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800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800B1
KR101038800B1 KR1020090062206A KR20090062206A KR101038800B1 KR 101038800 B1 KR101038800 B1 KR 101038800B1 KR 1020090062206 A KR1020090062206 A KR 1020090062206A KR 20090062206 A KR20090062206 A KR 20090062206A KR 101038800 B1 KR101038800 B1 KR 101038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camera module
curved surface
hous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659A (ko
Inventor
이재훈
정호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2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8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Abstract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구비하며, 하단면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렌즈와 동일한 광축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기판(PCB)과,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덮도록 상기 기판상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상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센서부가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에 구비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은 곡면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과 대면하는 내측면이 상기 하우징과 대응되는 구조의 곡면을 이루어 상기 센서부가 상기 곡면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 모듈, 이미지 센서, 틸트 보정, 구(sphere)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휴대단말기 등에 장착되어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 및 디지털 정보 처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 처리 및 연산, 통신, 화상 정보 입출력 등 다양한 기능이 집적된 휴대용 단말기 기술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 기능이 장착된 PDA,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휴대 전화, 개인 휴대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personal multi-media player)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 기술 및 정보 저장 능력의 발달로 인하여 높은 사양의 디지털 카메라 모듈(digital camera module)이 개인휴대단말기 등에 장착되는 것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소비자의 성능 향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오토포커 싱(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라서 그 크기가 점자 작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개인휴대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가적인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이 개인휴대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카메라 모듈을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은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유닛과 결합하여 상기 기판상에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상기 렌즈로 입사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렌즈와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터(image center)가 일치하도록 동일한 광축상에 배치되어야 하며, 광축과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 사이에는 틸트(tilt)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통상 이미지 센서를 고정시키는 접착제에 의해 기판과의 사이에 틸트가 발생하거나 상기 기판을 렌즈 유닛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틸트가 발생하며, 기판의 위치를 조정하여 이러한 틸트를 보정하게 된다.
이 경우, 이미지 센터가 변화하여 광축과 어긋나거나, 결상면의 위치가 변화하여 포커싱이 틀어져 원하지 않는 영상을 출력하여 품질불량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렌즈 유닛과 기판을 결합하는데 있어 기판의 위치조정을 통한 이미지 센서의 틸트를 보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센터 및 결상면 위치가 변화하는 문제를 개선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판의 위치조정을 통한 이미지 센서의 틸트 보정시 이미지 센서의 센터와 결상면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구비하며, 하단면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렌즈와 동일한 광축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기판(PCB)과,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덮도록 상기 기판상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상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센서부가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에 구비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은 곡면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과 대면하는 내측면이 상기 하우징과 대응되는 구조의 곡면을 이루어 상기 센서부가 상기 곡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구(sphere)의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센터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상의 구의 곡면을 따라 움직이며 틸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구의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구의 곡률반경 보다 큰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센서부가 상기 수용부 내에서 곡면을 따라 움직이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을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의 틸트 보정시 결상면의 센터가 광축과 일치하는 위치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어 광축과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아 출력되는 이미지의 해상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서 틸트 보정 후 별도의 포커싱 작업이 불필요하며,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제조공정이 보다 간소화됨은 물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실시예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도면을 참조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에서 본체부의 수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며,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에서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에서 센서부가 수용부 내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본체부(10), 센서부(20), 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추며, 하나 이상의 렌즈(L)가 광축(O)을 따라 배열되는 중공형의 구조로 플라스틱 혹은 수지와 같은 절연물질을 사출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 내에 구비되는 상기 렌즈(L)는 미도시된 프리즘 또는 반사거울 등을 통해 경로가 변경된 피사체의 이미지 광을 상기 센서부(20)측으로 집광시키도록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렌즈(L)는 미도시된 렌즈배럴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렌즈배럴이 광축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자동초점조절(Auto Focus) 및 줌(Auto Zoom)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측에 이동가능하도록 조립되는데, 상기 렌즈배럴을 이동시키기 위한 미도시된 액추에이터(Actu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되는 전기장과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서로 쇄교하며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렌즈의 이동을 실현하는 마그네트와 코일을 이용한 VCM(Voice Coil Motor), 전원을 인가시 압전체의 변형에 의해 렌즈의 이동을 실현하는 압전체를 이용한 피에조 액추에이터(Piezo Actuator)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상기 렌즈(L)를 통과한 빛에서 적외선을 필터링할 수 있는 IR 필터(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부(10)의 하단면에는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용부(11)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부(11)는 상기 본체부(10)의 하단면과 단차를 이루는 리세스(recess) 구조로 형성되며, 추후 설명하는 상기 센서부(20)를 내부에 수용한다.
