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827B1 -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827B1
KR101030827B1 KR1020080138514A KR20080138514A KR101030827B1 KR 101030827 B1 KR101030827 B1 KR 101030827B1 KR 1020080138514 A KR1020080138514 A KR 1020080138514A KR 20080138514 A KR20080138514 A KR 20080138514A KR 101030827 B1 KR101030827 B1 KR 101030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bearer
mobile terminal
subflows
cal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9917A (ko
Inventor
최종윤
이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38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8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호 설정 요청 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지원되는 무선 베어러 방식을 참조하여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는 수신된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참조하여 영상호 구성을 요청한 단말기가 상기 영상호와 음성호간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 베어러 설정부 및 상기 설정 정보가 포함된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영상호는 SCUDIF 호(Service Change & Unrestricted Digital Information Fallback Call)를 포함한다.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SCUDIF(Service Change & Unrestricted Digital Information Fallback)

Description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adio bearer}
본 발명은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호 설정 요청 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지원되는 무선 베어러 방식을 참조하여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시스템 표준의 진화 개념을 Release라는 표현을 빌어 사용하고 있는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그대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 옮겨 호환성을 유지한 Release 99(R99) 또는 Release 3(R3), VoIP를 지원하는 Release 4(R4) 및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MS(IP Multimedia Subsystem) 등 IP 기반의 멀티미디어 패킷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Release 5(R5) 등이 그것이다.
3GPP R99의 3G.324와 같은 이전의 3GPP 프로토콜에서는 단지 음성 통화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만이 사용 가능하였다. 따 라서,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 간에 일시적인 전환을 원하는 사용자는 통화를 종료하고 서비스를 전환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SCUDIF(Service Change & Unrestricted Digital Information Fallback)가 3GPP의 R5와 같은 3GPP 프로토콜에 통합되었다.
SCUDIF는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들 간에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통화 서비스 전환이 가능하도록 할뿐만 아니라, 음성 통화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이 있는 경우에는 지원하는 서비스로 대체되도록 한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별로 음성호 및 영상호를 위한 무선 베어러의 개수가 상이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음성호와 영상호간의 통화 서비스 전환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지원하는 무선 베어러 성능을 참조하여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영상호 설정 요청 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지원되는 무선 베어러 방식을 참조하여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는 수신된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참조하여 영상호 구성을 요청한 단말기가 상기 영상호와 음성호간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 베어러 설정부 및 상기 설정 정보가 포함된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영상호는 SCUDIF 호(Service Change & Unrestricted Digital Information Fallback Call)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베어러 관리 방법은 수신된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참조하여 영상호 구성을 요청한 단말기가 상기 영상호와 음성호간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가 포함된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영상호는 SCUDIF 호(Service Change & Unrestricted Digital Information Fallback Call)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베어러 관리 시스템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호 설정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가 영상호와 음성호간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 무선망 제어기를 포함하는데, 상기 영상호는 SCUDIF 호(Service Change & Unrestricted Digital Information Fallback Call)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영상호 설정 요청 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지원되는 무선 베어러 방식을 참조하여 무선 베어러를 설정함으로써, 통화 서비스 전환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3GPP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개발 버전에 따라 R3, R4 및 R5 등이 존재하는데, R5를 포함한 그 이후의 버전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SCUDIF(Service Change & Unrestricted Digital Information Fallback)가 3GPP 프로토콜에 통합됨에 따라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영상 통화 서비스)간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지만, R3 및 R4와 같은 R5 이전 버전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간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지 않는다.
R5 이전 버전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음성호에는 3개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가 할당되지만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영상호에는 1개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가 할당된다.
이에 따라, 음성 통화 서비스를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로 통화 서비스 전환하기 위해서는 3개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를 1개로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무선 베어러를 재설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R5 및 이후 버전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통화 서비스의 종류별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가 상이함에 따른 무선 베어러 재설정 과정을 방지하기 위하여, 3개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를 영상호에 할당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등장하였다.
