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518B1 -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518B1
KR101037518B1 KR1020080074647A KR20080074647A KR101037518B1 KR 101037518 B1 KR101037518 B1 KR 101037518B1 KR 1020080074647 A KR1020080074647 A KR 1020080074647A KR 20080074647 A KR20080074647 A KR 20080074647A KR 101037518 B1 KR101037518 B1 KR 101037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inonaphthalene
moisture
nanofibers
poly
trimethoxysi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121A (ko
Inventor
심윤보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5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 슬라이드를 이소프로판올로 전처리하는 단계; 유리 슬라이드를 실란 화합물로 코팅하는 단계; 유리 슬라이드에 금을 진공증착하는 단계; 얻어진 금 전극을 반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분할된 전극 간의 간격을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분, 센서,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Description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water sensor}
본 발명은 종래 칼피셔 적정법과 유사한 검출한계를 지니면서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비수성 용매 중의 수분 함량을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는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분은 다른 성분의 함량 또는 품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수분의 정량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의약품 중에 들어 있는 수분은 불순물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의약품을 변질시킬 수도 있으며, 역가를 떨어뜨릴 수도 있기 때문에 약전에 수재된 많은 의약품들이 수분의 상한선을 정해 놓고 있다.
이러한 수분측정법 중 가장 폭넓게 사용되는 칼피셔 적정법(Karl Fischer법)은 메탄올 등의 저급알코올 및 피리딘 등의 유기염기의 존재 하에서 물이 요오드 및 이산화황과 정량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이용하여 수분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칼피셔 적정법은 ppm 단위에서 100%에 이르기까지 전범위에 걸쳐 정밀하고 정확하게 수분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지만,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유독하고 악취를 풍기는 시약을 사용하며, 종말점 결정이 곤란하며, 화학적 간섭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피리딘을 포함한 시약 이용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변형된 적정법이 개발되었다. 또한, 고상미량추출법, 압전수정결정, 마이크로파 간섭계, 라만분광계 및 전기적 방법 등 수분 검출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복잡하고 측정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비수성 용매에서 보다 빠르고 편안하게 수분 함량을 결정할 수 있는 수분 센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센서 형식을 이용한 수분의 검출 방법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먼저,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를 촉매 화학적 합성법에 의해 제조한 후, 이러한 나노섬유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여 상기 나노섬유가 비수성 용매 중의 수분 함량의 검출에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칼피셔 적정법과 유사한 검출한계를 지니면서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비수성 용매 중의 수분 함량을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는 수분 센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 슬라이드를 실란 화합물로 코팅하는 단계; 유리 슬라이드에 금을 진공증착하는 단계; 얻어진 금 전극을 반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분할된 전극 간의 간격을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실란 화합물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르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이오도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바람직하게는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진공증착은 800 내지 1000Å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벗어나면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는 염화제이철을 촉매로 사용하고, 메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촉매적 화학 중합법에 의해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된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는 1,5-디아미노나프탈렌, 염화제이철 및 메탄올로 이루어진 반응혼합물을 20 내지 40 ℃에서 24 내지 30 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한다.
이때, 이러한 교반은 질소 또는 산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며, 바람직하게는 나노섬유의 수율이 높은 산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1,5-디아미노나프탈렌의 중합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55101150-pat00001
본 발명에서 제조된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의 화학적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AFM, SEM 및 TEM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나노섬유의 직경은 10 내지 30 nm이다.
또한, 이러한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는 도 3a 및 도 3b에 도 시된 바와 같은 순환 전압전류곡선을 얻기 위한 전기화학 측정 및 4탐침법을 이용한 고분자 필름의 전도성 평가에서 수분 센서를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전기화학적 활성을 나타낸다.
상기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센서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유리 슬라이드를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전처리한 후, 실란 화합물로 코팅하여 표면처리한다. 이때, 사용된 실란 화합물은 전극에 금을 부착시키기 위한 분자상 아교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실란 화합물을 이용한 코팅은 스핀코팅, 디핑(dipping) 및 LB법 등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코팅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란 화합물로 코팅처리된 유리 슬라이드에 800 내지 1000Å에서 금을 진공증착한다.
