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042B1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stability - Google Patents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stab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7042B1 KR101037042B1 KR1020070127325A KR20070127325A KR101037042B1 KR 101037042 B1 KR101037042 B1 KR 101037042B1 KR 1020070127325 A KR1020070127325 A KR 1020070127325A KR 20070127325 A KR20070127325 A KR 20070127325A KR 101037042 B1 KR101037042 B1 KR 1010370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ondary battery
- pouch type
- type secondary
- safety
-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전 벤트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t least one safety vent on at least one electrode tab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 탭으로 사용되는 금속 플레이트에 미세한 홀을 만들어 안전 벤트를 구비하고, 여기에 각형이나 원통형에서 사용되는 안전소자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전지가 abuse 상황에 노출되더라도,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의 벤팅이 예측가능하여 용이하게 벤팅될 수 있도록 하여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afety vent by making a fine hole in a metal plate used as an electrode tab, and provided with a safety element used in a square or a cylindrical shape, even when the battery is exposed to an abuse situation, The venting of gas generated in the gas can be predicted easily and can be easily vented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battery.
안전벤트*안전소자*이차전지*파우치*전극탭 Safety vent * safety device * secondary battery * pouch * electrode tab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탭에 미세한 홀의 안전 벤트를 부착시킴으로써 전지 내부의 가스 방출을 예측할 수 있어 안전하게 벤팅시킬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safe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safely venting by predicting gas discharge inside a battery by attaching a safety vent of a minute hole to an electrode tab. .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and accordingly, a lot of researches on batteries that can meet various demands have been conducted.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전지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안전성이 우수한 리튬 코발트 폴리머 전지와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Representatively, there is a high demand for square and pouch type batteries that can be applied to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with a thin thickness in terms of shape of batteries, and lithium, such as lithium cobalt polymer batteries, which has excellent energy density, discharge voltage, and safety in terms of materials.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is high.
이러한 이차전지에서 주요 연구과제 중의 하나는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내부 단락, 허용된 전류나 전압을 초과한 충전상태, 고온에의 노출, 낙하 등에 의한 충격 등과 같은 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 상 태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전지 내부의 고온 및 고압에 의해 전지의 폭발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한 하나의 경우로서,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낙하 또는 외력의 작용 등과 같은 충격시 내부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One of the major challenges in such secondary batteries is to improve safety. In general,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subject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side the battery, which may be caused by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of the battery, such as internal short circuits, charged states exceeding the allowable current or voltage, exposure to high temperatures, impact from drops, and the like. This may cause an explosion of the battery. In one such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may generate an internal short circuit upon impact such as a drop or an action of external force.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동력원으로도 주목받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have been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for wireless mobile devices. 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power source of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etc., which are proposed as a solution for air pollution of conventional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들은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 시스템이 사용된다. 그러한 중대형 전지 시스템에 단위전지로서 많이 사용되는 파우치형 리튬이온 폴리머 이차전지는 소형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동일 계열의 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고 있다.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automobiles, due to the need for a high output large capacity, a large and large battery system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used. Pouch type lithium ion polymer 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frequently used as unit cells in such medium and large battery systems, have a relatively large size compared to batteries of the same series used in small devices.
통상의 파우치형 파우치형 폴리머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로부터 연장되는 전극 탭들과, 상기 전극 탭들에 용접되어 있는 전극리드 및 상기 전지부를 수용하며, 고분자 수지와 알루미늄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A conventional pouch type pouch type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mmodates an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tabs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assembly, an electrode lead welded to the electrode tabs, and the battery part, and includes a pouch type made of a polymer resin and a laminate sheet of aluminum. It consists of including a battery case.
또한, 상기 전지케이스와 전극리드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고 공기중의 수분이 전지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전극리드의 전기적 절연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얇은 수지 필름이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a thin resin film is bonded to a portion where the battery case and the electrode lead are coupled to prevent leakage of an electrolyte solution, to prevent moisture in the air from penetrating into the battery, and to secure the electrical insulation of the electrode lead.
