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880B1 - 상황 정보에 기반한 추론 동작을 수행하는 유시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상황 정보에 기반한 추론 동작을 수행하는 유시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880B1
KR101034880B1 KR1020090074876A KR20090074876A KR101034880B1 KR 101034880 B1 KR101034880 B1 KR 101034880B1 KR 1020090074876 A KR1020090074876 A KR 1020090074876A KR 20090074876 A KR20090074876 A KR 20090074876A KR 101034880 B1 KR101034880 B1 KR 101034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status
management unit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287A (ko
Inventor
김태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74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8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4Inference or reasoning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상황 정보에 기반한 추론 동작을 수행하는 유시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시티(U-City) 시스템은, 오브젝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는 정보 전달부와,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의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관리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와 관련하여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 내/외부로부터의 정보들을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패턴에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현재 및/또는 이후의 상황을 추론하는 상황 추론부 및 상기 상황 추론부로부터의 추론 결과를 실제 서비스와 연결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연계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황 정보에 기반한 추론 동작을 수행하는 유시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U-City System conducting an deducing operation based on condition inform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시티(U-City)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상황 정보에 기반한 추론 동작을 수행하는 유시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유비쿼터스 도시(Ubiquitous-City, 이하 U-City) 시스템은 유비쿼터스의 기술을 이용하여 도시의 생활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는 것으로서, 첨단 IT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를 도시에 융합하여 도심의 제반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거주인, 방문인의 편의, 복지, 안전도 제고를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이 가능한 도시이다.
유시티(U-City) 시스템에는 홈 네트워크, IBS(Intelligent Building System), FMS(Facility Management System), 주차 관제,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Network 등이 IT 기반 시설로 구축이 된다. 이와 같은 기반 시설 하에서, 일반적으로 유시티(U-City)는 U-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형태로 언제 어디서나 어떤 단말기로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통신 및 정보의 수신 발신 등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U-정보제공 서비스 형태로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마다 실시간으로 원하는 정보를 검색, 추적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유시티(U-City) 시스템은 단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여 공통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즉, 사용자가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이에 응답하여 수동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여 소정의 상황 발생시 상기 상황에 대한 공통적인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유시티(U-City) 시스템은 유시티(U-City) 내의 개개인에게 요구되는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황 정보에 기반한 추론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에게 최적의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시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시티(U-City) 시스템은, 오브젝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는 정보 전달부와,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의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관리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와 관련하여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 내/외부로부터의 정보들을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패턴에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현재 및/또는 이후의 상황을 추론하는 상황 추론부 및 상기 상황 추론부로부터의 추론 결과를 실제 서비스와 연결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연계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은, 상기 오브젝트에 관련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이전 및/또는 현재의 상황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오브젝트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전달부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황 정보가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적합한 정보인지를 인증하는 기기 인증부와,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가 실제로 상황의 변경이 발생된 상황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를 선택적으로 시스템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필터링부 및 다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황 정보를 동일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오브젝트별로 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오브젝트 관리부와, 상기 시스템 내/외부로부터의 정보들을 수집하는 시간 및 주기 등을 관장하는 스케줄링부 및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에 인터페이스 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내/외부로부터의 정보들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황 추론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패턴에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관리하는 히스토리 관리부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그룹에 대하여, 각각의 오브젝트 그룹별로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를 관리하는 규칙 관리부 및 상기 정보 전달부로부터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와 상기 오브젝트가 속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현재 및/또는 이후의 상황을 추론하는 추론 엔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황 추론부는, 상기 