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216B1 -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릴레이 노드 배치 장치 및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릴레이 노드 배치 장치 및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216B1
KR101040216B1 KR1020090003092A KR20090003092A KR101040216B1 KR 101040216 B1 KR101040216 B1 KR 101040216B1 KR 1020090003092 A KR1020090003092 A KR 1020090003092A KR 20090003092 A KR20090003092 A KR 20090003092A KR 101040216 B1 KR101040216 B1 KR 101040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node
relay
relay node
n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622A (ko
Inventor
김동화
이노복
김기형
샴스 에스. 엠. 사이프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3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21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a) 연결할 센서 노드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 중 임의의 센서 노드와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센서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b) 상기 임의의 센서노드와 상기 다른 센서 노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릴레이 노드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다른 센서 노드를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임의의 릴레이 노드를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 및 상기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릴레이 노드 배치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METHOD AND DEVICE FOR DEPLOYING RELAY NODE, COMPUTER RECORDABLE MEDIUM}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네트워크들을 상호 연결하는 릴레이노드 배치방법 및 릴레이노드 배치장치와 관련된 것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를 운용함에 있어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다양한 제약(예를 들어, 전원, 처리, 네트워크 처리량)을 가지는 센서 노드(SN, Sensor Node)의 역할을 환경 변수를 감지하고 감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본적인 기능들로 한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기지국(라우터를 포함한다)에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전달할수 있는 릴레이노드(RN, Relay Node)의 집합이 필요하다.
이중 층 구조(DTA, Double-tier Architecture)는, 하위 층은 각 센서 노드와 모든 이벤트를 검출하는 데에 책임이있고 상위 노드는 기지국(BS, Base Station)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책임이있는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이중 층 구조에서는 각 센서 노드가 하나의 홉 거리 내에 적어도 하나의릴레이 노드를 발견할 수 있도록 릴레이 노드들을 배치하여야한다.
상기 이중 층 구조에서는 릴레이 노드들의 수를 최소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효율적인 이중 층 구조에서의 릴레이 노드 배치(RNPDTA, Relay Node Placement in DTA)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를 설치함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가 효율적으로 기능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의 배치위치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산능력이 작은 장치로도 신속하게 릴레이 노드의 배치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며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은, (a) 연결할 센서 노드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 중 임의의 센서 노드와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센서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b) 상기 임의의 센서노드와 상기 다른 센서 노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릴레이 노드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다른 센서 노드를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임의의 릴레이 노드를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들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 (d) 상기 상기 배치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릴레이 노드와 상기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a) 내지 (c) 단계들을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센서 노드와, 상기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릴레이 노드로 구성된 센서-릴레이 노드 쌍 중 가장 거리가 가까운 센서-릴레이 노드 쌍을 검색하는 단계와, (d2) 상기 검색된 센서-릴레이 노드 쌍을 구성하는 센서 노드와 릴레이 노드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새로운 릴레이 노드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d3) 상기 새로운 릴레이 노드를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다른 센서 노드간의 거리와 2r(r은 센서 노드의 최대 전송가능 거리를 의미한다)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b) 단계는, (b21)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다른 센서 노드간의 길이가 2r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상기 다른 센서 노드를 연결하는 선분위에 존재하는 임의의 지점 중, 기 임의의 센서 노드로부터 r만큼 떨어진 지점을 임의의 릴레이 노드의 위치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b) 단계는, (b31)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상기 다른 센서 노드간의 길이가 2r 보다 적거나 같고, r보다 큰 경우,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 및 다른 센서 노드 모두로부터 r만큼 떨어진 지점을 임의의 릴레이 노드의 위치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릴레이 노드 배치 방법은 이중 층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연결할 센서 노드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 또는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릴레이 노드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노드 배치 방법은, (a) 연결할 센서 노드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 중 임의의 센서 노드와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센서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b) 상기 임의의 센서노드와 상기 다른 센서 노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릴레이 노드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다른 센서 노드를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임의의 릴레이 노드를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들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연결할 센서 노드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 또는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릴레이 노드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상기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을 수행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 프로그림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과제와 관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배치장치 및 기록매체는, 상대적으로 적은 숫자의 릴레이 노드를 배치하여 센서 노드를 연결할 수 있는 릴레이 노드의 배치 위치를 계산함으로서, 릴레이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배치장치 및 기록매체는, 상대적으로 복잡도가 낮은 연산을 이용하여 릴레이 노드의 배치위치를 계산함으로써, 계산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장치로도 릴레이노드의 배치위치를 계산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배치장치 및 기록매체는, 상대적으로 복잡도가 낮은 연산을 이용하여 릴레이 노드의 배치위치를 계산함으로써, 릴레이 노드의 배치위치를 신속하게 계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 및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 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BS, SN 및 RN은 각각 기지국(Base Station), 센서 노드(Sensor Node) 및 릴레이노드(Relay Node)를 나타낼 수 있다. 만일 t가 포인트라면 그 위치는 카테시안(Cartesian) 좌표 (xt, yt)를 가지는 pt로 가정될 수 있다. t1과 t2가 2차원 평면 상의 두 점들이라면 t1과 t2를 연결하는 선분은 [t1, t2]로 표시되고, 유클리디언 거리(Euclidean Distance)는||t1, t2||, ||pt1, pt2|| 또는 ||(xt1, yt1), (xt2, yt2)||로 표시될 수 있다.
