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622B1 -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622B1
KR101039622B1 KR1020080044078A KR20080044078A KR101039622B1 KR 101039622 B1 KR101039622 B1 KR 101039622B1 KR 1020080044078 A KR1020080044078 A KR 1020080044078A KR 20080044078 A KR20080044078 A KR 20080044078A KR 101039622 B1 KR101039622 B1 KR 101039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power
control level
communication network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343A (ko
Inventor
이연주
안영득
이기용
김재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4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622B1/ko
Priority to EP09158774A priority patent/EP2120498A3/en
Priority to US12/431,343 priority patent/US8160632B2/en
Priority to CN200910139376.XA priority patent/CN101583179B/zh
Publication of KR20090118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when the channel is in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단말기의 송출신호 전력제어 방법으로서, 제 2 통신망과 통화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제 1 통신망과 통화대기서비스를 수행하며, 상기 제 1 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전력제어레벨을 수신하는 단계;현재의 송출신호 전력제어를 위해 설정된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제어레벨과 상기 제 1 전력제어레벨을 비교하는 단계;상기 제 1 전력제어레벨이 상기 제 2 전력제어레벨보다 작지 않은 경우, 현재의 전력코드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듀얼 모드, 듀얼 스탠바이, 전력 제어, 전력제어레벨

Description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in a dual-standby mode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GSM방식 호의 송신전력 감소를 위한 전력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무선 통신부 및 제2 무선 통신부가 각각 GSM 방식의 호 및 CDMA 방식의 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GSM방식 호의 송출 전력이 최적화 될 때까지,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전력코드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는 통신 방식이 다른 2개의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로서, 이종의 통신망이 혼재된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의 대표적인 예로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방식의 무선통신과 CDMA(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방식의 무선통신이 모두 이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는 GSM 모드와 CDMA 모드를 모두 지원하는 하나의 통신 프로세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다른 통신 모드를 이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동시에 2개의 통신 모드를 지원하는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가 도입 되었다.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는 대기 모드 중에 있을 때에도 주기적으로 CDMA망 및 GSM망의 기지국으로부터 프리엠블(Preamble) 및/또는 파일럿(Pilot) 채널의 신호를 요청 및 수신하여 채널 상태(RSSI, CINR, 및 SoQ 등)를 측정한다. 그러므로 이종 망을 이용하기 위한 안테나, RF(radio frequency) 장치 및 모뎀, 등의 통신 장치의 전원을 항상 켜놓은 상태로서 전력 소모가 일반 휴대 단말기보다 클 수 있다. 특히 통화대기 상태에서는 GSM호가 유지될 수 있을 정도의 세기의 신호를 송신하면 족함에도 불구하고 단말기는 필요 이상의 전력을 사용해 신호를 송신하므로, 휴대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CDMA와 GSM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GSM방식 송신 신호의 세기가 CDMA방식에 비하여 약 10dB 가량 높은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CDMA방식 호의 수신 신호에 GSM방식 호의 송신 신호가 영향을 주어, 특히 CDMA방식의 호 통화 중 GSM방식의 호 통화 대기 시 CDMA방식의 호의 통화 품질 열화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CDMA방식의 호 통화 중 GSM방식의 호가 통화대기 상태인 경우에 있어 정밀한 전력제어방법을 제안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DMA방식의 호 통화 중 GSM방식의 호가 통화대기 상태인 경우에 있어 GSM방식 호의 송출 신호의 세기를 최적화시켜 CDMA방식 호의 통화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에 있어 GSM 방식 호의 전력제어방법은 제 2 통신망과 통화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제 1 통신망과 통화대기서비스를 수행하며, 상기 제 1 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전력제어레벨을 수신하는 단계;현재의 송출신호 전력제어를 위해 설정된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제어레벨과 상기 제 1 전력제어레벨을 비교하는 단계;상기 제 1 전력제어레벨이 상기 제 2 전력제어레벨보다 작지 않은 경우, 현재의 전력코드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통신망은 GSM 방식의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에 있어 GSM 방식의 호와 CDMA 방식의 호가 동시에 송수신 중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GSM 방식 호의 전력제어 방법에 의하면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CDMA 방식의 무선 통신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감소시켜 통화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예컨대, 이하에서 설명하는 이종의 무선 통신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망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통신망을 이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무선 통신 망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의 무선 통신망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 및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통신망들의 확장된 형태 및 변형된 형태들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 1 통신망은 GSM방식의 통신망이며, 제2 통신망는 CDMA방식의 통신망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제 1 전력제어레벨은 기지국으로부터 제1 무선 통신부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로 수신되는 GSM 방식 호의 전력제어레벨을 의미한다. 전력코드란 휴대 단말기에서 송출 신호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를 의미하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전력코드에 맵핑되는 세기로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제 2 전력제어레벨은 현재 휴대 단말기에서 송출신호 전력제어를 위해 설정되어 있는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전력제어레벨이며,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전력제어레벨과 현재 휴대 단말기의 송출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기 위한 의도로 사용된다 .
