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736B1 - 무선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736B1
KR101036736B1 KR1020110005192A KR20110005192A KR101036736B1 KR 101036736 B1 KR101036736 B1 KR 101036736B1 KR 1020110005192 A KR1020110005192 A KR 1020110005192A KR 20110005192 A KR20110005192 A KR 20110005192A KR 101036736 B1 KR101036736 B1 KR 101036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und
controller
main bod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연수
변혜영
Original Assignee
(주)성원엔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원엔에스이 filed Critical (주)성원엔에스이
Priority to KR1020110005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한 본체에 원격으로 사용자의 명령이나 입력을 전달하고, 본체로부터 수신된 음향 등을 재생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데이타를 처리하여 음향 재생부에서 재생될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음향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를 음향 데이타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음향 처리부; 상기 음향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신호를 재생하는 음향 재생부; 외부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처리부로 전달하는 음향 입력부; 무선 제어 장치의 3차원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감지부; 사용자의 명령을 클릭, 더블클릭 및 드래그의 형태로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 패널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타를 처리하여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고, 수신된 데이타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패널부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그리고 각 구성요소로부터 전달된 데이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본체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된 데이타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타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제어 장치{A control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스마트 TV, IP-STB(Internet Protocol SetTop Box)와 같은 본체에 원격으로 사용자의 명령이나 입력을 전달하고, 본체로부터 수신된 음향 등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스마트 TV, IP-STB(Internet Protocol SetTop Box)와 같은 기기(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들 기기들을 간략히 '본체'라 한다)들은 단순히 외부 전파를 동영상으로 재생하는 텔레비전에 비해, 문자, 정지영상,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부응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에 사용자의 명령이나 데이타를 입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들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입력 장치중에서 키보드는 부피가 커서 사용자가 이를 파지한 상태로 입력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마우스는 바닥에 놓고 사용해야 하고 문자 입력 등이 불편한 문제가 상존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하고 다양한 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무선 제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감지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무선 제어 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의 영상이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제어 장치는, 본체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 제어 장치로서, 상기 본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데이타를 처리하여 음향 재생부에서 재생될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음향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를 음향 데이타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음향 처리부; 상기 음향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신호를 재생하는 음향 재생부; 외부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처리부로 전달하는 음향 입력부; 무선 제어 장치의 3차원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감지부; 사용자의 명령을 클릭, 더블클릭 및 드래그의 형태로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 패널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타를 처리하여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고, 수신된 데이타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패널부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그리고 각 구성요소로부터 전달된 데이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본체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된 데이타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타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또는 2.5GHz 대역의 무선 통신 규약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입력 패널부는: 상기 본체의 표시화면과 1:1로 대응하는 절대 위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입력 패널부는: 표면에 키보드 자판이 인쇄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이동량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중력 센서; 및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여 이동 속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3축 각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가 본체로부터 수신한 데이타를 기반으로 입력 패널부의 동작 상태를 변경시켜 터치키, 마우스, 키보드 및/또는 게임 패드로서 동작시켜 하나의 무선 제어 장치를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향 처리부에 의해 음향의 입력이나 재생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음향 입출력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본체의 음향의 입출력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2는 도1에서 제어부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 및 도2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고, 도2는 도1에서 제어부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장치(100)는 본체(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본체(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나 데이타를 전송하게 된다.
통신부(110)는 본체(10)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타를 송수신한다. 이때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또는 2.5GHz 대역의 무선 통신 규약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제조사의 사정에 따라 적외선 또는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음향 처리부(120)는 제어부(150)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데이타를 처리하여 음향 재생부(124)에서 재생될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음향 입력부(122)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를 음향 데이타로 변환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여기서, 음향 처리부(120)는 경우에 따라 음향 입력부(122)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를 제어부(150)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데이타와 합성하여 합성된 음향 데이타를 음향 재생부(124)에서 재생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음향 재생부(124)는 음향 처리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신호를 재생한다. 음향 재생부(124)는 이어폰 삽입잭을 구비하여 외부 이어폰을 접속하여 외부 이어폰이 음향 신호를 재생하게 할 수도 있고, 스피커의 형태로 직접 음향 신호를 재생할 수도 있다.