한편, 리튬이차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한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리튬이온전지에 주로 사용되는 원통형 및 각형을 들 수 있다. 최근들어, 각광받는 리튬폴리머전지는 유연성을 지닌 소재로 제조되어 그 형상이 비교적 자유롭다. 또한, 안전성도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워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림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다고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the typical shape is a cylindrical and square that are mainly used in lithium ion batteries. In recent years, the lithium polymer battery has been in the spotlight and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ts shape is relatively free. In addition, excellent safety and light weight will be advantageous for slimming and lighten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그런데, 리튬이차전지는 과충전등에 의하여 내압이 증가하게 되면, 파우치형의 케이스는 부풀어오르는 이른바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전지부가 변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지는 국부적으로 단락이 발생할 수가 있다.However, whe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n increased internal pressure due to an overcharge lamp, a pouch-type case is called a swollen so-called swelling phenomenon. When this swelling phenomenon occurs, the battery unit is deformed. As a result, the battery may locally generate a short circuit.
또한, 과충전이나 고온에서 노출될 경우에는 전해액과 극판의 활물질층간의 반응 또는 전해액, 활물질층 자체의 분해반응으로 인하여 케이스 내부에 발화가능성이 높은 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지의 발화 또는 폭발을 유발할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overcharged or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a gas that is highly likely to ignite is generated inside the case due to the reaction between the electrolyte and th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electrode plate or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electrolyte and the active material layer itself. It can be triggered.
따라서, 전지는 내압이 일정수준 이상이 될 경우에 이를 해소하여서 스웰링 현상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파열이나 폭팔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Therefore, the battery has a high need for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safet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swelling phenomenon by preventing the breakdown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above a certain level and preventing rupture or explos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과충전이나 고온에서 노출될 경우 발생되는 여러 가지 안전성을 위협하는 요소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s devised to solve various threats to safety caused when exposed to overcharge or high temperatur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이에 본 발명에서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전극 탭으로 사용되는 금속 플레이트에 미세한 홀로 이루어진 안전 벤트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 벤트의 바깥쪽에 원통형이나 각형에서 사용되는 안전소자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의 방출을 예측할 수 있어 종래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ty vent made of fine holes in a metal plate used as an electrode tab of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nd has a safety device us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square shape on the outside of the safety vent to discharge gas generated therein. It can be predicted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in the conventional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지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극 탭으로 사용되는 금속 플레이트에 형성된 미세한 홀과, 상기 미세 홀의 외부에 형성된 안전소자를 통하여 예측 가능한 내압에서 예측가능한 방향으로 벤팅시킬 수 있어, 파우치형 전지의 안전성이 우수하다.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ented in a predictable direction at a predictable internal pressure through a minute hole formed in a metal plate used as an electrode tab and a safety device formed outside the minute hole when gas is generated in the cell. It is excellent in the safety of a pouch type batte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전 벤트를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Pouch-typ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t least one safety vent on at least one electrode tab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assembly.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통상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다음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극판, 분리막, 및 양극판(도식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10)와, 상기 전극조립체(10)로부터 연장되는 음극 및 양극의 전극 탭(20, 20'), 상기 전극 탭(20, 20')에 용접되어 있는 전극리드(30, 30'),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도식하지 않음), 전지케이스와 전극리드(30,30')의 실링을 위해 수지 필름(40)을 포함한다.A conventional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has an
특별히, 상기 도 1에서 전극리드부(30, 30')와 수지 필름부(40)를 제외하고, 전극조립체(10)와 전극 탭부(20, 20')만을 확대한 도면을 다음 도 2와 3에 나타내었다.In particular, except for the electrode leads 30 and 30 'and the
본 발명에서는 다음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전극 탭(20, 20')의 적어도 하나에 미세한 홀(50)들을 형성시켜, 이를 안전 벤트로 이용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상기 미세 홀은 약 0.05 내지 0.5mm의 평균지름을 가지는 것으로, 파우치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이라면 어떤 형상이든 한정되지 않으나, 대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상태인 케이스 의 내부로부터 고온방치시 압력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모세관 형상의 파이프가 바람직하다. The fine hole has an average diameter of about 0.05 to 0.5mm, and any shape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provides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elevated pressure from the inside of the pouch case to the outside. Capillary pipes are preferred so that the pressure can be quickly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case to the outside at high temperatures.
구체적으로 살피면, 상기 양극 또는 음극의 탭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크롬, 은, 백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극 탭은 실링된 전지의 내부와 외부의 전자 이동경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전극 탭의 금속 플레이트에 미세 홀의 형성은 파이버(Fiber)를 삽입하여 금속을 압연 성형한 후 상기 파이버를 열분해 또는 용해시켜 제거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바, 상기와 같은 지름을 가지는 미세 홀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떤 것이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pecifically, the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 tab is made of one or more met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pper, aluminum, nickel, chromium, silver, and platinum. The electrode tab serves as an electron transfer path inside and outside the sealed battery. The formation of the fine holes in the metal plate of the electrode tab uses a method of inserting a fiber to roll the metal and then thermally decomposing or dissolving the fiber to remove the fine holes. Any method that can be formed is not limited.
