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922B1 -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922B1
KR101037922B1 KR1020090023867A KR20090023867A KR101037922B1 KR 101037922 B1 KR101037922 B1 KR 101037922B1 KR 1020090023867 A KR1020090023867 A KR 1020090023867A KR 20090023867 A KR20090023867 A KR 20090023867A KR 101037922 B1 KR101037922 B1 KR 101037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oad data
base station
vehicle terminal
information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086A (ko
Inventor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이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근 filed Critical 이상근
Publication of KR2010009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etermining packet size, e.g. maximum transfer unit [M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센터장치와, 다수의 기지국, 다수의 차량단말을 포함하는 교통정보시스템에서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각 기지국에서 각 차량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지국은 센터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차량단말이 요청하거나, 상기 차량단말이 접속하면 상기 차량단말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가지고 있지 않으면,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할패킷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다중 전송한다. 차량단말은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들을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들을 모두 수신하지 못한 채 제2 기지국에 접속하면, 제2 기지국에 다운로드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지 못한 분할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분할패킷을 결합하여 전체 다운로드 데이터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용량이 큰 다운로드 데이터라도 차량단말이 이동 중에 여러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나누어 수신할 수 있다.
교통정보시스템, 차량단말, 분할, 다중 전송, 패킷

Description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 A download data broadcasting method for the traffic information system by dividing and sending data and the system }
본 발명은 센터장치와, 다수의 기지국, 다수의 차량단말을 포함하는 교통정보시스템에서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각 기지국에서 각 차량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정보시스템은 도시 내의 가로구간으로부터 교통정보 등을 수집하고 가공하여 배포하는 도시지역 교통정보체계를 말한다. 교통정보에 대한 운전자의 요구가 증대하면서 교통정보의 제공은 교통시설의 효율적인 운영 및 교통수요 분산 등 교통수단 및 교통체계의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뿐만 아니라 교통수요관리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교통정보서비스는 운전자에게 교통소통정보나 교통관련지식을 사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한다. 즉, 교통정보서비스는 운전자에게 도로정체 상황, 공사, 사고 및 통제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상황에 따라 우회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교통정보서비스는 교통량 분산 효과에 따른 교통소통 증진과 최적경로 선택에 의한 여행시간 감소 및 사고 등 위험상황의 사전숙지에 따른 사고예방 등으로 직간접 손실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교통정보는 일부 제한된 지역에 설치된 검지기, CCTV 등을 통해 수집됨으로써 분석 및 입력 등의 절차로 다소 시간이 지난 뒤 제공하고 있어 모든 시민의 교통정보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통 안전관리, 재해, 재난 등 돌발상황 관리에 활용하기에 미흡한 면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로에 대한 교통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교통정보시스템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교통정보시스템은 차량단말 - 기지국 - 센터장치로 구성된다. 차량단말과 기지국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차량에 탑재된 차량단말이 고속으로 이동하여도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기지국은 특정한 위치에만 설치되므로 차량이 주행하는 모든 범위를 커버하지 못한다. 따라서 차량은 주행 중에 하나의 기지국의 통신영역에 진입하였다가 일정시간 동안 그 통신영역 내에 있다가 빠져 나온다. 특히 빠른 속도로 그 기지국 통신영역을 질주하여 지나가면 아주 짧은 시간동안만 차량단말과 기지국이 접속되어 연결된다.
차량이 이 기지국을 진출하면 한동안 어떤 기지국의 통신영역에 들어가지 않고 주행할 수도 있다. 차량이 계속 주행하면 다른 기지국의 통신영역에 들어가게 되고 다시 접속하여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단말이 주행 중에 간헐적으로 기지국을 만나 통신을 하게 되면 차량단말은 필요한 데이터를 하나의 기지국에서 모두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아진다. 특히, 펌웨어 등 용량이 그리 작지 않은 데이터를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한 번에 전송받기는 쉽지 않는다. 또, 펌웨어 등 데이터는 모두 전송을 받아야만 이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차량이 짧은 시간동안 다수의 기지국을 간헐적으로 접속하는 상황에서 비교적 용량이 크고 전체 파일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펌웨어 등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센터장치와, 다수의 기지국, 다수의 차량단말을 포함하는 교통정보시스템에서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각 기지국에서 각 차량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할패킷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다중 전송하면, 분할패킷을 나누어 여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분할패킷을 결합하여 전체 다운로드 데이터로 결합하는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센터장치와, 적어도 2개 이상의 기지국, 적어도 2개 이상의 차량단말을 포함하는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각 기지국은 상기 센터장치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제1 기지국은 제1 차량단말이 접속하면 제1 차량단말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제1 차량단말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할패킷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다중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제1 차량단말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들을 모두 수신하지 못한 채 제2 기지국에 접속하면, 제2 기지국에 다운로드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분할패킷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다중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제1 차량단말은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모두 수신하면 수신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센터장치로부터 다운로드 데이터를 차량단말에 전송하라는 지시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 또는 (e)단계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기지국은 다른 차량단말에 의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이면 전송중인 다운로드 데이터의 다중 전 송을 지속하고, 다른 차량단말에 의해 전송중인 다운로드 데이터가 없으면 다운로드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 또는 (e)단계에서,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제2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패킷을 요구전송 인터벌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다중 전송하고,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모두 전송하면 다시 처음부터 분할패킷을 다중 전송하되,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반복 전송은 기대전송횟수 이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c)단계이후, 상기 제1 차량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있고,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차량단말의 요청에 의한 다운로드 데이터의 전송을 완료하였으나, 상기 제1 차량단말이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모두 수신하지 못한 경우, (g) 상기 제1 차량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수신하지 못한 분할패킷들을 개별적으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와, (h) 상기 제1 기지국은 개별 요청된 분할패킷을 상기 제1 차량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는 제1 차량단말의 펌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제1 기지국은 제1 차량단말로부터 펌웨어 버전을 수신하고 펌웨어 버전이 최신 버전이 아니면 최신 펌웨어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운로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센터장치와, 적어도 2개 이상의 기지국, 적어도 2개 이상의 차량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센터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차량단말이 요청하거나, 상기 차량단말이 접속하면 상기 차량단말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할패킷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다중 전송하고, 상기 차량단말은,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들을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들을 모두 수신하지 못한 채 제2 기지국에 접속하면, 제2 기지국에 다운로드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지 못한 나머지 분할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분할패킷을 결합하여 전체 다운로드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으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수신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교통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제1 차량단말에 다운로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제2 차량단말에 의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이면 전송중인 다운로드 데이터의 다중 전송을 지속하고, 제2 차량단말에 의해 전송중인 다운로드 데이터가 없으면 다운로드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교통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패킷을 요구전송 인터벌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다중 전송하고,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모두 전송하면 다시 처음부터 분할패킷을 다중 전송하되,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반복 전송은 기대전송횟수 이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교통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단말은, 제1 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있고,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차량단말의 요청에 의한 다운로드 데이터의 전송을 완료하였으나,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모두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수신하지 못한 분할패킷들을 개별적으로 전송할 것을 제1 기지국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교통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는 차량단말의 펌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용량이 큰 다운로드 데이터라도 차량단말이 이동 중에 여러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나누어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모든 차량단말이 공통적으로 수신하여야 할 다운로드 데이터를 다중전송 방 식으로 한 번에 전송함으로써, 무선통신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통정보시스템은 크게 센터장치(100), 기지국(200), 차량단말(300)로 구성된다.
