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091B1 -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091B1
KR101035091B1 KR1020100137919A KR20100137919A KR101035091B1 KR 101035091 B1 KR101035091 B1 KR 101035091B1 KR 1020100137919 A KR1020100137919 A KR 1020100137919A KR 20100137919 A KR20100137919 A KR 20100137919A KR 101035091 B1 KR101035091 B1 KR 101035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mode
road
groove
width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익
Original Assignee
인해엔지니어링(주)
이순익
(주)경보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해엔지니어링(주), 이순익, (주)경보공영 filed Critical 인해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00137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1Devices or auxiliary means for setting-out or checking the configuration of new surfacing, e.g. templates, screed or reference line supports; Applications of apparatus for measu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existing surfacing, e.g. profilograph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도로포장시공장치 및 방법이 평면선형, 종단선형이 확보되지않은 기층, 보조층 구조물(고가차도, 교량상판) 등에 일률적인 두께로 포장(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눈짐작으로 도로포장선형을 어림잡아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공사비가 증대되며, 노면의 평탄성 불량으로 인해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GIS 단말기, 포장도로계측기, 스마트폰, 아스팔트 포장기, 콘크리트 포장기가 구성됨으로서, 포장될 도로의 지표공간에 대한 자료를 통계보고서·지도·도표화하여 평면선형시공구간, 종단선형시공구간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킬 수 있고, 스마트폰을 통해 도로포장용 기기와 센서네트워크망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기준설계치와 계측데이터를 비교 연산처리하여 분석한 후, 자바 가상머신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화해서 도로포장의 아스팔트 시공 및 콘크리트 시공에 따라 평면선형시공모드 및 종단선형시공모드별로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출력시킬 수 있고, 각각의 도로포장시공상황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규격화된 멀티도로포장시공방법을 스마트폰에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로 제공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시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공정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및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OF ROAD PAVING}
본 발명에서는 자바 가상머신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화해서 도로포장의 아스팔트 시공 및 콘크리트 시공에 따라 평면선형시공모드 및 종단선형시공모드별로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출력시킬 수 있는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포장에서 선형이라 함은 도로의 중심선이 입체적으로 그리는 연속된 형상으로서 평면적으로 본 도로포장중심선의 형상을 평면선형, 종단적으로 본 도로포장중심선의 형상을 종단선형이라 한다.
평면선형은 직선, 원곡선, 완화곡선 등으로 구성되며, 종단선형은 직선 및 2차 포물선 등으로 구성된다.
도로포장선형을 구성하고 있는 이들 요소를 선형요소라 부른다.
도로포장의 선형 결정시에는 지형 및 지역의 토지이용과의 조화, 선형의 연속성 및 평면종단양선형의 조화, 그리고 시공 및 유지관리, 경제성, 교통운용상의 득실에 대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
선형은 도로의 안전성 및 교통류를 좌우하는 주요 요소이다. 극단적인 곡선이나 이들의 적절치 못한 연결은 사고유발, 교통용량저하, 시간 및 주행경비증가, 연도자연환경과의 부조화, 나아가 건설비의 증가까지도 초래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도로포장시공장치 및 방법이 평면선형, 종단선형이 확보되지않은 기층, 보조층 구조물(고가차도, 교량상판) 등에 일률적인 두께로 포장(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눈짐작으로 도로포장선형을 어림잡아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공사비가 증대되며, 노면의 평탄성 불량으로 인해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포장기 및 아스팔트 포장기의 장비를 통한 시공 결과 데이터(도로 폭, 길이, 두께, 각도)를 확인할 수 없어서, 설계자가 일일이 도로의 폭과 깊이, 두께, 각도를 체크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9160호(2009년03월20일 공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포장될 도로의 지표공간에 대한 자료를 통계보고서·지도·도표화하여 평면선형시공구간, 종단선형시공구간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킬 수 있고, 스마트폰을 통해 도로포장용 기기와 센서네트워크망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기준설계치와 계측데이터를 비교 연산처리하여 분석한 후, 자바 가상머신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화해서 도로포장의 아스팔트 시공 및 콘크리트 시공에 따라 평면선형시공모드 및 종단선형시공모드별로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출력시킬 수 있고, 각각의 도로포장시공상황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규격화된 멀티도로포장시공방법을 스마트폰에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로 제공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시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공정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포장될 도로의 지표공간에 대한 자료 입수하여 자료 레이어 구축, 자료 분석 및 조작을 거쳐 통계보고서·지도·도표 중 어느 하나를 스마트폰으로 출력시키는 GIS 단말기와,
스마트폰에 연결되며, 포장될 도로의 실제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를 각각 계측하는 포장도로계측기와,
GIS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계보고서·지도·도표를 입력받아 1차 분석하고, 포장될 시공구간의 단위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에 관한 기준설계치를 입력받고, 포장될 도로의 실제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에 관한 계측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상기 기준설계치와 계측데이터를 비교 연산처리하여 2차 분석한 후, 평면선형시공모드 및 종단선형시공모드별로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출력시키고, 아스팔트 포장기와 콘크리트 포장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폰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포장될 도로의 평면선형구간 및 종단선형구간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고 다짐작업을 하는 아스팔트 포장기와,
스마트폰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포장될 도로의 평면선형구간 및 종단선형구간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포설하고 다짐작업을 하는 콘크리트 포장기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포장될 도로의 지표공간에 대한 자료를 통계보고서·지도·도표화하여 평면선형시공구간, 종단선형시공구간에 맞게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킬 수 있어 도로포장시공작업공정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통해 도로포장용 기기와 센서네트워크망을 형성하여 원격제어를 할 수 있으며, 직선도로구간, 최소평면곡선반경구간, 평면곡선 최소길이구간, 평면곡선부 편구배구간, 평면곡선 확폭구간, 정지시거구간, 앞지르기시거구간, 종단구배 제한길이구간, 볼록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구간, 오목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구간, 종단곡선최소길이구간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규격화된 상황별 도로포장시공방법을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컨텐츠로 활성화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시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공정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요소에 관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3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포장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중 최소평면곡선반경에 적용되는 차량의 주행속도, 도로의 곡선반경, 편구배, 노면마찰계수의 관계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중 최대편구배가 6% 또는 8%인 경우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한 편구배의 값은 그 때의 최대편구배의 값(6% 또는 8%)을 사용하도록 스마트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중 평면곡선 확폭시공모드시, 전륜축중심선 연장과 후륜축중심선의 연장이 만드는 각을 α,β라 하고 연결봉 암(Arm)의 연장이 만나는 교점을 점 0이라 설정하여 전차축, 연결봉 및 연결봉 암(Arm)이 만드는 사변형은 사다리꼴이 되므로 핸들조작시 내륜차륜축 쪽이 많이 전향되어 자동차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중 평면곡선 확폭시공모드시, 차도의 곡선부에 설계기준차량 및 곡선부의 곡선반경에 따라 차선의 폭을 1차선당 확폭량을 구성하여,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중 앞지르기시거시공모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도로포장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30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평면선형시공모드 및 종단선형시공모드별로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30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평면선형시공모드(S410)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이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30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종단선형시공모드(S420)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이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요소에 관한 블럭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GIS 단말기(100), 포장도로계측기(200), 스마트폰(300), 아스팔트 포장기(400), 콘크리트 포장기(5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GIS 단말기(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GIS 단말기(100)는 포장될 도로의 지표공간에 대한 자료 입수하여 자료 레이어 구축, 자료 분석 및 조작을 거쳐 통계보고서·지도·도표 중 어느 하나를 스마트폰으로 출력시키는 것으로, 이는 사각박스형상의 본체로 이루어지고, 본체 측면 일측에 GPS와 통신연결되어 포장될 도로의 위치를 수신받고, 본체 측면 타측에 WiFi망이 연결되어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도로계측기(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포장도로계측기(200)는 스마트폰에 연결되며, 포장될 도로의 실제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를 각각 계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도로포장이 완료된 아스팔트 도로 및 콘크리트 도로 중 평면선형구간 및 종단선형구간에 형성된 도로 폭, 길이, 두께, 각도를 초음파센서, 온도센서, 위치센서, 각도센서를 통해 계측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폰(300)은 GIS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계보고서·지도·도표를 입력받아 1차 분석하고, 포장될 시공구간의 단위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에 관한 기준설계치를 입력받고, 포장될 도로의 실제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에 관한 계측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상기 기준설계치와 계측데이터를 비교 연산처리하여 2차 분석한 후, 평면선형시공모드 및 종단선형시공모드별로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출력시키고, 아스팔트 포장기와 콘크리트 포장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마트폰(300)은 Smart + Phone의 합성어로 휴대폰과 PDA의 장점만을 발전적으로 결합시킨 차세대 고기능의 휴대폰이다.
기존 휴대폰에 컴퓨터의 기능을 휴대폰에 넣어 컴퓨터에서처럼 인터넷 검색, 메일 전송, 사진 편집, 문서 작성, 음악 듣기, 동영상 감상 등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스마트폰(300)은 본체(310), 디스플레이부(320), 키입력장치(330), GIS 수신부(340), 포장도로계측 데이터 수신부(350), 마이컴부(360), 아스팔트 포장용 데이터 송수신부(370), 콘크리트 포장용 데이터 송수신부(38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310)는 사각박스형상의 담배갑크기를 갖으며, 각 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20)는 주변기기의 동작상태 및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화면에 표출시키는 것으로, 이는 TFT LCD 창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 내부창에 햅틱이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장치(330)는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을 통해 정보를 입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GIS 수신부(340)는 본체 내부에 위치되어 GIS 단말기와 WiFi망으로 연결되어 포장될 도로의 지표공간에 대한 통계보고서·지도·도표 데이터를 수신받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측에 GIS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지표공간에 대한 통계보고서·지도·도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가 구성된다.
