 1997-12-27 1999-09-07 Kanayama Kosan Kk Care bed and mattress for care bed
JP2000175974A (en) 1998-12-17 2000-06-27 Murata Mach Ltd Multi-functional bed
JP2004159943A (en) 2002-11-14 2004-06-10 France Bed Co Ltd Be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31A (en)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2474B2 (en) Bed assembly
US6427264B1 (en) Gap filler for bed
US5832549A (en) Bed side part
ES2773977T3 (en) Adjustable bed
US20150257954A1 (en) Foot support and protection system
US6240581B1 (en) Sheet and blanket support
US8832877B2 (en) Composite disposable bed linen package
JP2001161500A (en) Housing type side fence in bed or the like
US6971132B2 (en) Mattress with hand supports
KR101041002B1 (en) bed and bed auxiliary apparatus
KR101294314B1 (en) A bed for child patient with a auxiliary bed
US10413088B2 (en) Bedside cot
JP6768980B2 (en) Sleeper
JP6731535B2 (en) Sleeper device
KR101488261B1 (en) Functional mattress
KR100931357B1 (en) Portable bedding sheet
CA2433646C (en) Therapeutic bedding pad for hospital beds
KR200488335Y1 (en) Bed Equipped with Assembly Pillow
JP2017140097A (en) Bed device
JP2018057504A (en) Structure of side-rail
JP6327743B2 (en) Bed guard
CN211356388U (en) Multifunctional turning-over pillow
JP2010131037A (en) Mattress apparatus
JP3203504U (en) Pillow holder
KR200421199Y1 (en) A structure of the bed for a hospital pro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