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600B1 -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600B1
KR101040600B1 KR1020110012825A KR20110012825A KR101040600B1 KR 101040600 B1 KR101040600 B1 KR 101040600B1 KR 1020110012825 A KR1020110012825 A KR 1020110012825A KR 20110012825 A KR20110012825 A KR 20110012825A KR 101040600 B1 KR101040600 B1 KR 101040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plifier
output
re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순구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피 filed Critical (주)아이엠피
Priority to KR102011001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6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6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PURPOSE: An amp device of detachable module type,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a control method of an amp device of the detachable module type are provided to prevent a connection part which is a part that a power amp module and a module main body is connected by a rush current from being damaged. CONSTITUTION: At least one power amp module(230) is detached to an amplifier body. A connection part(220) is arranged between the amp main body and a power amp module. The connection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mp main body and the power amp modules. If a power relay unit passes a third setting time after switched on, a second time sequence of the power amp module is switched on the speaker relay. The second time sequence is switched off the speaker relay and switched off the power relay unit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의 제어방법{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앰프장치, 상기 앰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상기 앰프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착탈형 모듈타입으로 구비되는 앰프장치에서 파워앰프모듈의 착탈시 러쉬 커런트(Rush current)에 의한 연결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lifier device, a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amplifier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mplifier device. In the amplifier device provided as a detachable module type, the connection part is damaged by a rush current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attached or detach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a broadcast system and a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using the same.

일반적인 전관방송시스템의 방송목적은 크게 비상방송, 안내방송 및 BGM(Background Music) 등으로 대별된다. 특히, 상기 비상방송과 안내방송에서는 즉시성과 적시성이 매우 중요한 항목으로 요구되므로, 이에 부합하기 위해서 전관방송시스템은 항상 정상 상태이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의 기기가 이상상태가 되거나 혹은 불량으로 되었을 경우, 즉시 기기가 정상인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거나, 정상기기로 전환/교환/교체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The purpose of broadcasting system of general public address system is largely classified into emergency broadcasting, guide broadcasting, and BGM (Background Music). In particular, in the emergency broadcast and guide broadcast, since the promptness and timeliness is a very important item, PA system should always be in a normal state in order to meet this requirement. As a result, it is very important to immediately restore the device to a normal state or to switch / exchange / replace it when the device of the public address system becomes abnormal or becomes defective.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파워앰프(Power amplifier)는 프리 앰프, 컨트롤 앰프, 라인 앰프 등의 출력을 증폭시켜 스피커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을 얻기 위한 전력증폭기를 의미한다. 상기 파워앰프는 대 전력을 다루고 있고, 로우 임피던스 부하인 스피커를 직접 드라이브하고 있으며, 매우 낮은 출력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파워앰프의 회로파괴 또는 퓨즈(FUSE)아웃 등에 의한 동작정지상태나 동작불량상태는 방송시스템 전체의 동작정지 또는 동작불량을 초래한다.A power amplifier, which is essentially used in the PA system, refers to a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a preamplifier, a control amplifier, a line amplifier, and the like to obtain power capable of driving a speaker. The power amplifier handles large power, drives the speaker as a low impedance load directly, and has a very low output impedance. In addition, an operation stop state or a failure state due to a circuit breakdown or a fuse out of the power amplifier causes an operation stop or malfunction of the entire broadcasting system.

상기 앰프장치가 착탈형 모듈타입으로 구비되면, 파워앰프모듈의 회로파괴 또는 퓨즈아웃 등이 일어날 경우 정상인 파워앰프모듈로 즉시 교환/교체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amplifier device is provided as a detachable module typ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exchange / replace with a normal power amplifier module in the event of a circuit breakdown or fuse out of the power amplifier module.

그러나, 대부분의 전자회로의 경우에 초기 전원 투입시 커패시터의 충전용 전류인 러쉬 커런트(Rush current)가 흐르게 된다. 대출력 파워앰프의 경우 대전력, 고스펙이 요구되기 때문에 대용량의 캐패시터가 사용되므로 러쉬 커런트가 매우 크게 발생하게 되어 대 전류의 피크 커런트가 흐르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most electronic circuits, a rush current, which is a charging current of the capacitor, flows when the initial power is turned on. In the case of a large output power amplifier, since high power and high specifications are required, a large capacity capacitor is used, resulting in a very large rush current, and a large current peak current flows.

특히, 메인전원 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파워앰프모듈의 연결부에는 러쉬 커런트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러쉬 커런트는 상기 파워앰프모듈과 연결되는 연결부의 최대정격을 초과하게 되어 상기 연결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inserted while the main power switch is turned on, a rush current is generat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ower amplifier module, and the rush current is the maximum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power amplifier modu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is damaged by exceeding the rating.

종래의 착탈형 모듈 타입의 앰프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워앰프모듈의 교체시 통상적으로는 사용자에게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를 오프(OFF)한 후에 상기 파워앰프모듈을 착탈하라는 안내를 하게 되지만, 여전히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가 온(ON) 된 상태에서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착탈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연결부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replaced, the user is usually guided to detach the power amplifier module after turning off the main power switch. Due to this,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often detached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power switch is turned on, and thus, the connection part is damaged.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메인전원 스위치가 온(ON) 된 상태에서 앰프본체와 파워앰프모듈이 착탈되더라도 상기 앰프본체와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연결되는 부분인 연결부가 러쉬 커런트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는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even when the main body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detached from the main power switch is on (ON), the connection portion that is the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not damaged by the rush curr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remov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a broadcasting system and a remov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using the same.

상술한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앰프본체, 상기 앰프본체에 착탈되는 하나 이상의 파워앰프모듈, 상기 앰프본체와 상기 파워앰프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앰프본체와 상기 파워앰프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amplifier main body, at least one power amplifier module detachable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the amplifier main body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amplifier main body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Provided is a remov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상기 파워앰프모듈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앰프회로부와,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에 결합된 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필요한 공급전압을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공급하여 상기 파워앰프모듈의 결합시 러쉬 커런트(Rush Current)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타임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amplifier module outputs an audio signal desired by a user based on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after a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It may include a first time sequence for supplying a supply voltage required for the power amplifier module to prevent the connection portion from being damaged by the rush current (Rush Current)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coupled.

여기서,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구비된 메인전원 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와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별도의 메인전원 스위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와 직접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온(ON)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The power amplifier module may be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power switch provided i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turned on.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does not have a separate main power switch, the power The amplifier module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power amplifier module may be coupled to be turned on.

또한, 상기 파워앰프모듈은 AC 전원입력과 DC 전원입력 중 하나 이상의 전원입력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와, 외부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대기전압이 인가되는 예비전원 입력부와, 상기 AC 전원입력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AC 전원 릴레이와 상기 DC 전원입력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DC 전원 릴레이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전원 릴레이부와, 상기 전원 릴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릴레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amplifier module may include a power input unit to which one or more power inputs of an AC power input and a DC power input are input, a spare power input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and receiving a standby voltage, and a flow of the AC power inpu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relay unit having at least one of an AC power relay for controlling and a DC power relay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DC power input, and a power relay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power relay unit.

