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901B1 - 키패드 구조 - Google Patents

키패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901B1
KR101036901B1 KR1020080067641A KR20080067641A KR101036901B1 KR 101036901 B1 KR101036901 B1 KR 101036901B1 KR 1020080067641 A KR1020080067641 A KR 1020080067641A KR 20080067641 A KR20080067641 A KR 20080067641A KR 101036901 B1 KR101036901 B1 KR 101036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keypad structure
keypad
sensor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146A (ko
Inventor
이창세
Original Assignee
(주)미성포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성포리테크 filed Critical (주)미성포리테크
Priority to KR1020080067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9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01L5/003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applying a push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키패드와는 달리 기계식 버튼으로 on/off를 입력하는 방식이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힘센서를 사용하여 동작명령을 입력받는 키패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키패드 구조는 투명한 재질의 접촉층; 접촉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인쇄 영역과 미인쇄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층; 접촉층의 하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힘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층; 및 센서층의 타면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힘센서의 결합 정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지지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키패드 구조는 키패드 구조가 사용되는 전자/통신 기기(예, 휴대폰)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슬림화가 가능하고 소형화도 가능한바, 키패드 구조를 사용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디자인 외관을 수려하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키패드에 비하여 작은 세기의 누름힘으로도 조작이 가능하고, 누름힘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키패드, 센서

