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914B1 -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914B1
KR101036914B1 KR1020090028362A KR20090028362A KR101036914B1 KR 101036914 B1 KR101036914 B1 KR 101036914B1 KR 1020090028362 A KR1020090028362 A KR 1020090028362A KR 20090028362 A KR20090028362 A KR 20090028362A KR 101036914 B1 KR101036914 B1 KR 101036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upport
conveyor belt
roll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0019A (ko
Inventor
유영청
조상훈
박태진
Original Assignee
박태진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진,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박태진
Priority to KR102009002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91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08Pro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트리퍼에서 발생하는 컨베이어벨트의 굴절이나 뒤집힘이 발생되는 곳에 수송물의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벨트의 이동 경로 면을 이어주는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가 소개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는, 수평컨베이어(20)와 경사컨베이어(30) 사이에 배치되어 그 위를 지나는 컨베이어벨트(2)를 지지하는 것으로, 일단에 회동 및 높이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롤부재(118)가 구비된 서포트컨베이어(110); 상기 힌지롤부재(118)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가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승강안내프레임(120);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타단에 마련되어 그 서포트컨베이어(110)가 컨베이어벨트(2)의 하면과 접촉 유지되게 돕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서포트컨베이어(110)의 자동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지원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롤부재(118)는,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18a); 상기 회전축(118a)으로부터 분할된 분할축(118b)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승강안내프레임(120)의 양 표면에 닿은 상태로 높이방향으로 구름운동되는 롤러(118c); 상기 승강안내프레임(120)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118c)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12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택커, 트리퍼, 컨베이어벨트, 뒤집힘, 서포트컨베이어

Description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APPARATUS FOR PROTECTION AND PREVENTING UPSET OF CONVEYOR BELT}
본 발명은 트리퍼에서 발생하는 컨베이어벨트의 굴절이나 뒤집힘이 발생되는 곳에 수송물의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벨트의 이동 경로 면을 이어주는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나 발전소에서의 원료이송공정에서 이송되는 수송물은 지정된 야드나 빈까지 운송되기 위하여 컨베이어가 사용되는바, 이 컨베이어는 여러 개의 롤러 상부를 따라 이동되는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수송물이 운송되는 것으로서, 수송물이 높은 곳으로 운송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경사방향으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경로를 변경해주는 원료적치 설비인 스택커(stacker)가 사용된다.
도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택커를 개락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2a는 종래 스택커에서 트리퍼부를 나타낸 것으로 수송물의 이송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2b는 종래 트리퍼부의 이송물 수송 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3a 및 도3b는 종래 트리퍼부의 이송물 수송 중에 발생되는 벨트의 이상 현상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먼저 도1에 도시된 스택커(1)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벨트(2)(이하, '벨트부'라 한다)의 이동방향을 경사방향으로 전환시켜 주기 위한 장치로, 상기 스택커(1)는 레일(3)을 따라 정해진 구역 내에서 이동된다.
상기 스택커(1)에는 트리퍼(tripper)부(10)가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트리퍼부(10)는 벨트부(2)가 수평방향에서 경사방향으로 전환되는 경계부 근처에 배치되는 장치로, 트리퍼부(10)의 각도는 대략 15 ~ 40도 내외이다.
