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360B1 -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360B1
KR101036360B1 KR1020100081631A KR20100081631A KR101036360B1 KR 101036360 B1 KR101036360 B1 KR 101036360B1 KR 1020100081631 A KR1020100081631 A KR 1020100081631A KR 20100081631 A KR20100081631 A KR 20100081631A KR 101036360 B1 KR101036360 B1 KR 101036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mergency
zigbee module
monitoring server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원
최순진
이상민
신지인
Original Assignee
(주)링크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링크옵틱스 filed Critical (주)링크옵틱스
Priority to KR1020100081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되어 생체신호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바이탈센서가 구비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탈센서에서 측정된 생체신호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생체신호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된 모니터링 서버에 송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와, 수신받은 사용자의 생체신호정보를 분석하여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버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 특히, 독거노인이나 장애인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에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사회구조 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의식불명 등 응급상황 발생시에 신체의 맥박 등 신체신호정보와 IT 기술의 접목으로 응급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원격지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생체신호정보를 분석하여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연산부가 구비된 모니터링 서버와;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맥박을 포함한 생체신호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바이탈센서와,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지그비모듈과,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고유 단말기ID가 저장되고 고유 단말기ID 및 상기 바이탈센서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지그비모듈을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가 구비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지그비모듈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AP지그비모듈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AP통신부와, 상기 AP지그비모듈을 통해 수신된 고유 단말기ID 및 생체신호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AP통신부를 제어하는 AP제어부가 구비된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되어 생체신호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바이탈센서가 구비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탈센서에서 측정된 생체신호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생체신호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된 모니터링 서버에 송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와, 수신받은 사용자의 생체신호정보를 분석하여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버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 특히, 독거노인이나 장애인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에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사회구조 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의식불명 등 응급상황 발생시에 신체의 맥박 등 신체신호정보와 IT 기술의 접목으로 응급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저출산과 고령화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많이 기사화되고 있으며 그 심각성은 갈수록 증폭되고 있다.
특히, 핵가족화에 의한 개인주의의 병폐로 늙으신 부모님을 모시기 싫어하는 현상이 만연되고 있고, 이에 따라 고령이면서도 혼자 사는 독거노인의 빈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아울러 장애인들에 대한 상대적인 무관심 및 냉대 또한 심각한 상태이다.
그리고, 독거노인 및 장애인을 보살펴 줄 수 있는 인력 또한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독거노인이나 장애인 또는 독신자들은 갑작스런 위기상황 및 응급상황 발생시 스스로 구원을 요청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있고, 이렇게 응급처치가 실현되지 못함에 따라 홀로 조용하고도 쓸쓸하게 생을 마감하는 안타까운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한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0-0008234호에는 PSTN을 이용한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PSTN을 이용한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독거 노인이 거주하는 댁내에 설치되는 계량기들(10')과; 독거 노인이 거주하는 댁내에 설치되는 센서들(20')과; 상기 각 계량기 및 각 센서들로부터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가공하여 PSTN에 출력하는 게이트웨이(30'); 상기 PSTN을 통해 입력되는 가공된 데이터들을 저장 및 분석하여 독거 노인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서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시스템은 독거 노인의 활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20')을 문열림센서(21') 및 인체 감지 센서(22')로 구성함으로써 응급상황의 즉각적인 판단이 어렵고, 수면 또는 휴식으로 인하여 독거 노인의 신체적 활동이 없는 경우 응급상황과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기술에 따른 시스템은 독거 노인과 모니터링 서버(40')가 댁내에 설치되는 게이트웨이(30')를 통해 PSTN으로 일대일로 연결될 뿐 독거 노인이 외출하는 경우 다른 독거노인의 댁내에 설치된 다른 게이트웨이(미도시)와는 호환되지 않는 문제점과, 모니터링 서버(40')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독거 노인들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통로가 구축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되어 생체신호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바이탈센서가 구비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탈센서에서 측정된 생체신호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생체신호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된 모니터링 서버에 송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와, 수신받은 사용자의 생체신호정보를 분석하여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버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 특히, 독거노인이나 장애인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에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사회구조 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의식불명 등 응급상황 발생시에 신체의 맥박 등 신체신호정보와 IT 기술의 접목으로 응급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단말기와 게이트웨이 상호간 지그비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에도 