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629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위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위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629B1
KR101032629B1 KR1020077000067A KR20077000067A KR101032629B1 KR 101032629 B1 KR101032629 B1 KR 101032629B1 KR 1020077000067 A KR1020077000067 A KR 1020077000067A KR 20077000067 A KR20077000067 A KR 20077000067A KR 101032629 B1 KR101032629 B1 KR 10103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network
network controller
source
wireless sess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513A (ko
Inventor
피어라폴 틴나코른스리수파프
파라그 아룬 아가쉬
라민 레자이이파르
비후 피. 모한티
폴 이. 벤더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2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0Reselecting an access point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들에서의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에 관한 것이다.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예를 들어,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핸드오프 조건의 탐지에 응답하여)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로킹할 수 있으며, 여기서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또한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세션을 생성하고, 타겟 ANC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와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고정시키고 고정된 상태를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에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수신된 상태의 고정을 해제하고 추가적으로 무선 세션을 언로킹시키며, 그리하여 액세스 터미널의 제어를 다시 계속하게 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CONNECTED-STATE RADIO SESSION TRANSF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RADIO NETWORK CONTROLLER HAND OFF"이고 출원일이 2004년 6월 1일인 특허 가출원 제60/576,194호, 발명의 명칭이 "RADIO NETWORK CONTROLLER HAND OFF"이고 출원일이 2004년 12월 9일인 특허 가출원 제60/635,041호 및 발명의 명칭이 "RADIO NETWORK CONTROLLER HAND OFF"이고 출원일이 2005년 2월 4일인 특허 가출원 제60/650,33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들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 의해 양수된 것이며 여기서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에서의 접속-상태 무선 세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타입의 통신(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등)을 제공하기 위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또는 다른 다중 접속 기법들에 기반할 수 있다. CDMA 시스템들은 증가된 시스템 용량을 포함하여, 몇몇 바람직한 특성들을 제공한다. CDMA 시스템은 IS-95, cdma2000, IS-856, W-CDMA, TD-SCDMA 및 다른 표준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들을 구현하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증가하는 사용자들에게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로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시도하면서,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네트워크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과제로 남아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로킹(locking)하는 단계;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대응하는 타겟 무선 세션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자신을 경유하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무선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무선 세션은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의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함 -;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여 제 1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단계; 제 2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여 제 2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우선순위를 가지는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액세스 터미널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 1 우선순위를 가지는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액세스 터미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로킹하고;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세션을 생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지시하고; 그리고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무선 세션을 생성하고 - 상기 무선 세션은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의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함 -;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고; 그리고 상기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로킹하도록 구성되는 세션-로킹 유니트;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대응하는 타겟 무선 세션을 생성하고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지시하는 명령 유니트; 및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상태-전달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무선 세션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세션-생성 유니트 - 상기 무선 세션은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의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함 -;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루트-추가 유니트; 및 상기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태-수신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로킹하기 위한 수단;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대응하는 타겟 무선 세션을 생성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수단;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자신을 경유하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무선 세션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무선 세션은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의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함 -;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a-2d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접속-상태(connected-state) 무선 세션 전달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 동안에 링크 플로우 다이어그램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위해 구현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에 대한 프로토콜 아키텍쳐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a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b-5c는 도 5a의 실시예에 대한 구현을 나타낸다.
도 6은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에 대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로세스의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7은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로세스의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8은 몇몇 개시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9는 몇몇 개시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10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액세스 터미널이 접속 상태에 있는 동안 하나의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로 액세스 터미널에 대한 제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액세스 터미널들(110a-110e)을 포함하는 다양한 액세스 터미널들(ATs)(110)은 시스템을 통해 분산되어 있다. 각각의 AT(110)는 주어진 시점에서 순방향 링크 및/또는 역방향 링크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트랜시버들(120a-120d)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 트랜 시버들(ANTs)(120)과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들(130a-130b)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들(ANC)(130)은 ANT들(120)의 조정(coordination)과 ANT들(120)에 대한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ANT들(120)과 통신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NC들(130)은 또한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140)를 통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IS-95, cdma2000, IS-856, W-CDMA, TD-SCDMA, 몇몇 다른 확산-스펙트럼 표준들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들을 지원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준들은 기술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ANC는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1의 PDSN(140)을 경유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고 AT들 및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하고 다양한 무선 액세스 및 (소프트 핸드오프와 같은) 링크 유지 기능들을 수행하고 무선 전송기들 및 수신기들(예를 들어, 도 1의 ANT들(120))을 제어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지칭할 수 있다. ANC는 2세대 또는 3세대 무선 네트워크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 제어기(BSC)의 기능들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구현할 수 있다. ANT는 또한 기지국 트랜시버 시스템(BTS), 액세스 포인트(AP), 모뎀 풀 트랜시버(MPT) 또는 (예를 들어, W-CDMA 타입의 시스템에서는) 노드 B로서 지칭될 수 있다. ANC와 하나 이상의 ANT들은 액세스 네트워크(AN)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시스템(100)에서, 예를 들어, ANC(130a)와 ANT들(120a, 120b)은 AN(150a)의 일부일 수 있으며, ANC(130b)와 ANT들(120c, 120d)은 AN(150b)의 일부일 수 있다.
