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693B1 -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693B1
KR101034693B1 KR1020080080188A KR20080080188A KR101034693B1 KR 101034693 B1 KR101034693 B1 KR 101034693B1 KR 1020080080188 A KR1020080080188 A KR 1020080080188A KR 20080080188 A KR20080080188 A KR 20080080188A KR 101034693 B1 KR101034693 B1 KR 101034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requency
signal
audio signal
axi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322A (ko
Inventor
최근환
김문기
박명순
김민석
김남수
윤환식
조기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693B1/ko
Priority to CN200980131370.6A priority patent/CN102124514B/zh
Priority to JP2011522894A priority patent/JP5582508B2/ja
Priority to PCT/KR2009/003725 priority patent/WO2010018929A2/ko
Priority to US12/737,770 priority patent/US9002487B2/en
Priority to EP09806791.1A priority patent/EP2337021B1/en
Publication of KR20100021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에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출력하기 위한 송신부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정합 필터링을 통한 동기화를 실행하고, 기 설정된 데이터 추출 프로세싱에 따라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신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에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추가하여 입력한 후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송출함에 따라, 가청주파수 대역에서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에 실어 효율적으로 수신 측에 전달할 수 있다.
음향통신

Description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ON AUDIO FREQUENCY BASEBAND}
본 발명은 가청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오 신호에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추가하여 입력한 후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송출함에 따라, 가청주파수 대역에서 음향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신호의 전송방식에 있어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에 의해 적외선을 주파수 변조해 전송신호를 생성하고, 공간적으로 전송하는 아날로그식의 오디오 전송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아날로그식 오디오 신호전송 방식은, 예를 들면 CD 플레이어와 스피커 사이의 오디오 신호 전송에 이용된다.
하지만, 아날로그식의 오디오 신호 전송방식은 적외선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주파수 변조하므로, 전송 중에 음질이 열화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한, 아날로그식의 오디오 신호 전송방식은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와 오디오 기기 사이에서 음질 조절 등을 행하기 위한 디지털 형식의 제어신호를 같은 전송 신호에 포함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제어 신호를 오디오 신호와는 별개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의해, 상기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전송로에서 음질의 열화가 적은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광 전송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 전송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오디오 신호에 대한 음질 열화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등과 같이 오디오 신호의 자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오디오 신호에 특정한 데이터를 삽입하여 수신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중에 있으나, 오디오 신호에 데이터를 삽입함으로써 오디오 신호가 왜곡되는 문제점이나, 오디오 신호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삽입하고 이를 수신 측에서 검출하기 위한 용이성의 문제점 등에 있어서의 많은 장애 요소들이 산재하여 실질적으로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음향통신을 구현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 신호에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추가하여 입력한 후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송출함에 따라, 가청주파수 대역에서 음향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디오 신호에 대한 왜곡을 최소화하여 가청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의 송 수신을 이루는 음향통신에 대해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 도록 하기 위한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청주파수 대역이라는 것을 감안하여 오디오 신호에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입력하고, 수신 측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용이하게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상기 오디오 신호에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출력하기 위한 송신부 및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정합 필터링을 통한 동기화를 실행하고, 기 설정된 데이터 추출 프로세싱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는 경로에 따라, 상기 송신부와 통합형으로 구현되거나 상기 송신부와 분리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부는 통신망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수신부에 송출하거나,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저장 매체를 통해 제공받아 상기 수신부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음향통신 대 상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시간 축 신호를 주파수 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축 변환부, 상기 주파수 축 신호를 토대로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을 선정한 후, 상기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대상 주파수를 상기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변형하기 위한 주파수 변형부 및 상기 변형 후의 주파수 축 신호를 상기 변형 후의 시간 축 신호로 역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시간 축 역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출력하기 위한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파수 