다른 지점에 있는 게이트웨이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케 되어 모니터링 서버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상태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에 응급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핫키를 구비하여 응급상황 발생시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병력, 주소, 긴급 연락처 정보 제공를 제공받아 최단시간 구호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 제공으로 고독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게이트웨이에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IP 패킷으로 변환시키는 VoIP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모니터링 서버와 음성으로 응급통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입자 대상들간에도 VoIP를 이용한 통화를 할 수 있어 친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원격지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생체신호정보를 분석하여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연산부가 구비된 모니터링 서버와;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맥박을 포함한 생체신호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바이탈센서와,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지그비모듈과,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고유 단말기ID가 저장되고 고유 단말기ID 및 상기 바이탈센서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지그비모듈을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가 구비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지그비모듈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AP지그비모듈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AP통신부와, 상기 AP지그비모듈을 통해 수신된 고유 단말기ID 및 생체신호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AP통신부를 제어하는 AP제어부가 구비된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응급신호를 발생시키는 핫키가 더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핫키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응급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지그비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AP제어부는, 상기 AP지그비모듈을 통해 수신된 응급신호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AP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모니터링 서버 및 다른 사용자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마이크와 스피커가 내장된 VoIP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바이탈센서를 활용하여 실시간 응급상황 모니터링 체계를 확보하여 신속하게 응급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구호 대상자의 응급신호에 따라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병력, 주소, 긴급 연락처 정보 제공를 제공받아 최단시간 구호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 제공으로 고독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VoIP를 이용해 음성통화가 가능케 함으로써 대상자들간의 정보 교류 및 우울증 예방에 도움이 되고, 외출시에도 대상자의 위치 및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실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PSTN을 이용한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활용상태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활용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 서버(10)와, 사용자단말기(20)와, 게이트웨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니터링 서버(10)는 원격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병력, 주소, 긴급 연락처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DB(14)와, 관리자가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연산부(11)와, 메인통신부(12)와, 디스플레이부(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산부(11)는 상기 게이트웨이(30)로부터 송신된 사용자의 생체신호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즉, 맥박, 체온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신호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하다가 상기 연산부(11)에 의해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상기 사용자DB(14)에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의 의료정보 및 기본정보를 불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된 응급상황 및 사용자의 의료정보 등을 바탕으로 응급구조 절차에 조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산부(11)에 의해 사용자의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에서와 같이 응급요원이 사용자와 응급통화를 시도하고, 응급요원이 응급출동여부를 판단하여 응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구조활동을 펼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통신부(12)는 상기 게이트웨이(30)의 AP통신부(32)와 통신망을 통해 생체신호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메인통신부(12)와 상기 AP통신부(32)를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은 인터넷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신망으로서의 인터넷망은 상기 게이트웨이(30)의 구성인 VoIP모듈(33) 및 WIFI모듈(35)에 직접 연결되어 다채롭게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WIFI AP(Access Point)가 전국적으로 가설되는 시점에서 전국망이 완료되고, 가설되는 WIFI AP가 본 발명의 상기 게이트웨이(30)와 호환성을 갖는다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모니터링이 전국 모든 지역에서 가능해진다는 장점도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는 팔찌 또는 손목시계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바이탈센서(21)와, 사용자지그비모듈(22)과, 핫킷(23)와, 단말기제어부(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바이탈센서(21)는 사용자의 팔목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맥박, 체온 등과 같은 생체신호정보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바이탈센서(21)는 LED 광원을 이용하여 빛을 조사하면 조사된 빛이 혈류에 반사되고 반사된 신호를 감지하여 생체신호정보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지그비모듈(22)은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바이탈센서(21)에서 감지된 생체신호정보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바뀐 후 상기 사용자지그비모듈(22)을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전달되게 된다.
지그비(Zigbee)란 IEEE 802.15.4 기반의 저전력, 초소형, 저가격 및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저속의 근거리 무선통신 국제표준을 말하는데, 고속의 통신은 필요 없으면서도 일정 구역을 커버하여야 하는 사용자단말기(20)의 특성상 충분한 통신 거리 및 장애물에 대한 통신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지그비를 본 발명에서의 무선 통신 수단으로 채택한 것이다.