"PDSN"이라는 용어가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사용되지만, 상기 용어는 데이터 패킷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코어(또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여기서 설명되는 데이터 패킷들은 (IS-856 타입의 시스템에서와 같이)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다른 정보 컨텐츠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과 같은 프로토콜들에 의해 특정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인캡슐레이트(encapsulate)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AT는 유선 전화기, 무선 전화기, 셀룰러폰, 랩톱 컴퓨터, 무선 통신 개인용 컴퓨터(PC) 카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외부 또는 내부 모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다양한 타입들의 장치들을 지칭할 수 있다. AT는 무선 채널 또는 (예를 들어, 광섬유 또는 동축 케이블에 의한) 유선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임의의 데이터 장치일 수 있다. AT는 액세스 유니트, 가입자 유니트,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장치, 모바일 유니트, 모바일폰, 모바일, 원격 스테이션, 원격 터미널, 원격 유니트, 사용자 장치, 사용자 설비, 핸드헬드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명칭들을 가질 수 있다. 상이한 AT들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될 수 있다. 액세스 터미널들은 이동형이거나 또는 고정형일 수 있으며, 통신 시스템을 통해 분산될 수 있다. AT는 주어진 시점에서 순방향 링크 및/또는 역방향 링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ANT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ANT(또는 AN)로부터 AT로의 전송을 나타낸다.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AT로부터 ANT(또는 AN)로의 전송을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ANT들과 트래픽 채널 접속을 설정한 (그리하여 음성/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전송할 준비가 된) AT는 접속-상태(connected state)에 있다고 지칭된다. 소프트 핸드오프는 복수의 ANT들이 AT의 역방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고 AT로부터의 역방향 링크 신호들을 디코딩할 수 있는 프로세스이다. (이러한 ANT들은 AT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것으로 지칭된다.) AT는 또한 자신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ANT로부터의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ANT가 이용가능하게 되어 기존의 ANT와 적어도 비교할 수 있는 (예를 들어, AT의 파일롯 신호 강도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은) 채널 품질을 제공하는 경우에, AT는 소프트 핸드오프로 진입할 수 있다. 소프트 핸드오프는 AT가 하나의 ANT의 커버리지 영역을 벗어나서 다른 ANT의 커버리지로 이동할 때 데이터 패킷들/호출들이 드롭되지 않도록 보장하며, 이는 "해제-전-연결(make-before-break)" 프로세스이다. 반면에, 하드 핸드오프는 "연결-전-해제(break-before-make)" 프로세스이며, 여기서 AT는 자신의 액티브 세트에 이전에 없었던 하나 이상의 ANT들과 새로운 접속을 연결하기 전에 자신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ANT(들)과의 접속을 해제한다. "서비스 섹터(serving sector)"는 AT가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선택하는 AT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ANT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세션"이라는 용어는 AT와 ANC(또는 AN) 간의 공유된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공유된 상태는 AT와 ANC 사이에서 교섭되었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들과 구성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보다 세부적인 사항에 대하여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 컨소시엄에 의해 2004년 3월에 공표된 "cdma2000 고속 레이트 패킷 데이터 무선 인터페이스 명세서", 3GPP2 C. S0024-A, 버전 1을 참 조하도록 한다.)
"소스 ANC"는 여기서 무선 세션을 전달하기 전에 AT와 관련된 무선 세션의 관리 제어를 유지하고 제공하는 ANC를 지칭할 수 있다. 무선 세션은 또한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위해 사용되는 자동 반복 요청(ARQ) 프로토콜(예를 들어, IS-856에 있는 시그널링 링크 프로토콜들(SLPs))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ANC"는 소스 ANC가 AT와 관련된 (그리고 AT의 제어와 관련된) 무선 세션을 전달하는 ANC를 지칭할 수 있다.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이라는 용어는 접속 상태에 있는 AT와 관련된 무선 세션 전달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NT(120b) 및 ANC(130a)를 경유하여 PDSN(140)과 데이터 통신하는) 접속 상태에 있는 동안, AN(150a)에 의해 서비스되는 커버리지 영역을 벗어나서 AN(150b)에 의해 서비스되는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하는, 시스템(100)에 있는 AT(110c)를 살펴본다. 이러한 전환은 하드 핸드오프 또는 소프트 핸드오프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하드 핸드오프의 경우에, AT(110c)는 예컨대 ANT(120c)와의 (그리하여 ANC(130b) 및 PDSN(140)과의) 새로운 접속을 형성하기 전에 ANT(120b)와의 (그리하여 ANC(130a) 및 PDSN(140)과의) 접속을 완전히 해제한다. 소프트 핸드오프의 경우에, AT(110c)가 상기 전환 동안 ANT(120b)뿐만 아니라 ANT(120c)와 통신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ANC(130a)는 AT(110c)와 관련된 무선 세션을 유지하며 그리하여 AT(110c)로부터 그리고 AT(110c)로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하기 위한 PDSN(140)과 ANT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계속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상황이 유지될 수 없을 때까지, 예컨대, ANC(130a)가 더 이상 AT(110c)와 통신하도록 충분 히 ANT(들)을 제어할 수 없을 때까지는) 핸드오프가 완료되고 AT(110c)가 더 이상 AN(150a)에 있는 임의의 ANT와 통신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하드 핸드오프 전환은 접속 상태에 있는 AT(110c)에 대하여 분열적(disruptive)이기 때문에 현저하게 바람직하지 않다. 위에서 설명된 소프트 핸드오프 전환은 또한 비효율적이며 (AT가 소스 ANC로부터 더 멀리 이동하게 되면) 궁극적으로 유지될 수 없다. 그리하여,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고 네트워크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선 세션 전달이 필요하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에서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제공하기 위해 방법들 및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에서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소스 ANC에서 AT와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로킹(locking)하는 단계; 타겟 ANC가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세션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타겟 ANC가 자신을 경유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AT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그리고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타겟 ANC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태를 전달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스냅샷을 취하고 상기 상태에 대한 임의의 추가적인 동작을 보류함으로써)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고정하는(freeze) 단계와 상기 고정 상태를 타겟 ANC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타겟 ANC는 수신된 상태를 고정 해제(unfreeze)하고 무선 세션을 언로킹(unlocking)하며, 그리하여 (예컨대, 다른 무선 세션 전달에 대한 필요성이 생길 때까지) AT에 대한 제어를 다시 시 작한다. 무선 세션 전달 후에, 소스 ANC는 자신을 경유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AT 사이의 통신 루트를 제거할 수 있다. 소스 ANC는 또한 AT와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삭제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 실시예들 및 특징들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a-2d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에 대한 일 실시예(200)를 나타내며, 일련의 다이어그램들은 상기 설명을 보충하기 위해 도시되어 있다. 명확화 및 단순화를 위해, 하나의 ANT가 상기 도면들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예를 들어, 도 5a-5c를 볼 것), 여기에서 설명되는 일반적인 절차들은 또한 복수의 ANT들과 통신하는 AT를 포함하는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에 적용가능하다.