상기 포장도로계측 데이터 수신부(350)는 포장도로계측기와 WiFi망으로 연결되어 포장될 시공구간, 평면선형구간 및 종단선형구간에 관한 계측데이터(도로 폭, 길이, 두께, 각도)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이컴부는 기준설계치와 계측데이터를 비교 연산처리하여 분석한 후, 자바 가상머신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화해서 도로포장의 아스팔트 시공 및 콘크리트 시공에 따라 평면선형시공모드 및 종단선형시공모드별로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출력시키고, 화면상에 출력된 평면선형시공모드 및 종단선형시공모드에 따른 아스팔트 포장기와 콘크리트 포장기의 1:1 동작명령신호를 WiFi망을 통해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크게 평면선형시공모드와 종단선형시공모드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평면선형시공모드는 직선도로시공모드, 최소평면곡선반경시공모드, 평면곡선 최소길이 시공모드, 평면곡선부 편구배 시공모드, 평면곡선 확폭시공모드, 완화곡선 최소길이시공모드, 정지시거시공모드, 앞지르기시거시공모드로 구성된다.
상기 종단선형시공모드는 종단구배 제한길이시공모드, 볼록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 오목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 종단곡선최소길이 시공모드로 구성된다.
상기 아스팔트 포장용 데이터 송수신부(360)는 아스팔트 포장기와 WiFi망으로 연결되어 아스팔트 포장기로 마이컴부의 동작명령신호를 보내고,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한 아스팔트 포장기의 시공 결과 데이터(도로 폭, 길이, 두께, 각도)를 수신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콘크리트 포장용 데이터 송수신부(370)는 콘크리트 포장기와 WiFi망으로 연결되어 콘크리트 포장기로 마이컴부의 동작명령신호를 보내고,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한 콘크리트 포장기의 시공 결과 데이터(도로 폭, 길이, 두께, 각도)를 수신받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포장기(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아스팔트 포장기는 스마트폰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포장될 도로의 평면선형구간 및 종단선형구간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고 다짐작업을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배치타입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Batch-type asphalt mixing plant)(410), 아스팔트 디스트라이부터(Asphalt distributor)(420), 아스팔트 피니셔(Asphalt finisher)(430), 아스팔트 다짐롤러(440), 그루빙머신(4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치타입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Batch-type asphalt mixing plant)(410)는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아스팔트 혼합물을 저장한 후, 포장될 도로에 균일하게 살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스팔트 디스트라이부터(Asphalt distributor)(420)는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역청재료를 보온탱크에 적재하여 10Km/h~30Km/h의 속도로 주행하면서 후미에 설치된 스프레이바를 통해 아스팔트 혼합물이 뿌려진 포장도로에 역청재료를 살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스팔트 피니셔(Asphalt finisher)(430)는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5Km/h~30Km/h의 속도로 주행하면서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두께를 조정하고 평판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스팔트 다짐롤러(440)는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로드롤러의 선압력을 50~65Kg/cm로 하여 아스팔트가 도포된 도로표면을 다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그루빙 머신(450)은 아스팔트가 도포된 도로표면에 노면미끄럼방지홈(=그루빙)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제1구동부, 커터기, 제1발전기, 폐기물 수집부, 제1컨트롤 박스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구동부는 전단부와 후단부에 전동바퀴가 형성되어 아스팔트가 도포된 도로표면으로부터 2~15cm 높이에서 장방향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를 지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터기는 원형 블레이드로 이루어져 아스팔트가 도포된 도로표면에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형성하는 곳으로, 이는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복수개의 원형 블레이드가 부착되어 구성되며, 구동부의 전동바퀴 일측에 구성되어 컨트롤박스부의 제어를 통해 도로 표면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커터기는 일측에 DC 80~120와트 출력의 커터기 회전용 구동 모터가 형성되어 구동기어와 체인로프 그리고 종동기어를 통해 정·역방향 회전력으로 커터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박스부의 제어를 통해 구동부가 동작되고, 이어서 커터기 회전용 구동 모터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커터기 회전용 구동 모터의 정·역방향 회전력은 커터기 회전용 구동 모터 일측에 형성된 구동기어를 통해 체인로프로 전달된다. 그 체인로프로 전달된 커터기 회전용 구동 모터의 정·역방향 회전력은 커터기의 종동기어로 전달되어 커터기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서,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도로 표면 위에서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발전기는 그루빙 머신의 중앙 또는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곳으로, 이는 정격 AC출력이 1.5~6.0KVA이고, 엔진 배기량이 100~250cc이며, 엔진 최대 출력이 5.2HP/3600rpm인 특성을 갖는다.
상기 폐기물 수집부는 그루빙 머신의 전면 및 측면 일측에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커터기 작업 후 발생되는 폐기물을 흡입하여 수집하는 곳으로, 이는 커터기 일측에 구성되어 커터기 작업 후 발생되는 폐기물을 바로 흡입하도록 하는 흡입부와, 그 흡입부에서 흡입된 폐기물을 원통형 수집통으로 이송시키는 이송파이프와, 그 이송파이프를 통해 흡입된 폐기물을 수집하는 원통형 수집통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컨트롤박스부는 각 기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하는 곳으로, 이는 그루빙 마이컴 제어부와, 제1키패드부, 제1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다.
그루빙 마이컴제어부는 평면선형시공모드 중 직선도로시공모드, 최소평면곡선반경시공모드, 평면곡선 최소길이 시공모드, 평면곡선부 편구배 시공모드, 평면곡선 확폭시공모드, 완화곡선 최소길이시공모드, 정지시거시공모드, 앞지르기시거시공모드의 구동; 그리고, 종단선형시공모드 중 종단구배 제한길이시공모드, 볼록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 오목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 종단곡선최소길이 시공모드의 구동;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에 각 모드의 동작상태, 폭,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을 표시하며, 구동부와, 커터기, 폐기물 수집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1키패드부는 사용자에 의해 노면 미끄럼 방지홈의 폭,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을 직접 설정하거나, 셋팅된 평면선형시공모드, 종단선형시공모드를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제1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각 상황별 그루빙 시공모드의 동작상태, 폭,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루빙 머신은 제1구동부, 커터기, 제1발전기, 폐기물 수집부, 제1컨트롤 박스부(그루빙마이컴 제어부, 제1키패드부, 제1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통해, 평면선형시공모드(S410) 중 직선도로시공모드(S410a)시,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하고,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하며,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루빙 머신은 제1구동부, 커터기, 제1발전기, 폐기물 수집부, 제1컨트롤 박스부(그루빙마이컴 제어부, 제1키패드부, 제1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통해, 평면선형시공모드(S410) 중 최소평면곡선반경시공모드(S410b)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하고,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그루빙 머신은 제1구동부, 커터기, 제1발전기, 폐기물 수집부, 제1컨트롤 박스부(그루빙마이컴 제어부, 제1키패드부, 제1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통해, 평면선형시공모드(S410) 중 최소길이 시공모드(S410c)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하고,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루빙 머신은 제1구동부, 커터기, 제1발전기, 폐기물 수집부, 제1컨트롤 박스부(그루빙마이컴 제어부, 제1키패드부, 제1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통해, 평면선형시공모드(S410) 중 모드 평면곡선부 편구배 시공모드(S410d)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고,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그루빙 머신은 제1구동부, 커터기, 제1발전기, 폐기물 수집부, 제1컨트롤 박스부(그루빙마이컴 제어부, 제1키패드부, 제1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통해, 평면선형시공모드(S410) 중 평면곡선 확폭시공모드(S410e)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고,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루빙 머신은 제1구동부, 커터기, 제1발전기, 폐기물 수집부, 제1컨트롤 박스부(그루빙마이컴 제어부, 제1키패드부, 제1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통해, 평면선형시공모드(S410) 중 완화곡선 최소길이시공모드(S410f)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하고,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그루빙 머신은 제1구동부, 커터기, 제1발전기, 폐기물 수집부, 제1컨트롤 박스부(그루빙마이컴 제어부, 제1키패드부, 제1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통해, 평면선형시공모드(S410) 중 정지시거시공모드(S410g)는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루빙 머신은 제1구동부, 커터기, 제1발전기, 폐기물 수집부, 제1컨트롤 박스부(그루빙마이컴 제어부, 제1키패드부, 제1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통해, 평면선형시공모드(S410) 중 앞지르기시거시공모드(S410h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하고,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기(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콘크리트 포장기는 스마트폰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포장될 도로의 평면선형구간 및 종단선형구간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포설하고 다짐작업을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스프레더(510), 벨트프레서(Belt Pressor)(520), 슬립폼 페이버(Slip Form Paver)(530), 메시 인스텔러(Mesh Installer)(540), 메시 가드(Mesh Guard)(550), 큐링 머신(Curing Machine)(560), 조면처리기(570)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레더(510)는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콘크리트 혼합물을 저장한 후, 포장될 도로에 성형부설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벨트프레서(Belt Pressor)(520)는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호퍼에 받은 콘크리트를 벨트컨베이어로 포장될 도로의 보조기층 중앙에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립폼 페이버(Slip Form Paver)(530)는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슬립폼 페이버 전면 오거에 의해 콘크리트를 보급시 콘크리트 슬래브의 양쪽부까지 충분히 보급되도록 포설시키고, 콘크리트의 바이브레이터(Vibrator)에 의한 다짐을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시 인스텔러(Mesh Installer)(540)는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철망에 압력을 주어 철망을 콘크리트 포설 도로의 소정의 위치에 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시 가드(Mesh Guard)(550)는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철망을 운반하여 설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큐링 머신(Curing Machine)(560)은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복렬로 배치한 노즐에서 양생제를 가압 살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면처리기(570)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표면에 종방향과 횡방향 타이닝홈과, 배수타이닝홈, 그리고 감속 경고타이닝홈으로 이루어진 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는 제2구동부, 조면형성부, 양생제노즐부, 제2발전기, 제2컨트롤박스부, 노면센서부, 노면촬영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2구동부는 가로방향 콘크리트 포장도로 끝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전동바퀴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표면으로부터 5~150cm 높이에서 장방향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를 지지하면서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끝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면형성부는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회전축을 따라 360°로 회전하고, 상하좌우로 이동되어 셋팅모드에 따라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표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의 타이닝홈으로 이루어진 조면을 형성하는 곳으로, 이는 참빗형상의 본체로 이루어지고, 본체의 상단일측에 제어부의 제어하에 회전축을 따라 360°로 회전하는 회전축 연결 프레임이 구성되고, 회전축 연결 프레임 하단에 수평바를 갖는 고정 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구성되며, 고정 프레임 하단에 호형상의 회동체 지지 프레임이 구성되고, 회동체 지지 프레임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 타이닝홈, 배수타이닝홈, 감속경고홈을 형성하는 핀봉이 복수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양생제노즐부는 본체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조면형성부를 통해 형성된 횡방향 또는 종방향의 타이닝홈, 배수타이닝홈, 감속경고홈으로 이루어진 조면에 양생제를 살포하여 양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전기는 본체의 중앙 또는 상단 일측에 설치되어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곳으로, 이는 정격 AC출력이 1.5~6.0KVA이고, 엔진 배기량이 100~250cc이며, 엔진 최대 출력이 5.2HP/3600rpm인 특성을 갖는다.