금을 진공증착한 금 전극을 이용하여 반으로 분할하며, 이때 두 분할 금전극 간의 간격은 10 내지 3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할된 전극 간의 간격을 준비된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로 코팅한다. 이때, 코팅은 스핀코팅, 디핑(dipping) 및 LB법 중 어느 하나의 코팅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수분 센서는 40일이 경과하여도 민감도가 초기 민감도의 97%를 유지할 정도로 안전하며, 선형 동적 범위가 0.05 내지 20%이며, 검출한계가 0.01%이며, 종래 사용되어 온 칼피셔 적정법에서 얻어진 값과 유사한 센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수분 센서는 전기화학적 특성을 만족하는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종래 칼피셔 적정법과 유사한 검출한계를 지니면서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비수성 용매 중의 수분 함량을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어 수분의 함량이 민감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약품 등의 흔적량 수분 검출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 제조
질소 분위기 하에서 1,5-디아미노나프탈렌(Aldrich사)을 수용성 에탄올(50% v/v)에서 2회 재결정한 뒤, P2O5를 이용한 진공 하에서 48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1,5-디아미노나프탈렌, 염화제이철(FeCl3) 및 용매를 혼합한 용액을 교반하면서 촉매적 화학 중합법에 의해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즉, 2.0g(0.0126몰)의 1,5-디아미노나프탈렌을 염화제이철(3.40g, 0.0126몰)을 함유한 100ml 메탄올에 첨가한 후, 반응혼합물을 3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 였다. 이러한 반응은 각각 질소 및 산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었다.
반응 결과물인 짙은 남색 침전물을 5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상태에서 건조한 후, 여과하고 에탄올, 0.1M HCl 및 정제수로 수차례 세정하였다.
그 결과, 산소 분위기 하에서 얻어진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의 수율은 98%인 반면, 질소 분위기 하에서 얻어진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의 수율은 41%였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얻어진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의 AFM, SEM 및 TEM을 통해 화학적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AFM은 멀티모드 AFM 시스템(Digital Instrument Inc.)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SEM은 Cambridge Stereoscan 24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TEM은 JEOL JEM-2010 전자현미경(Jeol High-Tech. Co.)을 이용하여 200kV의 가속전압으로 측정하였다.
저배율 및 고배율의 AFM 사진은 동일한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의 형성을 나타내며, 이때 직경이 약 10-30 nm이고, 길이가 400nm였다.
SEM 사진으로도 나노섬유의 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도 1e는 30 nm의 직경을 지닌 단일 나노섬유의 TEM 사진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수분 센서의 제조
금 전극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PS)에 의한 유리 표면처리 및 진공증착에 의해 깨끗한 유리 슬라이드 상에서 제작되었다. 이러한 처리 전에 유리를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전처리하였다.
12개의 3X1 인치 유리 마이크로슬라이드를 유리 접시에 놓고 10 내지 15분 동안 이소프로판올에서 끓였다. 그후, 용매를 제거하고 냉각시킨 후, 질소 흐름 하에서 건조시켰다.
MPS(sigma, 97% 정제)를 분자상 아교제로 사용하여 금을 슬라이드에 부착시켰다. 이때, 분자상 아교제로 사용되는 MPS를 포함한 용액은 400g 이소프로판올, 10g 물, 10g MPS로 구성되었다. 혼합 용액을 끓인 접시에 슬라이드를 놓고 대략 15분 내지 20분 동안 시계접시를 덮었다.
시계접시를 제거한 후 냉각하고, 이소프로판올 및 물로 세정한 후, 아르곤 가스로 철저하게 건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슬라이드를 100 내지 105℃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건조오븐에 두었다. 유리 표면에 균일한 MPS 코팅을 얻기 위하여, 전체 과정을 한번 이상 반복하였다.
전극 패턴을 정하기 위하여, 얇은 플라스틱 마스크를 이용하였다. 접촉 패드는 각각 0.3cm의 직경을 가지며, 이들을 연결하는 선은 직경으로 0.1cm 또는 0.3cm였다. 금은 Hummer X Sputter Coater(Anatech Co.)를 이용하여 800 내지 1000Å에서 진공증착되었다.
금 코팅된 전극을 약 5㎛ 간격 너비를 지닌 쾌도를 이용하여 반으로 분할하였다. 분리된 전극 간의 간격을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를 이용하여 코팅하기 위하여 스핀 코팅하였다. 메탄올에 용해된 2㎕의 0.01%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를 2개의 분할된 전극의 간격 사이에 떨어뜨렸다.
CV 및 대시간전류법(chronoamperometry)을 위해 고분자로 가교된 분할 전극의 두 크기를 이용하였다. 고분자 코팅공정은 3회 반복되었다. CV에 대한 고분자 로 가교된 분할 금(PBSA) 전극의 반응영역은 0.07 μm2였다. 이렇게 제작된 센서를 이용하기 전에, 1% 물/아세토니트릴 용액에서 5분 동안 담궈 활성화한 후, 진공 오븐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수분 센서의 전기화학적인 평가
순환 전압전류곡선(cyclic voltammogram; CV)을 얻기 위한 전기화학 측정 실험을 Potentiostat/Galvanostat(모델: PT-2, Kosentech)를 이용하며, 측정셀은 80 T 항온수조(Polyscience Co.)에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였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금 전극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0.01%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로 코팅된 금 전극을 이용하여 0.1M KNO3 용액에서 CV를 측정하였고, Ag/AgCl에 대하여 -0.30V/-0.54V에서 한쌍의 고분자 필름 환원피크가 나타났다.