도 2a에서, AT(210)는 접속 상태에 있으며 순방향 링크 루트(250) 및 역방향 링크 루트(255)를 통해 소스 ANC(230a)를 따라서 ANT(220)에 의해 서비스된다. 소스 ANC(230a)는 PDSN(240)을 통해서 데이터 네트워크(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할 수 있다. AT(210)와의 상황은 소스 ANC(230a)가 AT(210)와 관련된 그리하여 AT(210)의 제어와 관련된 (여기서는 "소스 무선 세션"으로 지칭되는) 무선 세션 전달을 결정하는 상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소스 ANC(230a)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AT(210)와 관련된 핸드오프 조건을 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세션/제어 전달은 여기서 "ANC 핸드오프"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b는 소스 ANC(230a)가 처음에 AT(210)와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로킹함으로써 무선 세션 전달을 개시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로킹"이라 는 용어는 무선 세션이 교섭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이것은 진행중인 무선 세션 구성들 및/또는 속성들이 업데이트되도록 허용하지만, 새로운 무선 세션 구성들 및/또는 속성들이 (예를 들어, AT(210)에 의해) 개시되는 것을 금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AT(210)와 연결된 순방향 링크 루트 및/또는 역방향 링크 루트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프로토콜(예를 들어, 무선 링크 프로토콜들(RLPs))은 AT(210)가 접속 상태에 있도록 유지하기 위해 무선 세션 전달 동안에 계속해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세션을 로킹하는 것은 소스 ANC(230a)와 타겟 ANC(230b) 사이에서 무선 세션 변화들을 계속해서 동기화시킬 필요가 없도록 한다. 소스 ANC(230a)는 또한 AT(210)에게 소스 무선 세션의 로킹을 통지할 수 있다.
소스 무선 세션의 로킹과 함께, 소스 ANC(230a)는 타겟 ANC(230b)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210)에 대한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하는 (여기에서 "타겟 무선 세션"으로 명명된) 무선 세션을 생성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스 ANC(230a)는 예컨대 타겟 ANC(230b)에게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밑에 있는(underlying) 프로토콜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겟 ANC(230b)는 이러한 프로토콜들에 기반하여 타겟 무선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소스 ANC(230a)는 또한 타겟 ANC(230b)가 예컨대 AT(210)와 PDSN(240) 사이의 순방향 링크 루트(260)와 역방향 링크 루트(265)를 포함하는 타겟 ANC(230b)를 통한 새로운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스 ANC(230a)는 AT(210)가 새로운 통신 루트의 목적으로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무선 링크 프로토콜들(RLPs)) 을 설정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타겟 ANC(230b)는 또한 ANT(220)(또는 AT(210)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각각의 ANT)가 새로운 통신 루트의 목적으로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RLP들)을 설정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소스 ANC(230a)를 통한 기존의 링크-계층 루트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링크-계층 루트가 타겟 ANC(230b)를 통해 설정되어 AT(210)와 PDSN(240) 사이의 새로운 통신 루트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링크-계층 루트는 예컨대, 개별적인 네트워크 계층 헤더 압축 및 RLP 인스턴스들을 가지는 개별적인 링크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그 결과, AT(210)는 PDSN(240)과의 두 개의 통신 루트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ANC(230a)를 통한 하나의 루트와 타겟 ANC(230b)를 통한 다른 하나의 루트를 가진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소스 ANC(230a)는 타겟 ANC(230b)가 PDSN(240)과의 순방향 링크 접속을 설정함에 따라, 도 2b에 있는 소스 ANC(230a)와 PDSN(240) 사이의 순방향 링크 루트(250)의 섹션을 삭제함에 의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AT(210)에 대한 PDSN(240)과의 자신의 순방향 링크 접속을 제거하거나 또는 디액티베이트(deactivate)시킬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도록 한다.)
그 후에, 소스 ANC(230a)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타겟 ANC(230b)로 전달하고, 그리하여 AT(210)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소스 ANC(230a)는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고정(예를 들어, 스냅샷을 취하고 상기 상태에 대한 임의의 추가적인 동작을 보류시킴)하고 "고정된" 상태를 타겟 ANC(230b)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태를 수신하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ANC(230b)는 상기 상태를 고정 해제하고 추가적으로 AT(210)와 관 련된 무선 세션을 언로킹할 수 있다. 타겟 ANC(230b)는 또한 AT에게 무선 세션의 언로킹을 통지할 수 있다. 그 결과, AT(210)는 이제 ANC(230b)의 단독 제어하에 있게 된다. (이러한 ANC(230b)는 다른 무선 세션 전달 필요성이 생길 때 "소스" ANC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2d는 무선 세션 전달 후에, 소스 ANC(230a)가 AT(210)에 대한 PDSN과의 역방향 링크 접속을 제거(또는 디액티베이트)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소스(230a)는 또한 AT(210)와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삭제할 수 있다. AT(210)는 또한 소스 ANC(230a)와 연결되는 자신의 순방향 링크 루트와 역방향 링크 루트를 제거(또는 디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RLP 전송 및 재전송 버퍼들에 있는 남아있는 대기열(queue)들이 이러한 루트에서 비워지게 되면, 소스 ANC(230a)를 통한 AT(210)와 PDSN(240) 사이의 링크-계층 루트가 삭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AT(210)와 관련된 무선 세션을 전달한 후에, 타겟 ANC(230b)는 새로운 유니캐스트 액세스 터미널 식별자(UATI)를 AT(210)로 할당하고, AT(210)로부터 새로운 UATI의 수신에 대한 확인을 수신한다. 소스 ANC(230a)는 최종적으로 AT(210)와 관련된 예전 UATI를 재-할당할 수 있다. 그러나, AT(210)가 여전히 예전 UATI를 사용하는 동안에 소스 ANC(230a)가 예전 UATI를 재-할당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AT(210)가 더 이상 예전 UATI를 수신하지 않거나 또는 자신의 전송 신호들을 형성하기 위해 예전 UATI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타겟 ANC(230b)에 의해 통지될 때까지, 소스 ANC(230a)는 예전 UATI를 유지해야 한다.
