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817B1 - Pully type bilateral anchorage and prestessed steel bea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ully type bilateral anchorage and prestessed steel beam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0817B1 KR101040817B1 KR1020090017218A KR20090017218A KR101040817B1 KR 101040817 B1 KR101040817 B1 KR 101040817B1 KR 1020090017218 A KR1020090017218 A KR 1020090017218A KR 20090017218 A KR20090017218 A KR 20090017218A KR 101040817 B1 KR101040817 B1 KR 1010408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sion
- pulley
- tension member
- anchorage
- type bidirectio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prestres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하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강재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긴장재의 중간에서 그리고 다방면으로 긴장이 가능하며 긴장재의 편심으로 인해 정착구에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재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ntroducing a prestress to the steel beam to enhance the load-bearing capacity,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tension in the middle of the tension member and in many directions, and to suppress the moment generated in the anchorage due to the eccentricity of the tension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ey-type bidirectional tension anchor that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and steel beams with prestresses.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풀리, 풀리의 중심에 설치된 회전축, 회전축의 양 끝단을 회동 가능하게 받치는 내외측판 및 내외측판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내, 외측판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부판으로 구성된 도르래; 강연선으로 구성되고 도르래의 풀리에 감겨지는 U자형 긴장재; 및 블럭 형상으로서 그 폭방향으로 관통된 3개의 관통홀이 천공되어 있고, 3개의 관통홀 중에서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관통홀에는 U자형 긴장재의 양단부가 각각 정착되고 중앙에 위치한 관통홀에는 부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한 긴장재가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ey, the rotary shaft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pulley, the upper and lower plate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and outer plates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lates and the inner and outer plates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Configured pulleys; U-shaped tension material composed of strand and wound on pulley of pulley; And three through holes penetrat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ck shape, and both ends of the U-shaped tension member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of the three through holes, and the prestress to the member in the central through hole. A pulley-type bidirectional tension anchor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member is introduced to introduce the tension member.
도르래, 양방향 긴장장치, 긴장재, 정착구, 프리스트레스, 강재 보 Pulley, two-way tensioner, tensioner, anchorage, prestress, steel beam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하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강재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긴장재의 중간에서 그리고 다방면으로 긴장이 가능하며 긴장재의 편심으로 인해 정착구에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재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ntroducing a prestress to the steel beam to enhance the load-bearing capacity,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tension in the middle of the tension member and in many directions, and to suppress the moment generated in the anchorage due to the eccentricity of the tension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ey-type bidirectional tension anchor that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and steel beams with prestresses.
강재보(Steel beam), 특히 H형 압연형강 보의 내하력을 증가시키고 지간을 장지간화할 수 있도록 또한 보수보강을 목적으로 긴장재를 외부에 배치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공법들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이때 긴장재는 강재 보의 외부에 직선 또는 곡선으로 배치되며 대개 보의 양 끝단에서 긴장, 정착된다. In order to increase the load capacity of steel beams, especially H-shaped rolled steel beams, and to make the spaces longer, many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to arrange tension members outside and introduce prestresses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reinforcement. At this time, the tension member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or curve outside the steel beam and is usually tensioned and fixed at both ends of the beam.
그런데 보의 양 끝단에서 긴장재를 긴장할 수 없거나 필요한 경우 긴장력을 추가로 도입하기 위해 보의 중간에서 긴장력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 정착구에 편심을 가지로 배치된 긴장재를 긴장함에 따라 정착구에 모멘트가 발생되어 정착할 때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착구의 크기가 커져 설치장소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ension in the middle of the beam in order not to be able to tension the tension material at both ends of the beam or to introduce additional tension if necessary.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afety is lowered when the anchorage is generated by fixing the tension member with the eccentricity in the anchorag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anchorage is large, the installation place is limited.
도 5는 보의 중간에서 긴장력을 도입할 때 긴장재의 편심으로 인해 정착구에 모멘트가 발생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Figure 5 schematically shows the moment generated in the anchorage due to the eccentricity of the tension material when introducing the tension force in the middle of the beam.
