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832B1 - 후렉시블 덕트 - Google Patents

후렉시블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832B1
KR101031832B1 KR1020100032771A KR20100032771A KR101031832B1 KR 101031832 B1 KR101031832 B1 KR 101031832B1 KR 1020100032771 A KR1020100032771 A KR 1020100032771A KR 20100032771 A KR20100032771 A KR 20100032771A KR 101031832 B1 KR101031832 B1 KR 101031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flexible duct
hollow
layer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환
Original Assignee
윤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환 filed Critical 윤성환
Priority to KR102010003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10)와 피복층(30) 사이에 중공형 실(21a)로 직조된 중공사 직조 시트[21; 단열층(20)]를 합체시켜 유리솜이나 폴리에스터 솜보다 훨씬 더 얇으면서도 보온, 방음, 단열, 견고성 및 작업성 등을 월등하게 할 수 있는 후렉시블 덕트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후렉시블 덕트{FLEXIBLE DUCT}
본 발명은 후렉시블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스와 피복층 사이에 중공형 실로 직조된 중공사 직조 시트를 합체시켜 보온, 방음, 단열, 견고성 및 작업성 등을 월등하게 할 수 있는 후렉시블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는 빌딩, 공장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건물에서는 보일러나 온풍로(溫風爐) 등으로 증기·온수 또는 더운 바람을 만들어, 이것을 배관이나 덕트를 통해 여러 방에 분배하는 난방 방식인 중앙난방식(central heating)이 주로 사용된다.
이 방식에는 실내에 방열체(放熱體)를 설치하고, 이것에 증기나 온수를 보내어 실내의 공기를 직접 따뜻하게 하는 직접난방과 더운 바람을 실내에 보내어 실내의 온도를 목표값으로 유지시키는 간접난방이 있다.
그리고, 렌지후드, 보일러 연도용 및 기름·가스 보일러 배기용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덕트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덕트는 공기가 흐르는 경우에는 풍도(風道)라고도 하는데, 단면이 직사각형이나 원형으로 된 것이 많이 사용되지만 때로는 타원형으로 된 것도 있으며 덕트 속을 흐르는 공기의 온도가 그 주위의 온도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열의 이동을 막고자 할 때는 둘레에 단열재(斷熱材) 등을 감기도 한다.
도 1은 제 1 선출원(10-2001-0016787)에 따른 단열처리된 메탈 후렉시블 덕트 호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선출원에 따른 단열처리된 메탈 후렉시블 덕트 호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선출원은 메탈 후렉시블 덕트 호스(1)의 외주연에 단열재(10)를 일체로 형성하되 단열재(10)의 외주연에는 알루미늄 시트(21)로 된 단열시트(20)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단열재(10)는 단열성이 우수하고 고온에 잘 견디고 흡수성이 없고 흡습성이 적으며 내구성이 뛰어나 부식하지 않고 신장률이 적은 유리섬유로 제조한 단섬유인 글라스울단열재를 사용한다. 단열시트(20)는 99.9%의 알루미늄 박판으로 형성된 알루미늄 시트(21)를 사용한다. 알루미늄 시트(21)를 겹친 상태의 관형상으로 제조한 단열시트(20)에 단열재(10)와 메탈 후렉시블 덕트 호스(1)을 압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 시트(21)는 열의 차단용으로서 건축물의 천정 ·벽 등에 넣거나 광열의 반사용으로 판에 붙여서 사용하는데, 은백색으로 열을 저장하지 않고 대부분의 복사열을 반사시켜 외기의 복사열을 차단하여 단열효과를 상승시킨다. 그런데, 제 1 선출원에 따른 단열처리된 메탈 후렉시블 덕트 호스는 단열재(10)로서 유리섬유로 제조한 단섬유인 글라스울단열재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피가 커 설치공간의 점유율이 크고, 이로 한하여 제조시에도 작업공간을 크게 차지하며, 특히 보관 및 운반 그리고 운송시 적재 효율을 극대화시키지 못하고, 나아가 견고성이 떨어져 외부의 날카로운 모서리 등에 쉽게 찢겨지는 단점을 안고 있다. 도 3은 제 2 선출원(20-2006-0021763)에 따른 냉난방용 플렉시블 덕트 호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냉난방용 플렉시블 덕트 호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2 선출원에 따른 냉난방용 플렉시블 덕트 호스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 플렉시블 덕트 호스(50)를 형성하고, 플렉시블 덕트 호스(50)의 외주연 둘레에 단열재층(60)을 형성한다. 단열재층(60)을 형성하는 것은 플렉시블 덕트 호스(50)의 내부로 통과되는 냉난방기 냉기 또는 열기가 외부의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막아서 냉기 및 열기 온도를 외부로 빼앗기는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며, 이 단열재층(60)은 폴리에스터(polyester) 솜으로 형성하여 두께층을 형성한다. 단열재층(60)의 외주연 둘레에는 피복층(70)을 형성하고, 이 피복층(70)은 알루미늄재의 호일로 형성된다. 