위에서 도 2a-2d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세션 전달 동안에 AT(210)에 대한 각각의 링크 플로우(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 또는 역방향 링크) 상에 두개의 루트들이 존재한다. 하나의 루트는 소스 ANC(230a)를 경유하고 다른 루트는 타겟 ANC(230b)를 경유하며, AT(210)(및 ANT(220))에 설정된 두 개의 세트의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RLP들)과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소스 ANC(230a)를 통한 원래의 통신 루트를 유지하면서, 타겟 ANC(230b)를 통한 AT(210)와 PDSN(240) 사이의 개별적인 통신 루트(예를 들어, 새로운 링크-계층 루트)를 추가함으로써, 데이터는 무선 세션 전달 프로세스를 통해 AT(210)와 PDSN(240) 사이에서 계속해서 교환될 수 있다.
도 3은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 동안에 링크 플로우 다이어그램(3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순방향 링크(350)를 통해, 소스 ANC(330a)는 루트 A를 경유하여 AT(310)로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어, RLP 패킷들)과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타겟 ANC(330b)는 루트 B를 경유하여 AT(310)로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어, RLP 패킷들)과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역방향 링크(355)를 통해, AT(310)는 각각 루트 A 및 B를 경유하여 소스 ANC(330a)와 타겟 ANC(330b)로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어, RLP 패킷들)과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프로토콜 아키텍쳐(4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러한 아키텍쳐(400)는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지원하기 위해 ANC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토콜 아키텍쳐(400)는 플로우 프로토콜(410), 루트 식별 프로토콜(420), 루트 식별 프로토콜(420) 뒤에 따르는 루트 프로토콜 A(430a)와 루트 프로토콜 B(430b), 각각 상기 루트 프로토콜 A 및 B의 뒤에 따르는 루트-A RLP(440a)와 루트-B RLP(440b)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우 프로토콜(410)은 PDSN과 AT 사이에서 데이터를 인캡슐레이트하고 전달하도록 구성된, 인터넷 프로토콜(IP) 또는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PPP)을 포함할 수 있다. 루트 식별 프로토콜(420)은 링크 플로우의 루트 A 또는 루트 B로 더 상위 계층 패킷들을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루트 프로토콜 A 또는 B는 헤더 압축과 같은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더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에 대한 다른 실시예(500)를 나타낸다. 예시적으로, AT(510)는 처음에 순방향 링크 루트(550)와 역방향 링크 루트(555)를 통해 "소스" ANT(520a) 및 소스 ANC(530a)와 통신할 수 있다. 소스 ANC(530a)는 PDSN(540)을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할 수 있다. 그 다음에 AT(510)는 예컨대 (모두 AT(510)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소스 ANT(520a)뿐만 아니라 "타겟" ANT(520b)와 통신하는 소프트 핸드오프로 진입할 수 있다. ANT(520b)는 타겟 ANC(530b)와 통신하고 타겟 ANC(530b)의 제어를 받으며, 그리하여 AT(510)의 핸드오프와 관련하여 소스(530a) 및 타겟 ANC(530b) 사이의 무선 세션 전달의 필요성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무선 세션 전달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도 2-4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5a의 실시예에서, 소스 ANC(530a)는 예컨대 순방향 링크 루트(570)와 역 방향 링크 루트(575)를 포함하는 타겟 ANT(520b)와의 통신 루트를 설정할 수 있다. 소스 ANC(530a)는 또한 타겟 ANC(530b)가 순방향 링크 루트(580)와 역방향 링크 루트(585)를 포함하는 소스 ANT(520a)와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ANC들 모두가 무선 세션 전달 동안에 AT(510)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모든 ANT들과 통신할 수 있다. 도 5a는 또한 예컨대 순방향 링크 루트(560)와 역방향 링크 루트(565)를 포함하는 개별적인(또는 새로운) 통신 루트가 타겟 ANC(530b)를 통해 AT(510)와 PDSN(540)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스 ANC(530a)를 통해 AT(510)와 PDSN(540) 사이에서 기존의 링크-계층 루트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링크-계층 루트가 타겟 ANC(530b)를 통해 설정될 수 있으며 AT(510)와 PDSN(540) 사이에서 새로운 통신 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b 또는 2c의 경우와 같이, 타겟 ANC(530b)가 PDSN(540)과의 순방향 링크 접속을 설정함에 따라, 소스 ANC(530a)는 PDSN(540)과의 자신의 순방향 링크 접속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b-5c는 도 5a의 실시예에 대한 구현을 나타내며, 여기서 도 5b는 순방향 링크에서의 실시예(500A)를 나타내며, 도 5c는 역방향 링크에서의 실시예(500B)를 나타낸다. 도 5a-5c에서 동일한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들에 의해 라벨링된다. 예시적으로, 소스 ANC(530a) 및 타겟 ANC(530b)를 통한 PDSN(540)과 AT(510) 사이의 통신 루트들은 각각 두 개의 개별적인 링크-계층 루트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소스 ANC(530a) 및 타겟 ANC(530b)는 각각 자신의 RLP 인스턴스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소스 ANC(530a)는 RLP-A와 관련되며 타겟 ANC(530b)는 RLP-B와 관 련됨). AT(510)는 예컨대 RLP-A 및 RLP-B 모두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AT(510)는 소스 ANC(530a)의 지시를 받으면 RLP-B를 설정할 수 있다. AT(510)는 RLP-B 패킷들을 수신하거나 또는 타겟 ANC(530b)의 지시를 받으면 RLP-B를 액티베이션시키고 역방향 링크를 통해 RLP-B 패킷들의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타겟 ANT(520b)는 AT(510)에 대한 서비스 섹터로서 선택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 링크를 통해, PDSN(540)으로부터의 데이터 플로우는, 예컨대 타겟 ANC(530b)가 AT(510)에 대한 PDSN(540)과의 순방향 링크 접속을 설정하면, 소스 ANC(530a)로부터 타겟 ANC(530b)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스 ANC(530a) 및 타겟 ANC(530b)는 서비스 섹터(예를 들어, 타겟 ANT(520b))로만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어, 각각 RLP-A 패킷들 및 RLP-B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섹터는 자신들의 각각의 RLP 인스턴스들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AT(510)로 전달할 수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가상 라인(572)은 소스 ANC(530a)로부터의 RLP-A 패킷들이 어떻게 타겟 ANT(520b)로부터 AT(510)로 라우팅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링크를 통해, AT(510)는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어, 각각 RLP-A 패킷들 및 RLP-B 패킷들)을 (예를 들어, 자신들의 각각의 RLP 인스턴스들에 의해) 소스 ANT(520a) 및 타겟 ANT(520b)로 전송할 수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화살표 라인들(555, 557)은 AT(510)로부터의 RLP-A 패킷들이 어떻게 각각 소스 ANT(520a) 및 타겟 ANT(520b)로 라우팅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유사하게, 화살표 라인들(565, 567)은 AT(510)로부터의 RLP-B 패킷들이 어떻게 각각 타겟 ANT(520b) 및 소스 ANT(520a)로 라우팅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그 다음에 각각의 ANT는 AT(5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소스 ANC(530a) 및 타겟 ANC(530b) 모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소스 ANC(530a)는 RLP-A 패킷들을 PDSN(540)으로 전달하고 RLP-B 패킷들을 버릴 수 있다. 타겟 ANC(530b)는 RLP-B 패킷들을 PDSN(540)으로 전달하고 RLP-A 패킷들을 버릴 수 있다.