오브젝트별로 위험 상황에 대한 소정의 임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 별로 상기 위험 상황을 판단하며,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위험 처리 프로세스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위험 관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히스토리 관리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상황 패턴과 관련된 히스토리를 분석하는 히스토리 분석부와, 상기 히스토리 분석에 사용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상황 정보들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히스토리 분석과 관련된 상황 정보들의 삭제 및/또는 추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황 정보 관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규칙 관리부는, 오브젝트 그룹 간의 구분 기준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프로파일 관리부 및 상기 구분된 오브젝트 그룹 각각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를 관리하는 그룹 패턴 관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론 엔진부는, 상기 오브젝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오브젝트의 정보를 관리하는 오브젝트 관계 관리부와, 상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와 상기 오브젝트가 속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정보들 및 상기 오브젝트 관계 관리부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현재 및/또는 이후의 상황을 추론하는 추론부 및 상기 추론부의 추론 결과에 따른 신호를 상기 연계 처리부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오브젝트의 상황 변화에 따라 내외부의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연계 관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시티(U-City)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오브젝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 는 단계와,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의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관리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와 관련하여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 내/외부로부터의 정보들을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패턴에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현재 및/또는 이후의 상황을 추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 추론부로부터의 추론 결과를 실제 서비스와 연결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별로 최적의 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를 추론하여 제공함으로써 진일보한 유시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시티(U-City)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 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유시티(U-City) 시스템에 따르면 오브젝트(일예로서, 유시티 시스템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 상점 및 기타 객체들)의 요구에 따라 수동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대신에, 오브젝트에 관련된 상황을 시스템 내에서 판단하고 이러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거나, 오브젝트의 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추측함으로써 오브젝트의 공간적 상황에서 필요시되는 행위 정보를 시스템이 스스로 제안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오브젝트와 관련이 있는 공간에서의 상태와 실제 발생한 상황(이동, 출현 등), 외부 환경(기온, 시간, 위치 등)과 정보 분석을 결합하여 개개의 오브젝트에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100)은 시스템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시스템부(120)는 정보 전달부(121), 정보 수집부(122), 상황 추론부(123), 연계 처리부(124), GIS 정보 저장부(125_1) 및 오브젝트 정보 저장부(125_2)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부(120)는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의 오브젝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서, 센서, RFID 등의 능동 디바이스(111)와 KIOSK, Wall, 모바일, PC 등의 수동 디바이스(11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100)은 실제 오브젝트와 시스템 내외부의 서비스를 실제 연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며, 일예로서 시스템부(120)가 하나 이상의 내외부의 서비스(131, 132)와 연계되어 있는 것이 도 1에 도시된다. 상기 서비스들(131, 132)은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에 위치하여 오브젝트들에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또 는 유시티(U-City) 시스템(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서비스(일예로서, 기존에 존재하는 공공 기관 등)일 수 있다.
상황이란 세상에 존재하는 실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황 정보는 상기 상황을 특징화하여 정의한 정보를 의미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상황 정보는 오브젝트(일예로서, 사용자/사물)의 상태 또는 오브젝트의 정보를 나타내며, 상황 정보의 주요한 요인들로서, 식별자(Identity), 위치/방향/주변인(Location), 상태/고유 특성(Status/Activity) 및 시간(Time)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정보를 이용하면 추가적인 정보를 추론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상황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시티(U-City) 시스템(100)은 상황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능동적인 반응 및 수동적인 반응을 수행한다. 능동적인 반응의 일예로서, 새로운 상황이나 상황의 변경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이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수동적인 반응의 일예로서, 상기 상황 변경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추후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유시티(U-City) 시스템(100)에서, 정보 전달부(121)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디바이스들(111, 112)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부로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정보 전달부(121)는 센서, RFID 등의 능동 디바이스(111)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황 정보를 수신하거나, KIOSK, Wall, 모바일, PC 등의 수동 디바이스(112)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황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시스템 내부로 전달하기에 앞서 정보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 동작의 일예로서, 디바이스 또는 오브젝트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인증을 수행하거나, 필터링 동작을 통하여 상황 정보의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만 해당 상황 정보를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부로 전달하는 동작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는 상황 정보에 대하여 데이터 변환 동작을 수행하여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포맷으로 데이터를 변환한다.