특히 상기 수용부(11)는 그 중심부가 상기 렌즈(L)와 동일한 광축(O)상에 놓이도록 상기 렌즈(L)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1) 내에 수용되는 상기 센서부(20)의 이미지 센서(21)가 상기 렌즈(L)의 광축(O)을 따라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수용부(11)의 바닥면에는 소정 크기의 관통홀(through hole)(1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렌즈(L)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이 상기 관통홀(12)을 통과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21)로 진행한다.
상기 관통홀(12)에는 외부 이물이 상기 본체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투명 글라스 또는 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는 이미지 센서(21), 기판(PCB)(22) 그리고 하우징(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21)는 상기 렌즈(L)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을 결상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결상면(21a)을 구비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촬상 소자이다.
상기 이미지 센서(21)는 상기 기판(22)상에 실장되며, 와이어 본딩 또는 플립칩 본딩 방식으로 상기 기판(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 센서(21)는 상기 렌즈(L)와 동일한 광축(O)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22)은 FPCB상에 접합된 RPCB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FPCB는 카메라 혹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미도시) 등과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23)은 상기 이미지 센서(21)를 덮도록 상기 기판(22)상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이미지 센서(21)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하우징(23)은 개방된 윈도우(24)를 관통형성하여 상기 렌즈(L)를 통해 입사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윈도우(24)에는 투명 글라스(미도시)를 구비하여 외부 이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투명 글라스에는 적외선을 필터링할 수 있는 IR 필터(미도시)가 추가로 코팅되거나 박막 상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글라스 자체를 IR 필터로 하여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23)의 외측면은 상기 이미지 센서(21)의 센터(C)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구(sphere)의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도 3(a)에서와 같이, 상기 구는 상기 하우징(23)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이미지 센서(21)의 결상면(21a)의 센터(C)를 중심점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23)의 외측면까지의 길이에 상당하는 곡률반경(r)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23)은 그 외측면이 두께방향으로 상기 구의 곡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11)는 상기 하우징(23)과 대면하는 내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곡면을 이루어 상기 센서부(20)가 상기 곡면을 따라 움직이도록 한다.
즉, 도 2 및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수용부(11)의 내측면은 상기 이미지 센서(21)의 센터(C)를 중심으로 하는 또 다른 가상의 구의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가상의 구는 상기 하우징(23)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구의 곡률반경(r)보다 큰 곡률반경(R)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1) 내에 수용되는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하우징(23)의 외측면이 상기 수용부(11)의 내측면과 대면하여 상기 가상의 구의 곡면을 따라 움직이며 상기 이미지 센서(21)의 센터(C)를 중심으로 틸팅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본체부(10)와 같이 플라스틱 혹은 수지등의 절연물질을 사출성형하여 형성되는 플레이트 부재이다.