상기 제2컨트롤박스부는 발전기와 반대되는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하는 곳으로, 이는 조면용 마이컴 제어부, 제2키패드부, 제2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다.
상기 조면용 마이컴제어부는 평면선형시공모드 중 직선도로시공모드, 최소평면곡선반경시공모드, 평면곡선 최소길이 시공모드, 평면곡선부 편구배 시공모드, 평면곡선 확폭시공모드, 완화곡선 최소길이시공모드, 정지시거시공모드, 앞지르기시거시공모드의 구동; 그리고, 종단선형시공모드 중 종단구배 제한길이시공모드, 볼록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 오목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 종단곡선최소길이 시공모드의 구동;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에 각 모드의 동작상태, 폭,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을 표시하며, 구동부, 조면형성부, 양생제 노즐부, 노면센서부, 조면촬영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키패드부는 사용자에 의해 횡방향 또는 종방향의 타이닝홈으로 이루어진 조면의 폭,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을 직접 설정하거나, 셋팅된 각 상황별 조면 시공모드를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각 상황별 조면 시공모드의 동작상태, 폭,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노면센서부는 본체의 조면형성부 일측에 위치하여, 타이닝홈으로 이루어진 조면의 폭,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데이터를 컨트롤박스부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면촬영부는 본체의 조면형성부 일측에 위치하여, 조면형성부를 통해 형성된 타이닝홈으로 이루어진 조면의 시공상태를 촬영하여 컨트롤박스부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조면처리기는 제2구동부, 조면형성부, 양생제노즐부, 제2발전기, 제2컨트롤박스부(조면마이컴 제어부, 제2키패드부, 제2디스플레이부), 노면센서부, 노면촬영부의 구성을 통해, 평면선형시공모드(S410) 중 직선도로시공모드(S410a)시, 횡방향의 타이닝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하고,
종방향의 타이닝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하며,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배수타이닝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통한 멀티도로포장시공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GIS 단말기를 통해 포장될 도로의 지표공간에 대한 자료 입수하여 자료 레이어 구축, 자료 분석 및 조작을 거쳐 통계보고서·지도·도표 중 어느 하나를 스마트폰으로 출력시킨다.
다음으로, 포장도로계측기를 통해 포장될 도로의 실제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를 각각 계측한다.
다음으로, 스마트폰의 마이컴을 통해 GIS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계보고서·지도·도표를 입력받아 포장될 시공구간 중 평면선형구간, 종단선형구간을 1차 분석한 후,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표출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폰의 마이컴에서 미리 입력받은 포장될 시공구간의 단위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에 관한 기준설계치와, 포장될 도로의 실제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에 관한 계측데이터를 비교 연산처리하여 2차 분석한 후, 도로 포장시공을 평면선형시공모드 및 종단선형시공모드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바 가상머신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화해서 도로포장의 아스팔트 시공 및 콘크리트 시공에 따라 평면선형시공모드 및 종단선형시공모드로 나뉘어진다.
상기 평면선형시공모드는 직선도로시공모드, 최소평면곡선반경시공모드, 평면곡선 최소길이 시공모드, 평면곡선부 편구배 시공모드, 평면곡선 확폭시공모드, 완화곡선 최소길이시공모드, 정지시거시공모드, 앞지르기시거시공모드로 구성된다.
상기 종단선형시공모드는 종단구배 제한길이시공모드, 볼록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 오목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 종단곡선최소길이 시공모드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구성된 평면선형시공모드에 따라 아스팔트 포장기쪽으로 동작명령신호를 보내거나, 또는 구성된 종단선형시공모드에 따라 콘크리트 포장기쪽으로 동작명령신호를 보낸다.
끝으로,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한 아스팔트 포장기 및 콘크리트 포장기의 시공 결과 데이터(도로 폭, 길이, 두께, 각도)를 수신받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통한 멀티도로포장시공방법 중 평면선형시공모드 및 종단선형시공모드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평면선형시공모드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평면선형시공모드는 자바 가상머신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화해서 도로포장의 아스팔트 시공 및 콘크리트 시공에 따라 직선, 원곡선, 완화곡선을 시공하는 모드에 관한 것으로, 이는 직선도로시공모드, 최소평면곡선반경시공모드, 평면곡선 최소길이 시공모드, 평면곡선부 편구배 시공모드, 평면곡선 확폭시공모드, 완화곡선 최소길이시공모드, 정지시거시공모드, 앞지르기시거시공모드로 구성된다.
[ 직선도로시공모드 ]
상기 직선도로시공모드는 평탄지, 및 산과 산 사이의 넓은 골짜기, 시가지 또는 근교의 가로망이 위치한 직선구간, 지역개발계획과 관련된 도로구간, 장대교, 고가구간, 터널구간에 적용시키고, 직선의 제한 최대길이를 차량설계속도(Km/h)값에 20배를 곱한 값으로 구성하는 제1a시공모드와, 직선의 제한 최소길이가 동일 방향으로 굴곡하는 곡선부 사이의 직선일 때에 차량설계속도(Km/h)값에 6배한 값으로 구성하는 제2a시공모드와, 직선의 제한 최소길이가 다른 반대방향으로 굴곡하는 곡선부 사이의 직선일 때에 차량설계속도(Km/h)값에 2배한 값으로 구성하는 제3a시공모드와,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a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a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6a시공모드로 이루어진 모드이다.
이는 자바 가상머신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화되어 디스플레이부 화면 일측에 팝업창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면선형에서 직선을 적용할 구간은 평탄지, 및 산과 산 사이의 넓은 골짜기, 시가지 또는 근교의 가로망이 위치한 직선구간, 지역개발계획과 관련된 도로구간, 장대교, 고가구간, 터널구간에 적용시키도록 구성된다.
직선을 적용하는 경우, 최대길이는 운전자의 심리적인 부담한계에 의거 결정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차량설계속도(Km/h)값에 20배한 값(m)으로 구성하고, 최소길이는 동일 방향으로 굴곡하는 곡선부 사이의 직선일 때에 차량설계속도(Km/h)값에 6배한 값(m)으로 구성하고, 직선의 제한 최소길이를 다른 반대방향으로 굴곡하는 곡선부사이의 직선일 때에 차량설계속도(Km/h)값에 2배한 값(m)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지형지물의 상황, 주위 경관의 변화에 따라 변수를 구성하여 직선도로의 최대길이와 최소길이를 결정한다.
[ 최소평면곡선반경시공모드 ]
상기 최소평면곡선반경시공모드는 도로의 곡선부를 주행하는 차량에 가해지는 원심력에 의해 차량이 곡선외부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차량설계속도(Km/h)를 제곱한 값에 127(횡방향 활동마찰계수(f)+노면의 편구배(i))한 값을 나눠서 연산한 결과값을 최소평면곡선반경으로 구성하는 제1b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2b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b시공모드로 이루어진 모드이다.
이는 자바 가상머신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화되어 디스플레이부 화면 일측에 팝업창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최소평면곡선반경은 곡선부를 주행하는 자동차에 가해지는 원심력에 의해 자동차가 곡선외부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취지와 주행쾌적성의 양부에 의해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원심력에 의한 자동차의 전도는 활동 보다 후에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최소평면곡선반경은 차도의 각 차로 중심선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속도, 도로의 곡선반경, 편구배, 노면마찰계수의 관계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그리고, 원심력(Z)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가 있다.
Figure 112010087235303-pat00001
여기서, R은 최소평면곡선반경(m)이고, v는 자동차의 속도(m/sec)이며, g는 중력가속도(
Figure 112010087235303-pat00002
)이고, G는 자동차의 총중량(Kg)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수학식 1에 횡방향 활동마찰계수(f)와 노면의 횡단구배(편구배)(i=tanα)를 적용시켜, 최소평면곡선반경(R)로 정리하면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할 수가 있다.
Figure 112010087235303-pat00003
여기서, f+i값은 도로포장곡선부 주행시의 안전성과 쾌적성에 직관되고 최소평면곡선반경 결정에 중요한 요소이다.
횡방향 마찰계수 f의 값은 쾌적성, 강우나 동결시 노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타이어압력, 접지상태, 노면의 온도 등에 따라 변화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노면이 젖어 있는 경우 아스팔트포장에서는 0.3~0.9, 콘크리트포장에서는 0.3~0.7로 하고, 수막현상 또는 노면동결상태에서는 0.1~0.4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설계속도(Km/h)와 f값 관계를 다음의 표1과 같이 구성하여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차량설계속도(Km/h) 120 100 80 70 60 50 40이하
f(횡방향마찰계수) 0.12 0.14 0.15 0.17 0.18 0.19 0.20
본 발명에 따른 최소평면곡선반경은 특정 속도에 대해서 편구배 i와 회방향 마찰계수f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설계속도(Km/h)과 최대편구배 6%,7%,8%에 대한 최소평면곡선반경값을 다음의 표2와 같이 구성하여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차량설계속도(km/h)
적용최대편구배
6% 7% 8%
120 720 690 650
110 610 580 550
100 470 460 440
90 390 380 340
80 280 275 260
70 210 210 190
60 150 145 140
50 100 95 90
40 70 65 60
30 40 45 40
20 25 20 20
[평면곡선 최소길이 시공모드 ]
본 발명에 따른 평면곡선 최소길이 시공모드는 도로의 곡선부를 주행하는 차량에 가해지는 원심력에 의해 차량 내부의 사람이 횡방향 충격을 받지 않도록 도로의 교각이 5°미만인 경우에 차량설계속도(Km/h)에 대한 평면곡선의 최소길이비율을 1:5.5 또는 1:5.8, 그리고, 1:6.0, 또는 1:7.5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한 구성한 값에 5°미만인 도로 교각의 각도값을 나눈 값을 제1 평면곡선의 최소길이로 구성하는 제1c시공모드와, 도로의 교각이 5°이상인 경우에 차량설계속도(Km/h)에 대한 평면곡선의 최소길이비율을 1:1.1 또는 1:1.25, 그리고 1:1.25 또는 1:1.5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한 구성값을 제2 평면곡선의 최소길이로 구성하는 제2c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c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c시공모드로 이루어진 모드이다.