여기서,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는 상기 제1 타임시퀀스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타임시퀀스는 상기 전원릴레이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원릴레이 구동부는 상기 전원 릴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eliminary power input unit may control the first time sequence, the first time sequence controls the power relay driver, and the power relay driver controls the power relay unit.

또한, 상기 파워앰프모듈은 상기 앰프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스피커 릴레이와, 상기 스피커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스피커릴레이 구동부와, 상기 스피커 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2 타임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amplifie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relay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circuit unit, a speaker relay driver for driving the speaker relay, and a second time sequence for controlling the speaker relay.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파워앰프모듈은 상기 앰프본체 또는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이상출력이 스피커 장치로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스피커 릴레이를 오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타임시퀀스에 별도의 프로텍트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프로텍트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nputs a separate protection signal to the second time sequence to turn off the speaker relay so that an abnormal output is not output to the speaker device when an abnormality is found in the amplifier main body or the power amplifier modul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 signal input unit.

또한, 상기 파워앰프모듈은 상기 AC 전원입력과 상기 DC 전원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AC 전원입력을 받아 제1전원을 출력하는 AC 전원부와, 상기 AC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DC 전원입력을 혼합하여 상기 앰프회로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혼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amplifier module may include: an AC power supply unit receiving the AC power input and outputting a first power when the AC power input and the DC power input are simultaneously input; and the first power output from the AC power supply unit and th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mixing unit configured to mix a DC power input to output a driving voltage for driving the amplifier circuit unit.

뿐만 아니라, 상기 파워앰프모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파워앰프모듈은 상기 AC 전원입력과 상기 DC 전원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AC 전원입력을 받아 제1전원을 출력하는 AC 전원부와, 상기 DC 전원입력을 받아 제2 전원을 출력하는 DC 전원부와, 상기 AC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DC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전원을 혼합하여 상기 앰프회로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혼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ower amplifier module, the power amplifier module may receive an AC power input and output the first power when the AC power input and the DC power input are simultaneously input, and the DC A DC power supply for receiving a power input and outputting a second power, and outputting a driving voltage for driving the amplifier circuit unit by mixing the first power output from the AC power supply and the second power output from the DC power supply;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mix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앰프본체와, 상기 앰프본체에 착탈되는 하나 이상의 파워앰프모듈과, 상기 앰프본체와 상기 파워앰프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앰프본체와 상기 파워앰프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갖는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 상기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오디오신호 입력장치, 그리고 상기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갖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amplifier main body, at least one power amplifier module detachable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and the amplifier main body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to provide the amplifier main body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A speaker having a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having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an audio signal input devic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and a speaker having one or more speakers connected to an output end of the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Provided is a broadcast system including a device.

마찬가지로, 상기 파워앰프모듈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앰프회로부와,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에 결합된 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필요한 공급전압을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공급하여 상기 파워앰프모듈의 결합시 러쉬 커런트(Rush Current)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타임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Similarly, the power amplifier module outputs an audio signal desired by a user based on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the power after a first set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It may include a first time sequence for supplying the supply voltage required for the amplifier module to the power amplifier module to prevent the connection portion from being damaged by the rush current (Rush Current)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coupl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파워앰프모듈을 앰프본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파워앰프모듈의 삽입과 동시에 예비전원 입력부가 예비전원 제1 상태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파워앰프모듈의 결합시 러쉬 커런트(Rush Current)에 의하여 상기 파워앰프모듈과 상기 앰프본체가 결합되는 부분인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가 상기 예비전원 제1 상태를 제공받은 이후로 제1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1 타임시퀀스가 제1 출력을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전원 릴레이부가 온(ON)되어,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필요한 공급전압이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nserting the power amplifier module into the amplifier body, the step of inserting the power amplifier module at the same time the standby power input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state of the reserve power, the power amplifier module In order to prevent the connection part, which is a part of the power amplifier module and the amplifier main body, from being damaged by the rush current during the coupling, the spare power input part is provided with the spare power first state. After the first set time has elapsed, the first time sequence outputs the first output, and the power relay unit is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at the first output is output, so that the supply voltage required for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supplied to the power amplifier. It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remov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being supplied to the module.

마찬가지로, 상기 파워앰프모듈을 앰프본체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구비된 메인전원 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와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별도의 메인전원 스위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와 직접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온(ON)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Similarly, the step of inserting the power amplifier module into the amplifier main body may be coupled to the power amplifier module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while the main power switch provided i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turned on (ON), the power amplifier module When there is no separate main power switch, the power amplifier module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may be coupled to be turned on.

또한, 상기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전원 릴레이부가 온(ON) 된 후에 제3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2 타임시퀀스가 제3 출력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스피커 릴레이가 온(ON)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 third output by a second time sequence after a third set time elapses after the power relay unit is turned on. The output may further include a step in which the speaker relay is turned on.

또한, 상기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파워앰프모듈을 상기 앰프본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가 예비전원 제2 상태로 되는 단계와,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가 상기 예비전원 제2 상태로 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타임시퀀스가 제2 출력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 릴레이부가 오프(OFF)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may include: separating the power amplifier module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separating the power amplifier module; And outputting a second output by the first time sequence simultaneously with the reserve power input unit entering the reserve power second state, and turning off the power relay unit simultaneously with the output of the second output. can do.

또한, 상기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 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제2 타임시퀀스가 제4 출력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4 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 릴레이가 오프(OFF)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 fourth output by a second time sequence at the same time that the second output is output, and simultaneously turning off the speaker relay when the fourth output is output.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또한, 상기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앰프본체 또는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이상출력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스피커 릴레이를 오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타임시퀀스에 별도의 프로텍트신호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is separate from the second time sequence to turn off the speaker relay so that an abnormal output is not output to the speaker when an abnormality is found in the amplifier main body or the power amplifier modu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nputting a protect signal.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파워앰프모듈에 구비된 메인전원 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앰프본체와 결합되거나,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별도의 메인전원 스위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와 직접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온(ON)되어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에 결합된 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T1)의 경과 후에 제1 타임시퀀스가 전원 릴레이부를 제어하여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필요한 공급전압이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워앰프모듈의 결합시 러쉬 커런트(Rush Current)에 의하여 상기 파워앰프모듈과 상기 앰프본체가 결합되는 부분인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power switch provided i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turned on or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does not have a separate main power switch,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directly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the first time sequence is passed after the first set time T1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By controlling the power relay unit so that the supply voltage required for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supplied to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a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power amplifier module and the amplifier body by the rush current (Rush Current)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coupl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connection from being damaged.