상기 바이탈센서(21)에서 측정된 생체신호정보는 상기 단말기제어부(24)에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고유 단말기ID와 함께 상기 사용자지그비모듈(22)을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송신되게 된다.
이때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자신의 고유 게이트웨이ID를 포함시켜 모니터링 서버(10)에게 전달한다. 결국 상기 모니터링 서버(10)는 고유 단말기ID와 고유 게이트웨이ID를 사용자의 생세신호와 함께 받게 된다. 따라서 수신된 특정 생체신호 데이터는 특정 사용자의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이는 어느 게이트웨이에 속한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알기 때문에 상기 모니터링 서버(10)의 디스플레이부(13)에서 표시할 때 사용자의 생체신호정보 뿐만 아니라 위치정보까지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핫키(23)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응급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핫키(23)는 사용자가 스스로 신체의 이상을 인지하였을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10)로 응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도 5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응급상황을 인지하여 상기 핫키(23)를 조작하였을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핫키(23)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 뿐만 아니라 댁내에 설치된 상기 게이트웨이(30)에도 구비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단말기제어부(24)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고유 단말기ID가 저장되고, 고유 단말기ID 및 상기 바이탈센서(21)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지그비모듈(22)을 제어하고, 상기 핫키(23)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응급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지그비모듈(22)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10)를 연결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AP지그비모듈(31)과, AP통신부(23)와, VoIP모듈(33)과, AP제어부(3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AP지그비모듈(31)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0)의 사용자지그비모듈(22)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지그비모듈(22)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0)가 사용자에 따라 각각 복수개(20a, 20b, 20c)로 구비되고, 상기 게이트웨이(30) 또한 각각의 사용자단말기(20a, 20b, 20c)에 대응되도록 복수개(30a, 30b, 30c)로 구성되는데 통상 상기 게이트웨이 각각(30a, 30b, 30c)은 사용자의 가정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6은 사용자가 집밖으로 외출하였을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인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집밖으로 외출로 인해 그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된 사용자단말기(20a)가 다른 가정에 설치된 게이트웨이(30b)의 통신권역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다른 가정에 설치된 게이트웨이(30b)가 외출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20a)와 지그비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10)로 고유 단말기ID, 고유 게이트웨이ID 및 생체신호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위치가 현재 접속한 게이트웨이(30)의 통신권 안의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 간의 위치파악이 가능하며 이러한 위치의 오차는 게이트웨이(30)의 통신권 영역와 일치하게 된다. 이로써 외출 시에도 상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서 실종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현재 기간망사업자가 WIFI zone을 상업적으로 가설하고 있는데 이러한 가설작업이 전국적으로 이루어지고 가설되는 WIFI zone이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와 호환성이 있다면 사용자의 위치가 국내 전국지역에서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AP통신부(32)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10)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AP통신부(32)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10)를 연결하는 통신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초고속 광통신망을 포함한 인터넷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VoIP모듈(33)은 마이크와 스피커가 내장되어 상기 모니터링 서버(10) 및 다른 사용자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VoIP모듈(33)은 상기 게이트웨이(3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IP 패킷으로 변환시켜주고 또는 IP 패킷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들려줌으로써 사용자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10)의 관리자간에 음성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간에 서로 음성 서비스도 가능하도록 해주는 구성이다.
