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531B1 -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531B1
KR101032531B1 KR1020080110620A KR20080110620A KR101032531B1 KR 101032531 B1 KR101032531 B1 KR 101032531B1 KR 1020080110620 A KR1020080110620 A KR 1020080110620A KR 20080110620 A KR20080110620 A KR 20080110620A KR 101032531 B1 KR101032531 B1 KR 101032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blast furnace
furnace
temperature distribution
furna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1448A (ko
Inventor
최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11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5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14Devices for monitoring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4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07Monitoring th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로 내부의 노드별 온도분포를 예측하고 이를 가시화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은, 고로 내부에 삽입되어 고로 내부의 다수의 노드에 대한 기전력을 측정하는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 상기 고로에 구비되어 있는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가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가 상기 기전력을 측정하는 시점에 상기 기전력에 해당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 데이터와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가 측정한 데이터의 관계를 이용하여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을 도출하고, 이후에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하는 시점에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에 의해 측정된 그 시점의 데이터를 상기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에 대입한 후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하여 이를 가시화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로, 온도분포, 가시화, 다중회귀 온도예측식, 기전력

Description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temperature distribution in blast furnac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로 내부의 노드별 온도분포를 예측하고 이를 가시화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에서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는 장입물 분포나 가스흐름의 분포와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고로조업 관리상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고로는 상부에 철광석과 코크스가 장입되어 강하하면서 철광석이 환원되고 연화된 후 녹아내리기 때문에 온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대부분의 고로에서 노벽에 온도계를 설치하여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상시 살펴보며 조업하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고로의 내용적이 커지면서 고로 직경이 커져 직경방향의 온도분포나 가스흐름분포의 관리가 더욱 중요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즉, 고로가 대형화되면서 고 로 높이는 커지지 않고 주로 직경이 커지게 되어 장입물 분포나 가스흐름의 분포가 직경방향으로 불균형을 나타내어 노황이 불안정해져 조업상의 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상시 살펴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측정하거나 가스흐름을 추정하는 방법은 현재까지 많은 방법이 발명되었다.
고로 상부의 장입물 표면 위에 설치 된 온도센서(예를 들면, 크로스 존데)를 이용한 가스류 분포 측정방법(한국등록특허 특1999-0076423, 한국등록특허 특2000-0013124)이 공개된 바 있다. 이 방법은 고로 장입층 위의 온도정보만을 가지고 가스류 분포를 추정하기 때문에 장입층 내의 정확한 상황을 알 수 없다. 한편, 노벽온도를 이용한 노내의 가스흐름 등 조업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일본등록특허 특2003-0063487)이 있다. 이 방법은 노벽온도의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체의 열부하 개소나 연화융착대 근부위치 등을 추정할 수 있으나 고로의 내부상황을 파악할 수는 없다.
한편,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를 고로 내부에 삽입하여 온도분포를 측정하는 방법(한국등록특허 특2002-0017159, 특2005-0068059)이 있다. 이들 방법은 조업 중에 온도 측정용 프로브를 고로 장입층 표면으로 투척하여 장입물에 묻혀 장입물과 함께 강하하면서 프로브가 녹을 때까지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적극적인 측정 수단이라고 할 수 있으나, 매번 측정할 때마다 많은 비용과 노력이 들며 실시간 으로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알아볼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업중에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상시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밀한 노황관리가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고로 조업조건 변화시에 조업자가 궁금해하는 고로의 내부상황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와 유사한 가스흐름분포를 추정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고로 내부에 삽입되어 고로 내부의 다수의 노드에 대한 기전력을 측정하는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 상기 고로에 구비되어 있는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가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가 상기 기전력을 측정하는 시점에 상기 기전력에 해당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 데이터와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가 측정한 데이터의 관계를 이용하여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을 도출하고, 이후에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하는 