둘째,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구비된 메인전원 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앰프본체와 결합되거나,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별도의 메인전원 스위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와 직접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온(ON)되어 결합되는 경우에 제2 타임시퀀스가 스피커 릴레이를 제어하여 구동전압이 앰프회로부로 공급된 이후부터 제3 설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상기 앰프회로부의 출력이 스피커 장치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앰프장치에서의 과도응답으로 인한 이상출력이 상기 스피커 장치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power switch provided i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turned on or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does not have a separate main power switch,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directly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amplifier, the second time sequence controls the speaker relay so that the third set time has elapsed since the driving voltage was supplied to the amplifier circuit unit. Next, the output of the amplifier circuit portion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device, thereby preventing the abnormal output due to the transient response from the amplifier device to be output to the speaker device.

셋째, 예비전원 입력부가 상위레벨(H)에서 하위레벨(L)로 바뀌거나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가 온(ON)상태에서 오프(OFF)상태로 바뀌는 경우에 상기 제1 타임시퀀스의 출력으로 상기 제2 타임시퀀스를 제어하여 스피커 릴레이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앰프장치에서의 이상출력이 상기 스피커 장치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Third, when the standby power input unit is changed from the upper level (H) to the lower level (L) or when the main power switch is switched from the ON (OFF) state to the OFF (OFF) state to the output of the first time sequence It is advantageous to prevent the abnormal output from the amplifier devic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peaker device by controlling the two time sequences to turn off the speaker relay.

넷째, 상기 앰프본체 또는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상기 제2 타임시퀀스에 별도의 프로텍트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스피커 릴레이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앰프장치의 이상출력이 상기 스피커 장치로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Fourth, when an abnormality is found in the amplifier main body or the power amplifier module, a separate protection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time sequence to turn off the speaker relay so that the abnormal output of the amplifier device is not output to the speaker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가 구비된 방송시스템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앰프모듈에 내장된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앰프모듈에 내장된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메인전원 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 파워앰프모듈이 앰프본체에 삽입될 때 도 2의 회로도에서의 작동 흐름도
도 5는 메인전원 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 파워앰프모듈이 앰프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도 2의 회로도에서의 작동 흐름도
도 6은 메인전원 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 파워앰프모듈이 앰프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파워앰프모듈에 구비된 회로도에서의 작동 흐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s of a broadcasting system equipped with a remov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ircuit embedded in a power amplifi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ircuit embedded in a power amplifi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circuit diagram of FIG. 2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inserted into the amplifier main body with the main power switch turned 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diagram of FIG. 2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disconnected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with the main power switch turned 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on flow in the circuit diagram provided in the power amplifier module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disconnected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when the main power switch is turned 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의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remov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oadcast system us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remov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은 파워앰프모듈(230)이 착탈되는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200), 상기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200)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오디오신호 입력장치(100), 그리고 상기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20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갖는 스피커 장치(300)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시스템에는 방송제어장치뿐만 아니라, 방송용도에 따라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추가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디오신호 입력장치(100)는 상기 앰프장치(200)로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101), CD 플레이어(102), 튜너기기(1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signal input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a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200 in which the power amplifier module 230 is detachable, and the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200. Apparatus 100, and a speaker device 300 having one or more speaker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mov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200. Of course, the broadca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ot only a broadcast control device but also additional devices additionally required according to a broadcast purpose. In detail, the audio signal input device 100 may include a microphone 101, a CD player 102, a tuner device 106, and the like f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to the amplifier device 200.

또한, 상기 스피커 장치(300)는 복수 개로 구분된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되는 제1 스피커(301), 제2 스피커(302), 제N 스피커(306)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aker device 300 may include a first speaker 301, a second speaker 302, and an N-th speaker 306 installed in each of a plurality of divided broadcast zones.

또한, 상기 앰프장치(200)는 앰프본체(210), 상기 앰프본체(210)에 착탈되는 하나 이상의 파워앰프모듈(230), 상기 앰프본체(210)와 상기 파워앰프모듈(2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앰프본체(210)와 상기 파워앰프모듈(23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22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mplifier device 200 is disposed between the amplifier body 210, at least one power amplifier module 230 detachable from the amplifier body 210, between the amplifier body 210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230. And a connection part 22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mplifier main body 210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230.

또한, 상기 파워앰프모듈(230)은 상기 제1 스피커(301), 상기 제2 스피커(302) 및 상기 제N 스피커(306)에 대응되는 제1 파워앰프모듈(2300), 제2 파워앰프모듈(2400), 제N파워앰프모듈(2600)을 포함한다The power amplifier module 230 may include a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and a second power amplifier modu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peaker 301, the second speaker 302, and the N-th speaker 306. 2400, an N-th power amplifier module 2600.

또한, 상기 연결부(220)는 제1 파워앰프모듈(2300), 제2 파워앰프모듈(2400), 제N파워앰프모듈(2600)에 대응되는 제1 연결부(221), 제2 연결부(222) 및 제N 연결부(2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앰프본체(210)와 상기 파워앰프모듈(230)을 연결하는 커넥터 등으로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앰프본체(210)와 상기 파워앰프모듈(230)이 연결되는 부위를 통칭하여 사용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220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221 and a second connector 222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the second power amplifier module 2400, and the Nth power amplifier module 2600. And an Nth connection part 226. Here, the connection unit 220 may be specifically implemented as a connector connecting the amplifier main body 210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230, the amplifier main body 210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230 is The site to be connected is collectively used.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파워앰프모듈에 구비되는 회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 구비된 회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an embodiment of a circuit provided in each power amplifi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a circuit provided i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은 메인전원 스위치(2317),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2311), 외부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대기전압이 인가되는 예비전원 입력부(2313), 외부에서 오디오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부(2312), 입력된 오디오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앰프회로부(2330), 상기 앰프회로부(2330)에서 출력된 오디오 출력신호가 외부로 연결되는 출력단자부(2314)를 포함한다.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may include a main power switch 2317, a power input unit 2311 for inputting external power, a preliminary power input unit 2313 connected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and a standby voltage applied thereto, and audio from outside. An input terminal unit 2312 for inputting an input signal, an amplifier circuit unit 2330 for outputting an audio output signal desired by a user based on the input audio input signal, and an audio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circuit unit 233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an output terminal portion 2314.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은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의 작동을 온-오프(ON-OFF)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파워앰프모듈에는 각각의 메인전원 스위치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는 상기 앰프본체(2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앰프장치 전체의 작동을 온-오프(ON-OFF)하기 위한 별도의 전체 전원스위치는 상기 앰프본체(210)에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provided to turn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As a result, each power amplifier module is provided with a respective main power switch. Of course, the main power switch 2317 may be provided in the amplifier main body 210. In addition, a separate total power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entire operation of the amplifier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amplifier body 210.