변형부는 상기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상기 대상 주파수의 변환계수 크기 및 위상에 상응하는 값을 재입력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파수 변형부는 상기 변형 전의 상기 대상 주파수에 대한 전력크기로 형성되는 주파수 신호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 주파수의 변환계수 크기를 재조절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왜곡을 예정된 레벨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파수 변형부는 상기 대상 주파수의 변환계수 크기를 사람의 심리음향 모델에 기반하여 기 저장된 마스킹 문턱값(Masking Threshold)를 한계로 재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파수 변형부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검출에 대비하여 동기화용 데이터를 더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파수 축 변환부는 상기 변형 전의 시간 축 신호 중 제 1 구간을 상기 변형 전의 주파수 축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제 1 구간과 예정된 레벨로 겹치는 제 2 구간을 상기 변형 전의 주파수 축 신호로 순차 변환하고, 상기 제 2 구간과 예정된 레벨로 겹치는 제 N 구간을 상기 변형 전의 주파수 축 신호로 순차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파수 변형부는 상기 제 1 구간과 상응하는 주파수 축 신호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실행한 후, 상기 제 2 구간과 상응하는 주파수 축 신호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순차 실행하고, 상기 제 N 구간과 상응하는 주파수 축 신호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순차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간 축 역변환부는 상기 제 1 구간과 상응하는 상기 변형 후의 주파수 축 신호를 상기 변형 후의 시간 축 신호로 역변환한 후, 상기 제 2 구간과 상응하는 상기 변형 후의 주파수 축 신호를 상기 변형 후의 시간 축 신호로 순차 역변환하고, 상기 제 N 구간과 상응하는 상기 변형 후의 주파수 축 신호를 상기 변형 후의 시간 축 신호로 순차 역변환하여 상호 간에 겹쳐 더함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수신장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정합 필터링 을 통한 동기화를 실행하기 위한 동기화부,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시간 축 신호를 주파수 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축 변환부 및 상기 동기화의 결과를 통해 상기 데이터의 추출을 위한 주파수 대역을 선정한 후, 기 설정된 데이터 추출 프로세싱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수신장치는 상기 데이터와 상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대상 주파수의 변환계수에 대한 위상을 판별하여 상기 데이터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오디오 신호에 대한 변형을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에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단계,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출력하기 위한 송신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정합 필터링을 통한 동기화를 실행하는 동기화 단계 및 기 설정된 데이터 추출 프로세싱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데이터와 상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이터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입력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시간 축 신호를 주파수 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축 변환 단계, 상기 주파수 축 신호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을 선정하는 주파수 대역 선정 단계, 상기 데이터의 입력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대상 주파수를 상기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변형하기 위한 주파수 변형 단계 및 상기 변형 후의 주파수 축 신호를 상기 변형 후의 시간 축 신호로 역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는 역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신호에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추가하여 입력한 후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송출함에 따라, 가청주파수 대역에서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에 실어 효율적으로 수신 측에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청주파수 대역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하여 오디오 신호에 데이터를 입력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 등을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수준으로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검출하는 데에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의 일부 구간에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100),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송출하기 위한 송신부(200),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 후 정합 필터를 통한 정합 필터링을 실행하여 동기화를 실행하고, 동기화를 통해 선정되는 데이터 입력구간을 대상으로 하여 기 설정된 데이터 추출 프로세싱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신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부(100)는 송신부(200)와 통합형으로 구현되거나, 송신부(200)와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데, 통합형으로 구현되는 경우는 라디오 방송을 통해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송출하고자 하는 구성을 구현하는 상황에 적합할 것이고, 분리형으로 구현되는 경우는 차량 내의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가 저장된 저장 매체를 재생하고자 하는 구성을 구현하는 상황에 적합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입력부(100)의 실행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부(100)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시간 축 신호를 MCLT(Modified Complex Lapped Transform) 등과 같은 변환 툴을 사용하여 주파수 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축 변환부(110), 변환한 주파수 축 신호를 토대로 하여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을 선정한 후,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대상 주파 수에 대해 MCLT의 결과로 나온 변환계수 크기 및 위상에 상응하는 값을 재입력함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주파수 변형부(120), 및 변형 후의 주파수 축 신호를 재차 시간 축 신호로 역변환하여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시간 축 역변환부(130)를 포함한다.