센터장치(100)는 차량단말(300) 또는 기지국(200)간의 실시간 통신을 통하여 차량의 위치, 속도 등 운행정보 및 상황정보를 수신하여 취합하고, 취합된 각 차량의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도로의 소통정보 등을 생성한다. 센터장치(100)는 생성된 소통정보 등을 기지국(200) 또는 차량단말(300)에 전송한다. 소통정보 등은 도로의 예상통과시간 이외에도 돌발상황정보, 기상정보 등이 있다.
기지국(200)은 교차로, 도로변, CCTV지주 및 관련 시설물에 설치되어, 차량단말(300) 및 센터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비이다. 기지국(200)은 차량(10)이 인터넷과 연결하기 위한 무선통신망(20)을 제공한다. 기지국(200)은 접속 되는 차량단말(300)로부터 축적된 운행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운행정보를 센터장치(100)로 전송한다. 한편, 기지국(200)에는 CCTV 등 현장장치가 구비되어 현장장치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예를 들면 CCTV영상 등)도 함께 센터장치(100)로 전송한다.
기지국(200)은 센터장치(100)와 인터넷(50)을 통해 연결된다. 이들 간의 통신망은 광통신기반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고용량의 고속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센터장치(100)와 기지국(200) 간의 유선구간은 수요처의 설계방침에 따라 광통신 이외의 대안이 사용될 수 있다.
차량단말(On Board Equipment, 300)은 차량(10) 내에 설치되어 무선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이다. 차량단말(300)은 무선랜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차량단말(300)은 GPS(60)로부터 주기적으로 위치 및 속도 정보를 얻어, 차량(10)의 이동경로에 따른 운행정보를 축적하고 기지국(200)에 접속이 이루어질 경우 축적된 운행정보를 기지국(200)에 전송한다. 또, 차량단말(300)은 접속된 기지국(200)로부터 전송되는 소통정보 및 인근 CCTV 화면 등의 정보를 수신한다.
차량단말(300)은 IEEE 802.11a/e를 근간으로 하는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기지국 또는 기지국(200)과 통신한다. 특히, 차량단말(300)을 탑재하는 차량(10)은 빠른 속도로 주행하므로, 차량단말(300)과 기지국(200)간의 무선통신은 이동환경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단말(300)은 기지국(200)과 빨리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 를 송수신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교통정보시스템에서는 무선랜 시스템을 통해, 차량(10) 내에 설치된 차량단말(300)이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기지국(200)을 통해 센터장치(100)로 전송한다. 센터장치(100)는 각 차량(10)의 운행정보를 취합하여 소통정보 등을 만들어 각 기지국(200)로 전송하면, 차량단말(300)은 전체 소통정보 등을 기지국(200)을 통해 수신한다. 이를 통해, 각 차량(1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교통정보가 수집되고 배분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관련정보를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통관련정보(500)는 수집정보(510), 하향정보(520), 개별정보(530)의 세 항목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항목이 요구하는 트랜잭션 과정은 다르다.
수집정보(510)는 기지국(200)과 교신에 성공하여 접속한 후 차량단말(300)에 축적된 정보를 일괄 업로드 하는 정보항목이다. 하향정보(520)는 반대로 센터장치(100)에서 다중전송(multicast) 요청되는 갖가지 정보테이블이 모든 차량단말(300)에 대해 단방향으로 하향 전송되는 정보항목이다. 개별정보(530)는 각 차량단말(300)과 센터장치(100)간에 개별적으로 요청하여 이에 대해 서비스해주는 개별정보서비스가 가능한 정보항목들이다.
수집정보(510)는 GPS를 장착한 차량단말(300)에서 생성 및 가공된 주행정보, 예를 들면 구간별 통과시간 등을 기지국(200)으로 전송하는 상향정보를 의미한다. 수집정보(510)는 접속하는 현재위치정보(511), 차량단말 상태정보(512), 주행정보리스트(513)를 포함한다.
현재위치정보(511)는 차량단말(300)이 기지국(200)과 접속을 하여 링크를 형성한 시점의 시간(시, 분, 초)과 위치(GPS의 경도(E) 좌표, 위도(N) 좌표)로 구성된다. 차량단말 상태정보(512)는 차량단말(300)의 펌웨어버전, 맵버전, 기타 차량단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로 구성된다.
