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079B1 - 이동통신 중계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079B1
KR101040079B1 KR1020090005996A KR20090005996A KR101040079B1 KR 101040079 B1 KR101040079 B1 KR 101040079B1 KR 1020090005996 A KR1020090005996 A KR 1020090005996A KR 20090005996 A KR20090005996 A KR 20090005996A KR 101040079 B1 KR101040079 B1 KR 101040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enclosure
socket
type hea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658A (ko
Inventor
이성재
김종선
장경민
오현석
김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Priority to KR1020090005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0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35Cooling of active equipments, e.g. air du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6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8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in specific systems
    • H04Q2201/808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in specific systems i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이동통신 중계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중계기는, 내부에 통신 중계를 위한 내장부품이 마련되는 함체; 및 함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내장부품으로부터의 열을 함체의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판부; 및 함체의 외측에서 방열판부 영역에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어 내장부품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키는 더미 방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장부품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킬 수 있어 내장부품이 손상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함체의 소형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전주의 기울어짐, 운반 및 설치 작업의 난해함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중계기{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와 같이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장부품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킬 수 있어 내장부품이 손상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함체의 소형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전주의 기울어짐, 운반 및 설치 작업의 난해함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동통신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률이 증가되고, 사용자의 용도와 통화 품질에 대한 욕구가 증가됨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이동통신 중계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동통신 중계기는 기지국과 단말기를 중간에서 연결해주는 장비다.
부연하면, 기지국은 이동통신사 교환기에서 전파를 받아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기는 하지만,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의 도달 거리는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기지국의 전파를 더 정확하게 또한 더 멀리 송신하기 위해 이동통신 중계기가 사용된다.
보통 대도시보다는 기지국과 멀리 떨어져 있는 소도시 혹은 산간 지역에 이 동통신 중계기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중계기는 용도별로 다양한 종류가 개시되어 있는데, 대표적인 이동통신 중계기로서 광 중계기 및 RF 중계기가 있다.
광 중계기는, 산간직역 등에 주로 설치되는 장비로서, 광 중계기가 설치된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기지국의 전파를 받아 광케이블을 연결해 전파가 불안정하거나 통화품질이 미약한 산간지역으로 송신하는 방식을 가지며, 보통은 전기가 원활히 공급되어 중계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전주에 장착된다.
RF 중계기는, CDMA 신호의 곤란한 지하 공간 또는 지상 공간의 전파 음영 지역해소를 위한 무선통신의 장비로서,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신호증폭, 무선경로를 제공하여 통화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중계기는 그 내부에 다양한 통신모듈, 전원모듈 등의 내장부품이 구비되어 있는 함체와, 함체의 일측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다. 함체와 도어 사이에는 함체에 대해 도어를 회동시키기 위한 통상의 힌지(경첩)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이동통신 중계기의 구성에서, 함체 내에 구비된 통신모듈, 전원모듈 등의 내장부품은 특히 열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함체의 일면, 특히 배면에는 슬롯(slot) 구조의 방열판부가 마련되어 내장부품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함체의 외부로 방열시킨다.
이러한 방열판부는 함체 내의 내장부품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함체의 외부로 방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크기 및 부피(이들을 통틀어 사이즈(size)라 함)가 크면 클수록 내장부품에 대한 방열량이 배가되어 내장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규격화된 함체의 사이즈에 대응된 방열판부의 사이즈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거나 함체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그에 대응되는 사이즈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무한정 방열판부의 사이즈를 키울 수는 없다.
그런데, 만약 함체 내의 내장부품이 고(高)발열 내장부품임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규격화된 사이즈의 방열판부를 함체에 적용하게 되면, 원하는 수준의 발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즉 내장부품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완전히 방열시킬 수 없어 내장부품이 손상되거나 고장나는 현상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라면, 대형 압출 방열판부가 구비된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하는 등 함체의 사이즈를 키울 수밖에 없는데, 이처럼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고 또한 중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중계기를 전주(전봇대)에 설치할 때 전주에 가해지는 하중이 높아져 전주의 기울어짐이 야기될 수 있으며, 또한 운반 및 설치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이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장부품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킬 수 있어 내장부품이 손상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함체의 소형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어 제조비용 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전주의 기울어짐, 운반 및 설치 작업의 난해함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동통신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통신 중계를 위한 내장부품이 마련되는 함체; 및 상기 함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장부품으로부터의 열을 상기 함체의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판부; 및 상기 함체의 외측에서 상기 방열판부 영역에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어 상기 내장부품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키는 더미 방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더미 방열유닛은 상기 방열판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 단위블록일 수 있다.