이후로, 송신부(200)를 통해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송출하게 된다.
또한, 주파수 변형부(120)는 수신부(300)에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동기화용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파수 변형부(120)는 해당하는 대상 주파수에 대한 변환계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며, 변환계수(즉, MCLT에 의한 경우에는 MCLT 변환계수)위상을 변경하는 방법은 M-ary PSK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 당업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방안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Binary PSK는 0을 전송하려면 위상을 0으로, 1을 전송하려면 위상을 π로 변경하여 데이터를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100)는 원래의 오디오 신호 중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일부 주파수 구간을 선정하고(예컨데,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전력 크기 등을 이용하여 선정 가능함),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의 OFDM 신호를 상기에서 선정한 일부 주파수 구간에서의 대상 주파수들의 전력 크기로 형성되는 주파수 신호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변환계수의 크기를 재조절함에 따라, 오디오 신호에 대한 왜곡을 예 정된 레벨 이하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환계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사람의 심리음향을 모델로 하여 기 설정된 마스킹 문턱값(Masking Threshold)을 한계치로 하여 조절하며, 이와 같은 마스킹 문턱값의 의미는 이 값보다 크기가 작은 신호는 사람의 귀에 들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변환계수의 크기가 마스킹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마스킹 문턱값까지 신호의 크기를 키워서 사람의 귀로는 노이즈를 들을 수 없고, 음향통신 성능을 더욱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입력부(100)를 통해 일정 구간별 주파수 축 변환 내지 시간 축 역변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부(100)는 오디오 신호를 일정 구간별로 구분하여 입력받아 순차적으로 변환을 실행하게 된다. 예컨데, 1차 순번으로 들어오는 길이 2M의 입력신호에 대한 변환을 처리한 후, 2차 순번으로 들어오는 입력신호도 2M만큼 진행한 신호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M만큼 진행한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상호 간의 신호를 겹치게 한 후 더하는 과정을 실행하여 변환 상의 오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입력부(100) 중 주파수 축 변환부(110)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 변형 전의 시간 축 신호 중 제 1 구간을 상기 변형 전의 주파수 축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제 1 구간과 예정된 레벨로 겹치는 제 2 구간을 상기 변형 전의 주파수 축 신호로 순차 변환하고, 상기 제 2 구간과 예정된 레벨로 겹치는 제 N 구간을 상기 변형 전의 주파수 축 신호로 순차 변환한다.
이후 과정으로, 주파수 변형부(120)는 제 1 구간과 상응하는 주파수 축 신호 를 토대로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실행한 후, 제 2 구간과 상응하는 주파수 축 신호를 토대로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순차 실행하고, 제 N 구간과 상응하는 주파수 축 신호를 토대로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순차 실행한다.
그리고, 시간 축 역변환부(130)는 제 1 구간과 상응하는 변형 후의 주파수 축 신호를 변형 후의 시간 축 신호로 역변환한 후, 제 2 구간과 상응하는 변형 후의 주파수 축 신호를 변형 후의 시간 축 신호로 순차 역변환하고, 제 N 구간과 상응하는 상기 변형 후의 주파수 축 신호를 변형 후의 시간 축 신호로 순차 역변환하여 상호 간에 겹쳐 더함에 따라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신부(300)의 실행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통신을 실행하는 수신부(300)는 송신부(200)로부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정합 필터링을 통한 동기화를 실행하기 위한 동기화부(310),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시간 축 신호를 주파수 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축 변환부(320) 및 동기화의 결과를 통해 데이터의 추출을 위한 주파수 대역을 선정한 후, 기 설정된 데이터 추출 프로세싱(예컨데, MCLT 방식으로 변환하는 경우 MCLT 변환계수의 위상을 판별하여 해당 데이터를 확인함)에 따라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추출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부(300)는 데이터와 상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시간 축 신호를 주파수 축 신호로 변환하여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을 선정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 및 S3).