소스 ANC(530a)는 무선 세션 전달 동안에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처리해야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스 ANC(530a)는 예를 들어 모든 시그널링 메시지 헤더들을 처리하고 RLP-B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타겟 ANC(530b)로 전달할 수 있다. 소스 ANC(530a)는 또한 시그널링 프로토콜(예를 들어, SLP) 헤더들을 타겟 ANC(530b)로부터 수신된 시그널링 메시지들에 추가하고 이들을 순방향 링크를 통해 (예를 들어, 서비스 섹터로) 전송할 수 있다. 소스 ANC(530a)는 또한 업데이트된 무선 세션 상태 정보 기록들(SSIRs) 및/또는 다른 무선 세션 구성/속성 업데이트들을 타겟 ANC(530b)로 전송할 수 있다. 타겟 ANC(530b)는 순방향 링크를 통해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소스 ANC(530a)로 전달할 수 있다. 타겟 ANC(530b)는 또한 (예를 들어, 전달 제어 이후에 처리될) 모든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버퍼링할 수 있다. 타겟 ANC(530b)는 또한 소스 ANC(530a)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의 서비스 섹터/액티브 세트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소스 ANC(530a)와 타겟 ANC(530b)는 타겟 ANC가 AT(510)와 관련된 무선 세션을 제어하게 된 후에 자신들의 역할을 바꾸게 된다.)
위에서, 소스 ANC(530a)와 타겟 ANC(530b) 모두가 RLP 패킷들을 서비스 섹터 (또는 AT(510)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각각의 ANT)로 전송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SN(540)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이 타겟 ANC(530b)로 라우팅될 때라도, 소스 ANC(530a)가 여전히 몇몇 데이터 패킷들을 재전송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각각의 ANC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은 각각의 ANT(또는 서비스 섹터)의 스케쥴러 대기열에 넣어질 수 있다. 소스 루트를 통한 지연은 타겟 루트를 통한 지연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순서로 PDSN(540)을 떠나는 데이터 패킷들은 상이한 순서로 AT(510)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아웃-오브-오더(out-of-order)" 전달을 피하기 위해, 각각의 ANT는 소스 ANC(530a)에 "타이-브레이킹(tie-breaking)" 어드밴티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각각의 ANT는 소스 ANC(530a)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여 첫번째 우선순위를 할당할 수 있고; 타겟 ANC(530b)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여 두번째 우선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첫번째 우선순위는 두번째 우선순위보다 높을 수 있으며, 그 결과 각각의 ANT는 두번째 우선순위를 가지는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전에 AT(510)에 대하여 첫번째 우선순위를 가지는 패킷들을 전송하게 된다.
도 5a 또는 도 5b-5c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새로운 ANT들(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이 무선 세션 전달 동안에 AT(510)의 액티브 세트에 추가될 필요가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T(510)는 소스 ANC(530a)에 강한 파일롯 신호들을 가지는 새로운 ANT들을 보고할 수 있으며, 새로운 ANT들 중 일부는 타겟 ANC(530b)의 제어를 받고 다른 일부는 소스 ANC(530a)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스 ANC(530a)는 타겟 ANC(530b)의 제어를 받는 ANT들과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소스 ANC(530a)는 또한 타겟 ANC(530b)가 소스 ANC(530a)의 제어를 받는 ANT들과 통신을 설정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나머지 절차들은 위에서 설명된 방식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ANT들(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은 또한 무선 세션 전달 동안에 AT(510)의 액티브 세트로부터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T(510)는 소스 ANC(530a)에게 저하된 파일롯 신호들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ANT들을 보고할 수 있으며, 상기 ANT들 중 일부는 타겟 ANC(530b)의 제어를 받고 다른 일부는 소스 ANC(530a)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소스 ANC(530a)는 타겟 ANC(530b)에게 소스 ANC(530a)의 제어를 받으며 삭제될 ANT들에 대하여 통지할 수 있다. 타겟 ANC(530b)는 그에 따라 이러한 ANT들과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소스 ANC(530a)는 또한 타겟 ANC(530b)의 제어를 받는 이러한 ANT들을 삭제할 수 있다.
