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750B1 - 하상 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 - Google Patents

하상 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750B1
KR101029750B1 KR1020110002399A KR20110002399A KR101029750B1 KR 101029750 B1 KR101029750 B1 KR 101029750B1 KR 1020110002399 A KR1020110002399 A KR 1020110002399A KR 20110002399 A KR20110002399 A KR 20110002399A KR 101029750 B1 KR101029750 B1 KR 101029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river
groundwater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0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하상 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상 하부에 설치되어 대수층을 통해 자연여과된 하천수를 끌어들이는 하나 이상의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에 연결되어 여과수를 저장하는 집수정 및; 상기 집수정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하수를 배수하는 하나 이상의 청소배수관을 포함한 하상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상 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은 통상의 하상 여과 시스템에서 문제되는 지하수에 포함된 철과 망간의 유입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철과 망간의 후처리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양질의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강변/하상여과공법의 보급에 기여한다.

Description

하상 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RIVERBED FILTRATION SYSTEM AND RIVERBED FILTRATION METHOD}
본 발명은 하상 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상 하부에 설치되어 대수층을 통해 자연여과된 하천수를 끌어들이는 하나 이상의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에 연결되어 여과수를 저장하는 집수정 및; 상기 집수정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하수를 배수하는 하나 이상의 청소배수관을 포함한 하상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양질의 상수원수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하천에서 일정한 거리에 우물을 설치하여 대수층을 통과하는 동안에 정화된 여과수를 양수하여 얻는 방안이 강변여과 또는 하상여과이다.
강변여과는 산업혁명으로 수질이 나빠지자 유럽에서 도입되어 150년 이상 사용되어 온 공법이다(Schubert, Experience with bank filtration for the public water supply in Dusseldorf, Germany, 영남대학교 개교 50주년 기념 국제환경심포지엄, 경주 교육문화회관, 1997년 5월 16-17일). 강변여과수는 여과된 하천수와 자연지하수의 혼합체이며, 하천에서 멀수록 여과하천수의 유입유량이 감소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자연지하수의 양은 우물의 위치와는 상관이 없고 기후(강수량과 연중 강수분포)와 지형 및 지층의 영향(토양의 투수계수, 식생 등 침투율에 영향을 주는 요소, 유역의 크기)만 받는다. 유럽의 경우 강수가 연중 골고루 분포되어 내리고, 토양이 빙적층이어서 투수계수가 크므로 지하수 함양율이 크다. 또한, 지형이 구릉지로 되어 있어서 유역면적이 크므로 지하수량이 많은 특징을 가진다. 더욱이 강수가 연중 골고루 분포됨으로써 토양중에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어 토양이 호기상태로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빗물은 산소로 포화되어 있어 땅속에 산소를 공급하는 원천이고, 빗물이 땅속에 스며드는 동안에는 땅속의 공기가 배출되고, 비가 그치면 토양수가 지하 깊은 곳으로 내려감에 따라 대기중의 산소가 다시 땅속으로 유입되어 갯벌에서 호흡이 일어나는 것과 같은 원리로 대수층의 호흡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작으로 인해 유럽의 경우 자연지하수의 수질이 매우 좋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강에서 상당한 거리에 강변여과정을 설치하여 하천수 유입율이 작더라도 자연지하수가 풍부하므로 많은 양의 양질의 강변여과수를 얻을 수 있다. 독일의 경우 강변여과수에 혼입되는 자연지하수의 비율이 약 40% 정도라 한다(Lindner, Modeling bank filtration and research on drinking water relevant substances,영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주최 제21차 국제환경문제 심포지엄, 영남대학교 국제관, 1999년 5월 26일). 그러나 우리나라에 유럽식 강변여과를 설치하는 경우 상당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유럽식 강변여과인 창원시 대산면 강변여과정의 경우 여과수에 함유된 철의 농도가 4-6mg/L까지 나오고 있으며(음용수 허용기준 0.3mg/L), 망간도 1.2-2.2mg/L에 이르러서(음용수 허용기준 0.03mg/L) 이를 처리하기 위한 폭기조, 모래여과조 등을 운영하고 있고, 여기에 많은 시설비와 유지비가 소요되고 슬러지도 많이 발생하고 있어 강변여과의 보급에 어려움이 되고 있다.