정보 수집부(122)는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부 및/또는 외부로부터 오브젝트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등의 정보 관리 측면에 있어서, 오브젝트 별로 정보들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불러오는 등의 오브젝트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외에도 정보 수집부(122)는,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부 및/또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집함에 있어서 그 시간 및 주기 등을 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오브젝트의 위치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와 연계시키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황 추론부(123)는, 정보 전달부(121)를 통해 수신되는 상황 정보와,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에 구비되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현재 및/또는 이후의 상황을 추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오브젝트의 상황 정보 및 오브젝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추론한다. 일예로서, 오브젝트의 이전 및 현재의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추론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오브젝트의 현재 및 이후의 상황 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 및/또는 상기 오브젝트와 관련된 다른 오브젝트에 그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예측 결과에 따라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연계시켜 서비스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추론 동작을 위하여 정보 전달부(121)를 통해 수신되는 상황 정보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더 이용된다. 그 일예로서, 기 수신된 상기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상황 패턴에 관련된 히스토리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오브젝트의 특정한 히스토리 외에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들이 하나의 오브젝트 그룹으로 정의되고, 또한 각각의 오브젝트 그룹의 고유한 상황 패턴과 관련된 규칙을 분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황 추론부(123)는,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가 속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추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서, 정보 전달부(121)를 통해 수신되는 상황 정보와 상기 오브젝트의 상황 패턴에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면, 상기 오브젝트의 이후의 상황을 추론할 수 있으며, 그 추론 결과에 따라 오브젝트와 관련된 최적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최적의 정보에 따른 서비스가 동작하도록 서비스 연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브젝트의 상황 패턴과 관련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정보가 충분히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추론 동작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그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시티(U-City) 시스템(100)은, 추론 동작을 위하여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 및 오브 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들이 하이브리드 방식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해당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정보가 충분히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가 속하는 오브젝트 그룹을 판단하고, 또한 판단된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를 상기 추론 동작에 이용한다. 오브젝트 그룹은 각 오브젝트들을 나이별, 성별, 위치별 등으로 구분하여 그룹화될 수 있으며, 규칙 정보들은 오브젝트 그룹별로 분석되므로 보다 많은 상황 정보들이 추론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연계 처리부(124)는 상황 추론부(123)의 추론 결과를 이용하여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외부의 서비스(131, 132)를 연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상황 추론부(123)의 추론 결과를 참조하면, 해당 오브젝트가 현재 또는 이후에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한지 판단될 수 있으며, 해당 오브젝트에 대하여 그 추론 결과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 외에 능동적으로 해당 오브젝트를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외부의 서비스(131, 132)와 연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추론 결과는 해당 오브젝트에 제공되는 것 외에 상기 오브젝트와 관련된 서비스(131, 132)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해당 오브젝트는 상기 추론 결과를 이용하여 자신과 관련되어 분석된 최적의 상황들 중 어느 하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와 관련된 서비스(131, 132)는 상기 추론 결과를 이용하여 자신과 관련된 오브젝트의 접근을 미리 파악하고 해당 서비스 제공을 위한 준비 동작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유시티(U-City) 시스템(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GIS 정보를 저장하는 GIS 정보 저장 부(125_1)와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오브젝트 정보 저장부(125_2)가 구비될 수 있다. GIS 정보 저장부(125_1)에 저장된 GIS 정보와 오브젝트의 상황 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 정보 저장부(125_2)에는 오브젝트의 이전 및/또는 현재의 상황 정보 등이 저장되고, 또한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타 각종 정보들, 및 정보 수집부(122)를 통해 수집된 각종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황 추론부(123)는 오브젝트 정보 저장부(125_2)에 저장된 각종 정보들을 이용하여 추론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유시티(U-City) 시스템(100)의 보다 자세한 구성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전달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전달부(121)는 제1 인터페이스부(121_1), 기기 인증부(121_2), 필터링부(121_3), 데이터 변환부(121_4), 기기 관리부(121_5), 능동 감시부(121_6) 및 화면 변환부(121_7)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121_1)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인터페이스부(121_1)를 통해 수신된 상황 정보는 기기 인증부(121_2)로 제공되며, 기기 인증부(121_2)는 상기 상황 정보가 적합한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것인지를 검증하기 위한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황 정보를 선택적으로 필터링부(121_3)로 전달할 수 있다.