(위에서 도 2-5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에 대한 몇몇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들 및 구현예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6은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로세스(600)에 대한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단계(610)는 소스 ANC에서 AT와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로킹하며, 여기서 소스 ANC는 (예를 들어, PDSN을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단계(620)는 타겟 ANC가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세션을 생성하도록 지시한다. 단계(630)는 타겟 ANC가 타겟 ANC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와 AT 사이에서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 루트와 역방향 링크 루트를 포함하는)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단계(640)는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타겟 ANC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640)는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고정(예를 들어, 스냅샷을 취하고 상기 상태에 대한 임의의 추가적인 동작을 보류시킴)하고 고정된 상태를 타겟 ANC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또한 AT가 타겟 ANC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와 AT 사이의 통신 루트에 접속하는 프로토콜들을 설정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토콜들은 RLP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또한 타겟 ANC가 AT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각각의 ANT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추가적으로 AT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ANT와의 통신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600)는 또한 상기 상태를 전달한 후에 소스 ANC와 AT 사이의 통신 루트를 제거하는 과정과 그리고/또는 AT과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로세스(700)의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단계(710)는 타겟 ANC에서 AT와 관련된 무선 세션을 생성하며, 상기 무선 세션은 소스 ANC에서의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한다. 단계(720)는 타겟 ANC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와 AT 사이에서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 루트와 역방향 링크 루트를 포함하는) 통신 루트를 설정한다. 단계(720)는 또한 AT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각각의 ANT와의 통신을 설정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730)는 소스 ANC로부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730)는 또한 수신된 상태를 고정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740)는 AT와 관련된 무선 세션을 언로킹한다. 프로세스(700)는 또한 AT에게 무선 세션의 언로킹을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몇몇 개시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8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예시적으로, 장치(800)는 소스 ANC에서 AT와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로킹하도록 구성된 세션-로킹 유니트(또는 모듈)(810); 타겟 ANC가 소스 무선 세션과 대응하는 타겟 무선 세션을 생성하도록 지시하고 타겟 ANC를 통해 (예를 들어, PDSN을 경유하여) 데이터 네트워크와 AT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명령 유니트(820); 및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타겟 ANC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상태-전달 유니트(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전달 유니트(830)는 또한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고정(예를 들어, 스냅샷을 취하고 상기 상태에 대한 임의의 추가적인 동작을 보류시킴)하도록 구성된 상태-고정 유니트(840); 및 상기 고정된 상태를 타겟 ANC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태-전송 유니트(85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명령 유니트(820)는 또한 타겟 ANC가 AT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각각의 ANT와 통신을 설정할 것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800)에서, 세션-로킹 유니트(810), 명령 유니트(820) 및 상태-전달 유니트(830)는 통신 버스(88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니트(860)와 메모리 유니트(870)는 또한 통신 버스(88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니트는 다양한 유니트들의 동작들을 제어하고 그리고/또는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니트(870)는 프로세싱 유니트(860)에 의해 실행될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몇몇 개시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장치(9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예시적으로, 장치(900)는 소스 ANC에서의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하여 AT와 관련된 무선 세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세션-생성 유니트(910); 타겟 ANC를 통해 (예를 들어, PDSN을 경유하여) 데이터 네트워크와 AT 사이에서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루트-추가(또는 설정) 유니트(920); 소스 ANC로부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상태-수신 유니트(930); 및 AT와 관련된 무선 세션을 언로킹하도록 구성된 세션-언로킹 유니트(9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수신 유니트(930)는 또한 수신된 상태를 고정 해제하도록 구성된 상태-고정 해제 유니트(95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루트-추가 유니트(920)는 또한 AT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각각의 ANT와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900)에서, 세션-생성 유니트(910), 루트-추가 유니트(920), 상태-수신 유니트(930), 상태-고정 해제 유니트(940) 및 세션-언로킹 유니트(950)는 통신 버스(98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니트(960) 및 메모리 유니트(970)는 또한 통신 버스(98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니트는 다양한 유니트들의 동작들을 제어하고 그리고/또는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니트(970)는 프로세싱 유니트(960)에 의해 실행될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몇몇 개시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장치(10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예시적으로, 장치(10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010); 수신기-전송기 유니트(1020); 및 수신기-전송기 유니트(1020)와 통신하는 프로세서(1030)를 포함한다. 장치(1000)는 또한 프로세서(1030)와 통신하는 메모리(10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순화 및 설명을 위해, 두 개의 안테나들(1010)이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에는 임의의 수의 안테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안테나들(1010)은 각각 수신 및 전송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개별적인 수신기 또는 전송기 안테나들로서 동작할 수 있다.)
장치(1000)에서, 수신기-전송기 유니트(1020)는 (예를 들어, RF로부터 베이스밴드로의) 다운-컨버전, 복조, 인코딩뿐만 아니라 디코딩, 변조, (베이스밴드로부터 RF로의) 업-컨버전 등과 같은 안테나들(1010)에서 수신된 신호들에 대한 다양한 원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03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기능들/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040)는 몇몇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03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030)는 도 8의 세션-로킹 유니트(810), 명령 유니트(820) 및 (또한 상태-고정 유니트(840) 및 상태-전송 유니트(850)를 포함할 수 있는) 상태-전달 유니트(830)의 기능들을 통합하거나 그리고/또는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030)는 도 9의 세션-생성 유니트(910), 루트- 추가 유니트(920), (또한 상태-고정 해제 유니트(950)를 포함할 수 있는) 상태-수신 유니트(930) 및 세션-언로킹 유니트(940)의 기능들을 통합하거나 그리고/또는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10의 다양한 유니트들/모듈들과 다른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다양한 유니트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들(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장치들(PLD), 다른 전자 유니트들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다양한 유니트들은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절차, 기능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니트(예를 들어, 메모리(104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10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니트는 프로세서 내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되는 경우에 메모리 유니트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와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은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제공하기 위해 ANC, AN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다른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 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기재를 통해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주어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과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으나, 선택적으로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 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장치들의 결합으로서,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 가능한 ROM(EPROM), 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ROM(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리하여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AT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T에 있는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 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6)