상기 트리퍼부(10)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물이 실리지 않았을 경우에는 벨트 장력에 의해 컨베이어롤러(4)로부터 부상하게 되어 컨베이어롤러 전체와 완전히 밀착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송물(A)이 실리게 되면, 수송물(A)의 하중에 의해 벨트부(2)가 컨베이어롤러(4)와 접촉하면서 수송물을 트러퍼부(10)로 보내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수송물이 초기 이송될 때 또는 이송 작업 중 트리퍼부(10)가 역주행하여 상기 벨트부(2)의 이송방향이 바뀌는 경우,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퍼부(10)의 입측(즉, 벨트부(2)가 수평방향에서 경사방향으로 이송방향이 전환되는 경계 부위)에서 벨트부(2)가 과도하게 굴절되면서 벨트부(2)의 편마모 현상을 초래하고 심한 경우 벨트부(2)의 절단사고를 유발하여 결국 주변설비까지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수송물의 초기 이송시나 수송물의 하중이 벨트부(2)의 장력에 비해 가벼울 때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부(2)가 롤러로부터 부상하여 뒤집힘에 따라 다량의 수송물(A)이 낙하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고 수송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은 모두 벨트부가 수평방향에서 경사방향으로 이송될 때 그 이송방향이 전환되는 영역이 지지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어서 나타나는 현상인 것으로 분석되는 바, 본 발명은 이송방향이 전환되는 벨트부의 경계 부위를 수송물의 하중에 따라 효과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종래에 발생하던 벨트부의 굴절이나 뒤집힘 현상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벨트부 및 주변설비를 보호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컨베이어와 경사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그 위를 지나는 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는 것으로, 일단에 회동 및 높이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롤부재가 구비된 서포트컨베이어; 상기 힌지롤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컨베이어가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승강안내프레임; 상기 서포트컨베이어의 타단에 마련되어 그 서포트컨베이어가 컨베이어벨트의 하면과 접촉 유지되게 돕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컨베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서포트컨베이어의 자동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지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롤부재는, 상기 서포트컨베이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분할된 분할축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승강안내프레임의 양 표면에 닿은 상태로 높이방향으로 구름운동되는 롤러; 상기 승강안내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때 상기 서포트컨베이어는, 컨베이어벨트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사이에서 지지대와 교차방향으로 놓이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는 2개가 한조를 이루어 그 이격거리가 조정되도록 그 사이에 힌지축이 스탠드와 동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힌지축과 상기 스탠드 각각은 그 힌지축에 각각 끼워져 회전되는 한 쌍의 힌지암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힌지암들 사이에는 힌지암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탠드는 하부로 오목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그 최외측 롤러부간에 경사각이 발생되도록 설치된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탠드는 하부로 오목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수용부 상에서 가운데는 비워두고 양측에만 설치되며, 상기 빈공간으로 남겨진 수용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그 빈공간으로 남겨진 수용부 길이보다 긴 보조롤러가 설치된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힌지롤부재는, 상기 서포트컨베이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분할된 분할축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승강안내프레임의 양 표면에 닿은 상태로 높이방향으로 구름운동되는 롤러; 상기 승강안내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안내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에는 높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컨베이어의 하단부에는 승강시 그 서포트컨베이어의 하방에 있는 컨베이어롤러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로텍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서포트컨베이어에서 하부로 연장된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에 결합되고 양끝단이 상부를 향해 절곡된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지원부재는, 상기 서포트컨베이어의 타단 부근에 그 타단보다 높게 배치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1개 이상의 도르래; 상기 도르래에 감겨, 일단은 상기 서포트컨베이어의 타단에 연결된 로프; 상기 로프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량체는 다양한 중량을 갖는 것이 여러 개 마련되어, 필요한 중량에 맞추어 상기 로프 타단에 무게의 증감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벨트의 이송방향이 수평방향에서 경사방향으로 전환되는 영역에서 수송물의 하중에 무관하게 언제나 균일하게 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함으로써 컨베이어벨트의 초기 이송시나 역주행시 벨트가 굴절되거나 뒤집히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트리퍼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부(2)(컨베이어벨트(2)와 같은 의미로 본다)가 수평방향에서 경사방향으로 이송될 때 그 이송방향이 전환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종래 부상되던 컨베이어벨트(2)의 하부가 항상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장치로, 크게 서포트컨베이어(110)와 승강안내프레임(120)과 승강지원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는 종래 스택커장치를 예로 들면 수평컨베이어(20)에서 경사컨베이어(30)로 방향 전환되는 트리퍼부(10)에서, 그 수평컨베이어(20)와 경사컨베이어(30) 사이에 배치되어 그 위를 지나는 컨베이어벨트(2)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일단에는 힌지롤부재(118)가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 가 높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는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바, 먼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는 지지대(111)와 스탠드(112)와 롤러부(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지지대(111)는 수평컨베이어(20)와 경사컨베이어(30) 간에 비어있는 부분을 이어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한 쌍의 지지대(111)가 컨베이어벨트(2)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다.
상기 스탠드(112)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1) 사이에서 그 지지대(11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놓이고, 이렇게 교차하는 여러 개의 스탠드(112)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성인바, 상기 스탠드(112)에는 내부에 수용부(112a)가 형성된다.
도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탠드(112)가 상기 지지대(111)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상기 스탠드(112)가 상기 지지대(111)에 반드시 직접 연결될 필요는 없다.