그런데, 제 2 선출원에 따른 냉난방용 플렉시블 덕트 호스 역시 단열재층(60)으로서 폴리에스터 솜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피가 커 설치공간의 점유율이 크고, 이로 한하여 제조시에도 작업공간을 크게 차지하며, 특히 보관 및 운반 그리고 운송시 적재 효율을 극대화시키지 못하고, 나아가 견고성이 떨어져 외부의 날카로운 모서리 등에 쉽게 찢겨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와 피복층 사이에 중공형 실로 직조된 중공사 직조 시트(단열층)를 합체시켜 유리솜이나 폴리에스터 솜보다 훨씬 더 얇으면서도 보온, 방음, 단열, 견고성 및 작업성 등을 월등하게 할 수 있는 후렉시블 덕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기 및 배기의 통로가 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을 감싸는 피복층을 포함하는 후렉시블 덕트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중공형 실로 직조된 중공사 직조 시트인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스와 피복층 사이에 중공형 실로 직조된 중공사 직조 시트(단열층)를 합체시켜 유리솜이나 폴리에스터 솜보다 훨씬 더 얇으면서도 보온, 방음, 단열, 견고성 및 작업성 등을 월등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활용되는 중공형 실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PET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으로 중공을 지닌 것으로 직조될 경우 서로 얽히고 설키면서 제 1 선출원의 유리솜이나 제 2 선출원의 폴리에스터 솜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얇게 중공사 직조 시트를 완성하여 자체의 중공과 중공형 실 상호간의 틈새에 의해 다공성의 공기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피복층과 호스 사이에서 보온 및 방음의 밀폐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직조에 의한 질긴 성질로서 외부의 날카로운 모서리 등에 닿더라도 쉽게 찢겨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PE 필름과 알루미늄 포일의 합지 또는 PE 필름, 알루미늄 포일 및 PET 필름의 합지로서 외부로부터의 냉기나 열기를 반사 차단할 수 있으면서 외부로부터 중공사 직조 시트에 침착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기생충의 번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 선출원(10-2001-0016787)에 따른 단열처리된 메탈 후렉시블 덕트 호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제 1 선출원에 따른 단열처리된 메탈 후렉시블 덕트 호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제 2 선출원(20-2006-0021763)에 따른 냉난방용 플렉시블 덕트 호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냉난방용 플렉시블 덕트 호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렉시블 덕트를 나타내는 요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후렉시블 덕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후렉시블 덕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후렉시블 덕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렉시블 덕트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 및 배기의 통로가 되는 호스(10)와, 이 호스(10)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단열층(20), 그리고 단열층(20)을 감싸는 피복층(30)을 포함한다.
호스(10)는 냉기 또는 열기를 급기 또는 배기하기 위한 통로가 되고, 단열층(20)은 외부로부터 호스(10)의 냉기 또는 열기를 단열시키며, 피복층(30)은 단열층(2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후렉시블 덕트에 적용된 단열층(20)은 중공형 실(21a)로 직조된 중공사 직조 시트(21)인 것을 그 핵심 구성으로 한다.
중공형 실(21a)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PET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으로 중공(21b)을 지닌 것으로 직조될 경우 서로 얽히고 설키면서 제 1 선출원의 유리솜이나 제 2 선출원의 폴리에스터 솜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얇게 중공사 직조 시트(21)를 완성하여 자체의 중공(21b)과 중공형 실(21a) 상호간의 틈새(22)에 의해 다공성의 공기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피복층(30)과 호스(10) 사이에서 보온 및 방음의 밀폐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직조에 의한 질긴 성질로서 외부의 날카로운 모서리 등에 닿더라도 쉽게 찢겨지지 않는 작용을 하게 된다.
특히, 제 1 선출원의 유리솜이나 제 2 선출원의 폴리에스터 솜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얇게 완성되는 중공사 직조 시트(21)에 의해 공간 점유율을 크게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제작 공간, 보관 공간 및 물류 비용 등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후렉시블 덕트에 적용된 피복층(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사 직조 시트(21) 위에 씌워지는 PE 필름(31)과, 이 PE 필름(31)에 접착되는 알루미늄 포일(32)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후렉시블 덕트에 적용된 피복층(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사 직조 시트(21) 위에 씌워지는 PE 필름(31)과, PE 필름(31)에 접착되는 알루미늄 포일(32)과, 알루미늄 포일(32)에 접착되는 PET 필름(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E 필름(31)과 알루미늄 포일(32)의 합지 또는 PE 필름(31), 알루미늄 포일(32) 및 PET 필름(33)의 합지로서 외부로부터의 냉기나 열기를 반사 차단할 수 있으면서 외부로부터 중공사 직조 시트(21)에 침착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기생충의 번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은 냉기 또는 열기를 급기 또는 배기하기 위한 통로로 활용되는 건축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호스 20 : 단열층
21 : 중공사 직조 시트 21a : 중공형 실
21b : 중공 22 : 틈새
30 : 피복층 31 : PE 필름
32 : 알루미늄 포일 33 : PET 필름

