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691B1 - 띠톱 - Google Patents

띠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691B1
KR101039691B1 KR1020100090079A KR20100090079A KR101039691B1 KR 101039691 B1 KR101039691 B1 KR 101039691B1 KR 1020100090079 A KR1020100090079 A KR 1020100090079A KR 20100090079 A KR20100090079 A KR 20100090079A KR 101039691 B1 KR101039691 B1 KR 101039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saw blade
blade tip
weld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국
Original Assignee
이동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국 filed Critical 이동국
Priority to KR102010009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12Straight saw blades; Strap saw blades
    • B23D61/123Details of saw blad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12Straight saw blades; Strap saw blades
    • B23D61/14Straight saw blades; Strap saw blades with inserted saw teeth, i.e. the teeth being individually ins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3/00Band or strap sawing machin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3/00Sawing tools for saw mills,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 B27B33/02Structural design of saw blades or saw teeth
    • B27B33/06Band saw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띠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면에 용접홈이 구비된 초경합금의 톱날용 팁들을 띠톱의 톱니 단부에 끼워 용접을 통해 상호 고정하고, 상기 톱날용 팁의 저면은 톱니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각도로 연마한 구성을 갖는 띠톱에 있어서; 상기 톱날용 팁의 배면에 형성된 용접홈의 내측 끝단에서 외측으로 용접봉의 용융액이 유입되어 톱니의 양면에 일체로 경화되도록 하는 제 1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톱날용 팁의 상면에는 용접홈의 입구 단부에서 외측으로 제 2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톱날용 팁의 양면은 상부를 향해 내측으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되, 상기 톱날용 팁의 양면과 배면 사이도 배면을 향해 내측으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톱날용 팁을 포함한 톱니 자체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띠톱 자체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톱날용 팁의 날 자체에 대한 절단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톱날용 팁과 목재 사이의 접촉면적 감소를 통해 마찰력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띠톱을 이용한 목재의 제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띠톱{A band saw}
본 발명은 띠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를 제재(製材)할 때 사용하는 목재 제재용 띠톱의 톱니 단부에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진 제재용 톱날용 팁을 용접 설치할 때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어 톱날용 팁을 포함한 톱니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띠톱 자체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고, 또한 톱날용 팁의 양면 자체는 물론 양면과 배면 사이를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시켜 톱날용 팁의 절단력을 대폭 향상시킴은 물론 톱날용 팁과 목재 사이의 마찰력을 크게 줄여 제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띠톱은 띠 모양의 강철판의 한쪽 가장자리에 톱니를 내고 그 양쪽 끝을 접합하여 둥근 고리 모양으로 된 것인데 띠톱 기계에 장착하여 고속으로 회전시켜 금속이나 목재 등을 절단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톱니의 형은 자르는 것의 종류 및 성질에 따라 다르고, 또 톱니 끝은 재료와 톱(톱의 몸체)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번갈아 좌우로 구부리거나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띠톱의 재료로서는 견고하고 점성(粘性)을 지닌 탄소공구강(炭素工具鋼)이나 합금강(合金鋼) 등과 같은 초경합금이 사용된다.
또한 목재를 제재할 때에 사용하는 제재 기계(sawing machine)는 띠톱 기계(band sawing machine), 둥근톱 기계(circular sawing machine), 틀톱 기계(frame sawing machine)로 분류된다.
이때 띠톱 기계는 띠톱을 사용하는 제재기계인데 아래 위로 나란히 마주본 2개의 톱 바퀴에 띠톱을 걸어 당기고 고속회전시켜 목재를 켠다. 기체(機體), 아래 위톱바퀴, 띠톱을 아래위로 당기는 긴장장치(緊張裝置), 위의 톱차를 앞으로 비스듬히 기울게 하여 톱위치를 정하는 데릭장치(derrick arrangement), 톱에 나뭇조각 등을 대고 가로진동을 막는 안내장치(saw guide), 회전을 멈추게 하는 브레이크장치 등이 있다.
일반 톱이 직선으로 켜지지 않고 구부러지는 것을 커프벤드(kerf bend)라고 하는데, 구부러지지 않고 빨리 켜는 것이 요점이다. 이 때문에 톱날이 예리하고 치형(齒型)이 적정할 것, 긴 장력을 강하게 하고 톱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 등이 효과적이다.