상기 수용부(112a)에는 상기 롤러부(1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롤러부(113)는 1개가 일직선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컨베이어벨트(2)의 하부가 아래로 오목해지도록 감싸서 컨베이어벨트(2)가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탠드(112)가 하부로 오목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113)는 상기 컨베이어벨트(2)의 가장자리부와 접촉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분 할된 최외측 롤러부(113)간에 경사각이 발생되도록 상기 수용부(112a)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롤러부(113)가 3개로 분할되어 있는데, 그 중 가운데 것은 수평하게 배치되고 그 양측의 롤러부(113)는 그들간에 경사각이 발생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스탠드(112)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가 한조를 이루어 그 이격거리가 조정되도록 상기 스탠드(112) 사이에 힌지축(114)이 그 스탠드(112)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힌지축(114)과 상기 스탠드(112) 각각은 그 힌지축(114)에 각각 끼워져 회전되는 한 쌍의 힌지암(11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힌지암(115)들 사이에는 힌지암(115)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16)가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116)는 상기 스탠드(112)와 롤러부(113)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롤러부(113)가 모아지도록 해주며, 이렇게 상기 롤러부(113)가 상기 힌지축(114)을 중심으로 모아지면 상기 롤러부(113)의 높이가 높아져 상기 롤러부(113)가 컨베이어벨트(2)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게 도와준다.
따라서, 수송물의 초기 이송시나 수송물의 하중이 가벼운 경우 컨베이어벨트(2)가 상기 롤러부(113)에 밀착 지지되어 컨베이어벨트(2)의 뒤집힘이 방지되고 컨베이어벨트(2)의 역주행시에도 벨트 굴절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5 및 도6에는 분할된 상기 롤러부(113)들이 상기 수용부(112a)상에서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실시되었는데, 이와 같이 롤러부(113)가 분할된 상태로 경사각을 가지면서 동일선상에 배치되면 롤러부(113) 끝단에서의 간섭 문제로 롤러부(113)들을 소정 간격 띄워야 하고, 이렇게 간격을 띄우면 그 부분과 컨베이어벨트(2)의 하면이 접촉될 때 편마모 및 벨트의 끼임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112)는 제1,2실시예와 같이 하부로 오목하게 절곡 형성하되, 상기 롤러부(113)는 상기 수용부(112a) 상에서 가운데는 수용부(112a) 상태로 비워두고 양측에만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빈공간으로 남겨 둔 수용부(112a)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그 빈공간으로 남겨진 수용부(112a) 길이보다 긴 보조롤러(117)가 설치되는 것으로 구현된다.
이렇게 하면, 도7의 원내 확대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보조롤러(117)와 양측에 설치된 롤러부(113) 사이에 컨베이어벨트(2)의 폭방향으로 간격(틈)이 발생하지 않아 컨베이어벨트(2)의 하면을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롤부재(118)는 본 발명의 제1,2,3실시예에 공히 포함되어 있는 공통된 구성으로, 상기 힌지롤부재(118)는 도5에 자세하게 나타내었는바, 도5를 참조하여 상기 힌지롤부재(118)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힌지롤부재(118)는 크게 회전축(118a)과 롤러(118c)와 스톱퍼(12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회전축(118a)은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포트컨베이어(110)의 지지대(111)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축(118a)은 상기 지지대(111) 상에서 자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타단이 상하로 승강될 때 상기 회전축(118a)이 회전 중심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118a)에는 회전축(118a)으로부터 분할된 분할축(118b)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축(118b)의 끝단에는 롤러(118c)가 각각 마련되는데, 상기 롤러(118c)는 후술할 승강안내프레임(120)의 양 표면에 닿은 상태로 높이방향으로 구름운동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승강안내프레임(120)은 상기 힌지롤부재(118)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가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
상기 승강안내프레임(120)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3) 위에서 움직이는 보조프레임(121)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5의 원내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안내프레임(12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높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20a)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118c)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20a)에 끼워지는 가이드홈(118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120a)은 상기 승강안내프레임(120)의 양표면에 돌출되게 높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118c)에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레 일(120a)에 대응되는 폭으로 가이드홈(118d)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안내프레임(120)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롤러(118c)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120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스톱퍼(120b)는 상기 롤러(118c)가 어느 한계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상기 롤러(118c)에 걸리도록 상기 승강안내프레임(120)에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구현되었으나 반드시 여기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하단부에는 서포트컨베이어(110)가 승강될 때 그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컨베이어롤러(4)와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 하단부가 서로 접촉되어 그 서포트컨베이어(110) 또는 컨베이어롤러(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로텍터(119)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로 승강되기 때문에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포트컨베이어(110)가 하강될 때 그 하방에 있는 컨베이어롤러(4)와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하단부가 서로 간섭될 수도 있고 특별히 돌출되어 있는 컨베이어롤러(4)와 간섭이 일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텍터(119)는 그러한 컨베이어롤러(4)로부터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수직바(119a)와 수평바(119b)와 가이드바(119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바(119a)는 도5에 자세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 하단부 양측에서 하부로 연장된 구성이고, 상기 수평바(119b)는 상기 수직바(119a)에 연결되어 컨베이어벨트(2)의 폭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는 구성이 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119c)는 상기 수평바(119b)에 결합되고 양끝단이 마치 스키(ski)처럼 상부를 향해 절곡되는 구성으로, 상기 컨베이어롤러(4)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승강지원부재(130)는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타단에 마련되어 그 서포트컨베이어(110)가 그 위를 지나는 컨베이어벨트(2) 하면과 항상 접촉 유지되게 돕는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벨트(2)로부터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서포트컨베이어(110)의 자동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벨트(2)에 수송물이 전혀 없어서 컨베이어벨트(2)의 하중이 작다면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타단은 상기 승강지원부재(130)에 의해 위로 상승되는데, 이때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 타단의 상승량이 작다면 상기 힌지롤부재(118)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승이 이루어지지만, 그 상승량이 크다면 상기 힌지롤부재(118)가 상기 승강안내프레임(120)을 따라 동반 상승됨으로써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전체적인 상승이 이루어진다.