상기 방열 단위블록은, 단부에 상기 방열판부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방열 날개부; 및 상기 다수의 제1 방열 날개부와 대향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제2 방열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들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들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절취되어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동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들에는 각각 다수의 제1 및 제2 공기유동부가 상호간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열 날개부들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제1 공기유동부들의 개수는 상기 제2 방열 날개부들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제2 공기유동부보다 많게 마련되되 상기 다수의 제2 공기유동부는 상기 다수의 제1 공기유동부들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 단위블록에는 상기 방열 단위블록의 조립을 위한 다수의 조립 보스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열 단위블록이 상기 함체의 방열판부에 결합될 때 상기 함체에 대하여 상기 방열 단위블록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 방열유닛은, 상기 함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방열판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켓형 방열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형 방열판을 상기 함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형 방열판은, 골부와 정부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상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형 방열판은 상기 함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다수개 마련되는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일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을 상기 함체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제1 결합유닛; 및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을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상기 함체에 개별적으로 결합시키는 제2 결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유닛은,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 및 상기 다수의 볼트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함체의 배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결합유닛은, 상기 함체의 배면에 고 정되는 다수의 보스볼트; 및 상기 다수의 보스볼트와 최상단의 소켓형 방열판 사이, 그리고 상기 최상단의 소켓형 방열판과 나머지 소켓형 방열판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보스볼트와 함께 상호간 체결되는 다수의 이격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 방열유닛은, 골부와 정부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상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함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방열판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켓형 방열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형 방열판의 하부에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형 방열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형 방열판과 상기 지지판을 상기 함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형 방열판은 상기 함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다수개 마련되는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일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을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바디;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연결부재보다 상부에 위치된 소켓형 방열판의 정부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끼움홈부; 및 상기 바디의 하단부를 이루되 상기 연결부재보다 하부에 위치된 소켓형 방열판의 골부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끼움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함체, 상기 방열판부,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판은,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가 위치된 영역에서 상호간 접촉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위치된 소켓형 방열판의 골부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도록 다수의 홈부가 형성된 판스프링 본체; 및 상기 판스프링 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형 방열판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다수의 제1 볼트공; 상기 지지판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다수의 제2 볼트공; 및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볼트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함체의 배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장부품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킬 수 있어 내장부품이 손상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함체의 소형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전주의 기울어짐, 운반 및 설치 작업의 난해함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 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열 단위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는, 내부에 통신 중계를 위한 내장부품(101)이 마련되는 함체(100)와, 함체(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열을 함체(100)의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판부(110)와, 함체(100)의 외측에서 방열판부(110) 영역에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어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키는 더미 방열유닛(400)을 포함한다.
함체(100)는,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중계기에서 대부분의 부피를 차지하는 부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부품(101)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부피를 갖는 사각 박스(box) 형태를 갖는다. 물론, 함체(100)가 반드시 사각 박스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함체(100)에는 함체(100)를 개폐하는 도어(102)가 마련된다. 도어(102)는 힌지(103, hinge)에 의해 함체(100)에 연결되어 함체(100)에 대하여 회동 개폐된다.
함체(100) 내에 구비된 내장부품(101)은, 통신 중계를 위한 다양한 통신모듈과, 이들 통신모듈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 그리고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내장부품(101)이 하나의 모듈 형 태, 즉 박스 구조의 모듈 형태로 마련되어 함체(100) 내에 마련된 후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내장부품(101)을 이루는 각 모듈들을 마치 단품과 같은 형태로 구현하고, 이들을 함체(100) 내에 배치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기존의 이동통신 중계기에서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의 부품들을 일일이 조립하는 등의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물론, 내장부품(101)이 도면과 같이 반드시 모듈 형태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PCB 등의 각 부품을 함체(100) 내에 조립하는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함체(100) 내에 설치되는 내장부품(101)은 수분이나 팽창공기, 또는 열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갖는데 특히, 열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갖는다. 내장부품(101) 중에서도 전원장치의 신호와 최종 출력단에 설치되는 증폭기 등에서 고열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고열을 함체(100)의 외부로 방열시키지 못할 경우 내장부품(101)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에서 함체(100)의 배면에는 내장부품(101)에 의해 발생된 고열을 함체(100)의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판부(110)가 결합되어 있다.