또한 아래 표 1는 제 1 무선 통신부 및 제 2 무선 통신부가 모두 동작 중인 경우에 본 발명의 전력제어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전력제어레벨과 전력코드간의 테이블의 예시이다.
[표 1]
Figure 112008033815675-pat00001
표 1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하나의 전력제어레벨에 대응되는 전력코드가 복수 개가 존재한다. 그러나 전력코드 간의 차이와 전력코드의 개수 역시 예시적이며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력코드는 휴대 단말기 마다 다르게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표 1에서는 하나의 전력제어레벨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전력코드가 할당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구성이며, 전력코드 자체가 일정한 값을 기준으로 증감하는 형태로 동작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다.
표 1,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대기 통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DMA망 및 GSM망의 커버리지 안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가 위치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GSM망의 기지국 중 일 기지국을 통해 호를 송수신하고 있고, 또한 CDMA망의 기지국 중 일 기지국을 통해 호를 송수신하고 있다.
또한 GSM망의 기지국 중 일 기지국은 휴대 단말기로 GSM방식 호의 전력제어레벨(PCL)을 계속적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휴대 단말기로 전력제어레벨 6 즉 31dBm의 세기로 신호를 송신하라는 지시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는 전력코드를 전력제어레벨 6에 대응하는 680으로 설정하여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나 실제로 필요한 송출 신호의 세기는 31dBm보다 작은 크기, 예를 들어 29.6dBm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29.6dBm에 해당하는 전력코드인 630까지 전력코드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며, 이로 인해 송출 전력의 최적화를 구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는 제1 무선 통신부(210), 제2 무선 통신부(220), 제어부(230),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 또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무선 통신부(210)는 제 1 통신망과 통신하여 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제 2 무선 통신부(220)는 제 2 통신망과 통신하여 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통신망은 GSM 방식의 통신망 일 수 있고, 제 2 통신망은 CDMA 방식의 통신망 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250)는 특히 GSM방식 호의 전력제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전력제어레벨, 전력코드 및 신호의 세기에 관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 1과 같은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본 발명의 전력제어의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제 1 무선 통신부 및 제 2 무선 통신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처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송신 전력 처리부(240)는 GSM방식의 호를 송수신 함에 있어서 설정된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세기로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GSM방식 호의 제 1 전력제어레벨이 현재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제2 전력제어레벨보다 작지 않은 경우 현재의 전력코드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 1 전력제어레벨이 상기 제 2 전력제어레벨보다 작은 경우 현재의 전력코드를 증가시 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재의 전력코드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연속하여 실행 시, 현재의 전력코드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에 대응하는 전력코드로 재설정할 수 있다.
표 1,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i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인 CDMA방식의 호 통화 중 GSM방식의 호가 통화대기 상태인 경우의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GSM방식의 호의 통화대기 상태에서는 통화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송신 전력만을 사용함으로서 충분하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전력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i는 도 3의 순서도에 의거하여 전력제어방법을 수행할 경우 현재의 전력코드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이다.
우선 S310에서 휴대 단말기는 제 2 무선 통신부(220)를 이용하여 CDMA방식의 호 통화 중이며 제 1 무선 통신부(210)를 이용하여 GSM방식의 호의 통화 대기 중인 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계속적으로 GSM 방식의 호의 제 1 전력제어레벨 즉 PCL을 수신한다. 이후 제어부(230)는 S320에서 전력코드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에 대응되는 수치로 설정하고, 제1 무선 통신부(210)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코드에 맵핑되는 신호의 세기로 호를 송신한다. 계속하여, 제어부(230)는 S330 단계에서 전력코드를 상기 설정되어 있던 전력코드보다 한 단계 낮은 전력코드로 재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 중에도 기지국은 휴대 단말기로 계속적으로 제 1 전력제어레벨을 송신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는 이를 수신하고 있다. 즉 휴대 단말기가 수신하는 제 1 전력제어레벨은 계속적으로 갱신되며, 현재 송신 신호의 세기가 충분하다는 의미로서 현재의 제 2 전력제어레벨과 같은 제 1 전력제어레벨을 수신할 수도, 현재 송신 신호의 세기가 부족하므로 송신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라는 의미로서 현재의 제 2 전력제어레벨 보다 낮은 제 1 전력제어레벨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송신 신호의 세기가 과도하므로 송신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키라는 의미로서 현재의 제 2 전력제어레벨 보다 높은 제 1 전력제어레벨을 수신할 수도 있다.