상기 프레임(30)의 상부면에는 상기 센서부(20)가 접착제(미도시)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센서부(20)가 상기 수용부(11)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하단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10)의 하단면에 단부가 체 결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31)를 통해 상기 프레임(30)을 상기 본체부(10)의 하단면에 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본체부(10)의 하단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즉, 도 5(a) 및 도 5(b)에서처럼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결합부재(3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본체부(10)의 하단면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결합부재(31)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부(10)의 하단면에 대한 상기 결합부재(31)의 상대길이 변화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30)과 상기 하단면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을 통한 본체부(10)와의 이격거리 조절을 통해 상기 센서부(20)의 이미지 센서(21)가 초점거리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1) 내에서의 상기 센서부(20)의 위치를 조절하여 배치하는 한편, 상기 센서부(20)가 수용부(11) 내에서 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광축(O)과 이미지 센서(21) 사이에서 발생하는 틸트(tilt)를 보정한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프레임(30)의 두께보다 긴 길이의 핀(pin)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본체부(10)의 하단면과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하단면에 대한 상대길이가 변화되므로 단순한 나사조임 방식에 의해 길이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중심부에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21)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30)의 양측 테두리측에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21)를 기준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결합부재(31)의 개수는 비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21)의 좌측에 2개의 결합부재(31)가 구비되면, 우측에는 1개의 결합부재(31)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구조를 이루며, 각 결합부재(31)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각 결합부재(31)가 위치하는 지점에서의 상기 프레임(30)의 상기 본체부(10) 하단면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수용부(11) 내에서 하우징(23)의 외측면과 접하는 상기 수용부(11)의 내측면의 곡면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특히, 상기 이미지 센서(21)의 센터(C)를 중심점으로 하여 상기 구의 곡면을 따라서 3차원적으로 틸팅하게 되므로, 비록 상기 센서부(20)가 상기 수용부(11) 내에서 이동하더라도 그 중심점인 이미지 센서(21)의 센터(C)는 항상 광축(O)과 일치하는 위치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어 광축(O)과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다(도 4 참조).
또한, 결상면(21a)도 항상 초점거리와 일치하는 위치에서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틸트 보정에 따른 센서부(20)의 이동 후에도 별도의 포커싱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10)의 하단면과 상기 프레임(30) 사이에는 탄성부재(32)를 배치하여 상기 프레임(30)이 상기 본체부(10)의 하단면과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상기 탄성부재(32)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판 스프링 등과 같이 압축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이미지 센서의 틸트 보정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이미지 센서의 틸트 보정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21)를 내부에 구비하는 센서부(20)는 프레임(30) 상에 고정되고, 결합부재(31)를 통해 상기 프레임(30)이 본체부(10)의 하단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수용부(11)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31)를 통해 상기 프레임(30)과 본체부(10)의 하단면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센서(21)의 결상면(21a)을 초점거리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도면에서처럼 이미지 센서(21)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기판(22)상에 실장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21)의 결상면(21a)과 광축(O) 사이에는 틸트가 발생하지 않아 상기 결상면(21a)의 센터(C)는 광축(O)을 따라 초점거리와 일치하는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미도시) 화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품질의 영상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이미지 센서(21)의 초점 확인 및 틸트의 발생여부 등은 화상 이미지 분석을 통해 이상유무를 판별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카메라 모듈을 완성한다.
한편, 도 6(b)에서와 같이 이미지 센서(21)를 기판(22)상에 실장하는데 있어 접착제(B)가 균일하게 도포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21)는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결상면(21a)의 센터(C)가 광축(O)과 어긋나게 된다.
즉, 상기 이미지 센서(21)에 틸트가 발생하여 결상면(21a)의 센터(C)가 광축(O)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게 되면, 빛은 상기 결상면(21a)으로 비스듬히 입사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21)와 기판(22) 사이에 틸트가 발생한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판(22) 및 프레임(30) 사이에도 틸트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30)과 본체부(10)의 하단면 사이에서도 틸트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6(c)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30)의 이격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센서부(20)를 이동시켜 상기 이미지 센서(21)의 틸트를 보정한다.