시점에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에 의해 측정된 그 시점의 데이터를 상기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에 대입한 후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하여 이를 가시화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값의 기전력을 디지털값의 온도 측정치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상기 온도 측정치의 데이터와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가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을 도출하고, 이후에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하는 시점에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에 의해 측정된 그 시점의 데이터를 상기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에 대입한 후 고로 내부의 노드별 온도 예측값을 산출하는 온도 산출부; 상기 산출된 고로 내부의 노드별 온도 예측값을 이용하여 노드간의 온도 차이값을 산출하는 도형 특징정보 산출부; 및 상기 노드간의 온도 차이값으로부터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가시화하는 온도분포 가시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고로 내부의 다수의 노드에 대한 기전력을 측정하는 제1단계; 상기 기전력에 해당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 데이터와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가 측정한 데이터의 관계를 이용하여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을 도출하는 제2단계;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하는 시점에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에 의해 측정된 그 시점의 데이터를 상기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에 대입한 후 고로 내부의 노드별 온도 예측값을 산출하는 제3단계; 상기 산출된 고로 내부의 노드별 온도 예측값을 이용하여 노드간의 온도 차이값을 산출하는 제4단계; 및 상기 노드간의 온도 차이값으로부터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가시화하 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은 Ti = a1x1 + a2x2 + a3x3 + … + anxn + b, Tj = a1x1 + a2x2 + a3x3 + … + anxn + b, Tk = a1x1 + a2x2 + a3x3 + … + anxn + b(여기서, Ti : 고로의 높이방향 i번째 노드의 온도, Tj : 고로의 반경방향 j번째 노드의 온도, Tk : 고로의 원주방향 k번째 노드의 온도, a1, a2, a3, … , an : 상관계수, x1, x2, x3, … , xn : 고로의 노벽 온도, 노벽 압력, 노정가스 성분과 같은 독립변수, b :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노드간의 온도 차이값은 내삽법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고로 내부에서 철광석이 녹아 내려오는 연화융착대를 추정하여 가시화하는 단계; 상기 고로의 표면온도를 2차원 분포로 나타내어 열부하 구역을 가시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열부하 구역의 시계열 변동 트렌드를 가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업중에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상시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밀한 노황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로 조업조건 변화시에 조업자가 궁금해하는 고로의 내부상황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와 유사한 가스흐름분포를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은,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 (100), 데이터베이스(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100)는 고로(1)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고로(1) 내부의 다수의 노드에 대한 기전력을 측정한다.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100)에 의해 측정된 기전력은 보통 4~20mA의 아날로그 데이터로 측정된다. 그리고, 기전력 측정회수는 보통 30~40회로 하여 그 평균값을 기전력 측정값으로 한다.
데이터베이스(200)는 고로(1)에 구비되어 있는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가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고 있다. 고로(1)에는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 외에도 다른 측정계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때 데이터베이스(200)는 다른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서버(300)는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100)가 기전력을 측정하는 시점에 기전력에 해당하는 고로(1) 내부의 온도 데이터와,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가 측정한 데이터의 관계를 이용하여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을 도출하고, 이후에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하는 시점에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에 의해 측정된 그 시점의 데이터를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에 대입한 후 고로(1)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하여 이를 가시화하는데, A/D 컨버터(310), 온도 산출부(320), 도형 특징정보 산출부(330), 온도분포 가시화부(340)를 포함한다.
A/D 컨버터(Analog Digital converter, 310)는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100)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값의 기전력을 디지털값의 온도 측정치로 변환한다.
온도 산출부(320)는 A/D 컨버터(310)에서 변환된 온도 측정치의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어 있는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가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을 도출하고, 이후에 고로(1)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하는 시점에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에 의해 측정된 그 시점의 데이터를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에 대입한 후 고로(1) 내부의 노드별 온도 예측값을 산출한다.
도형 특징정보 산출부(330)는 온도 산출부(320)에서 산출된 고로(1) 내부의 노드별 온도 예측값을 이용하여 노드간의 온도 차이값을 산출한다.