계속하여, 제어부(230)는 S340 단계에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과 현재의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제어레벨을 비교한다. 현재의 제 2 전력제어레벨이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보다 작다면 현재의 송신 신호의 세기가 과도하다는 의미가 되므로, 제어부(230)는 S320 단계로 되돌아가 전력코드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에 대응하는 전력코드로 재설정하고 S330 단계를 실행한다. 또한, 현재의 제 2 전력제어레벨이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과 같다면, 제어부(230)는 S330단계로 돌아가 전력코드를 현재 설정된 전력코드보다 한 단계 낮은 전력코드로 재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이 현재의 제 2 전력제어레벨보다 작다면, 현재의 송신 신호의 세기로는 GSM 방식 호의 통화대기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송신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라는 의미이므로, 제어부(230)는 S350 단계 이후의 전력코드를 올리는 단계로 수행된다.
상기 S340 단계까지의 과정을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정리하자면, S320에서 휴대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전력제어레벨 5를 수신하고 제어 부(230)는 전력코드를 750으로 설정하며(도 4a), 이후 S330에서 제어부(230)는 전력코드를 740으로 재설정한다(도 4b).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이 6인 경우라면, 현재 전력코드 740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제어레벨은 5이므로, 제어부(230)는 전력코드를 680으로 재설정한다. (도 4c) 또한, 680에 대응되는 제 2 전력제어레벨은 6이며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도 6이라면, 제어부(230)는 S340 단계에 의하여 전력코드를 670으로 재설정한다. (도 4d)
현재의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제어레벨이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보다 커질 때까지, 즉 기지국으로부터 송신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전까지 제어부(230)는 계속적으로 전력코드를 감소시킬 것이다. 도 4e는 전력코드를 600까지 감소하였다. 즉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제어레벨보다 작은 제 1 전력제어레벨을 수신하기 전까지, 제어부(230)는 전력코드를 계속적으로 감소시킨다. 도 4e에서는 전력코드에 대응되는 제 2 전력제어레벨은 7이며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은 6이므로, 제어부는 GSM방식 호의 통화대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송신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진행한다.
전력코드를 증가시키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 신호의 세기가 부족하여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과정이지만 일정 시간 이내에 충분한 세기로 신호를 송신하지 아니한다면 호가 끊어질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한계치N을 설정하고 N회의 반복적인 전력코드 증가 과정 실행 동안 기지국이 지시한 제1전력제어레벨과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제어레벨이 일치하지 않으면 전력코드를 기 지국이 지시한 제 1 전력제어레벨에 대응하는 전력코드로 재설정하여 초기화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S340단계에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이 현재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제어레벨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30)는 S350단계에 전력코드증가 카운터 X를 초기화하고, S360단계에서 도 4f와 같이 전력코드를 현재의 전력코드보다 한 단계 높은 전력코드인 610으로 재설정한다. 즉 휴대 단말기에서 현재의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의 세기로 신호를 송신하고, 기지국은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GSM 방식 호의 통화 대기를 유지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휴대 단말기로 송신 신호의 세기를 올리라는 지시를 송신하였으므로,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230)는 전력코드를 한 단계 증가시킨다.
제어부(230)는 S370단계에서 현재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제어레벨과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를 비교한다. 여기서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이 현재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제어레벨보다 작다고 판단된 경우라면 여전히 전력을 올리라는 경우이므로, 제어부(230)는 S380단계에서 카운터X와 전력코드증가한계치N과 비교한다. S380단계에서 X가 N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S390단계에서 카운터X를 1 증가시키고, 도 4g와 같이 S360단계를 재실행하여 전력코드를 증가시킨다.
또한 S380단계에서 카운터X와 한계치N과 비교하여, X가 N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230)는 S320단계로 돌아가 전력코드를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제1전력제어레벨에 대응하는 전력코드로 재설정하고, S330단계를 재실행한다. 앞서 설 명한 바와 같이 전력코드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실행한다고 할지라도 일정 시간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이 대응하는 송신 신호의 세기로 신호를 송신하지 아니하면 GSM방식의 호가 끊어질 수 있으므로, 호의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는 전력코드를 기지국이 지시한 제1전력제어레벨에 대응하는 전력코드로 재설정하여 S320이하의 단계를 재실행한다. 정리하자면 전력코드 증가 과정을 N회 이상 반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라는 지시를 수신한 경우라면, 제어부(230)는 전력코드를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에 대응하는 전력코드로 재설정하고 S330단계부터 재실행한다. 즉 제어부는 상기의 과정을 모두 초기화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을 기초로 본 발명의 전력제어방법을 재실행한다.
