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477B1 - 박음질이 가능한 led - Google Patents

박음질이 가능한 l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477B1
KR101039477B1 KR1020090072946A KR20090072946A KR101039477B1 KR 101039477 B1 KR101039477 B1 KR 101039477B1 KR 1020090072946 A KR1020090072946 A KR 1020090072946A KR 20090072946 A KR20090072946 A KR 20090072946A KR 101039477 B1 KR101039477 B1 KR 101039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source
coating
sew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301A (ko
Inventor
강종규
변승환
Original Assignee
대덕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덕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덕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2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4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음질이 가능한 LED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소자, 광원소자를 감싸 보호하는 피복 및 광원소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핀으로 이루어진 LED에 있어서, 피복의 하단에 매입형성되어 피복의 외부로 노출되는 박음부재를 포함하여, 노출된 박음부재에 봉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LED에 박음부재 또는 피복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LED 모듈을 부착할 수 없거나 접착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섬유소재 등에 봉제를 통해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가방 등에 LED를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야간식별이 가능해지고, 모자 등에 부착하여 야간산행과 야간운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현수막, 파라솔, 천막 등의 다양한 섬유제품 분야에 적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능성 의류, 잡화, 광고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LED, 발광다이오드, 광원소자, 박음질, 봉제, 기능성 의류