도 5를 참조하면, 정착구에 편심되게 설치된 긴장재를 각각 긴장할 경우 편심배치된 긴장재로 인해 정착구에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정착구가 회전하게 되어 긴장재 특히 강연선을 이루는 소선과 정착구 사이에 마찰이 생기고 또한 소선에 응력이 집중되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추가로 긴장력을 도입하고자 할 경우에도 정착구가 회전된 상태이므로 긴장재를 긴장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정착구에 더 큰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s eccentrically installed in the anchorage, the moment is generated in the anchorage due to the eccentrically disposed tension member. As a result, the anchorage may rotate, causing friction between the wire and the anchorage forming the tension member, in particular, the strand, and also causing stress to break in the strand. On the other hand, even if you want to introduce additional tension, the fixing unit is rotat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tension the tension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a greater moment occurs in the fixing uni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재의 중간에서 긴장이 가능하며 협소한 위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긴장시 편심으로 인한 모멘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긴장 정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nsion anchor that can be tension in the middle of the member can be used in a narrow position and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moments due to eccentricity when the tension.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풀리, 풀리의 중심에 설치된 회전축, 회전축의 양 끝단을 회동 가능하게 받치는 내외측판 및 내외측판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내, 외측판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부판으로 구성된 도르래; 강연선으로 구성되고 도르래의 풀리에 감겨지는 U자형 긴장재; 및 블럭 형상으로서 그 폭방향으로 관통된 3개의 관통홀이 천공되어 있고, 3개의 관통홀 중에서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관통홀에는 U자형 긴장재의 양단부가 각각 정착되고 중앙에 위치한 관통홀에는 부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한 긴장재가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ey, the rotary shaft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pulley, the upper and lower plate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and outer plates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lates and the inner and outer plates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Configured pulleys; U-shaped tension material composed of strand and wound on pulley of pulley; And three through holes penetrat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ck shape, and both ends of the U-shaped tension member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of the three through holes, and the prestress to the member in the central through hole. A pulley-type bidirectional tension anchor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member is introduced to introduce the tension member.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H형 압연형강 보의 일측 끝단에는 긴장재를 정착하기 위한 단부정착판이 결합되어 있고, H형 압연형강 보의 타측 끝단에는 긴장재에 긴장력을 도입함에 아울러 긴장재를 정착하기 위한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가 결합되어 있으며, 보의 중앙부에는 긴장재의 절곡점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방향전환구가 하부 플랜지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보의 양 끝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긴장재의 절곡점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방향전환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단부정착판, 제1, 2 방향전환구 및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를 통해 긴장재가 절곡상으로 배치되며, 긴장재는 H형 압연형강 보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단부정착판에 일단부가 정착되고 제2 방향전환구에 의해 하부 플랜지 쪽으로 하향 절곡되고 제1 방향전환구에 의해 상부 플랜지 쪽으로 상향 절곡되어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에 긴장, 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를 이용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재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H-shaped rolled steel beam is coupled with an end fixing plate for fixing the tension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H-shaped rolled steel beam is fixed to the tension member while introducing a tension force to the tension member. Pulley-type bidirectional tension anchor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center of the beam is provided with a first turning tool for forming a bending point of the tension mem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and the tension member at a point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both ends of the beam. Second turning devices are respectively provided to form the bending point of the tension member, and the tension members are arranged in a bent shape through the end fixing plate, the first and second turning holes, and the pulley-type bidirectional tension fixing member. One end is fixed to the end fixing plat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eam and bent downward toward the lower flange by the second turning port The first direction is converted sphere upwards deflection toward the upper flange is provided by the beams the prestressing steel is introduced using the two-way tension deureu raehyeong anchor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fixing to a pulley-type two-way tension anchorage.
