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280B1 -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280B1
KR101033280B1 KR1020080104368A KR20080104368A KR101033280B1 KR 101033280 B1 KR101033280 B1 KR 101033280B1 KR 1020080104368 A KR1020080104368 A KR 1020080104368A KR 20080104368 A KR20080104368 A KR 20080104368A KR 101033280 B1 KR101033280 B1 KR 101033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ouch sensor
unit
touch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5260A (ko
Inventor
최성국
김태현
박세현
김관연
김용
Original Assignee
(주)오로라 디자인랩
주식회사 에스엘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로라 디자인랩, 주식회사 에스엘전자 filed Critical (주)오로라 디자인랩
Priority to KR102008010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2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4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17/9622Capaci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Abstract

본 발명은 다접점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점을 구비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하여 접점효율을 향상시키고, 별도로 기능별 터치 영역을 구획 또는 분할을 하지 않더라도 다접점으로 구성된 터치 센서영역에 대하여 접촉하는 손가락 개수에 따라 입력되는 유효 접점의 개수 및 터치 접점 영역의 이동 여부를 확보하여 해당 모드를 선택ㆍ실행하는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동일 영역을 통한 다기능 활용이 가능한 다중접점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장치는, 터치에 의하여 접점 형태로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접점 터치센서로 구성되는 터치 센서부와; 손가락 개수 및 드래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활용되는 패턴값 및 실행 모드 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터치 센서부로부터 얻어지는 값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값을 비교ㆍ분석하여 손가락 개수를 판단하고, 접점의 영역 이동 유/무와 이동방향을 판단하여 해당 모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장치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스위치, 다접점, 터치접점, 터치영역, 드래그