RNPDTA(Relay Node Placement in double-tier Architecture)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수 있다.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노드들의 집합 S={s1, s2, ..., sn}에 대하여 상응하는 위치들이 {ps1, ps2, ..., psn}이고 SN과 RN의 각 전송 범위가 r과 R (R >= r)이라 가정한다. 이 문제의 목표는 RN-RN 경로를 통하여 모든 센서 노드들 사이에 연결성(단, 소스와 목적지 센서 노드들은 제외)을 보장하도록 릴레이노드의 집합 R={r1, r2, ..., rn}을 배치하는 것이다.
통신 범위와 연결성(Communication Range and Connectivity)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만일 ||psi, prj||<=r이라면, 센서 노드 si는 릴레이 노드 rj와 통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만일 ||pri, prj||<=R이라면, 두 개의 릴레이 노드들 ri와 rj는 통신할 수 있다.
커버와 언커버 센서 노드(Covered and Uncovered Sensor Node)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수 있다. si를 위치 psi를 가지는 센서 노드라 하고 R={r1, r2, ..., rm}은 위치 {pr1, pr2, ..., prm}을 가지는 릴레이노드들의 집합이라 가정한다. 만일||psi, prj|| <= r을 만족하는 rj가 R에 존재한다면, si는 커버 또는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임의의 si가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시키면 si는 커버 또는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Figure 112009002477485-pat00001
만약 임의의 si가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si는 언커버 또는 끊어진다라고 한다. 즉, 임의의 si가 다음의 수학식 2를 만족시키면 si는 언커버 또는 끊어진다라고 한다.
Figure 112009002477485-pat00002
SN을 연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RN의 수(number of RN required to connect a S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SNi는 전송 범위 r을 가지는 센서 노드라 하고, RNj는 전송 범위 R(R>=r)을 가지는 릴레이 노드라 가정한다. SNi을 SNi 와 RNi 를 연결하는 선분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RN들을 통하여 RNi와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다시 말하여, SNi, RNi 및 SNi와 RNi를 연결하는 RN들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RN들을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최소로 필요한 RN의 개수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09002477485-pat00003
커버 인자(Cover Factor)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커버 인자 αα는 PGA(Polynomial-time Greedy Approximation) 알고리즘의 특정 단계에서, 그 위치에서 RN에 의하여 커버되어야 하는 끊어진 SN의 수를 나타내는 위치 속성(property of a location)중 하나이다. 커버 인자 αα에 의하여 계산된 값은 정수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q를 n개의 센서 노드들이 배치되는 배치 영역(deployment region)에서의 위치라고 하자. q의 커버 인자 ααq는 다음의 수학식 4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9002477485-pat00004
누적 거리(Cumulative Distance)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누적 거리는 릴레이 노드로부터 모든 끊어진 센스 노드들 까지의 거리들에 대한 합으로 정의된다. 만일 ψj가 릴레이 노드 rj의 누적 거리라 한다면,누적 거리 ψj는 다음의 수학식 5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9002477485-pat00005
볼록 및 비볼록 배치 영역(Convex and Non-convex Deployment Regio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임의의 두 점이 영역내에서 선택된 점이라면, 상기 임의의 두 점을 연결하는 선분상에 존재하는 모든 점들은 영역내에 존재한다"는 명제가 상기 영역내에 존재하는 모든 점에 대하여 참인 경우, 상기 영역은 볼록영역이다. 볼록 형태의 영역을 가정하는 이유는 비볼록 형태의 배치 영역에 대하여 PGA 알고리즘에 의하여 계산되는 임의의 점이 경계 밖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적인 배치 영역은 비볼록 형태일 수 있다.