수용액에서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의 유사 가역적 환원피크의 존재는 고분자 필름이 전기화학적 활성을 지님을 나타낸다.
4탐침법(four-point probe method)을 이용하여 평가한 고분자 필름의 전도성은 10-5 S/cm 이하이므로,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었다.
0.4V 내지 -0.5V 사이에서 고분자 코팅 전극의 한쌍의 유사 가역적 환원피크의 주사속도 의존성이 0.1M KNO3 용액에서 검토되었다. 주사속도가 20mV/sec에서 180mV/sec로 변화함에 따라 고분자 필름의 피크전류도 증가하였다. 도 2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음극 및 양극 피크전류는 10mV/sec에서 90mV/sec로 주사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선형으로 비례하였다.
그러나,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크전류는 90 내지 200mV/sec를 초과하는 주사속도의 제곱근에 비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확산층 두께가 고분자 필름층의 두께와 비교되기 때문에 낮은 주사속도에서는 유한확산모델이 작동하는 반면, 더 높은 주사속도에서는 반무한 모델이 작동하는 것을 암시한다.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의 전기화학적 활성은 수분 센서를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4> 실제 시료에의 적용
2단계 대시간전류법 측정은 앞서 제작된 PBSA 전극이 활성화되고 2분 동안 개방 회로 전압에서 안정화된 후 수행되었다. 펄스형 2단계 전위는 +0.8V 및 -0.8V 사이에서 10초의 펄스 너비로 적용되었다. 측정 도관의 온도는 20ㅁ0.1℃였고, 흔적량의 수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깨끗한 측정 도관을 진공 오븐에서 160℃의 온도로 6시간 이상 동안 건조하였다.
도 3A는 최적 조건 하에서 아세토니트릴 용액의 수분 함량에서 PBSA 전극의 반응시간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전류 변화는 2단계 대시간전류법을 이용하여 시간에 대한 변화로 측정하였다(도 4A 삽입도 참조).
2단계 대시간전류법은 센싱 물질의 재현가능한 초기 상태를 얻기 위해 사용되었다. 본 발명자는 후방 전위단계에서 -0.8V에서 고분자 필름을 환원시킴으로써 초기 상태를 얻었다. 따라서, 매측정시, 고분자층을 먼저 후방 전위에서 환원시킨 후, 가역 전위단계 동안 양극전류를 측정하였다. 반응시간은 5초였다.
가역단계 동안 양극전류는 후방 단계 동안 얻어진 양극전류보다 더 크고 재현가능하기 때문에 가역 전위단계 동안 양극전류는 분석 신호로 선택되었다. 양극전류와 아세토니트릴 용액의 수분 함량 간에는 선형 관계이며, 이는 PBSA 전극이 수분 센서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몇가지 기전에 의해 고분자 층으로 수분 함량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전기 전도성의 변화에 관한 전도성 고분자의 특성에 근거한 2가지 가능한 기전은 i) 전압전류법적 전류가 고분자 매트릭스에 라디칼 양이온을 발생시켜 전도성을 증가시키는 친핵성 물질로서 수분의 활동에 관여할 것이다. 또, ii) 고분자에서의 물의 확산이 고분자의 효과적인 유전상수의 변화를 일으켜 수분 농도에 비례하여 전도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0.5%, 1%, 1.5% 및 10% 수분을 함유한 아세토니트릴 용액에서 PBSA 센서의 전류 반응의 온도 의존성을 검토하였고, 그 결과를 도 3B에 도시하였다. 시료 용액의 온도가 15℃에서 40℃로 변하였고, 다른 온도에서의 반응이 시료 용액 중 수분 함량과 함께 변화하였다.
양극전류는 측정용액의 온도가 15℃에서 40℃로 변함에 따라 가파르게 증가하였다. 이는 확산에 의해 고분자에 대한 수분의 접근성 증가로 인해 고분자의 전도성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됨을 시사한다.
그러나, 0.5% 수분 함량에서는 증가된 온도에 따라 전류가 유의성있게 증가하지 않았다. 1%를 초과하는 수분 함량에서, 전류가 증가된 온도에 따라 유의성있 게 증가하였다. 이는 고분자 필름의 전도성이 더 높은 수분 함량에서 더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질적인 고려사항으로 인해 모든 이후 실험은 30℃의 온도를 유지하여 수행하였다.