또한, 상기 미세 홀은 내압을 보다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 탭을 따라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나, 상기 전극 탭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 홀은 상기 음극 탭, 양극 탭, 또는 양쪽 전극의 모든 탭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fine holes may be disposed along the electrode tab in order to discharge the internal pressure more quickly, but a plurality of the minute holes may be provided within a range capable of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electrode tab. The fine holes may be formed in the negative electrode tab, the positive electrode tab, or all the tabs of both electrod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극 탭(20, 20')을 구성하는 금속 플레이트에 미세 홀(50)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미세 홀의 바깥쪽 끝 부분에 통상의 원통형이나 각형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특정 압력이 되면 벤팅되는 안전소자(6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통상 상기와 같은 안전소자(60)는 일반적으로 대기압인 1.2 기압 이상이 되면 자동적으로 벤팅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원통형이나 각형에서 사용되는 안전소자 외에도 내,외부 압력 차에 의하여 실링이 깨질 수 있는 구조, 예를 들면 고 분자 접착층이나 파쇄압력이 측정된 금속 호일 등과 같은 것들이 모두 사용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In general, the
본 발명의 이차전지에서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는 스택형(적층형) 구조, 젤리-롤(권취형) 구조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의 구조, 전해질의 구성 등에 따라, 예를 들어,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기도 하는 바, 그 중 제조비가 낮고 전해액의 누액 가능성이 적으며 전지 조립공정이 간편한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가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In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assembly embedded in the battery case may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tacked (laminated) structure and a jelly-roll (wound) structure. In general,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into, for example, lithium ion batteries,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lithium polymer batteries, etc.,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lyte. Among them,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leakag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n addition,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having a simple battery assembly process may be preferab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전해질이 함침되어 있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전극조립체를 안착한 상태에서 케이스의 접합 부위에 고온 고압을 가하여 융착시켜 제조된다.Such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applying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o a junction portion of a case by welding a pouch-type battery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in a state where an electrode assembly of an anode / separation membrane / cathode with an electrolyte is impregnated thereon.
상기 전극리드의 한쪽 단부는 전극조립체의 전극 탭들이 부착된 상태로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반대쪽 단부는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전극리드 중 양극리드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금속박편으로 되어 있고, 음극리드는 일반적으로 구리로 만들어진 금속박편으로 되어 있다. 전극 탭들은 통상적으로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전극리드에 결합되며, 상기 전극리드의 두께는 대략 200 내지 500 ㎛이다.One end of the electrode lead is positioned inside the case with the electrode tabs of the electrode assembly attached, and the opposit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mong the electrode leads, the anode lead is generally made of a metal foil made of aluminum, and the cathode lead is generally made of a metal foil made of copper. The electrode tabs are typically coupled to the electrode leads by spot welding or the like,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leads being approximately 200 to 500 μm.
상기 수지 시트는 전지케이스와 전극리드의 결합 부위에 개재되며, 일반적으로 PP, PE 등의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100 ~ 300 ㎛ 두께를 가진다. The resin sheet is interposed at the bonding portion of the battery case and the electrode lead, generally made of a polymer resin such as PP, PE, and has a thickness of 100 ~ 300 ㎛.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Example 1 : 음극 1: cathode 탭에On the tab 안전 safety 벤트를Vent 구비한 이차전지의 Of secondary battery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음극판/분리막/양극판으로 구성된 전극조립체의 상기 음극판에 연결된 두께 0.3mm의 구리 플레이트의 음극 탭에 0.1mm의 지름을 가지는 미세 홀을 형성시켰다. 또한, 상기 미세 홀의 끝부분에 1.2기압에서 파쇄되는 알루미늄 플레이트를 용접하여 형성시켰다.Fine holes having a diameter of 0.1 mm were formed in the negative electrode tab of the copper plate having a thickness of 0.3 mm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assembly consisting of a negative plate / separator / anode plate. In addition, an aluminum plate fractured at 1.2 atm was welded to the end of the fine hole.