주행정보리스트(513)는 구간속도, 통과시간(또는 여행시간) 등 차량단말(300)에서 GPS정보를 활용하여 작성하는 주요 항목들로 구성된다. 차량의 주행으로부터 얻은 정보라는 의미에서 "주행정보리스트" 또는 "주행정보"라 부르기로 한다.
하향정보(520)는 센터장치(100)에서 가공된 도시(또는 전국) 전체의 소통정보, 기타 소통상황정보 등 각종 데이터를 기지국(200)에서 차량단말(300)로 전송하는 단방향 정보를 의미한다. 기지국(200)은 하향정보(520)를 다중전송(multicast)하면, 기지국(200)의 통신영역 안에 있고 수신을 허가받은 차량단말(300)은 모두 하향정보(520)를 수신할 수 있다.
하향정보(520)는 차량단말(300)의 지도정보와 관련된 변수들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변수테이블 정보(522), 도로의 예상 통과시간을 포함하는 소통정보(523) 및 요구에 따라 발생하는 기타 하향정보(5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센터장치(100)와 기지국(200) 사이에서는 이들 소통정보가 단일 통합소통정보테 이블로서 관리되며, 기지국에서 제공 범위별 우선권을 차등화하기 위해 위 세 가지 정보개념으로 구분하여 다중전송 한다. 하향정보(520)는 일정한 처리우선순위가 지정되며, 우선순위 0은 최고 우선권을 갖는다. 0번 우선순위는 IEEE 802.11e의 정보 우선처리 기능을 사용해야 하며, 기타 우선순위는 제조사에 따라 H/W 또는 S/W 우선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차량단말 제어파라미터(521)는 차량단말 특정기능 활성화, 확장채널, 보안키 테이블 업데이트 등 차량단말 설정을 일괄하여 제어하기 위한 정보들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단말 제어파라미터(521)는 구역변수테이블에 포함되어 다중전송 된다.
변수테이블 정보(522)는 지도정보(맵)와 관련된 변수들을 관리하는 정보로서, 지도정보의 구성요소인 노드, 링크, 정점(vertex)에 따라 구분된다. 즉, 변수테이블은 지도정보와, 각 지도에 대한 주행정보 작성방법을 지시하는 제어변수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테이블을 말한다.
소통정보(523)는 지도정보의 도로 구간을 차량으로 통과할 때 예상되는 시간 정보이다. 즉, 운전자는 소통정보(523)로 주행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소통정보(523)는 기지국(200)을 중심으로 하는 일부 구역의 링크들에 대한 구역소통정보(524), 도시(또는 전국) 전체 가로구간의 링크들에 대한 지역소통정보(525), 국가 전체 가로망에 대한 전국소통정보(526)로 구분된다.
바람직하게는, 기지국(200)에서는 센터장치(100)에서 다운로드한 소통정보를 도시코드와 권역코드 및 설치 구역 반경을 이용해 각각 구역소통정보(524), 지역소통정보(525), 전국소통정보(526)로 구분하여 다중전송 우선권을 따로 부여한다.
기타 하향정보(527)는 CCTV 영상정보 등의 이미지정보, 돌발상황 또는 소통정보의 문자 및 음성 표출을 위한 메시지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개별정보(530)는 수집정보(510)와 하향정보(520) 이외에 각 차량단말(300)과 센터장치(100)간에 개별적으로 요청하여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게 하는 부가통신서비스를 위한 양방향 정보를 의미한다. 하향정보(520) 이외의 특정 링크 구간의 상세 세그먼트 정보 요청이나 부가서비스를 위한 개별 요청 정보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개별정보(530)는 차량단말(300)로부터 요청되는 특정 정보(예; 특정 링크를 선택하여 링크 구간의 세그먼트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등), 부가서비스(우선차량 신호제어, 철도건널목 안전관리, 안전운전지원, 교통 제어성 정보제공, 긴급차량 경로안내, 구조요청 긴급처리 등)에서 양방향 요청 및 응답을 필요로 하는 정보, 기타 차량단말(300)에서 S/W적으로 기지국(200)에 개별적으로 요청하는 정보 등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의 패킷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통정보의 패킷 프레임(600)(또는 교통정보 프레임)의 구조는 계층적(hierarchy)인 구조를 가지며, 총 28바이트의 헤더(610)와 가변길이의 페이로드(Payload, 620) 부분으로 구성된다. 각 페이로드(620)는 명령코드(OPCODE)별로 필요한 정보항목(630)들의 개수와 내용을 붙여 작성한다.
교통정보 헤더(610)는 속성코드(CODE), 명령코드(OPCODE), 경로필드(FROM, TO), 패킷ID(PKT_ID) 또는 다중전송ID(BCAST_ID), 전체길이(TOT_LEN), 프래그먼트 길이(FRAG_PLEN) 등 교통정보 패킷의 특성을 표시하는 필드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속성코드(CODE)는 응답패킷, 하향정보 패킷, 암호화된 패킷 인지 등을 표시하는 패킷의 부가 속성 값이다.
또, 명령코드(OPCODE)는 패킷에 담겨진 교통정보의 종류 및 그 정보에 관한 처리명령(Command)으로 구성된다. 즉, 명령코드(OPCODE)를 해독함으로써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 및 처리방법을 알 수 있다. 앞서 본 바와 같이, 교통정보의 종류는 관리정보, 개별정보, 수집정보, 기본소통정보, 하향정보 등이 있다.
예를 들면, 관리정보인 경우, 접속요청 또는 승인, 하향정보 다운로드 요청 또는 지시, 펌웨어 다운로드 요청 또는 지시, 비밀키 테이블 전송 또는 요청 등의 처리명령이 있다. 또, 개별정보인 경우, 링크상세 교통정보의 요청과 제공 등의 처리명령이 있고, 수집정보인 경우, 수집정보 업로드 또는 지시 등의 처리명령이 있다. 또한, 하향정보인 경우, 전국소통정보, 도시소통정보, 구역소통정보, 변수테이블의 노드, 링크, 정점 등의 처리명령이 있다.
