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312B1 - Apparatus of seperating multi-picture and remotel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seperating multi-picture and remotel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312B1
KR101035312B1 KR1020100108097A KR20100108097A KR101035312B1 KR 101035312 B1 KR101035312 B1 KR 101035312B1 KR 1020100108097 A KR1020100108097 A KR 1020100108097A KR 20100108097 A KR20100108097 A KR 20100108097A KR 101035312 B1 KR101035312 B1 KR 101035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vent
screen
size
digit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후식
임종윤
권덕일
이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기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기어
Priority to KR1020100108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3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3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screen partitioning apparatus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transmit and receive digital image data and to expand a monitoring camera. CONSTITUTION: A control unit(240) outputs the size of an event image that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An event image processing unit(251) sets up digital image data as an event image. A base image processing unit(252) sets up the size of the event image to digital image data. An image transmitting unit(270) transmits digital image data to screen partitioning apparatus.

Description

화면 분할 장치와 그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APPARATUS OF SEPERATING MULTI-PICTURE AND REMOTEL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Screen splitting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PPARATUS OF SEPERATING MULTI-PICTURE AND REMOTEL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지역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화면 분할 장치와 다중 연결 기능을 갖는 화면 분할 장치와 그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rality of screen splitters installed in different regions, a screen splitter having a multiple connection function, and a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원격 감시 시스템은 범죄나 화재 혹은 사고 등 긴급 상황을 감시 및 예방하기 위해 범죄 다발 지역, 주택가나 원룸 등 주거지역, 도로나 골목, 공장, 은행, 백화점, 학교,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있다.The remote monitoring system is installed in crime scenes, residential areas such as residential areas and studios, roads and alleys, factories, banks, department stores, schools, and buildings to monitor and prevent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crimes, fires or accidents.

일반적으로 원격 감시 시스템은 화면 분할 장치를 이용하여 모니터(혹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여러 영상들을 화면 분할하여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관리자가 한꺼번에 여러 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In general, a remote surveillance system uses a screen splitter to split multiple images on a monitor (or display device) at the same time, thereby allowing an administrator to monitor multiple areas at once.

그런데, 종래 화면 분할 장치는 단순히 여러 영상들을 화면 분할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관리자는 계속해서 여러 영상들을 주시하지 않는 한, 화재 혹은 사고 등 긴급 상황 발생 여부를 쉽게 알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creen splitter simply displays a plurality of images by splitting the screen, it is difficult for an administrator to easily know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r an accident occurs unless the user continuously watches the various images.

한편, 감시해야 할 지역이 넓어 원격지에 복수개의 화면 분할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복수개의 화면 분할 장치에서 획득된 여러 영상들을 모니터(혹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면 분할하여 보여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Meanwhile, when the area to be monitored is wide and a plurality of screen splitters are to be used at a remote location, a technology for splitting and displaying various images obtained by the plurality of screen splitters on a monitor (or a display device)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지역에 설치된 복수개의 화면 분활 장치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모니터(혹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면 분할하여 출력할 수 있는 화면 분할 장치와 그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the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a digital image data from a plurality of screen splitters installed in different regions, screen splitting which can be output by splitting the screen on a monitor (or display device) It is to provide a device and a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맞춰, 입력되는 모든 영상들의 크기(또는 해상도)를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고,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해당 영상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는 화면 분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een splitting apparatus that can freely convert the size (or resolution) of all input imag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and enlarge and display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image in case of an emergency.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는 서로 다른 지역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화면 분할 장치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중 연결 기능을 갖는 화면 분할 장치로서, 복수개의 화면 분할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 분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와,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creen splitting apparatus having a multiple connection func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image data and a plurality of screen splitting apparatuses installed in different regions, a plurality of screen splitting apparatus An image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igital image data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screen division apparatus;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복수개의 영상 신호 변환부와, 복수개의 영상 신호 변환부와 영상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정보에 따라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Analyzing a plurality of video signal converters for converting analog video signals inputted from a plurality of video acquisition apparatuses into digital video data, and digital video data inputted from the plurality of video signal converters and the video receivers to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A control unit for judging and outputting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event occurrence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event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result information;