차량이 곡선부를 주행할 경우, 곡선부의 길이가 짧으면 차내의 사람은 횡방향의 충격을 받게 되어 고속일 경우 위험을 초래할 수가 있기 때문에, 평면곡선의 최소곡선길이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평면곡선 최소길이를 구성하기 위해 도로교각이 5°이상인 경우와, 5°미만인 경우로 구분하여 표 3과 같이 구성하여,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설계속도(km/h) 평면곡선의 최소길이
도로의 교각이 5°미만인 경우 도로의 교각이 5°이상인 경우
120 750/θ 150
110 700/θ 140
100 650/θ 130
90 600/θ 120
80 550/θ 110
70 450/θ 100
60 400/θ 90
50 350/θ 80
40 300/θ 70
30 250/θ 60
20 200/θ 50
여기서, 주행거리는 차량설계속도로 약 4초간 주행할 수 있는 거리로 구성하고, θ는 도로교각의 값(°)으로 2°미만인 경우에는 2°로 하고, 도로교각이 5°이상인 경우는 최소완화구간길이의 2배가 되며, 도로교각이 5°미만인 경우에는 최소완화구간길이의 10배를 그 교각으로 나눈 값으로 구성한다.
[ 평면곡선부 편구배 시공모드 ]
상기 평면곡선부 편구배 시공모드는 도로의 평면곡선부를 주행하는 차량이 원심력에 대항하여 노면에 붙여진 편구배노면과 타이어 간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횡단방향으로 안전하게 주행하도록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한 최대편구배의 값을 6% 또는 8%가 되도록 구성하는 제1d시공모드와, 직선부에서 사용하는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한 최소편구배의 값을 1.5~2.0%가 되도록 구성하는 제2d시공모드와, 노면배수에서는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한 평균편구배의 값을 1.5~4.0%가 되도록 구성하는 제3d시공모드와, 비포장도로에서는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한 평균편구배의 값을 3.0~5.0%가 되도록 구성하는 제4d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d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6d시공모드로 이루어진 모드이다.
즉, 도로의 평면곡선부를 주행하는 자동차가 원심력에 대항하여 노면에 붙여진 편구배노면과 타이어 간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횡단방향으로 안전하게 주행한다.
이때, 승차감을 위해서는 편구배를 크게 취해야 하지만, 주행속도가 설계속도보다 작을 경우 자동차가 편구배로 인해 내측으로 쏠리지 않으려고 핸들을 강제로 조작하게 되고 횡방향활동이 예상되기 때문에 너무 큰 값의 편구배를 구성할 수가 없다.
또한, 시공성, 유지관리상으로도 편구배의 최대값은 8%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상조건을 고려한 최대편구배값과 차량설계속도에 따른 최소평면곡선반경이 정해지면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해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할 수가 있다.
Figure 112010087235303-pat00004
수학식 3과 같이, 차량설계속도에 대해 곡률반경이 구성되면 원심가속도도 발 구성되고, 이 원심가속도에 맞서는 (i+f)의 값을 그 요소 i와 f에 대한 비율을 구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편구배가 6% 또는 8%인 경우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한 편구배의 값은 그 때의 최대편구배의 값(6% 또는 8%)을 사용하도록 스마트폰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평면곡선 확폭시공모드 ]
상기 평면곡선 확폭시공모드는 도로 곡선부에서 도로중심선의 곡선반경에 따라 10Km/h씩 증가하는 차량설계속도(Km/h)에 따른 차폭의 확폭량을 0.25m 단위로 구성하는 제1e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2e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e시공모드로 이루어진 모드이다.
즉, 차량의 후륜은 차축에 직각으로 되어 있어 방향전환은 전륜으로 정해진다.
이때, 자동차 전륜축중심선의 연장이 후륜축중심선의 연장과 만나는 점(점 M)은 자동차가 회전하려 하는 반경의 중심점이 된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축중심선 연장과 후륜축중심선의 연장이 만드는 각을 α,β라 하고 연결봉 암(Arm)의 연장이 만나는 교점을 점 0이라 한다.
따라서, 전차축, 연결봉 및 연결봉 암(Arm)이 만드는 사변형은 사다리꼴이 되므로 핸들조작시 내륜차륜축 쪽이 많이 전향되어 자동차의 회전이 원활하게 된다.
즉, 자동차가 곡선부를 주행할 때에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과 후륜이 상이한 괘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전후차륜이 도로를 이탈하지 않으려면 직선부에서의 차륜폭l에 w0만큼의 여분을 두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차도의 곡선부에 설계기준차량 및 곡선부의 곡선반경에 따라 차선의 폭을 1차선당 다음의 표 4와 같이 확폭량을 구성하여,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곡선반경(단위:m) 차선당 최소확폭량
(단위:m)
자동차전용도로,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
150이상 250미만 100이상 105미만 0.25
100이상 150미만 65이상 100미만 0.50
70이상 100미만 40이상 65미만 0.75
50이상 70미만 35이상 40미만 1.00
25이상 35미만 1.25
20이상 25미만 1.50
15이상 20미만 1.75
10이상 15미만 2.00
[완화곡선 최소길이시공모드]
상기 완화곡선 최소길이시공모드는 도로의 직선부에서 곡선부로 연결되는 구간, 또는 큰 곡선부에서 작은 곡선부로 연결되는 구간에 적용되는 완화곡선 최소길이를 10Km/h씩 증가하는 차량설계속도(Km/h)에 따라 5m 단위로 증가되도록 구성하는 제1f 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2f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f시공모드로 이루어진 모드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설계속도가 80km/h 이상의 도로에서는 핸들조작이 매우 근소한 착오라도 될 수 있는 한 빨리 원상복귀시킬 수 있는 주행시간의 길이만큼 반드시 완화곡선을 설치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가 있도록 구성된다.
차량설계속도가 80km/h 미만의 도로에서는 완화곡선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 곡선부의 편구배 및 확폭을 접속설치할 수 있도록 직선구간과 원곡선구간을 직접 연결하고 완화구간을 설치한다.
핸들조작에 곤란을 느끼지 않을 주행시간을 2초로 하여 다음의 표 5와 같이 완화곡선 최소길이값을 구성하여,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차량설계속도(km/h_ 적용값(m)





120 70
110 65
100 60
90 55
80 50
70 45





60 40
50 35
40 30
30 25
20 20
[ 정지시거시공모드 ]
상기 정지시거시공모드는 운전자가 차량 진행방향의 전방에 있는 장애물을 인지하고 제동을 걸어서 정지시키는 정지시거를 구성하기 위해 차량설계속도(Km/h)값에 0.694 상수를 곱한 값으로 구성하는 제1g 시공모드와, 차량설계속도(Km/h)값을 제곱한 후에 상수 254와 타이어와 노면의 종방향미끄럼 마찰계수(f)를 곱한 값으로 나누는 제2g 시공모드와, 제1g 시공모드의 결과값과 제2g 시공모드의 결과값을 더한 후 정지시거길이(m)를 구성하는 제3g시공모드와,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g시공모드와, 차량의 주행속도(km/hr)에 따라 제동거리 2.5초의 주행거리 지점부터 시작하여 1초간의 경고구간을 17~31m로 한 횡방향 이격식으로 감속 경고홈을 형성하여 감속 경고구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g시공모드와, 경고구간(t=1)에서 위험을 인지한 운전자가 반응시간(t=1.5)을 거쳐 주행 차량이 제동행위를 하도록 횡방향 경고홈의 폭을 1m 시공하고, 횡방향 경고홈의 간격을 3m 간격으로 설치하는 1:3 방식과, 횡방향 경고홈의 폭을 3m 시공하고, 횡방향 경고홈의 간격을 6m 간격으로 설치하는 3:6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제동구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6g시공모드로 이루어진 모드이다.
상기 정지시거는 전방의 동일차선상에 고장차 등의 장애물을 인지한 경우에 제동을 걸어서 정지하기 위해 필요한 길이를 말한다.
정지시거는 운전자가 위험요소를 판단하는 시간, 반응시간(Reaction time), 제동장치를 작동시킨 후 자동차가 정지하는데 걸리는 시간 동안에 주행한 전체거리로 계산하며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할 수가 있다.
Figure 112010087235303-pat00005
여기서, D는 정지시거(m)이고, V는 속도(km/h)이며, t는 반응시간(2.5sec)이고, g는 중력가속도(
Figure 112010087235303-pat00006
)이며, f는 타이어와 노면의 종방향미끄럼 마찰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반응시간은 운전자가 장애물을 발견한 후 브레이크를 밟을 것인가를 판단하는 시간과 판단하고 나서 브레이크를 밟을 때까지의 동작시간으로, 본 발명에서는 판단시간 1.5초, 반동시간 1초 하여 총 2.5초를 반응시간으로 구성한다.