상기 전원입력부(2311)는 상기 파워앰프모듈(230)에 전원이 입력되는 단자에 해당하게 된다. 상기 전원입력부(2311)는 AC 전원입력이 입력되는 AC 전원입력부(2311a)와, DC 전원입력이 입력되는 DC 전원입력부(2311b)를 포함한다. The power input unit 2311 corresponds to a terminal through which power is input to the power amplifier module 230. The power input unit 2311 includes an AC power input unit 2311a to which an AC power input is input, and a DC power input unit 2311b to which a DC power input is input.

또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은 상기 AC 전원입력과 상기 DC 전원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AC 전원입력을 받아 제1전원을 출력하는 AC 전원부(2315)와, 상기 AC 전원부(2315)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DC 전원입력을 혼합하여 상기 앰프회로부(23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혼합부(2316)를 포함한다.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may include an AC power supply 2315 receiving the AC power input and outputting a first power when the AC power input and the DC power input are simultaneously input, and the AC power supply unit ( And a power mixing unit 2316 for outputting a driving voltage for driving the amplifier circuit unit 2330 by mixing the first power and the DC power input output from 2315.

상기 AC 전원부(2315)는 상기 AC 전원입력부(2311a)에서 입력되는 AC전압을 받아 DC 전압형태의 상기 제1 전원을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전원혼합부(2316)는 상기 AC 전원부(2315)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DC 전원입력부(2311b)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DC 전원입력을 혼합하여 상기 앰프회로부(2330)를 구동시키는 구동전압을 상기 앰프회로부(2330)에 인가하게 된다.The AC power supply unit 2315 receives the AC voltage input from the AC power input unit 2311a to output the first power in the form of DC voltage, and the power mixing unit 2316 outputs from the AC power supply unit 2315. The first power and the DC power input input through the DC power input unit 2311b are mixed to apply a driving voltage for driving the amplifier circuit unit 2330 to the amplifier circuit unit 2330.

또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은 상기 AC 전원입력부(2311a)와 상기 AC 전원부(231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AC 전원입력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AC 전원릴레이(2321)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은 상기 DC 전원입력부(2311b)와 상기 전원혼합부(231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DC 전원입력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DC 전원릴레이(2323)를 더 포함한다.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may further include an AC power relay 2321 disposed between the AC power input unit 2311a and the AC power supply unit 2315 to control the flow of the AC power input. do. In additio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disposed between the DC power input unit 2311b and the power mixing unit 2316, and further includes a DC power relay 2323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DC power input. Include.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AC 전원입력부 또는 DC 전원입력부가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AC 전원입력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AC 전원릴레이와 상기 DC 전원입력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DC 전원 릴레이도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 power input unit or the DC power input unit may be provided separately, and the flow of the AC power relay and the DC power input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AC power input may be applied. DC power relays for control may also be provided separately.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원릴레이부는 반도체, 예를 들면,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SCR(Sillicon Controlled Rectifier), TRIAC(Triode AC Switch) 등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ower relay unit is a semiconductor, for example,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a 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T), a sil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It may also be implemented by TRIAC (Triode AC Switch).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워앰프모듈에 내장된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를 참조하면,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는 DC 전원부(2318)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referring to a circuit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ircuit built in the power amplifi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DC power supply unit 2318 is to be additionally installed Can be.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는 AC 전원입력과 DC 전원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AC 전원입력을 받아 제1전원을 출력하는 AC 전원부(2315)와, 상기 DC 전원입력을 받아 제2 전원을 출력하는 DC 전원부(2318)가 구비된다. Specifically, i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AC power input and the DC power input are simultaneously input, an AC power supply unit 2315 receives the AC power input and outputs the first power, and the A DC power supply 2318 for receiving a DC power input and outputting a second power is provided.

상기 DC 전원부(2318)는 DC 전원 릴레이(2323)와 상기 전원혼합부(231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DC전원 입력부(2311b)에서 입력되는 상기 DC 전원입력을 받아 상기 제2 전원을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혼합부(2316)는 상기 AC 전원부(2315)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DC 전원부(2318)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전원을 혼합하여 상기 앰프회로부(23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압을 출력하게 된다.The DC power supply unit 2318 is disposed between the DC power relay 2323 and the power mixing unit 2316 to receive the DC power input input from the DC power input unit 2311b to output the second power. The power mixer 2316 may be configured to drive the amplifier circuit unit 2330 by mixing the first power output from the AC power supply 2315 and the second power output from the DC power supply 2318. The driving voltage is output.

또한, 상기 DC 전원릴레이(2323)는 상기 DC 전원입력부(2311b)와 상기 DC 전원부(2318)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DC 전원입력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C power relay 2323 is disposed between the DC power input unit 2311b and the DC power supply unit 2318 to control the flow of the DC power input.

한편,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은 상기 AC 전원릴레이(2321)와 상기 DC 전원릴레이(2323)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AC 전원릴레이 구동부(2351)와 DC 전원릴레이 구동부(2353)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ncludes an AC power relay driver 2351 and a DC power relay driver 2353 which individually control the AC power relay 2321 and the DC power relay 2323, respectively. do.

또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은 상기 AC 전원릴레이 구동부(2351)와 상기 DC 전원릴레이 구동부(2353)를 제어하여 상기 AC 전원릴레이(2321)와 상기 DC 전원릴레이(2323)를 제어하는 제1 타임시퀀스(2341)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2313)는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는 상기 AC 전원릴레이 구동부(2351) 및 상기 DC 전원릴레이 구동부(2353)를 제어하고, 상기 AC 전원릴레이 구동부(2351) 및 상기 DC 전원릴레이 구동부(2353)는 상기 AC 전원릴레이(2321) 및 상기 DC 전원릴레이(2323)를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controls the AC power relay driver 2351 and the DC power relay driver 2353 to control the AC power relay 2321 and the DC power relay 2323. First time sequence 2341 is included. As a result, the preliminary power input unit 2313 controls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and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controls the AC power relay driver 2351 and the DC power relay driver 2353. In addition, the AC power relay driver 2351 and the DC power relay driver 2353 control the AC power relay 2321 and the DC power relay 2323.

특히,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는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상기 앰프본체(210)에 결합된 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T1)의 경과 후에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 필요한 공급전압을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 공급하여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의 결합시 러쉬 커런트(Rush Current)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에 의하여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제어되는 과정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추후에 설명하기로 한다.In particular,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is set from a time point at which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210 while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After the time T1 has elapsed, a rush current is supplied when the supply voltage required for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supplied to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to couple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 To prevent damage to the connection portion.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controlled by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 별도의 메인전원 스위치가 없고,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앰프본체(210)와 직접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온(ON)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re is no separate main power switch i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and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210. At the same time,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may be turned on and coupled.