그 다음, 알루미늄 호일(양극용 리드)과 구리 호일(음극용 호일)을 상기 각각의 전극 탭에 용접하여 부착하고, 그것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PP 성분의 수지 필름을 부착하였다. 상기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상기 전극조립체를 장착한 후 1M LiPF6를 함유한 카보네이트계 리튬 전해액을 주입한 후, 시트를 열융착하여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를 제조하였다.Then, an aluminum foil (anode lead) and a copper foil (anode foil) were welded to each of the electrode tabs, and a resin film of PP component was attached to its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After mounting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pouch-type case of the aluminum laminate sheet and injecting a carbonate-based lithium electrolyte containing 1M LiPF 6 , the sheet was heat-sealed to manufacture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실시예Example 2 : 양극 2: anode 탭에On the tab 안전 safety 벤트를Vent 구비한 이차전지의 Of secondary battery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음극판/분리막/양극판으로 구성된 전극조립체의 상기 양극판에 연결된 두께 0.5mm의 알루미늄 플레이트의 양극 탭에 0.1mm의 지름을 가지는 미세 홀을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를 제조하였다. Lithium ion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fine holes having a diameter of 0.1 mm are formed in the positive electrode tab of the aluminum plate having a thickness of 0.5 mm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assembly consisting of a negative electrode plate, a separator, and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polymer cell was produced.
실시예Example 3 : 음극 3: cathode 탭과Tab and 양극 anode 탭에On the tab 안전 safety 벤트를Vent 구비한 이차전지의 Of secondary battery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음극판/분리막/양극판으로 구성된 전극조립체에서, 상기 양극판에 연결된 두께 1.0mm의 알루미늄 플레이트의 양극 탭에 0.5mm의 지름을 가지는 미세 홀과, 상기 음극판에 연결된 두께 1mm의 구리 플레이트의 음극 탭에 0.5mm의 지름을 가지는 미세 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각각의 미세 홀 끝부분에 1.2기압에서 파쇄되는 것이 검증된 알루미늄 플레이트 안전 소자를 용접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를 제조하였다. In an electrode assembly consisting of a cathode plate / separator / anode plate, 0.5 mm diameter hole in the positive electrode tab of the aluminum plate 1.0 mm thick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0.5 mm in the negative electrode tab of th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음극 또는 양극 탭에 어떠한 미세 홀을 이용한 벤팅 장치도 구성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를 제조하였다.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no venting device using any fine holes was formed in the negative electrode or the positive electrode tab.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safety of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as follow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Overcharge test : 55℃의 챔버(chamber)에서 SOC 0%의 전지를 1℃-rate로 SOC 200%까지 충전시켜, 다음을 측정하였다. -Overcharge test: In a chamber of 55 ℃ (Camber), the SOC 0% of the battery was charged to 200% SOC at 1 ℃ -rate, the following was measured.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탭에 안전 벤트를 구비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절대적으로도 안전하며, 예측 가능한 안전성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표 1의 EUCAR Hazard levels에서 5는 파열이나 폭발은 없지만, 화염 또는 불꽃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하며, 3은 어떤 벤팅이나, 화염 또는 불꽃이 없고, 단지 전해질(용매+염)의 50% 미만의 무게 손실이 날 정도의 전해액 누출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기준은 다음 표 2와 같다. 이러한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벤트를 구비한 이차전지는 비교예에 비해 안전성이 크게 향상됨이 입증되었다. As can be seen in Table 1,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ving a safety vent on at least one or more electrode tabs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bsolutely safe and can obtain predictable safety results. In EUCAR Hazard levels of Table 1, 5 means no rupture or explosion, but it causes a flame or flame, and 3 means no venting, flame or flame, and only weighs less than 50% of the electrolyte (solvent + salt). This means that there is a loss of electrolyte leakage, and specific criteria are shown in Table 2 below. As can be seen from these results, the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a safety v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ved to significantly improve safety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levelHazard
level
D mass < 50%Leakage
D mass <50%
D mass > 50%Venting
D mass> 50%
(electrolyte = solvent + salt)No fire or flame; no rupture; no explosion. Weight loss> 50% of electrolyte weight
(electrolyte = solvent + salt)
도 1은 통상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이고,1 is a conventional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극 탭에 안전벤트를 구비한 예이고,2 is an example provided with a safety vent on at least one electrode t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전벤트의 말단부에 안전 소자를 구비한 예이다.Figure 3 is an example provided with a safety element at the distal end of the safety 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
10 : 전극조립체 20, 20': 전극 탭10:
30, 30': 전극리드 40 : 수지 필름30, 30 ': electrode lead 40: resin film
50 : 미세 홀 60 : 안전 소자 50: fine hole 60: safety devic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7325A KR101037042B1 (en) | 2007-12-10 | 2007-12-10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stab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7325A KR101037042B1 (en) | 2007-12-10 | 2007-12-10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stabil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0497A KR20090060497A (en) | 2009-06-15 |