종방향 미끄럼 마찰계수(f)는 타이어조건, 노면조건에 따라 0.25~0.45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지시거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다음의 표 6과 같이 구성하여,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차량설계속도
(km/h)
f 0.694v
Figure 112010087235303-pat00007
계산값(m) 기준값(m)
120 0.27 85.5 205.7 290.7 280
100 0.28 70.2 145.9 206.5 200
80 0.29 56.5 92.3 142.2 140
70 0.30 49.6 65.4 120.4 110
60 0.32 43.5 46.3 87.5 85
50 0.33 35.8 32.0 68.9 65
40 0.37 29.7 18.0 46.5 45
30 0.40 23.4 9.5 29.7 30
20 0.44 15.7 4.5 19.5 20
[ 앞지르기시거시공모드 ]
상기 앞지르기시거시공모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지르기 차량이 앞지르기의 가능성을 판단하고 가속하여 대향차선으로 들어가기 직전까지 주행하는 거리(d1)를 구성하는 제1h시공모드와, 앞지르기 시작부터 완료까지 차량이 대향차량선을 주행하는 거리(d2)를 구성하는 제2h시공모드와, 앞지르기 완료시 앞지르기 차량과 대향차량과의 차두거리(d3)를 구성하는 제3h시공모드와, 앞지르기 차량이 앞지르기를 완료할 때까지 대향차량이 주행하는 거리(d4)를 구성하는 제4h시공모드와, 제3f시공모드에서 구성된 앞지르기 완료시 앞지르기 차량과 대향차량과의 차두거리(d3)를 통해 최소필요 앞지르기시거(dmin)를 구성하는 제5h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6h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7h시공모드로 이루어진 모드이다.
앞지르기 시거는 저속차를 앞지르기 위하여 도로의 중심선상 눈의 높이 1m에서 도로의 중심선상에 있는 1.2m의 장애물 정점을 투시할 수 있는 거리를 도로 중심선상을 따라 측정한 길이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앞지르기시거시공모드는 다음의 5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첫째, 앞지르기 차량이 앞지르기의 가능성을 판단하고 가속하여 대향차선으로 들어가기 직전까지 주행하는 거리(d1)를 수학식 5와 같은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연산한다.
Figure 112010087235303-pat00008
여기서, V0는 앞지르기 당하는 차의 속도(km/h)를 나타낸 것이고, a는 평균가속도(
Figure 112010087235303-pat00009
)를 나타낸 것이고, t1은 가속시간(sec)(2.9~4.5초)을 나타낸 것이다.
둘째, 앞지르기 시작부터 완료까지 차량이 대향차량선을 주행하는 거리(d2)를 수학삭 6과 같은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연산한다.
Figure 112010087235303-pat00010
여기서, V는 앞지르기 차량의 속도를 나타낸 것이고, t2는 앞지르기 완료까지의 시간(9.4~11,2sec)을 나타낸 것이다.
셋째, 앞지르기 완료시 앞지르기 차량과 대향차량과의 차두거리(d3)를 측정한다. 이는 실측에 의해 30~100m로 구성한다.
넷째, 앞지르기 차량이 앞지르기를 완료할 때까지 대향차량이 주행하는 거리(d4)를 수학식 7와 같은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연산한다.
Figure 112010087235303-pat00011
다섯째, 최소필요 앞지르기시거(Dmin)를 통해 앞지르기 시거를 연산한다.
여기서 최소필요 앞지르기시거(Dmin)는 다음의 수학식 8과 같은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연산한다.
Figure 112010087235303-pat00012
본 발명에 따른 앞지르기시거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다음의 표 7과 같이 구성하여,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V
(km/h)
Figure 112010087235303-pat00013

(km/h)
d1 d2
(m)
d3
(m)
d4
(m)
D
(m)
Dmin
(m)
a
(
Figure 112010087235303-pat00014
)

t1
(sec)
d1
(m)
t2
(sec)
d2
(m)
100 85 0.68 4.7 114.9 12.4 319.7 80 220.1 730 512
80 65 0.67 4.4 83.6 11.4 236.1 60 160.1 537 378
60 45 0.65 3.9 52.4 9.6 160.8 50 109.5 360 261
50 37.5 0.64 3.6 41.0 9.3 130.0 40 89.6 280 199
40 30 0.63 3.4 30.1 8.6 95.6 30 68.7 215 161
30 20 0.62 3.1 19.5 8.4 68.7 25 49.5 160 115
20 10 0.62 2.9 9.9 7.8 42.2 15 29.1 98 81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종단선형시공모드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종단선형시공모드는 자바 가상머신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화해서 도로포장의 아스팔트 시공 및 콘크리트 시공에 따라 직선 및 2차 포물선을 시공하는 모드에 관한 것으로, 이는 종단구배 제한길이시공모드, 볼록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 오목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로 구성된다.
[ 종단구배 제한길이시공모드 ]
상기 종단구배 제한길이시공모드는 차량이 구배구간에 진입하여 허용된 최저속도를 유지하며 주행하도록 하기 위해 종단경사 3%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750m로 설정하는 제1i 시공모드와, 종단구배가 4~5%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550~400m로 설정하는 제2i 시공모드와, 종단구배가 5~6%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550~300m로 설정하는 제3i 시공모드와, 종단구배가 6~7%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550~400m로 설정하는 제4i 시공모드와, 종단구배가 7~9%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450~350m로 설정하는 제5i 시공모드와, 종단구배가 8~10%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550~400m로 설정하는 제6i시공모드와,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7i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8i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9i시공모드로 이루어진 모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단구배구간의 제한길이는 중력/마력의 비가 300lb/Hp인 트럭을 표준으로 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오르막 구간의 진입속도는 설계속도 80km/h 이상인 경우는 모두 80km/h로 하며 차량설계속도 80km/h 미만인 경우에는 차량설계속도와 같은 속도로 구성한다.
또한, 오르막 구간의 정점에서의 속도는 오르막 구간의 진입속도에서 20km/h을 감한 값이상의 속도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차량설계속도 80km/h 이상인 경우에는 60km/h이고, 차량설계속도 80km/h 미만인 경우에는 설계속도를 -20km/h로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종단구배 제한길이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다음의 표 8과 같이 구성하여,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종단구배(%) 제한길이(m)
3 750
4
5
550
400
5
6
400
300
5
6
550
450
6
7
550
400
7
8
9
450
400
350
8
9
10
550
500
400
[볼록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 ]
상기 볼록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는 상이한 두 구배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이 운동량 변화량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주행의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해 종단곡선의 길이를 차량설계속도(Km/h)(V)를 제곱한 값에 종단구배의 대수차(I =│i1-i2│)를 곱한 후, 상수(360)로 나누어 충격완화를 위한 종단곡선의 길이를 구성하는 제1j 시공모드와, 정지시거를 확보하기 위한 볼록형 종단곡선 길이를 종단구배의 대수차(I =│i1-i2│)에 정지시거(S)를 제곱한 값을 곱한 후, 상수(385)로 나누어 볼록형 종단곡선상의 시거확보를 위한 볼록형 종단곡선길이를 구성하는 제2j 시공모드와,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j 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j 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j 시공모드로 이루어진 모드이다.
즉, 종단구배가 변화하는 구간을 자동차가 주행할 때에는 운동량의 변화로 인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고 시거를 확보하기 위해 적당한 변화율을 갖는 종단곡선을 삽입하여 시공해야 한다.
이때, 종단곡선은 볼록형 또는 오목형 포물선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종단곡선을 시공시, 평면선형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배수의 문제를 해결하고 안전성, 쾌적성을 향상시키도록 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단곡선의 길이구성시 충격완화와 시거확보에 필요한 길이를 감안해서 규정치의 1.5~2.0배 정도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를 위한 종단곡선길이는 상이한 두 구배구간을 주해하는 차량이 운동량 변화에 의한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주행의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한 종단곡선의 길이는 다음의 수학식 9와 같은 연산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다.
Figure 112010087235303-pat00015
여기서, L은 충격완화를 위한 종단곡선길이를 나타낸 것이고, V는 차량설계속도를 나타낸 것이며, I는 종단구배의 대수차(│i1-i2│)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거확보를 위한 볼록형 종단곡선길이는 정지시거를 확보하기 위한 길이로 결정한다. 포물선형 종단곡선의 시거확보를 위한 볼록형 종단곡선 길이는 정지시거(S)보다 종단곡선길이(L)를 길게 설치할 경우(S<L), 다음의 수학식 10과 같은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연산된다.
Figure 112010087235303-pat00016
그리고, 포물선형 종단곡선의 시거확보를 위한 볼록형 종단곡선 길이는 정지시거(S)보다 종단곡선길이(L)를 짧게 설치할 경우(S>L), 다음의 수학식 11과 같은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연산된다.
Figure 112010087235303-pat00017
본 발명에 따른 볼록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다음의 표 9와 같이 구성하여,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차량설계속도
(km/h)
최소정지시거
(m)
볼록형 종단곡선의 종단곡선 최소변화비율(m/%)
충격완화를 위한 길이 시거확보를 위한 길이 적용값
120 209 42.0 213.6 190
100 210 28.8 113.8 100
80 150 18.8 51.9 50
70 120 15.6 31.8 30
60 95 11.0 19.7 20
50 75 7.9 12.9 10
40 55 4.8 5.7 5
30 40 2.7 2.8 3
20 30 1.5 1.6 1
[오목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
상기 오목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는 상이한 두 구배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이 운동량 변화량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주행의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해 종단곡선의 길이를 차량설계속도(Km/h)(V)를 제곱한 값에 종단구배의 대수차(I =│i1-i2│)를 곱한 후, 상수(360)로 나누어 충격완화를 위한 종단곡선의 길이를 구성하는 제1k 시공모드와, 정지시거를 확보하기 위한 오목형 종단곡선의 길이를 종단구배의 대수차(I =│i1-i2│)에 정지시거(S)를 제곱한 값을 곱한 후, 상수(120)+3.5S한 값으로 나누어 오목형 종단곡선상의 시거확보를 위한 종단곡선의 길이를 구성하는 제2k 시공모드와,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k 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k 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k 시공모드로 이루어진 모드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를 위한 종단곡선길이는 상이한 두 구배구간을 주해하는 차량이 운동량 변화에 의한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주행의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한 종단곡선의 길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수학식 9와 같은 연산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거확보를 위한 오목형 종단곡선길이는 정지시거를 확보하기 위한 길이로 결정한다. 포물선형 종단곡선의 시거확보를 위한 오목형 종단곡선 길이는 정지시거(S)보다 종단곡선길이(L)를 길게 설치할 경우(S<L), 다음의 수학식 12와 같은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연산된다.