  1.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로킹(locking)하는 단계;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대응하는 타겟 무선 세션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자신을 경유하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기 상태를 고정(freezing)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된 상태를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터미널이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상기 통신 루트와 관련된 프로토콜 들을 설정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들은 무선 링크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루트는 순방향 링크 루트와 역방향 링크 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액세스 터미널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각각의 액세스 네트워크 트랜시버와 통신을 설정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를 전달한 후에, 상기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를 전달한 후에, 상기 소스 무선 세션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통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상기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유니캐스트 액세스 터미널 식별자를 재-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무선 세션의 로킹은 상기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핸드오프 조건의 탐지에 응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무선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무선 세션은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의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함 -;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상태를 고정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세션을 언로킹(unlock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터미널로 상기 무선 세션의 언로킹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상기 액세스 터미널로 유니캐스트 액세스 터미널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루트는 순방향 링크 루트와 역방향 링크 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터미널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각각의 액세스 네트워크 트랜시버와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 트랜시버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여 제 1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단계;
    제 2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여 제 2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우선순위를 가지는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액세스 터미널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 1 우선순위를 가지는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액세스 터미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이고, 상기 제 2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는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로킹하고;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세션을 생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지시하고; 그리고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기 상태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상태를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세스 터미널이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상기 통신 루트와 관련된 프로토콜들을 설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들은 무선 링크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액세스 터미널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각각의 액세스 네트워크 트랜시버와 통신을 설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무선 세션을 생성하고 - 상기 무선 세션은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의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함 -;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고; 그리고
    상기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상태를 고정 해제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상기 무선 세션을 언로킹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세스 터미널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각각의 액세스 네트워크 트랜시버와 통신을 설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로킹하도록 구성되는 세션-로킹 유니트;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대응하는 타겟 무선 세션을 생성하고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지시하는 명령 유니트; 및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상태-전달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전달 유니트는,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기 상태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상태-고정 유니트; 및
    상기 고정된 상태를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상태-전송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유니트는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액세스 터미널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각각의 액세스 네트워크 트랜시버와 통신을 설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로킹 유니트, 상기 명령 유니트 및 상기 상태-전달 유니트와 통신하는 프로세싱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니트와 통신하는 메모리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무선 세션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세션-생성 유니트 - 상기 무선 세션은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의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함 -;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루트-추가 유니트; 및
    상기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태-수신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수신 유니트는 상기 수신된 상태를 고정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상태-고정 해제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상기 무선 세션을 언로킹하도록 구성되는 세션-언로킹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추가 유니트는 상기 액세스 터미널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각각의 액세스 네트워크 트랜시버와 통신을 설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생성 유니트, 상기 루트-추가 유니트 및 상기 상태-수신 유니트와 통신하는 프로세싱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니트와 통신하는 메모리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소스 무선 세션을 로킹하기 위한 수단;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대응하는 타겟 무선 세션을 생성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수단;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자신을 경유하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 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기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고정된 상태를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상기 액세스 터미널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각각의 액세스 네트워크 트랜시버와 통신을 설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무선 세션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무선 세션은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서의 소스 무선 세션에 대응함 -;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경유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터미널 사이의 통신 루트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상기 소스 무선 세션과 관련된 상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상태를 고정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터미널과 관련된 상기 무선 세션을 언로킹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액세스 터미널의 액티브 세트에 있는 각각의 액세스 네트워크 트랜시버와 통신을 설정하는 동작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77000067A 2004-06-01 2005-06-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위한방법 및 장치 KR101032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619404P 2004-06-01 2004-06-01
US60/576,194 2004-06-01
US63504104P 2004-12-09 2004-12-09
US60/635,041 2004-12-09
US65033405P 2005-02-04 2005-02-04
US60/650,334 2005-02-04
US11/123,658 2005-05-06
US11/123,658 US8515424B2 (en) 2004-06-01 2005-05-06 Connected-state radio session transf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541A Division KR100991284B1 (ko) 2004-06-01 2005-06-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513A KR20070028513A (ko) 2007-03-12
KR101032629B1 true KR101032629B1 (ko) 2011-05-06

Family

ID=353859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067A KR101032629B1 (ko) 2004-06-01 2005-06-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위한방법 및 장치
KR1020097003541A KR100991284B1 (ko) 2004-06-01 2005-06-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541A KR100991284B1 (ko) 2004-06-01 2005-06-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515424B2 (ko)
EP (2) EP2273802A1 (ko)
JP (1) JP4542140B2 (ko)
KR (2) KR101032629B1 (ko)
BR (1) BRPI0511702A (ko)
CA (1) CA2569312C (ko)
MX (1) MXPA06013792A (ko)
TW (1) TWI388162B (ko)
WO (1) WO200511999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7197B2 (en) * 2002-08-09 2010-01-12 Surveylab Group Limited Mobile instrument, viewing device, and methods of processing and storing information
US8515424B2 (en) 2004-06-01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ed-state radio session transf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U2006204197B9 (en) 2005-01-07 201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multiuser packe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09757A1 (en) * 2005-03-11 2006-09-21 Liangchi Hsu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ast handoff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489929B2 (en) * 2005-03-31 2009-02-10 Alcatel-Lucent Usa Inc. Hard handoff procedure for dedicated and high speed shared channels
US20070140171A1 (en) * 2005-12-15 2007-06-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link management in distributed network architecture
WO2007091893A1 (en) * 2006-02-10 2007-08-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ving of a node
US8406191B2 (en) * 2006-04-14 2013-03-26 Qualcomm Incorporated Pseudo wires for mobility management
