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018B1 -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018B1
KR101040018B1 KR1020090017998A KR20090017998A KR101040018B1 KR 101040018 B1 KR101040018 B1 KR 101040018B1 KR 1020090017998 A KR1020090017998 A KR 1020090017998A KR 20090017998 A KR20090017998 A KR 20090017998A KR 101040018 B1 KR101040018 B1 KR 101040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transmission
recep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478A (ko
Inventor
김남윤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7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018B1/ko
Priority to PCT/KR2010/001337 priority patent/WO2010101417A2/en
Publication of KR2010009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은, 적어도 둘 이상의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 수신된 수신신호의 출력을 감지하는 출력감지부와; 상기 수신신호의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FEM(Front End Module)과; 상기 출력감지부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상기 각 안테나의 아이소레이션을 산출하고, 상기 FEM에서 노이즈가 상쇄된 수신신호의 출력 강도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의 송수신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수신 신호의 안정성과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다.
아이소레이션, 캔슬링, 노이즈 보상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ME AND METHOD OF CONTORLL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선통신시스템으로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MIMO 기술은 송수신 양단에 다중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한정된 주파수 자원 내에서 채널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이러한 MIMO 기술은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 가령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RFID 시스템은 물품에 부착되어 세부정보를 송신하는 RFID 태그와 RFID 태그의 정보를 RF통신을 이용하여 읽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된다. RFID 태그는 송수신 장치가 위치되는 지역을 통과하며 RF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게 되므로 상품의 유통, 조립, 가격 변동, 판매 등의 물류/유통 관리가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송수신 장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각 안테나를 고속으로 스위칭 제어하여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RFID 태그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안테나를 설치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각 안테나 간 간섭현상으로 설치된 송수신 장치 내에 노이즈 DC 오프셋(offset)이 증가하고, RFID 태그 수신 에러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수신 신호의 안정성과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시스템은, 적어도 둘 이상의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 수신된 수신신호의 출력을 감지하는 출력감지부와; 상기 수신신호의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FEM(Front End Module)과; 상기 출력감지부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상기 각 안테나의 아이소레이션을 산출하고, 상기 FEM에서 노이즈가 상쇄된 수신신호의 출력 강도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의 송수신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안테나로 수신된 수신신호의 출력을 감지하여 상기 각 안테나의 아이소레이션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아이소레이션이 양호한 정도에 따라 상기 안테나의 송수신 순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수신 순서에 따라 상기 각 안테나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단계와; 상기 노이즈가 상쇄된 수신신호의 출력 강도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의 송수신 우선순위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수신 신호의 안정성과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제어블록도로서, 복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인 RFID 송수신장치(100)가 4개의 안테나(A, B, C, D)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RFID 송수신장치(100)는, 4개의 안테나(A, B, C, D)와, 각 안테나(A, B, C, D)의 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110)와, 수신신호의 출력을 감지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하는 출력감지부(120)와, 안테나(A, B, C, D)로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수신신호의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FEM(Front End Module)(200)과, 송수신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는 송수신 처리부(140)와, 초기 전원이 인가되면 출력감지부(120)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각 안테나(A, B, C, D)의 아이소레이션을 체크하고, FEM(200)에서 노이즈가 상쇄된 수신신호의 출력 강도에 따라 안테나(A, B, C, D)의 송수신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RFID 태그의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제어 부(130)를 포함한다.
신호 분리부(110)는 각 안테나(A, B, C, D)에 대응되는 커플러(CP)를 포함하여, FEM(200)으로 입력되는 수신신호를 커플링하여 출력감지부(120)로 전달한다.
출력감지부(120)는 각 안테나(A, B, C, D)의 수신신호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이에, 제어부(130)는 출력감지부(120)가 감지한 수신출력과, 미리 설정된 송신출력의 차이를 통해 안테나 아이소레이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송신출력은 RFID 송수신장치(100)에서 기준 출력이 정해진 값임으로, 수신출력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기준 출력과의 차이를 산출하면 각 안테나(A, B, C, D)의 아이소레이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감지부(120)에 송신출력 및 수신출력을 비교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하여, 아이소레이션을 출력감지부(120)에서 직접 체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테나(A, B, C, D)의 수신출력이 기 설정된 송신출력에 근접할 수록 해당 안테나(A, B, C, D)의 아이소레이션은 양호한 것이며, 아이소레이션 산출 식은 다음의 <수식>과 같다.