방열판부(110)는 열전도가 매우 우수한 재질로 선택되어 제작되며, 외기와의 접촉 면적 증대를 위해 다수의 판이 이격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부(110)는 함체(100)의 배면에서 하방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된 다수의 판(plate) 구조로 제작되며, 이에 따라 외 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열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열판부(11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그 사이즈(size)가 함체(100)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그에 대응되는 사이즈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현재 이러한 수준으로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함체(100) 내의 내장부품(101)이 고(高)발열 내장부품임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규격화된 사이즈의 방열판부(110)를 함체(100)에 적용하게 되면, 원하는 수준의 발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즉 내장부품(101)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완전히 방열시킬 수 없어 내장부품(101)이 손상되거나 고장나는 현상을 피할 수 없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대형 압출 방열판부(미도시)가 구비된 대형 사이즈의 함체(미도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고 또한 중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중계기를 전주(전봇대)에 설치할 때 전주에 가해지는 하중이 높아져 전주의 기울어짐이 야기될 수 있으며, 또한 운반 및 설치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방열판부(110)를 사용하기는 하되, 함체(100) 내의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방열량에 기초하여 만약 방열량을 배가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더미 방열유닛(400)을 더 사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킬 수 있어 내장부품(101)이 손상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함체(100)의 소형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전주의 기울어짐, 운반 및 설치 작업의 난해함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더미 방열유닛(400)으로서 방열판부(110)에 결합되는 방열 단위블록(400, 도 3 참조)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열 단위블록(400)은, 양쪽 방향으로 대칭되면서도 상호간 이격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410,4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11개의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410,420)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410,420) 중에서 제1 방열 날개부(410)의 단부에는 각각 홈부(4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부(411)는 도 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판(plate) 구조의 방열판부(110)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장소로 이용된다.
이처럼 방열판부(110)가 홈부(411)에 끼워지면서 방열 단위블록(400)이 방열판부(110)와 연결되는 경우, 방열판부(110) 외에도 방열 단위블록(400)에서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410,420)들에는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410,420)들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절취되어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는 다수의 제1 및 제2 공기유동부(412,4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410,420)들 역시 상호간 이격 배치됨으로써 그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어 방열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데, 이에 더하여 다수의 제1 및 제2 공기유동부(412,422)를 더 형성함에 따라 다수의 제1 및 제2 공기유동부(412,422)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더 이루어지면서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제1 및 제2 공기유동부(412,422)는, 상호간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1 방열 날개부(410)들에 형성된 제1 공기유동부(412)들의 개수는, 제2 방열 날개부(420)들에 형성된 제2 공기유동부(422)들의 개수보다 많게 마련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방열 날개부(410)들에 형성된 제1 공기유동부(412)들의 개수는 4개, 그리고 제2 방열 날개부(420)들에 형성된 제2 공기유동부(422)들의 개수는 3개가 마련되고 있는데, 이 경우 제2 공기유동부(422)들은 제1 공기유동부(412)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될 경우,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면서도 유입된 공기를 담아둘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방열량 배가의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 및 제2 공기유동부(412,422)들의 개수는 도시된 것과 달리 적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410,420)들의 일 영역에는 더미 방열유닛(400)으로서의 방열 단위블록(400)의 조립을 위한 다수의 조립 보스(430)가 더 마련되어 있 다. 조립 보스(430)는 방열 단위블록(400)을 함체(100)에 조립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혹은 도시된 것과는 달리 2개 이상의 방열 단위블록(400)을 사용하면서 이들이 상호간 조립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방열 단위블록(4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즉 함체(100)의 방열판부(110)에 결합된 방열 단위블록(400)이 함체(100)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방열 단위블록(400)의 하부에는 지지브래킷(440, 도 2 참조)이 더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만약 내장부품(101)에 대한 방열량을 좀 더 높이고자 한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방열유닛(400)으로서의 방열 단위블록(400)을 함체(100)의 방열판부(110)에 결합시켜 사용하면 된다. 즉 방열 단위블록(400)에 형성된 홈부(411)들이 각각 방열판부(110)의 노출 단부에 끼워지도록 한 후, 조립 보스(430)들로 볼트를 체결하고, 이어 지지브래킷(440)을 통해 방열 단위블록(400)을 함체(100)에 대해 지지시키면 간단하게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더미 방열유닛(400)의 조립을 완료한 후,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중계기를 전주에 매달아 사용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장부품(101)의 방열량에 따른 원하는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중계기의 소형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전주의 기울어짐, 운반 및 설치 작업의 난해함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더미 방열유닛(200,3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소켓형 방열판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더미 방열유닛(200)은, 함체(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방열판부(110)에 배치되는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과,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함체(100)에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의 결합부(2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함체(100) 내에 구비되는 내장부품(101)이 고(高)발열 내장부품이기 때문에, 총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반드시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4개 사용할 필요는 없으므로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의 개수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방열량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고 있는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 모두는, 골부와 정부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상을 갖는 몸체부(211a~211d)와, 몸체부(211a~211d)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213a~213d)를 구비한다.