제어부로부터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와 영상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 중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이벤트 영상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이벤트 영상과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이벤트 영상 처리부와, 복수개의 영상 신호 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에 대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크기와 위치를 설정하는 기본 영상 처리부와, An image of an emergency event occurring among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a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devices and an image receiving unit by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mage obtaining device in which an emergency event occurs and siz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n event image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from a control unit An event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set digital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acquisition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n event image, and output the set event image and the siz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vent image, and to the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plurality of image signal converters. A basic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set a size and a posi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이벤트 영상과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을,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의 크기와 위치 정보에 따라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와, 기본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복수개의 화면 분할 장치 중 어느 하나의 화면 분할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를 포함한다.An image output unit which outputs the event image and the digital image data to on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iz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vent image and the siz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image data, and image identifica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basic image processing unit; And an imag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digital image data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creen splitters.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면 분할 장치는 다른 화면 분활 장치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감시용 카메라의 확장과 변경이 자유로운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transmit and receive digital image data with other screen splitting apparatuses,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of freely expanding and changing the surveillance camera.

또한, 본 발명의 화면 분할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맞춰 모든 영상들의 크기(또는 해상도)를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고,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영상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화재 혹은 사고 등 긴급 상황 발생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change the size (or resolution) of all the images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an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by expanding the size of the image to display the administrator in the fire or accident There is a useful effect that makes it easy to know whether or not an emergency occur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 실시예,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2 실시예,
도 3b 는 중계장치(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에 의한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예,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에 의한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예,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에 의한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3 실시예,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에 의한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4 실시예,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에 의한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5 실시예이다.
1 is a first embodiment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second embodiment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300;
4A is a first embodiment for explaining a screen configuration by a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configuration by a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C is a third embodiment for explaining a screen configuration by a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D is a fourth embodiment for explaining a screen configuration by a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E is a fifth embodiment for describing a screen configuration by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제시한 모범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도록 해석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se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However, the invention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명세서에서, 기본 영상은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의미하며, 이벤트 영상은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 중, 화재나 사고 등 사전에 지정된 긴급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설치된 영상 획득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의미한다. 기본 영상과 이벤트 영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며, 기본 영상과 이벤트 영상이 겹쳐지는 경우 이벤트 영상이 기본 영상보다 항상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구현된다. 긴급 상황 이벤트란 화재 혹은 사고 및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상황을 의미하며, 사고에 해당하는 긴급 상황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안에 사람이 의식을 잃고 쓰러져 있거나, 도로 위에 자동차가 달리지 않고 정지해 있어 사고 위험이 있는 상황 등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asic image means an image captured in real time by a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apparatuses, and an event image is installed in a region where a predetermined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r an accident occurs among images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apparatuses. Means an image taken by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The base image and the event image are displayed on one or more display devices, and when the base image and the event image overlap, the event image is always displayed prior to the base image. An emergency event means a fire or accident and a specific situation specified by the user. An emergency situation, for example an accident, is caused by an unconscious person falling down in an elevator or a car stopped on the road without risk of an accident. Include situations that exis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 실시예이다. 1 is a first embodiment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은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121 내지 132)와 화면 분할 장치(141 내지 146)와 디스플레이 장치(161 내지 16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감시영역(111 내지 116) 내에 설치된 각각의 화면 분할 장치(141 내지 146)들은 케이블을 통해 스타 형태(중앙 집중식)로 연결되어 백본(backbone) 망을 형성한다.As illustrated,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devices 121 to 132, screen splitting devices 141 to 146, and display devices 161 to 166. Preferably, each of the screen splitters 141 to 146 installed in each of the surveillance areas 111 to 116 is connected in a star form (centralized) through a cable to form a backbone network.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121 내지 132)는 CCD 카메라 또는 웹 서버기능이 자체 내장된 웹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CCD 카메라 또는 웹 카메라는 이건 이전에 이미 널리 공지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121 내지 132)는 화면 분할 장치(141 내지 146)로부터 입력되는 카메라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원격 제어신호는 줌(ZOOM), 상하/좌우(Pan/Tilt), 초점(Focus) 제어신호 등이 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apparatuses 121 to 132 may be implemented as a CCD camera or a web camera having a built-in web server function. CCD cameras or web cameras are well known in the past,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apparatuses 121 to 132 may be implemented to operate according to a camera remot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es 141 to 146. Here, the camera remote control signal may be a zoom, pan / tilt, focus control signal, or the like.