또한 S370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이 현재의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제어레벨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신호의 세기를 줄이라는 의미의 지시를 한 경우인바, 제어부(230)는 S320단계로 돌아가 전력코드를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에 대응하는 전력코드로 재설정하고, S330단계를 재실행한다.
마지막으로, S370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이 현재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제어레벨과 같다고 판단된 경우, 도 4h와 같이 제어부(230)는 S330단계를 재실행한다. 즉 S330단계에 의하여 전력코드는 한 단계 감소할 것이며 다시 S360단계에 의하여 도 4i와 같이 전력코드는 한 단계 증가하여 최적화된 송신 전력이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제어방법을 GSM/CDMA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단말기에 적용한 최적의 적용례이다. 상기 제시한 전력제어방법에 따르면 GSM방식 호의 통화대기 상태에서의 효율적인 미세전력제어가 가능하며, 특히 GSM방식 호의 통화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송신 신호의 세기를 유지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여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CDMA 방식의 호 통화 중 GSM방식의 호가 통화대기 상태에서 GSM방식의 호 송신 신호의 세기를 최소한도로 유지하여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CDMA 방식 호의 통화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적용례에서는 CDMA방식 호의 통화 중 GSM방식 호의 통화 대기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의 GSM방식 호의 전력제어방법뿐만 아니라, GSM방식 호의 통화 중 CDMA방식 호의 통화 대기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도 GSM방식 호의 전력제어 방법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GSM방식 호의 통화 중 CDMA방식 호의 통화 대기 상태인 경우인 경우에도 GSM방식 호의 송신 신호의 세기를 최적화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대기 통화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력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순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할 경우 전력코드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제어방법을 적용한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적용례를 나타낸 순서도.

Claims (13)

  1.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단말기의 송출신호 전력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2 통신망과 통화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제 1 통신망과 통화대기서비스를 수행하며, 상기 제 1 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전력제어레벨을 수신하는 단계;
    송출신호의 전력코드를 상기 제1전력제어레벨에 대응하는 수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력코드를 한 단계 낮은 수치로 재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제1전력제어레벨을 재수신하면, 상기 재설정된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제어레벨과 상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력제어레벨이 상기 제 2 전력제어레벨보다 작지 않은 경우, 현재의 전력코드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전력제어레벨이 상기 제2전력제어레벨보다 작은 경우, 현재의 전력 코드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제어레벨은
    각 레벨 당 복수개의 전력코드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망은
    GSM 방식의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망은
    CDMA 방식의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전력코드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연속하여 실행한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1 호의 전력제어레벨에 대응하는 전력코드로 현재의 전력코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7.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단말기의 송출신호 전력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통신망과 통화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제 2 통신망과 통화대기서비스를 수행하며, 상기 제 1 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전력제어레벨을 수신하는 단계;
    송출신호의 전력코드를 상기 제1전력제어레벨에 대응하는 수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력코드를 한 단계 낮은 수치로 재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제1전력제어레벨을 재수신하면, 상기 재설정된 전력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전력제어레벨과 상기 재수신한 제 1 전력제어레벨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력제어레벨이 상기 제 2 전력제어레벨보다 작지 않은 경우, 현재의 전력코드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전력제어레벨이 상기 제 2 전력제어레벨보다 작은 경우, 현재의 전력코드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망은
    GSM 방식의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망은
    CDMA 방식의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10. 제1 통신망을 이용하여 호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부;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호를 송수신하는 제2 무선 통신부;
    전력제어레벨에 대응하는 전력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전력코드에 대응하여 송신 신호의 세기를 제어하고, 제1 무선 통신부 및 제2 무선 통신부가 동시에 호를 송수신 중인 경우, 상기 제1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제1전력제어레벨을 수신하면, 송출신호의 전력코드를 상기 제1전력제어레벨에 대응하는 수치로 설정하고, 상기 전력코드를 한 단계 낮은 수치로 재설정하고, 상기 제1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제1전력제어레벨을 재수신하면, 상기 재설정된 전력 코드에 대응하는 제2전력제어레벨과 상기 재수신한 제1전력제어레벨을 비교하고, 상기 제1전력제어레벨이 상기 제 2 전력제어레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재의 전력코드를 감소시키며, 상기 제 1 전력제어레벨이 상기 제 2 전력제어레벨보다 작은 경우 현재의 전력코드를 증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망은
    GSM 방식의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망은
    CDMA 방식의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의 전력코드가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연속하여 증가 시, 현재의 전력코드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1호의 전력제어레벨A에 대응하는 전력코드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