경로필드(FROM, TO)는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한 장비(FROM)와 패킷의 최종 목적지(T0)를 표시하는 필드이다. 필드값은 센터장치(100), 기지국(200), 차량단말(300) 등의 장치구분코드이다.
패킷ID(PKT_ID)는 패킷의 고유 ID (또는 Sequence Number)로서, 타임아웃에 의해 패킷을 재전송할 경우 패킷ID(PKT_ID)를 변경하지 않고 전송한다. 또, 하나의 프레임(frame)이 분할(Fragmentation)될 경우 모든 프래그먼트(Fragment)의 패킷 ID(PKT_ID)는 동일하게 처리한다.
다중전송ID(BCAST_ID)는 센터장치(100)에서 기지국(200)에 하향정보 다운로드 지시를 통하여 다운로드되는 하향정보(520)의 ID를 제공한다. 차량단말(300)은 다중전송ID(BCAST_ID)가 동일한 프래그먼트(Fragment)들을 조합하여, 단위 하향정보(520)를 완성하여 수신한다.
전체길이(TOT_LEN)는 헤더(610)와 페이로드(620)를 합한 전체 프레임(600)의 길이이다.
또한,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통정보 페이로드(620)는 항목수(CNT)와 정보항목(630)으로 구성된다. 정보항목(630)은 적어도 1개 이상이다. 각 정보항목(630)들은 고유의 정보 형식을 나타내는 T+L+V(Type+Length+ Value) 구조로 이루어진 개체 데이터(Entity Data) 형태이며, 정보형태별로 고유의 식별코드(EID)를 갖는다.
항목수(CNT)는 정보항목(630)의 개수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보항목(630)은 길이에 따라 3가지 유형 등 다양할 수 있고, 항목정보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정보항목 유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b의 정보항목 ①은 1∼63 바이트, 정보항목 ②는 64∼16383 바이트이고, 정보항목 ③16384 바이트 이상이다. 각 정보항목(630)은 식별코드(EID), 항목정보 길이(SIZE), 항목정보(DATA)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프레임(600)의 분 할(Fragmentation) 및 조합(Defragmentation)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무선통신구간(차량단말과 기지국 간) 또는 유선구간에서 교통정보 프레임(600)을 전송할 경우 교통정보 페이로드(Payload)의 크기가 프래그먼트 최대길이(FRAG_PLEN_MAX, 예를 들면, 1432바이트)를 초과하게 되면 분할(Fragmentation)을 수행하여 프래그먼트 단위의 분할패킷으로 전송한다. 프래그먼트 최대길이(FRAG_PLEN_MAX)는 무선통신의 최대전송단위(MTU)에 의해 정해진다.
즉, 최대전송단위(MTU)는 최대 크기의 패킷 또는 프레임을 의미하며 단위는 옥텟(octet)이다. 바람직하게는,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는 하위 네트워크의 통신방식에 관계없이 이더넷과 같이 1500 옥텟으로 통일한다.
최대전송단위(MTU)에서 IP헤더, UDP헤더, 교통정보 헤더 등의 길이를 뺀 값이 프래그먼트(fragment)의 최대길이가 된다.
차량단말(300)나 기지국(200)이 분할패킷을 전달(Forwarding)할 때, 프래그먼트(fragment)를 조합한 다음 다시 분할(Fragmentation)하여 전송할 필요 없이 수신한 분할패킷을 그대로 전달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라 교통정보 프레임(600)을 분할하여 전송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전체 교통정보 프레임(6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교통정보 프레임(600)을 3개로 분할한 프래그먼트(fragment)들이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통정보 프레임(600)의 전체길이(TOT_LEN)는 4028바이트이고, 항목수(CNT)는 페이로드(Payload)에 포함된다. 페이로드(Payload) 가 4000바이트의 길이로서 1432바이트를 초과한다. 따라서 교통정보 프레임(600)은 차량단말(300)과 기지국(200) 간의 통신에서 분할(Fragmentation)되어 분할패킷으로 만들어진 후 전송된다.
도 4b와 같이, 도 4a의 교통정보 프레임(600)은 3개의 프래그먼트(fragment)로 분할된다. 즉, 교통정보 프레임(600)의 페이로드(620)에 포함된 항목수(CNT)와 4개의 정보항목(630)은 3개의 프래그먼트(fragment)로 분할된다.
도 4b의 ①과 같이, 첫 번째 프래그먼트(fragment)는 연속비트(MORE)=1, 오프셋(OFFSET)=0, 프래그먼트 길이(FRAG_PLEN)= 1432가 되고, 페이로드(Payload)에는 항목수(CNT), 제1 정보항목(IE1)과 제2 정보항목(IE2)의 처음 432 바이트가 실린다.
도 4b의 ②와 같이, 두 번째 프래그먼트(fragment)는 연속비트(MORE)=1, 오프셋(OFFSET)=1432, 프래그먼트 길이(FRAG_PLEN)=1432가 되고, 페이로드(Payload)에는 제2 정보항목(IE2)의 나머지 1168b바이트와 제3 정보항목의 처음 264 바이트가 실린다.
도 4b의 ③과 같이, 세번째 프래그먼트(fragment)는 연속비트(MORE)=0, 오프셋(OFFSET)=2864, 프래그먼트 길이(FRAG_PLEN)=1136이고, 페이로드(Payload)에는 제3 정보항목(IE3)의 나머지 136바이트와 제4 정보항목(IE4) 전체(1000bytes)가 실린다.