도 7은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인데, 상기 게이트웨이(30)에 구비되는 VoIP모듈(33)로 인하여 사용자가 모니터링 서버(10)의 응급요원과 음성통화를 할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들과도 음성통화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들 간의 정보 교류 및 우울증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상기 AP제어부(34)는 상기 게이트웨이(3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AP지그비모듈(31)을 통해 수신된 고유 단말기ID 및 생체신호정보, 응급신호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10)로 송신하도록 상기 AP통신부(32)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통신망이 인터넷망으로 구성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웨이(30) 주변에서 무선인터넷이 가능하도록 상기 게이트웨이(30)에 WIFE모듈(3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모니터링 서버
11 연산부
12 메인통신부
13 디스플레이부
14 사용자DB
20 사용자단말기
21 바이탈센서
22 사용자지그비모듈
23 핫킷
24 단말기제어부
30 게이트웨이
31 AP지그비모듈
32 AP통신부
33 VoIP모듈
34 AP제어부

Claims (3)

  1. 원격지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생체신호정보를 분석하여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연산부가 구비된 모니터링 서버와;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맥박을 포함한 생체신호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바이탈센서와,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지그비모듈과,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고유 단말기ID가 저장되고 고유 단말기ID 및 상기 바이탈센서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지그비모듈을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가 구비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지그비모듈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AP지그비모듈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AP통신부와, 상기 AP지그비모듈을 통해 수신된 고유 단말기ID 및 생체신호정보와 할당된 고유 게이트웨이ID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AP통신부를 제어하는 AP제어부가 구비되어 정해진 바에 따른 개소에 설치된 복수개의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응급신호를 발생시키는 핫키가 더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핫키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응급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지그비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AP제어부는, 상기 AP지그비모듈을 통해 수신된 응급신호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AP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모니터링 서버 및 다른 사용자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마이크와 스피커가 내장된 VoIP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00081631A 2010-08-23 2010-08-23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036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631A KR101036360B1 (ko) 2010-08-23 2010-08-23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631A KR101036360B1 (ko) 2010-08-23 2010-08-23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360B1 true KR101036360B1 (ko) 2011-05-23

Family

ID=4436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631A KR101036360B1 (ko) 2010-08-23 2010-08-23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3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256B1 (ko) 2018-07-26 2019-09-18 고명은 독거 어르신 보살핌 장치
KR20230105955A (ko) 2022-01-05 2023-07-12 현경범 급배수설비의 이상감지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331A (ko) * 2006-02-11 2008-11-05 키웍 인크. 생체 데이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KR100916483B1 (ko) * 2007-12-06 2009-09-08 삼성전기주식회사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5494A (ko) *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331A (ko) * 2006-02-11 2008-11-05 키웍 인크. 생체 데이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KR100916483B1 (ko) * 2007-12-06 2009-09-08 삼성전기주식회사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5494A (ko) *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0426B1 (ko) 2008-07-07 2010-09-07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256B1 (ko) 2018-07-26 2019-09-18 고명은 독거 어르신 보살핌 장치
KR20230105955A (ko) 2022-01-05 2023-07-12 현경범 급배수설비의 이상감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80322A1 (en)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for asses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a subject
US20060293571A1 (en)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and caring
CN204698602U (zh) 一种基于智能手机的心脏病人远程心音监护系统
WO2010085033A2 (ko)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1833849A (zh) 一种以无线方式监测病人起居的装置
US8079954B2 (en) Visual medical monitoring system for a remote subject
KR20180106583A (ko)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CN110187682A (zh) 一种智能居家养老系统
CN106264500A (zh) 一种远程医疗方法与系统
CN106845099A (zh) 一种基于大数据和互联网的老年健康监护系统
Wu et al. WAITER: A wearable personal healthcare and emergency aid system
CN106878968A (zh) 一种家庭急救信号可靠传输系统及其实现方法
KR101036360B1 (ko)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CN204600521U (zh) 一种基于心音分析的居家休养心脏病人远程监护系统
CN208766810U (zh) 一种老人紧急呼救系统
CN113110086A (zh) 带情感陪伴的家庭健康服务机器人
RU2630126C1 (ru) Радиоканальная система кардиомониторинга,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и действий в критических ситуациях
CN101524269A (zh) 室内人体心电监护平台
CN111755137A (zh) 一种基于社区的医疗监护方法及系统
CN103716479B (zh) 突发健康事件家庭报警系统
CN102215241B (zh) 十二导联实时远程心电监护系统
CN201767962U (zh) 基于十二导联实时远程心电监护的联机系统
CN201642344U (zh) 基于gprs的多参数移动监护系统
CN201467466U (zh) 一种以无线方式监测病人起居的装置
CN210777863U (zh) 一种社区居家养老服务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