<수식>
안테나 아이소레이션 = △(POUTPUT - PINPUT)
송수신 처리부(140)는 제어부(130)가 제공한 송신 데이터를 송수신 규격에 맞게 변조하여 FEM(200)으로 전달하고, FEM(200)을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FEM(200)은 송수신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신호로 처리한다. 또 한, 본 발명에 따른 FEM(200)은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의 위상차를 감지하여 수신신호의 노이즈를 판단한다. FEM(200)은 수신신호의 노이즈를 상쇄하기 위한 노이즈 상쇄신호를 생성한다. FEM(200)은 수신신호에 노이즈 상쇄신호를 커플링하여 위상차를 보상함으로써, 수신신호의 위상이 송신신호의 위상과 일치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초기 구동 시 출력감지부(120)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각 안테나(A, B, C, D)의 아이소레이션을 체크한다. 각 안테나(A, B, C, D)의 아이소레이션 체크 순서는, A, B 안테나 간(a) -> A, D 안테나 간(b) -> D, C 안테나 간(c) -> C, B 안테나 간(d) -> D, B 안테나 간(e) > A, C 안테나 간(f)의 순서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아이소레이션이 양호한 순서에 따라 안테나(A, B, C, D)의 송수신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우선순위에 따라 동작하는 각 안테나(A, B, C, D)에 수신된 신호는 FEM(200)에서 노이즈가 상쇄된다. 제어부(130)는 노이즈가 제거된 수신신호의 강도에 따라 안테나(A, B, C, D)의 송수신 우선순위를 재설정 한다.
한편, 안테나(A, B, C, D)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FEM(200)에서 노이즈가 상쇄된 후 수신신호 처리회로로 전달되어 처리된다. 수신신호의 노이즈를 상쇄하는 FEM(20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FEM(200)의 제어블록도이다.
FEM(200)은 수신신호가 입력되는 저잡음 증폭기(LNA)(210)와 송신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PAM)(220)을 포함한다. 또한, FEM(200)은 수신신호의 노이즈를 감지하여, 수신신호의 노이즈를 감쇄하기 위한 노이즈 감쇄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FEM(200)은 PAM(220)에서 출력된 송신신호를 분기하여 전달하는 송신신호 전달단(240)과, 수신신호를 전달하는 수신신호 전달단(230)과 LNA(210)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에 노이즈 감쇄신호를 커플링하는 노이즈 감쇄신호 전달단(235)과,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의 위상을 감지하여 두 신호의 위상 차이를 판단하고, 수신신호의 위상 차이, 즉, 노이즈를 보상하기 위한 노이즈 감쇄신호를 생성하는 위상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PAM(220)에서 출력된 송신신호의 일부는 송신신호 전달단(240)을 통해 위상 제어부(250)로 전달된다.
안테나(A, B, C, D)로 수신된 수신신호의 일부는 수신신호 전달단(230)을 통해 위상 제어부(250)로 전달된다. 여기서, 수신신호 전달단(230)으로는 합성기를 적용할 수 있다.
위상 제어부(250)는 송신신호의 위상과 수신신호의 위상을 상호 비교하여 위상차를 산출한다.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의 위상 차이는 노이즈에 의한 것으로서, 위상 제어부(250)는 수신신호의 위상이 송신신호의 위상과 일치할 수 있도록 노이즈 감쇄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위상 제어부(250)는 신호가 송신된 후 수신되기까지의 지연(delay)을 감안하여 노이즈 감쇄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위상 제어부(250)는 LNA(210)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에 노이즈 감쇄신호를 커플링하여 수신신호의 위상을 보정함으로써, 수신신호의 에러 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RFID 송수신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면(S5), 제어부(130)는 각 안테나(A, B, C, D)가 순차적으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출력감지부(120)는 안테나(A, B, C, D)로 수신된 신호의 수신출력을 감지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하며,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송신출력과 수신출력을 비교하여 안테나(A, B, C, D) 아이소레이션 값을 산출한다(S10). 여기서, 아이소레이션 산출과정은 출력감지부(120)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아이소레이션이 양호한 안테나(A, B, C, D) 순으로 우선순위 부여한다(S20).
각 안테나(A, B, C, D)는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신호 송수신하고(S30), 송수신 신호는 FEM(200)으로 입력된다.
FEM(200)은 수신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하는 한편, 수신신호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한다(S40).
제어부(130)는 수신강도가 양호한 순으로 각 안테나(A, B, C, D)의 동작 우선순위 부여한다(S50).
각 안테나(A, B, C, D)는 우선순위에 따라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S60).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제어블록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FEM의 제어블록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제어방법의 흐름도.