이에 따라,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지 않으면서 음성호 및 영상호 각각에 3개 및 1개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가 할당된 R5 이전의 이동 통신 단말기,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면서 음성호 및 영상호 각각에 3개 및 1개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가 할당된 R5 및 이후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면서 음성호 및 영상호 각각에 3개 및 3개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가 할당된 R5 및 이후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공존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무선 베어러 성능을 고려하여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베어러 관리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한 통화 서비스 전환 지원 여부를 판단하여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데, 도 1은 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착신 단말기와의 영상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발신 단말기(100)가 영상호 설정 메시지를 송신하면(S110),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영상호 설정 메시지를 참조하여 발신 단말기(100)가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0).
그리고,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확인 결과가 포함된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무선망 제어기(220)로 송신한다(S130).
이에 따라, 무선망 제어기(220)는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설정하는데(S140), 즉 발신 단말기(100)가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 경우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3으로 설정하고, 발신 단말기(100)가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1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무선망 제어기(220)가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에 명시하여 발신 단말기(100)로 송신하면(S150), 발신 단말기(100) 는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에 명시된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가 자신이 지원하는 개수인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가 포함된 무선 베어러 응답 메시지를 무선망 제어기(220)로 송신한다(S160).
한편,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 발신 단말기(100)는 영상호를 위하여 1개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를 할당하는 것과 3개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를 할당하는 것으로 구분되는데, 1개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를 할당하는 발신 단말기(100)는 무선 베어러 설정이 실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무선 베어러 설정을 실패한 발신 단말기(100)는 무선 베어러 설정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무선 베어러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하는데(S160), 이를 수신한 무선망 제어기(220)는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1로 재설정한다(S170). 즉, 발신 단말기(100)에 의하여 지원되는 영상호를 위한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가 1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무선망 제어기(220)는 재설정된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가 명시된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18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발신 단말기(100)의 무선 베어러 성능에 따른 무선 베어러 설정이 완료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베어러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무선 베어러 관리 시스템(200)의 이동 통신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200)의 이동 통신망은 다른 유형의 이동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무선 베어러 관리 시스템(200)은 기지국(210), 무선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220) 및 이동 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100)는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이동 통신 장치일 수 있는데, 단말기(100)는 단말기 식별자를 보유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해당 단말기(100)를 식별해주는 고유한 값으로서, 단말기(100)가 생산될 때 단말기 제조업체나 공인된 기관에 의해 단말기별로 할당될 수 있다.
단말기(100)에는 가입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 카드가 연결될 수 있다. 가입자 식별자는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고유한 정보로서, 그 일 예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들 수 있다. 또한, 정보 카드는 소정의 인증 함수를 이용하여 인증값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인증값은 이동 통신망에서 가입자를 인증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정보 카드는 단말기(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고, 가입자가 임의로 단말기(100)로부터 정보 카드를 분리하지 못하도록 단말기(100)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정보 카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소정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카 드의 예로써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들 수 있다.
기지국(210)은 단말기(100)의 일차 접속 지점으로서, 단말기(10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기지국(210)은 안테나와 송수신 모뎀으로 구성된 무선 모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00)로부터 기지국 방향의 통신 채널을 상향 채널이라 하고, 기지국(210)으로부터 단말기(100) 방향의 통신 채널을 하향 채널이라 한다.
무선망 제어기(220)는 기지국(210)을 제어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망 제어기(220)는 단말기(100)에 대한 통신 채널의 할당을 기지국(210)에게 지시하고, 기지국(210)의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망 제어기(220)는 자신이 관리하는 기지국들간을 이동하는 단말기(100)에 대한 핸드오버(hand over)를 지원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하나 이상의 무선망 제어기(220)와 연결되어, 단말기(100)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착신 단말기와의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발신 단말기(100)는 호 설정을 위한 호 설정 메시지(SETUP 메시지)를 이동 통신 교환기(230)로 송신한다. 호 설정 메시지에는 발신 단말기(100)가 요청하는 서비스의 종류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 또는 음성 통화 서비스가 명시되어 있다.