Figure 112010087235303-pat00018
그리고, 포물선형 종단곡선의 시거확보를 위한 오목형 종단곡선 길이는 정지시거(S)보다 종단곡선길이(L)를 짧게 설치할 경우(S>L), 다음의 수학식 13과 같은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연산된다.
Figure 112010087235303-pat00019
본 발명에 따른 오목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다음의 표 10과 같이 구성하여, 스마트폰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차량설계속도
(km/h)
최소정지시거
(m)
볼록형 종단곡선의 종단곡선 최소변화비율(m/%)
충격완화를 위한 길이 시거확보를 위한 길이 적용값
120 290 41.0 73.3 70
100 210 28.8 50.8 50
80 150 18.4 34.2 35
70 120 15.6 26.0 25
60 95 12.0 18.3 20
50 75 7.8 13.2 12
40 55 4.9 8.7 7
30 40 2.7 5.3 4
20 30 1.6 3.1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통한 멀티도로포장시공방법의 평면선형시공모드(S410)와, 종단선형시공모드(S420)를 일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직선도로시공모드( S410a )]
먼저, 평탄지, 및 산과 산 사이의 넓은 골짜기, 시가지 또는 근교의 가로망이 위치한 직선구간, 지역개발계획과 관련된 도로구간, 장대교, 고가구간, 터널구간에 적용시키고, 직선의 제한 최대길이를 차량설계속도(Km/h)값에 20배를 곱한 값으로 구성하는 제1a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직선의 제한 최소길이가 동일 방향으로 굴곡하는 곡선부 사이의 직선일 때에 차량설계속도(Km/h)값에 6배한 값으로 구성하는 제2a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직선의 제한 최소길이가 다른 반대방향으로 굴곡하는 곡선부 사이의 직선일 때에 차량설계속도(Km/h)값에 2배한 값으로 구성하는 제3a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a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a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6a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최소평면곡선반경시공모드( S410b )]
먼저, 도로의 곡선부를 주행하는 차량에 가해지는 원심력에 의해 차량이 곡선외부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차량설계속도(Km/h)를 제곱한 값에 127(횡방향 활동마찰계수(f)+노면의 편구배(i))한 값을 나눠서 연산한 결과값을 최소평면곡선반경으로 구성하는 제1b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2b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b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평면곡선 최소길이 시공모드( S410c )]
먼저, 도로의 곡선부를 주행하는 차량에 가해지는 원심력에 의해 차량 내부의 사람이 횡방향 충격을 받지 않도록 도로의 교각이 5°미만인 경우에 차량설계속도(Km/h)에 대한 평면곡선의 최소길이비율을 1:5.5 또는 1:5.8, 그리고, 1:6.0, 또는 1:7.5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한 구성한 값에 5°미만인 도로 교각의 각도값을 나눈 값을 제1 평면곡선의 최소길이로 구성하는 제1c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도로의 교각이 5°이상인 경우에 차량설계속도(Km/h)에 대한 평면곡선의 최소길이비율을 1:1.1 또는 1:1.25, 그리고 1:1.25 또는 1:1.5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한 구성값을 제2 평면곡선의 최소길이로 구성하는 제2c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c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c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 평면곡선부 편구배 시공모드( S410d )]
먼저, 도로의 평면곡선부를 주행하는 차량이 원심력에 대항하여 노면에 붙여진 편구배노면과 타이어 간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횡단방향으로 안전하게 주행하도록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한 최대편구배의 값을 6% 또는 8%가 되도록 구성하는 제1d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직선부에서 사용하는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한 최소편구배의 값을 1.5~2.0%가 되도록 구성하는 제2d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노면배수에서는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한 평균편구배의 값을 1.5~4.0%가 되도록 구성하는 제3d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비포장도로에서는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한 평균편구배의 값을 3.0~5.0%가 되도록 구성하는 제4d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d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6d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평면곡선 확폭시공모드( S410e )]
먼저, 도로 곡선부에서 도로중심선의 곡선반경에 따라 10Km/h씩 증가하는 차량설계속도(Km/h)에 따른 차폭의 확폭량을 0.25m 단위로 구성하는 제1e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2e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e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완화곡선 최소길이시공모드( S410f )]
먼저, 도로의 직선부에서 곡선부로 연결되는 구간, 또는 큰 곡선부에서 작은 곡선부로 연결되는 구간에 적용되는 완화곡선 최소길이를 10Km/h씩 증가하는 차량설계속도(Km/h)에 따라 5m 단위로 증가되도록 구성하는 제1f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2f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f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정지시거시공모드(S410g)]
먼저, 운전자가 차량 진행방향의 전방에 있는 장애물을 인지하고 제동을 걸어서 정지시키는 정지시거를 구성하기 위해 차량설계속도(Km/h)값에 0.694 상수를 곱한 값으로 구성하는 제1g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차량설계속도(Km/h)값을 제곱한 후에 상수 254와 타이어와 노면의 종방향미끄럼 마찰계수(f)를 곱한 값으로 나누는 제2g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제1g 시공모드의 결과값과 제2g 시공모드의 결과값을 더한 후 정지시거길이(m)를 구성하는 제3g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g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차량의 주행속도(km/hr)에 따라 제동거리 2.5초의 주행거리 지점부터 시작하여 1초간의 경고구간을 17~31m로 한 횡방향 이격식으로 감속 경고홈을 형성하여 감속 경고구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g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경고구간(t=1)에서 위험을 인지한 운전자가 반응시간(t=1.5)을 거쳐 주행 차량이 제동행위를 하도록 횡방향 경고홈의 폭을 1m 시공하고, 횡방향 경고홈의 간격을 3m 간격으로 설치하는 1:3 방식과, 횡방향 경고홈의 폭을 3m 시공하고, 횡방향 경고홈의 간격을 6m 간격으로 설치하는 3:6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제동구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6g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앞지르기시거시공모드( S410h )]
먼저, 앞지르기 차량이 앞지르기의 가능성을 판단하고 가속하여 대향차선으로 들어가기 직전까지 주행하는 거리(d1)를 구성하는 제1h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앞지르기 시작부터 완료까지 차량이 대향차량선을 주행하는 거리(d2)를 구성하는 제2h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앞지르기 완료시 앞지르기 차량과 대향차량과의 차두거리(d3)를 구성하는 제3h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앞지르기 차량이 앞지르기를 완료할 때까지 대향차량이 주행하는 거리(d4)를 구성하는 제4h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제3f시공모드에서 구성된 앞지르기 완료시 앞지르기 차량과 대향차량과의 차두거리(d3)를 통해 최소필요 앞지르기시거(dmin)를 구성하는 제5h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6h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7h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 종단구배 제한길이시공모드( S420a )]
먼저, 차량이 구배구간에 진입하여 허용된 최저속도를 유지하며 주행하도록 하기 위해 종단경사 3%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750m로 설정하는 제1i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종단구배가 4~5%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550~400m로 설정하는 제2i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종단구배가 5~6%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550~300m로 설정하는 제3i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종단구배가 6~7%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550~400m로 설정하는 제4i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종단구배가 7~9%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450~350m로 설정하는 제5i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종단구배가 8~10%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550~400m로 설정하는 제6i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7i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8i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9i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볼록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 S420b )]
먼저, 상이한 두 구배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이 운동량 변화량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주행의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해 종단곡선의 길이를 차량설계속도(Km/h)(V)를 제곱한 값에 종단구배의 대수차(I =│i1-i2│)를 곱한 후, 상수(360)로 나누어 충격완화를 위한 종단곡선의 길이를 구성하는 제1j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정지시거를 확보하기 위한 볼록형 종단곡선 길이를 종단구배의 대수차(I =│i1-i2│)에 정지시거(S)를 제곱한 값을 곱한 후, 상수(385)로 나누어 볼록형 종단곡선상의 시거확보를 위한 볼록형 종단곡선길이를 구성하는 제2j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j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j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j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오목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 S420c )]
먼저, 상이한 두 구배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이 운동량 변화량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주행의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해 종단곡선의 길이를 차량설계속도(Km/h)(V)를 제곱한 값에 종단구배의 대수차(I =│i1-i2│)를 곱한 후, 상수(360)로 나누어 충격완화를 위한 종단곡선의 길이를 구성하는 제1k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정지시거를 확보하기 위한 오목형 종단곡선의 길이를 종단구배의 대수차(I =│i1-i2│)에 정지시거(S)를 제곱한 값을 곱한 후, 상수(120)+3.5S한 값으로 나누어 오목형 종단곡선상의 시거확보를 위한 종단곡선의 길이를 구성하는 제2k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k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k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어서,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k 시공모드를 실행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포장기(400) 중 그루빙 머신(450)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100 : GIS 단말기 200 : 포장도로계측기
300 : 스마트폰 310 : 본체
320 : 디스플레이부 330 : 키입력장치
340 : GIS 수신부 350 : 포장도로계측 데이터 수신부
360 : 마이컴부
370 : 아스팔트 포장용 데이터 송수신부
380 : 콘크리트 포장용 데이터 송수신부
400 : 아스팔트 포장기