Description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Switching device using multi-point contacting touch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다접점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점을 구비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하여 접점효율을 향상시키고, 별도로 기능별 터치 영역을 구획 또는 분할을 하지 않더라도 다접점으로 구성된 터치 센서영역에 대하여 접촉하는 손가락 개수에 따라 입력되는 유효 접점의 개수 및 터치 접점 영역의 이동 여부를 확보하여 해당 모드를 선택ㆍ실행하는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동일영역을 통한 다기능 활용이 가능한 다중접점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기술동향을 보면 다기능화, 고집적화, 소형화 및 박형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노트북, PMP, PDA, DMB 등의 휴대용 멀티미디어는 물론 가전제품, 조명기기 등의 경우에서도 그러하다.
이와 같은 전자제품 및 전자기기 등은 각 기능들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중 접점 스위치, 정전 용량방식의 터치 스위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스위치, 터치 스크린 방식의 스위치, 터치 패널 방식의 스위치 및 다접점 키패드를 이용한 스위치 등 다양한 방식의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스위치들 중 주로 다중 접점이 가능한 메탈 돔으로 구성되는 스위치 및 메탈 돔 시트가 전자기기 등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메탈 돔 스위치는 기판의 몸체가 되는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도전성 고정접점 상에, 고정접점을 접점 시킬 수 있는 돔 형태의 가동접점을 설치함으로써 구성되는데, 고정접점은 편평한 단일패턴의 동박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동접점을 누를 경우 고정접점에 단일접점 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으나, 넓은 면적으로 되는 단일패턴의 고정접점과 이를 접점시키는 가동접점은 단일 접촉저항의 에러를 자주 유발하고,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접점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메탈 돔 스위치는 누름 동작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고정접점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단일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접점이 박리되기 쉽고, PCB(Printed Circuit board) 및 FPC(Flexible Preinted Circuit)를 도통하는 비아홀(Via Hall) 이상으로 단선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한 개의 터치센서 내에 전원버튼, 확인버튼, 조절버튼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 스위치들을 복수 개 구비하기 위해 좌표 영역을 분할 센싱하는 방식도 디지털 카메라, PMP, PDA와 같은 각종 디지털기기 및 전자기기의 스위치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조명기기를 예를 들어, 1번 구 점등 스위치, 2번 구 점등 스위치 및 조도를 단계별로 조절하기 위한 조도 조절 스위치 등의 각 기능들이 설정되는 좌표 영역을 별도로 분할ㆍ구획화해야하므로, 많은 기능들이 부여될수록 스위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크기가 커져 최근 단순화,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되고 있는 각종 디지털기기 및 전자기기 등에 적용하기에 부적절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터치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다접점의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를 구성함으로써, 스위치의 터치면에 영역을 구분하는 별도의 구분 선 또는 구분 색, 조명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터치하는 손가락의 개수 및 터치 후 드래그하는 추가적인 행위를 통해 터치 센서의 동일 영역에서 여러 가지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가락 한 개, 두 개 또는 세 개를 사용하여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드래그를 행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전자기기들의 여러 기능들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터치에 의하여 접점 형태로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접점 터치센서로 구성되는 터치 센서부와; 손가락 개수 및 드래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활용되는 패턴값 및 실행 모드 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터치 센서부로부터 얻어지는 값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값을 비교ㆍ분석하여 손가락 개수를 판단하고, 접점의 영역 이동 유/무와 이동방향을 판단하여 해당 모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장치에 구동 전원을 공 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또한, 터치 센서부로부터 손가락 터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정보를 통해 터치된 손가락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이동 여부와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드래그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된 손가락 개수 및/또는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해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은 접점 형태의 출력만 가능한 다접점 터치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주변 회로 설계가 용이하며, 스위치 터치면에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별도의 구분자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면적을 영역별로 나눔으로 발생하는 디자인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자체의 크기를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므로, 소형 전자 응용기기에 보다 폭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다접점 터치센서라 함은 한 개의 터치센서 스위치 내에 유기 체에 의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접점을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고유 ID가 부여된 특정 접점들이 접속되면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센서를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터치센서가 지원하는 다접점의 분할 배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직접적인 터치를 감지하여 접점 형태로 출력할 수 있도록 고유 ID를 갖는 복수 개의 접점으로 구성되는 다접점 분할 방식의 터치센서로 지원되는 터치 센서부(110)와, 터치 센서부(110)에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ㆍ분석 대상으로 활용되는 패턴값이 저장됨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구동하고자 하는 실행 모드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130)와, 터치 센서부(110)로부터 얻어지는 터치 센싱 