Claims (5)

  1. 급기 및 배기의 통로가 되는 호스(10)와, 상기 호스(10)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단열층(20)과, 상기 단열층(20)을 감싸는 피복층(30)을 포함하는 후렉시블 덕트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20)은 중공형 실(21a)로 직조된 중공사 직조 시트(21)이고,
    상기 피복층(30)은 상기 중공사 직조 시트(21) 위에 씌워지는 PE 필름(31)과, 상기 PE 필름(31)에 접착되는 알루미늄 포일(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렉시블 덕트.
  2. 급기 및 배기의 통로가 되는 호스(10)와, 상기 호스(10)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단열층(20)과, 상기 단열층(20)을 감싸는 피복층(30)을 포함하는 후렉시블 덕트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20)은 중공형 실(21a)로 직조된 중공사 직조 시트(21)이고,
    상기 피복층(30)은 상기 중공사 직조 시트(21) 위에 씌워지는 PE 필름(31)과, 상기 PE 필름(31)에 접착되는 알루미늄 포일(32)과, 상기 알루미늄 포일(32)에 접착되는 PET 필름(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렉시블 덕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 직조 시트(21)는 상기 중공형 실(21a)의 직조에 의해 서로 얽히고 설키면서 자체의 중공(21b)과 상기 중공형 실(21a) 상호간의 틈새(22)에 의해 다공성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피복층(30)과 호스(10) 사이에서 보온 및 방음의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렉시블 덕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실(21a)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PET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렉시블 덕트.
  5. 삭제
KR1020100032771A 2010-04-09 2010-04-09 후렉시블 덕트 KR101031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771A KR101031832B1 (ko) 2010-04-09 2010-04-09 후렉시블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771A KR101031832B1 (ko) 2010-04-09 2010-04-09 후렉시블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832B1 true KR101031832B1 (ko) 2011-05-02

Family

ID=4436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771A KR101031832B1 (ko) 2010-04-09 2010-04-09 후렉시블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088A (ko) 2013-11-11 2015-05-20 윤성환 후렉시블 덕트용 외피 압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246A (ko) * 2003-03-21 2004-10-01 김재상 후렉시블 닥트 호스
JP2009191972A (ja) * 2008-02-15 2009-08-27 Yokoi Seisakusho:Kk 消防用ホー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246A (ko) * 2003-03-21 2004-10-01 김재상 후렉시블 닥트 호스
JP2009191972A (ja) * 2008-02-15 2009-08-27 Yokoi Seisakusho:Kk 消防用ホー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088A (ko) 2013-11-11 2015-05-20 윤성환 후렉시블 덕트용 외피 압축장치
KR101657213B1 (ko) 2013-11-11 2016-09-19 윤성환 후렉시블 덕트용 외피 압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8826A1 (en) Fire resistant wall insulation
CN105240653A (zh) 一种耐超高温可拆卸式保温套
KR101031832B1 (ko) 후렉시블 덕트
JP6912202B2 (ja) ダクト
KR101949228B1 (ko) 덕트용 보온 단열재
CN204296134U (zh) 一种由复合板制作的空调送风管
KR101245821B1 (ko) 보온용 알루미늄 호일 후렉시블 덕트 호스
US20050092384A1 (en) Semi-flexible air duct
JP4956641B2 (ja) 流体移送用断熱管
CN212107250U (zh) 防火复合风管及其组成的排烟管道
CN100441995C (zh) 在炉外壳安装保温盒以减少工业炉炉壳热损失的方法
JP2006249769A (ja) 住宅の断熱・防湿・熱反射構造
JP4560010B2 (ja) 建築物用断熱パネル
JP2000097389A (ja) 断熱材及びこれを装着した断熱排気筒又は断熱二重管
KR20020076714A (ko) 단열처리된 메탈 후렉시블 덕트 호스
KR200431139Y1 (ko) 냉난방용 플렉시블 덕트 호스.
KR200346598Y1 (ko) 플렉시블 덕트 호스
JP2009287906A (ja) 換気用ダクト
KR101592387B1 (ko) 천정에 설치하는 보일러 및 실외기실
GR1004701B (el) Ευκαμπτος αεραγωγος με εσωτερικη μονωση αφρωδους πολυαιθυλενιου
CN213014737U (zh) 装配式建筑保温结构装置
JP7465844B2 (ja) 断熱カバー構造
JP2009097596A (ja) 熱封じ込め構造
JP2012167887A (ja) 熱交換ダクト
JP2006317072A (ja) 蓄熱式床下暖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