이중 층 구조(DTA)에서 기지국 존재의 효과(effect of the existence of base-stations in DTA)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기지국의 기능은 자연적으로 릴레이 노드의 기능에 대한 수퍼셋(superset)이다. 따라서 기지국의 전송 범위는 릴레이 노드의 전송 범위 R과 같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문제점 정의를 단순하게 만들기 위해서 배치 영역은 볼록 형태라고 가정하고,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S={s1, s2, ..., sn}은 센서 노드들의 집합이라고 하면, 센서 노드의 위치는 {ps1, ps2, ..., psn}과 같이 정의된다. 상기 센서 노드의 위치{ps1, ps2, ..., psn}는 모두 유한한 볼록영역내에 위치하며, r(r>0)은 각 센서 노드의 전송 범위(transmission range)라 가정한다. 또한, R(R>=r)은 릴레이 노드의 전송 범위라 가정한다. 만일 다음 두 개의 조건들이 만족된다면, 이중 층 구조에서 릴레이 노드 배치는 해결 가능할 것이다.
Figure 112009002477485-pat00006
도 1a 내지 도 1e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e는 도 6에서 설명된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와 관련된다.
<시나리오 1>: ||RN, SN|| <= r 인 경우.
시나리오 1은 끊어진 센서 노드(disconnected SN)가 임의의 릴레이 노드(RN)으로부터 거리 r 내에 있는 상황을 설명한다. 시나리오 1에서는, 알고리즘에 따를 경우, 더 이상의 릴레이 노드(RN)는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센서 노드(SN)는 연결된 것으로 간주되어 연결할 센서노드의 리스트에서 제외된다.
<시나리도 2>: r < ||RN, SN|| <= r+R 인 경우.
릴레이 노드(RN)과 센서 노드(SN)은 상호 간에 r+δδ (0<δδ<R) 만큼 떨어져 있다고 하자. 센서 노드(SN)을 커버하기 위한 1 개의 릴레이 노드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Figure 112009002477485-pat00007
이기 때문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영 영역(a) 내의 임의의 위치에 있는 릴레이 노드(RN)는 이전에 배치된 릴레이 노드(RN)과 통신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센서 노드(SN)를 커버할 수 있다.
만일 도 1a에 표시된 센서 노드(SN)이외에 커버되어야 할 다른 센서 노드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릴레이 노드(RN)의 전송 경계(릴레이 노드의 전송거리내에 위치하는 영역 중 최외곽에 해당하는 지점들을 포함한다)상에 릴레이 노드(RN)을 배치하는 경우, 다른 센서 노드들을 커버하는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임의의 릴레이 노드(RN)를 배치하는 경우, 다른 센서 노드들이 커버될 가능성을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음영지역(a)내에 위치하는 모든 지점에 대하여 상기 다른 센서 노드들이 커버될 가능성을 계산하는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알고리즘에서는, 시간 복잡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 단지 세 개의 위치들에 대하여 릴레이 노드(RN)의 다른 센서 노드 커버 가능성을 계산한다.
상기 세개의 위치 중 두 지점(b,c)은 릴레이 노드(RN)과 센서 노드(SN)으로부터 각각 R과 r 만큼 떨어져 있는 지점을 의미하고, 나머지 지점(d)은 [RN, SN] 라인 상에서 릴레이 노드(RN)로부터 R 만큼 떨어져 있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세 개의 지점(b,c,d)들 가운데, 다른 끊어진 센서 노드(SN)를 위한 가장 혜택(benefit)이 되는 지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혜택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두 개의 파라미터가 고려된다. 제1 기준(criterion)은 커버 팩터(즉, 그 위치에 있는 릴레이 노드(RN)에 의하여 커버되는 센서 노드(SN)의 최대 수)이고, 제2 기준은 그 위치에 있는 릴레이 노드(RN)의 누적 거리(cumulative distance)이다. 제1 기준을 적용한 결과, 복수의 릴레이 노드(RN)가 선택되는 경우, 제2 기준이 적용된 다. 이러한 배치는 지능 배치(intelligent deployment)라 한다.