본 발명에 따르면 긴장력 도입이 용이하고 협소한 위치에서도 긴장력 도입이 가능하며 긴장력 도입시 편심으로 인한 모멘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추가로 긴장력을 도입하기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introduce the tension force, it is possible to introduce the tension force in a narrow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moments due to the eccentricity when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t is easy to introduce additional tension for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며,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양방향 정착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의 (a)는 양방향 정착구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3의 (b)는 양방향 정착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의 (c)는 양방향 정착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ley-type bidirectional tension anch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way anchorage, Figure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wo-way anchorage, Figure 3 (b) is a two-way anchorage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igure 3 (c) is a front view showing a bidirectional anchorag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100)는, 도르래(110), 양방향 정착구(120) 및 도르래(110)에 감겨지고 그 양단은 양방향 정착구(120)에 정착된 U자형 긴장재(13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pulley type
도르래(110)는 풀리(111), 풀리(111)의 중심에 설치된 회전축(112), 회전축(112)의 양 끝단을 회동 가능하게 받치는 내외측판(113,114) 및 내외측판(113,114)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내, 외측판(113,114)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부판(115,116)으로 구성되며 상부판(115)은 강재보의 상부 플랜지의 하면에 고정된다. U자형 긴장재(130)는 강연선으로 구성되고 도르래(110)의 풀리(111)에 감겨지고 그 양단은 양방향 정착구(120)에 정착된다. 양방향 정착구(120)에 U자형 긴장재(130)를 정착하는 방법은 공지된 쐐기식 정착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The
도 2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방향 정착구(120)에는 블럭 형상으로서 그 폭방향으로 관통된 3개의 관통홀(121,122,123)이 천공되어 있다. 3개의 관통홀은 서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3개의 관통홀 중에서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관통홀(121,123)에는 U자형 긴장재(130)의 양단부가 각각 정착되고 중앙에 위치한 관통홀(122)에는 부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한 긴장재(300)가 정착된다. 그리고 U자형 긴장재(130)가 정착되는 양방향 정착구(120)의 외면은 U자형 긴장재(130)가 수직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As shown in Fig. 2 to Fig. 3, three through
이상과 같이 도르래(110), U자형 긴장재(130) 및 양방향 정착구(120)로 구성된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100)를 이용하여 강재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에 따라 긴장재의 중간에서 그리고 다방면으로 긴장이 가능하며 긴장재가 양방향 정착구를 통해 동일선상에 배치되므로 긴장재의 편심으로 인해 정착구에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pulley typ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를 이용하여 H형 압연형강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an H-shaped steel beam by using a pulley-type bidirectional tension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 압연형강 보(200)의 일측 끝단에는 긴장재(300)를 정착하기 위한 한 쌍의 단부정착판(400)이 결합되어 있고, H형 압연형강 보(200)의 타측 끝단에는 긴장재(300)에 긴장력을 도입함에 아울러 긴장재(300)를 정착하기 위한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100)가 결합되어 있으며, 보(200)의 중앙부에는 긴장재(300)의 절곡점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방향전환구(510)가 하부 플랜지(220)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보(200)의 양 끝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긴장재(300)의 절곡점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방향전환구(52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one end of the H-shaped rolled
제1, 2 방향전환구(510,520)는 긴장재(300)의 절곡점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 로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보(200)의 상부 플랜지(210) 또는 하부 플랜지(220)에 접합되는 바닥판(511), 바닥판(511)에 서로 일정거리를 두고 수직하게 접합된 양측면판(512,513), 양측면판(512,513)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514) 및 양측면판(512,513)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된 복수개의 볼트(515)로 이루어진다. 이때 볼트 대신에 양측면판(512,513)에 회동 가능하게 강봉을 결합할 수도 있다. The first and
그리고 단부정착판(400), 제1, 2 방향전환구(510,520) 및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100)를 통해 긴장재(300)가 절곡상으로 배치된다. 긴장재(300)는 H형 압연형강 보(20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단부정착판(400)에 일단부가 정착되고 제2 방향전환구(520)에 의해 하부 플랜지(220) 쪽으로 하향 절곡되고 제1 방향전환구(510)에 의해 상부 플랜지(210) 쪽으로 상향 절곡되어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100)에 긴장, 정착된다.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on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ley-type bidirectional tension anch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양방향 정착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idirectional fixing unit.
