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971B1 -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971B1
KR101033971B1 KR1020090051139A KR20090051139A KR101033971B1 KR 101033971 B1 KR101033971 B1 KR 101033971B1 KR 1020090051139 A KR1020090051139 A KR 1020090051139A KR 20090051139 A KR20090051139 A KR 20090051139A KR 101033971 B1 KR101033971 B1 KR 101033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light emitting
primary side
secondary side
curren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354A (ko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1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97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05B45/14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using electrical feedback from LEDs or from LED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원,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는 제 1 변압기,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 1 변압기의 2차측으로 연결되는 제 1 발광 다이오드 그룹,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는 제 2 변압기,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 2 변압기의 2차측으로 연결되는 제 2 발광 다이오드 그룹,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며, 2차측으로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센싱 변압기 및 상기 센싱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어 상기 기준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변압기의 1차측, 상기 제 2 변압기의 1차측 및 상기 센싱 변압기의 1차측은 직렬 연결되고, 폐루프가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0051139
발광 다이오드, 액정표시, 변압기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Apparatus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실시예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전계 인가 전극이 구비된 두 표시 평판과 그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층을 구비한다. 전계 인가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전압을 변화시켜 이 전기장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정하여 원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을 하지 못하므로, 백라이트라고 불리는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백라이트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 Fluorescent Lamp; CCFL), 외부 전극 형광 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등이 이용되고 있다.
상술한 냉음극 형광 램프나 외부 전극 형광 램프는 전력 소모가 크며, 발열로 인해서 액정 표시 장치의 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냉음극 형광 램프나 외부 전극 형광 램프는 대개 막대형으로 제조되므로 충격에 약하고, 파손의 위험이 크며, 램프 위치에 따라 온도가 일정하지 않아 램프 위치 별로 휘도가 달라 지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색재현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는 반도체 소자이므로 수명이 길고, 점등 속도가 빠르며, 소비 전력이 적고, 색재현성이 뛰어나다. 또한, 충격에 강하며, 소형화 및 박형화에 유리하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 등의 소형 액정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컴퓨터 모니터나 TV와 같은 중대형 액정 표시 장치에도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백라이트가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제공되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제공되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는 전류원,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는 제 1 변압기,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 1 변압기의 2차측으로 연결되는 제 1 발광 다이오드 그룹,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는 제 2 변압기,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 2 변 압기의 2차측으로 연결되는 제 2 발광 다이오드 그룹,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며, 2차측으로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센싱 변압기 및 상기 센싱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어 상기 기준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변압기의 1차측, 상기 제 2 변압기의 1차측 및 상기 센싱 변압기의 1차측은 직렬 연결되고, 폐루프가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는 전류원,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는 제 1 변압기,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 1 변압기의 2차측으로 연결되는 제 1 발광 다이오드 그룹,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는 제 2 변압기,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 2 변압기의 2차측으로 연결되는 제 2 발광 다이오드 그룹,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변압기,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 3 변압기의 2차측으로 연결되는 제 3 발광 다이오드 그룹,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며, 2차측으로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센싱 변압기 및 상기 센싱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어 기준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변압기의 1차측, 상기 제 2 변압기의 1차측, 상기 제 3 변압기의 1차측 및 상기 센싱 변압기의 1차측은 직렬 연결되고, 폐루프가 형성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는 다수 개의 변압기의 1차측을 직 렬연결하고 폐루프를 형성하며, 그 중 하나의 변압기의 2차측에서 기준 전압을 센싱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제공되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전류원(Iin), 제 1 변압기(120), 제 1 발광 다이오드 그룹(110), 제 2 변압기(220), 제 2 발광 다이오드 그룹(210), 제 3 변압기(320), 제 3 발광 다이오드 그룹(310), 센싱 변압기(420) 및 전압 센싱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변압기(120)는 전류원(Iin)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며, 제 1 발광 다이오드 그룹(110)은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고, 제 1 변압기(120)의 2차측과 전류원(Iin)에 연결된다.
한편, 제 2 변압기(220)는 전류원(Iin)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며, 제 2 발광 다이오드 그룹(210)은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고, 제 2 변압기(220)의 2차측과 전류원(Iin)에 연결된다.
또한, 제 3 변압기(320)는 전류원(Iin)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며, 제 3 발광 다이오드 그룹(310)은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고, 제 3 변압기(320)의 2차측과 전류원(Iin)에 연결된다.
한편, 센싱 변압기(420)는 전류원(Iin)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기준 전압(VR)을 제공하며, 전압 센싱부(430)는 센싱 변압기(420)에 연결되어 기준 전압(VR)을 센싱하고, 구체적으로 저항(R)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압 센싱부(430)에서 센싱되는 기준 전압(VR)을 이용하여 전류원(Iin)에게 제공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변압기(120)의 1차측, 제 2 변압기(220)의 1차측, 제 3 변압기(320)의 1차측 및 센싱 변압기(420)의 1차측은 직렬 연결되고, 폐루프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는 전류원(Iin), 제 1 변압기(120), 제 1 발광 다이오드 그룹(110), 제 2 변압기(220), 제 2 발광 다이오드 그룹(210), 센싱 변압기(420) 및 전압 센싱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제 1 변압기(120)의 1차측, 제 2 변압기(220)의 1차측 및 센싱 변압기(420)의 1차측은 직렬 연결되고, 폐루프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는 전류원(Iin), 제 1 변압기(120), 제 1 발광 다이오드 그룹(110), 제 2 변압기(220), 제 2 발광 다이오드 그룹(210), 제 3 변압기(320), 제 3 발광 다이오드 그룹(310), 제 4 변압기, 제 4 발광 다이오드 그룹, 센싱 변압기(420) 및 전압 센싱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제 1 변압기(120)의 1차측, 제 2 변압기(220)의 1차측, 제 3 변압 기(320)의 1차측, 제 4 변압기의 1차측 및 센싱 변압기(420)의 1차측은 직렬 연결되고, 폐루프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는 다수 개의 변압기의 1차측을 직렬연결하고 폐루프를 형성하며, 그 중 하나의 변압기의 2차측에서 기준 전압(VR)을 센싱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제공되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제 1 발광 다이오드 그룹 120: 제 1 변압기
210: 제 2 발광 다이오드 그룹 220: 제 2 변압기
310: 제 3 발광 다이오드 그룹 320: 제 3 변압기