또한 톱 두께는 얇은 쪽이 수율(收率)이 좋으나 커프벤드가 되기 쉬우며, 띠톱기계의 크기는 톱 바퀴의 지름을 mm로 표시하고 1,000∼2,000mm가 많으며, 띠톱기계의 종류에는 송재방법(送材方法)에 따라 자동송재식(원목을 트럭 위에 올려놓고 동력으로 전진·후퇴시킨다), 손수레식(송재차를 손으로 움직이게 한다), 테이블식(테이블 위에 목재를 놓고 손으로 보낸다), 자동롤러식(테이블 위의 목재를 롤러로 자동 이송한다) 등으로 분류된다.
통나무켜기에는 자동송재식, 오리목켜기에는 테이블식·자동롤러식이 많다. 보통 톱바퀴가 아래 위로 나란히 있는 세로형이지만 좌우로 나란히 있는 가로형도 있다. 둥근톱기계는 둥근톱을 고속회전시켜 제재한다. 구조는 간단하며 톱축에 플랜지로 둥근톱을 고정하여 축을 회전시킨다. 둥근톱기계의 크기는 사용하는 둥근톱의 지름을 mm로 표시한다.
송재방법에 따라 테이블식·송재차식, 톱의 이동기구에 따라 진자식(振子式) 등 많은 종류가 있으며, 통나무 켜기용에는 테이블식이 많고, 목재를 테이블 위에 놓고 손으로 보내어 켠다. 지름이 작은 목재의 모서리 따기 작업이 많고, 톱 지름은 1,000mm 정도이다. 오리목 켜기에서는 모서리 따기 등에 사용된다. 가로 켜기는 거의 모두 둥근톱에 의하며 지름은 300mm 정도이다.
둥근톱기계는 띠톱기계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보수도 쉬우며 설비비용이 적게 들지만 능률이 낮고 톱이 두꺼워서 수율이 떨어지며 지름이 큰 목재는 켤 수 없다.
틀톱기계는 가늘고 긴 강판의 한쪽 가장자리에 톱날을 세운 여러 개의 틀톱을 직사각형의 틀에 고정시켜 틀을 아래위로 고속으로 움직이게 하면서 목재를 켠다. 송재속도는 늦지만 원목에서 단번에 제품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수동식 띠톱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현장을 지키며 톱니의 이빨을 만들고 가공해야만 된다.
즉, 띠톱의 허리부 손질, 텐션 손질 등 복잡한 작업을 행하지만, 이빨 소재의 결함으로 이빨이 조속히 무디어져 다시 이빨을 가공하여야 하는 일을 연속해야만 했었다.
수동식 띠톱의 경우는 통상 일일 교환 횟수가 7~8회이며, 기계식은 3~4회 교환해야만 정확한 제재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그러한 띠톱의 이빨 가공에 소요되는 업체의 비용부담은 물론, 작업능률의 저하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목재 제재용 띠톱이 개발되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7043호로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톱(1)의 톱니(2) 단부에는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용접홈(31)을 가지는 제재용 톱날용 팁(3)을 일체 용접고정하고, 상기 제재용 톱날용 팁(3)을 연마하여 톱니(2)와 일체로 구성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목재를 제재할 시 톱니의 내구성 및 수명을 띠톱 몸체에 톱니를 직접 성형한 것에 비하여 어느 정도 연장할 수 있었으나, 이 경우 단순히 초경합금으로 된 제재용 톱날용 팁의 배면에 하나의 사각형 용접홈을 형성시켜 띠톱의 톱니 단부에 용접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톱니와 톱날용 팁의 용접 면적이 적어 장기간 사용시 톱날용 팁들이 톱니로부터 떨어져 그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톱날용 팁 자체가 단순히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목재의 의 절단시 톱날용 팁의 양면이 도 3과 같이 목재의 절단면과는 직접 접촉되므로 톱날용 팁과 목재 사이의 마찰력이 그만큼 커지게 되어 절단력이 저하됨은 물론 목재의 제재에 따른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목재를 제재할 때 사용하는 목재 제재용 띠톱의 톱니 단부에 용접 고정되는 초경합금의 제재용 톱날용 팁에 형성되는 용접홈의 내측 끝단에서 외측으로 용접봉의 용융액이 유입되는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을 더 형성시켜 주고 톱날용 팁의 상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또 다른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 더 형성시켜 주어 띠톱의 톱니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톱날용 팁의 고정력을 대폭 증대시켜 줌으로써 톱날용 팁을 포함한 톱니 자체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띠톱 자체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톱날용 팁의 양면 자체는 물론 양면과 배면 사이에 정해진 각도를 갖는 경사면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톱날용 팁의 날 자체에 대한 절단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톱날용 팁과 목재 사이의 마찰력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띠톱을 이용한 목재의 제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띠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면에 용접홈이 구비된 초경합금의 톱날용 팁들을 띠톱의 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의 단부에 끼워 용접을 통해 상호 고정하고, 상기 톱날용 팁의 저면은 톱니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각도로 연마한 구성을 갖는 띠톱에 있어서; 상기 톱날용 팁의 배면에 형성된 용접홈의 내측 끝단에서 외측으로 용접봉의 용융액이 유입되어 톱니의 양면에 일체로 경화되도록 하는 제 1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을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톱날용 