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684B1 - Interior or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Interior or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0684B1 KR101040684B1 KR1020110021708A KR20110021708A KR101040684B1 KR 101040684 B1 KR101040684 B1 KR 101040684B1 KR 1020110021708 A KR1020110021708 A KR 1020110021708A KR 20110021708 A KR20110021708 A KR 20110021708A KR 101040684 B1 KR101040684 B1 KR 1010406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building
- interior
- side wall
- exteri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내외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는 건축용 내외장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that can recycle waste materials.
일반적으로 대형건물의 외벽면에 부착되는 외장재는 대리석이나 화강암 등의 석재나, 또는 철판이나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exterior material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a large building is a stone such as marble or granite, or a metal plate such as iron plate or aluminum plate is widely used.
대리석이나 화강암 등의 재질로 된 평판 형태의 석재를 건축물의 외벽면에 부착시킬 경우에는 건축물의 외장재의 수명이 거의 반영구적인 효과와 건축물의 외관이 중후한 멋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attaching a flat stone made of marble or granite to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the life of the building's exterior material is almost semi-permanent and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can be profound.
그러나, 평판 형태의 석재의 가공이 어렵고 가공비 및 석재의 가격이 고가이므로 건축비용이 상승되고, 석재가 무거움에 따라 석재로 된 외장재를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우면서 위험하며, 건축물의 골조를 더욱 더 굵고 견고하게 설치해야만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However, since the processing of flat stone is difficult and the processing cost and the price of the stone are high,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and as the stone is heavy, it is difficult and dangerous to install the exterior material made of stone, and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thicker and thicker. There is a problem such as having to install a solid.
또한, 석재를 거대한 평판 형태로 가공하여 이를 건축물의 외장재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원하는 크기의 평판 형태의 석재를 가공하기 위한 원재료가 되는 석재를 구하기가 어렵고, 가공 과정에서도 많은 분량의 석재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one is often processed into a huge flat plate and used as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tone that is a raw material for processing a flat stone of a desired size. There is a problem that wastes.
또한, 건축물의 외장재로 이용되는 석재는 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제작되는데, 석재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외벽면이 거의 사각 형상의 석재로만 마감되는 획일적인 디자인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one used as the exterior material of the building is made of a rectangular flat plate,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ocess the stone in a variety of forms, there is a problem of a uniform design in which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is finished only with a nearly square stone. .
한편, 울퉁불퉁한 형상의 돌덩이를 쌓아 올리면서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돌덩이의 크기와 형상이 각각 상이하여 현장에서 크기나 형상에 따라 적당한 돌덩이를 선택하여 쌓아 올리는 작업을 진행한다. 따라서, 규격화되지 않은 석재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임의적인 판단에 의해 작업이 진행되므로, 공사 기간이 늘어나고,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may be formed by stacking bumpy stones. In this case, the size and shape of the stone block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ppropriate stone blocks are selected and stacked on the site according to the size or shape. Therefore, since the work proceeds at the discretion of the worker using the non-standard sto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is increased, and the labor cost is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판 형태의 큰 석재가 아닌 작은 크기의 다수의 석재를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에 결합하여 건축 내외장재로 활용함으로써, 석재 건축용 내외장재의 재료비, 가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버려지는 폐자재를 활용할 수 있어서 자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건축용 내외장재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by combining a large number of small stones in the form of a plate rather than a large stone in the form of various forms of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by using as a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the material cost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stone construc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processing cost, and to use the waste materials discarded to provide internal and external building materials that can increase resource utiliz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축용 내외장재는, 측면 방향으로 밀폐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측벽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로 분리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에 채워지는 경화제; 및 상기 제1공간부에 채워진 경화제에 결합되며 일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는 다수의 석재(石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side wall portion spaced apart from a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and the side wall provided to form an inner space seal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inner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rame having a bottom portion separated into a first space portion and a second space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o penetrate the bottom portion; A curing agent fill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And a plurality of stones (石 경화) coupled to the hardener fill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부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바닥부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상기 바닥부는 상기 측벽부에 결합된다.In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bottom portion is coupled to the side wall portion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top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화제는, 상기 제1공간부에 채워지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공간부로 진입하여 상기 제2공간부에 채워진다.In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curing agent is fill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enters the second space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fill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질, 고무 재질,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In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the invention, Preferably, the frame is formed of any one of a plastic material, a rubber material, a metal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양단부는 상기 프레임이 고정되는 장소에 결합되는 봉부재를 더 포함한다.In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the invention, preferably, it is arranged to penetrate the side wall portion, both ends further include a rod member coupled to the place where the frame is fixed.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봉부재는 한 쌍이 마련되며, 한 쌍의 봉부재는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를 각각 관통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In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frame is formed in a square shape, the rod member is provided with a pair, a pair of rod members to cross each other through a pair of facing side wall portions, respectively. Is placed.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된 봉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제2공간부 측으로 절곡되게 마련된다.In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both ends of the rod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is bent to the second space portion side.