필터링부(121_3)는 전달된 상황 정보에 대하여 필터링 동작을 수행한다. 상 기 필터링 동작을 통하여 해당 오브젝트에 관련된 상황 정보에 변경이 발생되었는지를 검출한다.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상황 정보가 선택적으로 데이터 변환부(121_4)로 제공될 수 있다. 일예로서, 상황 정보에 변경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황 정보가 데이터 변환부(121_4)로 제공되는 것을 차단하는 반면에, 상황 정보에 변경이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상황 정보를 데이터 변환부(121_4)로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121_4)는 다양한 디바이스들로부터 제공되는 상황 정보를 상황 추론부에 전달하기에 앞서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상황 정보들이 동일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기기 관리부(121_5)는,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의 여러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확인하여 그 이상 유무를 먼저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디바이스들로부터 적절한 상황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능동 감시부(121_6)는 디바이스들에 대해 정보 전달을 요청하고 디바이스들의 응답을 수신하여 이를 처리한다. 화면 변환부(121_7)는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에서 발생된 각종 정보들을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전달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의 각종 정보들을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러 디바이스들의 데이터 형식이 서로 다를 경우에는 화면 변환부(121_7)는 데이터 변환 동작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그 변환된 데이터를 디바이스들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정보 수집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정보 수집부(122)는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외의 사물/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외의 사물 /사용자들은 그 객체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사물/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정보가 시스템 내에서 업데이트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수집부(122)는, 제2 인터페이스부(122_1), 오브젝트 관리부(122_2), 스케줄링부(122_3), 데이터 수집부(122_4) 및 GIS 연계부(122_5)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부(122_1)는 정보 수집을 위하여 유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외의 각종 정보 제공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각종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정보 수집부(122)는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외의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것 이외에 오브젝트별로 정보의 관리 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오브젝트 관리부(122_2)는 상기 수집된 다양한 정보들에 대하여 각각의 오브젝트별로 해당 정보를 저장하거나 업데이트하는 것을 관리하며, 또한 각각의 오브젝트와 관련되어 불필요한 정보를 삭제하는 등의 동작을 관리한다. 각각의 오브젝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오브젝트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에 대한 업데이트 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스케줄링부(122_3)는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외의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시간 및 주기를 관장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수집부(122_4)는 상기 스케줄링부(122_3)의 관장 하에서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대상을 선정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에 위치하는 기 타 오브젝트들(일예로서 상가, 마트 등)의 정보에 변경이 있을 경우 이러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기타 오브젝트들의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GIS 연계부(122_5)는 GIS 정보 저장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오브젝트의 위치를 연계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상황 추론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황 추론부(123)는 히스토리 관리부(1231), 규칙 관리부(1232) 및 추론 엔진부(123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황 추론부(123)는 오브젝트에 관련된 추론 동작 외에 상기 오브젝트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프로세스를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위험 관리부(12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히스토리 관리부(1231)는 오브젝트의 이전 및/또는 현재의 상황 정보들을 이용하여 그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를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히스토리 관리부(1231)는 히스토리 분석부(1231_1)와 상황 정보 관리부(1231_2)를 구비할 수 있다. 히스토리 분석부(1231_1)는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에, 일예로서 오브젝트 정보 저장부(125_2)에 저장되는 오브젝트의 이전 및/또는 현재의 상황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패턴과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분석된 히스토리 정보는 추론 엔진부(1233)로 제공됨에 따라 추론 동작에 이용된다.
한편, 상황 정보 관리부(1231_2)는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패턴의 삭제 및/또는 추가 동작을 제어한다. 즉, 히스토리 정보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오브 젝트의 이전의 상황 패턴들을 무제한으로 저장하는 경우 이에 따른 저장부의 용량 증가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황 정보 관리부(1231_2)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현재까지의 상황 정보들을 정리하여 상황 정보를 삭제하거나 추가한다. 일예로서, 소정 기간 이전의 상황 정보나 또는 오브젝트의 패턴에서 크게 벗어나는 소수의 상황 정보들에 대해서는 삭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반면에 현재 및 직전에 수신된 상황 정보들에 대해서는 시스템 내에 추가로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현재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추론 엔진부(1233)의 추론 동작의 결과 및/또는 상기 추론 결과에 따라 시스템을 연계한 결과 등이 상기 상황 정보 관리부(1231_2)로 피드백될 수 있다.