또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은 상기 앰프회로부(233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출력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스피커 릴레이(2325)와, 상기 스피커 릴레이(2325)를 구동하기 위한 스피커릴레이 구동부(2355)와, 상기 스피커 릴레이(2325)를 제어하기 위한 제2 타임시퀀스(234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타임시퀀스(2342)는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스피커릴레이 구동부(2355)를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may include a speaker relay 2325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n audio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circuit unit 2330, and a speaker relay driver for driving the speaker relay 2325. 2355 and a second time sequence 2342 for controlling the speaker relay 2325. Here, the second time sequence 2342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to control the speaker relay driver 2355.

또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은 상기 앰프본체(210) 또는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이상출력이 상기 스피커 장치(300)로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스피커 릴레이(2325)를 오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타임시퀀스(2342)에 별도의 프로텍트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프로텍트신호 입력부(236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peaker relay so that the abnormal output is not output to the speaker device 300 when an abnormality is found in the amplifier main body 210 or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A protection signal input unit 2360 is further included to input a separate protection signal to the second time sequence 2342 to turn off 2325.

도 1, 도2 및 도 4를 참조하여, 메인전원 스위치가 온(ON) 된 상태에서 제1 파워앰프모듈이 삽입되는 경우의 제어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2 and 4, the control flow whe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is inserted when the main power switch is turned on (ON) as follows.

먼저, 초기상태는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는 온(ON) 되어 있고, AC 전원릴레이(2321), DC 전원릴레이(2323) 및 스피커 릴레이(2325)는 모두 오프(OFF) 된 상태이다(S1, S3).First, in the initial state,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ON, and the AC power relay 2321, the DC power relay 2323, and the speaker relay 2325 are all OFF (S1). , S3).

이때, 사용자가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을 앰프본체(210)에 삽입하게 되면, 예비전원 입력부(2313)는 상위레벨값(H)인 예비전원 제1 상태를 제공받게 된다(S10, S20).In this case, when the user inserts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nto the amplifier main body 210 while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the reserve power input unit 2313 has a higher level value ( H) is provided with a first power supply state (S10, S20).

다음으로, 제1 타임시퀀스(2341)는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2313)에 상기 예비전원 제1 상태가 제공된 이후로 제1 설정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설정시간(T1)에 도달하였다면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는 상기 제1 타임시퀀스의 상위레벨값(H)인 제1 출력을 출력하게 된다(S35, S50).Next,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determines whether a first set time T1 has elapsed since the preliminary power first state is provided to the reserve power input unit 2313, and the first set time T1 is determined. ),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outputs a first output which is the upper level value H of the first time sequence (S35 and S50).

여기서, 상기 제1설정시간(T1)은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상기 앰프본체(210)에 삽입된 이후로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가 제1 출력을 출력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Here, the first set time T1 is a time until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outputs a first output after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inserted into the amplifier main body 210. Means.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ON)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을 상기 앰프본체(210)에 삽입하더라도,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의 결합이 완료되고, 상기 제1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 필요한 공급전압을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 공급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의 결합시 러쉬 커런트(Rush Current)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22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s a result, even whe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inserted into the amplifier main body 210 while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the coupling of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not perform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irst set time,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supplied with a supply voltage required for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thereby coupling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1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rush current.

따라서,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ON)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결합되더라도,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결합되는 제1 연결부(221)의 손상이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의 결합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도 상기 앰프회로부(2330)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coupled while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1 to which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coupled is damaged. This is avoided. In addition,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coupled may not affect the amplifier circuit unit 2330 at all.

다음으로, 상기 제1 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AC 전원릴레이(2321) 및 상기 DC 전원릴레이(2323)가 온(ON)되고, 상기 전원혼합부(2316)에서 상기 AC 전원부(2315)에서 출력되는 제1 전원과 상기 DC 전원입력이 혼합되어 상기 앰프회로부(2330)로 구동전압이 입력된다(S70).Next, the AC power relay 2321 and the DC power relay 2323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output is output, and is output from the AC power supply unit 2315 at the power mixing unit 2316. The first power and the DC power input are mixed and a driving voltage is input to the amplifier circuit unit 2330 (S70).

물론, 도 3에서와 같이, DC 전원부(2318)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라면, 상기 AC 전원릴레이(2321) 및 상기 DC 전원릴레이(2323)가 온(ON)되면, 상기 전원혼합부(2316)에서 상기 AC 전원부(2315)에서 출력되는 제1 전원과 상기 DC 전원부(2318)에서 출력되는 제2 전원이 혼합되어 상기 앰프회로부(2330)로 구동전압이 입력될 것이다.Of course, as shown in FIG. 3, when the DC power supply unit 2318 is provided, when the AC power relay 2321 and the DC power relay 2323 are ON, the power mixing unit 2316 may be used. The first power output from the AC power supply 2315 and the second power output from the DC power supply 2318 are mixed to input a driving voltage to the amplifier circuit unit 2330.

다음으로, 제2 타임시퀀스(2342)는 상기 제1 출력이 출력된 이후로 제3 설정시간(T3)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3 설정시간(T3)에 도달하였다면, 상기 제2 타임시퀀스(2342)는 상위레벨값(H)인 제3 출력을 출력하게 된다(S75, S80).Next, the second time sequence 2342 determines whether the third set time T3 has elapsed since the first output is output, and if the third set time T3 has been reached, the second time sequence 2234. The sequence 2342 outputs a third output that is a high level value H (S75 and S80).

여기서, 상기 제3 설정시간(T3)은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 초기 전원이 투입되는 경우 이상출력이 발생하는 과도 응답시간보다 크게 설정된다.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설정시간(T3)이 상기 과도 응답시간보다 크게 설정되면, 과도응답으로 인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의 이상출력이 스피커 장치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third set time T3 is set to be greater than the transient response time when an abnormal output occurs when initial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When the third set time T3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transient response time while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an abnormal output of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due to the transient response may occur. The output to the speaker device can be prevented.

다음으로, 상기 제3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 릴레이(2325)가 온(ON) 상태가 된다.Next, the speaker relay 2325 is turned on while the third output is output.

결과적으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상기 앰프본체(210)에 결합된 시점부터 상기 제1 설정시간과 상기 제3 설정시간을 합한 시간, 즉 T1 + T3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스피커 릴레이(2325)가 온(ON)되어 상기 앰프장치(200)의 출력이 상기 스피커 장치(300)로 전달된다.As a result, after the time when the sum of the first set time and the third set time, that is, the time T1 + T3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210, The speaker relay 2325 is turned on to transmit the output of the amplifier device 200 to the speaker device 300.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ON) 된 상태에서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분리되는 경우의 제어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1, 2, and 5, a control flow whe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separated while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분리되기 전의 초기상태는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는 온(ON) 되어 있고, AC 전원릴레이(2321), DC 전원릴레이(2323) 및 스피커 릴레이(2325)는 모두 온(ON) 된 상태이다(S101, S103).First, before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separated,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the AC power relay 2321, the DC power relay 2323, and the speaker relay ( 2325 is in an on state (S101, S103).