팁의 상면에는 용접홈의 입구 단부 바닥에서 외측으로 용접봉의 용융액이 유입되어 톱니의 전면 양측에 일체로 경화되도록 하는 제 2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을 가로방향으로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톱날용 팁의 양면은 상부를 향해 내측으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경사진 톱날용 팁의 양면과 배면 사이는 배면을 향해 내측으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톱날용 팁의 저면과 양면 사이의 경사각 및 양면 전면부에서 배면 사이의 경사각은 각각 5-7도 범위 중 어느 한 각도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띠톱에 의하면, 목재를 제재할 때 사용하는 목재 제재용 띠톱의 톱니 단부에 용접 고정되는 초경합금의 제재용 톱날용 팁 배면에 기 형성된 용접홈의 내측 끝단에서 외측으로 용접봉의 용융액이 유입되어 톱니의 양면에 일체로 경화되도록 하는 제 1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을 더 형성시켜 줌은 물론 톱날용 팁의 상면에는 용접홈의 입구 단부 바닥에서 외측으로 용접봉의 용융액이 유입되어 톱니의 전면 양측에 일체로 경화되도록 하는 제 2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을 가로방향으로 더 형성해 줌으로써 톱날용 팁을 포함한 톱니 자체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띠톱 자체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톱날용 팁의 양면은 상부를 향해 내측으로 정해진 각도(예를 들어 5-7도 범위 중 어느 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경사진 톱날용 팁의 양면과 배면 사이 역시 배면을 향해 내측으로 예를 들어 5-7도 범위 중 어느 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톱날용 팁의 날 자체에 대한 절단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톱날용 팁과 목재 사이의 접촉면적 감소를 통해 마찰력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띠톱을 이용한 목재의 제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목재 제재용 띠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띠톱의 요부를 발췌하여 제재용 톱날용 팁을 고정 및 연마한 후의 상태도.
도 3은 종래 띠톱으로 목재를 절단할 때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띠톱의 사시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톱날용 팁의 평면도 및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띠톱에 적용한 톱날용 팁을 톱니에 용접 고정한 후 연마한 상태를 보인 요부 발췌 획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띠톱으로 목재를 절단할 때의 일부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띠톱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a)(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톱날용 팁의 평면도 및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띠톱에 적용한 톱날용 팁을 톱니에 용접 고정한 후 연마한 상태를 보인 요부 발췌 획대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띠톱으로 목재를 절단할 때의 일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배면에 용접홈(31)이 구비된 초경합금의 톱날용 팁(3)들을 띠톱(1)의 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2)의 단부에 끼워 용접을 통해 상호 고정하고, 상기 톱날용 팁(3)의 저면은 톱니(2)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각도로 연마시킨 형태를 갖는 띠톱에 있어서;
상기 톱날용 팁(3)의 배면에 형성된 용접홈(31)의 내측 끝단에서 외측으로 용접봉의 용융액이 유입되어 톱니(2)의 양면에 일체로 경화되도록 하는 제 1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33)을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톱날용 팁(3)의 상면에는 용접홈(31)과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그의 입구 단부 바닥에서 외측으로 용접봉의 용융액이 유입되어 톱니(2)의 전면 양측에 일체로 경화되도록 하는 제 2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32)을 가로방향으로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톱날용 팁(3)의 양면은 상부를 향해 내측으로 정해진 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경사진 톱날용 팁(3)의 양면과 배면 사이는 전면에서 배면을 향해 내측으로 정해진 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톱날용 팁(3)의 저면과 양면 사이의 경사각(θ) 및 양면 전면부에서 배면 사이의 경사각(θ)은 각각 5-7도 범위 중 어느 한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띠톱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공지된 띠톱(1)의 톱니(2) 단부에 끼워져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초경합금의 