데이터와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값을 비교ㆍ분석하여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를 판단하고, 터치 접점 영역에 대한 이동의 유/무를 판단한 뒤 영역의 이동이 있는 경우, 그 이동방향에 따른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모드를 선택하고, 해당 모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장치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를 구비하는 전원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치 센서부(11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여 접점 형태로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전용량 방식의 다접점 터치센서로 구성되며, 터치 접점 분할(터치 접점 배치)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다양한 패턴으로 구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의 일면 전체에 하나 이상의 접점이 균일하게 구비 되도록 분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로 구성되며, 터치 접점의 분할 방식은 스위치가 적용되는 제품 및 기기의 목적에 따라 터치 접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패턴방식으로 다양하게 제작 가능하다.
상기 터치 접점 분할방식은 점패턴(a,b)과 선패턴(c,d)으로 구별할 수 있으며, 점패턴의 경우에는 접점이 일정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a)되거나, 벌집구조로 일정하게 배열(b)될 수 있다. 또한, 선패턴의 경우에는 선접점의 배열 간격을 조절하여 분할 배치될 수 있으며(c,d), 특히 배열 간격을 조밀하게 구성할수록 터치 접점의 경계가 좁아져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를 파악하기가 용이하다(d).
그리고, 이러한 패턴으로 분할 배치되는 각 접점들마다 고유 ID를 부여함으로써 다접점들 가운데 접촉이 이루어지는 특정 접점의 판별을 용이하게 하고, 최초 터치된 접점 영역으로부터 터치 접점 영역의 이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20)는 터치 센서부(110)에 물리적인 센서 접합이 형성되는 때에 입력된 센싱 데이터로부터 유효한 접점의 개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유효 접점들의 고유 ID를 통해 서로 인접한 접점들끼리 그룹을 형성하고 각 그룹 내의 유효 접점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그룹의 수와 각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를 재추출하는 센서 입력부(121)와, 센서 입력부(121)로부터 확보된 그룹의 수 및 각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에 대하여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값과 비교ㆍ분석하여 터치된 손가락 개수를 판단하고, 최초 터치된 접점 영역에 대하여 이동이 발생했는지 여부와 접점 영역의 이동이 있는 경우 이동방향을 판단하여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모드를 선택하는 비교부(122) 및 상기 비교부(122)에서 선택된 해당 모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부(130)에 저장되며 터치된 손가락 개수의 판단 및 터치 후 드래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ㆍ분석 대상으로 활용되는 상기 패턴값은 본 발명의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를 실시하여 획득한 터치된 손가락 개수에 따른 터치 영역의 그룹수, 그 그룹 내의 터치 접점 개수 및 터치 접점의 고유 ID 변경에 따라 판단되는 터치 영역의 이동방향 등에 대한 실험 데이터들을 통하여 산출한 각각의 통계값들을 의미한다.
센서 입력부(121)에서는 일차적으로 터치 센서부(110)에서 센싱된 데이터로부터 유효한 접점 개수를 추출한다.
상기 유효 접점 개수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터치가 감지된 접점들 가운데 직접적으로 터치가 이루어진 면적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소정 비율 이상이 되는 접점들에 한하여 유효한 접점으로 추출한다. 예를 들어, 터치 접점들 중 직접적인 터치가 이루어진 면적 비율이 적어도 2/3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유효한 터치 접점으로 추출하도록 한다.
그 다음, 추출된 유효 접점 개수들의 분포 영역에서 접점들의 경계가 인접한 접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하고, 형성된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를 카운트하여 형성된 그룹의 수 및 각 그룹별 유효 접점 개수를 재추출한다.
또한, 비교부(122)에서는 상기 센서 입력부(121)로부터 확보된 그룹의 수 및 각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를 통해 손가락 한 개가 터치된 영역인지, 손가락 두 개가 터치된 영역인지, 손가락 세 개 이상이 터치한 영역인지 여부와 터치가 있은 후 드래그를 행한 영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성된 그룹의 수 및 각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와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그룹별 터치 접점 개수 패턴값과 비교했을 때, 한 개의 그룹이 형성되고, 그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가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손 가락 한 개일 때의 터치 접점 개수 패턴값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한 개가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두 개의 그룹이 형성되고 각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가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손가락 한 개일 때의 터치 접점 개수 패턴값에 해당하거나 또는 한 개의 그룹이 형성되고 그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가 손가락 두 개일 때의 터치 접점 개수 패턴값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두 개가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된 유효 접점 개수가 손가락 한 개 또는 두 개가 터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유효 접점 개수 범위 이상의 경우에는 손가락이 세 개 이상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최초 터치된 접점들의 고유 ID로부터 뒤 이어 입력되는 접점 고유 ID의 변경이 있는 경우, 터치 드래그를 행하여 접점영역의 이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접점영역의 이동이 있는 경우, 접점들의 고유 ID 변경 정보를 통해 이동 방향을 판단한 후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모드의 상태 조절이 선택된다. 선택되는 상태 조절로는 조명의 밝기, 소리의 크리, 강도의 세기 등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조명기기에서 터치된 접점영역의 이동방향이 상하인 경우에는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고, 좌우인 경우에는 조명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에는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ㆍ분석 대상으로 활용되는 패턴값이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비교부(122)에서 판단된 손가락 개수 및 드래그 방향 여부에 따른 실행 모드가 저장되어 있다.
일 예로, 아래의 표는 도 2에서 (a)의 접점 분할 패턴을 갖는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의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값 및 실행 모드를 보여준다.