Description

키패드 구조{Key-pad structure}
본 발명은 키패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키패드와는 달리 기계식 버튼으로 on/off를 입력하는 방식이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힘센서를 사용하여 동작명령을 입력받는 키패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전자/통신 기기에서 사용되는 장치로,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키패드는 모바일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키패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최상부에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의 복수개의 키(12)가 배열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실리콘 고무판(10)이 접착되어 있다. 실리콘 고무판(10)의 하부에는 메탈 돔(22)이 다수 부착되어 있는 시트(20)가 있고, 시트(20)의 하부에는 매트릭스 스위치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PCB 또는 FPCB(3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키패드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명령을 입력받는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1) 등으로 키(12)를 누르면, 키(12)는 사용자의 누름힘에 의하여 아래로 이동하고, 키(12)의 하부에 위치한 메탈 돔(22)에 누름힘이 작용하면서, 스위치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PCB 또는 FPCB(30)를 통해 동작명령이 입력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키패드는 키(12)가 돌출된 형상으로 요철이 있기 때문에 전체 두께가 두껍게 되는 문제가 있어, 전자/통신 기기의 소형화와 슬림화를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키패드면에 요철로 인하여 먼지나 수분 등의 외부 오염물질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고, 단순 기계적인 on/off동작으로 신뢰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버튼식이 아닌 힘센서를 이용하여 키패드에 작용히는 누름힘을 감지하도록 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키패드가 사용되는 전자/통신 기기를 소형화하고 슬림화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키패드 구조는 투명한 재질의 접촉층;
접촉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인쇄 영역과 미인쇄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층;
접촉층의 하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힘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층; 및
센서층의 타면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힘센서의 결합 정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층와 상기 지지층 사이에는, 복수개의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와 접착층을 포함하는 돌기층;이 더 부가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촉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폴리우레탄(PU) 필름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은 스크린 인쇄법 또는 스프레이 페인팅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층은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돌기의 경도는 70~90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돌기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은 양면 폼 테이프 또는 고분자 테이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힘센서는 누름힘의 세기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힘센서는 멤브레인 방식의 힘센서, 접촉저항방식의 힘센서 또는 정전용량 방식의 힘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힘센서는 인쇄층의 미인쇄 영역의 하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돌기는 힘센서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키패드 구조의 총 두께는 1~1.5mm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층은 인쇄 영역과 미인쇄 영역의 경계에 의하여 숫자, 문자 또는 기호가 표시된다.
또한, 지지층의 하부에는 소정의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조명부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백라이트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키패드 구조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누름힘을 버튼 방식이 아닌 힘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함으로써, 키패드 구조가 사용되는 전자/통신 기기(예, 휴대 폰)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슬림화가 가능하고 소형화도 가능한바, 키패드 구조를 사용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디자인 외관을 수려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힘센서를 사용하므로 작은 누름힘도 검출할 수 있어, 종래의 키패드에 비하여 작은 세기의 누름힘으로도 조작이 가능하고, 누름힘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키패드 구조>
도 3은 본 발명인 키패드 구조(100)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키패드 구조(100)는 최상층인 접촉층(110), 인쇄층(120), 센서층(130), 지지층(150) 등을 포함한다.
접촉층(110)은 사용자의 손가락(1) 등이 접촉하는 부재로서, 본 발명인 키패드 구조(100)의 최상층에 해당한다. 접촉층(110)은 이하에서 설명할 조명부(200)에서 발광된 빛(202)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므로,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접촉층(110)의 투명한 재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폴리우레탄(PU) 필름등을 사용할 수 있다. PET 필름은 내열성, 강성, 전기적 성질 등이 뛰어나고, 높은 온도에 오랫동안 있어도 극한 강도가 약간만 줄어든다. 또한, 강화 PET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내열성이 매우 우수하고 피로강도, 전기적 특성 등도 우수하며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덜 받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PU 필름은 탄성과 인장강도가 매우 뛰어나고, 내마모성이 좋다. 또한, 기름기와 각종 오염도 막아주고, 고신율이 500%이상(실제 길이보다 5배 이상 더 늘어남)이상이기 때문에 각종 곡면에도 쉽게 적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인쇄층(120)은 접촉층(1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인쇄 영역(122)과 미인쇄 영역(124)을 포함한다. 인쇄 영역(122)과 미인쇄 영역(124)의 경계에 의하여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예, 1,2,8)나 문자(예, ㅁ,ㅏ,A) 또는 기호(예,*,#)의 경계가 형성된다. 도 3은 인쇄층(120)이 접촉층(110)의 하부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층(120)이 접촉층(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접촉층(110)의 상부가 평활한 면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접촉층(110)의 상부면을 평활하게 함으로써, 요철이 형성된 종래의 키패드와 달리 외부의 오염물질이 포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키패드 구조(100)의 하부에는 조명부(2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때 조명부(200)에서 발광되는 빛(202)이 인쇄층(120)의 미인쇄 영역(124)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인쇄층(120)의 인쇄 영역(122)은 조명부(200)의 빛(202)이 투과하지 못한다.