KR1020080044078A 2008-05-13 2008-05-13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39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078A KR101039622B1 (ko) 2008-05-13 2008-05-13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EP09158774A EP2120498A3 (en) 2008-05-13 2009-04-24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dual-standby mode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US12/431,343 US8160632B2 (en) 2008-05-13 2009-04-28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dual-standby mode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CN200910139376.XA CN101583179B (zh) 2008-05-13 2009-05-13 用于控制双待机模式移动终端中的功率的方法及其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078A KR101039622B1 (ko) 2008-05-13 2008-05-13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343A KR20090118343A (ko) 2009-11-18
KR101039622B1 true KR101039622B1 (ko) 2011-06-09

Family

ID=4095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078A KR101039622B1 (ko) 2008-05-13 2008-05-13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60632B2 (ko)
EP (1) EP2120498A3 (ko)
KR (1) KR101039622B1 (ko)
CN (1) CN1015831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6955A (zh) * 2012-07-12 2014-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ue及网络设备
JP5964792B2 (ja) * 2013-08-30 2016-08-03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端末、通信制御装置、及びプロセッサ
KR102194839B1 (ko) * 2014-04-10 202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전력 크기 조절 방법 및 전자 장치
US9609598B2 (en) * 2014-07-31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performance for user equipment
US10356817B2 (en) * 2016-07-12 2019-07-16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Listen before talk (LBT) in wireless communic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365B1 (ko) * 2003-07-01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에스엠 단말기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
KR100819882B1 (ko) * 2007-01-23 2008-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모드 듀얼 밴드 단말기의 대기 통화 방사 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9035B2 (en) * 2001-03-30 2006-06-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260764B2 (en) * 2002-11-26 2007-08-21 Qualcomm Incorporated Multi-channe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block cod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40120290A1 (en) * 2002-12-24 2004-06-24 Makhijani Mahesh A. Admission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1533915A1 (en) * 2003-11-20 2005-05-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method for adjus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ransmitter, and a device for the same
US20050136960A1 (en) * 2003-12-17 2005-06-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method
CN1809195A (zh) * 2005-09-12 2006-07-2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多模终端的多通信网络呼叫处理方法
KR100819294B1 (ko) * 2006-12-04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무선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365B1 (ko) * 2003-07-01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에스엠 단말기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
KR100819882B1 (ko) * 2007-01-23 2008-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모드 듀얼 밴드 단말기의 대기 통화 방사 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0498A2 (en) 2009-11-18
EP2120498A3 (en) 2009-12-23
US20090286576A1 (en) 2009-11-19
CN101583179A (zh) 2009-11-18
CN101583179B (zh) 2014-12-31
US8160632B2 (en) 2012-04-17
KR20090118343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7736C (en) Adjacent carrier frequency interference avoiding method for cellular system,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controller
TWI505564B (zh) 用於設定多重天線之方法及相關無線通訊裝置
US20070042799A1 (en) Auto adaptive technique to provide adequate coverage and mitigate RF interference
CN108347766B (zh) 一种上行移动性下的寻呼传输方法、通信站点及通信节点
CN103999511A (zh) 用于改善无线网络中的移动设备漫游的机制
WO20060163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p2p communication interference
US8649815B2 (en)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ystem
WO2020086209A1 (en) Dynamic power sharing for dual connectivity
JPH1032527A (ja) 無線基地局装置
CN104283595A (zh) 一种发射分集模式切换的控制方法、装置及电路
KR101039622B1 (ko) 듀얼 스탠바이 모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135228A (ko) 다중 무선 접속들을 위한 단일 안테나 공유
KR20160021260A (ko) 릴레이 구성 방법 및 디바이스
CN110492954B (zh) 一种基站控制方法、第一基站和第二基站
JP5367166B2 (ja) 移動通信端末
CN102307352A (zh) 相邻频段共存的方法、装置及终端
CN112911609A (zh) 一种有源室分系统的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871294B2 (en) Frequency band handover in dual-connectivity systems
KR101698898B1 (ko)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핸드오버 방법
KR101610050B1 (ko) 전력제어 기반의 d2d 통신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
KR20220129438A (ko) 복수의 안테나 모듈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1102357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ode control
JP5639716B2 (ja) 無線中継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中継装置を制御するプロセッサ
JPH1023502A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周波数帯使用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KR20220054303A (ko)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을 위한 다수의 동시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조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