화면 분할 장치(141 내지 146)는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121 내지 13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다른 화면 분할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화면 분할 장치(141 내지 146)는 다른 화면 분활 장치와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121 내지 132)로부터 입력되는 모든 영상들의 크기(또는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장치(161 내지 166)의 크기에 맞춰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고,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해당 영상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screen splitters 141 to 146 may output image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devices 121 to 132 to another screen splitter. In addition, the screen splitters 141 to 146 may freely adjust the size (or resolution) of all the images input from the other screen splitters and the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devices 121 to 132 to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s 161 to 166. In case of an emergency,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image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디스플레이 장치(161 내지 166)는 SD급 일반 TV, HD급 TV, 혹은 PC 모니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61 내지 166)가 HD급 TV로 구현되는 경우, 화면 분할 장치(141 내지 146)는 SD급 일반 TV에 비해 6배 이상의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각 감시영역(111 내지 116)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61 내지 166)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s 161 to 166 may be implemented as SD general TVs, HD TVs, or PC monitors. Here, when the display devices 161 to 166 are implemented as HD TVs, the screen splitters 141 to 146 should be implemented to process data more than six times as compared to SD TVs.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61 to 166 installed in each of the monitoring areas 111 to 116 may be provided.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부(210), 제1 저장부(212), 제2 저장부(214), 복수개의 영상 신호 변환부(220-1,.., 220-n), 디지털 영상 분석부(230), 제어부(240), 디지털 영상 처리부(250), 영상 출력부(260), 영상 전송부(270), 영상 수신부(280)를 포함한다. As illustrated, the screen splitt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put unit 210, a first storage unit 212, a second storage unit 214, and a plurality of image signal converters 220-1. , 220-n), a digital image analyzer 230, a controller 240, a digital image processor 250, an image output unit 260, an image transmitter 270, and an image receiver 280.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으로,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형 디스플레이, 조이스틱 및 음성 또는 필기인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저장부(212)는 실행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 램(RAM)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저장부(212)는 사용자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 정보를 저장한다. 제2 저장부(214)는 대용량 기억장치로서 하드디스크, DVD롬, CD롬 및 블루레이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저장부(214)는 디지털 영상 처리부(250)에서 처리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20-1,20-2,..,20-n)에 부여된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영상 획득 날짜별로 저장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210 receives manipulation data from a user and may be implemented by at least one of a keyboard, a mouse, a touch screen display, a joystick, and a voice or handwriting recognizer. The first storage unit 212 stores an execution program and data, and may be implemented as a RAM. The first storage unit 212 stores screen size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210. The second storage unit 214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hard disk, a DVD ROM, a CD ROM, and a Blu-ray ROM as a mass storage device. The second storage unit 214 stores the digital image data processed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unit 250. Preferably, the digital image data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category. For example, it may be stored for each image acquisition date in correspondence with identification numbers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image acquisition apparatuses 20-1, 20-2, .., 20-n.

복수개의 영상 신호 변환부(220-1, 220-n)는 비디오 디코더로 구현되며,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20-1,..,20-n)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복수개의 영상 신호 변환부(220-1, 220-n)는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함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mage signal converters 220-1 and 220-n are implemented as video decoders, and the analog image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image acquisition apparatuses 20-1,..., 20-n are converted into digital image data. To convert. The plurality of image signal converters 220-1 and 220-n may be implemented to output digital image data together with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디지털 영상 분석부(230)는 복수개의 영상 신호 변환부(220-1, 220-n)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 혹은 사고와 같은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영상으로부터 화재를 자동으로 감시하는 방법으로는, 명도 값(luminance value)에 의한 광류 추적(optical flow)을 이용한 변화영역 검출 방법이나 미리 획득한 배경 영상(background image)을 기준 영상으로 설정하여 프레임 단위로 명도 값의 차를 계산하여 차이가 크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gital image analyzer 230 analyzes the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plurality of image signal converters 220-1 and 220-n to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event such as a fire or an accident has occurred. For example, as a method of automatically monitoring a fire from an image, a change region detection method using optical flow based on a luminance value or a previously obtained background image is used as a reference image. By setting the difference of the brightness value in units of frames, if the difference is large, it can be implemented as a method of determining that a fire has occurred.