<시나리오 3>: r < ||RN, SN|| < r+R 및 R > 2r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pRN, pSN|| < R-2r 이라면, 두 개의 원들은 상호 간에 교차하지 않을 수 있다. 교차 점들을 얻기 위해서는, 릴레이 노드(RN)의 전송가능 길이인 R 대신에 릴레이 노드(RN)의 위치를 중심점으로 하고, ||pRN, pSN||을 반지름으로 가지는 원을 사용하여 지능 배치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릴레이 노드(RN)의 위치를 중심점으로 하고, ||pRN, pSN||을 반지름으로 가지는 원과, 센서 노드(SN)의 위치를 중심점으로 하고, r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이용하여 시나리오 1과 같이 지능배치를 적용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RN) 및 센서 노드(SN) 각각으로부터 반지름 ||pRN, pSN|| 및 r을 사용하는 지능 배치를 적용한다.
<시나리오 4>: ||RN, SN|| > r+R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존하는 릴레이 노드(RN)과 목표 센서 노드(SN) 간의 거리는 R + r 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목표 센서 노드(SN)를 연결하기 위해서 복수의 릴레이 노드(RN1, RN2)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 릴레이 노드(RN3)를 제외한 모두는 현존하는 지능 배치를 사용하여 릴레이 노드(RN)와 마지막 릴레이 노드(RN)로부터 직선 [RN, SN]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시나리오 5>: 릴레이 노드들의 너무 가까운 배치를 피하는 것.
불필요한 릴레이 노드(RN)를 배치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일반적인 전략은 릴레이 노드의 임의의 쌍 간에 최소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 이러한 전략은 지능 배치에 의하여 위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임의의 센서 노드(SNi)가 두 개의 현존하는 릴레이 노드(RN)(즉, RNi와 RNk)로부터 1 홉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SNi)와 임의의 릴레이 노드(RNi)를 이용한 지능 배치를 이용하여 새로운 릴레이 노드(RN)를 배치할 위치를 계산하는 경우, 다른 릴레이 노드(RNk)에 너무 가까운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임의의 다른 릴레이 노드(RN)로부터 r 보다 작은 거리를 가지는 임의의 가능한 위치(RNa)는 지능 배치 계산에서 자격이 상실(disqualified)될 수 있다. 즉 상기 자격이 상실(disqualified)된 지점은 새로운 릴레이 노드(RN)를 배치할 위치를 계산하는데 있어서 배제될 수 있다.
다른 위치들 중 나머지 위치(RNb,RNc)는 지능 배치에 의하여 새로운 릴레이 노드가 배치될 위치로 선택될 수 있다.
||RN, SN|| < r 인 경우에 이러한 세 가지 위치들 모두가 어떤 다른 릴레이 노드로부터 거리 r 이내에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새로운 릴레이 노드(RN)는 센서 노드(SNi)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동일한 위치에 있는 복수의 노드들을 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라인[RNi, RNk] 상에 존재하는 지점들 중 SNj에 가장 가까운 지점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지능 배치는 항상 릴레이 노드들의 임의의 쌍 간의 최소 거리 r을 유지하는 전략을 지지한다.