온도분포 가시화부(340)는 도형 특징정보 산출부(330)에서 산출된 노드간의 온도 차이값으로부터 고로(1) 내부의 온도분포를 가시화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로 내부에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를 삽입하는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의 확대도이다.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100)는 5m 정도 길이의 파이프(3) 내부에 1m 간격으로 6점의 열전대를 매립하여 제작된다. 이 삽입장치를 이용하여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100)를 고로(1) 상부에서 내부로 밀어 넣어 장입 표면에 안착시켜 장입층 내부로 묻히게 하여 장입물과 함께 강하되게 하여 온도를 측정한다.
고로(1) 내부로 삽입되는 파이프(3)와 열전대는 내열성과 강도가 있고 팽창과 수축성이 없는 재질이면 적합하다. 12가닥의 열전대는 직경 6~10mm의 스텐레스 파이프(3) 내부에 서로 닿지 않게 산화 마그네슘을 충전하여 제작된다.
수직온도 프로브(100)를 삽입하는 장치는 파이프(3)를 고로(1) 내부로 삽입할 때 고로(1)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 실링부(4, 6), 장입물 위치 측정완료 후 열전대를 절단하는 커터기(5), 열전대가 고로(1) 내부로 삽입될 때 곧게 펴주는 가이드 롤러(10), 열전대 삽입길이 측정기(9), 프로브 릴(1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이프(3)를 삽입할 때 우선 삽입장치 위에 얻어 연결쇠(8)와 결합한 후, 에어헨마(7)나 유압기로 쳐서 고로(1) 내부에서 낙하되게 하는 동시에 구동모터(12)를 작동시켜 파이프(3)가 자유낙하하여 장입표면에 안착할 수 있는 길이만큼 열전대를 신속하게 밀어 넣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도 1과 함께 살펴보면,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100)를 이용하여 고로(1) 내부의 다수의 노드에 대한 기전력을 측정한다(S100). 기전력 측정은 미분탄 취입비 변경, 계획 출선량 변경 등 고로조업 방침 변경이나, 가스류 흐름 이상과 같은 노황 이상시 등의 여러 가지 조업상황이 변경될 때마다 측정한다. 고로(1) 내부의 온도측정방식은 로경방향으로 0°, 90°, 180°, 270°의 각도로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100)를 삽입하여 측정한다.
이후에, 서버(300)의 온도 산출부(320)가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100)에서 측정된 기전력에 해당하는 고로(1) 내부의 온도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가 측정한 데이터의 관계를 이용하여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을 도출한다(S2O0).
이후에, 고로(1)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하는 시점에 서버(300)의 온도 산출부(320)가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에 의해 측정된 그 시점의 데이터를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에 대입한 후 고로(1) 내부의 노드별 온도 예측값을 산출한다(S300).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은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과 같다.
Ti = a1x1 + a2x2 + a3x3 + … + anxn + b
Tj = a1x1 + a2x2 + a3x3 + … + anxn + b
Tk = a1x1 + a2x2 + a3x3 + … + anxn + b
여기서, Ti : 고로의 높이방향 i번째 노드의 온도
Tj : 고로의 반경방향 j번째 노드의 온도
Tk : 고로의 원주방향 k번째 노드의 온도
a1, a2, a3, … , an : 상관계수
x1, x2, x3, … , xn : 고로의 노벽 온도, 노벽 압력, 노정가스 성분과 같은 독립변수
b : 상수
이후에, 서버(300)의 도형 특징정보 추출부(330)가 온도 산출부(320)에서 산출된 고로(1) 내부의 노드별 온도 예측값을 이용하여 내삽법에 의해 노드간의 온도 차이값을 산출한다(S400).
이후에, 서버(300)의 온도분포 가시화부(340)가 도형 특징정보 산출부(330)에서 산출된 노드간의 온도 차이값으로부터 고로(1) 내부의 온도분포를 2차원 또는 3차원상의 화면에 가시화한다(S500). 고로(1)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는 여러 가지의 방법이 있는데, 고로(1) 내부에서 철광석이 녹아 내려오는 연화융착대를 추정하여 가시화하는 방법, 고로(1)의 표면온도를 2차원 분포로 나타내어 열부하 구역을 가시화하는 방법, 열부하 구역의 시계열 변동 트렌드를 가시화하는 방법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3차원 온도분포화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수직단면 온도분포화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수평단면 온도분포화면이다.