제어부(240)는 제1 저장부(212)에 저장된 실행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작동된다. 제어부(240)는 디지털 영상 분석부(23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에 대한 분석결과정보에 따라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21)에 표시할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를 설정하는 이벤트 영상 크기/위치 제어부(141)를 포함한다. The controller 240 operates according to an execution program and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12. The controller 240 determines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re the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event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1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formation on the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digital image analyzer 230. It includes an event image size / position control unit 141 for settin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10)로부터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21)에 표시할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저장부(212)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는 언제든지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를 바꿀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40 receives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iz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ent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1 from the user input unit 210 to be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12 Can b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dministrator can change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event image at any time.

디지털 영상 처리부(250)는 복수개의 영상 신호 변환부(220-1, 220-n)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코덱을 통해 압축, 가공 및 편집하며, OSD 데이터와 혼합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부(250)는 이벤트 영상 처리부(251)와, 기본 영상 처리부(252)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여기서, OSD 데이터라 함은 화면상으로 출력될 수 있는 각종 문자정보들을 말하며, 예를 들어 채널번호, 촬영 날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gital image processor 250 compresses, processes and edits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plurality of image signal converters 220-1 and 220-n through a codec, and generates digital image data mixed with OSD data. . The digital image processor 250 is implemented to include an event image processor 251 and a basic image processor 252. Here, the OSD data refers to various character information that can be output on the scree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channel number and a photographing date.

이벤트 영상 처리부(251)는 제어부(240)로부터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21)에 표시할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20-1,..,20-n)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 중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이벤트 영상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이벤트 영상과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The event image processing unit 251 receives from the controller 240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re the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and the siz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ent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1, the plurality of image acquisition devices 20-20. 1, .., 20-n) among the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digital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is set as the event image,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set event image and event image Print information.

기본 영상 처리부(252)는 복수개의 영상 신호 변환부(220-1, 220-n)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에 대해, 제1 저장부(212)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장치(21)의 화면 크기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1)에 표시될 크기와 위치를 설정한다. The basic image processor 252 may display screen size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1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12 with respect to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plurality of image signal converters 220-1 and 220-n. Set the size and posi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1 according to.

영상 출력부(260)는 이벤트 영상 처리부(251)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영상과 기본 영상 처리부(25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을,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의 크기와 위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1)로 출력한다. The image output unit 260 stores the event image input from the event image processing unit 251 and the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basic image processing unit 252, the siz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vent image, and the siz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image data. The display device 21 outputs the display device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출력부(260)는 이벤트 영상 처리부(251)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영상을 기본 영상 처리부(25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output unit 260 may be implemented to display the event image input from the event image processor 251 prior to the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basic image processor 252.

영상 전송부(270)는 기본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제2 화면 분할 장치로 전송한다. 영상 수신부(280)는 제1 화면 분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례로,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는 001-XXX-001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앞의 '001'은 감시지역을, 'XXX'는 화면 분할 장치를 '001'은 영상 획득 장치 번호를 나타낸다. The image transmitter 270 transmits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igital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basic image processing unit to the second screen splitting apparatus. The image receiver 280 receives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igital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screen splitter. For example,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as 001-XXX-001. Here, '001' denotes a surveillance region, 'XXX' denotes a screen splitter, and '001' denotes an image acquisition device number.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200)는 영상 전송부(270)와 영상 수신부(280)가 각각 2개 이상 구현될 수 있으며,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 케이블 연결단자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200)는 복수개의 영상 전송부(270)와 영상 수신부(280)를 포함하여 구현됨으로써,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중계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image transmitters 270 and image receivers 280 may be implemented, respectively, and may include cable connection terminals so that cables can be connected. The screen di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transmitters 270 and image receivers 280 to perform functions as an image monitoring apparatus and an image relay apparatus.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1 저장부(212)에는 긴급 상황 이벤트 데이터가 더 저장되고, 제어부(240)는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저장부(212)에 저장된 긴급 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이벤트 영상 처리부(251)로 더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긴급 상황 이벤트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고, 제1 저장부(212)에 기본 데이터로 저장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event data is further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12, and the control unit 240 stores the emergency event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12 when an emergency event occurs. May be further output to the event image processor 251. For example, the emergency event data may b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put unit 210 or may be stored as basic data in the first storage unit 212.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기본 영상 처리부(252)는 이벤트 영상 처리부(251)로부터 이벤트 영상 출력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의 크기와 위치를 재설정하며, 이벤트 영상 처리부(251)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긴급 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화면 크기와 위치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vent image output signal is input from the event image processor 251, the basic image processor 252 resets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digital image data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processor 251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data screen size and lo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displaying emergency event data on a display device.