도 4b의 3개의 프래그먼트(fragment)는 각각 하나의 분할패킷으로 만들어져 전송된다. 상기 분할패킷을 수신하면, 3개의 프래그먼트(fragment)는 교통정보 헤 더(610)의 경로필드(FROM, TO)의 목적지(TO)로 지정된 장치에서 조합(Defragmentation)되어 도 4a와 같은 교통정보 프레임(600)으로 복원된다. 이때, 전송ID 또는 다중전송ID에 의해 각 프래그먼트를 하나의 정보 단위로 조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하향정보 다중전송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센터장치(100)는 하향정보(520)를 기지국(200)에 전송할 때 하향정보(520)의 우선순위, 유효기간, 유효기간 내 다중전송 횟수를 지정한다. 기지국(200)은 이 정보를 토대로 각 하향정보별 요구전송 인터벌(Pc)과 순서를 결정하여 프래그먼트(Fragment) 단위로 하향정보(520)를 다중전송(또는 방송)한다.
이때, 유효기간이란 하향정보를 전송해야할 제한된 시간을 말한다. 예를 들면, 10분 이내 전송해야 한다면 유효기간은 10분이 된다. 기대하는 전송요청 유효기간은 상대적인 시간으로 정하거나 절대적 시간으로 요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중전송 시작 후 10분 이내로 전송되기를 요청하거나 "오늘 오후 1시까지"라고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200)은 요청되는 유효시간을 실제 전송시작 시각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유효시간을 계산하여 요구전송 인터벌을 구한다.
먼저, 기지국(200)은 전송할 하향정보를 선정하고, 상기 각 하향정보의 파일크기, 유효기간, 기대전송횟수를 읽어온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송할 하향정보는 하향정보 A, B, C의 3가지이다. 하향정보 A는 4개의 프래그먼트(fragment)의 크기를 갖고 기대전송횟수는 1회 이다. 또, 하향정보 B의 프래그먼트 개수는 2이고 기대전송횟수는 6회이고, 하향정보 C의 프래그먼트 개수는 3이고 기대전송횟수는 2회이다. 하향정보 3개 모두 유효기간은 12이다. 단위시간은 msec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200)은 상기 각 하향정보에 대하여, 파일크기와 기대전송횟수에 반비례하고 유효기간에 비례하는 요구전송 인터벌(Pc)을 구한다.
하향정보 A인 경우, 12 단위시간 이내에 4개의 프래그먼트(fragment)를 1회 전송하면 된다. 즉, 12 단위시간 동안 4개의 프래그먼트를 전송하면 된다. 따라서 하향정보 A는 3 단위시간마다 1개의 프래그먼트를 전송하면 된다. 요구전송 인터벌(Pc)은 3 단위시간이 된다. 도 5b와 같이, 하향정보 A는 t0, t3, t6, t9 단위시간에 전송된다.
또, 하향정보 B인 경우, 12 단위시간 이내에 2개의 프래그먼트(fragment)를 6회 전송하면 된다. 즉, 12 단위시간 동안 12개의 프래그먼트를 전송하면 된다. 따라서 하향정보 B는 1 단위시간마다 1개의 프래그먼트를 전송하면 된다. 요구전송 인터벌(Pc)은 1 단위시간이 된다. 도 5b와 같이, 하향정보 B는 t0, t1, t2, ..., t11 단위시간에 전송된다.
또, 하향정보 C인 경우, 12 단위시간 이내에 3개의 프래그먼트(fragment)를 2회 전송하면 된다. 즉, 12 단위시간 동안 6개의 프래그먼트를 전송하면 된다. 따라서 하향정보 C는 2 단위시간마다 1개의 프래그먼트를 전송하면 된다. 요구전송 인터벌(Pc)은 2 단위시간이 된다. 도 5b와 같이, 하향정보 C는 t0, t2, t4, ..., t10 단위시간에 전송된다.
한편, 각 하향정보는 프래그먼트로 나뉘어지고 하나의 프래그먼트가 요구전송 인터벌(Pc)에 의해 전송되므로, 하향정보가 1회 전송되는 주기는 요구전송 인터벌(Pc)에 프래그먼트 개수를 곱한 시간이다. 도 5b에서, 하향정보 A의 1회 전송주기(△T)는 12 단위시간이다. 또, 하향정보 B의 1회 전송주기(△T)는 2 단위시간이고, 하향정보 B는 6 단위시간이다.
보통 6Mbps 다중전송 모드에서 순환없이 독립적인 다중전송 방식이면 요구전송 인터벌(Pc)은 3msec 정도 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각 하향정보(520)를 프래그먼트 단위로 분할패킷으로 나누어 주기적으로 다중 전송하되, 요구전송 인터벌(Pc)을 초과하는 하향정보(520)부터 전송한다.
요구전송 인터벌을 초과하여 전송해야할 하향정보(520)가 2 이상이면 우선순위에 의해 우선순위가 높은 하향정보(520)를 먼저 전송한다. 또, 상기 하향정보(520)들의 우선순위가 같으면, 요구전송 인터벌(Pc)이 큰 하향정보부터 먼저 전송한다.
도 5a의 3개의 하향정보의 우선순위가 하향정보 A, B, C 순이라고 하면,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시간대에 전송할 하향정보(520)의 순서가 정해진다.
예를 들면,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간 t0에서, 다중전송할 하향정보는 각각 A, B, C 모두이고, 각 하향정보가 보내야할 프래그먼트는 A1, B2, C3이다. 즉, 2개 이상의 하향정보이므로 우선순위에 의하여, A1, B2, C3 순으로 다중전송 순서가 정해진다. 시간 t1에서, 다중전송할 하향정보는 B만 있고, 이때 보내야 할 프래그먼트는 B2이다.
시간 t2에서, 전송할 하향정보는 B와 C이고, 이때 보내야 할 프래그먼트는 B1과 C2이다. 하향정보 B는 B1과 B2를 보내 1회 보냈으므로, 다시 2회째의 B1을 전송한다. 우선순위가 B가 먼저이므로, B1을 보내고 C2를 보낸다. 결과적으로 도 5c와 같이 일련의 프래그먼트가 다중전송된다.