몸체부(211a~211d)를 파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유사한 부피라 하더라도 많은 영역에서 보다 많은 외기와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방열량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 쌍의 플랜지부(213a~213d)는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함 체(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이용된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결합부(220)는,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함체(100)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제1 결합유닛(230)과,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함체(100)에 개별적으로 결합시키는 제2 결합유닛(240)을 포함한다.
물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유닛(240)에 의해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함체(100)에 개별적으로 결합시킨다 하더라도, 제1 결합유닛(230) 및 제2 결합유닛(240) 영역에서 함체(100)와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이 모두 연결되기 때문에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열을 방열시키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제1 결합유닛(230)은,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의 플랜지부(213a~213d)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214a~214d, 도 6 참조)과, 다수의 볼트공(214a~214d)으로 삽입되어 함체(100)의 배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21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함체(100)의 배면, 즉 방열판부(100)가 위치된 영역으로 하나씩 배열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체결볼트(215)를 다수의 볼트공(214a~214d)으로 삽입하여 함체(100)의 배면에 체결시킴으로써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함체(100)에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유닛(230)과 더불어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함체(100)에 결합시키기는 하되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함체(100)에 개별적으로 결합시키는 제2 결합유닛(240)은, 함체(100)의 배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보스볼트(241)와, 다수의 보스볼트(241)와 최상단의 소켓형 방 열판(210a) 사이, 그리고 최상단의 소켓형 방열판(210a)과 나머지 소켓형 방열판(210b~210d)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다수의 보스볼트(241)와 함께 상호간 체결되는 다수의 이격볼트(242)를 구비한다.
제1 결합유닛(230)과는 달리 제2 결합유닛(240)은 소켓형 방열판(210a~210d)들의 중앙 영역에서 다수개 배치되어 함체(100)에 결합되는데, 다수의 보스볼트(241)와 다수의 이격볼트(242)가 상호간 체결되기 위해, 보스볼트(241)의 일측 내면에는 암나사산이, 그리고 이격볼트(242)의 일측 외면 및 타측 내면에는 각각 수나사산과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산의 구조에 의해,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보스볼트(241)와 다수의 이격볼트(242)는 함체(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호간 체결될 수 있고, 이로써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은 상호간 이격되면서 함체(100)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중계기의 작용, 특히 조립 과정과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내장부품(101)에 대한 방열량을 좀 더 높이고자 한다면,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유닛(240)의 일 구성요소인 다수의 보스볼트(241)를 함체(100)의 배면에 조립한다. 함체(100)의 배면에는 방열판부(11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방열판부(110)와 간섭되지 않는 부분을 골라 다수의 보스볼트(241)를 함체(100)의 배면에 조립한다.
다음, 다수의 보스볼트(241)에 우선 첫 번째 열의 이격볼트(242)들을 조립해 두고,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 중에서 최상단의 소켓형 방열판(210a)을 배 치한 후, 다시 두 번째 열의 이격볼트(242)들을 이용하여 최상단의 소켓형 방열판(210a)을 첫 번째 열의 이격볼트(242)들에 조립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나머지 소켓형 방열판(210b~210d)을 이격볼트(242)들을 이용하여 차례차례 조립한다.
그런 다음, 최종적으로 다수의 체결볼트(215)를 다수의 볼트공(214a~214d)으로 삽입하여 함체(100)의 배면에 체결시킴으로써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을 함체(100)에 결합시키면 간단하게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더미 방열유닛(200)의 조립을 완료한 후,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중계기를 전주에 매달아 사용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장부품(101)의 방열량에 따른 원하는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중계기의 소형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전주의 기울어짐, 운반 및 설치 작업의 난해함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지지판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8의 B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의 더미 방열유닛(200)과 다른 구조의 더미 방열유닛(300)을 사용하고 있을 뿐, 함체(100), 함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내장부품(101), 그리고 함체(100)의 배면에 마련된 방열판부(110)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 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에 적용되는 더미 방열유닛(300)은, 2개의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과,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 사이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320)와, 제2 소켓형 방열판(310b)의 하부에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제2 소켓형 방열판(310b)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330)과,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과 지지판(330)을 함체(10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3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더미 방열유닛(300)에 적용되고 있는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은, 전술한 실시예의 도 7에 도시된 4개의 소켓형 방열판(210a~210d)과 동일한 것이다. 즉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 모두는 골부와 정부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상을 갖는 몸체부(311a,311b)와, 몸체부(311a,311b)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313a,313b)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수의 연결부재(320)는,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 사이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이 마련되고 있으므로 그 사이에만 다수의 연결부재(320)가 마련되나 만약 3개 이상의 소켓형 방열판이 사용된다면, 그들 사이사이에 다수의 연결부재(320)가 마련되면 된다.