이에 따라 이벤트 영상 처리부(251)는 이벤트 영상과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상황 이벤트 데이터와 긴급 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화면 크기와 위치 정보를 영상 출력부(260)로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vent image processor 251 transmits the data screen size and position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emergency event data and the emergency event data together with the siz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vent image and the event image to the image output unit 260. Can be implemented to output.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2 실시예이고, 도 3b 는 중계장치(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ure 3a is a second embodiment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device 300.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은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121 내지 128)와 화면 분할 장치(141 내지 144)와 디스플레이 장치(161 내지 16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감시영역(111 내지 114) 내에 설치된 각각의 화면 분할 장치(141 내지 144)들은 케이블을 통해 피라미드 형태로 연결되어 백본(backbone) 망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3A,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devices 121 to 128, screen splitting devices 141 to 144, and display devices 161 to 164. Preferably, each of the screen splitters 141 to 144 installed in each of the surveillance areas 111 to 114 is connected in a pyramid form through a cable to form a backbone network.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121 내지 128)는 CCD 카메라 또는 웹 서버기능이 자체 내장된 웹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CCD 카메라 또는 웹 카메라는 이건 이전에 이미 널리 공지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121 내지 128)는 화면 분할 장치(141 내지 144)로부터 입력되는 카메라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원격 제어신호는 줌(ZOOM), 상하/좌우(Pan/Tilt), 초점(Focus) 제어신호 등이 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apparatuses 121 to 128 may be implemented as a CCD camera or a web camera having a built-in web server function. CCD cameras or web cameras are well known in the past,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apparatuses 121 to 128 may be implemented to operate according to a camera remot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es 141 to 144. Here, the camera remote control signal may be a zoom, pan / tilt, focus control signal, or the like.

화면 분할 장치(141 내지 144)는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121 내지 128)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다른 화면 분할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화면 분할 장치(141 내지 144)는 다른 화면 분활 장치와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121 내지 128)로부터 입력되는 모든 영상들의 크기(또는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장치(161 내지 164)의 크기에 맞춰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고,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해당 영상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screen splitters 141 to 144 may output image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devices 121 to 128 to another screen splitter. In addition, the screen splitters 141 to 144 may freely adjust the size (or resolution) of all the images input from the other screen splitters and the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devices 121 to 128 to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s 161 to 164. In case of an emergency,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image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디스플레이 장치(161 내지 164)는 SD급 일반 TV, HD급 TV, 혹은 PC 모니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61 내지 164)가 HD급 TV로 구현되는 경우, 화면 분할 장치(141 내지 144)는 SD급 일반 TV에 비해 6배 이상의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각 감시영역(111 내지 114)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61 내지 164)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s 161 to 164 may be implemented as SD general TVs, HD TVs, or PC monitors. Here, when the display devices 161 to 164 are implemented as HD TVs, the screen splitters 141 to 144 should be implemented to process data more than six times as compared to SD TVs.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61 to 164 installed in each of the monitoring areas 111 to 114 may be installed.

중계장치(300)는 각 감시영역(111 내지 113) 내에 설치된 화면 분할 장치(141 내지 14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감시영역(114) 내에 설치된 화면 분할 장치(144)로 출력한다.The relay device 300 monitors the image captur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igital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captur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screen splitters 141 to 143 installed in the surveillance areas 111 to 113. It outputs to the screen splitter 144 installed inside.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계장치(300)는 영상 수신부(311 내지 313)와 디지털 영상 처리부(320)와, 저장부(330)와 영상 전송부(3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B, in one embodiment, the relay apparatus 300 includes an image receiving unit 311 to 313, a digital image processing unit 320, a storage unit 330, and an image transmitting unit 340. Can be implemented.