또한, 단말기(100)가 SCUDIF를 지원하는 경우 호 설정 메시지에는 RI(Repeat Indicator), MM(MultiMedia) 및 SP(Speech)와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RI는 SCUDIF 기능이 지원됨을 나타내고, MM은 영상 통화와 같은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나타내며, SP는 음성 통화 서비스를 나타낸다.
즉, 단말기(100)가 SCUDIF를 지원하는 경우 호 설정 메시지에는 SCUDIF 기능이 지원됨을 나타내는 RI와 함께 MM 및 SP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만, 단말기(100)가 SCUDIF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호 설정 메시지에는 SCUDIF 기능이 지원됨을 나타내는 RI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MM 및 SP 중 지원하지 않는 것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해당 단말기(100)가 SCUDIF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Radio Access Bearer assignment request message)를 생성한다. 즉,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단말기(100)가 SCUDIF를 지원하는 경우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SDU Format Information Parameter IE를 기 지정된 값으로 설정하여 삽입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무선망 제어기(220)는 기지국(210)에게 Radio Link Setup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여 무선 링크를 설정하도록 지시하고, 기지국(210)은 무선 링크 설정 후 무선망 제어기(220)에게 Radio Link Setup 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하여 무선 링크가 설정되었음을 통지한다.
무선망 제어기(220)는 기지국(210)을 경유하여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설정한 후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Radio Bearer Setup Message)를 단말 기(100)로 송신하여 무선 베어러 설정을 지시한다.
이에, 단말기(100)는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고, 기지국(210)을 경유하여 무선망 제어기(220)에게 무선 베어러 응답 메시지(Radio Bearer Setup Complete Message)를 송신하여 무선 베어러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에 명시된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단말기(100)는 무선 베어러 응답 메시지에 무선 베어러 설정이 실패하였음을 명시하여 무선망 제어기(220)로 송신한다.
이는 단말기(100)가 SCUDIF를 지원하기는 하지만 영상호를 위하여 할당하는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가 1인 경우를 의미하는데, 이에 따라 무선망 제어기(220)는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1로 재설정하여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단말기(100)와의 무선 베어러 설정이 완료되면 그 결과가 이동 통신 교환기(230) 또는 무선망 제어기(22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이동 통신 교환기(230) 또는 무선망 제어기(220)는 특정 단말기가 지원하는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저장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차후에 단말기로부터 영상호 설정을 요청받게 되면, 무선망 제어기(220)는 기 저장된 단말기 정보 또는 이동 통신 교환기(230)로부터 수신된 단말기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통신 교환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판단부(330) 및 메시지 생성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영상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31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판단부(330)는 수신된 영상호 설정 메시지를 참조하여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기가 SCUDIF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영상호 설정 메시지에 RI, MM 및 SP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SCUDIF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메시지 생성부(340)는 판단부(330)의 판단 결과에 따른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해당 단말기가 SCUDIF를 지원하는 경우 SDU Format Information Parameter IE를 기 지정된 값으로 설정하여 삽입함으로써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저장부(320)는 단말기별 영상호를 위한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각종 메시지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교환기(230)에 저장부(320)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판단부(330)는 영상호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기 전에 저장부(320)에 저장된 정보 중 현재 영상호를 요청한 단말기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저장부(320)에 단말기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판단부(330)는 SDU Format Information Parameter IE가 기 지정된 값으로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명시되도록 메시지 생성부(340)로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320)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저장부(320)에 단말기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판단부(330)는 수신된 영상호 설정 메시지만을 참조하여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선망 제어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무선망 제어기(220)는 통신부(410), 저장부(420), 제어부(430), 베어러 설정부(440) 및 메시지 생성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430)는 이동 통신 교환기(230)로부터 수신된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참조하여 영상호 구성을 요청한 단말기가 영상호와 음성호간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430)는 해당 단말기가 SCUDIF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430)는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SDU Format Information Parameter IE가 기 지정된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참조할 수 있다. 즉, 제어부(430)는 SDU Format Information Parameter IE가 기 지정된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기가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말기가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베어러 설정부(440)는 판단부(4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단말기와의 무선 베 어러를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단말기가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3으로 설정하고, 단말기가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1로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베어러 설정부(440)는 송신된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무선 베어러 응답 메시지를 참조하여 무선 베어러를 재설정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설정이 실패한 경우 베어러 설정부(440)는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1로 재설정하는 것이다.