Claims (8)

  1. 적어도 둘 이상의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 수신된 수신신호의 출력을 감지하는 출력감지부와;
    상기 수신신호의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FEM(Front End Module)과;
    상기 출력감지부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상기 각 안테나의 아이소레이션을 산출하고, 상기 FEM에서 노이즈가 상쇄된 수신신호의 출력 강도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의 송수신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EM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송신신호 및 상기 수신신호의 위상 차이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위상차를 보상하는 노이즈 감쇄신호를 생성하는 위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FEM은,
    상기 송신신호를 상기 위상 제어부로 전달하는 송신신호 전달단과;
    상기 수신신호를 상기 위상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신신호 전달단과;
    상기 위상 제어부가 생성한 상기 노이즈 감쇄신호를 상기 수신신호 측에 커 플링하는 노이즈 감쇄신호 전달단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송신신호의 출력값과 상기 출력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수신신호의 출력값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상기 아이소레이션을 체크하는 무선통신시스템.
  5. 적어도 둘 이상의 안테나로 수신된 수신신호의 출력을 감지하여 상기 각 안테나의 아이소레이션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아이소레이션이 양호한 정도에 따라 상기 안테나의 송수신 순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수신 순서에 따라 상기 각 안테나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단계와;
    상기 노이즈가 상쇄된 수신신호의 출력 강도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의 송수신 우선순위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테나의 아이소레이션을 산출하는 단계는,
    안테나에 수신된 수신신호의 출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송신신호의 출력과 상기 수신신호의 출력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 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소레이션이 양호한 정도에 따라 상기 안테나의 송수신 순서를 설정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송신신호의 출력과 상기 수신신호의 출력의 차이값이 작을수록 우선순위를 갖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단계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송신신호 및 상기 수신신호의 위상 차이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위상차를 보상하는 노이즈 감쇄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신호에 상기 노이즈 감쇄신호를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90017998A 2009-03-03 2009-03-03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40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998A KR101040018B1 (ko) 2009-03-03 2009-03-03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0/001337 WO2010101417A2 (en) 2009-03-03 2010-03-03 Rfi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998A KR101040018B1 (ko) 2009-03-03 2009-03-03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478A KR20100099478A (ko) 2010-09-13
KR101040018B1 true KR101040018B1 (ko) 2011-06-08

Family

ID=4300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998A KR101040018B1 (ko) 2009-03-03 2009-03-03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0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934B1 (ko) 2006-09-27 2008-01-29 주식회사 알에프엔진 무선통신신호 송수신 경로 선택장치
KR100836469B1 (ko) 2005-11-18 2008-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 리더 및 rfid 시스템
KR20080073191A (ko) * 2007-02-05 2008-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사운딩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08199423A (ja) 2007-02-14 2008-08-28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469B1 (ko) 2005-11-18 2008-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 리더 및 rfid 시스템
KR100797934B1 (ko) 2006-09-27 2008-01-29 주식회사 알에프엔진 무선통신신호 송수신 경로 선택장치
KR20080073191A (ko) * 2007-02-05 2008-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사운딩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08199423A (ja) 2007-02-14 2008-08-28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478A (ko) 201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1437B2 (en) System for wirelessly transmitting energy without using beam-forming control
US11139699B2 (en) Classifying and detecting foreign objects using a power amplifier controller integrated circuit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JP5140176B2 (ja) Rfidシステムの送信漏洩信号除去装置、rfidシステム
WO200703334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rf nulling scheme in rfid
EP2103002B1 (en) Time division duplex forward-to-reverse transition signal generator
EP33370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s device that communicates via inductive coupling
JP2020022140A (ja) 電子装置及び方法
EP3239888A1 (en) Interrogation device, system including interrogation device, and program
KR101040018B1 (ko)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485575B1 (en) Activating interference signal rejection filter path based on detection of an interference signal in a wireless distribution system (wds)
EP2850602B1 (en) Ac-coupled rfid system
US8693957B2 (en) Signal transceiving module
JP5181985B2 (ja) 受信強度測定方法、受信器、および移動局測位システム
US9231685B2 (en) Diversity blocker protection
US11539248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pparatus capable of determining pairing of wireless power transmitter apparatuses and wireless power receiver apparatuses and transmitting sufficient power
US20110279234A1 (en) Rfid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transmission leakage signal thereof
KR101543016B1 (ko) 송수신 장치
US7990096B2 (en) Mobile op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id device
US2010030200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fid reader cable calibration
KR20150010812A (ko) 중계기에서의 궤환 신호 제거 방법 및 그 중계기
US89827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ransmission power of terminal having heterogeneous modem chips
JP7002412B2 (ja) 給電装置、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8018254A1 (fr) Dispositif de communication sans fil
US20200313702A1 (en) Control method and wireless module applied to wireless device
JP5389983B2 (ja) 基地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