모드

터치된 접점 영역에
해당하는 그룹수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

손가락 개수

제 1 실행 모드

1개

x ≤ 4

1개



제 2 실행 모드


1개

4 < x ≤ 8



2개


2개

x ≤ 4

°
°

°
°

°
°

°
°

해당모드의
상태 조절

최초 터치된 접점 고유 ID로부터 변경이 있는 경우
상기 표에서는 센서 입력부(121)에서 형성된 그룹의 수가 1개이고 그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가 4개 이하인 경우, 손가락 1개가 터치된 것에 해당하므로 제 1 실행 모드가 선택되고, 형성된 그룹의 수가 1개이고 그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가 5개 이상 8개 이하인 경우이거나, 형성된 그룹의 수가 2개이고 각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가 4개 이하인 경우에는 손가락 2개가 터치된 것에 해당하므로 제 2 실행 모드가 선택된다.
또, 최초 터치된 접점 고유 ID 정보로부터 뒤이어 입력된 접점 고유 ID 정보가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상태 조절 모드가 선택되고, 예를 들어, 조명의 밝기, 소리의 크리, 강도의 세기 등의 상태를 조절하여 제 1, 제 2, 제 3 실행 모드를 실행하도록 선택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크게 터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00), 터치된 손가락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S200~S400), 드래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 S700, S800) 및 해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600)로 구성된다.
터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터치 센서부(110)의 다접점 터치센서와의 접촉이 형성되는 경우, 균일하게 분할 배치된 다접점들 가운데 직접적인 터치가 이루어진 접점들의 고유 ID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확보한다(S100).
터치된 손가락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확보된 센싱 데이터 가운데 직접적으로 터치된 접점의 면적 비율이 소정 비율 이상이 되는 접점의 경우에 한하여 유효 접점의 개수로 추출한다(S200). 예를 들어, 적어도 터치된 접점의 면적 비율이 2/3 이상 직접적인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에만 유효 접점 개수로 추출한다.
이후, 추출된 유효 접점 개수들의 분포 영역에서 접점들의 경계가 인접한 접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하고, 형성된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를 카운트하여 그룹의 수와 각 그룹별 유효 접점 개수를 재추출한다(S300). 형성된 그룹의 수 및 각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와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접점 개수 패턴값을 비교하여 손가락 개수를 판단한다(S400).
예를 들어, 터치에 의해 형성된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가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접점 개수의 패턴값과 비교ㆍ분석했을 때, 한 개의 그룹이 형성되고 그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가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손가락 한 개일때의 접점 개수 패턴값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한 개의 터치 여역으로 판단하고, 두 개의 그룹이 형성되고 각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가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손가락 한 개일 때의 접점 개수 패턴값에 해당하거나, 한 개의 그룹이 형성되고 그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가 손가락 두 개일 때의 접점 개수 패턴값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두 개의 터치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된 유효 접점 개수가 손가락 한 개 또는 두 개가 터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유효 접점 개수 범위 이상의 경우에는 손가락이 세 개 이상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드래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해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제어부(120)의 센서 입력부(121)에서는 접점들의 고유 ID 정보에 의하여 최초 추출된 유효 접점 개수(n개)의 시간에 따른 증가량을 산출함으로써, 최초로 터치된 접점 영역에 대한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S500) 터치 접점 영역에 대한 이동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S400)에서 판단된 손가락 개수에 대하여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모드를 실행한다(S600).
한편, 터치 접점 영역에 대하여 이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접점들의 고유 ID 정보에 따른 최종시간(tX)에서의 위치값과 초기시간(t0)에서의 위치값에 대한 변위를 통해 산출되는 벡터값을 이용하여 터치 접점 영역이 어느 쪽 방향으로 드래그 되었는지를 판단한 후(S700), 이동방향에 따라 해당 모드에서의 상태를 조절하여(S800) 해당 모드를 실행한다(S600). 예를 들어, 조명기기 제어의 경우에는 이동 방향이 상향인 경우 조명의 밝기를 증가시키고, 하향인 경우에는 조명의 밝기를 낮추는 조절이 가능하며, 이동 방향이 좌우인 경우에는 조명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터치센서가 지원하는 다접점의 분할 배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터치 센서부 120: 제어부
121: 센서 입력부 122: 비교부
123: 제어신호 출력부 130: 메모리부
140: 전원부

Claims (7)

  1.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터치에 의하여 접점 형태로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접점 터치센서로 구성되는 터치 센서부;
    손가락 개수 및 드래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활용되는 패턴값 및 실행 모드 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상기 터치 센서부로부터 얻어지는 값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값을 비교ㆍ분석하여 손가락 개수를 판단하고, 접점의 영역 이동 유/무와 이동방향을 판단하여, 판단된 손가락 개수, 접점의 이동 유/무 및 방향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 모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모드를 해당 모드로 선택하고, 그 해당 모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장치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데이터에서 유효 접점 개수를 추출하고, 인접한 유효 접점들로 구성되는 그룹을 형성하고, 각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를 재추출하는 센서 입력부;
    상기 센서 입력부로부터 확보된 그룹 수 및 각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와 상기 메모리부의 패턴값을 비교하여 손가락 개수를 판단하고, 접점의 영역이동 유/무를 판단하여 해당 모드를 선택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에서 판단된 해당 모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부는,
    접점이 일정하게 배열되는 점패턴 또는 일정한 배열 간격을 갖는 선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다접점 터치센서의 각 접점들마다 고유 ID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4. 삭제
  5.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 입력부에서 상기 터치센서로부터 손가락 터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센서 입력부에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부에서 터치된 손가락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센서 입력부에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부에서 터치된 손가락의 이동 여부와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드래그 판단 단계; 및
    상기 비교부에서 판단된 손가락 개수 또는 손가락의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해당 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신호 출력부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터치 정보로부터 유효 접점 개수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유효 접점들로부터 그룹을 형성하고, 각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를 재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수 및 상기 그룹 내의 유효 접점 개수와 상기 메모리부의 패턴값을 비교하여 손가락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판단 단계는,
    접점들의 고유 ID 정보를 통해 추출되는 유효 접점 개수의 시간에 따른 증가량으로 최초 터치된 접점 영역의 이동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접점들의 고유 ID 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벡터값으로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080104368A 2008-10-23 2008-10-23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33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68A KR101033280B1 (ko) 2008-10-23 2008-10-23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68A KR101033280B1 (ko) 2008-10-23 2008-10-23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260A KR20100045260A (ko) 2010-05-03
KR101033280B1 true KR101033280B1 (ko) 2011-05-09