이동 통신 교환기(230)의 저장부(320)와 마찬가지로 저장부(420)는 단말기별 영상호를 위한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통신부(410)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각종 메시지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망 제어기(220)에 저장부(420)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430)는 수신된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기 전에 저장부(420)에 저장된 정보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저장부(420)에 단말기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430)는 해당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베어러 설정부(440)로 전달하여 해당 개수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저장부(420)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저장부(420)에 단말기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어부(430)는 수신된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만을 참조하여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확인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저장부(420)는 이동 통신 교환기(230) 및 무선망 제어기(220) 중 하나 또는 모두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베어러 설정부(440)는 기 저장되거나 수신된 단말기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참조하여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통신부(410)는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 및 무선 베어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41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한 서비스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영상호를 요청하는 단말기가 영상호 설정 메시지를 송신하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이를 수신하게 되는데(S510),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영상호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RI, MM 및 SP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참조하여 해당 단말기가 SCUDIF 지원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20).
그리하여, 해당 단말기가 R5 및 그 이후의 단말기와 같이 SCUDIF를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SDU Format Information Parameter IE를 기 지정된 값으로 설정한 후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삽입하여(S530) 무선망 제어기(220)로 송신한다(S540).
한편, 해당 단말기가 SCUDIF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이동 통 신 교환기(230)는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설정 즉, SDU Format Information Parameter IE를 어떠한 값으로도 설정하지 않은 채로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삽입하여 송신할 수 있다(S54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베어러 관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동 통신 교환기(230)로부터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S610), 무선망 제어기(220)는 수신된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SDU Format Information Parameter IE가 기 지정된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단말기가 SCUDIF 지원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620).
그리하여, 해당 단말기가 SCUDIF 지원 단말기인 경우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3으로 설정하고(S630) 이를 포함한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를 단말기로 송신한다(S640).
그리고,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베어러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데(S650), 무선망 제어기(220)는 이를 참조하여 해당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설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S660).
한편, 해당 단말기가 SCUDIF 지원 단말기가 아닌 경우 무선망 제어기(220)는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1로 설정한 후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해당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설정은 실패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단말기가 SCUDIF 지원 단말기이면서 영상호에서 지원하는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가 1인 경우, 송신되는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에는 3의 개수를 갖는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가 명시되어 있으므로,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설정이 실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확인에 따라 무선 베어러 설정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무선망 제어기(220)는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1로 재설정하여(S670)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680).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베어러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통신 교환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선망 제어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한 서비스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베어러 관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410 : 통신부 420 : 저장부
430 : 제어부 440 : 베어러 설정부
450 : 메시지 생성부

Claims (17)

  1.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된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참조하여 영상호 구성을 요청한 이동 단말기가 영상호와 음성호간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 개수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응되도록 설정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설정이 실패한 경우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 개수를 재설정하는 베어러 설정부; 및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호는 SCUDIF 호(Service Change & Unrestricted Digital Information Fallback Call)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설정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3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1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설정부는, 상기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설정이 실패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1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SDU Format Information Parameter IE가 기 지정된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설정부는, 이미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 수신한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7. 이동 단말기에 대한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에 따라 해당 이동 단말기가 영상호와 음성호간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 개수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응되도록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설정이 실패한 경우, 상기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 개수를 재설정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호는 SCUDIF 호(Service Change & Unrestricted Digital Information Fallback Call)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3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1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3으로 설정한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설정이 실패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1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SDU Format Information Parameter IE가 기 지정된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 개수는 이미 저장되거나 수신된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참조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방법.