Description

박음질이 가능한 LED{LED to be able to be sewn}
본 발명은 박음질이 가능한 LED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ED에 박음부재 또는 피복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LED 모듈을 부착할 수 없거나 접착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섬유소재 등에 봉제를 통해 부착할 수 있는 박음질이 가능한 LED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국내외에서 제작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들은 전원을 공급하는 +/- 단자를 기판 또는 PCB( printed circuit board ) 필름기판에 꽂아 납땜으로 고정된다. 이렇게 기판 등에 납땜으로 고정된 LED는 사용하고자하는 장소에 접착제,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부착된다.
한편, 복수 개의 LED 모듈을 SMD(Surface Mount Devices) 타입으로 제조하는 경우, 복수 개의 LED 단자가 기판 등을 관통하여 이면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장소에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해야만 하는 한계가 있었다. 즉, 이러한 부착방식은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LED 모듈을 부착할 수 없거나 접착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섬유소재 등에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LED가 보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박음질이 가능한 LED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LED에 박음부재 또는 피복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LED 모듈을 부착할 수 없거나 접착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섬유소재 등에 봉제를 통해 부착할 수 있는 박음질이 가능한 LED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소자, 광원소자를 감싸 보호하는 피복 및 광원소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핀으로 이루어진 LED에 있어서, 피복의 하단에 매입형성되어 피복의 외부로 노출되는 박음부재를 포함하여, 노출된 박음부재에 봉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박음부재는 유연한 재질의 PCB 필름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광원소자, 광원소자를 감싸 보호하는 피복 및 광원소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핀으로 이루어진 LED에 있어서, 피복과 일체를 이루고, 피복의 외주 일측을 따라 돌출 형성된 피복 돌출부를 포함하여, 피복 돌출부에 봉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LED에 박음부재 또는 피복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LED 모듈을 부착할 수 없거나 접착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섬유소재 등에 봉제를 통해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가방 등에 LED를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야간식별이 가능해지고, 모자 등에 부착하여 야간산행과 야간운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현수막, 파라솔, 천막 등의 다양한 섬유제품 분야에 적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능성 의류, 잡화, 광고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또는 LED 모듈의 단자핀과 납땜으로 연결된 회로 기판은 피복 사이에 매입고정됨으로써 섬유소재의 세탁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회로 기판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음질이 가능한 LED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박음질이 가능한 LED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박음질이 가능한 LED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박음질이 가능한 LED(1)는 대략 광원소자(10), 피복(20), 단자핀(30) 및 박음부재(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광원소자(10), 피복(20) 및 단자핀(30)으로 이루어진 LED는 공지된 기술인바, 간단히 언급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박음부재(40)를 위주로 설명한다.
광원소자(10)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하는 것으로, 반도체로 제작된다.
그리고 피복(20)은 이러한 광원소자(1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발생된 빛을 용이하게 발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광원소자(10)를 감싸는 형태로 에폭시 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한다. 이때, 피복(2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핀(30)은 광원소자(10)에 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광원소자(10)와 연결되어 피복(20)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러한 단자핀(30)은 전기를 잘 전달하는 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도체로 형성하고, 2개의 단자핀(30) 중 어느 하나를 길게 형성하여 긴 쪽을 +극이 인가되도록 한다.
박음부재(40)는 섬유소재 등에 본 발명에 따른 LED(1)가 봉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피복(20)의 하단에 매입형성되어 피복(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박음부재(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피복(20)의 직경보다 큰 막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박음부재(40)를 피복(20)에 고정시키기 위해 피복(2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박음부재(40)가 단자핀(30)에 의해 관통되도록 한다. 그런 후 박음부재(40)가 피복(20) 사이에 매입되도록 피복(20)을 형성하여 박음부재(40)를 고정한다.
이러한 박음부재(40)를 피복(20)에 고정시키는 방식과 관련하여 다양한 방식 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박음부재(40)는 단자핀(30)과 접하는 피복(20)의 하단면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박음부재(40)에 삽입될 피복(20)의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피복(20)을 삽입한 후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 피복(20)의 외주를 따라 소정의 홈을 형성하고 박음부재(40)에는 소정의 홈에 대응하는 크기의 관통홀을 형성하여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박음부재(40)의 형상은 피복(20) 외부로 노출된 봉제선(50)을 따라 봉제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어떠한 형상으로도 변형 가능하다.
한편, 박음부재(40)의 재질은 섬유소재 등과 봉제가 이루어져 부착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무방하다. 하지만, 부착될 섬유소재와 동일한 소재를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1)는 간단한 박음부재(40)를 추가하는 구성을 통해 다양한 섬유제품 분야에 활용될 수 있어 기능성 의류, 잡화, 광고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원소자(10)를 복수 개 구비한 LED 모듈(2)에 박음부재(40)가 구비된 경우에 대하여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광원소자가 복수 개인 LED 모듈에 박음부재가 구비된 경우의 측단면도이고, 도 3b는 광원소자가 복수 개인 LED 모듈에 박음부재가 구비된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모듈(2)은 복수 개의 광원소 자(10), 피복(20), 단자핀(30) 및 박음부재(40)로 이루어진다.