Family

ID=4227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368A KR101033280B1 (ko) 2008-10-23 2008-10-23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2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869A1 (ko) * 2012-02-24 2013-08-29 (주)유브릿지 터치 입력 동기화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380887B1 (ko) * 2013-05-10 2014-04-02 (주)유브릿지 터치 입력 동기화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239B1 (ko) * 2020-07-20 2022-09-29 주식회사 지엔피컴퍼니 물체의 연속적인 비접촉 근접 센싱 모듈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5333A (ja) 1996-08-28 1998-04-24 Lg Ind Syst Co Ltd マトリックス方式タッチパネルのタッチ認識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70039613A (ko) * 2004-07-30 2007-04-12 애플 컴퓨터, 인크. 터치 감지 입력 장치용 제스처
KR20070111266A (ko) * 2006-05-17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접점 터치 센서를 이용한 손가락의 이동 감지 장치 및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5333A (ja) 1996-08-28 1998-04-24 Lg Ind Syst Co Ltd マトリックス方式タッチパネルのタッチ認識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70039613A (ko) * 2004-07-30 2007-04-12 애플 컴퓨터, 인크. 터치 감지 입력 장치용 제스처
KR20070111266A (ko) * 2006-05-17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접점 터치 센서를 이용한 손가락의 이동 감지 장치 및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869A1 (ko) * 2012-02-24 2013-08-29 (주)유브릿지 터치 입력 동기화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306008B1 (ko) * 2012-02-24 2013-09-12 (주)유브릿지 터치 입력 동기화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380887B1 (ko) * 2013-05-10 2014-04-02 (주)유브릿지 터치 입력 동기화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260A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5995B2 (en) Method for automatic determination of validity or invalidity of input from a keyboard or a keypad
KR100647375B1 (ko) 이동 전화 키매트 아래에 배치되는 근접감지형 터치패드시스템
EP1589407B1 (en) Control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
JPH11194882A (ja) キーボードおよび入力装置
CN104850289A (zh) 无线控制系统、触控感应电极整合模块、触控感应模块及其制造方法
US20120228111A1 (en) Capacitive keyswitch technologies
US20130063286A1 (en) Fusion keyboard
US20030025679A1 (en) System for disposing a proximity sensitive touchpad behind a mobile phone keypad
US10754440B2 (en) Touch sensitive keyboard with flexible interconnections
CN107527938B (zh) 内嵌式触控amoled面板结构
US20100245135A1 (en) Capacitive Keyboard with Enhanced Electrode Areas
JP2010533329A (ja) 2次元タッチパネル
WO2011008861A2 (en) Keyboard comprising swipe-switches performing keyboard actions
CN104777929B (zh) 控制装置
US20110316725A1 (en) Scanning circuit and method for keyboard
WO2007123648A2 (en) Capacitance sensing touchpad circuit capable of dual use as a touchpad controller and keyboard controller
KR101033280B1 (ko) 다접점 터치센서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EP3478029B1 (en) Dimming processing system for led lamps
CN114035695A (zh) 触控检测的方法、触控板和电子设备
CN103370680A (zh) 触摸输入装置、电子设备以及输入方法
CN108268180A (zh) 压力触控装置、压力触控的反馈方法、触控显示装置
US11036337B2 (en) Method of switching operation mode of touch panel
US7339499B2 (en) Keypad signal input apparatus
CN114020168B (zh) 触控面板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KR20070112530A (ko) 전자 기기에서 키 확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