Claims (6)

  1. 전류원;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는 제 1 변압기;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 1 변압기의 2차측으로 연결되는 제 1 발광 다이오드 그룹;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는 제 2 변압기;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 2 변압기의 2차측으로 연결되는 제 2 발광 다이오드 그룹;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며, 2차측으로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센싱 변압기; 및
    상기 센싱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어 상기 기준 전압을 센싱하여 상기 전류원에서 제공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저항을 포함하는 전압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변압기의 1차측, 상기 제 2 변압기의 1차측 및 상기 센싱 변압기의 1차측은 직렬 연결되고, 폐루프가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전류원;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는 제 1 변압기;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 1 변압기의 2차측으로 연결되는 제 1 발광 다이오드 그룹;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는 제 2 변압기;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 2 변압기의 2차측으로 연결되는 제 2 발광 다이오드 그룹;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여 2차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변압기;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 3 변압기의 2차측으로 연결되는 제 3 발광 다이오드 그룹;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1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변압하며, 2차측으로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센싱 변압기; 및
    상기 센싱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어 상기 기준 전압을 센싱하여 상기 전류원에서 제공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저항을 포함하는 전압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변압기의 1차측, 상기 제 2 변압기의 1차측, 상기 제 3 변압기의 1차측 및 상기 센싱 변압기의 1차측은 직렬 연결되고, 폐루프가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90051139A 2009-06-09 2009-06-09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101033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139A KR101033971B1 (ko) 2009-06-09 2009-06-09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139A KR101033971B1 (ko) 2009-06-09 2009-06-09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354A KR20100132354A (ko) 2010-12-17
KR101033971B1 true KR101033971B1 (ko) 2011-05-11

Family

ID=43508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139A KR101033971B1 (ko) 2009-06-09 2009-06-09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9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242A (ko) * 2006-03-21 2007-10-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 라이트의 구동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242A (ko) * 2006-03-21 2007-10-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 라이트의 구동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354A (ko) 201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88743B (zh) 驱动发光二极管的装置
KR20070093761A (ko) 엘이디 백라이트 구동회로
JP2006019260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適用した液晶表示装置
US7564191B2 (en) Inverter having single switching device
KR101020728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101033971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101061847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
KR101007035B1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054901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20120079339A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류 조절 장치
KR101107416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101818768B1 (ko) 램프의 구동 장치
KR101117746B1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류 조절 장치
KR20100072733A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KR100968925B1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028152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101643318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20100066061A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202031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광원의 구동 장치
KR20100138634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20100071462A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KR20100067990A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US20080158135A1 (en) Backlight assembly,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20100062427A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704018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