인쇄층(120)은 스크린 인쇄법 또는 스프레이 페인팅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 영역(122)을 이루는 물질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의 범위에서 자명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센서층(130)은 사용자가 접촉층(110)을 통하여 인가하는 누름힘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힘센서(132)를 포함한다. 힘센서(132)는 누름힘의 세기를 전기적 신호로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 정전용량방식의 힘센서, 멤브레인 방식의 힘센서, 접촉저항방식의 힘센서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인 키패드 구조(100)가 휴대폰 또는 컴퓨터의 키보드 등과 같이 많은 키를 필요로 하는 기기에 사용되는 경우, 센서층(130)에는 힘센서(132)가 복수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명부(200)에서 발광되는 빛(202)이 미인쇄 영역(124)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므로, 힘센서(132)는 미인쇄 영역(124)의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층(130)에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누름힘을 감지한 힘센서(132)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배선이 포함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조명부(200)에서 발광되는 빛(202)이 미인쇄 영역(124)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므로, 힘센서(132)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배선은 배선 영역(134)에 구비되어야 한다. 즉, 배선 영역(134)은 인쇄층(120)의 인쇄 영역(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배선은 당업자의 범위에서 자명한바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지지층(150)은 센서층(130)의 일면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힘센서(132)의 결 합 정도를 동일하게 유지시켜주고, 센서층(13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키패드 구조(100)의 제작시, 제조상의 오차 등으로 인하여 힘센서(132) 각각의 결합 정도가 다르다면, 누름힘의 인가시 각각의 힘센서(132)는 동일한 센싱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신호의 왜란이 발생한다. 즉, 더 강하게 결합된 힘센서(132)는 그렇지 못한 힘센서(132)에 비하여 민감도가 커지고, 검출신호에 왜란의 발생 정도가 심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층(150)은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돌기층(140)은 센서층(130)와 지지층(150)의 사이에 구비되어, 센서층(13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힘센서(132)의 센싱기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돌기층(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42)와 접착층(144)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돌기(142)는 센서층(130)에 포함된 힘센서(13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돌기(142)가 구비되지 않은 영역에는 접착층(144)이 구비된다. 다만, 조명부(200)에서 발광되는 빛(202)이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위한 인쇄층(120)의 미인쇄 영역(124)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접착층(144)이 구비되어서는 아니된다. 돌기(142)의 경도는 70~90임이 바람직하고, 돌기(142)일예로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돌기(142)의 형상은 힘센서(132)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접착층(144)의 일예로 양면 폼 테이프, 고분자 접착제, 고분자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열접착제를 융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조명부(200)는 본 발명인 키패드 구조(100)의 하부에 포함되어, 소정의 색상을 갖는 빛(202)을 발생시킨다. 조명부(200)의 일예로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 유 닛(Back Light Unit:BLU)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키패드 구조(100)가 휴대폰에 사용되는 경우,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키패드 구조(100)가 휴대폰(500)에 사용되는 경우, 휴대폰(500)의 크기와 사용목적 등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인 키패드 구조(100)의 총 두께는 1~1.5mm가 됨이 바람직하다. 1mm보다 얇으면 강도가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두께가 너무 두껍게 형성된다면, 센서층(130)에 구비된 힘센서(132)에 까지 누름힘의 전달이 용이하지 않아 센싱이 둔감해지고, 주위의 다른 힘센서(132)까지 영향을 줄 수 있어 정확한 신호의 검출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인 키패드 구조(100)가 휴대폰(500)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의 두께와 크기를 고려할 때, 접촉층(110)의 두께는 약 0.188mm, 인쇄층(120)의 두께는 약 10~20㎛, 센서층(130)의 두께는 0.3mm, 지지층(150)의 두께는0.6mm이상이 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재질의 접촉층(110)을 넓게 형성하고, 접촉층(110)에 인쇄층(120)을 형성하지 않거나, 인쇄층(120)의 미인쇄 영역(124)을 넓게 형성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영역(D)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영역(D)의 하부에 LCD 패널과 같은 액정패널(300)을 위치시켜 하나의 온전한 휴대폰(500)을 제작할 수도 있다.
< 변형예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인쇄층(120)은 금속판 또는 불투명 필름 등의 재료를 조명부(200)의 빛(202)이 통과하는 미인쇄 영역(124)만큼 펀칭하는 방법 등으로 제작되어 접촉층(110)의 일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은 인쇄층(120)이 접촉층(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인쇄층(120)이 접촉층(110)의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키패드 구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숫자키가 하나의 키패드 구조에 구비되는 경우 이외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키에 하나의 키패드 구조(100)가 구비되도록 소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키패드 구조(100)를 하나의 숫자키로 만들어, 복수개의 숫자키, 즉 복수개의 키패드 구조(100)를 결합한다. 그러면 도 7의 경우처럼, 하나의 완전한 숫자입력장치(600)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인 키패드 구조(100)는 앞서 설명한 휴대폰(500)에 사용되는 경우 외에도, 세탁기, 에어컨, 오디오 등의 생활가전기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어장치(700)에 활용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의 키패드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키패드에 누름힘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의 측단면도,
도 2b는 종래의 키패드에 누름힘이 인가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구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구조가 휴대폰에 적용된 경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구조가 하나의 숫자키로 제작되는 경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숫자키가 복수개 결합되어 숫자입력장치로 사용되는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구조가 자동차의 제어시스템에 사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손가락
10: 실리콘 고무판
12: 키
20: 시트
22: 메탈 돔
30: PCB 또는 FPCB
100: 키보드 구조
110: 접촉층
120: 인쇄층
122: 인쇄 영역
124; 미인쇄 영역
130: 센서층
132; 힘센서
134: 배선 영역
140: 돌기층
142: 돌기
144: 접착층
150: 지지층
200: 조명부
300: 액정 패널
500: 휴대폰
600: 숫자입력장치
700: 제어장치