이때, 사용자가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ON)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을 앰프본체(210)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예비전원 입력부(2313)는 하위레벨값(L)인 예비전원 제2 상태가 된다(S110, S130).In this case, when the user separates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210 while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the reserve power input unit 2313 has a low level value ( L) is a second state of the standby power supply (S110, S130).

다음으로, 제1 타임시퀀스(2341)는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2313)가 상기 예비전원 제2 상태로 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가 하위레벨값(L)인 제2 출력을 출력하게 된다(S150).Next,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causes the preliminary power input unit 2313 to be in the second state of the preliminary power and output the second output having the low level value L at the same time. It becomes (S150).

다음으로, 상기 제2 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AC 전원릴레이(2321) 및 상기 DC 전원릴레이(2323)가 오프(OFF)된다(S170). 또한,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가 제2 출력을 출력함과 동시에 제2 타임시퀀스(2342)는 하위레벨값(L)인 제4 출력을 출력하게 된다(S180). Next, the AC power relay 2321 and the DC power relay 2323 are turned off at the same time as the second output is output (S170). In addition, while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outputs a second output, the second time sequence 2342 outputs a fourth output having a lower level value L (S180).

다음으로, 상기 제2 타임시퀀스(2342)가 상기 제4 출력을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 릴레이(2325)는 오프(OFF)된다(S190).Next, the speaker relay 2325 is turned off at the same time as the second time sequence 2342 outputs the fourth output (S190).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상기 앰프본체(210)에서 분리되면, 상기 AC 전원릴레이(2321), 상기 DC 전원릴레이(2323) 및 상기 스피커 릴레이(2325)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순간에 모두 오프(OFF)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의 출력으로 상기 제2 타임시퀀스(2342)를 제어하여 상기 스피커 릴레이(2325)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앰프장치(200)에서의 이상출력이 상기 스피커 장치(300)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disconnected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210 while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the AC power relay 2321 and the DC power relay The 2323 and the speaker relay 2325 are both turned OFF at substantially the same moment. That is, the output of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is controlled to turn off the speaker relay 2325 by controlling the second time sequence 2342 so that the abnormal output from the amplifier device 200 is caused by the speaker device 300. It will not be delivered to.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앰프본체(210) 또는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이상출력이 스피커 장치로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스피커 릴레이(2325)를 오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타임시퀀스(2342)에 별도의 프로텍트신호가 입력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when the abnormality is found in the amplifier main body 210 or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the speaker relay 2325 does not output the abnormal output to the speaker device. ), A separate protect signal may be input to the second time sequence 2342.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ON) 된 상태에서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분리되는 경우의 제어흐름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1, 2 and 6,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flow whe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detached when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will be described below. Is the same as

먼저,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분리되기 전의 초기상태는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는 온(ON) 되어 있고, AC 전원릴레이(2321), DC 전원릴레이(2323) 및 스피커 릴레이(2325)는 모두 온(ON) 된 상태이다(S201, S203).First, before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separated,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the AC power relay 2321, the DC power relay 2323, and the speaker relay ( 2325 is in an on state (S201, S203).

이때, 사용자가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ON)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을 앰프본체(210)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2313)는 하위레벨값(L)인 예비전원 제2 상태가 된다(S210, S230).In this case, when the user separates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210 while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the reserve power input unit 2313 has a lower level value. A second power supply state of (L) is entered (S210, S230).

다음으로,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는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가 상기 예비전원 제2 상태가 된 이후로 경과시간이 0 보다는 크고 제2 설정시간(T2)보다는 작은지를 판단하게 되고,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라면, 제1 타임시퀀스(2341)는 하위레벨값(L)인 제2 출력을 출력하게 된다.Next,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determines whether an elapsed time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a second set time T2 since the preliminary power input unit becomes the preliminary power second state, and determines the condition. If so,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outputs a second output that is a lower level value (L).

삭제delete

결과적으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분리되었다가 곧바로 다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AC 전원릴레이(2321), 상기 DC 전원릴레이(2323)는 모두 제2 설정시간(T2) 이내에 오프(OFF) 되었다가, 상기 제1 설정시간(T1) 이후에 다시 온(ON)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ON) 된 상태에서 상기 파워앰프모듈(230)을 분리하였다가 곧바로 다시 상기 파워앰프모듈(230)을 삽입하여도 러쉬 커런트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부(221)가 손상되지는 않는다.As a result, whe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detached and immediately reinserted, both the AC power relay 2321 and the DC power relay 2323 are turned off within the second set time T2. ), And then ON again after the first set time T1. Therefore, even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230 is disconnected while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230 is immediately inserted again, the first connection part (2) is rushed. 221 is not damaged.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을 분리하였다가 곧바로 다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실제 전원 컨덴서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의 방전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러쉬 커런트는 작아서 상기 제1 연결부(221)는 거의 손상되지 않는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removed and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immediately inserted again, since the discharge of the voltage charged in the actual power capacitor does not occur much, the rush current Is small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1 is hardly damaged.

다음으로,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에서 제2 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AC 전원릴레이(2321) 및 상기 DC 전원릴레이(2323)가 오프(OFF)된다(S270). 또한,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가 제2 출력을 출력함과 동시에 제2 타임시퀀스(2342)는 하위레벨값(L)인 제4 출력을 출력하게 된다(S280). Next, the second power is output from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and the AC power relay 2321 and the DC power relay 2323 are turned off (S270). In addition, while the first time sequence 2341 outputs the second output, the second time sequence 2342 outputs the fourth output having the lower level value L (S280).

다음으로, 상기 제2 타임시퀀스(2342)가 상기 제4 출력을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 릴레이(2325)는 오프(OFF)된다(S290).Next, the speaker relay 2325 is off (OFF) at the same time as the second time sequence 2342 outputs the fourth output (S290).

또한, 상기 제2 타임시퀀스(2342)는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 내장된 프로텍트신호 입력부(2360)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텍트신호 입력부(2360)는 상기 앰프본체(210) 또는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서 이상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스피커 릴레이(2325)를 오프시키기 위한 프로텍트 신호를 상기 제2 타임시퀀스(2342)로 전달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time sequence 2342 may be controlled by a protect signal input unit 2360 embedded i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Specifically, when the protect signal input unit 2360 detects an abnormal signal in the amplifier main body 210 or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the protect signal input unit 2360 may provide a protect signal for turning off the speaker relay 2325. 2 is passed to a time sequence (2342).