1%에서 20%에 이르는 시료의 다양한 수분 함량에서 반응 전류의 적용 전류 의존성을 검토하였고, 그 결과는 도 3C에 도시하였다. 펄스형 단계 전위를 -0.8V에서 +0.4V, +0.6V, +0.8V, +1.0V, +1.2V로 각각 적용하였다. 음극전류를 이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초기 음전하 단계는 변화되지 않았다. 본 발명자는 양극전류단계를 최적으로 하여 양극전류를 분석 신호로 사용하였다.
전류반응은 양극전류가 +0.4V 및 +1.2V 사이의 양전류로 이동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전류반응은 +0.8V 이상에서는 유의성있는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최대 반응은 +0.8V에서 관찰되었다. 따라서, 2단계 전위는 -0.8V 및 +0.8V를 선택하였다.
아세토니트릴 용액에서 10% 수분에 관해 얻어진 양극전류의 필름 두께 의존성을 검토하였다. 필름 두께는 2 ㎕의 0.01%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의 적하 방울을 3회 내지 13회로 나누어 조절하였다.
양극전류는 두 개의 분할 금전극을 가교하는 120nm에서 180nm로 변화하는 고분자 필름의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필름 두께는 SEM을 이용하여 전극을 틸팅함으로써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기화학적 활성 부위는 필름의 증가된 두께에 따라 증가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더 두꺼운 고분자 필름은 전자 이동을 방해할 수 있어 120 nm 의 고분자 필름 두께를 모든 이하의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도 4A는 PBSA 센서를 이용하여 아세토니트릴 용액에서 수분 함량을 결정한 적정곡선을 도시하였다. 최적 조건 하에서 수분 센서는 전류 및 0.05 내지 20%의 수분 함량 간에 선형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1% 수분 함량에서 상대표준편차(RSD)는 ㅁ2.98%로 확인되었다. 전류 및 수분 함량 간의 이러한 선형 의존성으로부터 하기 식을 도출하였다.
I (nA) = 106.8 (nA) + 68.4 [수분 %] (회귀계수 0.998)
I (nA) = 16 (nA) + 150 [수분 %] (회귀계수 0.997)
이러한 결과는 높은 농도 범위보다 낮은 농도 범위에서 민감도가 더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검출한계는 블랭크 노이즈(95% 신뢰수준, k=3, n=5)의 3회 표준편차에 의해 결정되었다. 평균 블랭크값은 약 18nA이고, 표준편차는 ±0.55였다.
검출한계는 낮은 농도 범위에 관한 적정곡선의 기울기로부터 0.01%로 결정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반응을 Karl Fischer 적정법과 비교하였다.
도 4B는 Karl Fischer 적정법을 이용한 아세토니트릴 용액에 관한 적정곡선을 나타내었다. 도 4B의 삽입도는 낮은 수분 함량 범위에 관해 얻어진 적정곡선을 나타내었다. 0.01% 및 10% 사이가 선형 범위였고, 검출한계는 0.01%였다. 이는 수분 센서에서 얻어진 결과와 유사하다.
수분 센서의 재현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아세토니트릴 용액에서 수분 센서를 이용하여 5회 반복 측정을 수행하였다. 1% 수분 함량에서 전류반응의 평균값은 205.8nA이고, RSD는 ±1.5%였다.
1회동안 신선한 전극의 사용과 비교하여 수회동안 단일 전극을 사용하여 얻어진 높은 RSD값(약 3%)은 나노섬유로 코팅된 전극의 표면 중독과 관련있다. 5% 수분 함량에서, 평균값이 421.7nA이고, 표준상대편차는 ±6.0%였다. 이러한 수분 센서의 장기간 저장 안정성을 5일마다 측정하였다. 센서의 자기간 안정성은 한달 이상이었다.