한편, 규칙 관리부(1232)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오브젝트 그룹을 구분하고, 오브젝트 그룹별로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를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규칙 관리부(1232)는 프로파일 관리부(1232_1)와 그룹 규칙 관리부(1232_2)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파일 관리부(1232_1)는 각각의 오브젝트 그룹의 프로파일을 관리한다. 일예로서, 다수의 오브젝트들은 나이별, 성별, 및 위치별 등의 특성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 그룹들로 구분되며, 프로파일 관리부(1232_1)는 각각의 오브젝트 그룹의 특성에 관련된 프로파일을 관리한다. 이에 따라, 추론 엔진부(1233)의 요청에 의하여 해당 오브젝트가 속하는 오브젝트 그룹을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른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그룹 규칙 관리부(1232_2)는 상기 판단된 오브젝트 그룹의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 그룹에 대한 일반적인 규칙 정보를 분석한다. 일예로서, 오브 젝트 정보 저장부(125_2)에 저장된 상기 오브젝트 그룹의 상황 정보들을 이용하여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을 분석할 수 있다. 그룹 규칙 관리부(1232_2)는 상기 추론 엔진부(1233)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속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추론 엔진부(1233)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론 엔진부(1233)는 정보 전달부(121)로 제공된 오브젝트의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관련된 추론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추론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추론 엔진부(1233)는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와 상기 오브젝트가 속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추론 동작을 수행한다. 그 추론 동작의 결과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현재 및/또는 이후의 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추론 엔진부(1233)는 오브젝트 관계 관리부(1233_1), 추론부(1233_2) 및 연계 관리부(1233_3)를 구비할 수 있다. 오브젝트 관계 관리부(1233_1)는 상기 상황 정보를 제공한 오브젝트와 서로 연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들(일예로서, 가족, 친구 및 동료 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즉,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의 상황을 추론함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와 어느 정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오브젝트들의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오브젝트들 사이의 관계가 적용된 추론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가 추론 엔진부(1233)로 제공되는 것 외에 상기 관련된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들이 추론 엔진부(1233)로 제공될 수 있다.
추론부(1233_2)는 상술하였던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에 관련된 추론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추론부(1233_2)는 정보 전달부(121)로 제공된 오브젝트의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와 상기 오브젝트가 속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와 오브젝트의 상황 정보를 조합하여 추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정보가 충분히 저장되어 있지 않아 상기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의 분석이 불가능하거나 오류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상기 오브젝트가 속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를 이용하여 추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추론 동작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오브젝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타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가 더 이용될 수 있다.
연계 관리부(1233_3)는 추론부(1233_2)의 추론 결과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외부의 서비스와 연계를 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신호는 연계 처리부(124)로 제공됨으로써, 상기 오브젝트의 상황 변화에 대응하여 오브젝트와 내외부의 서비스가 연계되도록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추론부(1233_2)의 추론 결과나 상기 연계 관리부(1233_3)의 시스템 연계 결과는 히스토리 관리부(1231)나 규칙 관리부(1232)로 피드백될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된 정보는 상황정보를 관리하거나 그룹 규칙을 관리하는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하였던 바와 같이 상황 추론부(123)는 오브젝트에 관련된 추론 동작 외에 오브젝트들의 위험을 감지하고 이를 처리하는 위험 관리부(1234)를 더 구 비할 수 있다. 도 4에는 위험 관리부(1234)가 상황 추론부(123)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위험 관리부(1234)는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에 별도로 구비되거나 기타 다른 기능 블록 내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위험 관리부(1234)는 유시티(U-City) 시스템(100) 내의 위험을 감지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이에 대한 방지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시티(U-City) 시스템(100)의 경우, 각각의 오브젝트별로 그 위험 상황을 구분하여 판단함으로써, 각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적절한 위험 방지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위험 관리부(1234)는 임계정보 관리부(1234_1) 및 프로세스 관리부(1234_2)를 구비할 수 있다. 임계정보 관리부(1234_1)는 상기 오브젝트별로 위험 상황에 대한 소정의 임계정보를 저장하고, 소정의 오브젝트로부터 수신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위험 상황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프로세스 관리부(1234_2)는 상기 판단 결과에 응답하여 위험 상황시 처리해야 하는 처리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5는 도 1의 연계 처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연계 처리부(124)는 상황 추론부(123)의 추론 동작에 따라 도출된 서비스를 실제 서비스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계 처리부(124)는 플로우 제어부(124_1), 서비스 연계부(124_2), 연동 감시부(124_3) 및 대외기관 연계부(124_4)를 구비할 수 있다. 플로우 제어부(124_1)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서비스가 연계된 융합된 서비스 형태로 구성되므로 이 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서비스 연계부(124_2)는 실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연계 데이터 및 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연동 감시부(124_3)는 여러 서비스의 융합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값에 따라 서로 다른 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대외기관 연계부(124_4)는 원하는 서비스가 유시티(U-City) 시스템(100)의 외부의 서비스인 경우 외부 기관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시티(U-City)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먼저 오브젝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발생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수행되고(S11).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에 대하여 기기 인증, 필터링 및 데이터 변환 등과 관련된 상황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2).