Claims (16)

  1. 투명한 재질의 접촉층;
    상기 접촉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인쇄 영역과 미인쇄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층;
    상기 접촉층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미인쇄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힘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층;
    상기 센서층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힘센서의 결합 정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지지층;
    상기 센서층과 상기 지지층 사이에는 상기 복수개의 힘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경도 70~90으로 구비되어 상기 힘센서의 센싱 기능을 증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접착층을 포함하는 돌기층; 및
    상기 지지층의 하부에는 소정의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폴리우레탄(PU)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스크린 인쇄법 또는 스프레이 페인팅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구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양면 폼 테이프 또는 고분자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힘센서는 누름힘의 세기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힘센서는 멤브레인 방식의 힘센서, 접촉저항방식의 힘센서 또는 정전용량 방식의 힘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구조.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힘센서의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구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구조의 총 두께는 1~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구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인쇄 영역과 미인쇄 영역의 경계에 의하여 숫자, 문자 또는 기호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구조.
  15. 삭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백라이트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구조.
KR1020080067641A 2008-07-11 2008-07-11 키패드 구조 KR101036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641A KR101036901B1 (ko) 2008-07-11 2008-07-11 키패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641A KR101036901B1 (ko) 2008-07-11 2008-07-11 키패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46A KR20100007146A (ko) 2010-01-22
KR101036901B1 true KR101036901B1 (ko) 2011-05-25

Family

ID=4181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641A KR101036901B1 (ko) 2008-07-11 2008-07-11 키패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39B1 (ko) 2013-04-30 2020-03-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
KR101701432B1 (ko) * 2015-01-30 2017-02-03 코스텍코리아 주식회사 주차타워 입출차 예약 또는 관리 시스템의 차량 입출차 인식장치 및 그의 주차타워 입출차 키오스크 및 그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702A (ko) * 2001-09-21 2004-04-29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입력 장치, 컴퓨터 장치, 입력 대상의 인식 방법,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입력 대상의 인식 방법 및컴퓨터 프로그램
KR200435702Y1 (ko) * 2006-09-22 2007-02-08 신현석 초박막 키 패드
KR100842551B1 (ko) * 2006-10-30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702A (ko) * 2001-09-21 2004-04-29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입력 장치, 컴퓨터 장치, 입력 대상의 인식 방법,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입력 대상의 인식 방법 및컴퓨터 프로그램
KR200435702Y1 (ko) * 2006-09-22 2007-02-08 신현석 초박막 키 패드
KR100842551B1 (ko) * 2006-10-30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46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1665B (zh) 键区
US8013262B2 (en) Key sheet
US8207872B2 (en) Mechanical keypad with touch pad function
KR100842551B1 (ko) 키 패드 어셈블리
JP4858787B2 (ja) 入力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子機器
EP3652622A1 (en) Illuminated device enclosure with dynamic trackpad
CN101636710A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可适配用户接口和机制
CN101622589A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可适配用户接口和机制
KR101410175B1 (ko) 터치 키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US20110050582A1 (en)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US8466383B2 (en) Illuminant human interface device
CN101622590A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可适配用户接口和机制
KR101036901B1 (ko) 키패드 구조
CN101425418B (zh) 输入面板及运用此输入面板的可携式电子装置
CN111917405B (zh) 力敏电容传感器
JP2007052975A (ja) 静電容量式スイッチ及びその電極構造
JP2013061854A (ja) キーボード装置およびこのキーボード装置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US7271743B2 (en) Switch arrangement and a switch matrix structure for a keypad
JP2013058415A (ja) 操作スイッチ
KR101534855B1 (ko) 버튼 입력 장치
KR100790560B1 (ko) 초박막 키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127711A1 (en) Touch tracking optical input device
JP2014235893A (ja) コントロールパネル
JP2011154563A (ja) キーボー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435696Y1 (ko) 초박막 키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