반면, 상기 컨베이어벨트(2)에 의해 이송되는 수송물의 중량이 크다면, 그 중량에 의해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도8과 같이 그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타단이 경사컨베이어(30)에 연결되는 형태가 된다.
즉, 상기 승강지원부재(13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2) 위에 수송물이 없거나 수송물이 적은 경우 벨트 장력에 의하여 컨베이어벨트(2)가 부상하여 뒤집히는 현 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컨베이어벨트(2)가 저중량 상태에서도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가 그 하부를 항상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지원부재(130)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바(131)와 도르래(132)와 로프(133)와 중량체(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지지바(131)는 상기 로프(133)를 걸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타단 부근에 그 타단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도르래(132)는 상기 지지바(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도르래(132)는 상기 지지바(131)에 1개가 설치되어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처럼 2개 이상으로 설치되면 중량체(134)와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타단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로프(133)는 상기 도르래(132)에 감기는 구성으로, 상기 로프(133)의 일단은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로프(133)의 타단에는 중량체(134)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중량체(134)는 중량 조절이 편하도록 다양한 중량을 갖는 것이 여러 개 마련되어, 필요한 중량에 맞추어 상기 로프(133) 타단에 무게의 증감이 가능하도록 끼워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도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택커를 개락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2a는 종래 스택커에서 트리퍼부를 나타낸 것으로 수송물의 이송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b는 종래 트리퍼부의 이송물 수송 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3a 및 도3b는 종래 트리퍼부의 이송물 수송 중에 발생되는 벨트의 이상 현상을 나타낸 참고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트리퍼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컨베이어벨트 4 : 컨베이어롤러
20 : 수평컨베이어 30 : 경사컨베이어
110 : 서포트컨베이어 111 : 지지대
112 : 스탠드 113 : 롤러부
114 : 힌지축 115 : 힌지암
116 : 탄성부재 117 : 보조롤러
118 : 힌지롤부재 118a : 회전축
118b : 분할축 118c : 롤러
118d : 가이드홈 119 : 프로텍터
120 : 승강안내프레임 120a : 가이드레일
120b : 스톱퍼 130 : 승강지원부재
131 : 지지바 132 : 도르래
133 : 로프 134 : 중량체

Claims (11)

  1. 수평컨베이어(20)와 경사컨베이어(30) 사이에 배치되어 그 위를 지나는 컨베이어벨트(2)를 지지하는 것으로, 일단에 회동 및 높이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롤부재(118)가 구비된 서포트컨베이어(110); 상기 힌지롤부재(118)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가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승강안내프레임(120); 및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타단에 마련되어 그 서포트컨베이어(110)가 컨베이어벨트(2)의 하면과 접촉 유지되게 돕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서포트컨베이어(110)의 자동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지원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롤부재(118)는,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18a); 상기 회전축(118a)으로부터 분할된 분할축(118b)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승강안내프레임(120)의 양 표면에 닿은 상태로 높이방향으로 구름운동되는 롤러(118c); 상기 승강안내프레임(120)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118c)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12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는,
    컨베이어벨트(2)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쌍의 지지대(111);
    상기 지지대(111) 사이에서 그 지지대(111)와 교차방향으로 놓이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부(112a)가 형성된 스탠드(112);
    상기 스탠드(112)의 수용부(11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112)는 2개가 한 조를 이루어 그 이격거리가 조정되도록 그 사이에 힌지축(114)이 스탠드(112)와 동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힌지축(114)과 상기 스탠드(112) 각각은 그 힌지축(114)에 각각 끼워져 회전되는 한 쌍의 힌지암(11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힌지암(115)들 사이에는 힌지암(115)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1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112)는 하부로 오목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113)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그 최외측 롤러부(113)간에 경사각이 발생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112)는 하부로 오목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113)는 상기 수용부(112a) 상에서 가운데는 비워두고 양측에만 설치되며, 상기 빈공간으로 남겨진 수용부(112a)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그 빈공간으로 남겨진 수용부(112a) 길이보다 긴 보조롤러(1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프레임(120)의 적어도 일측에는 높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20a)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20a)에 끼워지는 가이드홈(118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하단부에는 승강시 그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하방에 있는 컨베이어롤러(4)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로텍터(119)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119)는,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에서 하부로 연장된 수직바(119a);