음향 입력부(122)는 외부 음향 신호를 음향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음향 입력부(122)는 마이크 삽입잭을 구비하여 외부 마이크로폰을 접속하여 음향 신호를 외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내장 마이크로폰의 형태로 직접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감지부(140)는 무선 제어 장치의 3차원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감지부(140)는 무선 제어 장치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이동량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중력 센서(142)와 무선 제어 장치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여 이동 속도 정보를 제어부(150)로 전달하는 3축 각속도 센서(144)를 포함하고, 이들을 통해 무선 제어 장치의 이동방향, 이동량 및 이동 속도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입력 패널부(130)는 사용자의 명령을 클릭, 더블클릭 및 드래그의 형태로 입력받아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이때 입력 형태의 결정은 사용자가 입력 패널부(130)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본체(10)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기반으로 제어부(150)가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입력 패널부(130)가 클릭 또는 더블클릭의 동작을 수행하게 될 경우, 본체(10)의 표시화면과 1:1로 대응하는 절대 위치 입력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입력 패널부(130)의 특정 위치를 클릭하는 단 한번의 조작으로 본체(10)의 표시화면의 특정 위치 클릭이 가능해진다. 더불어, 입력 패널부(130)는 표면에 키보드 자판이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보드 자판이 인쇄됨으로 인해, 사용자는 한번의 클릭으로 하나의 자판을 입력할 수 있어 입력의 편의성이 증가하게 된다. 인쇄되는 키보드 자판은 쿼티(QWERTY) 배치를 가질 수도 있고, 순차적인 알파벳 배치를 가질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치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타를 처리하여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고, 수신된 데이타를 기반으로 입력 패널부(130)의 동작 상태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각 구성요소로부터 전달된 데이타를 통신부(110)를 통해 본체(10)로 전달하도록 하기도 한다.
여기서 제어부(150)가 입력 패널부(130)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하나의 예가 도2에 도시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S100), 제어부(150)가 입력 모드를 결정하게 된다. 제어부(150)의 입력 모드 결정은 사용자가 입력 패널부(130)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본체(10)로부터 수신된 데이타에 포함된 입력 모드 정보에 의해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가 인터넷 항해 동작을 수행중일 경우, 본체(10)는 사용자로부터 항해에 필요한 웹사이트 주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통신을 통해 웹사이트 주소의 입력을 요청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입력 패널부(130)의 표면에 인쇄된 자판의 클릭을 인식하여 이에 해당하는 글자 정보를 본체(10)로 전달하도록 타이핑 모드로 입력 모드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제2단계(S110), 입력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입력 모드에 따라 입력 패널부(130)의 클릭, 더블클릭, 드래그 등의 다양한 입력 모드 중에서 결정된 입력 모드로 변경한다.
제3단계(S120), 제어부(150)는 입력 패널부(130)로부터 입력된 위치 정보 또는 드래그 정보를 결정된 입력 모드에 대응하여 처리한다.
제4단계(S130), 제어부(150)는 입력 모드의 변경이 필요한지 조사한다. 예를 들어, 본체(10)가 인터넷 항해 동작을 수행중이고, 전술된 제3단계(S120)의 동작을 통해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받게 되면 본체(10)는 해당하는 웹사이트 주소로 이동된 화면을 보여주게 되고, 이 화면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링크를 클릭 동작을 통해 선택하고 싶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4단계가 필요하게 된다. 제4단계에서 입력 모드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전술된 제1단계로 복귀하게 된다.
제5단계(S140), 제어부(150)는 동작의 종료 여부를 조사한다. 제5단계에서 종료가 필요한 경우 종료하며, 종료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전술된 제3단계로 복귀하게 된다.
저장부(160)는 통신부(110)를 통해 송수신된 데이타와 제어부(15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타(예를 들면, 펌웨어나 OS를 포함할 수 있다)를 저장한다. 저장부(160)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저장 내용을 기억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170)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사용예)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제1단계, 본체(10)가 인터넷 항해 동작을 수행중일 경우, 본체(10)는 무선 제어 장치(100)로 웹사이트 주소의 입력을 요청하는 데이타를 송신한다.
제2단계, 통신부(110)가 제1단계의 데이타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제3단계, 제어부(150)는 제1단계의 데이타에 포함된 본체(10)의 요청을 기반으로 입력 패널부(130)의 입력 모드를 키보드 모드로 변경한다. 또는 사용자가 본체(10)의 동작 상태를 보면서 입력 패널부(130)를 조작하여 입력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제4단계, 제어부(150)는 입력 패널부(130)의 터치(클릭)되는 좌표를 기반으로 키보드의 자판을 인식하고, 이를 통신부(110)를 통해 본체(10)로 전달한다.
제5단계, 본체(10)는 키보드 자판 입력에 따른 웹사이트 주소로 이동한다.
제6단계, 이동된 웹사이트 주소에 다양한 링크가 존재할 경우, 본체(10)는 표시된 링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선택을 요청하는 데이타를 송신한다.
제7단계, 통신부(110)가 제6단계의 데이타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제8단계, 제어부(150)는 제7단계의 데이타에 포함된 본체(10)의 요청을 기반으로 입력 패널부(130)의 입력 모드를 마우스 모드로 변경한다. 또는 사용자가 본체(10)의 동작 상태를 보면서 입력 패널부(130)를 조작하여 입력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제9단계, 제어부(150)는 입력 패널부(130)의 터치(클릭)되는 좌표를 본체(10)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과 1:1로 매칭하는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통신부(110)를 통해 본체(10)로 전달한다.
제10단계, 본체(10)는 위치 정보에 따른 링크로 이동한다.