본 발명의 건축용 내외장재에 따르면, 석재 건축용 내외장재의 재료비, 가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버려지는 폐자재를 활용할 수 있어서 자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material cost and processing cost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stone building,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waste material discard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ource utilization.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내외장재에 따르면, 건축물의 외벽면에 접하는 제2공간부에 건축물의 외벽면의 재질과 유사한 재질의 경화제가 채워짐으로써, 건축용 내외장재와 건축물의 외벽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illing a hardener of a material similar to the material of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in the second spac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an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내외장재에 따르면, 경화제를 채우는 과정에서 프레임을 뒤집지 않고도 바닥부에 의해 분리되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에 용이하게 경화제를 채울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fill the curing agent i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separated by the bottom portion without turning the frame in the process of filling the curing agent.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내외장재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의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고 규격화된 제품을 양산하여 공사 현장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frame of various sizes and shapes, and to provide a construction site by mass-producing a standardized produc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 consumer Can be.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내외장재에 따르면, 건축용 내외장재를 외벽면과 같은 고정장소에 결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operation of coupling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to a fixed place such as the outer wall surf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건축용 내외장재의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건축용 내외장재를 외벽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건축용 내외장재의 다양한 변형례들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건축용 내외장재의 프레임 및 봉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건축용 내외장재를 외벽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of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of Figure 1 installed on the outer wall,
5 is a view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of Figure 1,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and the rod member of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of Figure 6 installed on the outer wal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건축용 내외장재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건축용 내외장재의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건축용 내외장재를 외벽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건축용 내외장재의 다양한 변형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ure 1,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of Figure 1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Figure 5 is a view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of Figure 1;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건축용 내외장재(100)는, 폐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프레임(110)과, 경화제(120)와, 다수의 석재(130)를 포함한다.1 to 5, the building interior and
상기 프레임(110)은, 후술할 경화제(120)와 다수의 석재(130)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벽부(111)와, 바닥부(112)와, 관통홀(113)을 포함한다.The
상기 측벽부(111)는, 측면 방향으로 밀폐된 내부공간(114)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측벽부(11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114)은 측면 방향으로는 밀폐되지만, 상하 방향으로는 개방되게 형성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10)의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한 쌍의 측벽부(111)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교차하는 방향으로 다른 한 쌍의 측벽부(111)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전체적으로는 4개의 측벽부(111)로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overall shape of the
측벽부(111)의 높이는 두껍지 않은 범위, 즉 약 6 cm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성형되어, 일반적인 건축물의 외장재로 이용되는 평판 형태의 석재와 거의 비슷한 느낌이 들도록 성형된다.The height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110)의 전체적인 형상은 삼각 형상, 평행사변형 형상, 육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므로, 측벽부(111)의 수량 및 배치 관계는 형상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5, the overall shape of the
상기 바닥부(112)는, 측벽부의 하단부(117)로부터 이격되게 측벽부(111)에 결합되며, 측벽부(11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된다.The
바닥부(112)가 측벽부의 하단부(117)로부터 이격되게 측벽부(111)에 결합됨으로써, 바닥부(111)에 의해 내부공간(114)은 상하 방향으로 2개의 공간 즉, 제1공간부(115)와 제2공간부(116)로 분리된다.Since the
이때, 바닥부(112)가 측벽부의 하단부(117)로부터 이격된 거리(D1)는 바닥부(111)가 측벽부의 상단부(118)로부터 이격된 거리(D2)보다 짧아지도록 바닥부(112)와 측벽부(111)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석재(130)를 수용하는 제1공간부(115)의 부피가 석재(130)를 수용하지 않는 제2공간부(116)의 부피보다 커지도록 바닥부(112)와 측벽부(111)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바닥부(112)가 측벽부의 하단부(117)로부터 이격된 거리(D1)는 약 1cm 정도로 마련되고, 바닥부(112)가 측벽부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된 거리(D2)는 약 5cm 정도로 마련된다.In this case, the distance D1 from which the
상기 관통홀(113)은 바닥부(11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관통홀(113)이 바닥부(112)에 형성된다. 후술할 경화제(120)가 제1공간부(115)를 통해 프레임(110)의 내부공간(114)에 채워지기 시작하며, 제1공간부(115)에 채워진 경화제(120)는 관통홀(113)을 통해 제2공간부(116)로 진입하여 제2공간부(116)까지 채워지게 된다.The through