이후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대상 주파수를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해당 대상 주파수의 변환계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여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실행한다(S5).
상기 S5를 통해 형성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는 송신부(200)로 전달되어 송신부(200)를 통해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송출하게 된다(S7 및 S9).
이에, 수신부(300)는 마이크 등의 구성을 통해 가청주파수 대역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 후 동기화를 실행한다(S11 및 S13).
이후로, 동기화 결과를 통해 데이터가 입력된 구간을 판별한 후 해당하는 구간으로부터 위상 등에 대한 판별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S15).
그리고, 추출한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한다(S17).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에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추가하여 입력한 후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송출함에 따라, 가청주파수 대역에서 음향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입력부의 실행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일정 구간별 주파수 축 변환 내지 시간 축 역변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신부의 실행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데이터 입력부 110 : 주파수 축 변환부
120 : 주파수 변형부 130 : 시간 축 역변환부
200 : 송신부 300 : 수신부
310 : 동기화부 320 : 주파수 축 변환부
330 : 데이터 추출부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시간 축 신호를 주파수 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축 변환부;
    상기 주파수 축 신호를 토대로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을 선정한 후, 상기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대상 주파수를 상기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변형하기 위한 주파수 변형부; 및
    상기 변형 후의 주파수 축 신호를 상응하는 시간 축 신호로 역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시간 축 역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입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출력하기 위한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입력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형부는
    상기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상기 대상 주파수의 변환계수 크기 및 위상에 상응하는 값을 재입력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입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형부는
    상기 변형 전의 상기 대상 주파수에 대한 전력크기로 형성되는 주파수 신호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 주파수의 변환계수 크기를 재조절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왜곡을 예정된 레벨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입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형부는
    상기 대상 주파수의 변환계수 크기를 사람의 심리음향 모델에 기반하여 기 저장된 마스킹 문턱값(Masking Threshold)를 한계로 재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입력장치.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형부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검출에 대비하여 동기화용 데이터를 더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입력장치.
  9.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축 변환부는
    상기 변형 전의 시간 축 신호 중 제 1 구간을 상기 변형 전의 주파수 축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제 1 구간과 예정된 레벨로 겹치는 제 2 구간을 상기 변형 전의 주파수 축 신호로 순차 변환하고, 상기 제 2 구간과 예정된 레벨로 겹치는 제 N 구간을 상기 변형 전의 주파수 축 신호로 순차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입력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형부는
    상기 제 1 구간과 상응하는 주파수 축 신호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실행한 후, 상기 제 2 구간과 상응하는 주파수 축 신호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순차 실행하고, 상기 제 N 구간과 상응하는 주파수 축 신호를 토대 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순차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입력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축 역변환부는
    상기 제 1 구간과 상응하는 상기 변형 후의 주파수 축 신호를 상응하는 시간 축 신호로 역변환한 후, 상기 제 2 구간과 상응하는 상기 변형 후의 주파수 축 신호를 상응하는 시간 축 신호로 순차 역변환하고, 상기 제 N 구간과 상응하는 상기 변형 후의 주파수 축 신호를 상응하는 시간 축 신호로 순차 역변환하여 상호 간에 겹쳐 더함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입력장치.
  12.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정합 필터링을 통한 동기화를 실행하기 위한 동기화부;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시간 축 신호를 주파수 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축 변환부; 및
    상기 동기화의 결과를 통해 상기 데이터의 추출을 위한 주파수 대역을 선정한 후, 기 설정된 데이터 추출 프로세싱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수신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수신장치는
    상기 데이터와 상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수신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대상 주파수의 변환계수에 대한 위상을 판별하여 상기 데이터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수신장치.