그러면, 상기 제2 타임시퀀스(2342)는 하위레벨값(L)인 제4 출력을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4 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 릴레이(2325)는 오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앰프본체(210)나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상기 스피커 릴레이(2325)가 오프됨으로써 이상출력이 상기 스피커 장치(300)로 출력되지 않게 된다.Then, the second time sequence 2342 outputs a fourth output having a lower level value L, and the speaker relay 2325 is turned off at the same time as the fourth output is output. As a result, when an abnormality is found in the amplifier main body 210 or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the speaker relay 2325 is turned off so that an abnormal output is not output to the speaker device 300.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이 온/오프 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s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main power switch is turned on / off while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구체적으로,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2313)가 상위레벨값(H)의 상태인 경우에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오프(OFF)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바뀌게 되면,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는 상기 제1 설정시간(T1) 후에 상위레벨값(H)인 제1 출력을 출력하게 된다. 이후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흐름(S70, S75, S80, S90)을 갖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와 관련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Specifically, when the preliminary power input unit 2313 is in a state of a high level value H, when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chang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the first time sequence 2234 outputs a first output of higher level value H after the first set time T1. Thereafter, the control flows S70, S75, S80, and S90 as shown in FIG.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since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scription related to FIG. 4.

또한,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2313)가 상위레벨값(H)의 상태인 경우에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ON)된 상태에서 오프(OFF) 상태로 바뀌게 되면,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는 즉시 하위레벨값(L)인 제2 출력을 출력하게 된다. 이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흐름(S170, S180, S190)을 갖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와 관련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In addition, when the preliminary power input unit 2313 is in a state of a high level value H, when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changed from an on state to an off state, the first time sequence may be used. 2234 immediately outputs a second output that is a lower level value (L). Subsequently, the control flows S170, S180, and S190 as shown in FIG.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because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scription related to FIG. 5.

뿐만 아니라,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2313)가 상위레벨값(H)의 상태인 경우에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ON)된 상태에서 오프(OFF) 상태로 바뀌게 되면, 상기 제1 타임시퀀스(2341)는 0 보다 크고 상기 제2 설정시간(T2)보다 작은 시간 범위 내에서 하위레벨값(L)인 제2 출력을 출력하게 된다. 이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S270, S280, S290)을 갖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과 관련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the preliminary power input unit 2313 is in a state of a high level value H, when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changed from an on state to an off state, the first time The sequence 2341 outputs a second output that is a lower level value L within a time range greater than zero and less than the second set time T2. After that, the flows (S270, S280, S290) as shown in FIG.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since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scription related to FIG. 6.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ON)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을 상기 앰프본체(210)에 삽입 또는 분리하거나,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상기 앰프본체(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전원 스위치(2317)가 온/오프되는 경우에도 상기 앰프본체(210)와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221)는 러쉬 커런트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에 별도의 메인전원 스위치가 없고,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앰프본체(210)와 직접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이 온(ON)되어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제어흐름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파워앰프모듈(2400) 및 제 N파워앰프모듈(2600)도 상기 제1 파워앰프모듈(2300)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된다.As a result,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210 in the state where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or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The first connection part 221 connecting the amplifier main body 210 and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even when the main power switch 2317 is turned on / off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amplifier main body 210. Is not damaged by the rush current.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re is no separate main power switch in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and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210. The control flow described above may also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is coupled to the sam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second power amplifier module 2400 and the Nth power amplifier module 2600 are also control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0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t is possible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오디오신호 입력장치 200: 앰프장치
210: 앰프본체 220: 연결부
230: 파워앰프모듈 300: 스피커 장치
2300: 제1 파워앰프모듈 2311: 전원입력부
2313: 예비전원 입력부 2317: 메인전원 스위치
2321: AC 전원 릴레이 2323: DC 전원 릴레이
2325: 스피커 릴레이 2330: 앰프회로부
2341: 제1 타임시퀀스 2342: 제2 타임시퀀스
2351: AC 전원릴레이 구동부 2353: DC 전원릴레이 구동부
2355: 스피커 릴레이 구동부 2360: 프로텍트신호 입력부
100: audio signal input device 200: amplifier device
210: amplifier body 220: connection portion
230: power amplifier module 300: speaker device
2300: first power amplifier module 2311: power input unit
2313: spare power input unit 2317: main power switch
2321: AC power relay 2323: DC power relay
2325: speaker relay 2330: amplifier circuit
2341: first time sequence 2342: second time sequence
2351: AC power relay drive unit 2353: DC power relay drive unit
2355: speaker relay drive unit 2360: protect signal input unit

Claims (12)