관통홀(113)이 바닥부(112)에 형성됨으로써, 바닥부(112)에 의해 분리된 제1공간부(115)와 제2공간부(116)에 경화제(120)를 모두 채우기 위하여 프레임(110)을 뒤집는 과정이 필요 없고, 제1공간부(115)에 경화제(120)를 계속 채워 넣으면 경화제(120)는 자연스럽게 관통홀(113)을 통해 제2공간부(116)에 채워진다.Since the
프레임(110)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버려지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 재질을 재가공하여 프레임(110)을 제작함으로써, 낭비되는 자원을 건축 자재로 재활용할 수 있다.The
또한 프레임(110)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금속 재질로 제작된 프레임(110)은 플라스틱 재질이나 고무 재질로 제작된 프레임(110)보다 하중 면에서는 다소 불리한 점이 있을 수 있으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시키는 견고함 면에서는 상당한 장점이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은 광택이 뛰어나므로, 건축물의 외관미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프레임을 제작하는 경우 측벽부(111), 바닥부(112) 및 관통홀(113)이 한번에 성형되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프레임(110)을 제작할 수 있고, 금속 재질로 프레임(110)을 제작하는 경우 측벽부(111)와 바닥부(112)를 별도로 성형하고 추후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측벽부(111)와 바닥부(112)를 조립하여 프레임(110)을 제작할 수 있다.When the frame is manufactured from a plastic material or a rubber material, the
상기 경화제(120)는, 제1공간부(115)와 제2공간부(116)에 채워지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시멘트 또는 석재용 본드가 경화제(120)로 이용된다.The curing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화제(120)는 경화되기 전 상태로 제1공간부(115) 및 제2공간부(116)에 채워지고, 이후 경화제(120)가 경화되기 전 상태에서 석재(130)가 제1공간부(115)에 채워진 경화제(120) 상에 결합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서 경화제(120)가 경화됨으로써 프레임(110), 경화제(120) 및 석재(130)의 고착이 완성된다.As mentioned above, the curing
상기 석재(石材)(130)는, 다수 개가 마련되어 제1공간부(115)에 채워진 경화제(120)에 결합된다. 건축물의 외벽 또는 공원의 지면 등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석재(130)의 형상은 평판 형상일 수도 있고, 강가의 조약돌 같이 둥글둥글한 형상일 수도 있고, 파쇄된 돌과 같이 표면이 거친 울퉁불퉁한 형상일 수도 있다. 수요자가 원하는 미감에 따라 여러 형상의 석재가 사용 가능하다.A plurality of the
이웃하게 배치되는 석재(130)들 사이에는 경화제(120)가 침투하여 다수의 석재(130)들을 전체적으로 고정시킨다. 경화되기 전 상태의 경화제(120) 상에 석재(130)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석재(130) 전체가 경화제(120) 내부에 파묻히도록 결합하지 않고, 석재(130)의 일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경화제(120) 상에 석재(130)를 배치한다.The
본 실시예의 석재(130)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외벽에 장착되는 통석재가 아니라, 통석재를 가공하면서 버려지는 작은 크기의 석재가 이용될 수 있다. 원재료가 되는 별도의 석재를 구입하지 않고 다른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과 같은 석재(130)가 이용됨으로써, 자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The
한편, 경화제(120)가 석재(130)를 수용하는 제1공간부(115) 외에 제2공간부(116)까지 채워짐으로써, 본 발명의 건축용 내외장재(100)를 외벽(10)에 설치하는 공정이 용이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용 내외장재(100)가 주로 시멘트로 제작된 외벽(10)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석재(130)가 배치된 제1공간부(115)는 외벽(10)의 외측을 향하고 경화제(시멘트)(120)만 채워진 제2공간부(116)는 외벽(10)을 향하도록 건축용 내외장재(100)가 설치된다. 건축용 내외장재(100)와 외벽(10) 사이에는 모르타르(20)를 개재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제2공간부(116)에 채워진 시멘트, 외벽(10)을 형성하는 시멘트 및 결합용 모르타르(20)가 거의 유사한 재질이므로, 본 발명의 건축용 내외장재(100)와 외벽(10)의 결합력이 높아진다.On the other hand, the curing
만약, 바닥부(112)가 측벽부의 하단부(117)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측벽부(111)에 결합된다면, 플라스틱 재질, 고무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의 바닥부(112)가 시멘트 재질의 외벽(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결합되는 면이 서로 이질적인 재질로 형성되므로, 건축용 내외장재와 외벽(10)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If the
본 발명의 건축용 내외장재(100)를 외벽(10)에 설치할 때, 압착용 시멘트 또는 석재용 본드도 이용 가능하다.When installing the building interior and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건축용 내외장재(100)가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사각 형상뿐만 아니라, 육각 형상(101), 평행사변형 형상(102), 삼각 형상(103) 등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건축용 내외장재(100)를 상호 결합시켜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 공원의 지면 등을 마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building interior an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는, 평판 형태의 큰 통석재가 아닌 작은 크기의 다수의 석재를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에 결합하여 건축의 내외장재로 활용함으로써, 석재 건축용 내외장재의 재료비, 가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버려지는 폐자재를 활용할 수 있어서 자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combining a large number of small stones in the form of a plate rather than a large flat stone in the form of various forms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building, the material cost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stone construction It can greatly reduce the cost, and can utilize the discarded materials can be obtained to increase the resource utilization.