한편, 상기와 같은 상황 정보의 수신 및 처리 동작과는 별개로, 유시티(U-City) 시스템 내의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또한 관리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들과 관련된 정보들을 시스템 내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3). 도 6에서는 단계 S11 내지 S13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단계 S13는 상황 정보의 수신 및 처리 동작(S11, S12)에 앞서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이후, 상황 정보가 수신된 오브젝트에 대하여 그 상황 추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4). 히스토리 정보를 분석함에 있어서, 유시티(U-City) 시스템 내에 저장되는 오브젝트들의 이전 및/또는 현재의 다양한 상황 정보들이 이용된다. 일예로서, 상기 상황 정보의 처리 동작에 의하여 오브젝트의 식별자(Identity)가 판별되면,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된 상황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패턴에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오브젝트가 속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를 분석한다(S15). 상기 판별된 오브젝트의 식별자(Identity)로부터 오브젝트가 속하는 그룹을 검출하고, 해당 오브젝트 그룹에 관련된 상황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 그룹에 대응하는 일반적인 규칙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14와 단계 S15는 하이브리드 방식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일예로서, 오브젝트의 상황 추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가 먼저 분석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오브젝트의 이전 및/또는 현재의 상황 정보가 시스템 내에 충분히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를 통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를 분석한다. 반면에, 상기 오브젝트의 이전 및/또는 현재의 상황 정보가 시스템 내에 충분히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오브젝트가 속하는 오브젝트 그룹을 판별하고, 판별된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와 같은 히스토리 정보 분석 및/또는 일반적인 규칙 정보의 분석이 완료되면, 상기 오브젝트의 상황 추론 동작을 수행한다(S16). 상기 상황 추론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히스토리 정보 및/또는 일반적인 규칙 정보가 이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정보들 이외에도, 상기 오브젝트와 실질적으로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오브젝트들의 히스토리 정보나 다른 오브젝트들이 속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 추론 동작이 수행되고 그 결과가 발생하면, 그 추론 결과에 따라 실제 서비스를 연계하는 동작이 수행된다(S17). 상기 추론 결과에 따르면 해당 오브젝트가 현재 필요로 되는 서비스가 추론될 수 있으며, 그 추론 결과를 이용하여 실제 서비스를 해당 오브젝트와 연계시키는 동작이 수행된다. 실제 제공되는 서비스가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서비스가 연계된 융합된 서비스 형태로 구성되므로 이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이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시티(U-City)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전달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보 수집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황 추론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연계 처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시티(U-City)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유시티(U-City) 시스템
111, 112: 디바이스
120: 시스템부
121: 정보 전달부
122: 정보 수집부
123: 상황 추론부
124: 연계 처리부
125_1, 125_2: GIS 정보 저장부, 오브젝트 정보 저장부
131, 132: 서비스

Claims (10)

  1. 유시티(U-City) 시스템에 있어서,
    오브젝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는 정보 전달부;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 내부의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또한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 내부의 오브젝트들 및 외부의 정보제공 장치로부터의 정보들을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패턴에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현재 및/또는 이후의 상황을 추론하는 상황 추론부; 및
    상기 상황 추론부로부터의 추론 결과를 이용하여 실제 서비스와 연결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상황 정보를 발생한 오브젝트와 상기 연결된 실제 서비스에 관계된 다른 오브젝트에 상기 추론 결과를 제공하는 연계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황 추론부는,
    오브젝트 그룹 간의 구분 기준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프로파일 관리부와, 상기 구분된 오브젝트 그룹 각각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를 관리하는 그룹 규칙 관리부를 포함하는 규칙 관리부; 및
    상기 정보 전달부로부터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와 상기 오브젝트가 속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현재 및/또는 이후의 상황을 추론하는 추론 엔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티(U-City)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관련된 디바이스로부터 이전에 수신된 상황 정보와 현재 수신된 상황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오브젝트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티(U-City)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달부는,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가 상기 유시티(U-City) 시스템에서 인증된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상황 정보인지를 인증하는 기기 인증부;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가 실제로 상황의 변경이 발생된 상황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필터링부; 및
    상기 필터링부로부터 상황 정보를 입력받고, 다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황 정보를 동일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티(U-City)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오브젝트별로 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오브젝트 관리부;
    상기 시스템 내부의 오브젝트들 및 외부의 정보제공 장치로부터의 정보들을 수집하는 시간 및 주기 등을 관장하는 스케줄링부; 및