<시나리오 6>: 수축 전략(shrink strategy).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릴레이 노드(RN)를 배치하는 중에, 개산 된 위치가 배치 영역의 경계 바깥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계산된 위치 RNi(xi, yi)를 RNi에 가장 가까운 배치 영역 경계 상의 위치 RNj(xj, yj)로 대체하는 수축 연산(shrinking operation)이 사용된다. 배치 영역이 사각 형태라 하고, 영역의 좌측 하위 코너 좌표가 (Xmin, Ymin)이며 영역의 우측 상위 코너 좌표가 (Xmax, Ymax)이라 하면, 축소 연산은 RNj(xj, yj)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02477485-pat00008
배치 영역의 바깥에 있는 각 릴레이 노드(RN)는 음영 영역 내의 임의의 센서 노드(SN)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축소 후에도 알고리즘은 음영 영역을 커버하므로,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를 나타낸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0), 제어부(220), 메모리(230), 데이터 수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연결할 센서 노드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 또는 배치 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릴레이 노드의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제어부(220)는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도3 내지 도 6에서 설명될 PGA(Polynomail-time Greedy Approximation)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제어부(22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연결할 센서 노드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 또는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릴레이 노드의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데이터 수신부(240)는 상기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들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신부(240)는 외부 장치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들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200)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들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신부(240)가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200)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들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데이터 수신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4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40)는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2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에 터치패드가 결합된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22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230)에 저장되고, 제어부(2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릴레이 노드 배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200)는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S={S1, S2, S3, ..., Sn})에 포함된 센서 노드들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 상기 정보는 상기 센서노드들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10). 상기 센서 노드들은 유클리디안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200)는 상기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S) 중 임의의 센서 노드(St)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임의의 센서노드(St)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센서 노드를 선택(Su)할 수 있다(S20).
상기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200)는 임의의 센서노드(St)와 다른 센서 노드(Su)의 위치를 기초로 임의의 릴레이 노드(r1)의 위치(Pr1)계산할 수 있다(S30). 상기 계산과정에서 지능배치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200)는 연결이 완료된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St) 및 다른 센서 노드(Su)를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S)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S40).
상기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200)는 임의의 릴레이 노드(r1)를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모음(TREE)에 추가할 수 있다(S50). 상기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200)는 임의의 릴레이 노드(r1)와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S)에 포함된 다른 센서노드들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200)는 상기 센서 노드들의 집합(S)과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모음(TREE)을 기초로 상기 단계(S10~S50)을 반복할 수 있다(S60).
도 5a 및 도 5b는 릴레이 노드 배치 시스템에 의한 릴레이 노드 배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의 경우, 릴레이 노드 배치 시스템(2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센서 노드들의 집합(S)을 디스플레이하고, 도 5b의 경우, 릴레이 노드 배치 시스템(200)은 센서 노드들의 집합(S)을 기초로 배치되는 릴레이 노드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6a 및 도 6b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된 PGA 알고리즘은 2 개의 파트로 설명될 수 있다. 첫 번째 파트는 제1 릴레이 노드(RN)를 찾는 과정을 설명하고, 다음 파트는 모든 센서 노드들(SNs)을 커버하기 위하여 필요한 순차적인 릴레이 노드들(subsequent RNs)을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PGA 알고리즘의 입력은 (1) 유클리디언 평면(Euclidean Plane) 내에 N 개의 센서 노드들(SNs)의 집합 S=s1, s2, ..., sn으로, 센서 노드들(SNs)의 상응하는 위치는 볼록 영역(Convex Region) 내의 ps1, ps2, ..., psn이고 (2) 센서 노드(SN)과 릴레이 노드(RN)의 전송 범위들을 각각 나타내는 두 개의 정수 r 및 R (R >= r)를 포함한다.
PGA 알고리즘의 출력은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모음(TREE, Collection of deployed RNs)이고,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모음(TREE) 또한 볼록 영역 내에 존재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 릴레이 노드 배치 시스템(200)은 주어진 센서 노드들(SNs)의 집합 S=s1, s2, ..., sn 중 오른쪽 하위 센서 노드(bottom-right SN) st(xt, yt)와 제1 센서 노드(st)로부터 가장 가까운 센서 노드(su(xu, yu))를 찾는다.
이러한 두 개의 센서 노드들(st, su)의 위치를 이용하여 릴레이 노드 배치 시스템은 제1 릴레이 노드(RN)(pr1(x,y))의 위치를 계산한다. 이 단계에서 두 가지의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두 개의 센서 노드들(st, su) 간의 거리가 2r 보다 큰 경우(즉, ||pst, psu|| > 2r)이고, 두 번째는 두 개의 센서 노드들(st, su) 간의 거리가 2r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즉, ||pst, psu|| <= 2r)이다.