도 5에서는 고로 내부의 표면온도를 최소 0 °에서 최대 1200°까지 3차원상의 화면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를 도 6에서와 같이 고로 높이방향의 수직단면상의 온도분포로 나타낼 수 있고, 도 7과 같이 고로의 가로방향의 수평온도단면을 살펴 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2차원 온도분포화면이다. 도 8에서는 고로 내부의 표면온도를 2차원상의 화면에 나타내었는데, 왼쪽 화면의 그리드(grid)를 클릭하면 오른쪽 화면에 런 차트(run chart)가 실행된다. 런 차트에서는 노벽 열부하가 심한 위치를 쉽게 알 수 있고, 열부하가 높게 나타난 지점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그 지점의 시계열 온도 그래프가 오른쪽에 나타난다.
도 9는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수직단면 온도분포 추정치와 측정치를 비교한 화면이다. 도 9에서는 노중심에서의 거리에 따른 풍구에서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는데, 철광석이 녹아내리는 연화융착대 1000~1300°C의 등온구역이“W”자형으로 동일한 형태로 나타난다. 고로 반경방향의 중간부 온도가 2가지 경우에 모두 동일하게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로 내부에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를 삽입하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3차원 온도분포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수직단면 온도분포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수평단면 온도분포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2차원 온도분포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고로 내부의 수직단면 온도분포 추정치와 측정치를 비교한 화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로 3 : 파이프
4, 6 : 가스 실링부 5 : 커터기
7 : 에어헨마 8 : 연결쇠
9 : 열전대 삽입길이 측정기 10 : 가이드 롤러
11 : 프로브 릴 12 : 구동모터
100 :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 200 : 데이터베이스
300 : 서버 310 : A/D 컨버터
320 : 온도 산출부 330 : 도형 특징정보 산출부
340 : 온도분포 가시화부

Claims (6)

  1. 고로 내부에 삽입되어 고로 내부의 다수의 노드에 대한 기전력을 측정하는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
    상기 고로에 구비되어 있는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가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가 상기 기전력을 측정하는 시점에 상기 기전력에 해당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 데이터와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가 측정한 데이터의 관계를 이용하여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을 도출하고, 이후에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하는 시점에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에 의해 측정된 그 시점의 데이터를 상기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에 대입한 후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하여 이를 가시화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다점식 수직온도 프로브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값의 기전력을 디지털값의 온도 측정치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상기 온도 측정치의 데이터와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가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을 도출하고, 이후에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하는 시점에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에 의해 측정된 그 시점의 데이터를 상기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에 대입한 후 고로 내부의 노드별 온도 예측값을 산출하는 온도 산출부;
    상기 산출된 고로 내부의 노드별 온도 예측값을 이용하여 노드간의 온도 차이값을 산출하는 도형 특징정보 산출부; 및
    상기 노드간의 온도 차이값으로부터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가시화하는 온도분포 가시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장치.
  3. 고로 내부의 다수의 노드에 대한 기전력을 측정하는 제1단계;
    상기 기전력에 해당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 데이터와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가 측정한 데이터의 관계를 이용하여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을 도출하는 제2단계;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하는 시점에 노벽 온도계, 노벽 압력계, 가스성분 분석기에 의해 측정된 그 시점의 데이터를 상기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에 대입한 후 고로 내부의 노드별 온도 예측값을 산출하는 제3단계;
    상기 산출된 고로 내부의 노드별 온도 예측값을 이용하여 노드간의 온도 차이값을 산출하는 제4단계; 및
    상기 노드간의 온도 차이값으로부터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가시화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회귀 온도예측식은 Ti = a1x1 + a2x2 + a3x3 + … + anxn + b
    Tj = a1x1 + a2x2 + a3x3 + … + anxn + b
    Tk = a1x1 + a2x2 + a3x3 + … + anxn + b
    (여기서, Ti : 고로의 높이방향 i번째 노드의 온도
    Tj : 고로의 반경방향 j번째 노드의 온도
    Tk : 고로의 원주방향 k번째 노드의 온도
    a1, a2, a3, … , an : 상관계수
    x1, x2, x3, … , xn : 고로의 노벽 온도, 노벽 압력, 노정가스 성분과 같은 독립변수
    b :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간의 온도 차이값은 내삽법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고로 내부에서 철광석이 녹아 내려오는 연화융착대를 추정하여 가시화하는 단계;
    상기 고로의 표면온도를 2차원 분포로 나타내어 열부하 구역을 가시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열부하 구역의 시계열 변동 트렌드를 가시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방법.