KR101037042B1 true KR101037042B1 (en) | 2011-05-26 |
Family
ID=4099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7325A KR101037042B1 (en) | 2007-12-10 | 2007-12-10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stab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704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19257B2 (en) | 2013-12-06 | 2016-08-16 | Hyundai Motor Company | High voltage battery for vehic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4865B1 (en) | 2011-03-10 | 2013-04-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KR101623110B1 (en) * | 2012-10-18 | 2016-05-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Electrode lead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KR101858317B1 (en) | 2015-05-07 | 2018-05-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urrent interrupt electrode lead |
WO2016178539A1 (en) | 2015-05-07 | 2016-11-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electrode lead having electrical current limiting function |
KR102080903B1 (en) * | 2015-06-08 | 2020-02-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Electrode lead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KR101786991B1 (en) | 2015-08-31 | 2017-10-18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module |
KR101766047B1 (en) | 2015-10-22 | 2017-08-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attery Cell |
KR102555751B1 (en) | 2017-10-17 | 2023-07-1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Gas Dischargeable Pouch-Type Case for Secondary Battery |
JP7225653B2 (en) * | 2018-10-04 | 2023-02-2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electrode tab |
CN114335880A (en) * | 2020-09-24 | 2022-04-12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Utmost point ear and laminate polymer batter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67281A (en) | 1997-08-26 | 1999-03-09 | Toshiba Battery Co Ltd | Battery |
KR20050073772A (en) * | 2004-01-10 | 2005-07-18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including electrode terminal having ptc-characteristics |
KR20060011312A (en) * | 2004-07-30 | 2006-02-0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KR20060033064A (en) * | 2004-10-14 | 2006-04-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condary battery having terminal with safety element |
-
2007
- 2007-12-10 KR KR1020070127325A patent/KR10103704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67281A (en) | 1997-08-26 | 1999-03-09 | Toshiba Battery Co Ltd | Battery |
KR20050073772A (en) * | 2004-01-10 | 2005-07-18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including electrode terminal having ptc-characteristics |
KR20060011312A (en) * | 2004-07-30 | 2006-02-0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KR20060033064A (en) * | 2004-10-14 | 2006-04-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condary battery having terminal with safety elemen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19257B2 (en) | 2013-12-06 | 2016-08-16 | Hyundai Motor Company | High voltage battery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0497A (en) | 2009-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7042B1 (en)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stability | |
CN107949932B (en) | Battery cell having venting structure using adhesive tape | |
KR100944987B1 (en) | Secondary Battery Having Sealing Portion of Novel Structure | |
KR100959090B1 (en)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stability | |
KR100968050B1 (en) | Battery Cell of Improved Safety | |
KR101123061B1 (en) |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Safety | |
KR102056363B1 (en) | Battery Cell | |
KR20070106814A (en) |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de with self cutting part to be destructed on application of over-current | |
US20110143177A1 (en) |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546545B1 (en) |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 |
KR20220145395A (en) | Batteries, electrical devices, manufacturing methods and manufacturing devices for batteries | |
JP2010033789A (en) | Film-armored electric device assembly | |
KR20160110090A (en) | Secondary battery | |
KR102234223B1 (en) |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Stability having Heat Expandable Tape and Method thereof | |
KR20210135141A (en) | Battery Module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ing Unit | |
KR20120060314A (en) | Secondary Battery Having Sealing Portion of Novel Structure | |
KR20090105619A (en) | Seal tap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KR20220033944A (en) |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Secondary Battery | |
KR101114781B1 (en) | Safety apparatus using chemically processed layer in the secondary battery | |
KR102053987B1 (en) | Battery Cell | |
KR100420149B1 (en) | Secondray battery applying safety device | |
KR101452028B1 (en)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Module of improved stability and Battery pack | |
KR100472511B1 (en) |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out protection circuit module | |
WO2019130711A1 (en) |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y | |
KR101678940B1 (en) | Battery cell with improved safe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