도 3의 (a)는 양방향 정착구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3의 (b)는 양방향 정착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의 (c)는 양방향 정착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Figure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idirectional anchorage, Figure 3 (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idirectional anchorage, Figure 3 (c) is a front view showing a bidirectional anchorag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를 이용하여 H형 압연형강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an H-shaped steel beam by using a pulley-type bidirectional tension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보의 중간에서 긴장력을 도입할 때 편심으로 인해 모멘트가 발생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ment generated due to the eccentricity when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 the middle of the beam.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7218A KR101040817B1 (en) | 2009-02-27 | 2009-02-27 | Pully type bilateral anchorage and prestessed steel beam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7218A KR101040817B1 (en) | 2009-02-27 | 2009-02-27 | Pully type bilateral anchorage and prestessed steel beam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8178A KR20100098178A (en) | 2010-09-06 |
KR101040817B1 true KR101040817B1 (en) | 2011-06-13 |
Family
ID=4300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7218A KR101040817B1 (en) | 2009-02-27 | 2009-02-27 | Pully type bilateral anchorage and prestessed steel beam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081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5642B1 (en) * | 2023-04-19 | 2023-10-31 | 문지훈 | Structure load-bearing reinforcement device using stranded wire and its reinforcement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5445B1 (en) * | 2011-04-27 | 2013-04-17 | (주)정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Active deflection control prestressed beam |
CN103410125B (en) * | 2013-08-22 | 2015-03-25 | 中国水利水电第八工程局有限公司 | Integral U-shaped anchor rope embedded duct and mounting method thereof |
KR102227426B1 (en) * | 2020-09-04 | 2021-03-11 | 조재석 | Girder structure with the function of enlargement of the interlinkage of the bridg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3444B1 (en) | 2000-11-30 | 2003-08-06 | 주식회사 탑스브릿지 | groud bridge |
KR100830630B1 (en) | 2007-05-21 | 2008-05-19 | 대림산업 주식회사 | Counter-tensioning apparatus for prestressed beams under changing loads |
-
2009
- 2009-02-27 KR KR1020090017218A patent/KR10104081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3444B1 (en) | 2000-11-30 | 2003-08-06 | 주식회사 탑스브릿지 | groud bridge |
KR100830630B1 (en) | 2007-05-21 | 2008-05-19 | 대림산업 주식회사 | Counter-tensioning apparatus for prestressed beams under changing load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5642B1 (en) * | 2023-04-19 | 2023-10-31 | 문지훈 | Structure load-bearing reinforcement device using stranded wire and its reinforcement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8178A (en) | 2010-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9959B1 (en) | Structure reinfor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stressing apparatus for structure reinforcement | |
KR101040817B1 (en) | Pully type bilateral anchorage and prestessed steel beam using the same | |
JP3867037B2 (en) |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existing structures | |
KR102038409B1 (en) | Reinforcing device with zig-zag type tend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636679B1 (en) | A arch bridge using a ceramic block | |
JP5388318B2 (en) | Bridge reinforcement structure and bridge reinforcement method | |
KR101501198B1 (en) | APC(Arched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 |
KR101130968B1 (en) | The fixing structre using girder for rahmen bridge | |
KR101253679B1 (en) | Precast segment beam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60099150A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chorage device for tendon axis displacement control | |
CN203097040U (en) | Antifatigue prestressing force steel-concrete combination beam | |
KR20020057058A (en) | Bridge reinforcement apparatus using h beam | |
KR101184762B1 (en) | Prestressed H-section steel beam | |
KR102433621B1 (en) | Unidirectional structure of wide double composite girder in which steel members is placed in the lower section thereof | |
KR101115160B1 (en) | Prestessed steel beam using 3D cross type bilateral anchorage | |
KR101522608B1 (en) | Structure reinforcing method using prestress distribution apparatus and tendon | |
KR200417902Y1 (en) | Anchor frame assembly of tower crane | |
JP6080462B2 (en) | Outer cable fixing device for prestress introduction in bridge girder | |
KR200375153Y1 (en) | Prestressed concrete beam | |
JP4570139B2 (en) | Basic structure of exposed column base | |
KR10119493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beam with essentric prestressing plate | |
KR101168916B1 (en) | The precast beam reinforcement device | |
KR20060117646A (en) | Pc beam | |
KR100750762B1 (en) | Jacking unit and reinforcing methods of post tensioning using the same | |
KR20060053030A (en) | Net type external prestress strengthe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lab bridg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