첫 번째 경우에는, 릴레이 노드 배치 시스템(200)은 라인 [st, su] 상의 st로부터 r 만큼 떨어진 위치 (x, y)를 찾는다. 직선을 위한 방정식(즉, y = mx + c, m은 기울기, c는 상수)이 위치를 찾기 위하여 사용된다.
두 번째 경우에는, 확률이 있는 세 개의 위치들이 계산되고, 그 중 두 개는 두 개의 센서 노드(st, su) 모두로부터 r 만큼 떨어져있다. 이러한 두 개 점들의 위치는 다음 두 방정식들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1) r2 = (x-xt)2 + (y-yt)2
(2) r2 = (x-xu)2 + (y-yu)2
세 번째 점의 위치는 직선[st, su] 상의 st로부터 r 만큼 떨어져 있다. 지능 배치 전략(Intelligent Deployment Strategy)에서 설명된 기준을 기초로 이러한 세 개의 점들 중 하나가 제1 릴레이 노드(r1)으로 선택된다. 제1 릴레이 노드(r1)의 위치를 결정한 후에, 릴레이 노드 배치 시스템(200)은 st와 su를 연결된 것으로 마크하고 센서 노드들(SNs)의 리스트로부터 st와 su를 삭제한다. 다음으로, 릴레이 노드 배치 시스템(200)은 제1 릴레이 노드(r1)를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모음(TREE)에 추가하고 제1 릴레이 노드(r1)로부터 모든 끊어진 센서 노드들(disconnected SNs)의 거리를 계산한다.
PGA 알고리즘의 두 번째 파트는 주어진 센서 노드들의 집합(S)과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모음(TREE)로부터 가장 가까운 센서 노드와 릴레이 노드 쌍(SN-RN pair)을 찾고, 타깃 센서 노드(target SN)를 연결하기 위하여 위에서 설명한 시나리오에 따라 센서 노드와 릴레이 노드 간의 거리를 기초로 새로운 릴레이 노드를 배치하며,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모음(TREE) 내에 새롭게 배치되는 릴레이 노드들을 포함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 배치 시스템은 입력받은 센서 노드들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릴레이 노드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노드 배치 시스템은 가능한 적은 수의 릴레이 노드들을 이용하여 센서 노드를 모두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 배치 시스템은 이중 층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 및 컴퓨터 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 배치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4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노드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5a 및 도 5b는 릴레이노드 배치 시스템에 의한 릴레이노드 배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개시된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low chart)이다.

Claims (17)

  1. (a) 연결할 센서 노드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 중 임의의 센서 노드와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센서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임의의 센서노드와 상기 다른 센서 노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릴레이 노드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및
    (c)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다른 센서 노드를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임의의 릴레이 노드를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계산 단계는: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다른 센서 노드간의 거리와 2r(r은 센서 노드의 최대 전송가능 거리를 의미한다)을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들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d) 상기 배치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릴레이 노드와 상기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a) 내지 (c) 단계들을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센서 노드와, 상기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릴레이 노드로 구성된 센서-릴레이 노드 쌍 중 가장 거리가 가까운 센서-릴레이 노드 쌍을 검색하는 단계;
    (d2) 상기 검색된 센서-릴레이 노드 쌍을 구성하는 센서 노드와 릴레이 노드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새로운 릴레이 노드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및
    (d3) 상기 새로운 릴레이 노드를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21)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다른 센서 노드간의 길이가 2r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상기 다른 센서 노드를 연결하는 선분위에 존재하는 임의의 지점 중,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로부터 r만큼 떨어진 지점을 임의의 릴레이 노드의 위치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31)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상기 다른 센서 노드간의 길이가 2r 보다 적거나 같고, r보다 큰 경우,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 및 다른 센서 노드 모두로부터 r만큼 떨어진 지점을 임의의 릴레이 노드의 위치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 배치 방법은 이중 층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9. 연결할 센서 노드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 또는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릴레이 노드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노드 배치 방법은,
    (a) 연결할 센서 노드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 중 임의의 센서 노드와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센서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임의의 센서노드와 상기 다른 센서 노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릴레이 노드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및
    (c)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다른 센서 노드를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임의의 릴레이 노드를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계산 단계는: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다른 센서 노드간의 거리와 2r(r은 센서 노드의 최대 전송가능 거리를 의미한다)을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들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연결할 센서 노드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 또는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릴레이 노드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수행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은,
    (d) 상기 배치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릴레이 노드와 상기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a) 내지 (c) 단계들을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연결할 센서 노드들의 리스트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센서 노드와,
    상기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릴레이 노드로 구성된 센서-릴레이 노드 쌍 중 가장 거리가 가까운 센서-릴레이 노드 쌍을 검색하는 단계;
    (d2) 상기 검색된 센서-릴레이 노드 쌍을 구성하는 센서 노드와 릴레이 노드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새로운 릴레이 노드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및
    (d3) 상기 새로운 릴레이 노드를 배치된 릴레이 노드들의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
  14. 삭제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21)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다른 센서 노드간의 길이가 2r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상기 다른 센서 노드를 연결하는 선분위에 존재하는 임의의 지점 중,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로부터 r만큼 떨어진 지점을 임의의 릴레이 노드의 위치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31)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와 상기 다른 센서 노드간의 길이가 2r 보다 적거나 같고, r보다 큰 경우,
    상기 임의의 센서 노드 및 다른 센서 노드 모두로부터 r만큼 떨어진 지점을 임의의 릴레이 노드의 위치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장치.