이때, 광원소자(10) 및 단자핀(30)은 전술한 기재에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광원소자(10)가 복수 개로 구비된 경우, 피복(20)은 이러한 광원소자(10)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에폭시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한다. 이때에도, 피복(2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박음부재(40)는 피복(20)의 하단에 매입형성되어 피복(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박음부재(40)는 피복(20)의 크기보다 큰 막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박음부재(40)를 피복(20)에 고정시키기 위해 피복(2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박음부재(40)가 단자핀(30)에 의해 관통되도록 한다. 그런 후 박음부재(40)가 피복(20) 사이에 매입되도록 피복(20)을 형성하여 박음부재(40)를 고정한다. 이외의 박음부재(40)에 관한 기재는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이렇게 복수 개의 광원소자(10)가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광원소자(10)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배선이 프린팅된 회로 기판(미도시)에 단자핀(30)을 납땜으로 고정한다. 이때, 회로 기판은 박음부재(4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피복(20) 사이에 매입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 기판은 유연한 재질의 PCB 필름기판(45)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섬유소재인 의류나 잡화에 본 발명에 따른 LED 모듈(2)이 사용되는 경우, 착용자의 이질감을 줄이고 자연스러움을 연출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얇은 LED 모듈(2)의 구현을 위해 박음부재(40) 자체를 유연한 재질의 PCB 필름기판(45)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렇게 박음부재(4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대체된 유연한 재질의 PCB 필름기판(45)은 그 가장자리를 배선이 프린팅 되지 않은 절연된 필름으로 확장 형성하여 피복(20)의 크기보다 크게 한다. 이렇게 확장 형성되어 피복(20)의 외부로 노출된 절연 필름상의 봉제선(50)을 따라 봉제가 이루어진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박음질이 가능한 LED의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박음질이 가능한 LED(1)는 대략 광원소자(10), 피복(20), 단자핀(30) 및 피복 돌출부(25)로 이루어진다. 이때, 광원소자(10), 피복(20) 및 단자핀(30)에 대하여는 전술한 기재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피복 돌출부(25)는 섬유소재 등에 본 발명에 따른 LED(1)가 봉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피복(20)의 외주 일측을 따라 돌출 형성하여 피복(20)과 일체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피복 돌출부(25) 상에 봉제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피복 돌출부(25)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한편, 피복 돌출부(25)의 재질은 피복(20)과 동일한 에폭시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피복(20)과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착용자의 이질감을 줄이고 자연스러움을 연출하기 위해 피복(20)과 다른 재질인 연질의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LED(1)는 단순히 피복 돌 출부(25)를 피복(20)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섬유제품 분야에 적용할 수 있어 기능성 의류, 잡화, 광고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원소자(10)를 복수 개 구비한 LED 모듈(2)에 피복 돌출부(25)가 구비된 경우에 대하여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광원소자가 복수 개인 LED 모듈에 피복 돌출부가 구비된 경우의 측단면도이고, 도 5b는 광원소자가 복수 개인 LED 모듈에 피복 돌출부가 구비된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 LED 모듈(2)은 복수 개의 광원소자(10), 피복(20), 단자핀(30) 및 피복 돌출부(25)로 이루어진다.
이때, 광원소자(10) 및 단자핀(30)은 전술한 기재에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광원소자(10)가 복수 개로 구비된 경우, 피복(20)은 이러한 광원소자(10)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에폭시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한다. 이때에도, 피복(2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피복 돌출부(25)는 피복(20)의 외주 일측을 따라 돌출 형성하여 피복(20)과 일체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피복 돌출부(25) 상에 봉제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피복 돌출부(25)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가능함은 마찬가지다. 이외의 피복 돌출부(25)에 관한 기재는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이렇게 복수 개의 광원소자(10)가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광원소자(10)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배선이 프린팅된 회로 기판(미도시)에 단자핀(30)을 납땜으로 고정한다. 이때, 회로 기판은 피복 돌출부(25)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피복(2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 기판은 유연한 재질의 PCB 필름기판(45)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섬유소재인 의류나 잡화에 본 발명에 따른 LED 모듈(2)이 사용되는 경우, 착용자의 이질감을 줄이고 자연스러움을 연출하기 위함이다. 이외의 피복 돌출부(25)에 관한 기재는 전술한 바와 같다.
<작용 및 사용양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박음질이 가능한 LED(1)는 박음부재(40)와 피복 돌출부(25)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섬유소재 등에 봉제를 통해 부착이 가능하다. 이때, 섬유소재 등에 본 발명에 따른 LED(1)를 부착하기 위해서 섬유소재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섬유소재 후면을 통해 피복(20) 부분만이 섬유소재 전면을 향하도록 관통홀에 삽입한다. 그런 후 박음부재(40) 또는 피복 돌출부(25) 상에 봉제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LED(1)를 섬유소재 등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섬유소재 전면에 본 발명에 따른 LED(1)를 위치시킨 후 박음부재(40) 또는 피복 돌출부(25) 상에 봉제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LED(1)를 섬유소재 등에 부착할 수 있다.
이렇게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LED(1) 또는 LED 모듈(2)의 단자핀(30)과 납땜으로 연결된 회로 기판은 피복(20) 사이에 매입고정됨으로써 섬유소재의 세탁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회로 기판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LED(1) 또는 LED 모듈(2)에 전원을 제공하고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수단과 직렬전원이 구비된다. 이렇게 구비된 제어수단은 각 LED(1)에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광원소자(10)의 점멸, 광원의 세기, 광원 색채의 변 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다양한 용도로 LED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가방, 의류 등에 LED를 부착하는 경우, 야간식별이 가능해지고, 모자 등에 부착하여 야간산행과 야간운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현수막, 파라솔, 천막 등의 다양한 섬유제품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기능성 의류, 잡화, 광고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박음질이 가능한 LED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박음질이 가능한 LED의 정면도.
도 3a는 광원소자가 복수 개인 LED 모듈에 박음부재가 구비된 경우의 측단면도.
도 3b는 광원소자가 복수 개인 LED 모듈에 박음부재가 구비된 경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박음질이 가능한 LED의 측단면도.
도 5a는 광원소자가 복수 개인 LED 모듈에 피복 돌출부가 구비된 경우의 측단면도.
도 5b는 광원소자가 복수 개인 LED 모듈에 피복 돌출부가 구비된 경우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박음질이 가능한 LED
2: LED 모듈
10: 광원소자
20: 피복
25: 피복 돌출부
30: 단자핀
40: 박음부재
45: 유연한 재질의 PCB 필름기판
50: 봉제선