한편, 하상여과는 강변여과의 일종으로 하상 하부에 취수관을 두어 대수층을 통과한 여과수를 취수정(또는 취수호)에 집수하는 방식이며, 하천과 우물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투수계수가 작은 지층에서도 충분한 양의 여과수를 얻기 위한 공법으로 우리나라 또는 미국의 기후와 지질에 맞게 진화한 형태라 할 수 있다(김승현, "우리나라에서강변여과와 하상여과의 비교,대한환경공학회지 29권, pp. 1153-1161, 2007). 본 발명자는 하상의 일정깊이에 설치되는 집수관을 통하여 대수층을 통과하며 여과되어 유입되는 하천수를 집수정 또는 집수호로 이송시켜 모으는 하상여과방법에 있어서, 집수관으로 여과수의 출구인 집수정 또는 집수호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단계적으로 커지는 유공관을 사용하는, 집수관 1공당 여과수 산출유량이 1,250m3/일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여과방법에 대한 특허출원을 하여 등록된 바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26482호 참조).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지층이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대수층 구성입자가 작고 비표면적이 클 뿐 아니라 유기물 함량도 높다. 또한 강수가 짧은 기간에 집중되고 산지지형으로 인해 경사가 급해 배수가 잘 되므로 지하수 함양율이 작으며, 산이 많아 유역의 크기가 작아서 지하수량이 적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토양중에 산소공급이 어려워 대수층이 혐기화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자연지하수에 철이나 망간의 농도가 높다. 산소가 없는 경우에는 질산성질소가, 그리고 질산성질소도 고갈되면 망간과 철이 차례로 전자수용체로 사용되어 용해되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자연하천은 이득하천으로 하천수위보다 주변의 지하수위가 더 높아서 자연지하수가 하천으로 유입된다(도 1 참조). 보통 하천에서 먼 곳의 자연지하수에는 철이나 망간의 농도가 낮고, 땅속을 통해서 하천을 향해 이동하면서 이들의 농도가 점차 높아지게 되는데, 이는 우리나라에서는 기후와 지질의 영향으로 토양층에 산소공급이 어려워 혐기화하기 때문이다. 이의 예를 창녕군 증산지구에서 볼 수 있으며, 하천에서 약 1km 떨어진 곳의 철 농도는 0.25mg/L 정도에 불과하지만 하천에 접근하면서 점차 증가하여 하천에 인접한 지점에서는 약 30mg/L까지 증가한다(수자원공사, "창원공업용수도 취수여건 개선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2007). 자연지하수량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지하수의 함유율을 낮추는 것은 하천에서 유입하는 여과하천수의 유입율을 높임으로써 가능하며, 이는 우물을 하천에 인접시켜 달성하게 되는데, 여과수에 포함된 자연지하수의 함유율을 5%로 낮추는 하상여과를 적용하더라도 여과수의 철 농도는 1.5mg/L에 이르게 되어 음용수로는 부적합하며 별도의 후처리 정화시설을 요하게 되어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과수에서 철이나 망간의 농도를 음용수 허용기준 이하로 유지하여, 큰 비용이 들어가는 후처리가 필요치 않은 국내토양 및 지형에 적합한 하상 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상 하부에 설치되어 대수층을 통해 자연여과된 하천수를 끌어들이는 하나 이상의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에 연결되어 여과수를 저장하는 집수정 및; 상기 집수정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하수를 배수하는 하나 이상의 청소배수관을 포함한 하상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청소배수관이 집수정을 기준으로 하천의 반대방향으로 하천의 수위보다 낮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청소배수관이 상기 집수관의 길이 또는 상기 집수관 말단간 최대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청소배수관이 양단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복수의 다직경관과 상기 다직경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점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청소배수관에 집수된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출구와 상기 출구와 연결된 배수펌프 또는 출구에 연결되어 지하수를 저장하는 지하수 집수조와 상기 지하수 집수조에 집수된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청소배수관과 배수펌프가 다지관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하상 하부에 설치된 집수관을 이용하여 대수층을 통과한 여과수를 집수정에 취수하는 하상 여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에서 이격하여 하나 이상의 청소배수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상기 청소배수관에 집수하여 상기 집수관 또는 집수정에 지하수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청소배수관이 집수정을 기준으로 하천의 반대방향으로 하천의 수위보다 낮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청소배수관이 상기 집수관의 길이 또는 상기 집수관 말단간 최대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청소배수관이 양단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복수의 다직경관과 상기 다직경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점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상 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은 통상의 하상 여과 시스템에서 문제되는 지하수에 포함된 철과 망간의 유입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철과 망간의 후처리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양질의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강변/하상여과공법의 보급에 기여한다.