  17. 제1 항 내지 제 4항, 제 6항, 제 7항 및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을 수행하는 릴레이 노드 배치 프로그림이 기록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003092A 2009-01-14 2009-01-14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릴레이 노드 배치 장치 및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040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092A KR101040216B1 (ko) 2009-01-14 2009-01-14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릴레이 노드 배치 장치 및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092A KR101040216B1 (ko) 2009-01-14 2009-01-14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릴레이 노드 배치 장치 및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622A KR20100083622A (ko) 2010-07-22
KR101040216B1 true KR101040216B1 (ko) 2011-06-16

Family

ID=4264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092A KR101040216B1 (ko) 2009-01-14 2009-01-14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릴레이 노드 배치 장치 및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2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960A (ko) * 2007-01-29 2008-08-0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성화 노드 선택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토폴로지 구성방법
JP2009520044A (ja) * 2005-11-24 2009-05-21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位置規則性ポリセレノフェン類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0044A (ja) * 2005-11-24 2009-05-21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位置規則性ポリセレノフェン類
KR20080070960A (ko) * 2007-01-29 2008-08-0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성화 노드 선택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토폴로지 구성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재호 외 2명, ‘밀집 배치된 센서네트워크에서 최적 방향 적응적 플러딩 프로토콜’, 제15회 통신정보합동학술대회, 2004년4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622A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44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in a mobile-based crowdsourcing platform
US119102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rror correction and management in a mobile-based crowdsourcing platform
US10242324B2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8849634B2 (en) Method for identifying the maximal packing density of shifting-tiles automated warehouses
EP35046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notification
US20180120776A1 (en) Adaptive control systems for buildings
CN103455381B (zh) 用于将源软件组件的源对象的表示解序列化为目标软件组件的方法和系统
CN108601978A (zh) 游戏系统以及游戏程序
AU2014348821A1 (en) Location-based software updates
CN105222782A (zh) 一种路线推荐方法及移动终端
US10257720B2 (en) Access point placement optimization device and access point placement optimization method
CN103634147A (zh) 一种网络拓扑管理方法及设备
KR101040216B1 (ko) 릴레이 노드 배치방법, 릴레이 노드 배치 장치 및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WO2017159488A1 (ja) 誘導支援装置、誘導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721307B (zh) 一种路网地图的生成方法以及相关装置
KR101291599B1 (ko)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JP2016170270A (ja) 地図表示システム及び地図表示方法
US20210400440A1 (en) System for tracing registered and non-registered devices
CN106941709A (zh) 通过用户设备中的应用连接无线接入点的方法与设备
KR102166714B1 (ko) 회귀경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39189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 내의 경로 생성 방법, 무선 센서 네트워크 내의 경로 업데이트 방법, 이를 이용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및 모바일 기기
US11835635B2 (en) System for selecting the tracking technique for tracking a user device based on user device proximity to location beacons
KR20170099137A (ko) 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
Ananthachari Wireless Mobile Sensor Networks with Cognitive Radio Based FPGA for Disaster Management.
US9741088B2 (en) Mobile device with context specific transformation of data items to data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