이러한 다수의 연결부재(320) 모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바디(321)와, 바디(321)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제1 소켓형 방열판(310a)의 정부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끼움홈부(322)와, 바디(321)의 하단부를 이루되 제2 소켓형 방열판(310b)의 골부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끼움돌출부(323)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로 미루어 볼 때, 연결부재(320)들 모두는 종방향 단면 시,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문자 Y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연결부재(320)들은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이 좀 더 많은 영역에서 외기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또한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상호 연결하여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외기와의 접촉면적 증대를 이유로,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상호간 이격시키기만 한다면, 실질적으로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열을 방열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상호간 이격시켜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는 하되, 이들이 상호간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내장부품(101)으로부터의 열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이 경로를 연결부재(320)들이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연결부재(320)들 외에도 결합부(340) 역시 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기도 한다.
지지판(3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30)의 바로 위쪽 상부에 배치된 제2 소켓형 방열판(310b)의 골부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도록 다수의 홈부(331a)가 형성된 판스프링 본체(331)와, 판스프링 본체(331)의 양단부에 형성되 는 한 쌍의 플랜지부(332)를 구비한다.
이러한 지지판(330)은 제2 소켓형 방열판(310b)의 하부에서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이에 더하여 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여 방열량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더미 연결유닛(300)의 구조에서, 함체(100), 방열판부(110),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 다수의 연결부재(320) 및 지지판(330)은, 다수의 연결부재(320)가 위치된 영역에서 상호간 접촉되게 마련됨으로써 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게 되고, 이 후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과 지지판(330)에 의한 방열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결합부(340)는,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과 지지판(330)을 함체(1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합부(340)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의 결합부(340)는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의 플랜지부(313a,313b)에 형성된 다수의 제1 볼트공(314a,314b)과, 지지판(330)의 플랜지부(332)에 형성된 다수의 제2 볼트공(332a)과, 다수의 제1 볼트공(314a,314b) 및 제2 볼트공(332a)으로 삽입되어 함체(100)의 배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341, 도 9 참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9 및 도 10과 같이, 함체(100)의 배면으로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배치하면서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 사이로 연결부재(320)를 끼우고, 이어 제2 소켓형 방열판(310b)의 하부에 지지판(330)을 배치하여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을 하부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한 후, 결합부(340)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소켓형 방열판(310a,310b)과 지지판(330)을 함체(100)에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은 간편하게 완료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더미 방열유닛(300)의 조립을 완료한 후,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중계기를 전주에 매달아 사용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장부품(101)의 방열량에 따른 원하는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중계기의 소형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대형 사이즈의 함체를 사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전주의 기울어짐, 운반 및 설치 작업의 난해함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열 단위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소켓형 방열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지지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8의 B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함체 101 : 내장부품
110 : 방열판부 200,300,400 : 더미 방열유닛
210a~210d : 소켓형 방열판 220 : 결합부
230 : 제1 결합유닛 240 : 제2 결합유닛

Claims (15)

  1. 내부에 통신 중계를 위한 내장부품이 마련되는 함체; 및
    상기 함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장부품으로부터의 열을 상기 함체의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판부; 및
    상기 함체의 외측에서 상기 방열판부 영역에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어 상기 내장부품으로부터의 방열량을 배가시키는 더미 방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더미 방열유닛은,
    골부와 정부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상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함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방열판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을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의 하부에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과 상기 지지판을 상기 함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방열유닛은 상기 방열판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 단위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단위블록은,
    단부에 상기 방열판부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방열 날개부; 및
    상기 다수의 제1 방열 날개부와 대향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제2 방열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들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들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절취되어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동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열 날개부들에는 각각 다수의 제1 및 제2 공기유동부가 상호간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방열 날개부들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제1 공기유동부들의 개수는 상기 제2 방열 날개부들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제2 공기유동부보다 많게 마련되되 상기 다수의 제2 공기유동부는 상기 다수의 제1 공기유동부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단위블록에는 상기 방열 단위블록의 조립을 위한 다수의 조립 보스가 더 형성되며,