500 : 콘크리트 포장기

Claims (7)

  1. 포장될 도로의 지표공간에 대한 자료 입수하여 자료 레이어 구축, 자료 분석 및 조작을 거쳐 통계보고서·지도·도표 중 어느 하나를 스마트폰으로 출력시키는 GIS 단말기(100)와,
    스마트폰에 연결되며, 포장될 도로의 실제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를 각각 계측하는 포장도로계측기(200)와,
    GIS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계보고서·지도·도표를 입력받아 1차 분석하고, 포장될 시공구간의 단위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에 관한 기준설계치를 입력받고, 포장될 도로의 실제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에 관한 계측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상기 기준설계치와 계측데이터를 비교 연산처리하여 2차 분석한 후, 평면선형시공모드 및 종단선형시공모드별로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출력시키고, 아스팔트 포장기와 콘크리트 포장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폰(300)과,
    스마트폰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포장될 도로의 평면선형구간 및 종단선형구간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고 다짐작업을 하는 아스팔트 포장기(400)와,
    스마트폰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포장될 도로의 평면선형구간 및 종단선형구간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포설하고 다짐작업을 하는 콘크리트 포장기(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폰(300)은
    사각박스형상의 담배갑크기를 갖는 본체(310)와,
    주변기기의 동작상태 및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화면에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부(320)와,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키입력장치(330)와,
    본체 내부에 위치되어 GIS 단말기와 WiFi망으로 연결되어 포장될 도로의 지표공간에 대한 통계보고서·지도·도표 데이터를 수신받는 GIS 수신부(340)와,
    포장도로계측기와 WiFi망으로 연결되어 포장될 시공구간, 평면선형구간 및 종단선형구간에 관한 계측데이터(도로 폭, 길이, 두께, 각도)를 입력받는 포장도로계측 데이터 수신부(350)와,
    기준설계치와 계측데이터를 비교 연산처리하여 분석한 후, 자바 가상머신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화해서 도로포장의 아스팔트 시공 및 콘크리트 시공에 따라 평면선형시공모드 및 종단선형시공모드별로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 출력시키고, 화면상에 출력된 평면선형시공모드 및 종단선형시공모드에 따른 아스팔트 포장기와 콘크리트 포장기의 1:1 동작명령신호를 WiFi망을 통해 출력시키는 마이컴부(360)와,
    아스팔트 포장기와 WiFi망으로 연결되어 아스팔트 포장기로 마이컴부의 동작명령신호를 보내고,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한 아스팔트 포장기의 시공 결과 데이터(도로 폭, 길이, 두께, 각도)를 수신받는 아스팔트 포장용 데이터 송수신부(370)와,
    콘크리트 포장기와 WiFi망으로 연결되어 콘크리트 포장기로 마이컴부의 동작명령신호를 보내고,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한 콘크리트 포장기의 시공 결과 데이터(도로 폭, 길이, 두께, 각도)를 수신받는 콘크리트 포장용 데이터 송수신부(3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아스팔트 포장기(400)는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아스팔트 혼합물을 저장한 후, 포장될 도로에 균일하게 살포시키는 배치타입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Batch-type asphalt mixing plant)(410)와,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역청재료를 보온탱크에 적재하여 10Km/h~30Km/h의 속도로 주행하면서 후미에 설치된 스프레이바를 통해 아스팔트 혼합물이 뿌려진 포장도로에 역청재료를 살포하는 아스팔트 디스트라이부터(Asphalt distributor)(420)와,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5Km/h~30Km/h의 속도로 주행하면서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두께를 조정하고 평판성을 유지하는 아스팔트 피니셔(Asphalt finisher)(430)와,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로드롤러의 선압력을 50~65Kg/cm로 하여 아스팔트가 도포된 도로표면을 다짐하는 아스팔트 다짐롤러(440)와,
    아스팔트가 도포된 도로표면에 노면미끄럼방지홈(=그루빙)을 형성시키는 그루빙 머신(4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포장기(500)는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콘크리트 혼합물을 저장한 후, 포장될 도로에 성형부설시키는 스프레더(510)와,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호퍼에 받은 콘크리트를 벨트컨베이어로 포장될 도로의 보조기층 중앙에 배출시키는 벨트프레서(Belt Pressor)(520)와,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슬립폼 페이버 전면 오거에 의해 콘크리트를 보급시 콘크리트 슬래브의 양쪽부까지 충분히 보급되도록 포설시키고, 콘크리트의 바이브레이터(Vibrator)에 의한 다짐을 하는 슬립폼 페이버(Slip Form Paver)(530)와,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철망에 압력을 주어 철망을 콘크리트 포설 도로의 소정의 위치에 정착시키는 메시 인스텔러(Mesh Installer)(540)와,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철망을 운반하여 설치하는 메시 가드(Mesh Guard)(550)와,
    스마트폰과 WiFi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되면, 복렬로 배치한 노즐에서 양생제를 가압 살포하는 큐링 머신(Curing Machine)(560)과,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표면에 종방향과 횡방향 타이닝홈과, 배수타이닝홈, 그리고 감속 경고타이닝홈으로 이루어진 조면을 형성하는 조면처리기(57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5. GIS 단말기를 통해 포장될 도로의 지표공간에 대한 자료 입수하여 자료 레이어 구축, 자료 분석 및 조작을 거쳐 통계보고서·지도·도표 중 어느 하나를 스마트폰으로 출력시키는 단계(S10)와,
    포장도로계측기를 통해 포장될 도로의 실제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를 각각 계측하는 단계(S20)와,
    스마트폰의 마이컴을 통해 GIS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계보고서·지도·도표를 입력받아 포장될 시공구간 중 평면선형구간, 종단선형구간을 1차 분석한 후,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표출시키는 단계(S30)와,
    스마트폰의 마이컴에서 미리 입력받은 포장될 시공구간의 단위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에 관한 기준설계치와, 포장될 도로의 실제 포장거리, 평면선형구간거리 및 종단선형구간거리에 관한 계측데이터를 비교 연산처리하여 2차 분석한 후, 도로 포장시공을 평면선형시공모드(S410) 및 종단선형시공모드(S420)로 구성하는 단계(S40)와
    구성된 평면선형시공모드에 따라 아스팔트 포장기쪽으로 동작명령신호를 보내거나, 또는 구성된 종단선형시공모드에 따라 콘크리트 포장기쪽으로 동작명령신호를 보내는 단계(S50)와,
    동작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한 아스팔트 포장기 및 콘크리트 포장기의 시공 결과 데이터(도로 폭, 길이, 두께, 각도)를 수신받는 단계(S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통한 멀티도로포장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평면선형시공모드(S410)는
    평탄지, 및 산과 산 사이의 넓은 골짜기, 시가지 또는 근교의 가로망이 위치한 직선구간, 지역개발계획과 관련된 도로구간, 장대교, 고가구간, 터널구간에 적용시키고, 직선의 제한 최대길이를 차량설계속도(Km/h)값에 20배를 곱한 값으로 구성하는 제1a시공모드와, 직선의 제한 최소길이가 동일 방향으로 굴곡하는 곡선부 사이의 직선일 때에 차량설계속도(Km/h)값에 6배한 값으로 구성하는 제2a시공모드와, 직선의 제한 최소길이가 다른 반대방향으로 굴곡하는 곡선부 사이의 직선일 때에 차량설계속도(Km/h)값에 2배한 값으로 구성하는 제3a시공모드와,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a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a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6a시공모드로 이루어진 직선도로시공모드(S410a)와;,
    도로의 곡선부를 주행하는 차량에 가해지는 원심력에 의해 차량이 곡선외부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차량설계속도(Km/h)를 제곱한 값에 127(횡방향 활동마찰계수(f)+노면의 편구배(i))한 값을 나눠서 연산한 결과값을 최소평면곡선반경으로 구성하는 제1b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2b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b시공모드로 이루어진 최소평면곡선반경시공모드(S410b)와,
    도로의 곡선부를 주행하는 차량에 가해지는 원심력에 의해 차량 내부의 사람이 횡방향 충격을 받지 않도록 도로의 교각이 5°미만인 경우에 차량설계속도(Km/h)에 대한 평면곡선의 최소길이비율을 1:5.5 또는 1:5.8, 그리고, 1:6.0, 또는 1:7.5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한 구성한 값에 5°미만인 도로 교각의 각도값을 나눈 값을 제1 평면곡선의 최소길이로 구성하는 제1c시공모드와, 도로의 교각이 5°이상인 경우에 차량설계속도(Km/h)에 대한 평면곡선의 최소길이비율을 1:1.1 또는 1:1.25, 그리고 1:1.25 또는 1:1.5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한 구성값을 제2 평면곡선의 최소길이로 구성하는 제2c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c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c시공모드로 이루어진 평면곡선 최소길이 시공모드(S410c)와,
    도로의 평면곡선부를 주행하는 차량이 원심력에 대항하여 노면에 붙여진 편구배노면과 타이어 간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횡단방향으로 안전하게 주행하도록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한 최대편구배의 값을 6% 또는 8%가 되도록 구성하는 제1d시공모드와, 직선부에서 사용하는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한 최소편구배의 값을 1.5~2.0%가 되도록 구성하는 제2d시공모드와, 노면배수에서는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한 평균편구배의 값을 1.5~4.0%가 되도록 구성하는 제3d시공모드와, 비포장도로에서는 최소평면곡선반경에 대한 평균편구배의 값을 3.0~5.0%가 되도록 구성하는 제4d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d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6d시공모드로 이루어진 모드 평면곡선부 편구배 시공모드(S410d)와,
    도로 곡선부에서 도로중심선의 곡선반경에 따라 10Km/h씩 증가하는 차량설계속도(Km/h)에 따른 차폭의 확폭량을 0.25m 단위로 구성하는 제1e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2e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e시공모드로 이루어진 평면곡선 확폭시공모드(S410e)와,
    도로의 직선부에서 곡선부로 연결되는 구간, 또는 큰 곡선부에서 작은 곡선부로 연결되는 구간에 적용되는 완화곡선 최소길이를 10Km/h씩 증가하는 차량설계속도(Km/h)에 따라 5m 단위로 증가되도록 구성하는 제1f 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2f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f시공모드로 이루어진 완화곡선 최소길이시공모드(S410f)와,
    운전자가 차량 진행방향의 전방에 있는 장애물을 인지하고 제동을 걸어서 정지시키는 정지시거를 구성하기 위해 차량설계속도(Km/h)값에 0.694 상수를 곱한 값으로 구성하는 제1g 시공모드와, 차량설계속도(Km/h)값을 제곱한 후에 상수 254와 타이어와 노면의 종방향미끄럼 마찰계수(f)를 곱한 값으로 나누는 제2g 시공모드와, 제1g 시공모드의 결과값과 제2g 시공모드의 결과값을 더한 후 정지시거길이(m)를 구성하는 제3g시공모드와,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g시공모드와, 차량의 주행속도(km/hr)에 따라 제동거리 2.5초의 주행거리 지점부터 시작하여 1초간의 경고구간을 17~31m로 한 횡방향 이격식으로 감속 경고홈을 형성하여 감속 경고구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g시공모드와, 경고구간(t=1)에서 위험을 인지한 운전자가 반응시간(t=1.5)을 거쳐 주행 차량이 제동행위를 하도록 횡방향 경고홈의 폭을 1m 시공하고, 횡방향 경고홈의 간격을 3m 간격으로 설치하는 1:3 방식과, 횡방향 경고홈의 폭을 3m 시공하고, 횡방향 경고홈의 간격을 6m 간격으로 설치하는 3:6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제동구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6g시공모드로 이루어진 정지시거시공모드(S410g)와,