  15. 오디오 신호에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단계;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출력하기 위한 송신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정합 필터링을 통한 동기화를 실행하는 동기화 단계; 및
    기 설정된 데이터 추출 프로세싱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추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시간 축 신호를 주파수 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축 변환 단계;
    상기 주파수 축 신호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을 선정하는 주파수 대역 선정 단계;
    상기 데이터의 입력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대상 주파수를 상기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변형하기 위한 주파수 변형 단계; 및
    상기 변형 후의 주파수 축 신호를 상응하는 시간 축 신호로 역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는 역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데이터와 상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이터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7. 삭제
KR1020080080188A 2008-08-14 2008-08-14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034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188A KR101034693B1 (ko) 2008-08-14 2008-08-14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N200980131370.6A CN102124514B (zh) 2008-08-14 2009-07-08 用于音频频段中的数据接收和发送的系统和方法
JP2011522894A JP5582508B2 (ja) 2008-08-14 2009-07-08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及びデータ受信方法
PCT/KR2009/003725 WO2010018929A2 (ko) 2008-08-14 2009-07-08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US12/737,770 US9002487B2 (en) 2008-08-14 2009-07-08 System and method for data reception and transmission in audible frequency band
EP09806791.1A EP2337021B1 (en) 2008-08-14 2009-07-08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audible frequency 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188A KR101034693B1 (ko) 2008-08-14 2008-08-14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322A KR20100021322A (ko) 2010-02-24
KR101034693B1 true KR101034693B1 (ko) 2011-05-16

Family

ID=4209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188A KR101034693B1 (ko) 2008-08-14 2008-08-14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711B1 (ko) * 2010-09-20 2015-01-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음향통신 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66843B1 (ko) * 2010-11-02 2014-11-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변형을 통한 데이터 전달 통신의 음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243641B1 (ko) * 2013-09-16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524721B1 (ko) * 2014-05-13 2015-06-02 주식회사 제니스헬스케어 체성분 관리 시스템
KR102362360B1 (ko) * 2015-03-11 2022-02-14 주식회사 모티브인텔리전스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음량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2362363B1 (ko) * 2015-03-20 2022-02-14 주식회사 모티브인텔리전스 매장 음악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음파의 음량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1686969B1 (ko) * 2015-06-16 2016-12-21 주식회사 아이시냅스 대기중 사운드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446A (ko) * 2006-09-29 2008-04-03 (주)이스트랩 오디오 워터마킹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446A (ko) * 2006-09-29 2008-04-03 (주)이스트랩 오디오 워터마킹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322A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693B1 (ko) 가청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JP5582508B2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及びデータ受信方法
CN105846911A (zh) 基于声波的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US201601349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CN104471879A (zh) 用于窄带宽数字信号处理的系统及方法
CN103038824B (zh) 具有耐噪声音频传感器的免提单元
CN101641891A (zh) 调制装置、解调装置及声信号传输方法
KR101432099B1 (ko) 가청주파수 대역 음파 통신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8024120A (zh) 音频生成、播放、接听方法及装置和音频传输系统
CN104010226A (zh) 基于音频的多终端互动播放的方法和系统
CN108964787A (zh) 一种基于超声波的信息广播方法
JPWO2017061023A1 (ja) 音声信号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462427B1 (ko) 오디오 신호의 보존에 기초한 음파 통신에서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200825B1 (ko) 가청주파수 대역 음향통신에서의 데이터 수신에러 감소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8631884B (zh) 一种基于非线性作用的声波通信方法
US9706315B2 (en) Transceiver for a hearing aid and a method for operating such a transceiver
KR101686969B1 (ko) 대기중 사운드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40888B1 (ko) 음향통신 대상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13726936A (zh) 一种音频数据处理方法及装置
JP5239735B2 (ja) 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通信データ制御方法
US85433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ound quality
CN102752068A (zh) 通信系统、发送装置、接收装置以及通信方法
JP2023023255A (ja)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音声信号処理方法
KR101687675B1 (ko) 실시간 음향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825658A (zh) 通过声波检测将新媒体信息推送到手机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