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는, 바닥부가 측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되게 결합되어 별도의 제2공간부가 형성되고 제2공간부에 건축물의 외벽면의 재질과 유사한 재질의 경화제가 채워짐으로써, 건축용 내외장재와 건축물의 외벽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portion is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to form a separate second space portion, the hardener of a material similar to the material of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in the second space portion By filling th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s an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는,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경화제를 채우는 과정에서 프레임을 뒤집지 않고도 바닥부에 의해 분리되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에 용이하게 경화제를 채울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bottom portio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separated by the bottom portion without inverting the frame in the process of filling the curing agent The effect which can fill a hardening | curing agent easily can be acquir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는,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의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고 규격화된 제품을 양산하여 공사 현장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manufacture a frame of various sizes and various shapes, and can mass-produce a standardized product and provide it to the construction site,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consumer It can achieve the effect of meeting various needs.
한편, 도 6은 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건축용 내외장재의 프레임 및 봉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건축용 내외장재를 외벽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and rod member of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Figure 6, Figure 8 is a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Figure 6 installed on the outer wall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건축용 내외장재(200)는, 건축용 내외장재를 벽면 등의 고정장소에 고정하기 위한 봉부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6 to 8, the interior and
도 6 내지 도 8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6 to 8, members referred to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members shown in FIGS. 1 to 5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봉부재(140)는, 측벽부(11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양단부(141)가 프레임(110)이 고정되는 장소에 결합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110)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한 쌍의 봉부재(140)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봉부재(140)는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111)를 관통하도록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봉부재(140)는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측벽부(111)를 관통하도록 배치하여 봉부재(140)가 교차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부재(140)의 수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즉, 두 쌍의 봉부재(140)를 마련하여, 한 쌍의 봉부재(140)는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111)를 관통하도록 배치하고, 다른 한 쌍의 봉부재(140)는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측벽부(111)를 관통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quantity of the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110) 외부로 노출된 봉부재(140)의 단부(141)를 절곡하여 외벽(10) 등에 삽입함으로써, 본 발명의 건축용 내외장재(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공간부(116) 측이 외벽(10)에 접하게 되므로, 봉부재의 단부(141)를 제2공간부(116) 측으로 절곡하여 그 단부(141)를 외벽(10) 내부로 삽입한다. 삽입된 봉부재의 단부(141)는 고정부재(30) 등을 이용하여 외벽(10)에 고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by bending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는, 건축용 내외장재를 외벽면 등의 고정장소에 고정하기 위한 봉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건축용 내외장재를 외벽면과 같은 고정장소에 결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 a rod member for fixing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to a fixed place such as an outer wall surface, thereby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coupling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to a fixed place such as an outer wall surface. The effect that can be performed is obtain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intended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herein to various extents that can be modified.
100 : 건축용 내외장재
110 : 프레임
111 : 측벽부
112 : 바닥부
113 : 관통홀
120 : 경화제
130 : 석재100: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building
110: frame
111: side wall
112: bottom
113: through hole
120: curing agent
130: stone
Claims (7)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에 채워지는 경화제; 및
상기 제1공간부에 채워진 경화제에 결합되며 일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는 다수의 석재(石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A side wall portion provided to form an inner space sealed in a lateral direction, a bottom portion coupled to the side wall portion to be spaced apart from a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separating the inner space into a first space portion and a second space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 fram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o penetrate the bottom portion;
A curing agent fill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And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omprising a plurality of stone (石材) coupled to the hardener fill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바닥부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바닥부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상기 바닥부는 상기 측벽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bottom portion is coupled to the sidewall portion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portion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sidewall portion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top portion of the sidewall portion.