도면에서처럼 광축(O)을 기준으로 이미지 센서(21)의 좌측면이 수평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경우 본체부(10)의 하단면에 대한 프레임(30)의 좌측면 이격거리를 늘리거나, 또는 우측면 이격거리를 줄이거나, 또는 좌측면 이격거리를 늘리면서 우측면 이격거리를 줄이는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30)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수용부(11) 내에서 하우징(23)의 외측면과 접하는 상기 수용부(11)의 내측면의 곡면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하듯 움직이게 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21)는 수평상태에 놓이게 되어 결상면(21a)의 센터(C)와 광축(O)이 어긋남없이 일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이미지 센서(21)의 센터(C)를 중심점으로 하여 상기 구의 곡면을 따라서 3차원적으로 틸팅하게 되므로, 상기 센서부(20)가 상기 수용부(11) 내에서 이동하더라도 그 중심점인 이미지 센서(21)의 센터(C)는 항상 광축(O)과 일치하는 위치를 유지하면서 결상면(21a)의 위치 또한 초점거리와 일치하는 위치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프레임(30)의 이격거리 조정에 따른 틸트 보정 완료는 화상 이미지 분석을 통해 확인하며, 상기 결합부재(31)와 프레임(30)을 에폭시 수지 본딩을 통해 완전히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임(30)의 이격거리가 더이상 조절되지 못하도록 하여 틸트 보정이 완료된 카메라 모듈을 제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에서 본체부의 수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에서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에서 센서부가 수용부 내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센서부가 이미지 센서의 센터를 중심점으로 구좌표를 따라 3차원적으로 틸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에서 프레임과 본체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이미지 센서의 틸트 보정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부 L....... 렌즈
20..... 센서부 30...... 프레임

Claims (7)

  1. 렌즈를 구비하며, 하단면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렌즈와 동일한 광축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기판과,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덮도록 상기 기판상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상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센서부가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에 구비되는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은 곡면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과 대면하는 내측면이 상기 하우징과 대응되는 구조의 곡면을 이루어 상기 센서부가 상기 곡면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구(sphere)의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센터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상의 구의 곡면을 따라 움직이며 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구의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구의 곡률반경 보다 큰 곡률반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센서부가 상기 수용부 내에서 곡면을 따라 움직이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90062206A 2009-07-08 2009-07-08 카메라 모듈 KR101038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206A KR101038800B1 (ko) 2009-07-08 2009-07-08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206A KR101038800B1 (ko) 2009-07-08 2009-07-08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659A KR20110004659A (ko) 2011-01-14
KR101038800B1 true KR101038800B1 (ko) 2011-06-03

Family

ID=4361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206A KR101038800B1 (ko) 2009-07-08 2009-07-08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8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4762A (ja) 1996-11-25 1998-06-09 Sony Corp 固体撮像装置用の中空パッケージ
JP2001218102A (ja) 2000-02-04 2001-08-10 Casio Comput Co Ltd 撮像素子の傾き調整装置
KR20050033495A (ko) * 2003-10-06 2005-04-12 가부시키가이샤 타무론 촬상 장치
JP2008116739A (ja) 2006-11-06 2008-05-22 Nikon Corp 撮像部保持ユニット、レンズ鏡筒、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4762A (ja) 1996-11-25 1998-06-09 Sony Corp 固体撮像装置用の中空パッケージ
JP2001218102A (ja) 2000-02-04 2001-08-10 Casio Comput Co Ltd 撮像素子の傾き調整装置
KR20050033495A (ko) * 2003-10-06 2005-04-12 가부시키가이샤 타무론 촬상 장치
JP2008116739A (ja) 2006-11-06 2008-05-22 Nikon Corp 撮像部保持ユニット、レンズ鏡筒、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659A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657B2 (en) Camera module having a slim overall structure and portable device comprising same
US9491364B2 (en) Camera module
US11048307B2 (en) Dual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661196B2 (en) Camera module
KR102217098B1 (ko) 카메라 모듈
US11809013B2 (en) Optical system
WO2016067731A1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11740429B2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20160187613A1 (en) Camera module
US11650394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150006785A (ko) 카메라 모듈
KR20190106145A (ko)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TWI726766B (zh) 相機模組與電子裝置
KR20180076165A (ko) 카메라 모듈
JP2013076944A (ja) 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電子機器および駆動装置の製造方法
US10914912B2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298454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07443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1038792B1 (ko) 카메라 모듈
KR101038800B1 (ko) 카메라 모듈
CN114114595A (zh) 一种镜头模组、摄像模组及终端
KR20190031804A (ko) 카메라 모듈
KR102652018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10057634A (ko) 렌즈 조립체 및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