톱날용 팁(3)을 성형할 시 그의 배면에 기 형성되어 있는 용접홈(31)의 내측 끝단에서 외측으로 제 1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33)을 더 형성시켜 주어 용접을 통해 상기 톱날용 팁(3)을 톱니(2)에 도 6과 같이 용접 고정 설치할 때 용접홈(31)으로 유입된 용접봉의 용융액 일부가 상기 용접홈(31)의 내측 끝단에서 외측으로 형성시킨 제 1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33)으로 유입되어 톱니(2)의 양면에도 일체로 경화되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와 같이 초경합금의 톱날용 팁(3) 배면에 기 형성되어 있는 용접홈(31)의 내측 끝단에서 외측으로 제 1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33)을 더 형성시켜 주게 되면 상기 톱날용 팁(3)을 띠톱(1)의 톱니(2)에 고정시켜 주기 위해 용접을 실시하게 되면 용접봉의 용융액이 전체적으로 "T"자 형태를 갖고 상기 용접홈(31)과 제 1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33)으로 유입된 후 냉각에 의해 경화되므로 결국, 톱날용 팁(3)의 배면에 대한 고정면적(즉, 용접을 통한 톱니(2)의 양측 면과 톱날용 팁(3) 배면 사이의 고정면적)이 그만큼 넓어지게 되어 용접홈(31)만 형성시킨 상태에서 톱날용 팁(3)을 톱니(2)에 고정시킬 때보다 톱날용 팁(3)들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제 1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33) 이외에도 상기 톱날용 팁(3)의 상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용접홈(31)의 단부 바닥면과 이어지는 제 2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32)을 더 형성시켜 줌으로써 즉, 상기 용접홈(31)의 입구 단부 바닥면에서 상기 용접홈(31)과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제 2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32)을 가로방향으로 더 형성시켜 줌으로써 톱날용 팁(3)의 상면에 대한 고정면적 및 고정력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띠톱에 용접 고정 설치되는 톱날용 팁(3)을 포함한 톱니(2) 자체의 내구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톱날용 팁(3)이 톱니(2)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띠톱 자체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그만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용접홈(31)과 제 1 및 제 2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33)(32)을 통해 용접봉의 용융액을 투입시켜 톱날용 팁(3)들을 띠톱(1)의 톱니(2)들에 각각 용접 고정시킨 후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도 6과 같이 상기 톱날용 팁(3)의 저면이 톱니(2)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각도를 갖도록 연마시켜 띠톱의 제작을 완료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톱날용 팁(3)을 초경합금으로 성형할 때 종래와 같이 직사각 봉의 형태로 성형하지 않고, 상기 톱날용 팁(3)의 양면은 목재의 절단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부를 향해 내측으로 정해진 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즉,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경사진 톱날용 팁(3)의 양면과 배면 사이도 전면에서 배면을 향해 내측으로 정해진 각도(θ)만큼 경사지게 성형(즉, 톱날용 팁(3)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주었다.
이때, 상기 톱날용 팁(3)의 저면과 양면 사이의 경사각(θ) 및 양면 전면부에서 배면 사이의 경사각(θ)은 다양한 각도로 설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띠톱(1)의 높이와, 톱날용 팁(3) 자체의 강도 및 톱날용 팁(3)과 목재 사이의 접촉면적 등을 감안하여 각각 5-7도 범위 중 어느 한 각도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톱날용 팁(3)들이 톱니(2)에 용접 고정된 목재 제재용 띠톱을 이용하여 목재를 절단 또는 켤 때 톱날용 팁(3)의 저면에 형상된 날 부분은 목재와 밀착된 상태에서 띠톱(1)의 이동방향에 부응하여 나무의 조직을 절단시키게 되는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5-7도 범위 중 어느 한 각도를 갖는 상기 톱날용 팁(3)의 양면 및 양면과 배면 사이가 도 7과 같이 목재의 절단면과 직접 접촉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상기 띠톱(1)을 통해 목재를 계속해서 절단함으로 인해 절단부위의 깊이가 차츰 더 깊어짐에 부응하여 목재의 하중이 하방부로 차츰 이동함에 따라 절단면 사이에 형상되는 틈새가 하방부보다 상방부가 차츰 좁아지더라도 5-7도 범위 중 어느 한 각도를 갖는 상기 톱날용 팁(3)의 양면이 도 7의 가상선과 같이 목재의 절단면과는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일정한 틈새를 갖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톱날용 팁(3)의 날 자체에 대한 절단력은 대폭 증대되는 대신 톱날용 팁(3)과 목재 사이의 접촉면적은 크게 감소되어 양자 사이의 마찰력이 크게 줄게 되므로 띠톱(1)을 이용한 목재의 제재 효율이 그만큼 대폭 극대화되게 된다.