도 5c의 "I/A"는 개별정보 또는 접속정보 등의 프래그먼트를 표시한 것이다. 즉, 기지국(200)은 무선포트(210)을 통해 하향정보(520) 이외에도 개별정보(530), 수집정보(510), 접속을 위한 정보 등을 송수신한다. 따라서 기지국(200)은 각 하향정보(520)의 전송할 프래그먼트들을 다중전송하고 개별정보 또는 수집정보를 처리하고, 다음 전송할 하향정보(520)의 프래그먼트들을 다시 다중전송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송방법은 (a) 각 기지국(200)은 센터장치(100)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710); (b) 제1 기지국은 제1 차량단말이 접속하면 제1 차량단말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720); (c) 상기 제1 차량단말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할패킷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다중 전송하는 단계(S730); (d) 상기 제1 차량단말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들을 모두 수신하지 못한 채 제2 기지국에 접속하면, 제2 기 지국에 다운로드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S740); (e)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분할패킷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다중 전송하는 단계(S750); (f) 상기 제1 차량단말은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모두 수신하면 수신을 완료하는 단계(S760)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c)단계이후, 상기 제1 차량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있고,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차량단말의 요청에 의한 다운로드 데이터의 전송을 완료하였으나, 상기 제1 차량단말이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모두 수신하지 못한 경우, (g) 상기 제1 차량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수신하지 못한 분할패킷들을 개별적으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와 (h) 상기 제1 기지국은 개별 요청된 분할패킷을 상기 제1 차량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터장치(100)는 각 차량단말(300)에 전송할 다운로드 데이터가 있는 경우, 다운로드 데이터를 차량단말(300)에 전송하라는 지시메시지를 각 기지국(200)에 전송한다(S711). 각 기지국(200)은 상기 지시메시지를 수신하면 센터장치(100)에 접속하여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한다(S712).
다운로드 데이터는 용량이 큰 파일일 수 있다. 또, 다운로드 데이터는 모든 차량단말(300)에 전송해야 할 공통적인 데이터들이다. 예를 들면, 각 차량단말(300)의 펌웨어 등이 이러한 데이터에 속한다. 펌웨어는 모든 차량단말에 필요한 데이터이고, 펌웨어가 업그레이드 되면 업그레이드 된 내용을 모든 차량단말에 반영시켜야 한다.
그러나 모든 차량단말(300)은 동일한 펌웨어를 받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차량단말(300)의 하드웨어 규격이 달라 종류별로 펌웨어가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200)은 차량단말(300)의 하드웨어 규격에 따라 다른 펌웨어를 전송시켜야 한다.
다운로드 데이터가 업그레이된 펌웨어인 경우, 필요한 부분만 전송할 수 있다. 펌웨어는 각 기능에 따라 여러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펌웨어가 업그레이드 되면 차량단말(300)은 이전 버전의 펌웨어 비해 변경된 모듈만 교체해도 된다.
따라서 다운로드 데이터가 펌웨어인 경우, 각 기지국(200)은 버전별로 업그레이드된 모듈(또는 변경된 모듈)에 대한 정보와 각 모듈 파일(또는 모듈 데이터)을 센터장치(100)에 요청하여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차량단말(300)은 주행중에 기지국(200)과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대부분 하나의 기지국(200)과 통신하는 시간이 짧으므로, 하나의 모듈이 너무 큰 파일이면 한 번에 모듈을 대부분 못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모듈은 그 크기가 일정하게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각 모듈은 100K바이트 이상 크게 할 수 없게 제한한다. 만약 모듈이 이 크기 이상으로 커지면 모듈의 코드를 분할하여 2개 이상의 모듈로 분할하여 코딩이 되게 한다.
센터장치(100)는 세부적으로 관리서버와 파일서버 등으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터장치(100)가 구성되는 경우, 센터장치의 관리서버가 각 기지국(200)에 다운로드 지시 메시지를 보내면, 각 기지국(200)은 파일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센터장치(100)의 구성에 대 한 설계사항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각 기지국(200)이 센터장치(100)로부터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면 접속하는 차량단말(300)에 다운로드 데이터를 전송시킨다. 먼저 접속되는 차량단말(300)이 다운로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720).
기지국(200)이 차량단말(300)에게 보유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면 차량단말(300)은 이 메시지에 대하여 자신이 보유한 다운로드 데이터의 보유 여부 또는 버전 등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200)에 전송한다. 기지국(200)은 이 메시지를 판독하여 다운로드 데이터의 보유 여부 정보로 판단하거나, 버전을 비교하여 최신 버전인지를 판단하여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펌웨어 등 중요한 데이터인 경우, 차량단말(300)이 기지국(200)에 접속할 때 펌웨어의 버전 정보를 접속메시지에 함께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지국(200)은 접속시 펌웨어의 업그레이드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단말(300)이 최신 펌웨어로 업그레이드 하도록 한다.
차량단말(300)이 다운로드 데이터가 없거나 이전 버전을 가지고 있다면 기지국(200)은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다중 전송한다(S730).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도 4와 도 5의 하향정보를 분할하여 다중 전송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즉, 전송하고자 하는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프래그먼트로 나누고 각 프래그먼트를 하나의 분할패킷으로 만들어 분할패킷을 다중 전송한다. 또, 분할패킷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다중 전송한다(S730).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10)이 기지국 R1의 통신영역 B1 내에 있는 경우, 기지국 R1은 다운로드 데이터 A를 10개의 분할패킷으로 나누어 만들고, 10개의 분할패킷을 일정한 전송간격으로 다중 전송한다. 즉, 기지국 R1은 분할 패킷 A1, A2, ..., A10의 순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전송한다. 기지국 R1은 10개를 모두 보내면 다시 처음부터 10개를 일정한 전송간격으로 다중 전송한다. 이와 같이 반복하여 전송한다.