상기 경화제는, 상기 제1공간부에 채워지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공간부로 진입하여 상기 제2공간부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The method of claim 1,
The hardener is fill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the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enters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is fill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상기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질, 고무 재질,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s a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ny one of plastic material, rubber material, metal material.
상기 측벽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양단부는 상기 프레임이 고정되는 장소에 결합되는 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The method of claim 1,
It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side wall portion, both ends further comprises a rod member coupled to the place where the frame is fixed.
상기 프레임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봉부재는 한 쌍이 마련되며, 한 쌍의 봉부재는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를 각각 관통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The method of claim 5,
The fram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rod member is provided with a pair, a pair of rod member is built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through a pair of facing side wall portions.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된 봉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제2공간부 측으로 절곡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The method of claim 5,
Both ends of the rod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be provided to be bent toward the second sp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1708A KR101040684B1 (en) | 2011-03-11 | 2011-03-11 | Interior or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1708A KR101040684B1 (en) | 2011-03-11 | 2011-03-11 | Interior or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0684B1 true KR101040684B1 (en) | 2011-06-10 |
Family
ID=4440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1708A KR101040684B1 (en) | 2011-03-11 | 2011-03-11 | Interior or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068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6265A (en) * | 2017-07-10 | 2019-01-18 | (주)남영산업 | Stone ti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6301A (en) | 1998-05-27 | 1999-12-07 | Sekisui Chem Co Ltd | Unit flooring and manufacture thereof |
KR20020068433A (en) * | 2001-02-21 | 2002-08-27 | 임금철 | Puzzle type ston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JP2003041749A (en) | 2001-07-30 | 2003-02-13 | Taisei Laminator Co Ltd | Block panel |
JP2009057231A (en) | 2007-08-30 | 2009-03-19 | Natsume Saisei:Kk | Natural stone mosaic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2011
- 2011-03-11 KR KR1020110021708A patent/KR10104068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6301A (en) | 1998-05-27 | 1999-12-07 | Sekisui Chem Co Ltd | Unit flooring and manufacture thereof |
KR20020068433A (en) * | 2001-02-21 | 2002-08-27 | 임금철 | Puzzle type ston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JP2003041749A (en) | 2001-07-30 | 2003-02-13 | Taisei Laminator Co Ltd | Block panel |
JP2009057231A (en) | 2007-08-30 | 2009-03-19 | Natsume Saisei:Kk | Natural stone mosaic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6265A (en) * | 2017-07-10 | 2019-01-18 | (주)남영산업 | Stone tile |
KR101944357B1 (en) * | 2017-07-10 | 2019-01-31 | (주)남영산업 | Stone ti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7916B1 (en) | Dome shape construction | |
CN203420389U (en) | Environment-friendly built-in floor die core | |
KR101040684B1 (en) | Interior or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 |
KR101753744B1 (en) |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of Integrated Pier-Base | |
CN101408046B (en) | Environment protection buckling press through-combining type antiseismic wall structure | |
KR101086885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a lot of concrete blocks | |
KR101736594B1 (en) |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 |
KR101448857B1 (en) | Wall block with exterior decoration me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820090B1 (en) | Structures walls for interi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4545678B2 (en) | Underground box | |
KR20170002109U (en) | Weight for elevator | |
JP2005023777A (en) | Reinforced decorated panel | |
KR20160043501A (en) | A sump or elevator pit under structure | |
KR200466727Y1 (en) | The Protection Plate of Underground Cable | |
KR20110101746A (en) | A brick | |
KR20110076722A (en) | Construction mold panel | |
JP5826699B2 (en) | Building block,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wall structure | |
KR101538001B1 (en) | Concrete Pile | |
KR102548404B1 (en) | artificial block for a stone wall | |
KR101729451B1 (en) | Loess-brick having insulating materials | |
KR20150130754A (en) | Panel for construction mold | |
KR101716313B1 (en) | Based on top file assembly of the soft ground an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1618644B1 (en) | Structure for reinforcement of poor ground | |
CN203174862U (en) | High-strength and shearing-resistant assembling box | |
KR102261341B1 (en) | Assembly type b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