한편, 지금까지의 설명은 본 발명을 목재를 제재하는데 사용되는 띠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적용한 톱날용 팁(3)을 금속제를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금속 절단용 띠톱에 적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띠톱
2 : 톱니
3 : 톱날용 팁
31 : 용접홈
32 : 제 2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
33 : 제 1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

Claims (5)

  1. 배면에 용접홈이 구비된 초경합금의 톱날용 팁들을 띠톱의 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의 단부에 끼워 용접을 통해 상호 고정하고, 상기 톱날용 팁의 저면은 톱니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각도로 연마한 구성을 갖는 띠톱에 있어서;
    상기 톱날용 팁의 배면에 형성된 용접홈의 내측 끝단에서 외측으로 용접봉의 용융액이 유입되어 톱니의 양면에 일체로 경화되도록 하는 제 1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톱날용 팁의 상면에는 용접홈의 입구 단부 바닥면에서 외측으로 제 2 용접봉 용융액 유입홈을 형성시키며,
    상기 톱날용 팁의 양면은 상부를 향해 내측으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시키되,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톱날용 팁의 양면과 배면 사이는 배면을 향해 내측으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90079A 2010-09-14 2010-09-14 띠톱 KR101039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079A KR101039691B1 (ko) 2010-09-14 2010-09-14 띠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079A KR101039691B1 (ko) 2010-09-14 2010-09-14 띠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691B1 true KR101039691B1 (ko) 2011-06-09

Family

ID=4440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079A KR101039691B1 (ko) 2010-09-14 2010-09-14 띠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6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5413A (ja) * 1987-11-16 1989-05-29 Ochiai Yoshio チツプソー
JPH037421U (ko) * 1989-06-05 1991-01-24
KR20030067043A (ko) * 2002-02-06 2003-08-14 영 만 권 손스침대용 연결구의 결합구조
KR200367043Y1 (ko) 2004-08-18 2004-11-09 이용보 목재 제재용 띠톱
KR100941826B1 (ko) 2002-01-16 2010-02-11 티로리트 슈라이프미텔베르케 스바로프스키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띠톱 및 띠톱용 연삭세그먼트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5413A (ja) * 1987-11-16 1989-05-29 Ochiai Yoshio チツプソー
JPH037421U (ko) * 1989-06-05 1991-01-24
KR100941826B1 (ko) 2002-01-16 2010-02-11 티로리트 슈라이프미텔베르케 스바로프스키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띠톱 및 띠톱용 연삭세그먼트들의 제조방법
KR20030067043A (ko) * 2002-02-06 2003-08-14 영 만 권 손스침대용 연결구의 결합구조
KR200367043Y1 (ko) 2004-08-18 2004-11-09 이용보 목재 제재용 띠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5869B2 (en) Saw chain with defined pitch
US20110000355A1 (en) Multi-Bandsaw Machine
US20170056989A1 (en) Wood Cutting Band Saw Blade Having Reduced Kerf Dust
KR101039691B1 (ko) 띠톱
WO2021061653A1 (en) Sawmill system with bidirectional bandsaw capability using oppositely directed single-sided blades
US10751817B1 (en) Sawblade grinding methods, sawblade grinding preparation methods and sawblades
CN207859000U (zh) 一种新型四种齿形的硬质合金带锯条
CN201751140U (zh) 一种多功能木工机床打孔机构
CN106424924A (zh) 一种铝导杆锯切一体机
CN207309097U (zh) 一种锯条制备的轧制装置
CN208245957U (zh) 开槽倒角一体化锯片
RU126984U1 (ru) Ленточнопильный станок
CN219768696U (zh) 一种新型切割机
CN211250360U (zh) 一种高效的油锯
CN209478372U (zh) 一种合金锯片
CN201543906U (zh) 圆环锯
CN211967766U (zh) 高速往复横切割锯
CN206445306U (zh) 锯片的齿结构
CN103203779A (zh) 一种设有高精度锯条定位装置的锯切机
EP3737542B1 (en) A circular sawblade for clearing sawing
CN210139470U (zh) 一种锯机下料机构
CN209868826U (zh) 一种安全性高的木工带锯
CN219520670U (zh) 一种管切双盘式锯床
WO2016086987A1 (en) Guiding device for a power driven saw
RU2443546C1 (ru) Горизонтальный ленточнопильный стан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