앰프본체;
상기 앰프본체에 착탈되는 하나 이상의 파워앰프모듈;
상기 앰프본체와 상기 파워앰프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앰프본체와 상기 파워앰프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앰프모듈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앰프회로부와,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에 결합됨과 동시에는 외부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예비전원 제1 상태를 제공받고,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는 예비전원 제2 상태를 제공받는 예비전원 입력부와,
AC 전원입력과 DC 전원입력 중 하나 이상의 전원입력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입력의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필요한 공급전압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전원 릴레이부와,
상기 전원 릴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릴레이 구동부와,
상기 앰프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스피커 릴레이와,
상기 파워앰프모듈의 결합시 러쉬 커런트(Rush Current)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에 결합된 시점부터 제1 설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전원릴레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원 릴레이부를 온 시키고,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 릴레이부를 오프시키기 위한 제1 타임시퀀스와,
상기 전원릴레이부가 온 된 이후부터 제3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스피커 릴레이를 온 시키고, 상기 전원 릴레이부가 오프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 릴레이를 오프시키기 위한 제2 타임시퀀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설정시간은 상기 전원 릴레이부가 온 된 이후부터 이상출력이 발생하는 과도응답시간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
Amplifier body;
At least one power amplifier module detachable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It is disposed between the amplifier main body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mplifier body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The power amplifier module includes an amplifier circuit unit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desired by the user based on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and simultaneous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to receive a first power reserve state, and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and simultaneously receives a second power supply second state. A spare power input unit,
A power input unit to which at least one power input of an AC power input and a DC power input is input;
A power relay unit for controlling a flow of the power input to supply or cut off a supply voltage required for the power amplifier module;
A power relay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power relay unit;
A speaker relay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circuit unit;
In order to prevent the connection part from being damaged by the rush current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coupled, the power relay driving unit is controlled after a first set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coupled to the amplifier main body. A first time sequence for turning on the power relay unit and turning off the power relay unit at the same time as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And a second time sequence for turning on the speaker relay when the third set time has elapsed since the power relay is turned on, and turning off the speaker relay at the same time as the power relay is turned off.
The third setting time is a remov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larger than the transient response time from which the abnormal output occurs after the power relay is turned 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부는 상기 AC 전원입력이 입력되는 AC전원입력부와, 상기 DC전원입력이 입력되는 DC전원입력부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릴레이부는 상기 AC 전원입력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AC 전원 릴레이와, 상기 DC 전원입력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DC 전원 릴레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input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C power input unit to which the AC power input is input and a DC power input unit to which the DC power input is input, and the power relay unit is an AC power relay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AC power input. And a DC power relay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DC power inpu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본체 또는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이상출력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스피커 릴레이를 오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타임시퀀스에 별도의 프로텍트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프로텍트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착탈형 모듈 타입의 앰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rotect signal input unit for inputting a separate protect signal to the second time sequence to turn off the speaker relay so that an abnormal output is not output to the speaker when an abnormality is found in the amplifier main body or the power amplifier module. Removable module type amplifi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부로 상기 AC 전원입력과 상기 DC 전원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AC 전원입력을 받아 제1전원을 출력하는 AC 전원부와, 상기 AC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DC 전원입력을 혼합하여 상기 앰프회로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혼합부를 더 포함하는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C power supply receiving the AC power input and outputting a first power when the AC power input and the DC power input are simultaneously input to the power input unit; and the first power and the DC power input output from the AC power supply. Remov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ower mixing unit for outputting a driving voltage for driving the amplifier circuit unit by mix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부로 상기 AC 전원입력과 상기 DC 전원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AC 전원입력을 받아 제1전원을 출력하는 AC 전원부와, 상기 DC 전원입력을 받아 제2 전원을 출력하는 DC 전원부와, 상기 AC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DC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전원을 혼합하여 상기 앰프회로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혼합부를 더 포함하는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C power supply receiving the AC power input and outputting a first power when the AC power input and the DC power input are simultaneously input to the power input unit, a DC power supply receiving the DC power input and outputting a second power; And a power mixing unit configured to mix the first power output from the AC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power output from the DC power supply unit to output a driving voltage for driving the amplifier circuit unit.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착탈형 모듈 타입의 앰프장치;
상기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오디오신호 입력장치; 그리고,
상기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갖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
An amplifier device of the removable module typ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and 6;
An audio signal input devic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And,
And a speaker device having one or more speaker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파워앰프모듈을 앰프본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파워앰프모듈의 삽입과 동시에 외부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예비전원 입력부가 예비전원 제1 상태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파워앰프모듈의 결합시 러쉬 커런트(Rush Current)에 의하여 상기 파워앰프모듈과 상기 앰프본체가 결합되는 부분인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가 상기 예비전원 제1 상태를 제공받은 이후로 제1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1 타임시퀀스가 제1 출력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전원 릴레이부가 온(ON)되어,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필요한 공급전압이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공급되는 단계;
상기 전원 릴레이부가 온(ON) 된 후부터 제3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2 타임시퀀스가 제3 출력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3 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스피커 릴레이가 온(ON)되는 단계;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상기 앰프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단계;
상기 파워앰프모듈이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가 예비전원 제2 상태로 되는 단계;
상기 예비전원 입력부가 상기 예비전원 제2 상태로 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타임시퀀스가 제2 출력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 릴레이부가 오프(OFF)되는 단계;
상기 제2 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2 타임시퀀스가 제4 출력을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4 출력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 릴레이가 오프(OFF)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설정시간은 상기 전원 릴레이부가 온 된 이후부터 이상출력이 발생하는 과도응답시간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모듈타입의 앰프장치의 제어방법.
Inserting the power amplifier module into the amplifier body;
Receiving a preliminary power first state at the same time as the insertion of the power amplifier module, a preliminary power input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When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coupled, the reserve power input unit provides the reserve power first state in order to prevent a connection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power amplifier module and the amplifier main body are coupled by rush current, from being damaged. Outputting a first output by the first time sequence after the first set time has elapsed since the reception;
A step in which a power relay unit is turned on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output is output, so that a supply voltage required for the power amplifier module is supplied to the power amplifier module;
Outputting, by a second time sequence, a third output after a third set time has elapsed since the power relay unit is turned on;
Turning on a speaker relay at the same time the third output is output;
Separating the power amplifier module from the amplifier main body;
The power amplifier module being separ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reserve power input unit is in a reserve power second state;
Outputting a second output by the first time sequence while the reserve power input unit enters the reserve power second state;
Turning off the power relay unit while the second output is output;
Outputting a fourth output by the second time sequence simultaneously with the output of the second output; And,
At the same time that the fourth output is output, the speaker relay is turned off.
The third setting time is a control method of a removable module type amplifi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larger than the transient response time that the abnormal output occurs after the power relay is turned 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본체 또는 상기 파워앰프모듈에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이상출력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스피커 릴레이를 오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타임시퀀스에 별도의 프로텍트신호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탈형 모듈 타입의 앰프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8,
Removable module typ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putting a separate protection signal to the second time sequence in order to turn off the speaker relay so that the abnormal output is not output to the speaker when an error is found in the amplifier body or the power amplifier module How to control the amplifier device.
KR1020110012825A 2011-02-14 2011-02-14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0406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825A KR101040600B1 (en) 2011-02-14 2011-02-14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825A KR101040600B1 (en) 2011-02-14 2011-02-14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600B1 true KR101040600B1 (en) 2011-06-10

Family

ID=4440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825A KR101040600B1 (en) 2011-02-14 2011-02-14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60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3496A (en) * 1997-05-13 1998-11-24 Sony Corp Active speaker circuit
KR19990009801A (en) * 1997-07-11 1999-02-05 윤종용 Multi-channel audio system with expandable audio amplifier
JPH11332095A (en) * 1998-05-14 1999-11-30 Akyufeezu Kk Contact prot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3496A (en) * 1997-05-13 1998-11-24 Sony Corp Active speaker circuit
KR19990009801A (en) * 1997-07-11 1999-02-05 윤종용 Multi-channel audio system with expandable audio amplifier
JPH11332095A (en) * 1998-05-14 1999-11-30 Akyufeezu Kk Contact prot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10046B (en) Frame type equipment service board power-on and power-off control system, method and device and main control board
CN101803187B (en) Electronic device
US20100295371A1 (en) Sequential control master-slave socket device
JP5957479B2 (en)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battery branch of battery system
US11552492B2 (en) Charging device, charging method, and terminal
US9030152B2 (en)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CN101897100B (en) Arrangement and approach for coupling power supplies using controlled switching techniques
CN105680422B (en) Improved battery protects circuit and system
CN108879943B (en) Power supply switching circuit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0273440A (en) Charging circuit of series connection battery group
CN107834834A (en) A kind of power tube drive device with power-down protection
KR102519092B1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60049812A1 (en) Battery expansion system having a single route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288222A1 (en) Power distribution unit inrush current monitor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from inrush current
CN102882499B (en) Power Supply Hot Swap control circuit and system
KR101040600B1 (en) Detachable module type amplifier,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N104714582B (en) Star loaded camera electric power system based on magnetic latching relay
CN106033240A (en) Interface power supply circuit
US9148138B2 (en) Connection apparatus
JP2017221011A (en) Device, controller and method for power supply
US9438038B1 (en) Power supply fast turn-on and increased hold-up time within an electrical device
CN104682688B (en) Power circuit
KR20200096510A (en) Pre-charge current control device
JP5483479B2 (en) Terminal and power supply method
JP2003235160A (en) System swi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