차량단말(300)은 10개의 분할패킷을 나누어 수신한다. 분할패킷을 모두 수신하면, 수신을 완료한다(S760). 수신이 완료되면 차량단말(300)은 이를 결합하여 다운로드 데이터를 구성하여 이용한다.
그런데 차량단말(300)과 기지국(200) 사이에 통신상태가 좋지 않으면, 한 번에 모든 분할패킷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제1 기지국(200)의 첫 번째 1회 전송하는 동안, 차량단말(300)이 5개의 분할패킷만 제대로 수신하고 나머지는 제대로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회 다중전송 동안, 분할 패킷 A1, A2, A6, A8, A9를 수신한다.
모두 수신하지 못하였으므로, 기지국(200)의 두 번째 전송하는 동안(2회 다중전송 동안), 차량단말(300)은 나머지 분할패킷을 수신한다. 그러나 2회 다중전송 동안에도, 3개만 수신하고 나머지 2개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차량단말(300)은 분할패킷 A3, A5, A10을 수신한다.
차량단말(300)이 아직 나머지 2개의 분할패킷 A4와 A7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차량(10)이 기지국 R1의 통신영역 B1을 벗어나면 차량(10)은 더 이상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다. 즉, 차량(10)이 다음 기지국의 통신영역에 진입하기 전까지 더 이상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다.
차량단말(10)이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들을 모두 수신하지 못한 채 다른 기지국에 접속하면, 이 기지국에 다운로드 데이터를 요청한다(S740). 상기 기지국(200)은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분할패킷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다중 전송한다(S750).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차량(10)이 기지국 R2의 통신영역 B2에 진입하면, 차량단말(300)은 기지국 R2에 접속하고 완전히 수신하지 못한 다운로드 데이터를 요청한다(S740).
기지국 R2는 다운로드 데이터를 앞서 기지국 R1과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다중 전송한다(S750). 즉, 기지국 R2는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분할패킷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다중 전송한다.
차량단말(300)은 상기 기지국 R2로부터 나머지 분할패킷을 수신한다. 도 7과 같이, 차량단말(300)은 분할패킷 A4와 A7을 수신한다(S750). 차량단말(300)은 다운로드 데이터 A의 모드 분할패킷을 수신하였으므로, 수신을 완료한다(S760).
한편, 기지국(200)은 하나의 차량단말(300)로부터 다운로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나(차량단말이 요청하는 경우나 기지국이 차량단말에 전송하려는 경우), 이미 다른 차량단말(300)에 의해 다운로드 데이터가 다중 전송중이면 진행중인 다중전송을 지속한다.
즉, 하나의 기지국(200)에 접속하는 차량단말(300)은 여러 대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200)이 다운로드 데이터를 다중전송하면 상기 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있는 차량단말은 모두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차량단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다운로드 데이터가 분할되어 분할패킷이 다중전송이 시작되었다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다른 차량단말들도 상기 다중전송을 통해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이 다중전송을 이용하는 이유는 모든 차량단말(300)이 공통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다중 전송함으로써, 무선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운로드 데이터를 다중전송하면, 차량단말(300)은 분할패킷을 중간부터 받는 경우도 발생한다. 예를 들면, 어느 하나의 차량단말(300)에 의해 분할패킷이 A1, A2, ..., A10 순으로 순차적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다중전송하고 있는 중에, 중간에 접속하는 차량단말(300)이 있다고 하면, 이 차량단말(300)은 중간부터 분할패킷을 받을 것이다.
A5를 전송 중에 들어온다면, 분할패킷 A6부터 수신할 것이다. 기지국은 다운로드 데이터를 일정한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다중전송하므로, 중간부터 분할패킷을 수신하여도 다음 회차에 처음 것을 수신하여 전체 분할패킷을 모두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단말(300)은 하나의 기지국(200)의 통신영역 내에 있고, 상기 기지국(200)이 차량단말의 요청에 의한 다운로드 데이터의 전송을 완료하였으 나,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모두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수신하지 못한 분할패킷들을 개별적으로 전송할 것을 상기 기지국(200)에 요청하여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차량단말(300)이 기지국 R1의 통신영역 내에 있는 동안, 2회 다중전송으로 8개의 분할패킷을 수신하였으나, 다중전송이 종료되어 나머지 2개를 못받은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차량단말(300)이 아직 기지국 R1의 통신영역 내에 있으면 기지국(200)에 개별적으로 나머지 2개의 분할패킷을 요청하여 수신한다.