KR1020080110620A 2008-11-07 2008-11-07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032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620A KR101032531B1 (ko) 2008-11-07 2008-11-07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620A KR101032531B1 (ko) 2008-11-07 2008-11-07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448A KR20100051448A (ko) 2010-05-17
KR101032531B1 true KR101032531B1 (ko) 2011-05-04

Family

ID=4227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620A KR101032531B1 (ko) 2008-11-07 2008-11-07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5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7008B (zh) * 2021-10-12 2023-11-21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高炉渣皮脱落判断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0712A (ja) 1986-05-20 1987-11-25 Nippon Kokan Kk <Nkk> 高炉状況検出方法
JPH02259006A (ja) * 1989-03-31 1990-10-19 Nippon Steel Corp 高炉パターンデータの自動判定システム
KR0146785B1 (ko) * 1995-11-27 1998-11-02 김종진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고로 노황 이상 예측장치 및 방법
JP2002317217A (ja) 2001-04-17 2002-10-31 Nippon Steel Corp 高炉操業における操業監視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0712A (ja) 1986-05-20 1987-11-25 Nippon Kokan Kk <Nkk> 高炉状況検出方法
JPH02259006A (ja) * 1989-03-31 1990-10-19 Nippon Steel Corp 高炉パターンデータの自動判定システム
KR0146785B1 (ko) * 1995-11-27 1998-11-02 김종진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고로 노황 이상 예측장치 및 방법
JP2002317217A (ja) 2001-04-17 2002-10-31 Nippon Steel Corp 高炉操業における操業監視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448A (ko) 2010-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119264A (ja) 特に溶融金属用の冶金容器の耐火物ライニングの状態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CN110453034A (zh) 一种在线实时监测转炉炉衬侵蚀状态的装置及方法
US1093532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a refractory lining of a metallurgical vessel for molten metal in particular
JP7027536B2 (ja) 解析システム及び解析方法
CN101343676A (zh) 高炉炉腔温度在线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0604461B1 (ko) 고로의 조업 상태 감시 방법 및 장치
KR101032531B1 (ko) 고로 내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CN103322960A (zh) 一种回转窑结圈层厚度检测方法及装置
JP3532448B2 (ja) 伝熱管のクリープ余寿命評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8028421A (ja) 電気炉における電極長さ推定方法及び、その推定装置
CN115074471B (zh) 一种渣铁沟在线智能管控方法、装置、系统及介质
JP7016706B2 (ja) 設備監視装置、設備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48784B1 (ko) 대탕도 내화물 잔존 예측 시스템 및 방법
JP6468252B2 (ja) 操業異常推定方法および操業異常推定装置
JP3598824B2 (ja) 高炉の操業方法
JP5042878B2 (ja) 容器壁状態の管理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9133486A (ja) プラント操業状態予測システム、プラント操業状態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76563B2 (ja) 高炉炉下部状態診断方法
JP2003193120A (ja) 高炉操業における操業監視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S62257004A (ja) 高炉炉床壁侵食状況検知方法
KR101225431B1 (ko) 고로의 열보전대 위치 확인 방법
KR101175407B1 (ko) 열방출 지수를 이용한 고로 상부의 가스류 검지 방법
NZ71107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a refractory lining of a metallurgical vessel for molten metal in particular
JPS63206412A (ja) 高炉炉熱低下予測方法
JPH02294419A (ja) 高炉炉熱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