CL2007001655A1 (es) * 2006-06-07 2008-02-22 Qualcomm Inc Aparato de operacion en una red de acceso que comprende un sistema de procesamiento configurado para conservar una copia de un estado de sesion de un terminal de acceso y para efectuar consultas a un maestro de sesiones para determinar si ha cambiado
WO2007143738A1 (en) * 2006-06-07 2007-12-13 Qualcomm Incorporated Handoff of an access terminal at the network layer in an access network
KR100834812B1 (ko) 2006-07-04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이동 횟수를 줄이는 핸드오프를위한 장치 및 방법
US8886188B2 (en) 2007-03-20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 of session reference network controller
US7990925B2 (en) * 2007-05-30 2011-08-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handoff
US8364761B2 (en) * 2007-06-28 2013-01-29 Microsoft Corporation Updating conversations after redirection
KR100934086B1 (ko) * 2007-10-29 2009-12-24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무선접속 시스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게이트웨이
DE102010010686A1 (de) 2009-03-19 2011-01-0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lebtechnischen Fügen großflächiger Komponenten im Fahrzeugbau
DE102010010685A1 (de) 2009-03-19 2011-02-03 Airbus Operations Gmbh Verfahren zur toleranzangepassten Klebstoffapplikation im Fahrzeugbau
US8620323B1 (en) 2010-07-30 2013-12-31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call origination before session establishment
CN107945048A (zh) * 2017-11-15 2018-04-2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基于计量自动化系统的数据补采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9525A2 (en) * 1999-11-29 2001-05-31 Nokia Corporation Transfer of algorithm parameters during handover of a mobile station between radio network sub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6691A (en) 1988-10-28 1990-04-10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US5872773A (en) * 1996-05-17 1999-02-16 Lucent Technologies Inc. Virtual trees routing protocol for an ATM-based mobile network
US6125122A (en) * 1997-01-21 2000-09-26 At&T Wireless Svcs. Inc. Dynamic protocol negotiation system
JP3529621B2 (ja) * 1997-05-12 2004-05-24 株式会社東芝 ルータ装置、データグラム転送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EP0891114A1 (en) 1997-07-12 1999-01-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n optimised hand over
US6473100B1 (en) * 1998-05-20 2002-10-29 Microsoft Corporation Hosting controls in a window via an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window
GB9815886D0 (en) * 1998-07-21 1998-09-16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of packets of data
EP0996304B1 (en) * 1998-10-19 2007-03-14 Nortel Matra Cellular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 connection to a target base station in a cellular or cordles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0547838B1 (ko) 1998-11-17 200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전용제어채널의 핸드오프방법
US6674713B1 (en) * 1999-02-23 2004-01-06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inuous voice and call communications between a data network and a telephony network
US6252862B1 (en) 1999-05-20 2001-06-2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packet data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6300887B1 (en) * 1999-11-09 2001-10-09 Nokia Networks Oy Efficient handoff procedure for header compression
US6968190B1 (en) * 1999-11-29 2005-11-22 Nokia Mobile Phones, Ltd. Transfer of optimization algorithm parameters during handover of a mobile station between radio network subsystems
US6647001B1 (en) * 1999-12-06 2003-11-11 At&T Corp. Persistent communication with changing environment
KR100323229B1 (ko) 1999-12-30 2002-02-19 박종섭 아이엠티-2000 시스템의 핸드오버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3766259B2 (ja) 2000-06-01 2006-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パケット転送装置
US6950657B1 (en) 2000-07-03 2005-09-2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points of connectivity to subscribers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6876640B1 (en) * 2000-10-30 2005-04-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station point-to-point protocol context transfer
US6781999B2 (en) * 2001-07-23 2004-08-24 Airvana, Inc. Broadcasting and multicas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US7496748B2 (en) * 2001-07-23 2009-02-2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Method for establishing a security association between two or more computers communicating via an interconnected computer network
GB2392801B (en) 2001-11-05 2005-08-17 Nokia Corp A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base stations and for checking measurement values of an observed time difference between transmissions from base stations
US20030086395A1 (en) 2001-11-07 2003-05-08 Vyankatesh Shanbhag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handover in wireless packet data network
US7069013B2 (en) * 2002-01-11 2006-06-27 Motorola, Inc. High integrity radio access network client re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30139183A1 (en) * 2002-01-11 2003-07-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remature termination of mobile station LCS procedure during RR operations
DE60204867T2 (de) 2002-07-16 2006-05-18 Lucent Technologie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aketsortierung in einem mobilen Kommunikationsnetzwerk
US7436804B2 (en) * 2002-09-18 2008-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a Care of Address option
JP3445986B1 (ja) * 2002-09-27 2003-09-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に接続するサーバ、機器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6930988B2 (en) * 2002-10-28 2005-08-1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ast IP connectivity in a mobile network
US7385957B2 (en) 2002-11-14 2008-06-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xtending mobile IP
JP2006524924A (ja) 2003-04-25 2006-11-02 クゥアルコム・フラリオン・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バイルipを拡張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603042B2 (ja) * 2004-06-01 2010-12-22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パケットベースのハンドオフ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8515424B2 (en) 2004-06-01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ed-state radio session transf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9525A2 (en) * 1999-11-29 2001-05-31 Nokia Corporation Transfer of algorithm parameters during handover of a mobile station between radio network sub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73239B2 (en) 2015-10-27
TWI388162B (zh) 2013-03-01
BRPI0511702A (pt) 2008-01-08
KR20070028513A (ko) 2007-03-12
EP1757156A2 (en) 2007-02-28
CA2569312C (en) 2015-04-21
KR20090026368A (ko) 2009-03-12
TW200620905A (en) 2006-06-16
MXPA06013792A (es) 2007-03-01
CA2569312A1 (en) 2005-12-15
WO2005119990A2 (en) 2005-12-15
WO2005119990A3 (en) 2006-06-22
JP2008502217A (ja) 2008-01-24
EP2273802A1 (en) 2011-01-12
US20050266847A1 (en) 2005-12-01
US8515424B2 (en) 2013-08-20
US20130303222A1 (en) 2013-11-14
JP4542140B2 (ja) 2010-09-08
KR100991284B1 (ko) 201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62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상태 무선 세션 전달을 위한방법 및 장치
CN108632934B (zh) 切换的方法和设备
CN103200632B (zh) 切换处理
JP453697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高信頼リンクを提供する技術
KR101238040B1 (ko) 핸드오버를 위한 링크 계층 엔티티를 구성하는 기술
JP5481546B2 (ja) アップリンクプロトコル変更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6681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cket data loss in a wireless network
US9020503B2 (en) Connection establishment system and method
KR200900084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절차들
US20120147806A1 (en) Data over signaling (DOS) optimization over wireless access networks
CN110149166B (zh) 传输控制方法、装置和系统
US11968744B2 (en) Robust adjustment o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s
EP1911239A1 (en) Dynamic packet buffering system for mobile handoff
KR2007003273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패킷 기반 핸드오프를 위한시스템 및 방법
EP144054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ormant mode, packet data mobile handoffs
RU244843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чей обслуживания между сотами utra r6 и сотами r7
WO2023066361A1 (zh) 报告发送方法、终端、基站、装置、和存储介质
CN117676741A (zh) QoS信息的发送方法、接收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122

Effective date: 2010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