도 1은 우리나라에 전형적인 이득하천과 자연지하수의 관계를 나태낸 단면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상 여과 시스템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상 여과 시스템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강변/하상여과에서 천층과 심층 대수층에서의 여과수질개선 기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상 여과 시스템 중 청소배수관에서의 유속분포와 마찰에 의한 수두분포를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상 여과 시스템 중 청소배수관 내부의 마찰저항 감소를 위한 다직경 배수관 단면개요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상 여과 시스템 중 청소배수관의 내부의 축방향 유량 및 유속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출구 배수관의 평면개요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집수관 20 집수정
30 청소배수관 31 출구
40 지하수 집수조 50 배수 펌프
60 다지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상 여과 시스템 일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상 여과 시스템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상 여과 시스템은 하상 하부에 설치되어 대수층을 통해 자연여과된 하천수를 끌어들이는 하나 이상의 집수관(10)과, 상기 집수관(10)에 연결되어 여과수를 저장하는 집수정(20) 및; 상기 집수정(30)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하수를 배수하는 하나 이상의 청소배수관(30)을 포함한다.
상기 집수관(10) 및 집수정(20) 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집수관 및 집수정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바람직한 예로는 전술한 본 발명자의 등록특허 제926482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집수관(10) 및 집수정(20)에 관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모두 잘 알고 있을 것이고, 전술한 문헌에 기재된 내용 외에도 필요에 따라 형태, 재질 및 기능을 변형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의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상 여과 시스템은 집수정(20)에 이격되어 집수정(20)을 기준으로 하천의 반대방향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배수하는 하나 이상의 청소배수관(30)을 포함한다. 상기 청소배수관(30, scavenger drain)은 하천으로 흐르는 지하수를 집수하여 지하수가 상기 집수과(10) 및 집수정(20)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천에 가까이 흐르는 지하수는 철 및 망간을 비롯한 각종 금속 이온 농도가 높아 하천여과수에 혼입되는 경우 그 함유량이 5% 정도인 경우에도 후처리 공정을 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청소배수관(30)을 이용하여 이러한 지하수가 하천여과수가 모인 집수정(20)에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 후처리 공정을 요하지 않는 하상 여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청소배수관(30)의 설치시 설치형태 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그 효율을 고려하면 하천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천의 수위보다 낮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소배수관(30)은 하천에 평행하고 하천수면보다 낮은 깊이에 수평으로 설치하되, 그 길이는 도 2에서처럼 자연지하수 유입으로부터 강변/하상여과정의 수평집수관(10)을 보호할 정도의 길이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청소배수관(30)의 길이는 상기 집수관(10)의 길이 또는 상기 집수관(10) 말단간 최대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복수의 수평집수관(10)이 100m 길이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청소배수관(30)의 길이는 상기 집수관(10)의 말단간 최대거리인 약 160m 또는 그 이상이 되어야 지하수의 집수정(20) 또는 집수관(10)으로의 직접적인 흐름과 유입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집수관(10)이 평행하게 설치되는 경우에도 청소배수관(30)의 길이는 집수관(10) 말단간 최대 거리로 할 수도 있으나, 집수관(10)의 길이가 긴 경우 우회하여 유입되는 지하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집수관(10) 길이 이상이 되도록 하여 우회하는 지하수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배수관(30)은 유공관 또는 무공관일 수 있으며, 유공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천에서 여과수로 흘러드는 여과하천수에도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으나 하천수에는 용존산소와 질산성질소가 함유되어 있어서 하천수가 집수정(20)에 도달하기까지는 Fe+2의 용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강변/하상여과가 고려되는 낙동강의 경우 하천수의 유기물 농도는 BOD로 약 2-3mg/L이고 용존산소는 6-7mg/L이어서 유기물의 생분해에서 발생하는 전자를 용존산소가 모두 수용할 수 있다. 토양에서 추가적으로 용출되는 유기물의 분해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적인 전자는 질산성질소가 수용할 수 있다(안규홍, 김승현 등, "A kinetic analysis of organic release from the aquifer soil in riverbank/bed filtration", 대한환경공학회 영문학회지, 10권, pp. 199-204, 2005). 우리나라 하천수의 경우 질산성질소의 농도는 3mg/L 정도이고 이는 용존산소 약 8.5mg/L에 해당하는 전자수용능력을 가지며, 질산성질소는 토양중의 깊은 곳까지 잘 이동하여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의 개요도는 도 4에 나타내었다.