영상 수신부(311 내지 313)는 제1, 제2, 제3 화면 분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례로,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는 001-XXX-001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앞의 '001'은 감시지역을, 'XXX'는 화면 분할 장치를 '001'은 영상 획득 장치 번호를 나타낸다. The image receiving units 311 to 313 receive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igital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en splitters. For example,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as 001-XXX-001. Here, '001' denotes a surveillance region, 'XXX' denotes a screen splitter, and '001' denotes an image acquisition device number.

디지털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수신부(311 내지 313)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코덱을 통해 압축, 가공 및 편집하며, OSD 데이터와 혼합한 새로운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digital image processor 320 compresses, processes, and edits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image receivers 311 to 313 through a codec, and generates new digital image data mixed with OSD data.

저장부(330)는 대용량 기억장치로서 하드디스크, DVD롬, CD롬 및 블루레이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330)는 디지털 영상 처리부(320)에서 처리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330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hard disk, a DVD ROM, a CD ROM, and a Blu-ray ROM as a mass storage device. The storage unit 330 stores the digital image data processed by the digital image processor 320. Preferably, the digital image data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category.

영상 전송부(340)는 디지털 영상 처리부(3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제4 화면 분할 장치로 전송한다. The image transmitter 340 transmits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igital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unit 320 to the fourth screen splitting apparatus.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에 의한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예이다. 4A is a first embodiment for explaining a screen configuration by a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는 4개의 영상 획득 장치에서 획득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4개의 감시 영상(41a)을 포함하는 영상(41)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는 원격지에 위치한 제1, 제2, 제3 화면 분할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각 4개의 감시 영상(42a, 43a, 44a)을 포함하는 영상(42, 43, 44)을 표시한다. 이때, 각 영상(41, 42, 43, 44)의 표시 위치는 화면 분할 장치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the screen spl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n image 41 including four surveillance images 41a obtained by converting image signals acquired by four image acquisition apparatuses into digital image data. In addition,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42, 43, 44 including four surveillance images 42a, 43a, and 44a input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en splitters located at remote locations. Display. In this case, the display position of each image 41, 42, 43, 44 may be variously set by the screen splitter.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21)에 16 분할되어 표시될 감시 영상(41a, 42a, 43a, 44a)의 크기(또는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맞게 출력할 수 있다.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the size (or resolution) of the surveillance images 41a, 42a, 43a, 44a to be divid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21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apparatus.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에 의한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예이다. 4B is a second embodiment for explaining a screen configuration by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는 4개의 영상 획득 장치에서 획득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4개의 감시 영상(41a)을 포함하는 영상(41)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는 원격지에 위치한 제1, 제2, 제3 화면 분할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각 4개의 감시 영상(42a, 43a, 44a)을 포함하는 영상(42, 43, 44)을 표시한다. As illustrated, the screen spl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n image 41 including four surveillance images 41a obtained by converting image signals acquired by four image acquisition apparatuses into digital image data. In addition,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42, 43, 44 including four surveillance images 42a, 43a, and 44a input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en splitters located at remote locations. Display.

나아가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는 4개의 영상 획득 장치와 원격지에 위치한 제1, 제2, 제3 화면 분할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각 4개의 감시 영상(42a, 43a, 44a)을 분석하여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한 후,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영상(45)을 표시할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isplay four surveillance images 42a, 43a, 44a input from four image capturing apparatuses and first, second, and third screen splitting apparatuses located at remote locations. After analyzing whether the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by analyzing, the event image 45 in which the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may be displayed.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에 의한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3 실시예이다. 4C is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for describing a screen configuration by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는 4개의 영상 획득 장치에서 획득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4개의 감시 영상(41a)을 포함하는 영상(41)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는 원격지에 위치한 제1, 제2, 제3 화면 분할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각 4개의 감시 영상(42a, 43a, 44a)을 포함하는 영상(42, 43, 44)을 표시한다. As illustrated, the screen spl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n image 41 including four surveillance images 41a obtained by converting image signals acquired by four image acquisition apparatuses into digital image data. In addition,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42, 43, 44 including four surveillance images 42a, 43a, and 44a input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en splitters located at remote locations. Display.