제11단계, 이동된 링크가 게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곳일 경우, 본체(10)는 입력 패널부(130)의 입력 모드를 게임 패드 모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데이타를 송신한다.
제12단계, 통신부(110)가 제11단계의 데이타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제13단계, 제어부(150)는 제12단계의 데이타에 포함된 본체(10)의 요청을 기반으로 입력 패널부(130)의 입력 모드를 게임 패드 모드로 변경한다. 또는 사용자가 본체(10)의 동작 상태를 보면서 입력 패널부(130)를 조작하여 입력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제14단계, 제어부(150)는 입력 패널부(130)의 터치(클릭)되는 좌표를 방향키나 조작키의 동작으로 인식하고, 이를 통신부(110)를 통해 본체(10)로 전달한다. 이때,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무선 제어 장치(100)의 3차원 이동 정보도 사용할 경우, 제어부(150)는 감지부(140)로부터 수신된 3차원 이동 정보도 함께 본체(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5단계, 본체(10)는 수신된 데이타를 기반으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진행시키고, 음향 데이타가 존재할 경우 이를 통신부(110)로 전달한다.
제16단계, 제어부(150)는 제15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타에서 음향 데이타를 추출하여 음향 처리부(120)로 전달하고, 음향 처리부(120)를 전달된 음향 데이타를 기반으로 음향 입력부(122) 및/또는 음향 재생부(124)를 동작시킨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본체 100: 무선 제어 장치
110: 통신부 120: 음향 처리부
122: 음향 입력부 124: 음향 재생부
130: 입력 패널부 140: 감지부
142: 중력 센서 144: 3축 각속도 센서
150: 제어부 160: 저장부
170: 전원부

Claims (5)

  1. 본체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 제어 장치로서,
    상기 본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데이타를 처리하여 음향 재생부에서 재생될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음향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를 음향 데이타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음향 처리부;
    상기 음향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신호를 재생하는 음향 재생부;
    외부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처리부로 전달하는 음향 입력부;
    무선 제어 장치의 3차원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감지부;
    사용자의 명령을 클릭, 더블클릭 및 드래그의 형태로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 패널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타를 처리하여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고, 수신된 데이타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패널부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그리고 각 구성요소로부터 전달된 데이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본체로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된 데이타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타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 패널부는 상기 본체의 표시화면과 1:1로 대응하는 절대 위치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된 상기 본체에서 현재 표시중인 화면의 정보에 따라 입력 모드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또는 2.5GHz 대역의 무선 통신 규약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널부는:
    표면에 키보드 자판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이동량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중력 센서; 및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여 이동 속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3축 각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장치.
KR1020110005192A 2011-01-19 2011-01-19 무선 제어 장치 KR101036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192A KR101036736B1 (ko) 2011-01-19 2011-01-19 무선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192A KR101036736B1 (ko) 2011-01-19 2011-01-19 무선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736B1 true KR101036736B1 (ko) 2011-05-24

Family

ID=4436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192A KR101036736B1 (ko) 2011-01-19 2011-01-19 무선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7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795A (ko) * 2007-08-16 200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30473A (ko) * 2008-09-10 2010-03-18 (주)씨이에스티 엘씨디 및 터치스크린 일체형 통합리모컨
KR20100067080A (ko) * 2010-05-31 2010-06-18 (주)넥셀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터치패널을 구비한 리모콘이 적용된 iptv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0986619B1 (ko) 2010-03-12 2010-10-08 이상훈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멀티입출력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795A (ko) * 2007-08-16 200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30473A (ko) * 2008-09-10 2010-03-18 (주)씨이에스티 엘씨디 및 터치스크린 일체형 통합리모컨
KR100986619B1 (ko) 2010-03-12 2010-10-08 이상훈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멀티입출력장치 및 방법
KR20100067080A (ko) * 2010-05-31 2010-06-18 (주)넥셀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터치패널을 구비한 리모콘이 적용된 iptv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58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06380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apparatus
EP2261793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with intuitively displayed content transmission direc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US11936960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using a second screen device
WO2019228163A1 (zh) 扬声器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10560654B2 (en) Display device
US201102856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30052750A (ko)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EP3417630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0802467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digital devices
KR2012009231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장치 탐색 방법
WO2020151513A1 (zh) 信息处理方法及终端设备
WO2021129536A1 (zh) 图标移动方法及电子设备
WO2021004426A1 (zh) 内容选择方法及终端
US999706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WO2021063292A1 (zh) 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9451141B (zh) 一种操作控制方法及相关终端
WO2021037074A1 (zh) 音频输出方法及电子设备
KR10228377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129721A1 (zh) 图标整理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036736B1 (ko) 무선 제어 장치
KR101641965B1 (ko)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장치를 활용한 이미지 전송 방법 및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
EP3982248A1 (en)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system
US9516140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er
KR101800011B1 (ko) 컨텐츠 공유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