하천으로 흘러드는 자연지하수는 창녕군 증산지구의 경우 하천길이 1m 당 최대 약 6m3/일이고 다른 지역에서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김승현 등, "이룡지구 강둑여과의 최적설계 및 환경성검토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1권, pp. 2027-2039, 1999). 이로부터 하천연장 200m에서의 자연지하수 유입율을 계산하면 최대 약 1,200m3/일이 된다. 200m는 수평집수관의 길이가 100m인 경우 이를 오염된 자연지하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청소배수관의 소요길이이다(도 2 참조). 한편, 하천수에서 집수정으로 유입하는 여과하천수는 20,000-30,000m3/일이므로 이에 대한 자연지하수 유입량은 5% 정도에 불과하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해결책인 오염된 자연지하수의 배제를 통한 여과수의 보호에는 약 5%의 산출유량 감소가 수반된다. 그러나 이는 철과 망간의 후처리 공정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에 비하면 무시될 수 있는 정도이며, 산출유량 감소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집수정(20)의 추가적인 수위저하 또는 수평집수관(10)의 추가설치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들 공법은 철과 망간의 후처리에 필요한 비용에 비하면 훨씬 더 경제적이다. 철과 망간이 고농도로 함유된 배제수는 하천 또는 집수정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으로 방류하며, 하천수에 함유된 용존산소에 의해 다시 고체화하여 광물질로 침전하므로 환경에 무해하다.
본 발명의 하상 여과 시스템은 상기 청소배수관(30)에 집수된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출구(31)와 상기 출구(31)와 연결된 배수펌프 또는 출구(31)에 연결되어 지하수를 저장하는 지하수 집수조(40)와 상기 지하수 집수조(40)에 집수된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소배수관(30)이 유공관일 경우 주변에서 자연지하수가 관의 중심을 향해 유입한다. 따라서 청소배수관(30)의 한쪽 끝에서 배수하는 경우 청소배수관(30)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유량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유속도 점차 커져서 관벽과의 마찰저항이 커지게 된다. Darcy-Weisbach의 공식에 의하면 마찰저항은 유속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배수관의 끝부분에서는 저항이 크게 증가한다. 여기에 더하여 유공관을 통해 유입하는 물이 청소배수관(30) 내부의 축방향 흐름에 직각으로 유입함으로써 축방향 흐름에 대한 마찰저항은 더욱 커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도 5에 나타내었다. 지하수 집수조(40, 배수용 맨홀)에서의 수두저하가 전체 청소배수관(30)으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도 5에서와 같이 마찰저항에 의해 청소배수관(30)에서의 수두분포가 왜곡되고 배수용 맨홀(40) 인근에서는 배수가 잘되는데 반해 배수용 맨홀(40)에서 멀어질수록 청소배수관(30)에서의 수두와 자연지하수위의 차이가 감소하여 자연지하수의 배수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소배수관(30)에 취수된 지하수의 출구(31)를 청소배수관(30)의 중심부에 설치하여 최대유량을 절반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중심부(출구, 31)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큰 유공관을 사용함으로써 출구쪽으로 갈수록 유량은 커지지만 단면적도 커지므로 축방향 유속은 증가하지 않아서 마찰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청소배수관(30)이 양단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복수의 다직경관과 상기 다직경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점확관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6에 나타내었다. 이때 점확관은 직경이 다른 청소배수관의 연결부에 직경의 급변화를 막기 위해 사용한다. 직경이 급확대되면 저항도 커지기 때문이다. 상기 청소배수관(30) 내부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으로 청소배수관(30) 내부의 축방향 흐름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청소배수관(30)과 배수펌프(50)는 다지관(60)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청소배수관(30)의 여러 지점에 출구를 설치하여 청소배수관(30) 내부의 물을 배수함으로써 청소배수관(30) 내부의 축방향 흐름유량을 최소화하고 따라서 마찰저항을 최소화한다. 이때 청소배수관(3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배수관은 무공관일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10)

  1. 하상 하부에 설치되어 대수층을 통해 자연여과된 하천수를 끌어들이는 하나 이상의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에 연결되어 여과수를 저장하는 집수정 및;
    상기 집수정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하수를 배수하며, 상기 집수관의 길이 또는 상기 집수관 말단 간 최대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청소배수관을 포함한 하상 여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배수관은 집수정을 기준으로 하천의 반대방향으로 하천의 수위보다 낮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배수관은 양단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복수의 다직경관과 상기 다직경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점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배수관에 집수된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출구와 상기 출구와 연결된 배수펌프 또는 출구에 연결되어 지하수를 저장하는 지하수 집수조와 상기 지하수 집수조에 집수된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배수관과 배수펌프는 다지관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시스템.