    상기 방열 단위블록이 상기 함체의 방열판부에 결합될 때 상기 함체에 대하여 상기 방열 단위블록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방열유닛은,
    상기 함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방열판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켓형 방열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형 방열판을 상기 함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형 방열판은,
    골부와 정부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상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형 방열판은 상기 함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다수개 마련되는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이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을 상기 함체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제1 결합유닛; 및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을 상호간 이격시키면서 상기 함체에 개별적으로 결합시키는 제2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유닛은,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 및
    상기 다수의 볼트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함체의 배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유닛은,
    상기 함체의 배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보스볼트; 및
    상기 다수의 보스볼트와 최상단의 소켓형 방열판 사이, 그리고 상기 최상단의 소켓형 방열판과 나머지 소켓형 방열판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보스볼트와 함께 상호간 체결되는 다수의 이격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바디;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연결부재보다 상부에 위치된 소켓형 방열판의 정부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끼움홈부; 및
    상기 바디의 하단부를 이루되 상기 연결부재보다 하부에 위치된 소켓형 방열판의 골부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끼움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 상기 방열판부,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판은,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가 위치된 영역에서 상호간 접촉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위치된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의 골부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도록 다수의 홈부가 형성된 판스프링 본체; 및
    상기 판스프링 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다수의 소켓형 방열판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다수의 제1 볼트공;
    상기 지지판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다수의 제2 볼트공; 및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볼트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함체의 배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KR1020090005996A 2009-01-23 2009-01-23 이동통신 중계기 KR101040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996A KR101040079B1 (ko) 2009-01-23 2009-01-23 이동통신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996A KR101040079B1 (ko) 2009-01-23 2009-01-23 이동통신 중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658A KR20100086658A (ko) 2010-08-02
KR101040079B1 true KR101040079B1 (ko) 2011-06-09

Family

ID=4275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996A KR101040079B1 (ko) 2009-01-23 2009-01-23 이동통신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306A1 (ko) * 2014-10-17 2016-04-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기지국 안테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475Y1 (ko) * 2001-03-16 2001-10-08 (주)스페이스원 이동통신 중계기용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장치
KR20020035475A (ko) * 1999-03-24 2002-05-11 사토 켄이치로 충전전지의 보호회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06508A (ko) * 2005-04-09 2006-10-12 한라공조주식회사 고성능 히트 싱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475A (ko) * 1999-03-24 2002-05-11 사토 켄이치로 충전전지의 보호회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0235475Y1 (ko) * 2001-03-16 2001-10-08 (주)스페이스원 이동통신 중계기용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장치
KR20060106508A (ko) * 2005-04-09 2006-10-12 한라공조주식회사 고성능 히트 싱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658A (ko) 201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61030A1 (en) Antenna device of base station
EP2922307B1 (en) Small-sized base station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073564A1 (en) Antenna device of base station
US5548643A (en) Wireless base station-having cooling passages
CA2128553C (en) Wireless base station
US20230253695A1 (en) Antenna rf module, rf module assembly, and antenna device including same
US20240107630A1 (en) Small cell access node
CN215299480U (zh) 天线装置用散热机构
KR101040079B1 (ko) 이동통신 중계기
US20230327327A1 (en) Antenna apparatus
KR100664585B1 (ko) 중계기용 함체
US20230209790A1 (en) Multi-chambered shield enclosure for vertically stacked module arrangement and electronic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20230208463A1 (en) Small cell access node with water intrusion mitigation
KR100878027B1 (ko) 냉각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수납용 함체
KR100646582B1 (ko) 중계기 및 기지국 함체구조
JP2001244664A (ja) 屋外設置電子機器の放熱構造
KR101040078B1 (ko) 이동통신 중계기
KR100918832B1 (ko) 무선통신 중계기
CN218217531U (zh) 一种散热型无线路由器
KR20120129727A (ko) 무선 통신기기의 함체 장치
CN220400161U (zh) 显示模组和电子设备
KR200366825Y1 (ko) 통신장비용 함체
KR20220097852A (ko) 안테나용 rf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CN113853075A (zh) 具有构成承载结构的散热器芯件的组件
JPH1117461A (ja) 大電力増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