40일까지 민감도가 초기 민감도의 97%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수분 센서는 장기간 유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나노섬유의 AFM(a-c), SEM(d) 및 TEM(e)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스케일바: a-500nm, b-200nm, c-100nm, d-1㎛, e-30nm)
도 2에서 A는 일반적인 전극(a)과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로 코팅된 전극(b)의 CV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주사속도 변화에 따른 CV를 나타낸 것이고, C는 주사속도 변화에 따른 피크전류, D는 주사속도의 제곱근에 따른 피크전류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에서 A 내지 C는 아세토니트릴 용액의 수분 함량 변화, 적용 전위 변화 및 적용 온도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의 전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에서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전극 및 칼피셔법에 따른 수분 함량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3)

  1. 유리 슬라이드를 이소프로판올로 전처리하는 단계;
    유리 슬라이드를 실란 화합물로 코팅하는 단계;
    유리 슬라이드에 금을 진공증착하는 단계;
    얻어진 금 전극을 반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분할된 전극 간의 간격을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비수성 용매 중의 수분 함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화합물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르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이오도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실란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1,5-디아미노나프탈렌) 나노섬유는 염화제이철을 촉매로 사용하고, 메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촉매적 화학 중합법에 의해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
KR1020080074647A 2008-07-30 2008-07-30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 KR10103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647A KR101037518B1 (ko) 2008-07-30 2008-07-30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647A KR101037518B1 (ko) 2008-07-30 2008-07-30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121A KR20100013121A (ko) 2010-02-09
KR101037518B1 true KR101037518B1 (ko) 2011-05-26

Family

ID=4208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647A KR101037518B1 (ko) 2008-07-30 2008-07-30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9338B (zh) * 2017-05-27 2020-03-31 郑州大学 一种微型电阻式湿度传感器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097B1 (ko) * 2001-10-29 2004-09-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세텔렌카본블랙이 첨가된 1,5-디아미노나프탈렌 중합체를 이용한 습도센서 감지막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습도센서 감지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097B1 (ko) * 2001-10-29 2004-09-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세텔렌카본블랙이 첨가된 1,5-디아미노나프탈렌 중합체를 이용한 습도센서 감지막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습도센서 감지막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alytical Chemistry, 63(1),1991, Charles A. Goss et al., pp.85-8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121A (ko) 2010-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lat et al. Molecularly imprinted electrochemical impedance sensor for sensitive dibutyl phthalate (DBP) determination
Mozaffari et al. Urea impedimetric biosensor based on reactive RF magnetron sputtered zinc oxide nanoporous transducer
Ram et al. Nano-assembly of glucose oxidase on the in situ self-assembled films of polypyrrole and its optical, surface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s
Gupta et al. Polymelamine modified edge plane pyrolytic graphite sensor for the electrochemical assay of serotonin
Peng et al. An electrochemical sensor for paracetamol based on an electropolymerized molecularly imprinted o-phenylenediamine film on a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Tyagi et al. Glad assisted synthesis of NiO nanorods for realization of enzymatic reagentless urea biosensor
Ha et al. Novel structured light-addressable potentiometric sensor array based on PVC membrane for determination of heavy metals
Badhulika et al. Poly (3-aminophenylboronic acid)-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based chemiresistive sensors for detection of sugars
WO1996004398A1 (en) Electrodes and their use in analysis
CN113406154B (zh) 一种三维水凝胶-石墨烯基生物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03901089A (zh) 检测神经细胞电生理信号的传感器及制作方法和检测方法
Oztekin et al. Electrochemical copper (II) sensor based on self-assembled 4-amino-6-hydroxy-2-mercaptopyrimidine monohydrate
He et al. Influence of hydrophobization of the polyazulene ion-to-electron transducer on the potential stability of calcium-selective solid-contact electrodes
Lupu et al. Development of a potentiometric biosensor based on nanostructured surface for lactate determination
US20180338712A1 (en) Mutli-probe microstructured arrays
Buendía et al. Plasma‐treated polyethylene as electrochemical mediator for enzymatic glucose sensors: Toward bifunctional glucose and dopamine sensors
Emadoddin et al. An antifouling impedimetric sensor based on zinc oxide embedded polyvinyl alcohol nanoplatelets for wide range dopamine determination in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 ascorbic acid
Zhang et al. A novel electrochemical sensor based on reduced graphene oxide–TiO 2 nanocomposites with high selectivity for the determination of hydroxychloroquine
Bandyopadhyay et al. Impedance analysis of self-assembled naphthalene disulfide monolayer on gold using external redox probes
Shahrokhian et al. Investigation of the electrochemical behavior of tizanidine on the surface of glassy carbon electrode modified with multi-walled carbon nanotube/titan yellow–doped polypyrrole
Trojanowicz et al. Bilayer lipid membrane glucose biosensors with improved stability and sensitivity
Syu et al. Ionic effect investigation of a potentiometric sensor for urea and surface morphology observation of entrapped urease/polypyrrole matrix
KR101037518B1 (ko) 수분 센서의 제조방법
Arora et al. Reagentless uric acid biosensor based on Ni microdiscs-loaded NiO thin film matrix
US11619602B2 (en) Three-dimensional hydrogel-graphene-based biosens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