Claims (3)

  1. 적어도 하나의 광원소자, 상기 광원소자를 감싸 보호하는 피복 및 상기 광원소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핀으로 이루어진 LED에 있어서,
    상기 피복의 하단에 매입형성되어 상기 피복의 외부로 노출되는 박음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노출된 박음부재에 봉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이 가능한 LED.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음부재는 유연한 재질의 PCB 필름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이 가능한 LED.
  3. 적어도 하나의 광원소자, 상기 광원소자를 감싸 보호하는 피복 및 상기 광원소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핀으로 이루어진 LED에 있어서,
    상기 피복과 일체를 이루고, 상기 피복의 외주 일측을 따라 돌출 형성된 피복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피복 돌출부에 봉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이 가능한 LED.
KR1020090072946A 2009-08-07 2009-08-07 박음질이 가능한 led KR101039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946A KR101039477B1 (ko) 2009-08-07 2009-08-07 박음질이 가능한 l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946A KR101039477B1 (ko) 2009-08-07 2009-08-07 박음질이 가능한 l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301A KR20110015301A (ko) 2011-02-15
KR101039477B1 true KR101039477B1 (ko) 2011-06-07

Family

ID=4377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946A KR101039477B1 (ko) 2009-08-07 2009-08-07 박음질이 가능한 l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4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2530A (ja) 1997-02-25 1998-09-11 Ryoji Wada 再帰光輝反射機能付発光体
KR19980064498U (ko) * 1997-04-29 1998-11-25 정영희 발광부를 구비한 모자
KR200268871Y1 (ko) 2001-12-12 2002-03-16 홍승준 안전조끼용 발광장치
KR20020068871A (ko) * 2001-02-23 2002-08-28 정재덕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회전드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2530A (ja) 1997-02-25 1998-09-11 Ryoji Wada 再帰光輝反射機能付発光体
KR19980064498U (ko) * 1997-04-29 1998-11-25 정영희 발광부를 구비한 모자
KR20020068871A (ko) * 2001-02-23 2002-08-28 정재덕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회전드럼장치
KR200268871Y1 (ko) 2001-12-12 2002-03-16 홍승준 안전조끼용 발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301A (ko)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8417B1 (en) Linear light-emitting module and textile product having the same
KR101345353B1 (ko) 전자 부품들을 위한 서브마운트 및 설비
US20180153033A1 (en) Flexible wiring board, electronic device, and fiber product
KR101549414B1 (ko) 전자 섬유에 부착하기 위한 전자 기기 조립체, 및 이러한 전자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US9826633B2 (en) Electrically conducting textile device
US20110119812A1 (en) Fabric constructions with sensory transducers
JP5653840B2 (ja) 電子ボタン及び発光ダイオードボタンモジュール
US8047681B2 (en) Flexible light emitting array
US1086797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display device
US6672738B1 (en) Decorative ornament
US9506643B1 (en) LED lighting module with light effect material
KR101039477B1 (ko) 박음질이 가능한 led
US10772197B2 (en) Electronically functional yarn
US10976014B1 (en) Flexible object with decorative light
US9445641B1 (en) LED lighting module
US11296265B2 (en) Radiation-emit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
US9863615B2 (en) Insertable lighting module with light effect material
JP2007522832A (ja) 発光体を有する開閉メカニズム、及びそのような開閉メカニズムの製造方法
US11091855B2 (en) Electronically functional yarn and textile
KR102582383B1 (ko) Led 텍스타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광조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FI115424B (fi) Järjestelmä galvaanisen yhteyden aikaansaamiseksi ja kappaleiden kiinnittämiseksi
KR101309759B1 (ko) 채널레터용 발광소자 패키지
JP2021018844A (ja) 電飾用テープ
Hesse et al. 78‐1: Invited Paper: Application of OLED Area Light in Textiles: Approaches, Challenges, Limitations, and Perspectives
KR101877115B1 (ko) 전도성 섬유회로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