    상기 수직바(119a)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바(119b);
    상기 수평바(119b)에 결합되고 양끝단이 상부를 향해 절곡된 가이드 바(119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원부재(130)는,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타단 부근에 그 타단보다 높게 배치되는 지지바(131);
    상기 지지바(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1개 이상의 도르래(132);
    상기 도르래(132)에 감겨, 일단은 상기 서포트컨베이어(110)의 타단에 연결된 로프(133); 및
    상기 로프(133)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중량체(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134)는 다양한 중량을 갖는 것이 여러 개 마련되어, 필요한 중량에 맞추어 상기 로프(133) 타단에 무게의 증감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KR1020090028362A 2009-04-02 2009-04-02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KR101036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362A KR101036914B1 (ko) 2009-04-02 2009-04-02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362A KR101036914B1 (ko) 2009-04-02 2009-04-02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019A KR20100110019A (ko) 2010-10-12
KR101036914B1 true KR101036914B1 (ko) 2011-05-25

Family

ID=4313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362A KR101036914B1 (ko) 2009-04-02 2009-04-02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2445A (zh) * 2013-07-02 2013-10-02 无锡天惠塑机有限公司 便拆结构玉米输送机
KR102624076B1 (ko) * 2023-04-10 2024-01-11 주식회사 마블유통 육류 절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236A (ko) * 2000-12-05 2002-06-15 이구택 수송용 벨트의 트리퍼부 수송물 이탈 방지장치
KR20050003705A (ko) * 2003-07-04 2005-01-12 주식회사 포스코 조광조 트리퍼의 벨트 보호장치
KR100622825B1 (ko) * 2005-03-21 2006-09-19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빈 트리퍼의 낙광방지 장치
KR100838152B1 (ko) * 2008-03-25 2008-07-03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벨트 컨베이어용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236A (ko) * 2000-12-05 2002-06-15 이구택 수송용 벨트의 트리퍼부 수송물 이탈 방지장치
KR20050003705A (ko) * 2003-07-04 2005-01-12 주식회사 포스코 조광조 트리퍼의 벨트 보호장치
KR100622825B1 (ko) * 2005-03-21 2006-09-19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빈 트리퍼의 낙광방지 장치
KR100838152B1 (ko) * 2008-03-25 2008-07-03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벨트 컨베이어용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019A (ko) 201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168B1 (ko) 이동형 이송물 낙하장치
KR101036914B1 (ko)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KR101129280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605242B1 (ko)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US2909273A (en) Extensible conveyors
KR20120119024A (ko) 벨트 가이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경사운송장치
KR101615022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060829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평대차 이탈 방지장치
CN102910413A (zh) 传输散装材料的传输装置
KR101411848B1 (ko) 이송물 충돌 방지용 슈트
CN207209465U (zh) 驼峰伸缩皮带输送机
CN110217602A (zh) 堆叠垛盘拆分装置、其拆分方法及垛盘输送系统
KR20020052738A (ko) 롤러마모 방지용 스탠드장치
KR20140079672A (ko) 컨베이어 벨트용 낙광방지 장치
KR100524598B1 (ko) 수송용 벨트의 뒤집힘 방지장치
US3247950A (en) Live roller conveyor
KR100916045B1 (ko) 스태커의 밸트 뒤집힘 방지장치
CN219635594U (zh) 一种旋转顶升移载机
JP2022129265A (ja) ベルトコンベヤに於けるベルトの浮き上がり防止及び蛇行抑制装置
CN211197561U (zh) 果箱输送装置
KR0118971Y1 (ko) 트리퍼 선단부에서의 벨트 뒤집힘 방지구
AU2018234376B2 (en) Vertical tensioning system for a conveyor belt arrangement
SE441519B (sv) Transportor for massgods med endlost transportband
CN108045989B (zh) 松包装置
KR20020046591A (ko) 언로더 슈트 방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