이미 대부분의 차량단말(300)이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였으므로, 추가적인 다중전송을 하는 것보다는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교통정보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다중전송할 정보들이 다수가 있는 경우, 요청되는 유효시간 내에 요구되는 전송횟수를 만족시키도록 각 정보들을 전송하되, 우선순위가 낮은 정보들도 누락없이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교통정보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의 패킷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교통정보 프레임을 분할하여 전송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하향정보 다중전송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량 20 : 무선통신망(기지국의 통신영역)
50 : 인터넷 60 : GPS
100 : 센터장치 200 : 기지국
300 : 차량단말
500 : 교통정보 510 : 수집정보
511 : 현재위치정보 512 : 차량단말 상태정보
513 : 링크정보 리스트 520 : 하향정보
521 : 차량단말 제어파라미터 522 : 변수테이블 정보
523 : 소통정보 524 : 구역소통정보
525 : 지역소통정보 526: 전국소통정보
527 : 기타 하향정보 530 : 개별정보
600 : 교통정보 프레임 610 : 교통정보 헤더
620 : 교통정보 페이로드 630 : 정보항목(IE)

Claims (12)

  1. 센터장치와, 적어도 2개 이상의 기지국, 적어도 2개 이상의 차량단말을 포함하는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에 있어서,
    (a) 각 기지국은 상기 센터장치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제1 기지국은 제1 차량단말이 접속하면 제1 차량단말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제1 차량단말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할패킷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다중 전송(방송)하는 단계;
    (d) 상기 제1 차량단말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들을 모두 수신하지 못한 채 제2 기지국에 접속하면, 제2 기지국에 다운로드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분할패킷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다중 전송(방송)하는 단계;
    (f) 상기 제1 차량단말은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모두 수신하면 수신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 또는 (e)단계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기지국은 다른 차량단말에 의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이면 전송중인 다운로드 데이터의 다중 전송을 지속하고, 다른 차량단말에 의해 전송중인 다운로드 데이터가 없으면 다운로드 데이터의 다중 전송(방송)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센터장치로부터 다운로드 데이터를 차량단말에 전송하라는 지시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또는 (e)단계에서,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제2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패킷을 요구전송 인터벌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다중 전송하고,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모두 전송하면 다시 처음부터 분할패킷을 다중 전송하되,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반복 전송은 기대전송횟수 이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c)단계이후, 상기 제1 차량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있고,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차량단말의 요청에 의한 다운로드 데이터의 전송을 완료하였으나, 상기 제1 차량단말이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모두 수신하지 못한 경우,
    (g) 상기 제1 차량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수신하지 못한 분할패킷들을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차량단말 사이에서만 개별적으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와
    (h) 상기 제1 기지국은 개별 요청된 분할패킷을 상기 제1 차량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는 제1 차량단말의 펌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제1 기지국은 제1 차량단말로부터 펌웨어 버전을 수신하고 펌웨어 버전이 최신 버전이 아니면 최신 펌웨어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8. 다운로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센터장치와, 적어도 2개 이상의 기지국, 적어도 2개 이상의 차량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센터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차량단말이 요청하거나, 상기 차량단말이 접속하면 상기 차량단말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할패킷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다중 전송(방송)하고,
    상기 차량단말은,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들을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들을 모두 수신하지 못한 채 제2 기지국에 접속하면, 제2 기지국에 다운로드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지 못한 나머지 분할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분할패킷을 결합하여 전체 다운로드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으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수신을 완료하고,
    상기 기지국은,
    제1 차량단말에 다운로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제2 차량단말에 의해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이면 전송중인 다운로드 데이터의 다중 전송을 지속하고, 제2 차량단말에 의해 전송중인 다운로드 데이터가 없으면 다운로드 데이터의 다중 전송(방송)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시스템.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패킷을 요구전송 인터벌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다중 전송하고,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모두 전송하면 다시 처음부터 분할패킷을 다중 전송하되,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의 반복 전송은 기대전송횟수 이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단말은,
    제1 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있고,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차량단말의 요청에 의한 다운로드 데이터의 전송을 완료하였으나, 다운로드 데이터의 분할패킷을 모두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수신하지 못한 분할패킷들을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차량단말 사이에서만 개별적으로 전송할 것을 제1 기지국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시스템.
  12. 제 8항, 제10항, 및,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는 차량단말의 펌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시스템.
KR1020090023867A 2009-02-09 2009-03-20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37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0363 2009-02-09
KR1020090010363 2009-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086A KR20100091086A (ko) 2010-08-18
KR101037922B1 true KR101037922B1 (ko) 2011-05-31

Family

ID=4275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867A KR101037922B1 (ko) 2009-02-09 2009-03-20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2970B2 (en) 2017-06-16 2020-12-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ll-ahead downloading to vehic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211B1 (ko) * 2012-04-03 2014-01-24 도로교통공단 교통신호 제어기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WO2023152917A1 (ja) * 2022-02-10 2023-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785B1 (ko) * 2000-12-28 200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거리 무선전용 통신 시스템의 통신 프레임 크기 가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785B1 (ko) * 2000-12-28 200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거리 무선전용 통신 시스템의 통신 프레임 크기 가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2970B2 (en) 2017-06-16 2020-12-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ll-ahead downloading to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086A (ko)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8252B2 (en) Quality of service information notification to user equipment, users, and application server
US6151497A (en) Satellite based high bandwidth data broadcast
JP3524559B2 (ja) 通信チャンネルの選択
CN102047698B (zh) 车载通信装置以及路车间-车车间通信协作系统
JP6513717B2 (ja) セルラー網での車両通信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方法、テレマティックサーバー及び基地局
KR101036745B1 (ko) 신호등의 예상 점등시간을 제공하는 교통정보시스템
US20100142421A1 (en) Markets for a mobile, broadband, routable internet
US9723451B2 (en)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 network
Stefanović et al. Urban infrastructure-to-vehicle traffic data dissemination using UEP rateless codes
KR101037922B1 (ko) 교통정보시스템의 다운로드 데이터 분할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CN109818667B (zh) 一种基于星上信道交换的远端设备入网控制方法
KR2023006141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서버가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00187124A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on of transmission power and terminal
Khabbaz Modelling and analysis of a novel vehicular mobility management scheme to enhance connectivity in vehicular environments
KR20220153029A (ko)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softv2x 서버가 vru의 이동 경로와 관련된 vru 경로 맵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65618B1 (en) Air to ground management of multiple communication paths
Verma et al. A method for improving data delivery efficiency in vehicular adhoc networks
KR101059164B1 (ko) 거리에 따라 소통정보를 우선적으로 보내는 기지국의 소통정보 다중방송 방법 및 그 기지국
JP3446028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Murali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IEEE 802.11 p for vehicular traffic congestion control
EP21464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s between vehicles
KR101059163B1 (ko) 우선순위와 기대 전송횟수에 의하여 전송하는 기지국의 하향정보 다중방송 방법
KR102256269B1 (ko)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스마트 핸드 오버 방법
Er et al. CityView: a vehicle based image and data collection for smart cities
Chantaksinopas et al. Framework for network selection transparency on vehicula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