나아가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는 4개의 영상 획득 장치와 원격지에 위치한 제1, 제2, 제3 화면 분할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각 4개의 감시 영상(42a, 43a, 44a)을 분석하여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한 후, 다수의 긴급 상황이 발생한 이벤트 영상(45a, 45b, 45c)들을 표시한다. Furthermore, as shown,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isplay four surveillance images 42a, 43a, 44a input from four image capturing apparatuses and first, second, and third screen splitting apparatuses located at remote locations. After analyzing whether an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and analyzing, event images 45a, 45b, and 45c in which a plurality of emergency situations have occurred are displayed.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에 의한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4 실시예이다. 4D is a fourth embodiment for describing a screen configuration by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는 4개의 영상 획득 장치에서 획득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4개의 감시 영상(41a)을 포함하는 영상(41)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는 원격지에 위치한 제1, 제2, 제3 화면 분할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각 4개의 감시 영상(42a, 43a, 44a)을 포함하는 영상(42, 43, 44)을 표시하며, 긴급 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표시창(46)을 표시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the screen spl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n image 41 including four surveillance images 41a obtained by converting image signals acquired by four image acquisition apparatuses into digital image data. In addition,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42, 43, 44 including four surveillance images 42a, 43a, and 44a input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en splitters located at remote locations. And a data display window 46 capable of displaying emergency event data.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에 의한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5 실시예이다.4E is a fifth embodiment for describing a screen configuration by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는 4개의 영상 획득 장치에서 획득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4개의 감시 영상(41a)을 포함하는 영상(41)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장치는 원격지에 위치한 제1, 제2, 제3 화면 분할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각 4개의 감시 영상(42a, 43a, 44a)을 포함하는 영상(42, 43, 44)을 표시하며, 긴급 상황이 발생한 이벤트 영상(45)과 데이터 표시창(46)에 긴급 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the screen spl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n image 41 including four surveillance images 41a obtained by converting image signals acquired by four image acquisition apparatuses into digital image data. In addition, the screen spl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42, 43, 44 including four surveillance images 42a, 43a, and 44a input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en splitters located at remote locations. In addition, the emergency event data may be displayed on the event image 45 and the data display window 46 where the emergency occurs.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us far,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e descrip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6)

서로 다른 지역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화면 분할 장치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중 연결 기능을 갖는 화면 분할 장치로서,
상기 복수개의 화면 분할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 분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복수개의 영상 신호 변환부;
상기 복수개의 영상 신호 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디지털 영상 분석부;
상기 디지털 영상 분석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에 대한 분석결과정보에 따라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개의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 중 상기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이벤트 영상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이벤트 영상과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이벤트 영상 처리부;
상기 복수개의 영상 신호 변환부와 영상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에 대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크기와 위치를 설정하는 기본 영상 처리부;
상기 이벤트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영상과 상기 기본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을, 상기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와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의 크기와 위치 정보에 따라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기본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개의 화면 분할 장치 중 어느 하나의 화면 분할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분할 장치.
A screen splitter having multiple connection function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video data and a plurality of screen splitters installed in different regions,
An imag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igital image data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screen division apparatus of the plurality of screen division apparatuses;
A storage unit which stores screen size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A plurality of image signal converters for converting analog image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image acquisition apparatuses into digital image data;
A digital image analyzer for analyzing whether the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by analyzing the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plurality of image signal converters and the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image receiver;
A controller for outputting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which an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an event image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information on the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digital image analyzer;
An image in which the emergency event occurs among the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plurality of image acquisition apparatuses by receiving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event occurrence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event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from the controller; An event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set digital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cquisition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n event image, and output siz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t event image and the event image;
A basic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set a size and a posi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stored in the storage unit with respect to the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plurality of image signal converters and the image receiver;
An image outputting the event image input from the event image processor and the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basic image processor to on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iz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vent image and the siz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image data. An output unit; And
An image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basic image processing unit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creen division apparatuses;
Screen division apparatu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긴급 상황 이벤트 데이터가 더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긴급 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상기 이벤트 영상 처리부로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분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mergency storage event data is furth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controller may further output emergency even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event image processor when an emergency event occur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영상 처리부는 상기 이벤트 영상 처리부로부터 이벤트 영상 출력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의 크기와 위치를 재설정하며, 상기 이벤트 영상 처리부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긴급 상황 이벤트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화면 크기와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분할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event image output signal is input from the event image processor, the basic image processor resets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digital image data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displays the emergency event data on the display device by the event image processor. And a screen size and posi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 장치가:
사용자 조작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이벤트 영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벤트 영상 처리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분할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creen splitter comprises:
And a user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user manipulation data.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siz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vent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from the user input unit and outputs the information to the event image process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부는 상기 이벤트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영상을 상기 기본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들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분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image output unit preferentially displays an event image input from the event image processing unit over digital image data input from the basic image processing uni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면 분할 장치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시스템이:
서로 다른 지역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화면 분할 장치와;
상기 복수개의 화면 분할 장치와 각각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화면 분할 장치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영상 획득 장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다른 화면 분할 장치로 출력하는 중계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A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creen splitt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screen splitters installed in different regions;
A relay devic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creen splitters through a cable, and receiving digital image data and image acquisi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screen splitters, and outputting them to another screen splitter through the cable;
Remote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KR1020100108097A 2010-11-02 2010-11-02 Apparatus of seperating multi-picture and remotel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0353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097A KR101035312B1 (en) 2010-11-02 2010-11-02 Apparatus of seperating multi-picture and remotel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097A KR101035312B1 (en) 2010-11-02 2010-11-02 Apparatus of seperating multi-picture and remotel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312B1 true KR101035312B1 (en) 2011-05-19