  7. 하상 하부에 설치된 집수관을 이용하여 대수층을 통과한 여과수를 집수정에 취수하는 하상 여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에서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집수관의 길이 또는 상기 집수관 말단간 최대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청소배수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상기 청소배수관에 집수하여 상기 집수관 또는 집수정에 지하수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배수관은 집수정을 기준으로 하천의 반대방향으로 하천의 수위보다 낮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배수관은 양단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복수의 다직경관과 상기 다직경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점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여과 방법.
KR1020110002399A 2011-01-10 2011-01-10 하상 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 KR101029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399A KR101029750B1 (ko) 2011-01-10 2011-01-10 하상 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399A KR101029750B1 (ko) 2011-01-10 2011-01-10 하상 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750B1 true KR101029750B1 (ko) 2011-04-19

Family

ID=4405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399A KR101029750B1 (ko) 2011-01-10 2011-01-10 하상 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7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2131A (ja) * 1996-03-04 1997-09-16 Sadajiro Sano 河川敷に流入する地下水取得方式
JP2001173028A (ja) 1999-12-20 2001-06-26 Asia:Kk 満州井戸式集水方法およびその集水埋渠装置
KR100926482B1 (ko) * 2009-05-26 2009-11-1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직경 집수관을 이용한 하상여과방법
KR100948551B1 (ko) * 2009-12-09 2010-03-1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2131A (ja) * 1996-03-04 1997-09-16 Sadajiro Sano 河川敷に流入する地下水取得方式
JP2001173028A (ja) 1999-12-20 2001-06-26 Asia:Kk 満州井戸式集水方法およびその集水埋渠装置
KR100926482B1 (ko) * 2009-05-26 2009-11-1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직경 집수관을 이용한 하상여과방법
KR100948551B1 (ko) * 2009-12-09 2010-03-1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93469B (zh) 一种基于海绵城市雨水渗排一体化系统
KR100948551B1 (ko)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CN104926040B (zh) 高含水双向流海绵型湿地雨水净化调蓄回用系统与方法
CN104529089B (zh) 重度污染小型河流净化系统
CN203269659U (zh) 一种高效脱氮三级复合人工湿地
CN109399800B (zh) 一种河流湖泊径流污染梯级控制系统
Guan et al. Assessment of the use of a zero-valent iron permeable reactive barrier for nitrate removal from groundwater in the alluvial plain of the Dagu River, China
Balke et al. Natural water purification and water management by artificial groundwater recharge
KR101578551B1 (ko)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KR100977882B1 (ko) 자연적 물순환 및 여재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침투도랑
Xiong et al. Removal of nitrogen from rainwater runoff by bioretention cells filled with modified collapsible loess
Grischek et al. Bank filtration as managed surface-groundwater interaction
KR101029750B1 (ko) 하상 여과 시스템 및 하상 여과 방법
Marttila et al. Retention of sediment and nutrient loads with peak runoff control
KR101095322B1 (ko) 자연적 물순환 및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겸비한 침투도랑
CN104016487A (zh) 一种人工湿地
CN108557988A (zh) 一种农业面源污染控制的旱地土壤渗滤系统及方法
CN205295075U (zh) 一种公路服务区改良人工湿地污水处理系统装置
CN210104909U (zh) 一种渗水井和建设有该渗水井的海绵城市雨水处理系统
Austin Design and performance of bioretention beds for removal of stormwater contaminants
KR101017980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용 침투정
KR101048805B1 (ko) 상수원수 생산시스템
Grischek et al. Sustainability of river bank filtration: Examples from Germany
Akter Groundwater Recharge
KR20200035535A (ko) 수변공간을 활용한 오염부하 저감 및 차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9