    앞지르기 차량이 앞지르기의 가능성을 판단하고 가속하여 대향차선으로 들어가기 직전까지 주행하는 거리(d1)를 구성하는 제1h시공모드와, 앞지르기 시작부터 완료까지 차량이 대향차량선을 주행하는 거리(d2)를 구성하는 제2h시공모드와, 앞지르기 완료시 앞지르기 차량과 대향차량과의 차두거리(d3)를 구성하는 제3h시공모드와, 앞지르기 차량이 앞지르기를 완료할 때까지 대향차량이 주행하는 거리(d4)를 구성하는 제4h시공모드와, 제3f시공모드에서 구성된 앞지르기 완료시 앞지르기 차량과 대향차량과의 차두거리(d3)를 통해 최소필요 앞지르기시거(dmin)를 구성하는 제5h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6h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7h시공모드로 이루어진 앞지르기시거시공모드(S410h)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통한 멀티도로포장시공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종단선형시공모드(S420)는
    차량이 구배구간에 진입하여 허용된 최저속도를 유지하며 주행하도록 하기 위해 종단경사 3%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750m로 설정하는 제1i 시공모드와, 종단구배가 4~5%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550~400m로 설정하는 제2i 시공모드와, 종단구배가 5~6%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550~300m로 설정하는 제3i 시공모드와, 종단구배가 6~7%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550~400m로 설정하는 제4i 시공모드와, 종단구배가 7~9%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450~350m로 설정하는 제5i 시공모드와, 종단구배가 8~10%일때 종단구배의 제한길이를 550~400m로 설정하는 제6i시공모드와,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7i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8i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9i시공모드로 이루어진 종단구배 제한길이시공모드(S420a)와,
    상이한 두 구배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이 운동량 변화량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주행의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해 종단곡선의 길이를 차량설계속도(Km/h)(V)를 제곱한 값에 종단구배의 대수차(I =│i1-i2│)를 곱한 후, 상수(360)로 나누어 충격완화를 위한 종단곡선의 길이를 구성하는 제1j 시공모드와, 정지시거를 확보하기 위한 볼록형 종단곡선 길이를 종단구배의 대수차(I =│i1-i2│)에 정지시거(S)를 제곱한 값을 곱한 후, 상수(385)로 나누어 볼록형 종단곡선상의 시거확보를 위한 볼록형 종단곡선길이를 구성하는 제2j 시공모드와,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j 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j 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j 시공모드로 이루어진 볼록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S420b)와,
    상이한 두 구배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이 운동량 변화량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주행의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해 종단곡선의 길이를 차량설계속도(Km/h)(V)를 제곱한 값에 종단구배의 대수차(I =│i1-i2│)를 곱한 후, 상수(360)로 나누어 충격완화를 위한 종단곡선의 길이를 구성하는 제1k 시공모드와, 정지시거를 확보하기 위한 오목형 종단곡선의 길이를 종단구배의 대수차(I =│i1-i2│)에 정지시거(S)를 제곱한 값을 곱한 후, 상수(120)+3.5S한 값으로 나누어 오목형 종단곡선상의 시거확보를 위한 종단곡선의 길이를 구성하는 제2k 시공모드와, 횡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3k 시공모드와, 종방향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7와, 1 : 0.5 : 3.5, 그리고 1 : 1: 10와,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2~10mm이고, 깊이가 1~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7~100m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4k 시공모드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제5k 시공모드로 이루어진 오목곡선용 최소종단곡선변화비율 시공모드(S420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통한 멀티도로포장시공방법.
KR1020100137919A 2010-12-29 2010-12-29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및 방법 KR101035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919A KR101035091B1 (ko) 2010-12-29 2010-12-29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919A KR101035091B1 (ko) 2010-12-29 2010-12-29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091B1 true KR101035091B1 (ko) 2011-05-19

Family

ID=4436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919A KR101035091B1 (ko) 2010-12-29 2010-12-29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09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707B1 (ko) * 2011-08-23 2013-07-0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휴대용 축정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68702A (ko) * 2016-03-02 2016-06-15 (유) 이성알엠에스 반사체 분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장치
KR20160069559A (ko) * 2014-12-08 2016-06-17 한국도로공사 아스팔트 포장시공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방법
DE102015112846A1 (de) 2015-08-05 2017-02-09 Hamm Ag Bodenbearbeitungsmaschine, insebesondere selbstfahrender Bodenverdichter
US10474338B2 (en) 2016-01-15 2019-11-12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Control system for coordinating paving operations
US10613524B2 (en) 2016-01-15 2020-04-07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Truck process management tool for transport operations
US10990245B2 (en) 2016-01-15 2021-04-27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Mobile process management tool for paving operations
KR102492810B1 (ko) * 2022-04-01 2023-01-26 추연문 저탄소 그린시멘트를 이용한 안전한 친환경 건설 재료 (채움재, 지반개량재) 생산 설비 및 그의 현장 시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010A (ko) * 1998-02-27 1999-09-27 무라마쯔 요시히로 포장방법및포장기계
KR20000000426A (ko) * 1999-10-21 2000-01-15 한수웅 도로공사에 적용되는 개선된 기능의 비쥬얼 이미지 토목설계방법
KR100610158B1 (ko) 2006-04-14 2006-08-09 춘산산업개발(주) 소수성을 갖는 탄성 도로의 포장방법
KR20090022035A (ko) * 2007-08-29 2009-03-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현장 다짐밀도 측정방법 및측정시스템, 그 측정시스템을 이용한 아스팔트도로포장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010A (ko) * 1998-02-27 1999-09-27 무라마쯔 요시히로 포장방법및포장기계
KR20000000426A (ko) * 1999-10-21 2000-01-15 한수웅 도로공사에 적용되는 개선된 기능의 비쥬얼 이미지 토목설계방법
KR100610158B1 (ko) 2006-04-14 2006-08-09 춘산산업개발(주) 소수성을 갖는 탄성 도로의 포장방법
KR20090022035A (ko) * 2007-08-29 2009-03-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현장 다짐밀도 측정방법 및측정시스템, 그 측정시스템을 이용한 아스팔트도로포장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707B1 (ko) * 2011-08-23 2013-07-0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휴대용 축정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69559A (ko) * 2014-12-08 2016-06-17 한국도로공사 아스팔트 포장시공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방법
KR101726327B1 (ko) * 2014-12-08 2017-04-13 한국도로공사 아스팔트 포장시공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방법
DE102015112846A1 (de) 2015-08-05 2017-02-09 Hamm Ag Bodenbearbeitungsmaschine, insebesondere selbstfahrender Bodenverdichter
US10474338B2 (en) 2016-01-15 2019-11-12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Control system for coordinating paving operations
US10613524B2 (en) 2016-01-15 2020-04-07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Truck process management tool for transport operations
US10963148B2 (en) 2016-01-15 2021-03-30 Caterpillar Inc. Control system for coordinating paving operations
US10990245B2 (en) 2016-01-15 2021-04-27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Mobile process management tool for paving operations
US11275364B2 (en) 2016-01-15 2022-03-15 Car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Truck process management tool for transport operations
KR20160068702A (ko) * 2016-03-02 2016-06-15 (유) 이성알엠에스 반사체 분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장치
KR101993722B1 (ko) * 2016-03-02 2019-06-27 (유) 이성알엠에스 반사체 분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장치
KR102492810B1 (ko) * 2022-04-01 2023-01-26 추연문 저탄소 그린시멘트를 이용한 안전한 친환경 건설 재료 (채움재, 지반개량재) 생산 설비 및 그의 현장 시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091B1 (ko) 멀티도로포장시공장치 및 방법
JP6261157B2 (ja) 鉱山機械の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鉱山機械の運行管理方法
Tang et al. A finite element study of rain intensity on skid resistance for permeable asphalt concrete mixes
US9903078B2 (en) Three dimensional paving
CN101846522B (zh) 能计算碳排量的汽车导航装置的工作方法
US94233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validating compaction of a work site
Andriejauskas et al. Evaluation of skid resistance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 methods
CN110928293B (zh) 用于自主施工车辆的施工现场规划
CN102277817B (zh) 沥青波浪路施工方法
CN103114509B (zh) 道路基层混凝土侧模滑模施工方法
CN104192148A (zh) 一种基于交通信号信息预知的主干道车速规划方法
CN104746397A (zh) 道路平面交叉口红线最小切角值的确定方法
Jiao et al. Field measurement and calibration of HDM-4 fuel consumption model on interstate highway in Florida
CN106351086B (zh) 一种隧道道床的施工作业方法及其系统装置
CN103821072B (zh) 一种沥青摊铺机虚铺厚度测量装置和方法
Morgan Guidance manual for the implementation of low-noise road surfaces
KR101035092B1 (ko)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장치 및 방법
Uddin Pavement Performance Measures Using Android-Based Smart Phone Application
CN114263085A (zh) 一种摊铺机智能摊铺控制系统
CN104005327A (zh) 一种新型的路面切割机
Hossain et al. Use of Cell Phone Apps to Evaluate Low-Volume Roads in Illinois
CN203755121U (zh) 一种沥青摊铺机虚铺厚度测量装置
JP2019199709A (ja) 溝評価装置,溝評価システムおよび溝評価方法
Azizan et al. Evaluation of Pavement Ride Quality on Road Networks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CN113931024A (zh) 用于水泥稳定碎石基层摊铺碾压成型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