Family

ID=4436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097A KR101035312B1 (en) 2010-11-02 2010-11-02 Apparatus of seperating multi-picture and remotel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312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616B1 (en) 2011-12-29 2013-08-0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 image monitering system using the weight value of image variation rates
KR20180092211A (en) 2017-02-08 2018-08-17 이정무 Multi image displaying method, Multi image managing server for the same, Multi image displaying system for the same,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KR101954951B1 (en) 2017-08-31 2019-03-06 이정무 Multi image displaying method
KR20190024934A (en) 2019-02-26 2019-03-08 이정무 Multi image displaying method, Multi image managing server, Multi image displaying system,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KR20190035389A (en) * 2017-09-26 2019-04-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Surveilla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9812A (en) * 2005-08-11 2007-02-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dividing a TV screen and method therefor
KR20090031305A (en) *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 다이브엑스 Method of dividing screen channel and media that can record computer program sources for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9812A (en) * 2005-08-11 2007-02-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dividing a TV screen and method therefor
KR20090031305A (en) *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 다이브엑스 Method of dividing screen channel and media that can record computer program sources for method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616B1 (en) 2011-12-29 2013-08-0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 image monitering system using the weight value of image variation rates
KR20180092211A (en) 2017-02-08 2018-08-17 이정무 Multi image displaying method, Multi image managing server for the same, Multi image displaying system for the same,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KR101954951B1 (en) 2017-08-31 2019-03-06 이정무 Multi image displaying method
KR20190035389A (en) * 2017-09-26 2019-04-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Surveilla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82460B1 (en) 2017-09-26 2021-07-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Surveilla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90024934A (en) 2019-02-26 2019-03-08 이정무 Multi image displaying method, Multi image managing server, Multi image displaying system,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312B1 (en) Apparatus of seperating multi-picture and remotel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1612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video summaries
KR101372358B1 (en) System for displaying of video data
KR20140143857A (en) Fire detection system using composited video and method thereof
KR102407327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Fire And System having the same
TW201340044A (en) Early warning server and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056854B1 (en) Internet protocol video wall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19099321A1 (en) Collaborative media collection analysis
KR102106754B1 (en) Intelligent multi-intercom broadcasting system for emergency broadcasting
KR101874588B1 (en) method for display of multi-channel region of interest using high-resolution cameras
KR101783359B1 (en) Screen division image control system
KR102056858B1 (en) Internet protocol video wall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1751723B1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KR102113527B1 (en) Thermal ip cctv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ire by using the same
KR102165276B1 (en) Integrated server for remote controlling and method thereof
JP2012213123A (en) Monitoring device and program
KR101250956B1 (en) An automatic system for monitoring
KR102088198B1 (en) Integrated fire control system using triple detectors and method thereof
KR101961104B1 (en) Screen division imag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KR1022606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of management and control connected with disaster broadcasting
US8279284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KR101035311B1 (en) Apparatus of seperating multi-picture
KR200492429Y1 (en) Integrated server for remote controlling
JPH10191307A (en) Image supervisory system
KR101374217B1 (en) Video conference system based on video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