    통신망에 인터페이스 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내/외부로부터의 정보들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티(U-City)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추론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패턴에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관리하는 히스토리 관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티(U-City)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추론부는,
    상기 오브젝트별로 위험 상황에 대한 소정의 임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별로 상기 위험 상황을 판단하며,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위험 처리 프로세스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위험 관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티(U-City)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관리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이전의 상황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상황 패턴과 관련된 히스토리를 분석하는 히스토리 분석부;
    상기 히스토리 분석에 사용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상황 정보들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히스토리 분석과 관련된 상황 정보들의 삭제 및/또는 추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황 정보 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티(U-City) 시스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엔진부는,
    상기 오브젝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오브젝트의 정보를 관리하는 오브젝트 관계 관리부;
    상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오브젝트의 히스토리 정보와 상기 오브젝트가 속하는 오브젝트 그룹의 일반적인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정보들 및 상기 오브젝트 관계 관리부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현재 및/또는 이후의 상황을 추론하는 추론부; 및
    상기 추론부의 추론 결과에 따른 신호를 상기 연계 처리부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오브젝트의 상황 변화에 따라 내외부의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연계 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티(U-City) 시스템.
  10. 삭제
KR1020090074876A 2009-08-13 2009-08-13 상황 정보에 기반한 추론 동작을 수행하는 유시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034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876A KR101034880B1 (ko) 2009-08-13 2009-08-13 상황 정보에 기반한 추론 동작을 수행하는 유시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876A KR101034880B1 (ko) 2009-08-13 2009-08-13 상황 정보에 기반한 추론 동작을 수행하는 유시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287A KR20110017287A (ko) 2011-02-21
KR101034880B1 true KR101034880B1 (ko) 2011-05-17

Family

ID=4377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876A KR101034880B1 (ko) 2009-08-13 2009-08-13 상황 정보에 기반한 추론 동작을 수행하는 유시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8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6614A (ko) * 2007-01-23 2008-10-3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000040A (ko) * 2006-12-19 2009-01-07 주식회사 케이티 생활기록 및 부가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47068A (ko) * 2007-11-07 2009-05-12 전자부품연구원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최적화된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040A (ko) * 2006-12-19 2009-01-07 주식회사 케이티 생활기록 및 부가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96614A (ko) * 2007-01-23 2008-10-3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047068A (ko) * 2007-11-07 2009-05-12 전자부품연구원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최적화된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287A (ko) 201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A survey of mobile crowdsensing techniques: A critical component for the internet of things
US8275758B2 (en) Search system of communications device
KR100772928B1 (ko)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7991774B2 (en) Notification processor that notifies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manager
US20090006522A1 (en) Integrated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heterogeneous sensor networks
US20120124136A1 (en) Context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 by sharing context information between one or more terminals
CN107637050A (zh) 资源的优先级排序及通信信道的建立
CN105579994A (zh) 用于物联网集成平台的互操作性机制
Roy et al. Resource-optimized quality-assured ambiguous context mediation framework in pervasive environments
KR101894389B1 (ko)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JP6263303B1 (ja) デバイス、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4616408B (zh) 门铃控制方法及装置
Bernardos et al. A data fusion framework for context-aware mobile services
Bharti et al. A middleware approach for reliable resource selection on internet‐of‐things
CN117761255A (zh) 污染监测方法、系统、设备和程序产品
KR101034880B1 (ko) 상황 정보에 기반한 추론 동작을 수행하는 유시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1702951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ing collaboration service based on social community
KR20100092825A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에서의 센서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KR101975537B1 (ko) 시리얼-로라 통신 변환 장치
JP7372937B2 (ja) 移動手段判断装置
CN108776450A (zh) 扫地机器人服务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397738B2 (ja) 集計装置
KR101131185B1 (ko) 이동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43963B1 (ko)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64446B2 (ja) 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