  13.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호 설정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영상호와 음성호간의 통화 서비스 전환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로 송신하는 이동통신 교환기; 및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SCDIF (Service Change & Unrestricted Digital Information Fallback) 지원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 개수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응되도록 설정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설정이 실패한 경우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 개수를 재설정하는 무선망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 제어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SCDIF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3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SCDIF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1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 제어기는 상기 SCDIF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설정이 실패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베어러 서브플로우의 개수를 1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 제어기는,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SDU Format Information Parameter IE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SCDIF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베어러 관리 시스템.
  17. 삭제
KR1020080138514A 2008-12-31 2008-12-31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030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514A KR101030827B1 (ko) 2008-12-31 2008-12-31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514A KR101030827B1 (ko) 2008-12-31 2008-12-31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917A KR20100079917A (ko) 2010-07-08
KR101030827B1 true KR101030827B1 (ko) 2011-04-22

Family

ID=4264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514A KR101030827B1 (ko) 2008-12-31 2008-12-31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8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3143A (ko) * 2005-01-31 2007-09-17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음성/멀티미디어 모드 전환 기술
KR20070110894A (ko) * 2005-02-28 2007-11-20 노키아 코포레이션 음성에서 멀티미디어로의 네트워크 개시 서비스 변경
US20080152115A1 (en) 2005-02-10 2008-06-26 Thomas Belling Signaling of a Change from a First Service to a Second Service During a Call
KR20080095432A (ko) * 2007-04-24 2008-10-2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영상 호 및 음성 호의 상호 전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3143A (ko) * 2005-01-31 2007-09-17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음성/멀티미디어 모드 전환 기술
US20080152115A1 (en) 2005-02-10 2008-06-26 Thomas Belling Signaling of a Change from a First Service to a Second Service During a Call
KR20070110894A (ko) * 2005-02-28 2007-11-20 노키아 코포레이션 음성에서 멀티미디어로의 네트워크 개시 서비스 변경
KR20080095432A (ko) * 2007-04-24 2008-10-2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영상 호 및 음성 호의 상호 전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917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3920B1 (en) Technique for setting up calls in mobile network
KR100663436B1 (ko) 네트워크 공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선택한 코어 네트워크오퍼레이터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통지하는 방법 및장치
JP5102229B2 (ja) 無線急報プライオリティユーザへ通信リソー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50128956A1 (en) Packet data services using version and capability Information
JP2006522549A (ja) 無効な加入者識別番号を有する無線装置に対するパケットデータ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緊急セッションの確立
US90141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sition of a 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 resource
KR20080058372A (ko) 이동 장비 식별자의 효율적인 공유
KR101030827B1 (ko) 무선 베어러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06025836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ervice priority in radio communication network,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ntrol apparatus, terminal unit, and core network
WO2007117825A2 (en) Method for routing call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754648B1 (ko)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 사이의 핸드 오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40384B1 (ko) 메시지 포맷을 지시하는 제 1프로토콜 리비젼 필드 및 표준리비젼에서 필수 특징을 지시하는 제 2 프로토콜 리비젼필드를 가진 메시지
US20050237990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CN113873454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NO338303B1 (no) Tjenestekvalitetsprofilbehandling i et mobiltelekommunikasjonssystem
KR100806210B1 (ko) 무선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할당된 ppp 자원의해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23971A (ko)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KR100969286B1 (ko) 영상 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50119706A (ko) Wcdma망에서 hsdpa의 성능을 최대로 활용하기위한 전용 fa 사용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32243A (ko) 1X 시스템과 1xEV-DO 시스템간의 페이징 터널링을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624693B1 (ko)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패킷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67114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meid 적용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2679B1 (ko) 비정형 부가 서비스 데이터를 이용한 텔레매틱스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54452B1 (ko) Cdma 2000 1x 비인가 무선 접속 서비스의 cdma서비스 설정/해제 방법 및 시스템
KR100937046B1 (ko)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과 3세대 이동 통신망 간의로밍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